KR101924229B1 -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29B1
KR101924229B1 KR1020180035486A KR20180035486A KR101924229B1 KR 101924229 B1 KR101924229 B1 KR 101924229B1 KR 1020180035486 A KR1020180035486 A KR 1020180035486A KR 20180035486 A KR20180035486 A KR 20180035486A KR 101924229 B1 KR101924229 B1 KR 1019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odulation
signal
unit
transmissio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득
조갑구
박진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엠제이링크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엠제이링크, 주식회사 티제이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8003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anceling multiple intermodulations which improve the receiving quality for a receiving signal by cancel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a receiving range by a plurality of transmitting signals and canceling the interference of the receiving range by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signals. The apparatus for canceling multiple intermodulations comprises: a first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 second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 receiving unit for remov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operat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receiving range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units;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transmitting unit,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Description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0001] DESCRIPTION [0002]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s and their methods [

본 발명은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신 신호의 상호 변조 신호가 수신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송신 신호로부터 수신 신호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예측하여 수신 신호에서 제거할 수 있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moduli, and specifically to eliminating the influence of an intermodulation signal of a transmission signal on a reception signal.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dic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of a reception signal band from a transmission signal and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from a reception signal.

이동통신의 발전을 위해 서비스 용량의 증대와 설치 비용의 최소화 등이 주요 이슈화 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증대와 설치 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송신 전력을 높이거나 광대역으로 송신하여 통합 전력을 높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creasing service capacity and minimizing installation cost are major issu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service and minimize the installation cost, it is a reality that the transmission power is increased or the integrated power is increased by transmitting to the broadband.

이때, 전력 과부하로 인하여 안테나, 결합기, 커넥터, 및 케이블 등과 같은 수동 소자에서 상호 변조가 발생되고 있다. At this time, due to power overload, mutual modulation is occurring in passive elements such as antenna, coupler, connector, and cable.

또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복수의 무선통신을 하나의 안테나로 서비스 함으로써, 그 영향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and the like is increased with one antenna.

이러한 간섭인 패시브 상호 변조(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는 송신 신호 내 주파수들이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 원치 않는 기생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능동(Active) 소자에서 발생하는 AIMD(Act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와는 달리 모든 RF경로상에 발생하며, 수준 또한, 예측하기가 무척 어려워, 이러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IMD) is an interference phenomenon that causes undesired parasitic signal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frequencies in a transmission signal. Unlike AIMD (Act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generated in active devices, And the level is also very difficult to predict,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eliminate such intermodulation signals.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21584호에서는 공유기의 커넥터와 급전선 연결 지점에 접합물질을 이용하여 솔더링(Soldering)함으로써 수동상호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21584 discloses a method of eliminating a passive intermodulation signal by soldering using a bonding material to a connector of a router and a connection point of a feeder line.

그러나 이 경우에도, 수신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influence on the received signal can not be eliminated.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21584호(2012.03.02.)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21584 (March 23,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해 수신 대역에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le intermodulation el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a reception ban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from a reception signal.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한 수신 대역의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f a reception ban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to improve reception quality with respect to a recep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는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로 인해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부, 및 제 1 송신부, 제 2 송신부, 및 수신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j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n intermodulation signal serving as interference in a reception band due to a first transmitter and a second transmitter,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transmitter, the second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여기서, 수신부는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er ma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또한, 수신부는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의 출력에 대해 결합부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ma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at the combining unit with respect to the outputs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여기서, 결합부는 컴바이너, 필터, 스위치, 안테나, 커넥터, 및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combiner, a filter, a switch, an antenna, a connector, and a cable.

또한, 수신부는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and an intermodulation eliminator for eliminat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는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 전력 검출 모듈 및 수신 대역에 대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may include a transmission power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a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for the reception band.

또한, 상호 변조 발생기는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의 송신 신호와 결합부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아 송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검출하는 송신 대역 상호 변조 검출 모듈 및 송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토대로 수신 대역에 대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includes a transmission band intermodula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of a transmission band by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n output signal of the combining unit, And a receiving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ignal.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는 제 1 송신부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호 변조, 제 2 송신부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호 변조, 및 제 1 송신부와 제 2 송신부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intermodul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tter, intermodul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ransmitter, and intermodulation by combining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

또한, 제 1 송신부와 제 2 송신부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는 제 1 송신부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과 제 1 송신부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을 토대로 수신 대역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조합에 대한 상호 변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is an intermodulation of combinations that can occur in the reception band based on the frequency and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frequency and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는 상호 변조 발생을 언더 샘플링으로 수행하며, 언더 샘플링의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performs undermodulation of intermodulation, and can eliminate interference (underlining) of undersampling.

또한, 상호 변조 제거기는 결합부의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 및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의 출력에 대해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may include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from the reception signal of the coupling section and a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low noise amplification on the output of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moval module .

여기서, 상호 변조 제거기는 결합부의 수신 신호로부터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 및 저잡음 증폭 모듈의 출력에 대해 수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may include a low-noise amplif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low-noise amplification from the reception signal of the coupling part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to the output of the low-noise amplification module.

또한, 상호 변조 제거기는 등화기를 사용하여 비동기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Further,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can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asynchronously using an equaliz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은 제 1 송신부에서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단계, 제 2 송신부에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단계, 제 1 송신부, 제 2 송신부, 및 수신부를 결합하는 결합 단계, 및 제 1 송신부 및 제 2 송신부의 출력으로 인해 수신부의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moval meth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t a first transmission unit, a second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t a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 receiving step of remov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serving as an interference to a reception band of the reception unit due to the output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여기서, 수신 단계는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 단계 및 상호 변조 제거기에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step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and an intermodulation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in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본 발명에 의한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해 수신 대역에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modul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a reception ban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is removed from a recep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한 수신 대역의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modul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of improving reception quality with respect to a received signal by eliminating interference of a reception band due 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신부에서 간섭 신호가 없을 경우에 대한 수신부의 입력을 나타낸 파형이다.
도 3은 도 1의 수신부에서 간섭 신호가 있을 경우에 대한 수신부의 입력을 나타낸 파형이다.
도 4는 도 1의 수신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호 변조 발생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호 변조 발생기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상호 변조 제거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호 변조 제거기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신 단계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le intermodulation r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of a receiver in the absence of an interference signal in the receiver of FIG. 1. FIG.
3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of a receiving unit in the case where an interference signal is present in the receiving unit of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ceiver of FIG. 1 in detail.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of FIG. 4 in detail.
FIG.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of FIG. 4 in detail.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of FIG. 4 in detail.
FIG. 8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of FIG. 4 in detail.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receiving step of FIG.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moval apparatuse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파형 및 구성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j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8 are detailed waveforms and configu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FIG. 1 in detail.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Hereinafter,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j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는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110),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120),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로 인해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부(300), 및 제 1 송신부(110), 제 2 송신부(120), 및 수신부(300)를 결합하는 결합부(200)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rejec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110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 second transmitter 120 for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 receiving unit 300 for elimin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serving as an interference to a receiving band due to the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and a receiving unit 300 for recei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acting as an interference to the receiving band by using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0,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Not shown).

여기서, 수신부(300)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unit 300 ma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또한, 수신부(300)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의 출력에 대해 결합부(200)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300 may remove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combining unit 200 with respect to outputs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

여기서, 결합부(200)는 컴바이너, 필터, 스위치, 안테나, 커넥터, 및 케이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unit 200 may be composed of a combiner, a filter, a switch, an antenna, a connector, and a cable.

상호 변조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 내부의 액티브 소자에서 발생하는 액티브 상호 변조와 결합부(200) 내부의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패시브 상호 변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may include act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the active elements in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second transmitter 120 and pass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the passive elements in the combiner 200. [

수신 신호에 영향을 주는 간섭으로는 액티브 상호 변조와 패시브 상호 변조가 해당될 수 있다. Interference that affects the received signal may be active intermodulation and passive intermodulation.

이때, 상호 변조는 송신 신호 내의 주파수 간 상호 변조로 발생하는 것으로 홀수 차수와 짝수 차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짝수 차수의 경우 송신 주파수의 N배에 영향을 미치나 홀수 차수의 경우 송신 주파수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있다. In this case, the intermodulation occurs as a result of intermodulation between frequencies in the transmission signal, which can be divided into odd-order and even-order. In the case of the even order, the influence affects the transmission frequency N times. There are characteristics.

또한, 송신 주파수 주변의 경우 3차, 5차와 같이 저차수의 상호 변조가 영향을 미치나 송신 주파수와 거리가 떨어질 경우 고차수의 상호 변조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 addition, low-order intermodulation affects the transmission frequency, such as third order and fifth order. However, high-order intermodulation can have an effect if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ssion frequency is small.

한편, 복수의 송신 주파수가 공존할 경우 상호 변조의 N차수는 복수의 조합이 N차수가 되는 경우에 대해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매우 복잡한 신호 처리가 필요하고, 광대역 및 초고속의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frequencies coexi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the cases of the N-order of the intermodulation when the plurality of combinations become the N-order, and therefore, a very complicated signal processing is required and a broadband and super high-speed signal processing is required.

상호 변조는 송신 신호의 크기가 클 수록 더욱 커지며, 수신 신호 대역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becomes larger as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signal becomes larger, and may affect the reception signal band.

도 2 내지 도 3은 송신 신호 크기에 따른 수신 신호 대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나타낸 파형이다. 2 to 3 are waveforms showing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on a received signal band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ignal size.

도 2는 도 1의 수신부(300)에서 간섭 신호가 없을 경우에 대한 수신부(300)의 입력을 나타낸 파형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송신 신호(410) 및 제 2 송신 신호(420)의 출력이 낮을 경우 제 1 송신 신호(410) 및 제 2 송신 신호(420)에 의해 상호 변조 신호 크기가 작으므로, 수신 신호(5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is a waveform showing the input of the receiving unit 300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signal in the receiving unit 300 of FIG. 2, when the outputs of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4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420 are low,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4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420 cause the intermodulation signal size The received signal 500 is not affected.

한편, 제 1 송신 신호(410) 및 제 2 송신 신호(420)의 출력이 높을 경우 제 1 송신 신호(410) 및 제 2 송신 신호(420)에 의해 상호 변조 신호의 크기가 크므로, 수신 신호(5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s of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4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420 are high, the size of the modulated signal is large due to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4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420, Lt; RTI ID = 0.0 > 500. ≪ / RTI >

도 3은 도 1의 수신부(300)에서 간섭 신호가 있을 경우에 대한 수신부(300)의 입력을 나타낸 파형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간섭 신호(610) 및 제 2 간섭 신호(620)의 출력이 높을 경우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 또는 결합부(200)에서 상호 변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5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수신 신호는 상호 변조 신호(700)와 상호 변조 제거 후 수신 신호(800)가 더해진 경우이므로 간섭 영향이 큰 것을 볼 수 있다. FIG. 3 is a waveform showing the input of the receiver 300 when there is an interference signal in the receiver 300 of FIG. 3, when the outputs of the first interference signal 610 and the second interference signal 620 are high,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or the coupling unit 200 mutually Modulation may occur and may affect the received signal 500. At this time, since the received signal is added to the intermodulation signal 700 and the received signal 800 after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ference effect is large.

또한, 상호 변조 신호(700)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에서 발생한 액티브 상호 변조일 수도 있고, 결합부(200)에서 발생한 패시브 상호 변조일 수도 있으며, 액티브 상호 변조와 패시브 상호 변조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termodulation signal 700 may be an active intermodulation generated by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second transmitter 120 or may be a passive intermodulation generated by the combiner 200, And may include both intermodulation signals.

따라서, 상호 변조 신호(700)를 제거하여 상호 변조 제거 후 수신 신호(800)를 추출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the recep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700 and extracting the reception signal 800 after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도 4는 도 1의 수신부(30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4 is a detailed diagram of the receiving unit 300 of FIG.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부(300)는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310) 및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receiving unit 300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and an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310)는 제 1 송신부(11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호 변조, 제 2 송신부(12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호 변조, 및 제 1 송신부(110)와 제 2 송신부(120)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may include an intermodulation unit 310 for intermodul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intermodulation of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and an intermodulation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 By intermodulation.

또한, 제 1 송신부(110)와 제 2 송신부(120)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는 제 1 송신부(110)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과 제 1 송신부(110)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을 토대로 수신 대역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조합에 대한 상호 변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termodula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second transmitter 120 may be performed in the reception band on the basis of the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may be characterized by intermodulation of a combination that can occur.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310)는 상호 변조 발생을 언더 샘플링으로 수행하며, 언더 샘플링의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performs undermodulation for intermodulation, and can eliminate interference (underlining) of undersampling.

또한, 상호 변조 제거기(320)는 등화기를 사용하여 비동기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may asynchronousl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using an equalizer.

여기서, 상호 변조 발생기(310)는 제 1 간섭 신호(610) 및 제 2 간섭 신호(620)로부터 상호 변조 모델을 통해 수신 대역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may generate an intermodulation signal that affects the receiving band through the intermodulation model from the first interfering signal 610 and the second interfering signal 620.

이때,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주파수 차이가 클 경우 상호 변조 모델의 차수가 커지며, 이를 신호 처리하기 위해 고속의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At this time, when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band and the reception band is large, the degree of the intermodulation model increases, and high-speed signal processing is required to process the signal.

또한, 제 1 송신부(110)의 출력 신호와 제 2 송신부(120)의 출력 신호의 조합에 따라 수신 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lso, the combin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may affect the reception band.

이때, 제 1 송신부(110)의 출력 신호를 A라 하고 제 2 송신부(120)의 출력 신호를 B라고 가정할 때 N차의 상호 변조의 경우 A의 (N-M)승과 B의 M승 (단, M은 0이상 N이하의 정수)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수신 대역에 영향을 미치는 조합을 미리 선정함으로써, 신호 처리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110 is A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is B, in the case of intermodulation of N-th order, the (NM) And M is an integer equal to or greater than 0 and equal to or less than N). Based on this, a combination that affects the reception band is selected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complexity of signal processing.

한편, 송신 주파수 또는 송신 신호의 대역폭의 2배보다 작은 언더 샘플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중복된 샘플링으로 인한 간섭(얼라이어싱)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under-sampling less than twic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r the bandwid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At this time, interference due to duplicated sampling may occur.

즉, 상호 변조 모델 내부에 상호 변조 차수에 따른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하여 수신 대역에서의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저속에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gn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a low speed by removing the interference (alignment) according to the intermodulation order within the intermodulation model to generate the intermodulation signal in the reception band.

한편, 송신 전력의 크기가 작을 경우 상호 변조에 의한 간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간섭 신호의 발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상호 변조 제거기(3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when the transmission power is small, interference due to intermodulation does not exist. Therefore, the interference signal may not be generated. At this time, the noise generated 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may affect the intermodulation canceler 320 There are advantages that do not go far.

도 5는 도 4의 상호 변조 발생기(31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of FIG. 4 in detail.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변조 발생기(310)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 전력 검출 모듈(311) 및 수신 대역에 대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다. 5,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includes a transmission power detection module 311 for detecting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2 for generating a reception band modulation signal.

여기서, 송신 전력 검출 모듈(311)은 송신 전력을 검출하여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2)의 동작 여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설정 값 이상일 때만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2)에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Here, the transmission power detection module 311 may detect the transmission power and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2. When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2 receives the intermodulation signal 312, .

또한, 미도시 된 하향 변환기, 상호 변조 신호 동기화기, 상호 변조 재생기, 상호 변조 공분산 연산기, 상호 변조 신호 직교화기, 및 상호 변조 이득 조절기 등이 연산을 통해 상호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unmodulated down-converter, an intermodulation signal synchronizer, an intermodulation regenerator, an intermodulation covariance calculator, an intermodulation signal orthogonalizer, and an intermodulation gain controller may generate intermodulation signals.

한편,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2)에서는 수신 대역에서의 상호 변조 발생을 위해 상호 변조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를 사용하여 N개 차수의 상호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2, an intermodulation model may be used for generation of intermodulation in the reception band, and an intermodulation signal of N orders can be generated using Taylor series or Volterra series .

또한,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의 출력에 공분산 연산을 통해 N개의 차수 간 상호 변조 신호가 서로 직교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output of the Taylor series or the Boltera series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N inter-modulated signal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rough a covariance operation.

도 6은 도 4의 상호 변조 발생기(310)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FIG. 6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of FIG. 4 in detail.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변조 발생기(310)는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의 송신 신호와 결합부(200)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아 송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검출하는 송신 대역 상호 변조 검출 모듈(313) 및 송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토대로 수신 대역에 대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4)을 포함할 수 있다. 6,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units 110 and 12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mbining unit 200 and receives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band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4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for the reception band on the basis of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band.

여기서, 송신 대역 상호 변조 검출 모듈(313)은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에서 송신한 신호가 실제 결합부(200)에서 발생된 상호 변조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구성된 모듈이다. Here, the transmission band mutual modulation detection module 313 is a module configured to detect a magnitude of the intermodulation generated in the coupling unit 200 by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

이때, 송신 대역 상호 변조 검출 모듈(313)은 결합부(200)에서 수신된 송신 대역 내의 신호와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의 송신 신호의 차이를 추출하여 송신 대역 내의 상호 변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band mutual modulation detection module 313 extra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 in the transmission band received by the combining unit 200 and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second transmitter 120, The modulation signal can be extracted.

또한, 송신 신호 대역 내의 상호 변조 신호의 특성으로부터 상호 변조 모델을 보상할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e intermodulation model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odulation signal in the transmission signal band.

즉,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의 차수에 대한 크기, 위상, 및 지연을 보상하여 제 1 송신부(110), 제 2 송신부(120), 및 결합부(200) 에서의 상호 변조 특성에 대한 모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model accuracy of the intermodulation characteristic in the first transmitter 110, the second transmitter 120, and the coupling unit 200 is compensated by compensating the magnitude, phase, and delay of the order of the Taylor series or Boltera series. Can be increased.

한편,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4)에서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312)과 마찬가지로 수신 대역에서의 상호 변조 발생을 위해 상호 변조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며,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를 사용하여 N개 차수의 상호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4, an intermodulation model can be used for generation of intermodulation in the reception band as in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312, and N Order intermodul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또한,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의 출력에 공분산 연산을 통해 N개의 차수 간 상호 변조 신호가 서로 직교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output of the Taylor series or the Boltera series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N inter-modulated signal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rough a covariance operation.

도 7은 도 4의 상호 변조 제거기(320)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of FIG. 4 in detail.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변조 제거기(320)는 결합부(200)의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 및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의 출력에 대해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321)을 포함할 수 있다. 7,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includes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moval module 322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from the reception signal of the coupling unit 200, And a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321 for performing low noise amplification on the output of the low pass filter 322.

여기서,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은 저잡음 증폭 모듈(321)보다 먼저, 수행하여 저잡음 증폭 모듈(321)로 수신되는 상호 변조의 크기를 낮춤으로써, 저잡음 증폭 모듈(321)의 IIMD(Input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performs the intermodulation elimination module 322 prior to the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321 to reduce the size of the intermodulation received by the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321 so that the IIMD of the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321 Intermodulation Distortion).

한편,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은 단순히 결합부(200)의 출력으로부터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을 뺄셈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의 출력에 포함된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The receiving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may subtract the output of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from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by subtraction and may be included in the output of the receiving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The output component of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may be minimized.

또한,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의 신호와 결합부(200)의 출력 사이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연을 시스템에서 고정하여 동기를 맞출 수도 있으며, 등화기를 포함하여 비동기로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lay may occur between the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and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Such a delay may be fixed in the system to synchronize, and an asynchronous have.

이때, 등화기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과 결합부(200)의 출력에 대한 동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부(200)의 구성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an equalizer, synchronization between the output of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and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is not required,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combining unit 200 is changed over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8은 도 4의 상호 변조 제거기(320)를 상세히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FIG. 8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modulation canceler 320 of FIG. 4 in detail.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변조 제거기(320)는 결합부(200)의 수신 신호로부터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324) 및 저잡음 증폭 모듈(324)의 출력에 대해 수신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8,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receives the output of the low-noise amplification module 324 and the low-noise amplification module 324, which perform low-noise amplification from the received signal of the coupling unit 200,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3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여기서, 저잡음 증폭 모듈(324)은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3)보다 먼저, 수행하여 낮은 크기에 대한 상호 변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low-noise amplification module 324 is performed prior to the reception-band intermodulation removal module 323 to effectively remove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a low amplitude.

한편,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은 단순히 결합부(200)의 출력으로부터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을 뺄셈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의 출력 대비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이 최소가 되도록 피드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may subtract the output of the intermodulation module 310 from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by subtracting the output of the receiving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It may be implemented as feedback so that the output of the modulation generator 310 is minimized.

또한,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322)의 신호과 결합부(200)의 출력 사이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연을 시스템에서 고정하여 동기를 맞출 수도 있으며, 등화기를 포함하여 비동기로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lay may occur between the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322 and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Such a delay may be fixed in the system to synchronize and be implemented asynchronously including an equalizer .

이때, 등화기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과 결합부(200)의 출력에 대한 동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부(200)의 구성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an equalizer, synchronization between the output of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and the output of the combining unit 200 is not required,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combining unit 200 is changed over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은 도 9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세부 순서도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FIG. 9 in detail.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은 제 1 송신부(110)에서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10), 제 2 송신부(120)에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0), 제 1 송신부(110), 제 2 송신부(120), 및 수신부(300)를 결합하는 단계(S200), 및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의 출력으로 인해 수신부(300)의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9,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10 of transmitting a first signal in a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 step S110 of transmitting a first signal in a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A step S200 of combin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and the reception unit 300 and the step S200 of connecting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0, And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acting as an interference in the reception band of the receiver 300 due to the output (S300).

제 1 송신 단계(S110) 및 제 2 송신 단계(S120)에서 발생하는 송신 신호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수신 신호 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The transmission signals generated in the first transmission step (S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step (S120) may affect the reception signal ban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ignal.

이러한 상호 변조는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송신부(110) 및 제 2 송신부(120) 내부의 액티브 소자에서 발생하는 액티브 상호 변조와 결합부(200) 내부의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패시브 상호 변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세한 상호 변조에 대한 설명은 간명한 설명을 위해 생략한다. Such intermodulation includes the act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the active elements in the first transmitter 110 and the second transmitter 120 and the passive intermodulation occurring in the passive elements in the combiner 200, And the description of detailed intermodulation is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도 10은 도 9의 수신 단계(S300)를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receiving step (S300) of FIG.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단계(S300)는 상호 변조 발생기(310)에서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310) 및 상호 변조 제거기(320)에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S320)로 이루어진다. 10, the receiving step S300 includes a step S310 of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at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310 and a step S320 of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at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320, .

즉, 상호 변조 발생 단계(S310)에서 송신 신호를 토대로 수신 신호 대역의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언더 샘플링으로 인한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하여 신호 처리를 저속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변조 발생 시 테일러 급수 또는 볼테라 급수를 사용하여 간단히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ion step S310, an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signal band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signal.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a low speed by eliminating interference due to undersampling , Can occur simply by using Taylor series or Volterra series when intermodulation occurs.

한편, 상호 변조 제거 단계(S320)에서는 상호 변조 발생 단계(S310)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등화기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상호 변조 발생기(310)의 출력과 결합부(200)의 출력에 대한 동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부(200)의 구성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in the intermodulation removal step S320, the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ion step S310 may be removed from the reception signal. When the intermodulation is performed using the equalizer,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termodulation signal 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combining unit 200 changes with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해 수신 대역에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하는 장점이 있으며, 복수의 송신 신호에 의한 수신 대역의 간섭을 제거하여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품질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modul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a reception ban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is removed from a reception signal, and interference of a reception band by a plurality of transmission signals is eliminated Thereby improving the reception 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ncludes examples of one or more embodiments. It is, of course, not possible to describ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components or methods for purposes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recognize that many further combinations and permutations of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alter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로 인해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 1 송신부, 상기 제 2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기; 및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는, 상호 변조 발생을 언더 샘플링으로 수행하며, 언더 샘플링의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A fir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 seco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 receiving unit for remov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serving as interference in a reception band due to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first transmitter, the second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And
And an intermodulation eliminator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Where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performs undermodulation of the intermodulation and removes interference of the under-sampling (alia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moves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의 출력에 대해 상기 결합부에서 발생한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moves an inter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combining unit with respect to outputs of the first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컴바이너, 필터, 스위치, 안테나, 커넥터, 및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un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combiner, a filter, a switch, an antenna, a connector, and a cab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는,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의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송신 전력 검출 모듈; 및
수신 대역에 대한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includes:
A transmission power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는,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의 송신 신호와 상기 결합부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아 송신 대역의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검출하는 송신 대역 상호 변조 검출 모듈; 및
상기 송신 대역의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토대로 수신 대역에 대한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includes:
A transmission band intermodula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a transmission band by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an output signal of the combining unit; And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for the reception band based on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발생기는, 상기 제 1 송신부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기 상호 변조, 상기 제 2 송신부의 출력 신호에 대한 상호 변조, 및 상기 제 1 송신부와 상기 제 2 송신부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odulation generator includes at least one of intermodul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intermodula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and intermodula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ing units is generat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부와 상기 제 2 송신부의 결합에 의한 상호 변조는, 상기 제 1 송신부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과 상기 제 1 송신부의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을 토대로 수신 대역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조합에 대한 상호 변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termodula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is performed based on the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intermodulation canceling unit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제거기는, 상기 결합부의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대역의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 및
상기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의 출력에 대해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odulation rejection unit comprises: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from the reception signal of the combining unit; And
And a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low noise amplification on the output of the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제거기는, 상기 결합부의 수신 신호로부터 저잡음 증폭을 수행하는 저잡음 증폭 모듈; 및
상기 저잡음 증폭 모듈의 출력에 대해 수신 대역의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대역 상호 변조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odulation rejection unit comprises: a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low noise amplification from a received signal of the coupling unit; And
And a reception band intermodulation rejection module for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band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low noise amplific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변조 제거기는, 등화기를 사용하여 비동기로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removes the intermodulation signal asynchronously using an equalizer.
제 1 송신부에서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단계;
제 2 송신부에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단계;
상기 제 1 송신부, 상기 제 2 송신부, 및 수신부를 결합하는 결합 단계; 및
상기 제 1 송신부 및 상기 제 2 송신부의 출력으로 인해 상기 수신부의 수신 대역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단계는,
상호 변조 발생기에서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상호 변조 발생 단계; 및
상호 변조 제거기에서 상기 상호 변조 신호를 제거하는 상호 변조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호 변조 발생 단계는, 상호 변조 발생을 언더 샘플링으로 수행하며, 언더 샘플링의 간섭(얼라이어싱)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상호 변조 제거 방법.
A first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 first signal at a first transmitting unit;
A second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 second signal at a second transmitting unit;
A combining step of combining the first transmitter, the second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And a receiving step of removing an intermodulation signal serving as an interference to a reception band of the receiver due to the output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Wherein the receiving step comprises:
An intermodul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in an intermodulation generator; And
And an intermodulation canceling step of removing the intermodulation signal from the intermodulation eliminator,
Wherein the intermodulation step comprises performing undermodulation with respect to intermodulation and eliminating interference due to undersampling.
삭제delete
KR1020180035486A 2018-03-27 2018-03-27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KR101924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86A KR101924229B1 (en) 2018-03-27 2018-03-27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86A KR101924229B1 (en) 2018-03-27 2018-03-27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229B1 true KR101924229B1 (en) 2018-11-30

Family

ID=6456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86A KR101924229B1 (en) 2018-03-27 2018-03-27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2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416B1 (en) * 2009-03-18 2015-07-17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tele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416B1 (en) * 2009-03-18 2015-07-17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tele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233B2 (en) Full duplex radio
US93378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10065408A1 (en) Mismatched delay based interference cancellation device and method
US9397396B2 (en) Radio system and a method for relaying packetized radio signals
US9768826B2 (e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transceiver, and communications device for transmit/receive shared antenna
US94557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independent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8036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50333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isol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ied frequency-isolatio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30016634A1 (en) Electronic duplexer
US11463174B1 (en) RF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ustin et al. Digital predistortion of power amplifier non-linearities for full-duplex transceivers
EP3145144B1 (en) Transmitter and interference eliminating method
KR101924229B1 (en) multiple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KR102023452B1 (en) analog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KR100582119B1 (en) Noise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Signal Cancellation Techniques
KR102023433B1 (en) intermodulation canceling device and its method
US2018017589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iayani et al. Active RF cancellation with closed-loop adaptation for improved isolation in full-duplex radios
JP4777168B2 (en) Wireless signal receiver
KR1015697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anceling Passive Intermodulation Signal
WO2016062576A2 (en) Full duplex radio
KR1009941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on of Outband Interference Signal
KR1021443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purious, and wideb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90766B1 (en) On-channel repeaters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