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92B1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92B1
KR101923592B1 KR1020180007541A KR20180007541A KR101923592B1 KR 101923592 B1 KR101923592 B1 KR 101923592B1 KR 1020180007541 A KR1020180007541 A KR 1020180007541A KR 20180007541 A KR20180007541 A KR 20180007541A KR 101923592 B1 KR101923592 B1 KR 10192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control
distance
processo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0300A (en
Inventor
윤용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92B1/en
Publication of KR2018001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가, 최적화 상태로 설정되는 안테나와, 안테나 효율을 최적화시킨 상태에서 전자파 흡수율 규격을 만족하는 거리별 송신전력 제어데이타로 구성되는 전력제어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제어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거리에 대응되는 전력제어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송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송신부의 출력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전력증폭기로 구성된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having an antenna set to an optimized state and a power control table composed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for each distance satisfying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ance standard in a state in which antenna efficiency is optimized; A controller for receiving distance data spaced from the sensor and outputting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with reference to the power control table; And a power amplifier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by the power control data and outputting the power to the antenna.

Figure R1020180007541
Figure R1020180007541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power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전자파 흡수율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user to satisfy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specification.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귀 및 입에 근접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런 경우, 통화시에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국은 전자파 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이하 SAR이라 칭함) 규격을 만들어 휴대단말기의 허용 가능한 전자파 발생을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SAR 규격은 지역마다 다른 밴드에서 다른 규격을 각각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유럽 밴드(예를들면 GSM900, DCS, W900, W2100 등)의 경우는 SAR 규격이 2.0W/kg(10g 평균)인데 반하여, 중남미 밴드(예를들면 GSM850, PCS, W850, W1900 등)의 경우는 SAR 규격이 1.6W/KG(1g 평균)으로 더욱 강화된 SAR 규격을 사용한다.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uses a handset near a user's ear and mouth. In this cas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time of a call may affect the health of the user, so each country defines a specific absorption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R) have. The SAR standard uses different standards in different bands for each region. For example, for European bands (eg GSM900, DCS, W900, W2100, etc.), SAR specifications are 2.0W / kg (10g average), while Latin and South American bands (eg GSM850, PCS, W850, ), The SAR standard is 1.6 W / KG (1 g average) and the SAR specification is further enhanced.

상기와 같은 SAR 규격을 만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안테나 성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런 경우, free space의 안테나 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경우에도 SAR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하여(fail 또는 마진 부족 등의 회피) 안테나의 성능을 최적화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글로벌(global) 동시 런칭(launching)을 하는 경우, 유럽향 안테나 성능으로 최적화하여 개발을 완료한 후 중남미 향 등의 휴대단말기를 진행하는 경우, 유럽향 대비 상대적으로 SAR 규격이 강한 중남미 밴드에서 SAR 규격을 만족(fail 또는 마진 부족등의 회피)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성능을 저하시켜야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SAR standar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ntenna performance has been used. In this case, even if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free space can be sufficiently enhan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can not be optimized in order to satisfy the SAR international standard (avoidance of fail or margin shortage). For example, in case of simultaneous global launching, i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is developed after optimizing to the European antenna performance, It may be necessary to lower the antenna performance so that the band meets the SAR standard (avoidance of fail or margin shortage).

그러므로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는 free space의 안테나 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경우에도 SAR 국제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없었으며, 이로인해 free space 송수신율까지 안테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인해 서로 다른 SAR 규격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유럽 향과 중남미 향 휴대단말기)의 안테나를 별도로 진행하는 경우, 개발지연, 안테나 신규코드 생성 및 관리유지 비용, 재고 비용등의 비효율적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Therefore, even when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free space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performance can not be optimized in order to satisfy the SAR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antenna performance is lowered to the free space transmission / reception ratio. This leads to inefficient costs such as development delays, new antenna code generation and management maintenance costs, and inventory costs, if antennas for mobile terminals (European and Latin American mobile terminals) using different SAR standards are separately operated Causing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무선통신기기의 free space시 최고의 안테나 성능을 가지면서, 휴대단말기 근접 사용시 전체 또는 특정 밴드의 안테나 총 방사전력(total radiated power: 이하 TRP라 칭함)을 낮출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센서(근접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휴대단말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SAR(human head SAR)에 구속되지 않고 free space 안테나 성능을 최대로 확보하여 송수신율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otal radiated pow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RP ") of a whole or a specific band when a portable terminal is used while having excellent antenna performance in a free spa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measured using the sensor (proximity senso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pow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free space Maximizes the antenna performance and optimiz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ati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가, 최적화 상태로 설정되는 안테나와, 안테나 효율을 최적화시킨 상태에서 전자파 흡수율 규격을 만족하는 거리별 송신전력 제어데이타로 구성되는 전력제어테이블을 구비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된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제어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거리에 대응되는 전력제어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송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력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송신부의 출력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전력증폭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et to an optimized state and a pow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control data for each distance satisfying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rate standard A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user; a distance control unit for receiving distance data spaced from the sensor and outputting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with reference to the power control table; And a power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antenna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he out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by the power control data and outputting the power to the antenn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방법은 안테나 효율을 최적화시킨 상태에서 전자파 흡수율 규격을 만족하는 거리별 송신전력 제어데이타로 구성되는 전력제어테이블을 구비하며, 센서로부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격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전력제어테이블에서 상기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전력제어데이타를 리드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제어데이타로 송신 신호의 전력 증폭을 제어하여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ow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ontrol table configured by distance-based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satisfying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ance specification in an antenna efficiency optimized st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ading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ower control table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ling power amplification of a transmission signal by the power control data And out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SAR(human head SAR)에 구속되지 않고 free space 안테나 성능을 최대로 확보하여 송수신율을 최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로인해 서로 다른 SAR 규격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예를들면 유럽 향 및 미주/중남미 향 휴대단말기)의 안테나를 동일자재로 적용 가능하게 하므로써, 휴대단말기의 개발기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maximize the free space antenna performanc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he SAR (human head SAR) and optimiz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atio.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ly antennas of different SAR standards (for example, mobile phones for Europe and the Americas / Central and South America) with the same material, thereby reducing the development period and cost of the portable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SAR를 제어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SA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whenever possible.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유럽밴드 및 중남미 향 휴대단말기의 밴드, SAR 규격 등에 대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bands, SAR specifications, and the lik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European band and the Central and South America are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안테나의 성능 최적화시키며, 센서(근접센서)를 구비하여 휴대단말기와 사용자의 간격을 확인한 후 SAR 규격을 만족하도록 송신신호의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최고의 안테나 성능을 가지면서 사용자와 휴대단말기의 거리에 따라 안테나의 TRP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SAR 규격을 능동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and includes a sensor (proximity sensor) to check the interval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and then controls the transmission signal power to satisfy the SAR standard.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TRP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while having the best antenna performance, and thereby, the SAR specification can be actively satisf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듀플렉서(duplexer)150은 안테나17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60에 전달하며, 전력증폭기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70을 통해 출력하는 RF신호의 송수신 분리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부160은 상기 듀플렉서16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RF변환 및 주파수 하강변환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60은 복조기 및 복호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수신부160은 기저대역의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1, a duplexer 150 transmits a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170 to a receiver 160, and performs a transmission / reception separation function of an RF signal for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lifier 140 through an antenna 170 . The receiving unit 160 RF-converts and down-convert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uplexer 160 into a baseband signal. The receiving unit 160 may include a demodulator and a decoder. 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demodulating and decoding a baseband signal.

센서120은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120은 근접센서가 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사물이 다른 사물에 접촉되기 이전에 근접하였는지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센서이다. 상기 근접 센서는 검출 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은 광학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 또는 초음파 근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120이 광학 근접센서인 경우, 상기 센서120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다. The sensor 120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The sensor 120 may be a proximity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is a sensor used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s proximate to another object. The proximity sensor can be classified into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a capacitance type, a magnetic type, a photoelectric type, and an ultrasonic type according to a detection principle. Here, the sensor 120 may use an optical proximity sensor or an ultrasonic proximity sensor. At this time, when the sensor 120 is an optical proximity sensor, the sensor 120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센서120은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두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형태의 감지부는 센서120에서 발광되는 광원을 수광부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서120의 발광부를 통해 발생되는 광원이 수광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 근접되었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수광부를 통해 광원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와 이격되었음을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두 번째 형태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광원을 수광부가 수신하는 경우, 발광시간과 수광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사용자와 휴대단말기의 거리를 계산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즉, 상기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수광부가 광원을 수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감지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며, 광원을 수광하는 경우에는 감지신호 및 발광과 수광신호의 차이를 계산하여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 데이터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가 거리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되지만, 첫 번째 형태의 감지부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120 may include a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two forms. The first type of sensing unit senses whether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from the sensor 120 is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In this case, when the light source genera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sensor 120 is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sensing unit generate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 to the user. If the sensing unit fails to receive the light source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nsor is spaced apart. 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time and the light receiving time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light source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at is, th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distance does not generate a sensing signal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fails to receive the light source, and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signal and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hen receiving the light source, Can be output toge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nsing unit includes the distance sensing function. Howev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first sensing unit.

메모리1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데이터 테이블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테이블을 구비한다. The memory 10 includes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data table for executing the program, and a dat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emory includes a power control tabl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120이 감지부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지부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160 및 수신부130이 모뎀 및 코덱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모뎀 및 코덱 구성을 구비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변복조 및 부호화/복호화하는 데이터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와 휴대단말기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이면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further include the sensing unit when the sensor 120 does not include a sensing unit. If the receiving unit 160 and the receiving unit 130 do not have a modem and a codec function, the control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ata processing unit for modulating and encoding / decoding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with the modem and the codec configuration. Also,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120 and generates a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within a set distance.

송신부130은 상기 제어부1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송화기, 외부 인터페이스 등에서 발생되는 송신신호를 주파수 상승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30은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기 및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130 performs frequency up conversion on the transmiss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100 or a transmitter, not shown, or an external interface. Here, the transmitter 130 may include a coder for coding a signal and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coded signal.

전력증폭기140은 상기 송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듀플렉서15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전력증폭기14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전력을 제어한다. The power amplifier 140 amplifies the powe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130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duplexer 150. At this time, the power amplifier 140 controls the power of a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130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전력제어테이블은 안테나 이득(antenna gain)이 최적화된 상태(즉, 안테나 효율이 최대로 설정된 상태)에서 SAR 규격을 만족할 수 있도록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최대 송신 전력이 33dBm이고, 안테나 최적화가 0dBi이며, SAR가 1.6W/kg이라고 가정하면, 최고의 안테나 성능을 가지면서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Tx power)를 가변시키므로, SAR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송신 전력만 제어하므로, SAR 규격을 만족하면서 수신 측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ower control table stored in the memory 110 is composed of data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so as to satisfy the SAR specification in a state where the antenna gain is optimized (i.e., the antenna efficiency is set to the maximum). Assuming tha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s 33dBm, the antenna optimization is 0dBi, and the SAR is 1.6W / kg, the transmission power (Tx power) varies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while having the best antenna performance. . In this case, since only the transmission pow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the receiving efficiency of the receiving side can be improved while satisfying the SAR standard.

먼저 제어부100은 시스템 초기화시(예를들면 전원 온), 단말기의 종류(예를들면 WCDMA850, WCDMA 1900 등)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따른 SAR 규격을 확인하며, 확인된 SAR 규격에 따른 전력제어테이블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제어 테이블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으며, 전력제어테이블은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단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써, 거리 데이터들 및 이에 대응되는 송신전력제어(Tx power control) 데이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type of the terminal (for example, WCDMA850, WCDMA 1900, etc.) at the time of system initialization (for example, power on), confirms the SAR specification according to the confirmed terminal type, The power control table is determined. Here, the power control table is stored in the memory 110, and the power control table is a look-up table stor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And Tx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hereto.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00은 센서120의 출력으로부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이격 거리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확인된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송신 전력제어데이타를 상기 메모리110의 전력제어테이블에서 확인한 후, 이를 상기 전력증폭기140에 전력제어데이타로 출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전력증폭기140은 상기 전력제어데이터에 의해 신호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송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In such a state,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from the output of the sensor 120. [ Then, the controller 100 checks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eparation distance in the power control table of the memory 110, and outputs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to the power amplifier 140 as power control data. In this case, the power amplifier 140 determines the signal transmission power based on the power control data, and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unit 130 with the determined transmission power.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센서120을 통해 통화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귀에 대고 통화하는 상태인지 확인한 후, 이런 상태이면 그 거리를 확인하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제어데이타는 전력증폭기140의 출력을 감지된 거리에 따라 SAR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크기로 낮추는 제어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안테나의 성능을 변경하지 않고 SAR 규격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신부160은 안테나가 최고의 성능을 가진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송신 전력이 낮추어지더라도 수신 전력은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로인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 방법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신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confirms whether the user is in a state of talking o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ar during a call through the sensor 120, and if so, checks the distance to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ignal. 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may be a control signal for lowering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140 to a size that can satisfy the SAR standard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Thus, without changing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 At this time, since the receiving unit 160 receives a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has the best performance, even if the transmission power is lowered, the received power is maintained as it is. Therefore,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trolling power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상기 센서120의 출력을 리드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120은 근접센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리드되는 센서120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human ear) 간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다. 이때 상기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감지부는 상기 센서12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센서120과 제어부100의 사이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전력제어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거리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지 않고 전력증폭기140의 최대 송신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크기로 상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가 이격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9단계에서 상기 전력증폭기140이 최대 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전력 증폭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부13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는 상기 전력증폭기140에서 최대 송신전력으로 증폭된 후 듀플렉서150을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듀플렉서15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60을 통해 처리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00 reads the output of the sensor 120 in step 211. Here, the sensor 120 may be a proximity sensor. The controller 100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human ear from the output of the sensor 120 to be read.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for calculating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120, between the sensor 120 and the control unit 100, or may be formed inside the control unit 100. In step 213, the controller 100 refers to the power control table of the memory 110 to check whether the sensed distan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set distance may refer to a reference distance at which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a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power amplifier 140 without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power amplifier 140 to transmit power control data for amplifying a signal at a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step 219 Output. Then,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er 130 is amplified to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the power amplifier 140, and then output through the duplexer 150.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uplexer 150 is processed through a receiver 160.

그러나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사용자의 이격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110의 전력제어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감지된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전력제어데이타를 리드하며, 217단계에서 상기 리드된 전력제어데이터를 상기 전력증폭기14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력제어데이타는 안테나 성능이 최적화된 상태에서 SAR 규격을 만족하도록 송신 전력을 낮추는 데이터이다. 이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귀에 접촉된 상태 또는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전력 제어가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제어부100은 상기 SAR 규격을 만족하도록 송신전력을 낮추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송신 전력을 낮추면서 SAR 규격을 만족시키므로써, 수신되는 신호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3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is within a set distance, the controller 100 refers to the power control table of the memory 110 in step 215 and transmits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sensed distance, And outputs the read power control data to the power amplifier 140 in step 217. 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data is data for lowering the transmission power so that the antenna performance is optimized and the SAR specification is satisfied. This may be power control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user's ea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o lower the transmission power so as to satisfy the SAR standard. At this time, by satisfying the SAR specification while lowering the transmission power, the received signal is not affected.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및 무선 통신 기기를 근접 통화시(free space 시) 안테나 성능을 최적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와 휴대단말기의 근접 상태에 따라 송신 전력을 낮추는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SAR 규격을 만족시키면서 송수신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proximity state between the u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while optimizing the antenna performance at the time of free space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별 전력 제어 데이터로 구성된 전력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안테나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제어 테이블로부터 상기 거리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력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력을 조정하여 제2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거리가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되면, 상기 제2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감소 또는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전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A memory for storing a power control table configured by power control data for each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antenna,
The processor comprising:
Receiving a received signal through the antenna,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first power,
Acquiring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ower control table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distance, adjusting the first power based on the obtained power control data to generate a second power,
When the distance is detected within a specific range,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using the second powe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econd power as the distance decreases or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센서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comprises a proximity senso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he proximity sensor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전력 제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 테이블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selects the power control table from a plurality of power control tables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1 전력 제어 테이블 및 제2 전력 제어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1 국가 또는 제1 지역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2 국가 또는 제2 지역에 대응하는 제2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tables include a first power control table and a second power control table, wherein the first power control table includes first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country or a first region,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table includes second transmit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second country or a second reg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 또는 지역의 SAR(Specific Absorption Rate) 표준을 만족하는 전력을 상기 제2 전력으로서 선택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selects as the second power a power that meets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standard of the country or regio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first power or the second pow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상기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using the first power if the distance is not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과는 상이한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antenna using a received power different from the first power or the second pow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수신 효율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maintains reception efficiency while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콜 모드에서 상기 거리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o sense the distance in a call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전자 장치에 있어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별 전력 제어 데이터로 구성된 전력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안테나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결정됨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거리가 제1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되면, 상기 전력 제어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1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된 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력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제1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상기 거리가 제2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되면, 상기 전력 제어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2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된 거리에 대응하는 제2 전력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제2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제1 송신 전력 및 제2 송신 전력 중 해당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감소 또는 증가함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transmission power;
A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A memory for storing a power control table configured by power control data for each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antenna,
The processor comprising:
If the distance is detected to be within the first specified range,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distance being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ensed within the first specified range obtained from the power control table Adjusts the transmission power to the first transmission power,
Adjusts the transmission power to a second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second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distance sensed within the second specific range obtained from the power control table when the distance is detected within a second specific range,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the antenna using the adjusted first transmission power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we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creases or increases the transmit power as the distance decreases or increa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전력과는 상이한 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전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receives a reception signal via the antenna using a reception power different from the transmission pow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수신 효율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maintains reception efficiency while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복수의 전력 제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 테이블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selects the power control table from a plurality of power control tables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1 전력 제어 테이블 및 제2 전력 제어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1 지역 또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제어 테이블은 제2 지역 또는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tables include a first power control table and a second power control table, wherein the first power control table includes first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first region or a first region,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table includes seco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or the second region.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역 또는 영역의 SAR 표준을 만족하는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으로서 선택하는 전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selects, as the transmission power, a power satisfying a SAR standard of an area or an area where the electronic device is located.
제12항에 있어서,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된 제1 송신 전력 및 제2 송신 전력 중 해당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증폭하도록 상기 증폭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amplifie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amplifier to amplify the signal using the adjusted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transmission power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ow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특정 범위 이내로 감지되지 않으면, 조정되지 않은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자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ransmits the signal via the antenna using the unadjusted transmit power if the distance is not detected within a certain range.
KR1020180007541A 2018-01-22 2018-01-2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KR101923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41A KR101923592B1 (en) 2018-01-22 2018-01-2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41A KR101923592B1 (en) 2018-01-22 2018-01-2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738A Division KR20170037924A (en) 2017-03-27 2017-03-2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00A KR20180010300A (en) 2018-01-30
KR101923592B1 true KR101923592B1 (en) 2018-11-29

Family

ID=6107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41A KR101923592B1 (en) 2018-01-22 2018-01-22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6168B2 (en) * 2019-01-03 2020-11-03 Apple Inc. Radio frequency remote head front-end circuitry systems and methods
KR20210035639A (en) 2019-09-24 2021-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module supporting function of sensing distan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10990A (en) * 2021-02-0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mmunication module
WO2024053843A1 (en)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tas control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4761A1 (en) * 2001-09-28 2003-04-0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AR values
KR100770854B1 (en) * 2000-11-13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54B1 (en) * 2000-11-13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US20030064761A1 (en) * 2001-09-28 2003-04-0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AR val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00A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2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KR10192359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US9438293B2 (en) Tunable circuit elements for dynamic, per element power
EP3026821B1 (en) An apparatus for intelligently reducing a specific absorbtion rate, a protective case and a terminal
US6980772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635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adio frequency efficiency deterioration according to changing antenna's impedance in mobile terminal
US7970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improving call connection
JP2009065307A (en) Radio apparatus
KR2017003792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mobile telephone
CN102833884A (en) Dual-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11009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adaptive antenna mat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95725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612495B (en) Power supply method, device,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of power amplifier
EP42076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by electronic device, path of transmission signal
KR1017298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V mirroring
JP3667163B2 (en) Mobile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7961641B1 (en) Initial ranging power control algorithm for WiMAX mobile stations
CN107295634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20120067095A (en) Terminalt unit with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signal the proximity sensor
TWI428835B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KR100650692B1 (en) Transmiss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mperature compensat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2007028327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tenna selecting method
US20120034883A1 (en) Wireless transceiver
KR200900079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of receive sensitivity in mobile phone
KR2005008067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r with transmitted radio w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