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897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897B1
KR101922897B1 KR1020160157945A KR20160157945A KR101922897B1 KR 101922897 B1 KR101922897 B1 KR 101922897B1 KR 1020160157945 A KR1020160157945 A KR 1020160157945A KR 20160157945 A KR20160157945 A KR 20160157945A KR 101922897 B1 KR101922897 B1 KR 10192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wireless charging
charging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8958A (en
Inventor
예석우
김정현
박민경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897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충전 대상체를 충전할 수 있는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 상기 충전 대상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 입력 시, 운전자가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시동 감지부가 시동 오프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coil par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capable of charging a charging object; A current sensing unit sens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 off, a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detected, an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left unattended; And an informing unit for allow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e neglected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negating state signal of the charging object is input by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omprises: ), Charging the object to be charged to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ransmitting a start-off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start-up of the vehicle is of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include the steps of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ging object; And notifying the driver of the remaining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대상체를 두고 내리거나 또는 설정 시간 이상 방치하는 경우 알림부에 의해 알람 등의 경고음을 발생하여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when a charging object to be charged is plac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disposed inside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 PDA, PMP, MP3 및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하면서 사용함에 따라 상용 전원을 직접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2차 전지) 등을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In gener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MPs, MP3s, and notebooks can be directly used with commercial power as they are used while moving. Therefore, they are equipped with rechargeable batteries (rechargeable batteries) .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차량 내에서 충전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콘솔 어셈블리에 구비된 USB 포트, 시거잭 단자 등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 전용 플러그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충전 전용 플러그의 단자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In order to charge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a charge exclusive plu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USB port and a cigar jack terminal provided in a console assembly of a vehicle so that the terminal of the charge exclusive plug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connecting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the battery is charged.

그러나, 충전 전용 플러그는 USB 포트, 시거잭 단자 등과 휴대용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통상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긴 선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 전용 플러그를 이용하여 USB 포트, 시거잭 단자를 연결하는 경우, 선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the charge-only plug is formed by a long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USB port, the cigar jack terminal, and the like. Thus, When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he lines are not properly arranged, which causes a problem in appearance.

또한, 충전 전용 플러그를 USB 포트, 시거잭 단자 등에 직접 연결해야 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와도 직접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이와 같은 연결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안전 운전에 악영향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it is troublesome to directly connect a charging exclusive plug to a USB port, a cigar jack terminal, and also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specially, when the driver performs such connection operation while driv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provided.

이에, 최근에는 차량 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충전 대상체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 charging object such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in a vehicle has been provided.

그러나,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대상체를 그대로 올려 놓고 내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는 다시 주차된 차량으로 돌아가서 충전 대상체를 챙겨야 하는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puts the charging target object to be charg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vehicle as it is. In this case,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must return to the parked vehicle to pick up the charging object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또한, 차량 내의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를 그대로 올려 놓고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시 전원의 공급으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vehicle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uses the battery of the vehicle to be discharged due to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for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136424호(2015.12.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136424 (Fe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를 올려 두고 하차하는 경우, 알림부에 의해 알람 등의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에 방치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driver,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object from being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such as an alarm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시동을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하차하지 않고, 차량 내부에 설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도 설정 시간 이후에 알림부에 의해 알람 등의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에 방치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to prevent the charging object from being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generating a warning soun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상태에서 설정 시간 이상 방치됨을 예방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시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reventing a charging object from being left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ft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for more than a set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an stop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and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충전 대상체를 충전할 수 있는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 상기 충전 대상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 입력 시, 운전자가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상기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 상기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 coil par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capable of charging a charging object; A current sensing unit sens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 off, a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detected, an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left unattended; And a notification unit for allow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e left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control unit inputs the left state signal of the charging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so that when the set time elapses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in the closed state and the starting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Can be input.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is in the off-state, the control unit can input the state of staying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to the notification unit.

여기서, 상기 알림부의 작동 이후에,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의 유무에 대한 감지를 중단하여 대기 상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Here, after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stop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stop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arging object, and enter the standby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리면, 상기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in the standby state and may input the unoccupied state signal of the charging object to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물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물체가 도전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supplies or blocks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an object. When the sensing object is sensed, the controller generates a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conductive or no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물체가 도전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전체에서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a chargeable charging object when the sensed object is determined to be a conductive part, Detect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nductor is a chargeable chargeable objec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 중에도,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전체에서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계속해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sensed conductor is determined to be a charging object capable of being charged, and to periodicall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during charging of the charging object And a current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reflected by the conductor is detect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to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 conductor is a chargeable chargeable object.

여기서, 상기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신호는, 미리 설정된 패턴일 수 있다.Here, the signal for sensing the chargeable charging object may be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점등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경고음 발생부 또는 충전 대상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ny one of a display unit illuminat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or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or a charging object generated in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시동 감지부가 시동 오프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C)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charging a vehicle to which a charging object is loaded,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turned on; (B) when the start-up of the vehicle is off, the start-up detecting unit transmits a start-off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ging object; And (D) when the charging object has been sense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ctivate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여기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고, 차량 도어가 열리면, 도어 감지부가 도어 열림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C),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and the vehicle door is opened, the door sensing unit transmits a door opening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notifying unit operates to notify the driver of the neglected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그리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알림부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어 작동될 수 있다.In the step (D),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repeatedly operated at a set time interval.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step (D), (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maintain the standby state.

또한, 상기 (E) 단계 이후에, (e1)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도어 감지부는 도어 열림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e2)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 (e3)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및 (e4)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면,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E), (e1)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door sensing unit transmits a door opening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e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leasing the standby state; (e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ging object; And (e4)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the notification unit operates to inform the driver of the neglected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c1)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c2)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물체를 감지하면,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c3) 상기 물체가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의해 가변된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c4)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수신한 응답 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신호인 경우, 상기 충전 대상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nsing the charging object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c1) transmitting the analog signal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2)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enses an object by the analog signal; (c3) transmitting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sponse signal variable by the digital signal from which the object is received; And (c4) i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object exist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내에 구비된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를 올려 두고 하차하는 경우, 알람 등의 경고음이 발생됨으로써 충전 대상체가 무선 충전 장치에 방치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puts the charging object o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vehicle, a warning sound such as an alarm is generat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시동을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하차하지 않고, 차량 내부에 설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도 설정 시간 이후에 알람 등의 경고음이 발생됨으로써,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에 방치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does not get off in the state that the starting is off, An alarm sound such as an alarm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object from being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상태에서 설정 시간 이상 방치됨이 예방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차량 배터리의 방전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charging object is prevented from being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re than the set time in the state where the charging object is loaded,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is cut off and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수납 공간에 장착된 관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서 코일이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신호의 송출에 의해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mounted in a storage space of a vehicle. Fig.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inciple by which a coil generates a magnetic induction current in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5A and FIG. 5B are graphs showing waveforms of a signal for detecting a charged object by the transmission of a signal from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a charging object by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8 and 9 are flowcharts sequentially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respective drawing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수납 공간에 장착된 관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mounted in a storage space of a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 박스(10) 주변, 또는 콘솔 박스(10)와 기어 박스 사이의 수납 공간(20), 또는 기어 박스의 전면 측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 등에 배치될 수 있다.1 to 3,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hat can be applied to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le box 10 around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inside a vehicle, Or a storage space 20 between the console box 10 and the gear box, or a storage spac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ear box.

이 경우, 이동전화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즉, 충전 대상체가 주행에 따른 관성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일정 크기만큼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 공간(2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that is, a charging object may be disposed under the storage space 20 formed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size so as not to flow due to inertia due to traveling.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수납 공간(20)에 안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면에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패드(미도시됨)를 덮음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1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패드 상부에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대상체를 올려 놓음으로써,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By covering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with a pad (not shown) such as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while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s seated in the storage space 20, The charging object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harging objec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harging object to be charged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상기한 콘솔 박스의 수납 공간 이외에도 대시 보드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형성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storage space for a console box, a storage space for a dashboard, an instrument panel, .

따라서, 충전 대상체를 일정 크기의 수납 공간에 올려 놓기만 하면, 수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술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refore, if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in a storage space of a certain size, the battery of the charging object can be charge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technical explan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커버(200), 코일부(300), 적어도 하나의 기판(500) 및 방열 하우징(6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o 3,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cover 200, a coil portion 300, at least one A substrate 500, and a heat-dissipating housing 600.

커버(200)는, 충전 대상체가 직접 맞닿아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서, 최 상부에 배치되며, 방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ver 200 may be made of a composite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which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n which the object to be charged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and brought into contact therewith.

이러한 커버(200)는, 상부면(202)이 평평한 면을 이루며, 이 상부면(202)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될 수 있다.In this cover 200, the upper surface 202 forms a flat surface, and the charging object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202.

코일부(300)는,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 유도, 자기 공명 등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커버(200) 상부면(202)에 놓여진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The coil portion 300 can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magnetic induction, magnetic resonance or the like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vehicle battery. Therefore, the battery of the charging object placed on the upper surface 202 of the cover 200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il part 300 can be supplied power wireless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코일부가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코일부(300)가 자기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magnetic induction current by a coil portion in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principle of generating the magnetic induction curr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코일부(300)는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코일(310)과,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코일(320)로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coil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coil 310 performing a transmitting function and a second coil 320 performing a receiving function.

따라서, 차량용 배터리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제1 코일(310)에 공급되면, 제1 코일(310)에는 전류가 흐르면서 자계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자계는 제2 코일(320)로 인가되며, 제2 코일(320)은 인가된 자계에 의해 자기 유도된 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il 310 from the power source, which is a vehicle battery,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310 to form a magnetic field. The magnetic field thus formed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320, 2 coil 320 generates a magnetically induced current by an applied magnetic field.

이와 같이 제2 코일(320)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충전 대상체의 PMIC(Power module IC)를 통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us,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second coil 320 can be charged through the PMIC (Power Module IC) of the charging object.

이 때,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로부터 전력 전송에 관한 파라미터(Parameter)들을 수신하고 이를 통해 송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can receive parameters related to power transmission from the chargeable charging object and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the parameters.

기판(500)은, 코일부(300)의 하부 쪽에 배치되어 코일부(300)의 무선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과, 차량용 배터리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코일부(300)에 공급하는 기능과, 차량의 ECU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및/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100)와 관련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bstrate 500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of the coil part 30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il part 300 and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coil part 300 afte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part,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rela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by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and / or a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the ECU of the vehicle and the like.

여기서, 기판(500)은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코일부(300)에 공급하는 기능과 차량의 ECU와 CAN 및/또는 LIN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와 관련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 기판(510)과,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코일(300)의 무선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제2 기판(520)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500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and supplying it to the coil part 300, and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by performing CAN and / or LIN communication with the ECU of the vehicle And a second substrate 52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of the coil 300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charging object.

이와 같이, 기판(500)이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경우, 제1 기판(510)은 코일부(300)에 전력을 공급함은 물론 충전 대상체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과, 시동을 켤 때 주파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충전 대상체에 대한 무선충전 전력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기능과,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100)에 둔 상태에서 시동을 끄고 차량 밖으로 나간 경우 등에 알람 등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능 등, 무선 충전 장치(100)와 관련된 차량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ubstrate 5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strate 510 supplies power to the coil part 300, A function of temporarily stopping the supply of the wireless charging power to the charging object in order to exclude the frequency interference when turning on the power supply, a function of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while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function of the vehicle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uch as a function of generating a warning sound such as an alarm when leaving the vehicle.

한편, 제2 기판(520)은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부(300)의 무선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power of the coil unit 300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charging object.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 이의 신호를 제1 기판(510)에 구비될 수 있는 제어부에 송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가 설정 온도 이하로 되기까지 일시적으로 무선 충전이 중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s over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signal of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a control unit that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bstrate 51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stopping the wireless charging.

특히, 무선 충전 장치(100)에 놓여지는 각종 충전 대상체들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감지하여 제어부와 SPI 통신을 통해, 충전 대상체들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objects through SPI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by sensing th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various charging objects plac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기판(500)이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경우, 제1 기판(510) 또는 제2 기판(520)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양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530)가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e substrate 500 is divided into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A connector 530 may be disposed on one of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510 and 520 to each other.

따라서,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은 커넥터(5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에 의해 상호 제어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은 유선 등에 의해 전원 포트(540)와 전기적으로 모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or 530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through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ort 540 by wire or the like.

이 경우, 제1 기판(510)의 제어부와, 제2 기판(520)의 무선 컨트롤러가 커넥터(5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SPI 통신에 의해 상호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wireless controller of the second substrate 5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530, so that mutual control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SPI communication.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기판(500)이 제1 기판(510)과 제2 기판(520)으로 구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기판을 제공하여 상기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to which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case where the substrate 500 is divided into the first substrate 510 and the second substrate 520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ne substrate may be provided to perform all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한편, 방열 하우징(600)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방열 성능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housing 600 may be formed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material, which is disposed under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00 and has excell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이러한 방열 하우징(600)은, 내부에 코일(300) 및 기판(500)이 수용되며, 코일(300) 및 기판(5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housing 600 includes a coil 300 and a substrate 500 therein and is capable of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coil 300 and the substrate 500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상태가 되면, 별도의 전기적 연결 없이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무선 충전이 가능한 충전 대상체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식별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or a vehicle, to which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n identification step for confirming whether the object to be charged is a wireless charging object.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이동전화 단말기, PDA, PMP, MP3 및 노트북과 같은 충전 대상체가 아닌 다른 물건 등이 올려진 경우에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전류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For example, when an object other than a charging object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PDA, a PMP, an MP3, and a notebook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oes not need to generate a current.

특히, 동전이나 클립, 또는 음료수 캔 등과 같이 금속재질의 물건이 올려진 경우에 무선 충전 장치가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는 경우, 이는 오작동에 따른 과열로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충전 대상체가 올바르게 올려진 상태임을 식별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a wireless charging device generates a current when a metal object such as a coin, a clip, or a drink can is raised, this causes a failure due to overheating due to a malfunction,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correctly raised state.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 PDA, PMP, MP3 및 노트북과 같은 충전 대상체와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고유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에 맞는 전력을 송신하여 원활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proper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to a charging object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PDA, a PMP, an MP3, and a notebook, It is preferable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경우,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호 간에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충전 대상체의 고유 특성을 식별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한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충전 대상체의 식별 단계를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f the charging object is detected to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fte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 th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only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The identification step of the charging objec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5B and 6.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신호의 송출에 의해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5A and FIG. 5B are graphs showing a waveform of a signal for detecting a charged object by the signal transmission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FIG. 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a charging object by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이 온(On)되어 무선 충전 장치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코일부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송출한다.5A, 5B, and 6,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turned on and current is suppli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coil portion transmits an analog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portion.

즉, 제어부는 코일부의 전류를 조절하여 충전 대상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후술되는 전류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충전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of the coil uni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the charging object, and can sense the charging object through the current flowing in the current sens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제어부는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물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supply or block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the object.

이 때,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어떠한 물체도 놓여지지 않은 경우, 도 5a의 제1 영역에서와 같이, 송출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반사 신호인 제1 응답신호의 세기가 미약하므로, 이 경우에 제어부는 충전 대상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함으로써, 전류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when no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s in the first area of FIG. 5A, the intensity of the first response signal, which is a reflection signal by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s weak. The electric current is not generated by recognizing that the object to be charged does not exist.

반면에,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어떠한 물체가 놓여진 경우, 도 5a의 제1영역과 제2 영역의 사이에서와 같이, 송출된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반사 신호인 제2 응답신호 세기가 변하게 되므로, 이 때 제어부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strength of the second response signal, which is a reflection signal by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varies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FIG.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object exists.

이와 같이, 제어부가 물체의 존재를 판단하게 되면, 도 5a의 제2 영역 및 도 5b에서와 같이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여 물체의 응답 신호에 따라 물체가 도전체인지 여부를 감지한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bject exists, the controller transmits a digital signal as shown in FIG. 5A and the second area of FIG. 5A, and detects whether the object is a conductive object according to a response signal of the object.

예를 들어,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물체가 도전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an object is detected, a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conductive change.

계속해서, 제어부는 감지된 물체가 도전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도전체에서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object is a conductive object,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uni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the chargeable object to be charged, and generates a current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conductive obj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ductive object can be changed to a chargeable object which is detect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놓여진 도전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고유 패턴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ireless charging can be started when a response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ceived from a conductor placed on top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동전이나 음료수 캔 등과 같이 충전 대상체가 아닌 다른 물체가 놓여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출하여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하게 되면, 무선 충전 장치는 다시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여 응답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게 된다.For example, an object other than the object to be charged such as a coin or a drink can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is case, i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ends an analog signal and detects that an object exists, The digital signal is transmitted again to wait for 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signal.

그런데,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놓여진 물체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입력되어 있는 충전 대상체가 아닌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무선 충전을 개시하지 않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object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not a charging object input in the predetermined pattern as described above, the response signal of the preset pattern is not received, so that the control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s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started.

반면에,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놓여진 물체가 무선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패턴의 신호로 입력되어 있는 충전 대상체인 경우, 충전 대상체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매칭되는 충전 조건을 설정한 후, 코일부에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무선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 charging object which is inputted with a signal of a pattern preset to be wirelessly chargeabl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esponse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from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pattern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set the charging condition matched with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then start the wireless charging by generating a current in the coil portion.

여기서, 충전 대상체로부터 수신되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로는, 디지털 신호의 세기, 충전 대상체의 버전 정보 및 제조사 등에 대한 정보, 충전 대상체의 배터리 등급 및 용량 등일 수 있다.Here, the respons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received from the charging object may be the intensity of the digital signal, the vers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er, etc., the battery grade and capacity of the charging object, and the like.

또한, 충전 대상체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의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전 대상체와 무선 통신 장치는 후방 굴절(Back Scatter)을 이용한 단방향 통신에 의해 지속적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urse of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of a predetermined pattern from the charging object from the controll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he charging objec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 and receive continuous information by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back scatter can do.

예를 들어, 현재 충전 대상체로 충전되고 있는 전력 상태에 대한 정보, 무선 충전 장치가 송신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 충전 대상체에 충전된 전력량 수준에 대한 정보 및 전력 전송 중단 요청에 대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e being charged to the current charging object,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power charged to the charging object, As shown in FIG.

한편, 감지된 물체가 충전 대상체로 판단되어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감지부는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계속해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a state where the sensed object is determined as a charging object and the charging object is charged, the sensing unit periodically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ortion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the chargeable charging object, The current sensing unit may detect the curr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chargeable charge object.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는 앞서 설명한 기판들에 구비된 제어부를 비롯한 각종 부품들에 의해 충전 대상체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an perform various controls by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signals to / from the charging object by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above-described substrates.

특히,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놓여진 상태로 하차하거나, 또는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이의 상태를 알람 등의 경보음 발생으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또한 차량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Particularly, when a charging object is placed in a wireless charging device or 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or left for a long time, the status of the charging object is recognized by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by the occurrence of an alarm sound such as an alarm,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trol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Hereinafter,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8 and FI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유도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부와, 충전 대상체와 각종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7,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which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coil part that generates a current by magnetic indu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sensing unit for sens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unit.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부, 도어 감지부 및 시동 감지부와 회로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door sensing unit, and a startup sensing unit.

전원부는 차량용 배터리일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코일부가 자기유도에 의한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충전 대상체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battery for a vehicle,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generate a current by magnetic induction by the coil unit, thereby charging the charging target object wirelessly.

도어 감지부는, 운전자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Off)시킨 경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여 이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The door sensing unit sens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ignition while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예를 들어, 운전자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시키고, 도어를 열게 되면, 이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 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알림부에 의해 충전 대상체가 방치되었음을 알리는 경고음 등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음은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로 신호를 송신하여 충전 대상체가 알람 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으로 신호를 송신하여 차량 자체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ignition while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top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is signal is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left unattended. In this case, the beeping sound may caus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harging object so that the charging object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by an alarm or the lik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vehicle to generate a warning sound.

이 때, 차량의 계기판에는 경고음과 함께 충전 대상체가 방치되고 있음을 안내하는 문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warning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o notify that the charging object is left unattended.

즉, 알림부는 차량의 계기판에 점등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경고음 발생부 또는 충전 대상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at is,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ny one of a display unit illuminated on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or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or a charging object generated in the vehicle.

또한, 시동 감지부는, 운전자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Off)시킨 경우, 이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충전 장치로 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turns off the ignition while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startup sensing portion can sense the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8을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되고,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인식하게 되면, 충전 대상체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ognizes the charging object, the charging object is wirelessly charged.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한 충전 대상체의 무선 충전 과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wireless charging process of the charging object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 대상체가 무선 충전되고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충전 대상체에 대한 무선 충전이 완충되어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를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을 주,정차시키기 위하여 시동을 오프(Off)시키게 되면, 시동 감지부는 시동이 오프되었음을 감지하여 이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하게 된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object is being charge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when the wireless charging for the charging object is fully buffered and the electric current for wireless charging is no longer supplied, Off, the start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start is off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감지부로부터 시동 오프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져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eives the start-off signal from the startup detecto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s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on the upper side.

이 때, 무선 충전 장치가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져 있는지를 감지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의 송출과, 디지털 신호의 송출에 따른 미리 설정된 패턴의 응답 신호의 수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analog signal and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digital signal, A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also be omitted.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상태로 방치되어 설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이 신호를 충전 대상체에 송신하여 충전 대상체로 하여금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여 차량 자체적으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set time elap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the signal to the charging object to cause the charging objec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o cause the vehicle itself to generate a warning sound.

따라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를 설정 시간 이상 올려놓고 방치하게 되면, 충전 대상체 또는 차량의 경고음 발생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방치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turns off the vehicle and leaves the charging objec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more than the set time,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warning sound of the charging object or the vehicle It can be recognized.

여기서, 차량 시동을 오프시키고,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 장치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설정 시간 경과 이전에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시 전원에 의해 충전 대상체를 계속해서 충전시킬 수 있다.Here,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start is turned off and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continuously charged by the constant power source.

그러나,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 충전 대상체 또는 차량이 경고음을 발생시킨 이후에는, 무선 충전 장치로 대기 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더 이상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the charging object or the vehicle has generated a warning s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no longer performed.

반면에,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올려져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던 충전 대상체를 휴대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충전 대상체가 없음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같이 판단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carries the object to be charged, which is carried o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hile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to be charg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ject, and if s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be converted to the standby state.

한편,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어 시동 감지부가 시동이 오프되었음을 감지한 후, 이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져 있음을 감지한 상태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 감지부는 도어의 열림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start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start is turned off,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eives the startup off signal and detects that the charging object In this state,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opens the door, the door sensing unit transmits the opening signal of the doo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는 이 신호를 충전 대상체에 송신하여 충전 대상체로 하여금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여 차량 자체적으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transmit the signal to the charging object to cause the charging object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r may transmit the signal to the vehicle so that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by the vehicle itself.

따라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 시동을 오프시키고, 도어를 연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져 방치된 경우, 충전 대상체 또는 차량의 경고음 발생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방치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는 이동전화 단말기 등의 충전 대상체를 차량에 방치하고 하차하는 경우가 예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turns off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ile the door is opened,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warning sound of the charging object or the vehicle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the charging object such as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the vehicle and getting off.

한편,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열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차량 실내에 머무르는 경우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may stay in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opening the door with the ignition turned off.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채로 방치되다가 설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킨 후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로 변환되어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set time elapse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onverted into the standby state after generating the alarm sound to prevent the current for wireless charging from being generated. There is a bar.

이와 같이 경고음 발생 후,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이유는,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가 계속해서 충전 대상체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류 발생에 따라 전원부인 차량용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for wirelessly charg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fter the set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warning sound is that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ntinues to charge the charging object in the state in which the startup is off, This is to prevent the vehicle battery from being discharged.

그런데, 이의 경우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시동을 오프시키고, 차량 실내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충전 대상체가 무선 충전 장치에 방치된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방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turns off the engine, rests in the vehicle interior, and may not recognize the warning sound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e.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진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경우, 설정 시간 경과 후에 알림부에 의해 경고음 등이 발생되도록 하고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로 되어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한바 있다.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on the charging device, a warning sound or the like is generated by the notification unit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 a standby state to generate a current for wireless charging I do not know.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즉,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방치된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 발생을 통해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방치하고 있는 경우, 또는 이 상태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도어를 여는 경우, 알림부에 의해 경고음 등이 다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대상체의 방치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bove case, that is,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does not recognize it and continues to leave through the generation of the warning sound for notify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the charging object is left unattended, or when the occupant When the door is opened, a warning sound or the like is generated again by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charging obje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ft unattended.

도 9를 참조하면, 알림부의 작동에 의한 경고음 발생 후,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로 되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fter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put in a standby state and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이 상태에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의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 감지부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김지하고, 이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the door detection unit can grasp the door in the opened stat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는 도어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충전전 장치는 대기 상태가 해제되고, 무선 충전 장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올려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door sensing uni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released from the standby state,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ging object is load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의 상부에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무선 충전 장치는 다시 대기 상태로 변환되고, 반대로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 장치가 이 신호를 충전 대상체에 송신하여 충전 대상체로 하여금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신호를 차량에 송신하여 차량 자체적으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Her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not dete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gain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On the contrary,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ransmits this signal to the charging object, To cause a warning sound to be generated or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vehicle so that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by the vehicle itself.

한편, 도 9를 다시 한 번 참조하면, 경고음 발생 후,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에서, 설정 시간 간격으로 경고음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들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계속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9, after the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iodically generates a warning sound at a set time interval in the standby state, thereby allowing the occupants including the driver to continuously recognize the state of neglect of the charging object .

즉, 설정 시간 경과시마다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가 해제되어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알림부의 작동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경고음 발생 후에는 다시 대기 상태로 변환되는 사이클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That is, every time the set time elapse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released from the standby state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periodically generate a warning sound by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sec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 시동을 장시간 오프시키거나 또는 차량 시동 오프 후 도어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방치되는 경우, 알림부의 작동에 의해 경고음 발생 등으로 이를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s the charging target object and the vehicle is turned off for a long tim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left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 warning sound by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따라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차량에 이동전화 단말기 등의 충전 대상체를 두고 내림에 따라 다시 찾기 위하여 차량으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대상체를 상시 전원에 의해 계속 충전시킴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occupant, including the driver, has to go to the vehicle to search again as the charging object such as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placed on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in the o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by continuously charging the object by the power supply at all time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무선 충전 장치 200 : 커버
202 : 커버 상부면 300 : 코일
310 : 제1 코일 320 : 제2 코일
500 : 기판 510 : 제1 기판
520 : 제2 기판 600 : 방열 하우징
100: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over
202: cover upper surface 300: coil
310: first coil 320: second coil
500: substrate 510: first substrate
520: second substrate 600: heat dissipation housing

Claims (15)

충전 대상체를 충전할 수 있는 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 상기 충전 대상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 입력 시, 운전자가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상기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고, 상기 차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여 물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물체가 도전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A coil par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capable of charging the object to be charged;
A current sensing unit sens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n / off, a vehicl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detected, and whether the charging object is left unattended; And
And an informing unit for allow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e neglected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when the negating state signal of the charging object is input by the control unit,
Wherein,
Generating a sensing signal of the charging object by adjusting a current of the coil part,
Sensing the charging object through a current flowing in the current sensing unit,
Wherein when the starting time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set time has elapsed while the vehicle door is closed,
Generating a sensing signal of an object by periodically supplying or block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ortion,
Wherein the current sensing unit detects a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sens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a conductive or n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inputs the state of the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to the notifica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의 작동 이후에,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의 유무에 대한 감지를 중단하여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unit,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tops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stops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arging object, and enters a standby st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 열리면,
상기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림부에 상기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 신호를 입력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arging target object and inputs a remaining state signal of the charging target object to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charging target object is sens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물체가 도전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전체에서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object is a conductive one,
Generating a sensing signal of a chargeable charging object by periodically chang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ortion,
Wherein the current sensing unit detects a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conducto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ductor is a chargeable chargeable obj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충전 대상체에 대한 충전 중에도, 상기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전체에서 반사되는 자기력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도전체가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인지 여부를 계속해서 판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conductor is a chargeable chargeable object,
The charging object is charged,
Wherein 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chang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art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f a chargeable charging object even during charging of the charging object,
Wherein the current sensing unit detects a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orce reflected from the conductor to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 conductor is a chargeable chargeable obj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가능한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신호는,
미리 설정된 패턴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ignal for sensing the chargeable charging object comprises:
Wherei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a predetermined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점등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경고음 발생부 또는 충전 대상체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ny one of a display unit illuminated on an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or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or a charging object generated in a vehicle.
(A)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충전 대상체가 안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시동 감지부가 시동 오프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D)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 및
(E)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A) the charging object is placed in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 state that the starting of the vehicle is ON, charging is performed;
(B) when the start-up of the vehicle is off, the start-up detecting unit transmits a start-off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ging object;
(D) when the charging object has been sense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notification unit operates to inform the driver of the neglected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And
(E)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includes a step of maintaining a standby sta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고, 차량 도어가 열리면, 도어 감지부가 도어 열림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C)
Transmitting the door opening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and the vehicle door is opened;
And notifying the driver of the remaining state of the charging object by activating the notification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알림부는 설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어 작동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D)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is repeatedly operated at a set time interval.
삭제dele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e1)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도어 감지부는 도어 열림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e2)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대기 상태가 해제되는 단계;
(e3)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상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및
(e4) 상기 충전 대상체가 감지되면, 상기 알림부가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충전 대상체의 방치 상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E)
(e1)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the door detection unit transmits a door open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e2)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leasing the standby state;
(e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ging object; And
(e4) when the charging object is sensed, notifying the driver of the charging status of the charging object by activating the notification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c1)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아날로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c2)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물체를 감지하면,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c3) 상기 물체가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의해 가변된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c4)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수신한 응답 신호가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른 신호인 경우, 상기 충전 대상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charging object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es:
(c1) transmitting the analog signal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2)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senses an object by the analog signal;
(c3) transmitting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sponse signal variable by the digital signal from which the object is received; And
(c4) if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object exists.
KR1020160157945A 2016-11-25 2016-11-2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KR101922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45A KR101922897B1 (en) 2016-11-25 2016-11-2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45A KR101922897B1 (en) 2016-11-25 2016-11-2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58A KR20180058958A (en) 2018-06-04
KR101922897B1 true KR101922897B1 (en) 2018-11-29

Family

ID=6262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45A KR101922897B1 (en) 2016-11-25 2016-11-2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8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4031B2 (en) 2019-12-09 2022-08-16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Extending charging availability after vehicle ignition of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8870A (en)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108A (en) * 2007-12-17 2009-07-02 Mazda Motor Corp Vehicular non-contact charger
JP2013145947A (en) * 2012-01-13 2013-07-25 Nec Saitama Ltd Charge system for mobile termi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101558782B1 (en) * 2014-06-16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 in-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charge state thereof
KR102227397B1 (en) * 2014-09-22 2021-03-15 에스엘 주식회사 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8870A (en)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58A (en)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2657B2 (en) Anomaly detection device
KR101972623B1 (en) Signal discrimination for wireless key fobs and interacting systems
RU2632565C2 (en) Vehicle charging system
CN103563207B (en) The personal device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vehicle is installed and the method for operation avoided interference
US9145110B2 (en) Vehicle wireless charger safety system
JP2013198322A (en) On-vehicle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6535133B2 (en) Vehicle slide door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vehicle slide door
JP5877305B2 (en) Charger
US20140159670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battery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N103812162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rmal conditions during wireless charging
CN1012088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inding a user of an unattended device in a vehicle
JP2010093957A (en) Charging system for vehicle
US20110080300A1 (en) Monitor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EP3086436B1 (en) Contactless charging device, program therefor, and automobile ha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mounted therein
CN108528235A (en) The method and electrically driven vehicle of charging plug are relatively unlocked with charging process
KR20140073672A (en) Driver 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9228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in vehicle
EP2685588B1 (en) In-vehicle charger, and program therefor
JP2014060674A (en) Leaving-behind notification device
US9630519B2 (en) Motor vehicle with electric energy accumulator and charging cabl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20160137104A (en) Recognition device for a vehicle accident, and vehicle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using the recognition device
KR101896235B1 (en) System for Preventing Mobile Device Lost in Vehicle
JP5336639B1 (en) Double authentication power supply system
KR102310059B1 (en) Wireless charger insid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