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474B1 - Apparatus for testing crash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sting cr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474B1
KR101917474B1 KR1020160178293A KR20160178293A KR101917474B1 KR 101917474 B1 KR101917474 B1 KR 101917474B1 KR 1020160178293 A KR1020160178293 A KR 1020160178293A KR 20160178293 A KR20160178293 A KR 20160178293A KR 101917474 B1 KR101917474 B1 KR 10191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rail
rails
armature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4321A (en
Inventor
서강
반현기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7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3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충돌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충격력 제공부와; 상기 충격력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작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충격부와; 시편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충격부가 시편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impact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operating force for a collision by an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a magnetic field; An impact portion moving by the operating force provided by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And a measuring unit that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specimen and is capable of measuring a load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impact portion with the specimen.

Figure R1020160178293
Figure R1020160178293

Description

충돌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CRASH}[0001] APPARATUS FOR TESTING CRASH [0002]

본 발명은 충돌에 의한 시편의 정보를 얻기 위한 충돌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ision test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a specimen by collision.

일반적으로 알려진 충돌 시험장치는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가속되는 대차가 제공되고, 이러한 대차가 시편에 충돌하도록 한 후,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센서를 장착하여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A known collision tes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braking truck that accelerates forward along the rails and allows the brakes to hit the specimens, and then checks the condition of the specimens or mounts sensors to collect data via sensors.

이러한 대차의 가속은 와이어로 대차를 견인하는 방식 또는 스프링 또는 유압 피스톤으로 추진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시험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구성의 특징으로 인해 시험정치의 크기가 너무 커지며, 높은 충돌속도를 부가하기 어렵고, 속도를 정확히 제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Acceleration of such a bogie is generally used by a method of towing a bogie with a wire or a method of propelling by a spring or a hydraulic piston. However, these methods are disadvantageous in that the magnitude of the test value becomes too large due to the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for satisfying the test condition, it is difficult to add a high impact speed,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peed accurately.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1424호 (공개일: 2016.12.09.)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141424 (Publication date: December 10, 2016)

본 발명은 종래의 충돌 시험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collision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시험장치로도 높은 충돌에너지의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안정적인 충돌시험의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generation of high impact energy even with a relatively small-scale test apparatus, and to enable reproduction of a stable crash tes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도 충돌부재의 빠른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quick acceleration of the collision member even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충돌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충격력 제공부와; 상기 충격력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작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충격부와; 시편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충격부가 시편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충돌 시험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impact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operating force for a collision by an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a magnetic field; An impact portion moving by the operating force provided by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with a specimen detachably mounted thereon and capable of measuring a load generated by collision of the impact portion with the specimen.

일 예로, 상기 충격력 제공부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전기력을 받아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추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기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and applying a curr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an armatu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being arranged to be propably disposed along the one direction by receiving an electric force by the magnetic field can do.

일 예로, 상기 전기자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통전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각각 접촉되는 전기자 몸체부; 및 상기 충격부를 상기 전기자 몸체부의 전방에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rmature may include an armature body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rails, respective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impact portion in front of the armature body portion.

일 예로, 상기 충격력 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충격부가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third rail and a fourth rail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rails to guide the impact portion not to devi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s, .

일 예로, 상기 제3 및 제4 레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전기자는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rails may be energized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the armatur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rails.

일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을 수용 및 고정하며, 부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rails may be received and fixed, and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non-conductive housing.

일 예로, 상기 충격부는 충돌부재가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pact por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mpact member is movable along the conveyance rai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시험장치로도 높은 충돌에너지의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안정적인 충돌시험의 재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high impact energy even with a relatively small-scale test apparatus, an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stable crash tes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도 충돌부재의 빠른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시험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 및/또는 구성이 유리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pid acceleration of the impact member can be achieved even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so that a space and / or configuration for installation of the test apparatus is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시험장치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력 제공부에서 전기자가 추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충격력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armature is propelled in the impact force impar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of FI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충돌 시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lated elements among the 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embodi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작은 규모의 시험장치로도 높은 충돌에너지의 발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안정적인 충돌시험의 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being configured to enable generation of high impact energy even with a small-scale test apparatus and to reproduce a stable crash t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시험장치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력 제공부에서 전기자가 추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충격력 제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ropelling an armature in the impact force impa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of Fig. 1; Fig.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시험장치(100)는 시편(133)의 파손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충격력 제공부(110)와 상기 충격력 제공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작동력으로 이동하여 시편(133)에 충돌하는 충격부(120), 그리고, 상기 시편(133)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시편(133)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1, the impact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for providing an operation force for destruction of a specimen 133, A shock portion 120 which moves to the provided operating force and impacts the specimen 133 and a measuring portion 130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pecimen 133 and measures a load generated by collision with the specimen 133. [ (130).

상기 충돌 시험장치(100)는 전자기력에 의해 충격부(120)에 작동력을 제공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전자기력 가속장치로 구성된 충격력 제공부(110)의 전기자(115)가 추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Th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100 may be constituted by an electromagnetic force accelerating device that provides operating force to the impact portion 120 by an electromagnetic for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in which the armature 115 of the impact force generator 110 constitu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cceleration device is propelled.

도 2를 참조하면, 충격력 제공부(110)는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 전기자(115) 및 펄스전원장치(117)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전원장치(117)에서 인가되는 전류(I)는 제1 레일(111), 전기자(115) 및 제2 레일(112)을 차례로 거쳐 흐르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rail 111 and a second rail 112, an armature 115, and a pulse power supply 117. The current I applied from the pulse power supply 117 flows through the first rail 111, the armature 115 and the second rail 112 in order.

구체적으로,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자(115, armature)에 의하여,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은 펄스전원장치(117)에 각각 연결되는 파워인가라인 및 접지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ar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extend along one direction. A curren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armature 115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have.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can be understood as a power supply line and a ground lin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ulse power supply 117.

상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 주변에는 자기장(B)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 사이에는 제1 및 제2 레일(111, 112)이 배치된 일 방향에 수직한 자기장(B1)이 형성되게 된다.A magnetic field B is form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ails 111 and 112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A magnetic field B1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ails 111 and 112 are dispos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

전기자(115)는 제1 레일(111)과 제2 레일(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레일(111) 및 제2 레일(11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펄스전원장치(117)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전기자(115)에는 제1 레일(111)에서 제2 레일(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류(I1)가 흐르게 된다.The armature 11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11 and the second rail 112, respectively. The current I1 flows from the first rail 111 toward the second rail 112 in the armature 115 when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pulse power supply 117. [

즉, 전기자(115)에는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전류(I1)가 흐르게 되고, 전기자(115)는 상기 자기장(B1)에 의해 전자기력(F)을 받아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전기자(115)가 받는 힘은 로렌츠의 힘(Lorentz's force)으로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That is, a current I1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flows through the armature 115, and the armature 115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force F by the magnetic field B1 and is moved along the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orce received by the armature 115 is expressed by Lorentz's force as follows:

Figure 112016126945907-pat00001
Figure 112016126945907-pat00001

따라서, 전류(I)를 조절하여 전기자(115)가 받은 힘을 제어함으로써, 충격부(120)가 시편(133)에 가하는 충돌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에너지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동유체의 압력을 높이고 유량을 최대한 증가시키면, 충돌 에너지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refore, by adjusting the current I to control the force received by the armature 115,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specimen 133 by the impact portion 12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impact energy is to be increased, the impact energ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and increasing the flow rate as much as possible.

이와 같은 원리로 인해, 전기자(115)의 전방에는 충돌부재(121)가 장전되어 전기자(115)의 추진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기자(115)의 전방에 충돌부재(121)가 장전된 것을 보이고 있다.
Due to such a principle, the collision member 121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rmature 115 so as to be fired by propelling the armature 115. 2 shows that the collision member 12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armature 115.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충격력 제공부(110)는 제1 내지 제4 레일(111-114)로 구성된 4개의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may include four rails 111-114.

일 실시예의 경우, 도 2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레일(111, 112)에 제3 레일 및 제4 레일(113, 114)이 추가된 예로서, 제3 레일 및 제4 레일(113, 114)은 충돌부재(121)가 가속하는 중에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rails 113 and 114 are add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111 and 112 described in FIG. 2, and the third and fourth rails 113 and 114 Can function as a guide in which collision member 1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during acceleration.

또한, 제3 레일(113)과 제4 레일(114)에도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 2의 경우에 비해 가속도를 두 배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도 2에 비해 더욱 짧은 이동거리로도 동일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currents in opposite directions are applied to the third rail 113 and the fourth rail 114 as well, the acceleration can be doubl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2, The same test can be performed.

충격력 제공부(110)는 제1 내지 제4 레일(111-114)을 수용 및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0)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부도체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4 레일(111-114)이 힘을 받더라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116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first to fourth rails 111-114. The housing 15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so that the first to fourth rails 111 to 114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even when the first to fourth rails 111 to 114 are subjected to a force.

전기자(115)는 전기자 몸체(115a)와 고정부재(11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mature 115 may include an armature body 115a and a fixing member 115b.

이와 같이, 전자기력 가속장치로 구성된 충격력 제공부(110)는 짧은 거리에서도 충격부(120)를 높은 속도로 가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력 제공부(110)는 수백 kg의 충격부(120)를 짧은 이동거리에서도 100km/s의 속도로 가속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더욱 짧은 이동거리(L)로도 동일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시험장치로도 안정적인 충돌시험의 재현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composed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accelerating device can accelerate the impact portion 120 at a high speed even at a short distance. For example, the impact force providing unit 110 may accelerate several hundred kilograms of the impact portion 120 at a speed of 100 km / s even in a short travel distance. Therefore, since the same test can be performed even with a shorter travel distance L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stable crash test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scale test apparatus.

한편, 충격부(120)는 상기 충격력 제공부(110)로부터 작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충격부(120)는 충돌시 요구되는 충격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하중을 갖는 충돌부재(121)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mpact portion 1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by receiving an operating force from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impact portion 12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impact member 121 having a constant load to generate an impact force required in a collision.

상기 충돌부재(121)는 상기 충격력 제공부(110)의 작동에 의해 가속되어 시편에 충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mpact member 121 may be configured to be accel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mpact force providing member 110 to collide with the specimen.

이 경우, 상기 충돌부재(121)는 이송레일(122)에 배치되어 이송레일(1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에 바퀴(121a) 등과 같은 이동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충격력 제공부(110)의 작동에 의해 가속되어 시편에 충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 베어링이 상부에 배치된 이송레일을 배치하여, 상기 충돌부재(121)가 볼 베어링 위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충돌부재(121)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종래의 알려진 이동수단이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collision member 121 may be disposed on the conveyance rail 122 and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conveyance rail 122, or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such as a wheel 121a,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ccel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udying unit 110 to collide with the specimen. In addition, a conveying rail on which the ball bearings are disposed may be disposed to allow the impact member 121 to move along the ball bearing. Since the structure for moving the collision member 121 can be configured by a known moving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충돌부재(121)는 전기자(115)의 이동에 의해 가속되다가 시편(133)에 충돌하게 된다. 또한, 전기자(115)와 함께 가속되다가, 시편(133)과 일정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기자(115)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시편(133)과 충돌하게 할 수도 있다.The collision member 121, which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ccel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armature 115 and collides with the specimen 133. Further, it may be accelerated together with the armature 115, separated from the armature 115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pecimen 133 by a certain distance, and moved independently to collide with the specimen 133.

상기 측정부(130)는 상기 충격부(120)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30)는 충격부(120)의 충돌시 시편(133)을 지지하게 되는 고정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31)에 시편(133)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재(132)에는 시편(133)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시편(133)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도면부호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그는 일반적인 시험장치에 구비되는 지그의 구조 및/또는 클램프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asurement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an impact load generated when the impact unit 120 is collided. The measuring unit 130 includes a fixing member 131 for supporting the specimen 133 when the impact member 120 impacts and measures a load applied to the specimen 133 on the fixing member 131 A measuring member 132 may be provided. The measuring member 132 may further include a jig (not shown) for fixing the specimen 133 so that the specimen 133 can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The jig may have a jig structure and / or a clamp structure provided in a general test apparatus.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충격부(120)가 시편(133) 충돌하는 경우, 시편(133)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부(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31)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1)의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충돌부재(121)의 충격시 시편(133)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에너지가 고정부재(131)로 전달되는 경우, 전달된 에너지에 의해 고정부재(131)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31)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은 일 예로 바퀴(131a) 등과 같은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hock absorber 140 may be further provided to absorb the impact energy that is not absorbed by the specimen 133 when the impact portion 120 collides with the specimen 133. [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131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For example, when the energy absorbed by the specimen 133 is transmitted to the fixing member 131 when the impact member 121 is impacted by the moving member at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member 131, So that the fixing member 131 can be moved. The moving means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131 may be configured as a wheel 131a or the like.

한편, 상기 완충부(140)는 유압댐퍼로 구성되어 시편(133)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압댐퍼의 구성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재(141)에 의해 유압 실린더(142)가 상기 고정부재(131)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흡수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The buffer 14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bsorb energy that is not absorbed by the specimen 133 because it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damper. The structure of such a hydraulic damp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hydraulic cylinder 142 can absorb the energy transmitted to the fixing member 131 by the support member 141, as shown in the figur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충돌부재(121)가 시편(133)에 충돌한 후, 시편(133)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에너지는 측정부재(132)를 통해 고정부재(131)로 전달되어 고정부재(131)가 이동하도록 작용하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31)를 지지하는 완충부(140)는 고정부재(131)에 전달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부(140)를 통해 잉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 측정부재(132)로 전달되는 에너지와 고정부재(131)의 지지력에 의해 측정부재(1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The energy that is not absorbed by the test piece 133 is transmitted to the fixing member 131 through the measuring member 132, The buffer member 140 supporting the fixing member 131 absorbs the energy transferred to the fixing member 131.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rplus energy is absorbed through the buffering portion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suppress the damage of the measuring member 132 due to the energy transmitted to the measuring member 132 and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xing member 131 have.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31)는 충격부(120)에 의한 충돌시 시편(133)이 파손될 수 있고, 파손시 시편(133)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잉여 에너지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하중이 부가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mpact member 120 collides with the impact member 120, the fixing member 131 may be damaged. When the shock member 120 fractures, the fixed member 131 may be moved by a surplus energy not absorbed by the specimen 133, .

이와 같은 충돌 시험장치(100)의 적용에 관한 예를 들면, 자동차용 강판의 간략화된 부품이나 실부품의 정확한 충돌특성을 재현성 있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용 강판의 충돌특성 시험평가 방법으로 쉽게 적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자동차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인 충돌 특성을 구하기 위한 과정에 적용하여 자동차용 강판 등의 충돌특성을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collision test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reproducibly obtain accurate collision characteristics of a simplified part or an actual part of a steel sheet for an automobile,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 crashworthiness test evaluation method of a steel sheet for automobiles It is possib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collision characteristics of a steel sheet for automobile by applying it to a process for obtaining a collision characteristic,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s in an automobil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충돌 시험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collision test apparatus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limited manner,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

100: 충돌 시험장치 110: 충격력 제공부
111: 제1 레일 112: 제2 레일
113: 제3 레일 114: 제4 레일
115: 전기자 115a: 전기자 몸체부
115b: 고정부재 116: 하우징
117: 펄스전원장치 120: 충격부
121: 충돌부재 130: 측정부
131: 고정부재 132: 측정부재
133: 시편 140: 완충부
141: 지지부재 142: 유압 실린더
100: crash test apparatus 110: impact force supply apparatus
111: first rail 112: second rail
113: third rail 114: fourth rail
115: armature 115a: armature body part
115b: fixing member 116: housing
117: Pulse power supply device 120: Impact portion
121: collision member 130:
131: fixing member 132: measuring member
133: Piece 140: Buffer
141: Support member 142: Hydraulic cylinder

Claims (7)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충격력 제공부와;
상기 충격력 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전자기력에 의해 가속되고 이동하는 충격부와;
시편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충격부가 상기 시편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력 제공부는,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전기력을 받아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추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기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An impact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y a magnetic field;
An impact portion accelerated and mov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provided by the impact force providing portion;
And a measuring unit provided detachably with the specimen and measuring the load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impact portion with the specimen,
The impact-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arranged side by side along one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by applying current in opposite directions; And
And an armatu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being arranged to be propably disposed along the one direction by receiving an electric force by the magnetic field, Wherein said collision test apparatus is a collision test apparatu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통전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각각 접촉되는 전기자 몸체부; 및
상기 전기자 몸체부의 전방에 상기 측정부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충격부를 상기 전기자 몸체부의 전방에 지지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mature
An armature body portion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rails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nd a fixing member disposed in front of the armature body and facing the measurement unit, and fixing the impact unit in front of the armatur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력 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충격부가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act-
Further comprising a third rail and a fourth rail disposed along the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guiding the impact portion to not devi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rails Test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레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전기자는 상기 제1 레일 내지 상기 제4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rails are energized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the armatur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ail and the fourth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을 수용 및 고정하며, 부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made of nonconductive material to receive and fix the first to fourth 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는 충돌부재가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impact member is movable along the conveying rail.



KR1020160178293A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testing crash KR101917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93A KR101917474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testing cr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93A KR101917474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testing cra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21A KR20180074321A (en) 2018-07-03
KR101917474B1 true KR101917474B1 (en) 2018-11-09

Family

ID=6291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293A KR101917474B1 (en) 2016-12-23 2016-12-23 Apparatus for testing cr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4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2449B (en) * 2020-08-27 2022-03-04 哈尔滨工业大学 High-speed magnetic levitation driven ultra-high-speed impact test system
CN115060448B (en) * 2022-06-22 2024-03-22 江苏德纳精工轴承有限公司 Test device for impact resistance of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21A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908B1 (en) Apparatus for testing crash
KR101917474B1 (en) Apparatus for testing crash
US9488546B2 (en) Testing equipment for crash simulation tests having first and second carriage arrangements
CN105675309B (en) The power battery crash tests device and test method of pure electric automobile
US20050081656A1 (en) Force element for vehicle impact crash simulator
CN103954420B (en) Pneumatic emission-type rail vehicle real vehicle Impact Experimental System
JP4911755B2 (en) Collision test apparatus and collision test method for automobile body
CN203101015U (en) Novel front longitudinal beam impact testing device
US5355716A (en) Generalized rotary shock and impact testing machine
CN103940570A (en) Real vehicle collision test system of rail vehicles
JP2012107950A (en) Automobile collision simulation testing apparatus
US20080011047A1 (en) Vehicle simulated crash test apparatus
JP2016065856A (en) Impact testing machine
SE507769C2 (en) Test device for crash testing of subsystems for passenger cars in simulated side collision
WO2008135394A1 (en) Impact test device for testing how an object behaves in an impact
JP3258536B2 (en) Simulator for car side collision and simple simulator
US10436689B2 (en) Test pendulum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st pendulum arrangement
US8875590B2 (en) Crash simulation and crash simulation method
JPS60166839A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impact absorption
JP2011149947A (en) Crash testing device and crash test method for automobile body
CN103940622A (en) Pressure friction plate braking type real rail vehicle bump testing system
CN108760342A (en) MR damper high speed heavy hammer test system
JP2018109573A (en) Aerodynamic model experimental apparatus
JP2021117027A (en) Collision test device
WO2020148712A1 (en) Testing device for road safety b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