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76B1 -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 Google Patents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76B1
KR101917376B1 KR1020160167960A KR20160167960A KR101917376B1 KR 101917376 B1 KR101917376 B1 KR 101917376B1 KR 1020160167960 A KR1020160167960 A KR 1020160167960A KR 20160167960 A KR20160167960 A KR 20160167960A KR 101917376 B1 KR101917376 B1 KR 10191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tio
learning
target gear
value
k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6756A (en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6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가속페달 조작에 비례하여 기어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기(CVT)를 탑재한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는,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판단부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부, 정보 수집부가 제공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개시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에 전달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고,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어비 학습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A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quipped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in which a gear ratio continuously changes in proportion to an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is disclosed . An apparatus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learning mode from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a vehicle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a determining unit,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llection unit,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outputs a learning start signal for gear ratio learning when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learning start signal and for progressing the gear ratio learning using a learning algorithm for learning the gear ratio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learning start signal.

Description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s,

본 발명은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어비가 짧은 시간에 큰 폭으로 변화하는 킥다운 변속 시 주행 상태 또는 풀리와 벨트의 접촉면 마모와 같은 노후화로 인하여 변속이 늘어지거나 빨라지는 현상을 개선하고자 한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particularly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method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무단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는 기능 면에서 일반적인 다단식 자동변속기와 비슷하지만, 기어를 조합해 속도에 따라 구동력을 최적화하는 다단식 자동변속기와 달리 변속을 위한 기어가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엔진으로부터 나온 동력을 받아들이는 구동 풀리와 바퀴 쪽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 풀리가 있고, 두 개의 풀리는 벨트로 연결되어 있다.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is similar in function to a normal multi-stage automatic transmission, but unlike a multi-stage automatic transmission that combines gears to optimize driving force according to speed, gears for shifting are not used. Instead, there is a drive pulley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and a driven pulley that transmits power to the wheels, and the two pulleys are connected by a belt.

무단변속기는 구동 풀리의 회전력이 벨트를 통해 종동 풀리에 전달되며, 이때 풀리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양쪽 풀리에 걸리는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풀리의 지름을 연속적으로 가변시켜 변속을 구현한다. 즉 무단변속기의 기어비는 각 풀리와 벨트의 접촉지점으로부터 해당 풀리의 회전축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각 풀리의 횡방향 힘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pulley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pulley through the belt.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ulley is continuously varied so as to balance the forces applied to the both pulleys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pulley. That is, the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point of each pulley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ulley, which is determined by the lateral force of each pulley.

무단변속기는 구조적으로 기존 다단 자동 변속기에 비해 엔진의 운전점이 최적운전선도(OOL; Optimal Operating Line)에 가깝게 작동됨으로써 동력손실이 적고 고연비 실현에 유리하여 일반 자동변속기에 비해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저속/고토크, 고속/저토크의 변속을 수행하는데 있어 충격 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perating point of the engine is closer to the optimal operating line (OOL) than the conventional multi-stage automatic transmission, thereby achieving less power loss and achieving higher fuel efficiency and higher efficiency than a general automatic transmissio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without impact in performing low speed / high torque, high speed / low torque shift.

반면, 차량의 주행 상태나, 각 풀리와 벨트가 접하는 면의 마모나 벨트 노후화로 인하여, 특정 변속구간 특히, 급가속 조작에 따른 킥다운(Kick down) 변속과 같이 큰 폭으로 기어비가 변하는 변속구간에서 변속이 늘어지는 변속 지연 혹은 변속이 설정 시간보다 빠른 시간에 이행되는 변속 당김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the wear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pulley and the belt,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belt, the gear ratio is changed in a specific shift section, The shift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shifting is delayed or the shift is shifted at a time earlier than the set time.

무단변속기의 킥다운 기어비 제어에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대한 기어비(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가 벨트와 접하는 지점으로부터 해당 풀리의 회전축까지의 거리비)의 변화로 정의되는 기어비 커브가 사용된다. 즉 주행상황에 따라 기어비 커브에 설정된 기어비가 도출될 수 있도록 각 풀리에 작용하는 유압을 조절하여 기어비를 제어한다.In the kick-down gear ratio control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generally, a gear ratio curve defined by a change in the gear ratio with respect to time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contact the bel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ulley) is used. That is, the gear ratio is controlled by regulating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on each pulley so that the gear ratio set in the gear ratio curve can be derived according to the running situation.

도 1은 무단변속기(CVT)의 킥다운 기어비 제어에 사용되는 종래 기어비 커브로서, 도 1의 (a)는 변속기 노후화 전 변속 제어부에 설정된 킥다운 기어비 커브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노후화 된 상태에서 실측되는 킥다운 기어비 커브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conventional gear ratio curve used for controlling the kick-down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Fig. 1 (a) shows the kick down gear ratio curve set in the transmission aging front speed change control portion, and Fig. 1 (b) And the kick-down gear ratio curve measured in the state of FIG.

도 1의 그래프에서 제일 아래쪽에 가는 선으로 표현된 커브가 노멀 상태에서의 킥다운 변속을 위한 가속페달 조작 시 시간에 따른 기어비 변화를 나타낸 현재 기어비이며, 제일 위쪽에 굵은 선으로 표현된 커브는 급가속 조작에 따른 킥다운 변속 시 목표 기어비를 나타낸다. 그리고 두 커브 사이의 파선으로 표현된 커브는 제한 목표 기어비를 나타낸다.The curves represented by thin lines at the bottom of the graph in FIG. 1 are the current gear ratios showing the change in the gear ratio with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for kick downshifting in the normal state, and the curves represented by the thick line at the top of the graph It represents the target gear ratio in kick down shift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operation. And the curve represented by the dashed line between the two curves represents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여기서, 제한 목표 기어비는 킥다운 변속 시 급격한 토크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이나 울컥거림 등을 막고, 급격한 토크변화에 따른 변속충격으로부터 동력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 중 임의 시점에 가속페달을 풀(Full)로 조작하더라도 실제 기어비는 해당 시점의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제한 목표 기어비까지만 상승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intended to protect the power system from the shifting shock due to a sudden change in torque while preventing a shift shock or buzzing due to a sudden change in torque during a kick-down shift, Full), the actual gear ratio is limited to be raised to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that is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at that time.

도 1의 (a)와 (b)의 그래프를 보면, 목표 기어비와 제한 목표 기어비는 목표 값이기 때문에 변함이 없다. 반면 현재 기어비의 경우 변속기 노후화 후가 노후화 전에 비하여 커브의 기울기가 완만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커브의 기울기는 시간에 대한 기어비의 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기울기의 감소는 킥다운 목표 기어비까지 변속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 것을 의미한다.1 (a) and 1 (b), the target gear ratio and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do not change because they are target value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present gear ratio, it can be seen that the slope of the curve is gentler than that before the aging of the transmission. The slope of the curve represents the change in gear ratio over time. Thus, the reduction of the slope means that the time taken to shift the gear to the kick-down target gear ratio is longer.

변속기 노후에 따른 변속지연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 정차상태(P단 혹은 N단에 설정된 상태)에서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목표 제어 압력을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실제 압력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로부터 풀리의 제어 값을 새롭게 학습하고 반영하여 풀리의 제어 압력을 보정함으로써 기어비 변화를 보상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The target control pressure of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is compared with the actual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n the vehicle stop state (state set at the P-stage or N-stage)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control value of the pulley is newly learned and reflected from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control pressure of the pulley is corrected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the gear ratio.

그러나 풀리의 압력 변화에 대한 학습만가지고는 변속기 노후에 따른 기어비 변화를 보상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특히 킥다운 변속과 같이 짧은 시간에 두 풀리의 압력을 빠르게 변화시켜 기어비를 바꿔야 하는 경우 벨트나 풀리의 마모 정도에 대한 기어비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의 가속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해 운전자는 출력이 부족하거나 가속 의지가 반영되지 않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gear ratio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age with only learning about the pressure change of the pulley. In particular, if the gear ratio must be changed by quickly changing the pressure of two pulleys in a short time, such as a kick-down shift, if the gear ratio compensation for the degree of wear of the belt or pulley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 driver may feel that the output is insufficient or the acceleration will not be reflected.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2740호(공개일 2004. 03. 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22740 (published on March 03, 20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어비의 변화가 큰 변속상황(급가속 조작에 따른 킥다운 변속)에서 주행 상태나, 풀리와 벨트의 접촉면 마모와 같은 노후화로 인하여 변속이 늘어지거나 빨라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ft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shifts are delayed or accelerated due to aging such as a running state or a contact surface wear of a pulley and a belt,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kick-down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속페달 조작에 비례하여 기어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기(CVT)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에 있어서,A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in which a gear ratio continuously changes in proportion to an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판단부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부;An information collecting par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learning mod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for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judging part;

상기 정보 수집부가 제공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개시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에 전달하는 판단부; 및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outputting a learning start signal for the gear ratio learning when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상기 판단부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고,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어비 학습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learning start signal from the determination unit and proceeds with the gear ratio learning using a learning algorithm for learning the gear ratio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apparatus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적용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학습모드 진입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는, 급가속을 위한 킥다운 변속의 개시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로서 가속페달 변화 및 목표 기어비 변화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상기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 현재의 차량 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learning mode entry is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pplied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kick down shift for rapid acceleration is started or not and information about the accelerator pedal change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rrent vehicle stat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when the accelerator pedal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R s ) It can be judg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판단부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학습모드로 전환 후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may switch the learning mode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to the learning mode for learning the gear ratio, and may perform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using an arbitrary learning algorithm after switching to the learning mode.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 알고리즘은, And a learning algorithm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와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1 프로세스;Capture the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by the gear ratio (current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start of learning mode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position, vehicle speed, and load state at the learning mode entry point, ;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프로세스;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a condition for maintaining a learning mode during learning;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상기 제1 프로세스에 의한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프로세스;A thir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by the first process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holding condition during learning in progress;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으로부터 획득하고, 타이머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는 제4 프로세스; 및(Timer value, T)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from the timer operation time when the current gear ratio is determined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sets the timer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Gt; T1) < / RTI > And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을 막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되는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상기 제4 프로세스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제5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잇다.And a fifth process of correct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which is set to a gear ratio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in order to prevent a shift shock due to a rapid torque change at the time of kick dow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fourth process It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는,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the target gear rati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which is the position value of the accelerator pedal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learning,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s is within the set value.

그리고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할 수 있다.If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does not satisfy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during learning, the learning mode can be forcibly terminated.

또한, 상기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크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으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fourth process, if the timer value (T) is larg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1), correc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n the fifth process, and the timer value T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1, corre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fifth process to reduce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이와는 다르게,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Alternatively, if the timer value T is within an error rang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rbitrary tim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1 in the fourth process,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in the fifth process.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가속페달 조작에 비례하여 기어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기(CVT)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에 있어서,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method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in which a gear ratio continuously changes in proportion to an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0);A step (S100) of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an learning mode from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a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S100 단계를 통한 판단결과 차량의 현재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If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 , switching to a learning mode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and performing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using an arbitrary learning algorithm (step S200 ) And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method of the continuously-variable shifting vehicle.

상기 S100 단계에서의 학습모드 진입 조건은 바람직하게, 킥다운 변속을 만족하는 조건으로서,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일 수 있다.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n step S100 is preferably a condition that satisfies the kick down shift, and when the accelerator pedal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R s ) .

그리고 상기 S200 단계는 구체적으로,Specifically, in operation S200 ,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와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S210);Capture the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by the gear ratio (current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start of learning mode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position, vehicle speed, and load state at the learning mode entry point, ( S210 );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 ( S220 )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a condition for maintaining a learning mode during learning;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A step S2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는 단계(S240); 및( S240 ) comparing the time taken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timer value, 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ear ratio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을 막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되는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상기 S240 단계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단계(S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S250 ) correcting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which is set to a gear ratio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in order to prevent a shift shock due to a rapid torque change at kick dow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btained in step S240 have.

이때 상기 S220 단계에서는,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20 , the target gear rati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which is the position value of the accelerator pedal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learning,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s is within the set value.

또한,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does not satisfy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the learning mode can be forcibly terminated.

또한,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크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으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하며,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If the timer value T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1 in step S240 , the control unit 20 performs correction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n step S25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timer value T is greater tha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decreased in step S250 , the timer value T is set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1 at an arbitrary time A control for maintain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n the current state may be performed in step S250 .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급가속 의지를 반영한 킥다운 변속 시 풀리 변속비, 즉 기어비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값을 반영하여 기어비를 보상한다. 이에 따라 변속기의 상태나 주변 환경에 따라 변속이 지연되거나 급격히 진행되어 발생하는 가속감 저하나 변속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ar ratio is compensated by learning a pulley transmission ratio, that is, a gear ratio during a kick-down shif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eleration feeling or a shift shock which occurs due to a delay or a sudden shift of the shif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즉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통해 기어비의 변화가 큰 변속상황(급가속 조작에 따른 킥다운 변속)에서 주행 상태나, 풀리와 벨트의 접촉면 마모와 같은 노후화로 인하여 변속이 늘어지거나 빨라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변속기가 노후 되더라도 운전자에게 만족스러운 가속성능과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by learning the kick-down gear rati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the shift is elongated or accelerated due to aging such as running state or wear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ulley and the belt in a shift state in which the change of the gear ratio is larg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tisfactory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a shift feeling to the driver even if the transmission is aged over time.

도 1은 무단변속기(CVT)의 킥다운 기어비 제어에 사용되는 종래 기어비 커브.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의 구성을 개략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해 적용되는 흐름도
도 4는 킥다운 기어비 학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학습 결과에 기초한 킥다운 기어비 보정 후의 기어비 커브를 예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ventional gear ratio curve used for kick down gear ratio control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for applying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of the continuously-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proces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ar ratio curve after correction of a kick-down gear ratio based on learning resul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의한다.Hereinafter,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fined as follows.

'무단변속기의 기어비'는 무단변속기(CVT)의 변속에 관여하는 핵심 가변 요소(Variator) 중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변속비', 즉 '직경의 비'로 정의한다. 그리고 '목표 기어비'는 현재 차량의 부하 상황 및 가속 페달 조작 위치에 따라 임의 알고리즘 통해 결정되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기어비로 정의한다.The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defined as a 'gear ratio' of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mong the core variable elements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The 'target gear ratio' is defined as the gear ratio of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determined by an arbitrary algorithm according to the current load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또한, '제한 목표 기어비'는 킥다운 변속 시 급격한 토크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이나 울컥거림 등을 막고, 급격한 토크변화에 따른 변속충격으로부터 동력계통을 보호하기 위해 목표 기어비보다 임의 값 낮게 설정되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기어비로 정의한다.In addition,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a ratio of the target gear ratio to the drive pulley ratio, which is set to be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in order to protect the power system against the shifting shock due to the sudden change in torque, And the gear ratio of the driven pulley.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의 구성을 개략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apparatus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어비 학습 제어 장치(10)는, 무단변속기(CVT)의 킥다운 변속 시 킥다운 기어비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값을 반영하여 기어비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학습모드 진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2), 학습모두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4), 그리고 실질적인 기어비 학습을 위한 제어부(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gear ratio learning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learning on a kick-down gear ratio during a kick-down shift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 for collec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entering the learning mode, a judging unit 14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all the learning, and a control unit 16 for actual gear ratio learning.

정보 수집부(12)는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그 수신된 정보들을 상기 판단부에 제공한다. 학습모드 진입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는 급가속을 위한 킥다운 변속의 개시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 바람직하게는 가속페달 변화 및 목표 기어비 변화량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learning mod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determination uni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learning mode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kick down shift for rapid acceleration is started, preferably about the acceleration pedal change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판단부(14)는 상기 정보 수집부가 제공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급가속 의지가 반영된 킥다운 변속을 위한 조작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현재의 차량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에 부합되면 킥다운 변속 시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개시신호를 상기 제어부(16)에 출력한다.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determination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meet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preferably, the operating condition for the kick down shift in which the driver's rapid acceleration will is reflected. And outputs a learning start signal for gear ratio learning to the controller 16 when the current vehicle operation state match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킥다운 변속 시 기어비 학습개시를 위한 학습모드 진입 조건은 킥다운 변속으로 판단할 수 있는 조건, 구체적으로는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상기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일 수 있으며, 차량의 상태가 이 두 개의 엔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상태일 때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for starting the gear ratio learning in the kick down shift state is a condition that can be determined as a kick down shift, specifically, an accelerator pedal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set in advance Value R s , and it is judged that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both of the two end conditions.

가속페달의 변화량은 가속페달의 기계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다른 양과 크기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포텐셔미터와 같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목표 기어비 변화량은 현재의 목표 기어비와 가속페달 급가속 조작에 따라 새롭게 설정되는 목표 기어비 차이 값의 절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amount of change in the accelerator pedal can be detected by a contact-type sensor, such as a potentiometer, which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in different amounts and magnitudes depending on the mechanical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may be determined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target gear ratio difference value that is newly set according to the current target gear ratio and the accelerator pedal acceleration operation.

이때 목표 기어비는 가속페달 조작량에 따른 차량 속도 별 출력 데이터를 저장한 공지의 엔진 출력 맵(요구 출력을 가속페달 조작량과 차량 속도의 2가지 인자에 대해 행렬의 형태로 데이터화한 것)으로부터 결정되는 엔진 출력(요구 출력), 현재의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정보로부터 전용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도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arget gear ratio is determined based on a known engine output map storing the output data for each vehicle spe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the required output is data obtained by matrixing two factors of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mount and the vehicle speed in the form of a matrix) Output (demand output), current vehicle speed, and load information.

제어부(16)는 상기 판단부(14)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고,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구동시켜 킥다운 변속 시 기어비 학습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학습 알고리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상 크게, 5개의 프로세스(의하, 설명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 5 프로세스'라 함)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 receives the learning start signal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4, and operates the learning algorithm for learning the gear ratio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tart signal is received, thereby advancing the gear ratio learning during the kick down shift. Here, the learning algorithm may be divided into five proces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o fifth processes' for explanatory convenience) in terms of functions as described later.

이하 제어부의 학습을 위해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applied to the algorithm for learning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프로세스(160)에서는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 정확하게는 가속페달 조작량과 차량 속도, 그리고 차량의 현재 부하 상태에 따라 전용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한다.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In the first process 160, the gear ratio (current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learning mode entry point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position at the learning mode entry time, precisely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mount and vehicle speed, The target gear ratio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a dedicated algorithm. Activate the timer at the same time.

제2 프로세스(162)에서는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계속적으로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킥다운 변속 요청으로 학습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가속페달을 풀거나 내리막 주행을 할 경우에는 킥다운 변속 기어비 학습을 위한 전제 조건인 킥다운 변속 상황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In the second process 16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continues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maintaining the learning mode. If the driver suddenly decelerates the accelerator pedal or goes downhill after entering the learning mode with a kickdown shift request, the kickdown shift condition, which is a prerequisite for learning the kickdown gear ratio, is no longer maintained.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 혹은 주행상태가 상기 학습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 즉 킥다운 변속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더 이상 기어비 학습을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도록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하며, 반대로 학습모드 유지 조건이 유지되면 계속해서 기어비 학습을 위한 다음 프로세스(제3 프로세스)를 가동시킨다. If, as described above,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or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does not maintain the condition for maintaining the learning mode, that is, the kick down state, continues, the process for further gear ratio learning The learning mode is forcibly terminated so as not to proceed. On the contrary, when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is maintained, the next process (third process) for gear ratio learning is continuously activated.

제2 프로세스(162)에서는 바람직하게,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학습을 진행한다.In the second process 162, preferably, the accelerator pedal is maintained in the operating state at the time of entering the learning mode, or the position value of the accelerator pedal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learnin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and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is withi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learning is continued.

제3 프로세스(164)에서는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인 경우,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수렴'의 의미는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과 같아졌거나, 사전의 설정된 범위(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소정의 여유 값을 반영한 범위)에 있는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The third process 16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is in a state satisfying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Here, the meaning of 'convergence' can be interpreted as a case where the current gear ratio is equal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or the preset range (the range in which the predetermined margin value is reflected in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제4 프로세스(166)에서는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으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타이머 값(T)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여 변속 지연 혹은 변속 당김(변속이 계획된 시간보다 빠르게 진행됨을 의미)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In the fourth process 16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ear ratio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 time (timer value, T) that elapses until the current gear ratio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is obtained from the timer operation time , And compares the obtained timer value T with a previously set reference value T1 to determine whether a shift delay or shift pull (meaning that the shift progresses faster than the planned time) has occurred.

여기서 기준 값(T1)은 이후 설명하게 될 도 4에서 변속기 노후화 전 현재 기어비 커브를 기준으로, 킥다운 변속이 시작되는 임의 시점의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에 수렴하는데 까지 걸린 시간, 예를 들어 도 4에서 T1으로 표기된 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T1 is the time taken until the gear ratio at an arbitrary point at which the kick down shift starts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based on the present gear ratio curve before the gear failure deterioration in FIG. 4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a value written as T1.

제5 프로세스(168)에서는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 혹은 울컥거림 등을 막고, 급격한 토크변화에 따른 변속충격으로부터 동력계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되는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상기 제4 프로세스(166)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작업이 진행된다.In the fifth process (168), in order to prevent a shift shock or jerk due to a rapid torque change at kick down and to protect the power system from a shifting shock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torque, a limited target gear ratio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slope of the first process 166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fourth process 166 is performed.

예를 들어, 제4 프로세스(166)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상기 기준 값(T1)보다 크면, 변속기 노후화로 인한 변속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5 프로세스에서 기어비 커브 저장부(18)에 저장된 제한 목표 기어비 커브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현재 기어비 커브가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 커브를 따라 기울기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For example, in the fourth process 166, if the timer value T is lar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1, it is determined that a shift delay due to the gear failure has occurred, and in the fifth process, the gear ratio curve storage unit 18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curve so that the present gear ratio curve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is increased along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curve.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4 프로세스(166)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은 경우에는, 킥다운 변속이 계획된 시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변속 당김이 발생한 판단하고, 제5 프로세스(168)에서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현재 기어비 커브가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 커브를 따라 기울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Alternatively, when the timer value T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1 in the fourth process 166, it is determined that a shift pull occurs in which the kick-down shift speed is faster than the planned time, A correction is made to reduce the inclination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at step 168 so that the present gear ratio curve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is decreased along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curve.

또 다르게, 제4 프로세스(166)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킥다운 변속이 정상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제5 프로세스(168)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켜 현재 기어비 커브 역시 기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Alternatively, if the timer value T in the fourth process 166 is within an error rang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rbitrary tim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kick-down shift has occurred normally. In this case, in the fifth process (168),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and the current gear ratio curve is maintained in the existing state.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킥다운 기어비 학습 과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process performed by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of the continuously-variable-shifted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한 과정은 크게,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0)와, 차량의 현재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S200)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rocess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0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a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f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switching to a learning mode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and performing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using an arbitrary learning algorithm ( S200 ) can be categorized.

S100 단계에서는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학습모드 진입 조건은 바람직하게,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일 수 있다. In step S100 ,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the learning mode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it is determined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wheth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At this time,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preferably a case where the acceleration pedal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R s ).

S200 단계에서는 상기 S100 단계를 통한 판단결과 차량의 현재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한다. 여기서 S200 단계는 프로세스 상 크게, 5개의 단계(S210 ~ S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 that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the learning mode is switched to the learning mode for learning the kick-down gear ratio and the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is performed. Here, the step S200 may be a large step in the process and may include five steps ( S210 to S250 ).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S200)에 대해 도 3 및 도 4의 학습과정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 S200 )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arning process graphs of FIGS. 3 and 4. FIG.

학습모드에 진입과 동시에 먼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 정확하게는 가속페달 조작량과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 이하,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이라 함)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210).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time of entering the learning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t the entry into the learning mode, precisely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mount, the vehicle speed, and the load st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activates a timer ( S210 ).

다음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20). 킥다운 변속 요청으로 학습모드에 진입해 있는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가속페달을 풀거나 내리막 주행을 할 경우에는 킥다운 변속 기어비 학습을 위한 전제 조건인 킥다운 변속 상황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으므로 학습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condition for maintaining the learning mode during the next learning progress ( S220 ). In the case that the accelerator pedal is unfastened suddenly or the vehicle is driven downhill suddenly while entering into the learning mode by the request of the kick-down shift, the kick-down shift condition, which is a precondition for learning the kick-down shift gear ratio, is no longer maintained. It is because there is not.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 혹은 주행상태가 상기 학습모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 즉 킥다운 변속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더 이상 기어비 학습을 위한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도록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하며, 반대로 학습모드 유지 조건이 유지되면 계속해서 기어비 학습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If, as described above,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or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does not maintain the condition for maintaining the learning mode, that is, the kick down state, continues, the process for further gear ratio learning The learning mode is forcibly terminated so as not to proceed. On the contrary, if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is maintained, the process for the gear ratio learning continues.

S220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학습을 진행한다. In step S220 ,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learning, is maintained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at the time of entering the learning mode, or the target gear rati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anged accelerator pedal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s is withi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learning is continued.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면,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여기서 '수렴'의 의미는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과 같아졌거나, 사전의 설정된 범위(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소정의 여유 값을 반영한 범위)에 있는 경우로 해석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holding condition during learn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 S230 ). Here, the meaning of 'convergence' can be interpreted as a case where the current gear ratio is equal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or the preset range (the range in which the predetermined margin value is reflected in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으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타이머 값(T)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여 변속 지연 혹은 변속 당김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240). (Timer value, T) from the timer operating time until the current gear ratio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ear ratio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The obtained timer value T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1 to determine whether a shift delay or a shift pull has occurred ( S240 ).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변속기 노후화 전 킥다운 변속 시 양호한 킥다운 변속 구현을 위해 초기 설정된 현재 기어비 커브에 있어 임의 시점에 가속페달 급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1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T1 at a certain point in the initial set gear ratio curve for a kickdown downshift implementation before the gear deterioration kick-down shift, as shown in FIG. 4, Can be defined as the time taken for the gear ratio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마지막으로, S240 단계를 통한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된다(S250). 이때 제한 목표 기어비는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 혹은 울컥거림 등을 막고, 급격한 토크변화에 따른 변속충격으로부터 동력계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될 수 있다.Finally, a process of correct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to another mode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rough step S240 ( S250 ). At this time,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may be set to a gear ratio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in order to prevent a shift shock or jogging due to a rapid torque change at kick down, and to protect the power system from a shift shock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torque.

구체적으로, 제한 목표 기어비는 안전한 킥다운 변속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현재 기어비에 대한 실제 최대 킥다운 가능한 기어비로서, 이는 반복실험 또는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어비마다 안전한 킥다운 변속을 도모할 수 있는 기어비를 도출한 것일 수 있으며, 그 결과물들로 구축된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4와 같은 연속된 커브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s an actual maximum kickdown-possible gear ratio for the current gear ratio set so as to achieve a safe kick-down shift. This is a gear ratio capable of achieving a safe kick down shift for each gear ratio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or pre- And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 curve as shown in FIG. 4 based on the map data constructed as the results.

S240 단계를 통한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S250 단계에서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과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to another mode in step S25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rough step S240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5는 학습 결과에 기초한 기어비 보정 후의 기어비 커브로서, 변속기 노후화로 인한 변속 지연이 나타났을 때 기어비 보정 후의 기어비 커브를 도시하고 있다. Fig. 5 shows a gear ratio curve after the gear ratio correction when the gear shift curve due to the gear ratio correctio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shows a shift delay due to the gear deterioration.

도 5를 참조하면, S24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상기 기준 값(T1)보다 크면, 변속기 노후화로 인한 변속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S250 단계에서 도 5와 같이 제한 목표 기어비 커브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현재 기어비 커브 역시 기울기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timer value T is larg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1, it can be considered that a shift delay due to the gear deterioration occurs. Therefore, in this case, in step S250 , correc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curve as shown in FIG. 5, and the current gear ratio curve is also shift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inclination.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은 경우에는, 킥다운 변속이 계획된 시간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변속 당김이 발생한 판단하고, S250 단계에서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현재 기어비 커브가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 커브를 따라 기울기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Although specific cities are omitted, When the timer value 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1 set in advance, it is determined that a shift pull occurs in which the kick down shift speed is faster than the planned time. In step S250 , correction is performed to reduc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So that the current gear ratio curve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is decreased along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curve.

만약 S240 단계에 의한 판단결과,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킥다운 변속이 정상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보고, 이 경우에는 상기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켜 현재 기어비 커브 역시 기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If the judgment result of the S240 step, the timer value (T) is is within the reference value minus the tolerance added or any time (T1) set in advance, to see that the kick down speed change takes place normally, so the above in the S250 step Keep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at the current state so that the current gear ratio curve is maintained in the existing stat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급가속 의지를 반영한 킥다운 변속 시 풀리 변속비, 즉 기어비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값을 반영하여 기어비를 보상한다. 이에 따라 변속기의 상태나 주변 환경에 따라 변속이 지연되거나 급격히 진행되어 발생하는 가속감 저하나 변속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the kick-down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of the pulley transmission ratio, that is, the gear ratio during the kick-down shift reflecting the driver's rapid acceleration will be performed, Compens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eleration feeling or a shift shock which occurs due to a delay or a sudden shift of the shif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즉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통해 기어비의 변화가 큰 변속상황(급가속 조작에 따른 킥다운 변속)에서 주행 상태나, 풀리와 벨트의 접촉면 마모와 같은 노후화로 인하여 변속이 늘어지거나 빨라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변속기가 노후 되더라도 운전자에게 만족스러운 가속성능과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by learning the kick-down gear rati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the shift is elongated or accelerated due to aging such as running state or wear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ulley and the belt in a shift state in which the change of the gear ratio is large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tisfactory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a shift feeling to the driver even if the transmission is aged over time.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12 : 정보 수집부
14 : 판단부
16 : 제어부
18 : 기어비 커브 저장부
10: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12: Information collecting section
14:
16:
18: Gear ratio curve storage unit

Claims (13)

가속페달 조작에 비례하여 기어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기(CVT)를 탑재한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을 판단부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가 제공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개시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에 전달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고,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어비 학습을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알고리즘은, 차량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되는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T)을 기준 값(T1)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A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equipped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in which a gear ratio continuously changes in proportion to an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An information collecting par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learning mode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for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judging part;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outputting a learning start signal for the gear ratio learning when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s satisfied, And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learning start signal from the determination unit and proceeds with the gear ratio learning using a learning algorithm for learning the gear ratio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learning start signal,
The learning algorithm includes a step of capturing a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according to a vehicle state and determining a time period T until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correct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학습모드 진입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는, 급가속을 위한 킥다운 변속의 개시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로서 가속페달 변화 및 목표 기어비 변화량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상기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 현재의 차량 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earning mode is enter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s information on the acceleration pedal change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kick down shift for rapid acceleration is starte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rrent vehicle stat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when the accelerator pedal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R s ) Wherein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i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판단부로부터 학습개시신호를 전달받은 시점부터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학습모드로 전환 후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learning mode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to the learning mode for learning the gear ratio, and performs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using an arbitrary learning algorithm after switching to the learning mode. Of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 알고리즘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와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제1 프로세스;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프로세스;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상기 제1 프로세스에 의한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프로세스;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으로부터 획득하고, 타이머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는 제4 프로세스; 및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을 막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되는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상기 제4 프로세스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제5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arning algorithm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comprises:
Capture the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by the gear ratio (current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start of learning mode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position, vehicle speed, and load state at the learning mode entry point, ;
A secon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a condition for maintaining a learning mode during learning;
A thir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by the first process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holding condition during learning in progress;
(Timer value, T)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from the timer operation time when the current gear ratio is determined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sets the timer value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Gt; T1) < / RTI > And
And a fifth process of correcting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which is set to a gear ratio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to prevent the shifting shock due to the rapid torque change at the time of kick dow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the fourth process And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of the continuously-variable shifting type vehic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에서는,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econd proc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d value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accelerator pedal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the learning in progress, Is less than a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is satisfied.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And the learning mode is forcibly terminated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does not satisfy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크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이 수행되고,
상기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으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이 수행되며,
상기 제4 프로세스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제5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fourth process, if the timer value (T)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1), correc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in the fifth process,
In the fourth process, if the timer value (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1), correction is performed to reduc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n the fifth process,
If the timer value T in the fourth process is within an error rang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rbitrary time to a previously set reference value T1, the fifth process maintains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at the current state A kick down gear ratio learning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가속페달 조작에 비례하여 기어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무단변속기(CVT)를 탑재한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 또는 센서들로부터 학습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로부터 현재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00);
S100 단계를 통한 판단결과 차량의 현재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위한 학습모드로 전환하고 임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킥다운 기어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알고리즘은, 차량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되는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T)을 기준 값(T1)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A method of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equipped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 ) in which a gear ratio continuously changes in proportion to an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A step (S100) of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an learning mode from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or sensors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current vehicle satisfies a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If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 , switching to a learning mode for learning a kick-down gear ratio and performing a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using an arbitrary learning algorithm (step S200 ) ≪ / RTI >
The learning algorithm includes a step of capturing a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according to a vehicle state and determining a time period T until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converges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correcting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100 단계에서의 학습모드 진입 조건은,
킥다운 변속을 만족하는 조건으로서, 가속페달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A s )보다 크고 목표 기어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값(R s )보다 큰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earning mode entry condition in step S100 is,
And the kick-down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variable shifting vehicle is a condition satisfying the kick-down shift, wherein the acceleration pedal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s ) and the target gear ratio change amount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R s ) Learning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의 기어비(현재 기어비)와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가속페달 조작 위치와 차량 속도, 그리고 부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기어비를 캡쳐(Capture)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S210);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를 유지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페달 조작에 따라 상승된 현재 기어비가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현재 기어비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에 수렴하기까지 걸린 시간(타이머 값, T)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과 비교하는 단계(S240); 및
킥다운 시 급속한 토크 변화로 인한 변속충격을 막기 위해 상기 목표 기어비보다 낮은 기어비로 설정되는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상기 S240 단계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 다른 양태로 보정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operation S200 ,
Capture the target gear ratio determined by the gear ratio (current gear ratio)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t the start of learning mode and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position, vehicle speed, and load state at the learning mode entry point, ( S210 );
( S220 )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a condition for maintaining a learning mode during learning;
A step S2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ratio rais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 S240 ) comparing the time taken to converge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timer value, 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gear ratio has converged to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 value; And
( S250 ) correcting the slope of the restricted target gear ratio, which is set to a gear ratio lower than the target gear ratio, in order to prevent a shift shock due to a rapid torque change at kick dow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btained in step S240 Wherein the kick-down gear ratio learning method of the continuously-variable shifting vehicle compris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220 단계에서는,
가속페달이 학습모드 진입시점의 조작상태로 유지되거나, 학습진행 중 운전자 의지에 따라 변화된 가속페달의 위치 값이 설정 값 이상이고 변화된 가속페달에 위치에 대응되는 목표 기어비와 상기 목표 기어비 캡쳐 값의 차이가 설정 값 이내인 경우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operation S220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gear ratio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target gear ratio captured value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accelerator pedal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s intention during the learning in progress, Is less than a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mode maintaining condition is satisfied.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학습진행 중 차량의 조작상태가 상기 학습모드 유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학습모드를 강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And the learning mode is forcibly terminated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during learning does not satisfy the learning mode maintenance condi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크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행하고,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보다 작으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행하며,
상기 S240 단계에서 타이머 값(T)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T1)에 임의 시간을 더하거나 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S250 단계에서 상기 제한 목표 기어비의 기울기를 현재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 차량의 킥다운 기어비 학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timer value 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1 set in advance, step S250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timer value 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1 set in advance, step S250 is performed to reduce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0 that the timer value T is within an error rang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rbitrary time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1,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slope of the limited target gear ratio in the current state in step S250. How to Learn the Kickdown Gear Ratio of a Vehicle.

KR1020160167960A 2016-12-09 2016-12-09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KR101917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60A KR101917376B1 (en) 2016-12-09 2016-12-09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60A KR101917376B1 (en) 2016-12-09 2016-12-09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56A KR20180066756A (en) 2018-06-19
KR101917376B1 true KR101917376B1 (en) 2018-11-09

Family

ID=6279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960A KR101917376B1 (en) 2016-12-09 2016-12-09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482B1 (en) * 2019-12-10 2021-06-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Kick down shift immediately primary pulley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of CV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854A (en) * 2002-12-06 2004-07-02 Nissan Motor Co Ltd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332878A (en) 2003-05-09 2004-11-25 Toyota Motor Corp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025054B2 (en) 2001-10-26 2007-12-1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8232393A (en)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Shift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5232345A (en) 2014-06-09 2015-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27A (en) * 1984-06-22 1986-01-14 Oval Eng Co Ltd Gas blending apparatus
JP3460573B2 (en) * 1998-04-08 2003-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vehicl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384006B1 (en) * 2001-06-05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shift controling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KR100460902B1 (en) 2002-09-05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pully ratio control system o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054B2 (en) 2001-10-26 2007-12-1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183854A (en) * 2002-12-06 2004-07-02 Nissan Motor Co Ltd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332878A (en) 2003-05-09 2004-11-25 Toyota Motor Corp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8232393A (en)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Shift control device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5232345A (en) 2014-06-09 2015-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56A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7152B1 (en) Vehicle engine control apparatus
JP4994794B2 (en) Vehicle cruise control device
JP2009513896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otive powertrain with a drive machine and a transmission
US6513610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624829B2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6640179B2 (en) Vehicle drive force control
US6560522B2 (en) Driving force control apparatus
JP4862742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US66225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0533656B2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44887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1917376B1 (en) Kick down Gear ratio studying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
JP2010209982A (en) Shift speed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1013789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4016822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1796057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087380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082943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070044019A (en) Method for controlling gear change during shifting rule or variogram switching
JP3752924B2 (en) Gearless shock reduction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735656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2250123B1 (en) Limited target gear ratio learning method of CVT
JP497783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speed control device
JP2002372143A (en) Transmission controlle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419967B2 (en) Step-up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