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190B1 -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 Google Patents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190B1
KR101916190B1 KR1020170117349A KR20170117349A KR101916190B1 KR 101916190 B1 KR101916190 B1 KR 101916190B1 KR 1020170117349 A KR1020170117349 A KR 1020170117349A KR 20170117349 A KR20170117349 A KR 20170117349A KR 101916190 B1 KR101916190 B1 KR 10191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irculation
information
spati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건
Original Assignee
이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건 filed Critical 이재건
Priority to KR102017011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ystem. The system comprises: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topography of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absorption of the air circulation system in need of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ystems based on the generated space topography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ystems forming an air circulation ring in the indoor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The space topography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located within the indoor space.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살균, 정화, 가습, 순환 및 대류 등을 통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by sterilizing, purifying, humidifying, circulating, To an air circulation system.

깨끗한 공기, 균일한 온도 및 적정한 습도는 실내 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다만,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실외 공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도 다양한 형태의 유해물질, 미세 먼지, 세균 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유해물질, 미세 먼지, 세균 등에 노출된 상태로 시간을 보냄으로서 건강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 등은 인체에 축적되거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면역성을 약화시키고, 만성기관지염, 폐기능손상 등을 야기하는 등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며, 각종 전염성 질환을 일으키고,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Clean air, uniform temperature and proper humidity are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indoor environment. However,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various forms of harmful substances, fine dusts, and bacteria are increasing not only in the outdoor space but also in the indoor space. Therefore, many people are threatened with health by spending time with such harmful substances, fine dusts, and bacteria exposed. These harmful substances accumulate in the human body or directly affect the immune system, weakening the immune system, causing chronic bronchitis, causing damage to the lungs, etc., causing various diseases, causing various infectious diseases, life threatening factors .

이에 따라, 최근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머무르는 실내 공간에 공기 청정기를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오염을 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그 구조상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Accordingly,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recently installed air purifiers i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y stay. Such an air cleaner is used as means for purifying indoor air pollu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effectively purify indoor air due to its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도 1과 같이,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간(800)에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11,12), 흡입된 공기의 정화, 정화된 공기의 배출(13)을 수행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특징과 성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국부 영역(810)을 정화시키는 정도이고, 내용상 매우 복잡한 형태로 존재하는 실내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시키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roblem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us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air cleaner is disposed in an indoor space 800 and includes air inlets 11 and 12,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is capable of purifying the local region 810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the room air,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door air existing in a very complicated form can not be purified more effectively.

최근에는, 사람들이 집,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공기질 관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s people spend more time in an enclosed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ffice, or the like. Therefore, consumers are increasingly demanding means for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managing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전체 영역을 순환하는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고,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를 기초로 실내 공간의 대기질을 관리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irculation loop circulating the entire area of an indoor space by us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quality,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간의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공간 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실내 공간 전체 영역의 공기질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irculation loop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spatial terrain information, dust amount information, an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of an indoor spa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air circulation loop,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which can b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manag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에 조명 기능, 스피커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대기질 관리와 동시에 실내 공간에 반드시 필요한 조명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a speaker function that are indispensable for an indoor space while simultaneously managing an air quality of an indoor space by adding a lighting function and a speaker function to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 및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systems An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on device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devices, and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for forming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And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실내 공간의 지형을 측정하여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상기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measures the topography of the indoor space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apparatus is installed to generat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may generate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by mapping the received spatial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ed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또한,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판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and to determine,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requires intermediate control.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판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objec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시간 단위로 획득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를 분류하고, 상기 제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ler may classify a moving object and a non-moving object based o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obtained in units of time, An air discharge intensity of an air circulation device requiring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an air discharge amount of an air discharge device for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device are controlled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Direction of the target.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generates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ust amount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increase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at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or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pparatus can be controlled to be increased.

또한,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의 열이 공기 순환 고리에 의하여 정체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acquires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space and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control unit based on the obtaine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so that the heat of the indoor space is circulated without being stagnated by the air circulation loop,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the circulation apparatuses.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열을 분산시키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classifies the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column based on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o as to disperse the heat in different ways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은,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indoor air quality us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on an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and controlling, by usi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Forming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space, and the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may includ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ing may include: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using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object,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the apparatuses.

또한,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and controlling the air intak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having the dust amount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value or higher to increas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air intake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o be increased when th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그리고,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에 따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열을 분산시키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classifying a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column and a second column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column based on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o as to distribute heat in different ways for each region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position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공기 순환 장치 및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의 제어에 따라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되,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where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generates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for an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on device that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exhaust and air suction, and forms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in conjunction with an air discharge function and an air suction function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에 의하여 상기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on device requiring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An air circulation loop may be formed in the space by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 공간 전체 영역을 순환하는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전체의 공기를 빠르고 쾌적하게 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mfortably clean the entire air in the indoor space by forming the air circulation loop circulating the entire space of the indoor space.

또한, 실내 공간에 위치한 사람, 가구 등의 객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공기가 객체에 부딪혀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기 어려웠고,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furniture located in the indoor space, the air hits the object and spreads in all directions,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n air circulation ring. In the case of a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So that the air circulation loop can be effectively form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an be managed.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및 공기 배출에 따라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는 미세 먼지가 움직임을 만들어 실내 공간의 소정 영역에 쌓이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장치 주변에 위치한 미세 먼지를 더욱 강하게 흡입 및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미세 먼지 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모두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선택하여 흡입 세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력을 효과적으로 소비하며 실내 공간의 미세 먼지 양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according to the air suction and the air discharge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can make the fine dust move and prevent the air dust from accumula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ndoor spac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ne dus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pparatus can be more strongly sucked and cleaned, so that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can be effectively lowered. In particular, rather than increasing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he suction strength is adjusted by selecting a part of the air suction apparatuses, thereby effectively consuming electric power and reducing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또한, 실내 공간에 위치한 사람에게 직접 공기를 가하게 되면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직접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키고, 사람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근처에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내 공간의 공간 열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air is directly applied to a person located in the indoor space, the person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air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ersing heat by discharging air directly to the area where heat is generated, by dispersing heat by discharging air near the area where heat is generated by a person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At the same time, air circulation rings can be formed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 공간의 대기질 관리와 동시에 실내 공간에 반드시 필요한 조명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itably use the indoor space by performing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peaker function that are indispensable to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to the air quality management of the indoor sp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에서 열이 발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blem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us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iming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dust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heat is generat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colum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6 are views showing UI screens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on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the structure.

따라서,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flow diagrams, state transitions, pseudo code, etc. are representative of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depicted in the processor or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200-N : 200)을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1 to 200-N can do.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제어 장치(2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제어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을 제어하는 것은 공기 배출 세기의 제어, 공기 배출 방향의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을 제어하는 것은 공기 흡입 세기의 제어, 흡입된 공기에 대한 정화 여부(예를 들어, 필터링 등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것인지 여부)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es 200. [ More specificall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es 200 that need to be controlled, and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exhaustion and the air intake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apparatus. Here,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may include control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control of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the like. And, controlling the air suction may include control of the air suction intensity, control of whether the air is sucked in air (for example, whether to purify the sucked air through filtering or the like), and the like.

한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of air and the suction of ai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3에 도시된 실내 공간(800)는 방이나 건물 등의 안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하고, 방이나 건물 밖에 형성된 실외 공간과 구별될 수 있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he indoor space 800 shown in FIG. 3 means a space formed in a room or a building,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a room or an outdoor space formed outside the building.

이러한 실내 공간(8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800)의 상부의 좌측에는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 및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가 설치되고, 상부의 우측에는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 및 제4 공기 순환 장치(200-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의 중간에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제어 장치(200) 각각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순환 장치(200)와 동일하게 공기 흡입 및 공기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door space 800 may includ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1 and a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are install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indoor space 800,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side, A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3 and a fourth air circulation device 200-2.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art. 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and the air su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controllers 200. 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perform the air suction and air discharge functi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이러한 도 3의 예시에 따르면,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는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는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고,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는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고,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는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고,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에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3,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is configured to circulate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4,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indoor space 800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can be sucked in.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discharges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1,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100 and the indoor space 80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device 200-3 can be sucked. The thir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3 discharges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indoor space 80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device 200-4 can be sucked. The fourth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4 discharges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s of the thir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3,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indoor space 800,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device 200-1 can be suck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는 도 3의 화살표에 도시된 형태로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n air circulation loop may be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where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rrow shown in FIG.

한편, 도 3의 예시에서는 공기 순환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순환 장치(200) 가 실내 공간(8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순환 장치(200)는 실내 공간(800)의 상부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간(80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순환 장치(200)가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면,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 순환 장치(200)는 바닥면을 향하여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의 타측에 설치된 공기 순환 장치(200) 및 실내 공간(80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순환 장치(200)를 향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3, the air circulating device 200 performing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8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performing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may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800 but also on the floor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2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800 discharges air toward the floor,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800 has a bottom surface And sucked air is purified to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800 and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space 800 The purified air can be discharged.

또한, 도 3의 예시에서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공기 순환 장치(200)에 대한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공기 흡입 및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흡입 및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 기능 없이 공기 순환 장치(200)에 대한 제어 기능만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흡입 및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순환 장치(200)가 설치된 실내 공간(800)과 같은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에 설치되거나 또는 동일한 공간(8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3,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performs an air circulation function such as air intake and exhaust as well as a control function f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it performs only a control function f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without an air circulation function such as air intake and exhaust. In this case, sinc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such as air intake and exhaust, it can be out of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For exampl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a space other than a space such as the indoor space 800 where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is installed, or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space 800.

한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 및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ha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es 10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th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It is possible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that need to be controlled and to control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intake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apparatuses.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800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is installed And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device.

또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 대한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lso includes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based on the amount of dust on the indoor space 800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is installed And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device.

또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 내 열이 정체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elects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requiring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so that the heat in the space is circulated without stagnation based on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한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공기 순환 장치(200) 제어 동작시,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 및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한 제어가 1 순위이고,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한 제어가 2 순위라고 판단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한 공기 순환 장치(200)의 제어를 먼저 수행한 후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한 공기 순환 장치(2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th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each of the column information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based on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is first and that the control based o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is seco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perform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nd then control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spatial spatial information.

이러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를 어떤 모드로 동작시키는지에 따라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에 의하여 실내 공간(800)에 형성될 공기 순환 고리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air circulation loop to be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by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in which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operates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에는 공기 정화 기능, 조명 기능, 및 스피커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에 구비된 공기 정화 기능, 조명 기능, 및 스피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a speaker function. 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purifying function, the lighting function, and the speaker function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이하에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공기 순환 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 전원 공급부(170), 제어부(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a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a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A supply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80. [

저장부(11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부(130,140,150,160)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비교이 기준이 되는 임계값 등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10 stores variou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data and programs such as a program for the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s 130, 140, 150 and 160, a threshold to be a reference for comparison, and the like.

여기서 저장부(1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Herei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A memory card, or the like, as well as a detachable typ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memory.

통신부(12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순환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nabl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 Accordingly,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10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to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또한, 통신부(12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기기(500) 또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서버 장치(6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기기(5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에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기기(500)에 공기 순환 제어 자치(10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 기기(50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 순환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500 or betwe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server apparatus 600. The user terminal device 50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 wearable device . When the remote user inputs data for controlling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o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user, the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apparatus 50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received data.

여기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or wiredly communicating with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n Internet network, a USB interface module for communicating via a USB (Universal Serial Bu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acc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LTE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전원 공급부(1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y power to the functional units constituting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한편,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의 생성, 분석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의 동작은 공간 지형에 대한 감지(sensing) 수단이 어디에 구비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은 실내 공간의 모양이나 형상, 실내 공간에 위치한 객체들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일 예로, 소리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음파로 실내 공간에 대한 지형을 센싱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such as generation and analysis of spatial terrain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800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is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ere the sensing means for spatial terrain is provided. Here,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is means for sensing the shape and shape of the indoor space, the position and the shape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and for example, the sound is a sound wave coming back from the object, And an ultrasonic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ultrasonic wave.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공간 지형에 대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Whe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sensing means for spatial topography>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는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공간의 지형을 측정하여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의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가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경우,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은 장치(200-1)의 위치에서 측정된 제1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은 장치(200-2)위치에서 측정된 제2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며,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은 장치(200-3)위치에서 측정된 제3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며,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은 장치(200-4)위치에서 측정된 제4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은 생성된 제1 내지 제4 공간 지형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ing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may measure the topography of the space based on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apparatus and generate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For example,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200 of FIG. 3 are provided with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apparatus 200-1 And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of the second air circulator 200-2 generates the secon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measured at the location of the device 200-2, and the third air circulation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of the device 200-3 generates the thir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measured at the location of the device 200-3 and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of the fourth air circulator 200-4 is the device 200 -4) &lt; / RTI &gt; location. The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to fourth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설명하면,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200-2,200-3,200-4) 각각 위치에서 측정된 공간 지형 정보는 측정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 대한 지형을 표출하는 정보라고 하더라도 공간에 대한 지형이 다르게 데이터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의 설치 위치값을 기준으로 제1 공간 지형 정보에서 실내 공간에 위치한 객체들의 위치 및 형상 등을 보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제2 공간 지형 정보, 제3 공간 지형 정보 및 제4 공간 지형 정보 각각에 대해서도 장치(200-2,200-3,200-4) 위치값을 기준으로 공간 지형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보정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generate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y mapping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ceived from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air circulation apparatus is installed. 3, since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1, 200-2, 200-3, and 200-4 has different measurement positions, even if the information expresses the terrain for the same spac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terrain for the space is differently dataized. Accordingly,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correc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in the first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value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In addition,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values of the devices 200-2, 200-3, and 200-4 for the second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the third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Correction can be performed.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generat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by combining the corrected data.

이러한 공간 지형 정보는,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공간 지형에 대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the sensing means for the spatial topography >

한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도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s well as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may include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In this case,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not only receives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ors 200, but also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ference measured by the spatial topographical sensing means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can be generated by integrating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공간 지형에 대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in which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has sensing means for spatial terrain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실내 공간(800) 중앙 상부에 설치된 경우와 같이 하나의 센서로 실내 공간의 지형을 감지할 수 있는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만이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공간 지형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detect the topography of the indoor space with one sensor, as in the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door space 800, Only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generat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by using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measured by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have.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Lt; Case where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나 공기 순환 장치(200)의 일 모듈로 구현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실내 공간(800)이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공기 지형 감지 수단으로부터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atial terrain sensing means is not implemented as one module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ut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receives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ed position from the air topographic sensing means, and calculates the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space 800 using the received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한편,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 내에 위치한 객체들의 실내 공간(800)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시간 주기로 획득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실내 공간(800) 내에 위치한 객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를 사람, 애완동물 등과 같은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가구, 시설물 등과 같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공간 지형 정보로부터 분류된 객체들 각각의 실내 공간(800) 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in the indoor space 800 using the generated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detects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from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cquired in a time period, and detects the detected objects as a moving object (e.g., a moving object And non-moving objects such as furniture, facilities, and the like.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each of the objects classified from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 the indoor space 800.

이 경우, 제어부(180)는 판단된 객체들의 위치를 기초로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selects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determined objects,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intensity and an air exhaust direc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requiring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또한, 제어부(180)는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에 대해서는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모션 벡터를 기초로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having motion, and calculates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vect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device can be generated by selecting an air circulation device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The control unit 180 can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requiring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이러한 공간 지형 정보에 기초한 공기 배출의 제어 과정에서도,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의 흡입 및 흡입된 공기의 정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800)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perform an air suction and a purge operation of the sucked air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800.

실내 공간(800)에 위치한 사람, 가구 등의 객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공기가 객체에 부딪혀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기 어려웠고,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furniture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it is difficult to form an air circulation ring because the air hits the object and spreads in all directions. In the case of a person, air is directly applied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So that the air circulation loop can be effectively form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an be managed.

한편,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 대한 미세 먼지 양 정보의 생성, 분석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의 동작은 먼지 양 감지(sensing) 수단이 어디에 구비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양 감지 수단은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공기에 빛을 쏘고, 미세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의 양을 수광 소자에서 검출하여 공기 중의 미세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의 미세 먼지 센서일 있다. Meanwhil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such as generation and analysis of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800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is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ere the dust amount sensing means is provided. Here,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s a fine dust sensor which measures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air by using a light source such as LED to shoot light in the ai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the fine dust 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have.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는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먼지 양을 측정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의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가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한 경우,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의 먼지 양 감지 수단은 장치(200-1)의 위치에서 측정된 제1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의 먼지 양 감지 수단은 장치(200-2) 위치에서 측정된 제2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며,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의 먼지 양 감지 수단은 장치(200-3)위치에서 측정된 제3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며,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의 먼지 양 감지 수단은 장치(200-4)위치에서 측정된 제4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은 생성된 제1 내지 제4 먼지 양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ing the dust amount sensing means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ust amount based on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200 of FIG. 3 are provided with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of the first air circulating apparatus 200-1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apparatus 200-1 The dust amount detection means of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generates the second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apparatus 200-2,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of the apparatus 200-3 generates the third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apparatus 200-3 and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of the fourth air circulating apparatus 200-4 is the apparatus 200 -4 &lt; / RTI &gt; position. The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to fourth dust amount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설명하면,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200-2,200-3,200-4) 각각 위치에서 측정된 먼지 양 정보를 서로 다를 수 있기에, 해당 장치(200-1,200-2,200-3,200-4)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먼지 양 정보를 장치(200-1,200-2,200-3,200-4)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수신된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평균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based on the dust am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 3, the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1, 200-2, 200-3, and 200-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apparatuses 200-1, 200-2, 200-3, The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for each of the devices 200-1, 200-2, 200-3, and 200-4 may be match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s 200-1, 200-2, 200-3, and 200-4. Alternatively,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may generate averag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by integrating the received dust amount informatio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공간 지형에 대한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the sensing means for the spatial topography >

한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도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먼지 양 정보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먼지 양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s well as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may include a dust amount detection means. In this cas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calculates the amount of dus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as well as the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engine 800.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만이 먼지 양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먼지 양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먼지 양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n this cas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using the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먼지 양 감지 수단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Lt; Case where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먼지 양 감지 수단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나 공기 순환 장치(200)의 일 모듈로 구현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실내 공간(800)이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는 먼지 양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먼지 양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amount sensing means is not implemented as one module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ut is realized as a separate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can receiv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and generate the dust amount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800 based on the received dust amount information.

한편, 제어부(180)는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해당 위치에서 측정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여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기기로부터 획득된 미세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평균 먼지 양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80 selects an air circulation device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200 based on the dust amou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oltage to be increased. The control unit 180 can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requiring contro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increase the air suction intensity by selecting the air circulation device having the dust amount measur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s 200 to b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verage dust amount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devices As shown in FIG.

한편, 제어부(180)는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공기 흡입 세기를 높임에 따라 실내 공간(800)의 미세 먼지 양이 감소하는 경우,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세기를 디폴트 세기로 낮출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amou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is continuously secured and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800 decreases as the air suction intensity is increased,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bag 200 can be reduced to a default intensity.

이러한 미세 먼지 양에 기초한 흡입 세기 조절에 따라,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장치 주변에 위치한 미세 먼지를 더욱 강하게 흡입하여 정화시킴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실내 공간(800)에 배출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suction intensity based on the amount of fine dust,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increases the air suction intensity so as to more strongly suck and purify the fine dus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pparatus, and simultaneously discharges the sucked air into the indoor space 800 can do.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및 공기 배출에 따라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는 미세 먼지가 움직임을 만들어 실내 공간(800)의 소정 영역에 쌓이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장치 주변에 위치한 미세 먼지를 더욱 강하게 흡입 및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800)의 미세 먼지 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선택하여 흡입 세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력을 효과적으로 소비하며 실내 공간(800)의 미세 먼지 양을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ir suction and air discharge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can prevent the fine dust from moving and accumula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ndoor space 800,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pparatus 200 can be increased to more strongly attract and purify the fine dus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pparatus, so that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side space 800 can be effectively lowered. In particular, rather than increasing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the suction strength is adjusted by selecting a part of the air suction force, thereby effectively consuming electric power and reducing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800 .

한편,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의 생성, 분석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의 동작은 공간 열 감지(sensing) 수단이 어디에 구비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일 예로 열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such as generation and analysis of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space 800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00 is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ere the spatial thermal sensing means is provided. Here,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may be implement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takes an image using heat, for example.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space heat sensing means >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는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공간 열을 측정하여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의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가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한 경우,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의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장치(200-1)의 위치에서 측정된 제1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의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장치(200-2)위치에서 측정된 제2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하며,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의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장치(200-3)위치에서 측정된 제3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하며,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의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장치(200-4)위치에서 측정된 제4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은 생성된 제1 내지 제4 공간 열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t least one air circulation apparatus having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may generate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measuring the spatial heat based on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when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of FIG. 3 are provided with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apparatus 200-1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of the second air circulator 200-2 generates the secon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device 200-2,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of the device 200-3 generates the thir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measured at the position of the device 200-3 and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of the fourth air circulation device 200-4 is the device 200 -4) &lt; / RTI &gt; pos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first to fourth spatial stream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공간 열 처리부(150)는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최종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 열 처리부(150)는 제1 공간 열 정보 뿐만 아니라 제2 공간 지형 정보, 제3 공간 지형 정보 및 제4 공간 지형 정보 각각에 대해서도 장치(200-1,200-2,200-3,200-4) 위치값을 기준으로 공간 열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는 보정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patial thermal processing unit 150 may generate spatial spatial information by mapping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ceived from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Specifically, the spatial thermal processing unit 150 obtains the position values of the devices 200-1, 200-2, 200-3, and 200-4 for each of the second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the third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fourth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the first spatial column information The correction of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can generate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the interior space 800 by integrating the corrected data.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가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e the space heat sensing means >

한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도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공간 열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not only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but als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In this case,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may include spatial colum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as well as spatial colum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ference measured by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pace column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Lt; Case wher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is equipped with the space heat sensing means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실내 공간(800) 중앙 상부에 설치된 경우와 같이 하나의 센서로 실내 공간의 열 감지할 수 있는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만이 공간 열 감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공간 열 감지 수단에서 측정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door space 800, if the indoor space can be sensed by one sensor, onl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spatial heat sensing means. In this case,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can generate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800 using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measured by the spatial thermal sensing unit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ler 100 have.

<공간 열 감지 수단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Lt; Case where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공간 열 감지 수단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나 공기 순환 장치(200)의 일 모듈로 구현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실내 공간(800)의 일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간 열 정보 처리부(150)는 공간 열 감지 수단으로부터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열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heat sensing means is not implemented as one module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u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from the spatial thermal sensing means, and uses the received spatial colum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calculate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the interior space 800 Can be generated.

한편, 공간 열 정보 처리부(130)는 생성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 열 정보 처리부(130)는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해당 영역이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인지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인지, 또는 기타의 제3 열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열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분류된 영역들의 실내 공간(800) 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classify the first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heat and the second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heat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detects column regions from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of the detected regions, the region is divided into a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2 column region, or other third column region.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assified areas in the indoor space 800.

이 경우, 제어부(180)는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영역 별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열을 분산시키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so as to disperse the heat in different ways, can do.

구체적으로, 제1 열 영역의 열이 분산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로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열 영역의 열이 분산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heat of the first column area to be dispers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air discharg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ng device which need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devices of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area, And the discharge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row region is controlled to be disperse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air discharge intensity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o be controlled to be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row region, At least one of them can be controlled.

이러한 공간 열 정보에 기초한 공기 배출의 제어 과정에서도,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의 흡입 및 흡입된 공기의 정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800)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based on the spatial heat informatio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perform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air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sucked air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800.

즉, 실내 공간(800)에 위치한 사람에게 직접 공기를 가하게 되면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직접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키고, 사람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근처에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내 공간(800)의 공간 열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air is directly applied to a person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the person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air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problem is solved by dispersing heat by discharging air directly to a region where heat is generated by a machine or the like and by discharging air to a region where heat is generated by a person or the like to disperse heat. 800) and at the same time air circulation loop can be formed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유량 정보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800)에는 공기 순환 고리의 유량을 측정하는 공기 유량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공기 유량 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유량 정보를 기초로 공기 순환 고리의 유량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량 정보는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flow rat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Specifically, the indoor space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ir flow rat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air circulation loop.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air circulation loop based on the air flow r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ir flow rate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flow rate needs to be adjusted, You can control one. Here, the air flow rate information may include air flow rate information and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3. FIG.

한편, 제어부(18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미세 먼지 양 정보 처리부(140),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50), 공간 열 정보 처리부(160), 전원 공급부(170), 제어부(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ler 10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8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0, a spatial topolog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50, a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60, a power supply unit 170, All or a part of the control unit 180 can be controlled.

특히, 제어부(18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control unit 180 can select the air circulation device requiring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200, and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device .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apparatus.

또한, 제어부(180)는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 정보,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기 순환 고리의 유량 정보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지형 정보와 공간 열 정보 둘 사이의 관계에서는 공간 열 정보를 1 순위로 판단하고, 공간 지형 정보를 2 순위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loop for the indoor space 800 and the air circulation loop for the indoor space 800, And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order.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s a first rank and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as a second rank.

즉, 실내 공간(800)에 객체들이 위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 공간 열 정보에 기초한 공기 순환 제어는 해당 객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공간 지형 정보에 기초한 공기 순환 제어는 해당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실내 대기질의 쾌적성 측면에서, 실내 공간의 열을 주위로 퍼지게 한 후에 공기를 순환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좋아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bjects are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and heat is generate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based on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controls air to be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a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based o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So that air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fort of the indoor air quality, the effect of circulating the air after spreading the heat of the indoor space around can be further improv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의 열이 정체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공간 열이 확산되었음이 공간 열 감지수단에 의하여 확인되면, 제어부(180)는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판단하고,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control the air circulation device, which is required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so that the heat of the indoor space 800 is circulated without stagnation,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can be controlled. If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determines that the spatial heat is spread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spatial topograph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한편, 위의 예시에서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공기 순환 장치(200)에 대한 제어 기능 만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흡입 및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을 위한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exampl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performs only the control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also perform functions for air circulation such as air intake and exhaus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흡입, 배출 및 정화 등과 같은 공기 순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4에 따른 기능에 추가로 공기 흡입부(191), 공기 배출부(192), 팬 구동부(193) 및 공기 정화부(1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take unit 191, an air exhaust unit 192 (not shown) , A fan driving unit 193, and an air purifying unit 194, as shown in FIG.

팬 구동부(193)는 전원 공급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팬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팬은 공기 흡입부(191) 및 공기 배출부(192)이 동작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부(191)는 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 공간(800)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정화부(194)는 다양한 정화 방식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192)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8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The fan drive unit 193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70 to drive the fan, and the driven fan can operate the air suction unit 191 and the air discharge unit 192. That is, the air suction unit 191 can suck air in the indoor space 800 by driving the fan. The air purifier 194 can purify the inhaled air using various purifying methods. The air discharge unit 192 can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indoor space 800.

여기서, 공기 정화부(194)는 다양한 공기 정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정화부(194)에는 필터방식, 음이온방식, 대전에 의한 집진 방식, 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세척하는 방식, 광촉매를 이용하여 광산화분해반응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실내에 적정한 습도를 제공하기 위한 습도 발생수단, 신선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수단, 음이온 등을 제공하거나 향기 등을 제공하는 수단 등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질 수 있다. Here, the air purifying unit 194 may be applied with various air purifying methods. For example, the air purification unit 194 may be applied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94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such as a filter system, an anion system, a dust collection system by electrification, a method of cleaning air using water, a system using a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reaction using a photocatalyst Humidity generating means for providing appropriate humidity in the room, oxygen generating means for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oxygen, means for providing anion or the like, means for providing aroma, etc.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have.

여기서, 광촉매는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탄을 여러 형태의 기재에 코팅한 구조로서 나노미터 크기의 이산화티탄( TiO2 ) 결정에 380nm 이하의 자외선을 쪼이면 분자 내에서 산화, 환원반응 및 친수성 반응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광촉매 표면에서는 강력한 살균 산화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Here, the photocatalyst is a structure in which nano-sized titanium dioxide is coated on various types of substrates. When titanium oxide (TiO 2) crystal of nanometer size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 of 380 nm or less, oxidation, reduction reaction and hydrophilic reac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molecul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 strong sterilization oxidation can occur.

또한, 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세척하는 방식은 물을 뿌려 샤워막을 형성하거나 판 상의 디스크에 수막을 형성하고 흡입한 공기를 상기 샤워막 또는 수막에 접촉시켜 공기를 여과하는 방식으로, 물은 흡착력과 용해력에 의해 기존의 섬유상 필터구조가 잡을 수 없는 극미세 분진, 유해화학물질, 유해가스, 세균, 악취 등을 흡착 침전시키어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씻어줄 수 있다. The method of washing air using water is a method in which water is sprayed to form a shower film or a water film is formed on a disk on a plate, and air sucked into the shower film or water film is filtered to remove air. By the dissolving power, it is possible to adsorb and precipitate very fine dust, harmful chemical substances, noxious gas, bacteria, odor which can not be caught by the existing fibrous filter structure, and to clean the polluted air cleanly and fresh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기 순환 장치(200)에 대한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공기 흡입 및 배출과 같은 공기 순환을 위한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not only a control function for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ut also a function for air circulation such as air suction and discharge.

한편, 도 4 내지 5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조명 기능이 포함되어 실내 공간(800)에 빛을 방출하거나 스피커 기능이 포함되어 실내 공간(800)에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4 to 5,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ing function to emit light into the indoor space 800 or to include a speaker function, 800). &Lt; / RTI &gt;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순환 장치(200)는 스피커(211), 조명(212), 통신부(220), 공간 지형 감지부(230), 미세 먼지 감지부(240), 공간 열 감지부(250), 전원 공급부(270), 제어부(2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includes a speaker 211, an illumination 212, a communication unit 220, a spatial topography sensing unit 230, a fine dust sensing unit 240, a spatial heat sensing unit 250 ), A power supply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80.

전원 공급부(2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공기 순환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70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y power to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constituting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그리고, 스피커(211)는 전원 공급부(270)를 통해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청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212)은 LED 등과 같이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여 전원 공급부(270)를 통해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211)와 조명(212)의 동작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The speaker 211 can output data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s by us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70. The illumination unit 212 may include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such as an LED, and may emit light using a power source provid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70.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211 and the light 212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

통신부(220)는 공기 순환 장치(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공기 순환 장치(200)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순환 장치(20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복수의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perform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a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ly,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receive control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e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여기서,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220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or wiredly communicating with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n Internet network, a USB interface module for communicating via a USB (Universal Serial Bu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acc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LTE (Long Term Evolutio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공간 지형 감지부(230)는 실내 공간(800)의 모양이나 형상, 실내 공간에 위치한 객체들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감지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지형 감지부(230)는 소리가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음파로 실내 공간에 대한 지형을 센싱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patial topographical sensing unit 230 may generat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by sensing the shape and the shape of the indoor space 800,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and the like. Here, the spatial terrain sensing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sonic sensor that senses the terrain with respect to the indoor space by a sound wave that comes back from a sound when it hits an object.

먼지 양 감지부(240)는 실내 공간(800)에 대한 먼지 양을 감지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양 감지 수단은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공기에 빛을 쏘고, 미세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의 양을 수광 소자에서 검출하여 공기 중의 미세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의 미세 먼지 센서일 있다. The dust amount detecting unit 240 may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indoor space 800 and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Here, the dust amount detecting means is a fine dust sensor which measures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air by using a light source such as LED to shoot light in the ai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the fine dust 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have.

공간 열 감지부(250)는 실내 공간(800)에 대한 공간 열을 감지하여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열 감지 수단은 일 예로 열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patial heat sensing unit 250 may sense spatial heat for the indoor space 800 to generat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Here, the spatial heat sensing means may be implement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takes an image using heat, for example.

한편, 팬 구동부(293)는 전원 공급부(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팬(미도시)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팬은 공기 흡입부(291) 및 공기 배출부(292)이 동작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91)는 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 공간(800)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흡입부(291)의 흡입 세기는 팬 구동부(293)의 구동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정화부(294)는 다양한 정화 방식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292)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 공간(8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292)는 배출 세기는 팬 구동부(293)의 구동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The fan drive unit 293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70 to drive a fan (not shown), and the driven fan enables the air intake unit 291 and the air discharge unit 292 to operate . The air suction unit 291 can suck air in the indoor space 800 by driving the fan. Here, the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suction part 29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driving part 293. The air purifier 294 can purify the sucked air using various purifying methods. The air discharge unit 292 can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indoor space 800. Here, the discharge intensity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29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driving portion 293.

한편, 제어부(280)는 공기 순환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스피커(211), 조명(212), 통신부(220), 공간 지형 감지부(230), 미세 먼지 감지부(240), 공간 열 감지부(250), 전원 공급부(270), 흡입부(291), 배출부(292), 팬 구동부(293), 공기 정화부(29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The control unit 280 includes a speaker 211, an illumination unit 212, a communication unit 220, a spatial terrain sensing unit 230, a fine dust sensing unit 240, a spatial heat sensing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70, a suction portion 291, a discharge portion 292, a fan driving portion 293, and an air purifying portion 294.

특히, 제어부(28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제어 신호가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 기초로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공기 배출부(292) 및 팬 구동부(293)를 제어하여 공기 배출 세기의 제어, 공기 배출 방향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공기 흡입부(291), 팬 구동부(293), 공기 정화부(294)를 제어하여 공기 흡입 세기의 제어, 흡입된 공기에 대한 정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실내 공간(800)에는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control unit 28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control unit 28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and the air suc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air discharge unit 292 and the fan driving unit 293 to control the air discharge intensity, control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air suction intensity and the purge of the suck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ction unit 291, the fan driving unit 293, and the air purifier 294. The air circulation loop may be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또한, 제어부(280)는 공간 지형 감지부(230), 미세 먼지 감지부(240), 공간 열 감지부(2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가 감지되면, 감지에 따른 데이터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280 detects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spatial terrain sensing unit 230, the fine dust sensing unit 240 and the spatial heat sensing unit 250,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ler 1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순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공기 순환 장치(200)들 중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순환 장치의 제1 측면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91)가 형성되고, 제2 측면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 배출구(292-3)이 형성되며, 제1 측면과 제2 측면 모두에 인접한 제3 측면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292-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292-2)가 형성될 수 있다.7 is a view illustrating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1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s 200 of FIG. 3 in more detail. 7, a suction port 291 for sucking indoor air is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a third discharge port 292-3 for discharging sucked air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A first outlet 292-1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is formed on the third side adjacent to both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a second outlet 292-2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

도 3에 설치된 예를 기초로 설명하면,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에서 배출된 공기는 흡입구(291)를 통하여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를 향하여 배출되고, 제1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를 향하여 배출되며, 제2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실내 공간(800)의 바닥면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3,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can be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291.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outlet is discharged toward the fourth air circulator 200-4,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is discharged toward the air circulation controller 100, The ai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800.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기 순환 장치(200-1)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팬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고, 흡입된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 정화부가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3, a fan and a fan driving unit for air intak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and an air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the inhaled air may be installed.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How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은, 먼저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에 따라 선택된공기 순환 장치(200)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for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based o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irst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o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the required air circulation device. Then, an air circulation loop can be formed in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selected air circul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An example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실내 공간의 지형을 측정하여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1). 도 8에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가 측정 및 정보 생성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동작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이 구비된 장치 만이 수행할 수 있다. 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first,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generated by measuring the terrain of an indoor space based on a location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is installed (S101). 8,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perform measurement and information generation. However, this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a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having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는 생성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02).The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spati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102).

그리고,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기준의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3). 구체적으로,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130)는 공기 순환 장치 각각의 설치 위치값을 기준으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실내 공간에 위치한 객체들의 위치 및 형상 등을 보정하고, 보정된 데이터 들을 종합하여 최종 실내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지형 정보는,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generat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y mapping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air circulation apparatus is installed (S103). Specifically,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orrects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values of the respectiv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ynthesizes the corrected data,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Here,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그리고,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04).Th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S104).

그리고,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판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기 순환 장치에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5). 일 예로, 제어하는 단계(S105)는 판단된 객체의 위치를 기초로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시간 단위로 획득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를 분류하고, 제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elects an air circulation apparatus requiring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objec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can be transmitted (S105). For example, the control step S105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which need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rmined object Can be controlled. In another exampl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lassifies a moving object and a non-moving object that are moving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obtained in units of time, The air discharg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requiring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is moved based on the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object, Direction of the target.

그리고, 공기 순환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106). The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106).

이러한 공간 지형 정보에 기초한 공기 배출의 제어 과정에서도,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의 흡입 및 흡입된 공기의 정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800)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perform an air suction and a purge operation of the sucked air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800.

한편, 실내 공간(800)에 위치한 사람, 가구 등의 객체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공기가 객체에 부딪혀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기 어려웠고,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ir is discharged toward an object such as a person or furniture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it is difficult to form an air circulation ring because the air hits the object and spreads in all directions, and air is directly applied to the bod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based on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The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object, thereby solving this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indoor air quality by forming the air circulation loop.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How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based on dust amou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은 먼저 실내 공간에 대한 먼지 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dust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dust amount information on an indoor space, And controlling the air intak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to be controlled to be increased. An example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먼지 양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각각은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1). 도 9에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가 측정 및 정보 생성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동작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먼지 양 감지 수단이 구비된 장치 만이 수행할 수 있다. 9 is a timing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dust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S201). 9,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200 perform measurement and information generation. However, this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an apparatus having the dust detecting means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200 .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는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02).The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dust amount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202).

이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미세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203). 만약, 미세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보다 작은 경우(S203: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먼지 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보다 큰 경우(S203:Y),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4). 일 예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획득된 미세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203). If the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203: 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periodically receive dust amount information from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on a time unit basis. However, if the dust amount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preset value (S203: 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that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to be increased (S204). For exampl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having the dust amount information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so that the calculated amount of dust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can be controlled to be increased.

이 경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공기 순환 장치(200)는 제어에 따라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청정 가속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디(S205).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having received the control signal can perform the clean acceleration operation by increasing the air suct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control (S205).

한편,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은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6).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각각은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07).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generate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S206). The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transmit generated dust amount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S207).

만약,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보다 큰 경우(S208: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공기 순환 장치(200)로부터 먼지 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미세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보다 작은 경우(S208:Y),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세기를 낮추도록 또는 디폴트 흡입 세기로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획득된 미세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낮추도록 또는 디폴트 흡입 세기로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0).If the dust amount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preset value (S208: 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periodically receive dust amount information from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on a time unit basis. However, if the fine dust amount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208: Y),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so as to lower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It can be controlled to adjust to the suction intensity. Or when the amount of dust calculated by combining the obtained amount of fine dus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to lower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210).

이러한 미세 먼지 양에 기초한 흡입 세기 조절에 따라,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장치 주변에 위치한 미세 먼지를 더욱 강하게 흡입하여 정화시킴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실내 공간(800)에 배출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suction intensity based on the amount of fine dust,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increases the air suction intensity so as to more strongly suck and purify the fine dus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pparatus, and simultaneously discharges the sucked air into the indoor space 800 can do.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및 공기 배출에 따라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는 미세 먼지가 움직임을 만들어 실내 공간(800)의 소정 영역에 쌓이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공기 순환 장치(200)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여 장치 주변에 위치한 미세 먼지를 더욱 강하게 흡입 및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800)의 미세 먼지 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모두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선택하여 흡입 세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력을 효과적으로 소비하며 실내 공간(800)의 미세 먼지 양을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ir suction and air discharge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 can prevent the fine dust from moving and accumulat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indoor space 800,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pparatus 200 can be increased to more strongly attract and purify the fine dus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pparatus, so that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side space 800 can be effectively lowered. In particular, rather than increasing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all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the suction strength is adjusted by selecting a part of the air suction force, thereby effectively consuming electric power and reducing the amount of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800 .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Lt; Method of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heat information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공간에서 열이 발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0과 같이, 실내 공간(800)에는 열을 방출하는 다양한 종류의 객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존재하는 영역에도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컴퓨터 등과 같이 발열 수단을 구비한 기기가 있는 영역에도 열이 발생할 수 있다.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heat is generat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various kinds of objects that emit heat may exist in the indoor space 800. For example, heat may be generated in a region where a person is present, and heat may also be generated in a region where a device having a heating means such as a computer is present.

이 경우, 본원 발명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은 먼저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의 열이 정체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cquires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for the indoor space, and controls the air in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acquire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is requir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실내 대기질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1).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ased on spatial colum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spatial column information on the indoor space can be acquired first (S301).

그리고, 생성된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S302). 구체적으로, 공간 열 정보 처리부(130)는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해당 영역이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인지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인지, 또는 기타의 제3 열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열 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분류된 영역들의 실내 공간(800) 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Then, the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column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column information (S302). Specifically,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detects column regions from the spatial colum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of the detected regions, the region is divided into a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2 column region, or other third column region.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assified areas in the indoor space 800.

만약, 분류된 영역이 제1 열 영역인 경우(S303:Y),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로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304). If the classified region is the first column region (Y in S303),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t least one can be controlled (S304).

다만, 분류된 영역이 제1 열 영역이 아니고(S303:N), 제2 열 영역인 경우(S305:Y),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306).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lassified region is not the first column region (S303: N) and the second column region (S305: Y), air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can be controlled (S306).

이러한 공간 열 정보에 기초한 공기 배출의 제어 과정에서도, 공기 순환 장치(200)는 공기의 흡입 및 흡입된 공기의 정화 동작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800)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air discharge based on the spatial heat information,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can perform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air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sucked air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800.

실내 공간(800)에 위치한 사람에게 직접 공기를 가하게 되면 사람 입장에서는 공기가 직접 신체에 가해짐에 따른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르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기계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직접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키고, 사람 등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 영역에는 근처에 공기를 배출하여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내 공간(800)의 공간 열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여 실내 대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If air is directly applied to a person located in the indoor space 800, the person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air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is solved by discharging air directly to an area where heat is generated by a machine or the like and dispersing heat and discharging air to a region where heat is generated by a person or the like to dissipate heat,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spatial heat of the indoor air and to form the air circulation loop and to manage the indoor air quality.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4000)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200-N : 200)와 공기 유량 센서(700)를 포함할 수 있다.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4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irculation controller 100, a plurality of air circulators 200-1 to 200-N 200, And may include a flow sensor 700.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4000)의 기본 동작은 도 2의 시스템과 동일하고, 공기 유량 센서(7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시스템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유량 센서(700)는 공기의 단위 시간당 흐르는 양과 흐름 방향을 감지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40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basic ope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4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ystem of FIG. 2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system of FIG. 2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ir flow sensor 700. Here, the air flow rate sensor 700 can measure the amount of air flowing per unit time and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by sensing the flow direction. The ope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4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이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80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4000)이 설치될 수 잇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간(800)의 상부의 좌측에는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 및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가 설치되고, 상부의 우측에는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 및 제4 공기 순환 장치(200-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의 중간에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공기 순환 장치는 실내 공간(800)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Referring to FIG. 13,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4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800. Specifically,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and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are install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indoor space 800, and the thir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 3 and a fourth air circulation device 200-2 may be installe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art.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can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800.

또한, 실내 공간(800)에서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공기 유량 센서(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와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 사이의 공기 유로에는 제1 공기 유량 센서(700-1)가 설치되고,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와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 사이의 공기 유로에는 제2 공기 유량 센서(700-2)가 설치되고, 제3 공기 순환 장치(200-3)와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 사이의 공기 유로에는 제3 공기 유량 센서(700-3)가 설치되고, 제4 공기 순환 장치(200-4)와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 사이의 공기 유로에는 제4 공기 유량 센서(700-4)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ir flow rate sensor 700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loop is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For example, a first air flow rate sensor 700-1 is installed in the air flow path between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1 and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2 and the thir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3 is provided with the second air flow rate sensor 700-2 and the thir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3 and the fourth air circulation apparatus A third air flow rate sensor 700-3 is provided in the air flow path between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4 and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200-1, 4 air flow sensor 700-4 may be installed.

한편,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기 순환 고리의 일부 영역에만 공기 유량 센서(7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실내 공가(800)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다 더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모드 영역에 공기 유량 센서(7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 200-2, 200-3, 200-4)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사이의 공기 유로에는 공기 유량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에서 바닥면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함에 따라 형성된 공기 유로에는 공기 유량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13, an air flow sensor 700 is installed in only a part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air flow in the indoor air passage 800, An air flow rate sensor 700 may be installed in a mode region where a loop is formed. For example, an air flow rat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air flow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200-1, 200-2, 200-3, and 200-4 an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100. [ An air flow rat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air flow path formed by discharging air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200-1, 200-2, 200-3, and 200-4.

이러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간(800)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700) 각각은 자신의 설치 위치에서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측정하고, 측정에 따른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700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800 measures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at its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by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이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7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센서(700)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공간의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및 공간 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센서(700)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내 공간(800) 내 소정 영역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고려할 때, 해당 영역에는 공기 흐름 양이 소정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고 판단되나, 공기 유량 센서(700)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은 소정 크기 미만인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소정 영역에 공기 흐름 양이 현재 흐름 양보다 커져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700 is installed based on the air flow amount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700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amount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are required to be adjuste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amount of air flow i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700 is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the dust amount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djustment is necessary. For example, when considering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area in the indoor space 800,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air flow should b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orresponding area, but the amount of air flow measured by the air flow sensor 7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at the amount of air flow in a predetermined region should be larger than the current flow amount.

한편,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공간의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및 공간 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센서(700)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the airflow and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need to be adjusted,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and the air su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required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200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air flow amount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700 is installed, and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loop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patial topography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일 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제1 공기 유량 센서(700-1)로부터 수신된 공기 흐름 양 정보를 기초로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에서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 양의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의 공기 배출 세기 및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의 공기 흡입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가 제1 공기 유량 센서(700-1)로부터 수신된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에서 제1 공기 순환 장치(200-1)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제2 공기 순환 장치(200-2)의 공기 배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air flow rate in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is the first air flow rate, based on the air flow amou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ir flow rate sensor 700-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air flow toward the air circulation device 200-1 needs to be adjusted,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e air discharge intensity of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200-2, And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air bag 200-1.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receives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1 in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based on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ir flow rate sensor 700-1, 1,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200-2.

또한, 공기 유량 센서(700)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는 서버 장치(6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 장치(6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300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시스템(3000)은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와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200-1,..200-N : 200)와 사용자 모바일 기기(500)와 서버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flow amount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ir flow rate sensor 7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pparatus 600. [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pparatus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3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3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는 실내 대기질 관리 동작 중에 획득된 정보들을 서버 장치(600)에 전송하고, 서버 장치(600)는 획득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600)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로부터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공간 열 정보, 공기 유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transmits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operation to the server apparatus 600, and the server apparatus 600 can store the obtained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rver apparatus 600 receives spatial geographical information, dust amount information,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nd air flow rate information from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can sto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또한, 서버 장치(600)는 수신된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오염원 농도 정보, 기압 정보, 공간 열 정보 등을 기초로 실내 대기질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또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500)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receive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dust amount information, pollutant concentration information, atmospheric pressure information,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may provide notification to the device 100 or the user mobile device 500.

또한, 서버 장치(600)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700)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센서(700)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또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500)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장치(600)는 실내 공간의 공간 지형 정보, 먼지 양 정보 및 공간 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센서(700)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내 공간(800) 내 소정 영역에 대한 공간 열 정보를 고려할 때, 해당 영역에는 공기 흐름 양이 소정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고 판단되나, 공기 유량 센서(700)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은 소정 크기 미만인 경우, 서버 장치(600)는 소정 영역에 공기 흐름 양이 커져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server device 600 also calculates the amount of airflow i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700 is installed based on the amount of air flow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7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is required to be adjusted, and to provide notific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or the user mobile device 500 when it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Here, the server device 60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the dust amoun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so that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sensor 700 is installed It can be judged whether or not it is necessary. For example, when considering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area in the indoor space 800,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air flow should b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orresponding area, but the amount of air flow measured by the air flow sensor 7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server device 600 can determine that the amount of air flow should be increased in a predetermined area.

또한, 서버 장치(600)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700)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를 사용자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600)는 생성된 표시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device 60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based on the air flow amount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700 Display data can be generated. Then, the server device 600 can transmit the generated display data to the mobile device 500.

한편, 사용자 모바일 기기(500)는 원격에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 및 서버 장치(600)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착용형 스마트 글래스, 착용형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하,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The user mobile device 5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100 and the server device 600 remotely. ), A wearable smart glass, a wearable smart watch, and the like, and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stor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500)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공기 순환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서버 장치(600)에 접속하여 실내 공간의 대기질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100 using his / her own mobile device 500, or connect to the server apparatus 600 to check the air quality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도 15 내지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UI 화면은 조명의 동작 및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UI 영역(501), 공기 청정의 동작 및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UI 영역(502), 및 공기 청정 지수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UI 영역(5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화면을 보면서 실내 공간(800)의 대기질을 확인하거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15 to 16 are views showing UI screens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the UI screen includes a UI area 50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a UI area 50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intensity of air cleaning, and a UI Area 503,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800 and control the operation while viewing the corresponding screen.

한편,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500)는 실내 공간(8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를 사용자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UI 화면(504)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600)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700)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8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를 사용자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500)는 상기 생성된 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UI 화면(504)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UI 화면(504)을 보면서 실내 공간(8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evice 500 can display a UI screen 504 that allows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 Specifically, the server apparatus 600 can check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on the basis of the airflow amount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700 And the mobile device 500 can display the UI screen 504 by receiving the generated display data.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while viewing the UI screen 504.

또한, 사용자는 UI 화면(504)을 통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UI 화면(504)에 터치 조작 등을 통하여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UI 화면(504)을 보면서 실내 공간(800)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hrough the UI screen 504. [ Specifically,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adjust at least one of an air flow amount and an air flow direction through a touch operation or the like on the UI screen 504.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air flow amount and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indoor space 800 while viewing the UI screen 504.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provided to a server or devices. Accordingly, each device can access the server or the device in which the program is stored and download the program.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실내 대기질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기 순환 제어 장치 200 : 공기 순환 장치
300 : 흡기 장치 400 : 배기 장치
500 : 모바일 기기 600 : 서버 장치
100: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200: air circulation device
300: Intake device 400: Exhaust device
500: mobile device 600: server device

Claims (14)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및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공기 순환 제어 장치;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및
상기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측정하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열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며, 상기 검출된 제1 열 영역과 제2 열 영역의 상기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열 영역과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1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고, 상기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며,
상기 제1 제어 단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형성된 열이 분산되면,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공기 순환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객체를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객체들 각각의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2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단계, 상기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1.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on device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based on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bout an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for forming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And
And a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loop is formed to measure an air flow amount and an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loop,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detects thermal regions from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nd classifies the first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heat and the second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heat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of the detected thermal region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first column region and the second column region in the indoor space an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olumn region and the second column reg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A firs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the air circulating apparatus,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first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column area to disperse the heat of the second column area,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re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he spatial distribu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spatial spatial information by mapping the spati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detects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from the generated spatial spatial information, object and a non-moving object,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classified objects in the indoor space,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object,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apparatuses,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sieve, and calculates an air amount required to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vector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moves A secon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second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objec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moves,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air flow amount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are re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information on the air flow direction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And a thir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which need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if it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Wherei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exhausting air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suction of air while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step, the second control step and the third control step, So as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Where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먼지 양 정보를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generates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ust amount information to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increase the air suction intensity of the dust amount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or
And controlling the air intake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o increase when the amount of dust calculated by synthesizing the obtained dust amount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및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 및 공간 열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열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며, 상기 제1 열 영역과 제2 열 영역의 상기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열 영역과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
상기 제1 제어 단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형성된 열이 분산되면,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공기 순환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객체를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객체들 각각의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1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고, 상기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며,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2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단계, 상기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using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Generating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spatial column information for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that requires control amo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spatial column information; And
And forming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usi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control,
Wherein the controlling comprises:
A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column and a second column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column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detected column regio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w area in the indoor space, and to distribute the heat of the first row area and the second row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A firs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nd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are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he spatial distribu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spatial spatial information by mapping the spati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detects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from the generated spatial spatial information, object and a non-moving object,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classified objects in the indoor space, and controlling the air circulation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object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apparatuses,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sieve, and calculates an air amount required to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vector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moves A secon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And
Wherein the air flow rate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loop using a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loop is formed, Determining whether the amount of air flow i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are necessary based on the flow direction information, And a thir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first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column area to disperse the heat of the second column area,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second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object,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as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 motor
Wherein the forming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the suction of the air is controll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control step, the second control step and the third control step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Respectively,
Where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먼지 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먼지 양 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먼지 양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된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흡입 세기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Generating dust amount information using a dust sensor; An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ir intak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having the dust amount information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controls the air intake intensity of the at least one air circulation device when the calculated amount of dus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ir intake intensity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of the indoor unit to be increased.
삭제delete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 및 공간 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공기 순환 장치;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의 제어에 따라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되,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기능과 연계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공기 순환 장치; 및
상기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 및 공기 흐름 방향을 측정하는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열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며, 상기 제1 열 영역과 제2 열 영역의 상기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열 영역과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1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고, 상기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며,
상기 제1 제어 단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형성된 열이 분산되면,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공기 순환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객체를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객체들 각각의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상기 제2 제어 단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공기 순환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공기 순환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단계, 상기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1.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Where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generates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spatial thermal information for an indoor space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and calculates,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A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and the second air circulation device;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at least one of the air circulation loop and the air circulation loop being 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function of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A second air circu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d a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air circulation loop is formed to measure an air flow amount and an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loop,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detects thermal regions from the spatial thermal information, and classifies the first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heat and the second thermal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heat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of the detected thermal region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row region and the second row region in the indoor space an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row region and the second row reg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A firs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that requires control among circulating apparatuses,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first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column area to disperse the heat of the second column area,
Wherein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spatial geographical information by mapp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a location of the air circulation device; detecting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from the generated spatial geographical information; moving object and a non-moving object,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of the classified objects in the indoor space, and determin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air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that requires control among circulating apparatuses,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the sieve, and calculates an air amount required to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vector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moves A secon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Wherein the air circulation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second control step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object, Controls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as to prevent air from being dischar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discharge motor
The air circulation control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air flow amount of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are requir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air flow and the information on the air flow direction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And a thir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which need to be controlled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if it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Wherein the first air circulation device controls at least one of exhausting air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suction of air while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step, the second control step and the third control step, Controlling the air circulation loop to be formed in the space,
Where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실내 공기질 관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는 공간 지형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및 공기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열 정보로부터 열 영역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열 영역들의 온도 값을 기초로 기계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열 영역과 사람 방출 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열 영역을 분류하며, 상기 제1 열 영역과 상기 제2 열 영역의 상기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열 영역을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고, 상기 제2 열 영역 근처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열 영역의 열을 분산시키는 제1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제어 단계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에 형성된 열이 분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공간 지형 감지 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의 공기 순환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공간 지형 정보를 해당 공기 순환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매핑하여 공간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간 지형 정보에서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객체를 움직임이 있는 제1 객체(moving object)와 움직임이 없는 제2 객체(non-moving object)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객체들 각각의 실내 공간 내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제2 객체를 향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1 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션 벡터를 기초로 상기 제1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공기 유량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공기 흐름 양 정보 및 공기 흐름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가 설치된 영역에 형성된 공기 순환 고리의 공기 흐름 양과 공기 흐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 중 제어가 필요한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 배출 세기 및 공기 배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제어 단계, 상기 제2 제어 단계 및 상기 제3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기의 흡입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간 지형 정보는, 상기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순환 장치에 의하여 상기 공간에 공기 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of a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unit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spatial topographical information about an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ir discharge and air su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that needs to be controlled among a plurality of air circulating apparatuse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based on the generated spatial terrai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Wherein,
A first column region formed by the machine discharge column and a second column region formed by the human discharge column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detected column regions,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first column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Performing a first control step of dispersing the heat of the heat region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second heat region to disperse the heat of the second heat region,
Wherein when the heat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is dispers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ontrol step,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at least two air circulation apparatuses having the spatial topography sensing means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he method includes generating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by mapping based on a location where a circulation device is installed, detecting objects located in the indoor space from the generated spatial geographical information, moving the detected object to a first moving object,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lassify the classified objects into a non-moving object, to determine a position of each of the classified objects in the indoor space, and to control air in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ir discharge intensity and an air discharge direction of an air circulating apparatus which is required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object and controls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es that need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so that air is not dischar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bject moves, And a secon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The amount of air flow in the air circulation loop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based on the air flow amount information and the air flow direction information measur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flow rate sensors provided in the region where the air circulation loop is formed A third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intensity and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circulation apparatus which requires control among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apparatus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of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and the suction of the air is controll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control step, the second control step and the third control step to form an air circulation loop in the indoor space Respectively,
Wherein the spatial terrain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Wherein air circulation rings are formed in the space by the plurality of air circulation devic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KR1020170117349A 2017-09-13 2017-09-13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KR101916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349A KR101916190B1 (en) 2017-09-13 2017-09-13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349A KR101916190B1 (en) 2017-09-13 2017-09-13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190B1 true KR101916190B1 (en) 2018-11-07

Family

ID=6436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349A KR101916190B1 (en) 2017-09-13 2017-09-13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0B1 (en) * 2019-06-27 2020-05-27 정화찬 Air cleaning system
KR102319515B1 (en) * 2021-02-08 2021-11-01 이근석 Intelligent air shiel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infection
KR20240035021A (en) 2022-09-08 2024-03-15 (주)휴엔릭스 Indoor pollutant concentration predi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43169A (en)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스킨앤스킨 Integrated indoor air care control system based on thermal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4301B2 (en) * 2011-08-29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5598661B2 (en) * 2010-07-29 2014-10-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8661B2 (en) * 2010-07-29 2014-10-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ing system
JP5554301B2 (en) * 2011-08-29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0B1 (en) * 2019-06-27 2020-05-27 정화찬 Air cleaning system
KR102319515B1 (en) * 2021-02-08 2021-11-01 이근석 Intelligent air shiel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infection
US20220249728A1 (en) * 2021-02-08 2022-08-11 Sangyul Lee Intelligent air shiel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infection
US11493219B2 (en) 2021-02-08 2022-11-08 Sangyul Lee Intelligent air shield formation device for preventing infection
KR20240035021A (en) 2022-09-08 2024-03-15 (주)휴엔릭스 Indoor pollutant concentration predi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43169A (en)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스킨앤스킨 Integrated indoor air care control system based on thermal recovery ventil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055B1 (en)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KR101916190B1 (en)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TWI651493B (en) Fan and air supply system
US20230327904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11408430B2 (en) Modular fan assembly
RU2667354C2 (en) Air purifier parameter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corresponding terminal
US10143347B2 (en)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40505B1 (en) Air cleaning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r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70051178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19106980A1 (en) Self-propelled pathogen detection device, pathogen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W201837380A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same, and control program
TW201516348A (en) Air cleaner
JP7406600B2 (en) Gas detection system and gas detection method
JP2011002166A (en) Air cleaning system
JP2017026270A (en) Dust collection system and dust collection method
CN112272746A (en) Air qua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7020775A (en) Intake device and intake method
KR1019454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17179362A1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KR20170093446A (en) Automatic ventil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8132246A (en) Air cleaner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04707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42193A (en) Terminal apparatus,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command thereof
KR20190041994A (en) System,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KR20160027395A (en) Mod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