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572B1 -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572B1
KR101913572B1 KR1020160053769A KR20160053769A KR101913572B1 KR 101913572 B1 KR101913572 B1 KR 101913572B1 KR 1020160053769 A KR1020160053769 A KR 1020160053769A KR 20160053769 A KR20160053769 A KR 20160053769A KR 101913572 B1 KR101913572 B1 KR 10191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e
pocket
core frame
pul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4191A (en
Inventor
김성훈
김혜웅
안효원
권태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572B1/en
Publication of KR2017012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연결되어 치열의 이동을 수행하는 교정용 가철식 마우스피스에 있어, 코어 프레임이 대합치의 접촉점 정보를 담고 있어 교합수정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며, 견인고리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손쉽게 연결되어 마우스피스에 끼워진 치아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동시에 견인력이 가해지며, 효과적으로 제조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치아들의 끝부분이 전사된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갖는 아치형 구조물인 코어 프레임과; 상기 코어 프레임을 수용하며 치아들을 담도록 치아홈을 갖는 구조물인 포켓 프레임과; 상기 포켓 프레임의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나머지 부분은 상기 포켓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되는 한 쌍의 견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outhpiece for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connected to a head gear type out-of-calibration device and performs dentition movement, in which a core frame contains contact point information of an opposing tooth, The teeth are firmly fixed and easily connected to the head gear type out-of-calibration device so that the teeth that are inserted into the mouthpiece can be pulled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effectively manufactur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comprising: a core frame, which is an arcuate structure having a tooth contact surface of a shap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eeth is transferred; A pocket frame for receiving the core frame and having tooth grooves for holding teeth; And a pair of pulling rings which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pocket frame and fixed on the core frame and the remaining part integral with th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outhpiece are provided.

Description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thpiece for orthodontic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연결되어 치열의 이동을 수행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orthodontic mouthpie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orthodontic mouthpiece connected to a head gear type out-of-calibration apparatus to perform dental mov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치과 교정장치는 고정식과 가철식, 구외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교정장치들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계획에 따라서 각 교정장치를 선택하게 되는데 각 종류를 쉽게 표현하자면, 고정식 교정장치는 치아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교정장치를 의미하고, 가철식 교정장치는 환자가 손으로 끼웠다 뺐다를 반복할 수 있는 교정장치이며, 구외 교정장치는 입안에 설치되는 장치가 아니라 말 그대로 입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장치이다.Generally, orthodontic appliances are classified into fixed type, removable type, and extralegal type. The orthodontic appliance selects each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treatment plan. To easily express each type, the orthodontic appliance means a orthodontic appliance fixed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It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outside the mouth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not a device installed in the mouth.

즉, 구외 교정장치는 치열 교정에 적용되거나, 턱성장을 억제하거나 촉진시킬 목적으로 위턱과 아래턱의 부조화가 있는 경우 치아를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만족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가 없으므로 인위적으로 턱뼈의 성장을 조절하여 골격 형태를 바로 잡아 주는데 적용된다.In other words, the out-of-line orthodontic appliance is applied to the orthodontic treatment, or when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or promoting jaw growth,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satisfactory treatment results simply by moving the teeth. To correct skeletal morphology.

통상의 교정 시술, 예를 들면 성장기 교정 시술에서 복수의 치아에 동시에 견인력을 가할 때, 기별 치아마다 브라켓을 설치하고 견인고리를 갖는 와이어를 브라켓에 걸어서 치아 이동을 구현하는데, 성장기 아동에 사용되는 가철식 교정장치는 기공작업으로 만드는데 많은 장점에도 불구 실제 임상 영역에서의 교합수정작업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When a simultaneous pulling force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teeth in a normal orthodontic treatment, for example, in a growing orthodontic treatment, a bracket is provided for each tooth of the individual person, and a wire having a pulling ring is hooked on the bracket to realize tooth movement. Although the orthodontic appliance has many advantages, it is not easy to correct the occlusion in clinical area.

따라서, 마우스피스의 코어가 대합치의 접촉점 정보를 담고 있어 교합수정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도록 하며,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도 1 및 도 2 참조)에 손쉽게 연결되어 치아에 대해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교정용 가철식 마우스피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core of the mouthpiece contains the contact point information of the opposed value, so that the occlusal correction operation is not required separately, and the tooth force is easily connected to the head gear type out-of-calibration device (see FIGS. 1 and 2) A new type of removable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required.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119597호(2015. 10. 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9597 (October 26, 201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연결되어 치열의 이동을 수행하는 교정용 가철식 마우스피스로서, 마우스피스의 코어 프레임이 대합치의 접촉점 정보를 담고 있어 교합수정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며, 견인고리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손쉽게 연결되어 마우스피스에 끼워진 치아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동시에 견인력이 가해지며, 효과적으로 제조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교정용 가철식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mouthpiece for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connected to a head gear- No need for occlusal correction, the traction ring is firmly fixed and easily connected to the headgear out-of-calibration device, the teeth that are inserted in the mouthpiece are simultaneously subjected to a pulling force as a who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uthpie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아들의 끝부분이 전사된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갖는 아치형 구조물인 코어 프레임과; 상기 코어 프레임을 수용하며 치아들을 담도록 치아홈을 갖는 구조물인 포켓 프레임과; 상기 포켓 프레임의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나머지 부분은 상기 포켓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되는 한 쌍의 견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comprising: a core frame, which is an arcuate structure having a tooth contact surfac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eeth is transferred; A pocket frame for receiving the core frame and having tooth grooves for holding teeth; And a pair of traction rings fixed to the core frame and partially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the remain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rt of the mouth fr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구성에 있어, 상기 코어 프레임은, 단단한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치아 중 복수 이들의 끝 부분이 찍힌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포켓 프레임은 단단한 경질의 제1덮개층과 상기 제1덮개층보다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의 제2덮개층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 프레임을 수용하는 치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re frame has a tooth contact surface in the form of a hard rigi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teeth of the teeth, the pocket frame having a rigid first lid layer and a first lid layer, And a soft second cover lay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re layer, wherein tooth grooves for receiving the core frame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전술한 구성에 있어, 상기 견인고리의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된 나머지 부분은 후크(Hook)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의 견인부재 선단에 걸릴 수 있도록 벤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ull r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constitutes a hook, and has a structure that is bent so as to be caught at the leading end of the pulling member of the head gear- do.

상기 견인고리의 포켓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되어 후크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분은, 'L'자 혹은 'S'자 모양으로 벤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aining part of the hook,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of the pull ring, is bent in an 'L' character or an 'S' charac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Teeth)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치(Arch) 형상의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ch-shaped mouthpiece detachably mounted on an upper or lower teeth of a dental arch.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은, 교합 양상을 고려하여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가 입력된 코어 프레임을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설계하는 코어설계단계와; 상기 코어설계단계에서 설계된 코어 프레임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코어제작단계와; 상기 코어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코어 프레임을 실제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상에 적합시키는 모형적합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전방부 양측에 견인고리를 배치하여 임시 고정하는 고리배치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 외측에, 제1덮개층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제1덮개층에 적층되어서 일체화되는 제2덮개층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하여 포켓 프레임을 형성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견인고리의 일부분은 포켓 프레임에 매입된 상태에서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나머지 부분은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design step of designing a core frame on which a contact point information for an opposing value is inputted, in consideration of an occlusal aspect, on a computer program; A core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the core frame designed in the core designing step using a 3D printer; A model fitting step of fitting the core frame fabricated in the core manufacturing step onto a separately prepared tooth mode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actual teeth; A ring arranging step of disposing a pulling ring on both sides of a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to temporarily fix the pulling ring; Forming a pocket frame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frame to form a pocket frame by heating a duplex sheet including a hard layer constituting a first lid layer and a soft layer constituting a second lid layer laminated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lid layer, Wherein a part of the pulling ring is fixed on the core frame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and the remaining part integral with th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as the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제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치아모형 상에서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를 갖는 코어 프레임을 성형하는 코어성형단계와; 상기 코어성형단계에서 제작된 코어 프레임을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 상에서 적합시키는 모형적합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전방부 양측에 견인고리를 배치하여 임시 고정하는 고리배치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 외측에, 제1덮개층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제1덮개층에 적층되어서 일체화되는 제2덮개층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하여 포켓 프레임을 형성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견인고리의 일부분은 포켓 프레임에 매입된 상태에서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나머지 부분은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mouthpiec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core frame having contact point information on an opposing tooth on a tooth model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an actual tooth; A model fitting step of fitting the core frame fabricated in the core forming step onto a separately prepared tooth mode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teeth; A ring arranging step of disposing a pulling ring on both sides of a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to temporarily fix the pulling ring; Forming a pocket frame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frame to form a pocket frame by heating a duplex sheet including a hard layer constituting a first lid layer and a soft layer constituting a second lid layer laminated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lid layer, Wherein a part of the pulling ring is fixed on the core frame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and the remaining part integral with the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as the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

전술한 방법들에 있어, 상기 견인고리의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은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수행된 후에 원하는 형상 및 방향으로 벤딩(Bending)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s, the remain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of the pull ring is bended in a desired shape and direction after the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본 발명의 견인고리를 갖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dental orthodontic mouthpiece having the pulling 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피스의 코어 프레임이 대합치의 접촉점 정보를 담고 있어 교합수정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술이 편리하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re frame of the dental mouthpiece contains the contact point information of the opposing teeth, the opera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is convenient since the occlusal correction operation is not separately required.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구외교정장치에 연결되는 견인고리가 함요부를 통해 경질의 코어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에 끼워진 치아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동시에 견인력이 가해져 치열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ring connected to the out-of-range calibration device is firmly fixed to the hard core frame through the recessed portion, so that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teeth inserted in the mouthpiece as a whole simultaneously, .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는, 구외교정장치에 연결되는 견인고리를 원하는 형태 및 방향으로 쉽게 조정 가능하며, 따라서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에 손쉽게 연결 가능하다.Third,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pulling ring connected to the out-of-calibration device to a desired shape and direction, and thus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head gear type out-of-calibration device.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는, 착탈에 적당한 적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착탈시에 치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고 오랜 기간의 사용이나 충격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과 형태 안정성을 갖는다.Fourth, since the dental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ppropriate fitting force for detach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f the teeth at the time of detachment, to easily remove and detach the dental mouthpiece, and to provide excellent resistance and shape stability against long- .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는,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관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윗니에 대한 아랫니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턱관절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Fifth,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bit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can prevent or minimize the damage of the jaw joint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teeth relative to the upper teeth.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 프레임을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구현하여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등, 기존에 비해 한층 다양한 방식으로 마우스피스 제작이 가능해 지며, 따라서 제작 여건 및 제작 상황에 맞춘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마우스피스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Six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uthpiece in a more various manner than conventional ones, for example, by embodying a core frame on a computer program to produce a 3D printer. Thus, .

도 1은 구외 교정장치가 교정치료가 필요한 성장기 아동에게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외 교정장치에 의해 교정력이 인가될 구강 내의 부위를 나타낸 요부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 제조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 제조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참고 사시도로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제조 과정 중 치아모형 상의 코어 프레임이 적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제조 과정 중 치아모형 상에 적합된 코어 프레임에 견인고리를 임시 고정한 모습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과정 중 치아모형 상의 코어 프레임에 견인고리를 고정한 후,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과정 수행 후, 포켓 프레임 외측으로 노출된 견인고리의 후크부를 벤딩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시제품을 보여주는 참고사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out-of-calibration device is applied to a child in a growing period requiring orthodontic treatment;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outh to which an orthodontic force is to be applied by the extra-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uthpiec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for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e frame on the tooth model is fit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lling ring is temporarily fixed to a core frame suitable for a tooth model dur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fixing the pulling ring to the core frame on the tooth model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ok portion of the pulling r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is bent after the process of FIG. 10 is performed;
12 is a reference photograph showing a prototype of a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치아들의 끝부분이 전사된 형상의 치아 접촉면을 갖는 아치형 구조물인 코어 프레임(110)과; 상기 코어 프레임(110)을 수용하며 치아들을 담도록 치아홈(120a)을 갖는 구조물인 포켓 프레임(120)과; 상기 포켓 프레임(120)의 내부에 일부분이 매립되는 구외 교정장치에 연결되어 견인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견인고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12, a dental orthodontic mouthpie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frame 110, which is an arcuate structure having a tooth contact surfac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eeth is transferred; A pocket frame 120 which is a structure having a tooth groove 120a for receiving the core frame 110 and containing teeth; And a pair of traction rings 130 connected to an out-of-line calibration device in which a part of the pocket frame 120 is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120 to receive a traction force.

이때, 상기 견인고리(130)는 금속 재질로서, 일부분이 상기 포켓 프레임(120)의 내부에 매립되어 코어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나머지 부분이 포켓 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pull ring 1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120 and is fixed on the core frame 110. The other part of the pull ring 130 is integrated with the pocket frame 120, As shown in FIG.

즉, 상기 포켓 프레임(120)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고리(130)의 나머지 부분은 벤딩됨에 따라 후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필요에 따라 '후크부'라고도 칭한다.That is, the remaining part of the pulling ring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12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hook as it is bent,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hook por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한편,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단단한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치아 중 복수 이들의 끝 부분이 찍힌 형상의 치아 접촉면과, 마우스피스 제작 중 견인고리(130)의 임시 고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함요부(陷凹部)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core frame 110 is made of a rigid hard material, and has teeth contacting surfaces of a plurality of teeth of which teeth are formed and temporary fixing of the pull ring 130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mouthpiece. It can have recessed parts.

즉, 상기 코어 프레임(110)의 전방부 양측에 함요부가 구비되면, 상기 함요부는 상기 견인고리(130)의 일부분이 정착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마우스피스(100)의 제작시 접착제를 이용한 견인고리(130)의 임시 고정이 한층 쉽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mpell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110, the impeller provides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ull ring 130 is fixed, so that when the mouthpiece 10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temporary fixing of the pulling ring 13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그리고 상기 포켓 프레임(120)은, 단단한 경질의 제1덮개층(121)과 상기 제1덮개층(121)보다 내측에 구비되는 연질의 제2덮개층(122)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 프레임(110)을 수용하는 치아홈(120a)이 형성된다.The pocket frame 120 is a 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rigid first lid layer 121 and a soft second lid layer 122 provided inside the first lid layer 121, A tooth groove 120a for receiving the core frame 110 is formed.

한편, 상기 포켓 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고리(130)의 후크부는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300)의 견인부재(310) 선단에 걸릴 수 있도록 벤딩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후크부는, 'L'자(도 3 참조) 모양으로 벤딩되거나 혹은 'S'자 모양으로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모양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hook portion of the pulling ring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120 has a structure bent to be caught at the tip of the pulling member 310 of the head gear type extramural correction apparatus 300. 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is preferably bent in the shape of an 'L' (see FIG. 3) or bent in an 'S'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코어 프레임(110)은 경질의 덴탈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의 혼합에 의해 단단한 경질로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re frame 110 may be made of a hard dental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frame 110 is formed of a hard rigid body by mixing methyl methacryl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 of the core frame 110 is limited thereto no.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켓 프레임(120)의 제1덮개층(121)은 경질의 수지, 예를 들면 경질 실리콘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제2덮개층(122)은 연질 즉 쿠션재질로 된 층 즉 연질층으로서 연질의 수지 예를 들면 연질 실리콘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데, 치과용 수지(Dental Resin)로서 독일의 ERKODENT사(社)나 FORESTADENT사(社) 등 다양한 회사에서 판매되는 경질의 수지와 연질의 수지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경질 덴탈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등이 있고, 연질 덴탈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EVA(Ethylene Vinyl Acetate)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단단한 경질 수지와 쿠션성의 연질 수지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ver layer 121 of the pocket frame 120 may be made of a hard resin such as a hard silicone resin, and the second cover layer 122 may be made of a soft or cushion material The soft layer may be made of soft resin such as soft silicone resin. Dental resin is sold in various companies such as ERKODENT in Germany and FORESTADENT in Germany. Examples of the hard dental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s (PETG),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soft dental resins include EVA (Ethylene Vinyl Acetat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 Or the like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hard resin having a hard surface and the soft resin having cushioning properties are variously known,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실시 예의 코어 프레임(110) 및 포켓 프레임(120)은 모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견인고리(130)의 선단부는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서 구형(球形)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re frame 110 and the pocket frame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distal end of the pulling ring 130 is formed to have a spherical shape with an expanded diameter.

한편, 도 1 및 도 2의 구외교정장치(300)에서, 미설명부호 320은 헤드기어이고, 321은 헤드기어 스트랩이며, 322는 완충패드이다.1 and 2,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 headgear, reference numeral 321 denotes a headgear strap, and reference numeral 322 denotes a cushioning pad.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 제조 방법 및 그 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되, 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ntal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mainly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FIG.

먼저, 도 6, 도 8 내지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Teeth)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치(Arch) 형상의 마우스피스의 제조 방법 중, 그 첫 번째 방법에 따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6 and 8 to 12, among methods of manufacturing an arch-shaped mouthpiece detachably mounted on an upper or lower teeth of a dental arch, A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그 첫 번째 방법에 따르면, 먼저 상악 측과 하악 측 치아의 교합 양상을 고려하여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가 입력된 코어 프레임(110)을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설계하는 단계(즉, 코어설계단계)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a step of designing a core frame 110 in which a contact point information for an opposing tooth is inputted, that is, a core designing step, is first performed considering the occlusion pattern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do.

이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설계되는 코어 프레임(110)에는 후공정에서 배치될 견인고리(130)의 고정을 위한 함요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re frame 110 designed on the computer program is provided with a recess for fixing the traction loop 130 to be disposed in a post process.

그 다음, 상기 코어설계단계에서 설계된 코어 프레임(110)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단계(즉, 코어제작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코어 프레임(110)을 제작함에 따라 별도로 함요부를 만들기 위해 절삭을 하는 등의 가공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Then, the core frame 110 designed in the core design step is manufactured using a 3D printer (i.e., a core manufacturing step). As the core frame 110 is manufactured using the 3D printer as described above, the machining process such as cutting to form the recessed portion may be omitted.

그 후, 상기 코어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코어 프레임(110)을 실제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상에 적합시키는 단계(즉, 모형적합단계)를 수행한다(도 8 참조).Thereafter, the core frame 110 fabricated in the core manufacturing step is fitted to a separately manufactured tooth mode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actual tooth (i.e., model fitting step) (see FIG. 8).

그리고 나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의 전방부 양측에 견인고리(130)를 배치하여 임시 고정하는 단계(즉, 고리배치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코어 프레임(110)의 전방부 양측에는 설계 내용에 따라 견인고리(130) 배치를 위한 함요부가 구비되면, 견인고리(130)의 일부분을 접착제(도시는 생략함)를 매개로 상기 함요부 상에 정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견인고리(130)의 코어 프레임(110)에 대한 임시 고정이 이루어진다(도 9 참조). 다시 말해서, 상기 견인고리(13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프레임(110)의 표면에 배치되고 임시 고정된다.Then, the pulling ring 13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110 to temporarily fix the core frame 110 (i.e., the ring arranging step). At this time, if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110 are provided with recesses for arranging the traction rings 130 according to the design content, a part of the traction rings 130 is remoted by an adhesive (not shown) As a result, the pulling ring 13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core frame 110 (see FIG. 9). In other words, the pulling ring 13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frame 110 as shown in FIG. 9 and fixed temporarily.

또한, 상기 코어 프레임(110)에 임시 고정되는 상기 견인고리(130)를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나중에 포켓 프레임(120) 외부로 노출되는 후크부는 일단 일자형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포켓 프레임(120) 형성시 후크부가 포켓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층시트를 뚫고 외부로 노출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120 out of the portions constituting the pull ring 130 temporarily fixed to the core frame 110 is once shaped like a rectangle. This is because when the pocket frame 120 is formed, Layer sheet constituting the additional pocket frame to b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견인고리(130)의 임시 고정이 수행된 후에는, 상기 코어 프레임(110) 외측으로 포켓 프레임(120)을 형성시키는 단계(포켓형성단계)가 수행된다. 즉, 상기 코어 프레임(110) 외측으로, 제1덮개층(121)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제1덮개층(121)에 적층되어서 일체화되는 제2덮개층(122)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하여 포켓 프레임(12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코어 프레임(110)과 포켓 프레임(120)의 경계에 상기 견인고리(130)가 고정되는 구조가 된다.After the temporary fixing of the pulling ring 130 is performed, a step of forming the pocket frame 120 outside the core frame 110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That is, a soft layer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frame 110 as a hard layer constituting the first lid layer 121 and a second lid layer 122 laminated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lid layer 121 And the pocket frame 120 is formed by heating the duplex sheet. 5 and 9 to 11, the pulling collar 130 is fix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ore frame 110 and the pocket frame 120.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견인고리(130)를 구성하는 일부분은 포켓 프레임(120)에 매입된 상태에서 코어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견인고리(130)의 일부분과 일체로 연결되는 나머지 부분은 포켓 프레임(120)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상기 포켓 프레임(120)외부로 노출된 견인고리(130)의 나머지 부분은 일자형을 이룬다(도 10 참조). A part of the pull ring 130 is fixed on the core frame 110 while being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120 and the remain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a part of the pull ring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120,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ulling ring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cket frame 120 forms a straight line (see FIG. 10).

한편, 상기 포켓 프레임(120) 형성 단계가 수행된 후에는, 상기 견인고리(130)의 프레임(120)외부로 노출된 나머지 부분을 원하는 형상 및 방향으로 벤딩하여 후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함으로써 마우스피스(10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After the pocket frame 120 is formed, the remain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20 of the pull ring 130 is bent in a desired shape and direction so as to function as a hook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of the mouthpiece 100 (see Figs. 11 and 12).

이하에서는, 도 7, 도 8 내지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Teeth)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치(Arch) 형상의 마우스피스(100)의 제조방법으로서, 그 두 번째 실시 방법에 따른 제조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7 and 8 to 12,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ch-shaped dental mouthpiece 100 detachably mounted on a maxillary or mandibular teeth of a dental arch, A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그 두 번째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치아모형 상에서 제조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치아모형 예를 들면 구강 석고 모형이 준비된다. 상기 치아모형은 일반적으로 인상재와 석고를 사용해서 제조되는데 상기 치아모형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the core frame 110 is manufactured on a tooth model, in which a user's tooth model, for example, an oral gypsum model, is prepared. The tooth model is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and a gypsum. Sinc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oth model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상기 치아모형은 상기 마우스피스(100)가 피착되는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치아 즉 상기 마우스피스(100)가 피착되는 치아의 구조를 본뜬 치아모형을 제1치아모형(M1)이라 칭하고, 상대치의 구조를 본뜬 치아모형을 제2치아모형(M2)이라 칭한다.The tooth model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eeth to which the dental mouthpiece 100 is attached. Hereinafter, a tooth model that mimics the tooth,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tooth to which the dental mouthpiece 100 is attached is referred to as a first tooth model M1, and a tooth model that mimics the structure of a relative tooth is referred to as a second tooth model M2 .

상기 치아모형 특히 상기 제1치아모형(M1)상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치아모형(M1)이 관절 링크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P)에 배치되고, 상기 제1치아모형(M1)과 제2치아모형(M2)의 교합관계가 착용자의 윗니-아랫니의 교합관계와 최대한 동일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P) 위에서 정렬된다. The first tooth model M1 is arranged on the base plate P of the articulated linkage to produce the tooth frame, specifically the core frame 110 on the first tooth model M1, The occlusion relationship of the first tooth model M1 and the second tooth model M2 is aligned on the base plate P as much as the occlusal relationship of the wearer's upper and lower teeth.

상기 제1치아모형(M1)과 제2치아모형(M2)의 교합관계를 정렬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아랫니와 윗니의 치아 자국이 찍힌 덴달 바이트(Bite)가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arrange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tooth model M1 and the second tooth model M2, a dental bite having teeth marks on the lower and upper teeth of the wearer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제1치아모형(M1)과 상기 제2치아모형(M2)의 교합관계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관절 링크기구의 관절(J)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바( Link Bar ; 미도시)에 상기 제2치아모형(M2)이 고정된다. 상기 제2치아모형(M2)이 상기 링크바에 고정된 이후에 상기 링크바가 상기 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치아모형(M2)이 상기 제1치아모형(M1)에서 이격된다.A link bar (not show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joint J of the articulated link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eth model M1 and the second tooth model M2 are in an aligned state, The second tooth model M2 is fixed. When the link bar is rotated about the joint after the second tooth model M2 is fixed to the link bar, the second tooth model M2 is spaced from the first tooth model M1.

다음으로, 상기 제1치아모형(M1)상에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상기 제1치아모형(M2) 특히 상기 제1치아모형의 치아 부분에 치과용 레진 특히 경질의 레진을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물론 후술되는 경질의 시트를 상기 제1치아모형(M1)에 찍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이 제조될 수도 있다.Next, the core frame 110 may be manufactured on the first tooth model M1, and the core frame 110 may be formed on the tooth part of the first tooth model M2, It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resin, especially a hard resin, and curing it. Of course, the core frame 110 may be manufactured by stamping a hard sheet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first tooth model M1.

부언컨대,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상기 제1치아모형의 치아 부분에 치과용 레진 특히 경질의 레진을 도포하거나 경질의 시트를 상기 제1치아모형(M1) 위로 배치하고 찍어서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In other words, the core frame 11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dental resin, particularly a hard resin, to a tooth portion of the first tooth model, placing a hard sheet on the first tooth model M1, .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치아모형(M1)의 치아 부분에 치과용 레진, 보다 구체적 예로는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코어 프레임(110)이 치아 접촉면을 갖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물론 경질의 레진 시트를 상기 제1치아모형(M1)에 찍어서 상기 코어 프레임(110)을 성형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dental resin, more specifically, Methyl Methacryl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are applied to the tooth portion of the first tooth model M1, 110 are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tooth contact surfac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re frame 110 by stamping a hard resin sheet on the first tooth model M1.

그리고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외관을 마무리하는 과정 예를 들면 상기 코어 프레임(110)의 표면과 가장자리를 다듬는 트리밍(Trimming) 과정을 통해 완성될 수도 있다.The core frame 110 may be completed through a process of finishing the appearance of the core frame 110, for example, a trimming process of finishing the surface and the edge of the core frame 110.

상기 치아모형 상에서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를 갖는 코어 프레임(110)을 성형하는 단계(즉, 코어성형단계)를 수행한 다음에는, 코어 프레임(110) 상에 함요부를 형성하는 가공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코어 프레임(110)은 함요부의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core frame 110 having the contact point information for the opposing teeth on the tooth model (i.e., the core forming step) is performed, a machining process for forming the recessed portion on the core frame 110 is performed The core fram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and a width such that the concave portion can be machined.

그리고 상기 코어 프레임(110)에 함요부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코어 프레임(110)을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 상에서 적합시키는 단계(즉, 모형적합단계)를 수행한다(도 8 참조). After the indentation is formed in the core frame 110, the core frame 110 is matched with a separately prepared tooth model so as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teeth (i.e., a model fitting step) Reference).

한편, 상기 과정 이후의 마우스피스(100) 제조 과정, 즉 코어 프레임(110)에 대한 견인고리(130) 임시 고정(도 9 참조), 포켓 프레임(120)의 형성(도 10 참조), 그리고 포켓 프레임(120) 외부로 노출된 견인고리(130)의 후크부에 대한 벤딩(도 11 및 도 12 참조) 등의 각 과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되, 위에서 밝힌 첫 번째 마우스피스 제작 방법에 따른 제조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따르게 되며, 이에 따라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9), the formation of the pocket frame 120 (see FIG. 10), and the pockets of the pockets 100 (see FIG. 10) Bending of the hook portion of the pull ring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20 (see FIGS. 11 and 12), and the like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rst mouthpiece according to the above- The same procedure will be followed, and thus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제조되는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코어 프레임(110)이 대합치의 접촉점 정보를 담고 있어 교합수정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술이 편리하다.Since the dental orthodontic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contact point information of the opposing teeth of the core frame 110, it is convenient to perform the operation since the occlusal correction operation is not separately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는, 함요부 상에 위치하는 견인고리(130)의 일부분은 접착제를 매개로 경질의 코어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100)에 끼워진 치아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동시에 견인력이 가해져 치열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In the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pulling ring 130 located on the concave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hard core frame 110 via the adhesiv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teeth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는 견인고리(130)를 원하는 형태 및 방향으로 쉽게 조정 가능하며, 따라서 헤드기어형 구외교정장치(300)에 손쉽게 연결 가능하며, 치아 전체에 대해 동시에 견인력이 가해져 치열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pulling ring 130 to a desired shape and direction, and thus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head gear type extramural correction apparatus 300, The movement of the teeth is effectively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착탈에 적당한 적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착탈시에 치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고 오랜 기간의 사용이나 충격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과 형태 안정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ppropriate fitting force for detachment, so that damage to the teeth can be prevented at the time of detachment, detachment is easy, and excellent resistance and shape stability against long-term use or impact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에 의하면,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관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윗니에 대한 아랫니의 수평적 움직임에 따른 턱관절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can be maintained, and the damage of the jaw joint due to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teeth relative to the upper teeth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한편, 본 발명은, 코어 프레임(110)을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구현하여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등, 기존에 비해 한층 다양한 방식으로 마우스피스(100) 제작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제작 여건 및 제작 상황에 맞춰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마우스피스(100)를 제작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anufacture of the mouthpiece 100 in a more various manner than in the past, such as by embodying the core frame 110 on a computer program and producing it as a 3D printer. Thus, The mouthpiece 100 can be easily manufact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ith knowledge.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상악 측 치아에 설치되는 마우스피스(100)에 견인고리(130)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견인고리(130)가 하악 측 치아에 설치되는 마우스피스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ulling ring 130 is provided on the mouthpiece 100 installed in the maxillary teeth. However, the pulling ring 130 may be provided on the mouthpiece provided on the lower- Of course it is.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마우스피스 110: 코어 프레임
120: 포켓 프레임 120a: 치아홈
121: 제1덮개층 122: 제2덮개층
130: 견인고리 300: 구외교정장치
310: 견인부재 320: 헤드기어
321: 헤드기어 스트랩 322: 완충패드
100: mouthpiece 110: core frame
120: pocket frame 120a: tooth groove
121: first cover layer 122: second cover layer
130: Traction ring 300: Outside calibration device
310: pulling member 320: head gear
321: Head gear strap 322: Cushion pad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Teeth)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치(Arch) 형상의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으로서:
교합 양상을 고려하여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가 입력된 코어 프레임을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설계하는 코어설계단계와;
상기 코어설계단계에서 설계된 코어 프레임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코어제작단계와;
상기 코어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코어 프레임을 실제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상에 적합시키는 모형적합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전방부 양측에 견인고리를 배치하여 상기 견인고리를 상기 코어 프레임의 표면에 임시 고정하는 고리배치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 외측에, 제1덮개층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제1덮개층에 적층되어서 일체화되는 제2덮개층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하여 포켓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포켓 프레임의 경계에 상기 견인고리를 고정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견인고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은 포켓 프레임에 매입된 상태에서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견인고리의 나머지 부분은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코어설계단계에서, 코어 프레임의 전방부 좌우 양측에는 상기 견인고리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함요부가 설계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에 앞서, 상기 고리 배치단계에서 상기 함요부에 견인고리의 일부분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고, 상기 견인고리가 상기 코어 프레임의 표면에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ch-shaped mouthpiece detachably mounted on a maxillary or mandibular teeth of a dental arch comprising:
A core design step of designing a core frame in which a contact point information for an opposing value is inputted in consideration of an occlusal aspect on a computer program;
A core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the core frame designed in the core designing step using a 3D printer;
A model fitting step of fitting the core frame fabricated in the core manufacturing step onto a separately prepared tooth mode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actual teeth;
Arranging a pulling ring on both sides of a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to temporarily fix the pulling ring to the surface of the core frame;
Layered sheet comprising a hard layer constituting a first cover layer and a soft layer constituting a second cover layer laminated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cover layer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frame to form a pocket frame, And a pocket forming step of fixing the pulling ring at a boundary between the frame and the pocket frame;
A portion constituting the pulling ring is fixed on the core frame while being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as the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ulling ring integral with the portion is exposed outside the pocket frame;
In the core designing step, a recess is desig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where a part of the pulling ring is located;
Wherein a part of the pulling ring is adhered to the impregnated portion via an adhesive agent and the pulling ring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frame prior to the pocket forming step, Gt;
삭제delete 삭제delete 치열궁을 이루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Teeth)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치(Arch) 형상의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으로서:
실제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상악과 하악의 치아모형의 교합관계를 정렬하는 교합정렬단계와;
상기 치아모형 상에서 대합치에 대한 접촉점 정보를 갖는 코어 프레임을 성형하는 코어성형단계와;
상기 코어성형단계에서 제작된 코어 프레임을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별도 제작된 치아모형 상에서 적합시키는 모형적합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전방부 양측에 견인고리를 배치하여 상기 견인고리를 상기 코어 프레임의 표면에 임시 고정하는 고리배치단계와;
상기 코어 프레임 외측에, 제1덮개층을 이루는 경질층과 상기 제1덮개층에 적층되어서 일체화되는 제2덮개층을 이루는 연질층을 포함하는 복층시트를 가열 적합하여 포켓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프레임과 상기 포켓 프레임의 경계에 상기 견인고리를 고정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이루어짐에 따라 견인고리를 구성하는 일부분은 포켓 프레임에 매입된 상태에서 코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일부분과 일체를 이루는 견인고리의 나머지 부분은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코어 프레임을 치아모형에 적합시키는 단계 수행 전에, 코어 프레임상에 함요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포켓형성단계에 앞서 상기 고리배치단계에서, 상기 함요부에 견인고리의 일부분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고, 상기 견인고리가 상기 코어 프레임의 표면에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ch-shaped mouthpiece detachably mounted on a maxillary or mandibular teeth of a dental arch comprising:
An occlusal aligning step of aligning an occlusal relationship of an upper and lower teeth model prepar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an actual tooth;
A core forming step of forming a core frame having contact point information on an opposing tooth on the tooth model;
A model fitting step of fitting the core frame fabricated in the core forming step onto a separately prepared tooth mode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teeth;
Arranging a pulling ring on both sides of a front portion of the core frame to temporarily fix the pulling ring to the surface of the core frame;
Layered sheet comprising a hard layer constituting a first cover layer and a soft layer constituting a second cover layer laminated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cover layer on the outer side of the core frame to form a pocket frame, And a pocket forming step of fixing the pulling ring at a boundary between the frame and the pocket frame;
A portion constituting the pulling ring is fixed on the core frame while being embedded in the pocket frame as the pocket forming step is perform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ulling ring integral with the portion is exposed outside the pocket frame;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fitting the core frame to the tooth model, forming a recess on the core frame is performed;
Wherein a part of the pulling ring is adhered to the impression portion through an adhesive agent and the pulling ring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re frame in the loop arranging step prior to the pocket forming step G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형성단계가 수행 후에, 상기 포켓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견인고리의 나머지 부분을 원하는 형상 및 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en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raction ring exposed out of the pocket frame to a desired shape and orientation after performing the pocket forming step.
KR1020160053769A 2016-05-02 2016-05-02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13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9A KR101913572B1 (en) 2016-05-02 2016-05-02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769A KR101913572B1 (en) 2016-05-02 2016-05-02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91A KR20170124191A (en) 2017-11-10
KR101913572B1 true KR101913572B1 (en) 2018-10-31

Family

ID=6038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769A KR101913572B1 (en) 2016-05-02 2016-05-02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57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33B1 (en) 2018-12-18 2019-08-07 박미라 Personalized mouthpie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9410A (en) 2020-09-22 2022-03-29 송영국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KR20230053481A (en) * 2021-10-14 2023-04-21 박성원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17B1 (en) * 2020-12-02 2021-04-09 유정은 Mouthpiece
KR102567891B1 (en) * 2021-02-03 2023-09-18 정다이 Soft mouthpiece for teeth grinding pati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92B1 (en) 2013-08-28 2014-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xtraoral orthodontic device
KR101497493B1 (en)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vable Dental Appliance Mounted On Tee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992B1 (en) 2013-08-28 2014-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xtraoral orthodontic device
KR101497493B1 (en)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Removable Dental Appliance Mounted On Tee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33B1 (en) 2018-12-18 2019-08-07 박미라 Personalized mouthpie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39410A (en) 2020-09-22 2022-03-29 송영국 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KR20230053481A (en) * 2021-10-14 2023-04-21 박성원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538373B1 (en) * 2021-10-14 2023-06-08 박성원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23140537A1 (en) * 2021-10-14 2023-07-27 주식회사 오디에스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191A (en)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72B1 (en)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188485B2 (en) Dental applianc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eth,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KR101497493B1 (en) Removable Dental Appliance Mounted On Tee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668827B2 (en) Composite oral applian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CA2679451C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20070087300A1 (en) Invisible spring aligner
EP2659938A2 (en) Mouthpiece for spacing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teeth of a user
CN204581556U (en) A kind of oral appliance
US20090165805A1 (en) Mouth Guard
WO2009155224A1 (en) Oral appliances with major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KR10169722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outhpiece And Mouthpiece Using The Same
US20140069441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US20140087332A1 (en) Multilayer mouthpie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KR101343129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CN114073844B (en) Oral cavity swallowing aid for coating upper jaw tee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40144393A1 (en) Bite gu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931515B2 (en) Denta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correction device
KR101697223B1 (en) Intraoral Retain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0150B1 (en) Mouth Gu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1258B1 (en) Mouth guard for improving retention abilit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730915B1 (en) Plural Layered Resin Sheet For Mouthpie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4065814A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its fabricating method
CN105407831A (en) Orthodontic aligners
CN214285376U (en) Self-adaptive snore stopper
JP3177755U (en) Spr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