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349B1 -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349B1
KR101912349B1 KR1020170078723A KR20170078723A KR101912349B1 KR 101912349 B1 KR101912349 B1 KR 101912349B1 KR 1020170078723 A KR1020170078723 A KR 1020170078723A KR 20170078723 A KR20170078723 A KR 20170078723A KR 101912349 B1 KR101912349 B1 KR 10191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이노텍 filed Critical (주)오토이노텍
Priority to KR102017007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3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07C9/00039
    • G07C9/001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a underground common duct based o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capable of enhancing efficiency of a system work and security of an access control system, which comprises: a smartphone (10) to which an access authority is granted by a mobile smart device operated by an operator; and a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for controlling to check information including measured toxic gas, temperature, and humidity.

Description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하 공동구의 특수 환경(네트워크 인프라 부재, 리더기 야외 노출)에 적합한 체계적인 출입 및 점검 이력의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managing a systematic entrance and exit history suitable for a special environment (absence of a network infrastructure, Based subway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예컨대 건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됨)은 건물의 입구에 배치되는 접근 제어기기, 관리자 서버 및 복수의 카드 키를 포함한다. 관리자 서버는 복수의 인가된 데이터 항목을 갖는 인가 목록을 유지하며, 이를 접근 제어 기기에 제공한다. 각각의 카드 키는 인가 데이터 항목 중 하나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데이터 항목을 저장한다. 카드 키 중 하나를 소지한 사람이 건물에 진입하려고 할 때, 하나의 카드 키와 접근 제어 기기 사이의 통신을 수립하기 위해 하나의 카드 키를 접근 제어 기기의 유효 통신 범위 내에 가져온다. 접근 제어 기기는 인가 목록의 인가 데이터 항목과의 비교를 위해 하나의 카드 키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 항목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A conventional access control system (e.g., used to control access to a building) includes an access control device, an administrator server, and a plurality of card keys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he administrator server maintains an authorization list with a plurality of authorized data items and provides them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Each card key stores a unique identification data item corresponding to one of the authorization data items. When a person having one of the card keys attempts to enter the building, one card key is brought into the effective communication range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to establish communication between the one card key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 access control device may be operable to identify the identification data item stored in one card key for comparison with the authorization data item in the authorization list.

식별 데이터 항목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면(즉, 인가 데이터 항목 중 하나에 대응되면), 접근 제어 기기는 접근 허용 모드로 전환되도록(예컨대 입구의 문을 잠금 해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f the identity data item is deemed valid (i.e., corresponds to one of the authorization data items), the access control device may be enabled to switch to the access permission mode (e.g., to unlock the door of the entrance).

관리자 서버는 인가 목록에 대한 신규 인가 데이터 항목의 추가 및 기존의 인가 데이터 항목의 삭제 및/또는 수정을 포함하는 관리자 기능을 갖도록 구현된다.The administrator server is implemented with an administrator function that includes adding new authorized data items to the authorization list and deleting and / or modifying existing authorization data items.

예컨대, 새로운 카드 키를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 서버의 운영자는 관리자 서버를 사용하여 새로운 카드키에 대한 식별 데이터 항목을 설정한 후 그 식별 데이터 항목을 신규 인가 데이터 항목으로서 인가 목록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갱신된 인가 목록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제어 기기에 송신된다. 그 결과, 접근제어 기기는 새로운 카드 키를 인가된 것으로 승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new card key is to be applied, the administrator of the manager server needs to set an identification data item for a new card key using the administrator server and then store the identification data item as a new authorized data item in the authorization list . The updated authorization list is then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As a result, the access control device can approve the new card key as authorized.

종래의 출입관리 시스템의 한 가지 단점은 관리자 기능이 오직 관리자 서버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인데, 관리자 서버는 전형적으로 접근 제어 기기에서 떨어진 장소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근 제어 기기와 관리자 서버 사이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다소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는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One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access control system is that the administrator function can only be executed using the administrator server, which is typically located away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refore, it is somewhat expensive to construct a network between the access control device and the manager server. Also, such a network may be vulnerable to hack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독으로 운용되는 접근통제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 관리자 컴퓨터인 상황실 인증서버에 설치되는 접근관리소프트웨어 및 이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출입구 리더기를 사용하여 접근통제 단말장치로의 사용자 등록 및 접근 단말장치의 설정등록과 같은 등록 데이터 송신을 용이하게 하고 접근 단말장치로부터의 접근기록 조회, 등록된 사용자 조회와 같은 접근단말장치 내의 데이터 조회를 편리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접근통제시스템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in which a smart phone is not connected to a network but is operated by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ccess management software installed in a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as a manager compute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transmission of registration data such as user registration to the access control terminal apparatus and setting registration of the access terminal apparatus and to inquire data in the access terminal apparatus such as inquiry of the access record from the access terminal apparatus and inquiry of the registered user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관제센터에 작업자의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며 작업자의 접근요청시 통합관제센터 컴퓨터에 의해 승인 코드를 발급하여, 스마트폰으로 작업자의 접근요청신호에 따른 승인 코드를 수신하고 공공시설물의 잠금을 개폐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력 관리와 점검일자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of the operator is stored in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nd when the operator requests access, the approval code is issued by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computer to receive the approval code according to the operator's access request signal with the smartphone, Thereby opening the database of the history management and the inspection date of the worker.

종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운용되는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사용자정보를 등록한 후에 설치하거나, 설치된 장소에서 사용자 카드를 들고 가서 직접 등록하거나,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등록하거나, 메모리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등록하거나, 공중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비접촉식 관리자카드를 사용하거나 하여 데이터 등록기능 및 조회기능을 수행하고 있다.In an access management system which is not connected to a conventional network but operates independently, it may be installed after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in advance, by registering the user card in a place where it is installed, by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notebook computer , Data registration function and inquiry function are performed by registering using a memory storage device, using a public data communication network, or using a contactless manager card.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4-0126675는 출입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인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 접근통제 시스템과 다르며 이러한 종래의 등록 데이터 송신 및 조회 데이터 수신 방식은 사용자 변경, 접근단말장치 설정변경과 같은 등록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할 경우에 관리자가 변경된 사항을 적시에 적용시키는데 사용자 카드 재수집에 따른 불편함 또는 경제적인 비용이 발생하여 대부분 이를 수행하지 못하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보안상 심각한 문제에 노출되는 한계점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6675 is related to an access control system, which differs from an access control system not connected to a network,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nventional registration data transmission and inquiry data reception methods include user change, When the change of registration data such as change occurs, the administrator applies the changed matter in a timely manner. It is inconvenient due to the re-collection of the user card or the economic cost. .

KR 10-1229333B1KR 10-1229333B1 KR 10-1118679B1KR 10-1118679B1 KR 10-1296863B1KR 10-1296863B1 KR 10-2014-0126675AKR 10-2014-0126675A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 공동구의 특수 환경(네트워크 인프라 부재, 리더기 야외 노출)에 적합한 체계적인 출입 및 점검 이력의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capable of managing a systematic access and inspection history suitable for a special environment (absence of a network infrastructure, outdoor exposure of a reader) .

또한, 본 발명은 통합관제센터의 인증서버에 작업자의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며 작업자의 접근요청시 통합관제센터에 의해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발급하여, 스마트폰으로 작업자의 접근요청신호에 따른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수신하고 지하 공동구의 잠금을 개폐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력 관리와 점검 내역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f the worker is obtained and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server of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the access control approval code is issued by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when the operator requests access, And to provide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for receiving the approval cod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lock of the underground accessory so as to database the history management and inspection details of the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지하 공동구로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다수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스마트폰 앱과, 블루투스, 지그비, NFC,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업무의 효율성과 접근 통제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smartphone app, Bluetooth, ZigBee, NFC, and RFI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that an administrator has to carry a plurality of keys in order to access an underground joint hole, And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community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 네트워크(40)를 통한 상황실 인증 서버(5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한 인증을 통해 상황실 인증 서버(50)의 DB에 의한 출입 권한을 부여받으며, 출입 권한에 대해서 시간, 일자, 연속 모드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통해 제한적 또는 비제한적으로 설정하는 스마트폰(10); 및 스마트폰(10)의 인증을 통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기간 동안에는 별도의 인증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업자에게 출입카드와 같이 사용되도록 관리하며, 지하 공동구내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허여하며 출입 전 지하 공동구내 상황에 대해서 지하 공동구를 관리하는 송출기(20)에 의한 센서모듈(30)로부터 측정된 유독가스,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상황실 인증 서버(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smart device operated by an operator, and accesses to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via the network 40 Access to the access room by the DB of the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through the authentication through the access right (access), and setting the access right to the access right in a limited or unlimited manner by selecting one of time, date, 10); And the smartphone 10 to be used as an access card to the worker independently without any separate authentication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access right is gran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smartphone 10, A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for controlling information on the premises situation to check information including toxic gas,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from the sensor module 30 by the radiator 20 that manages the underground cavity; And a control unit.

이때, 스마트폰(10)은, 송출기(20)에 대한 기준값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기준값을 송출기(20)로 전송하며, 기준값 설정은 정량적 수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martphone 10 is capable of setting a reference value for the radiator 20, transmitting the set reference value to the radiator 20, and setting the reference value to a quantitative value.

또한, 송출기(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된 기준값과 센서모듈(3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체적으로 알람 및 화면에 메시지 출력을 수행하거나 스마트폰(10)으로 알람 및 화면상으로의 메시지 출력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tter 20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0 with th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30 and outputs a message to the alarm and the screen itself when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10) for transmitting an alarm and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message on the scree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송출기(20)와 센서모듈(30)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송출기(20)와 센서모듈(30) 사이에는 출입통제 제어기(60), 통합 제어기(70), 전등 제어기(8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are directly connected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data, and between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70), and a light controller (80).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시에도 동작하며,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출입구에 설치된 개폐기(61)에 대한 제어를 중개하는 출입통제 제어기(60);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출입통제 제어기(6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배수펌프 제어, 동파방지 제어, 환풍기 제어에 대해서 중개하는 통합 제어기(70); 및 스마트폰(10)을 운영하는 작업자가 개폐기(61)가 설치된 출입구에서 전등 제어 및 상태 모니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제어 명령 수신 및 상태 정보 전송을 통합 제어기(70) 및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수행하는 전등 제어기(8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erform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by incorpora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in the built-in battery and operating in a power failure,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for mediating control of the switch (61);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by incorporating a local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in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10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70 for mediating the control of the drain pump by the smartphone 10, ); 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by incorporating a local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in the inside to allow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smartphone 10 to perform a light control and a status monitor at an entrance where the switch 61 is installed A light controller 80 for performing control command reception and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by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As shown in FIG.

이때, 전등 제어기(80)는, 송출기(20)가 연결되어 송출기(20)가 센서모듈(30)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온도, 습도, 유독가스)에 대한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10)으로의 전송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지하 공동구 내의 정전 시 충전지로 동작하며 충전 상태값 출입구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정보를 통합 제어기(70) 및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ight controller 80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er 20 so that the emitter 20 can display a self-display for the sensor value (temperature, humidity, toxic gas)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0, ), Operates as a rechargeable battery in a power failure in the underground conduit,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t the charging state value doorway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동구의 특수 환경(네트워크 인프라 부재, 리더기 야외 노출)에 적합한 체계적인 출입 및 점검 이력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systematic access control and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suitable for a special environment (absence of a network infrastructure, reader outdoors exposure) of an underground junction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은, 통합관제센터의 인증서버에 작업자의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며 작업자의 접근요청시 통합관제센터에 의해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발급하여, 스마트폰으로 작업자의 접근요청신호에 따른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수신하고 지하 공동구의 잠금을 개폐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력 관리와 점검 내역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for a public access center can identify and store information of a worker in an authentication server of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Code is issued to receive an access permission code according to an operator's access request signal to a smart phone and to open and close the lock of the underground communal area,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database management of the history management and inspection history of the work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은, 지하 공동구로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다수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스마트폰 앱과, 블루투스, 지그비, NFC,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업무의 효율성과 접근 통제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access control system for a subway entrance is a smartphone application, a Bluetooth, a ZigBee , NFC, and RFID, the system efficiency and security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에 의한 센서값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에 의한 제어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전등 제어기(80)에 대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sensor value by the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a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smartphone 10 in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a light controller 8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에 의한 센서값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10), 네트워크(40), 상황실 인증서버(50), 출입통제 제어기(60), 통합 제어기(70), 전등 제어기(80), 전등(90a) 및 조작 스위치(90b)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sensor value by the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es a smart phone 10, a network 40, a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an integrated controller 70, A light controller 80, a lamp 90a, and an operation switch 90b.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작업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 네트워크(40)를 통한 상황실 인증 서버(5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한 인증을 통해 상황실 인증 서버(50)의 DB에 의한 출입 권한을 부여받는다. 스마트폰(10)에 부여된 출입 권한은 시간, 일자, 연속 모드, 그 밖의 모드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통해 제한적 또는 비제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인증을 통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기간 동안에는 상황실 인증 서버(50)의 인증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업자에게 출입카드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지하 공동구내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제어가 가능하며, 출입 전 지하 공동구내 상황에 대해서 지하 공동구를 관리하는 도 2와 같이 후술하는 송출기(20)에 의한 센서모듈(30)로부터 측정된 유독가스, 온도, 습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은 송출기(20)에 대한 기준값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기준값을 송출기(20)로 전송하며, 기준값 설정은 정량적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출기(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된 기준값과 센서모듈(3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체적으로 알람 및 화면에 메시지 출력을 수행하거나 스마트폰(10)으로 알람 및 화면상으로의 메시지 출력을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출기(20)와 센서모듈(30)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송출기(20)와 센서모듈(30) 사이에는 출입통제 제어기(60), 통합 제어기(70), 전등 제어기(8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송출기(20)는 후술하는 출입구 리더기(90)와 동일한 몸체에 형성되거나 독자적인 형성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smartphone 10 is a mobile smart device operated by an operator. The smart smart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40, Access rights granted by the DB are granted. The access right granted to the smartphone 10 can be set to be limited or unlimited through selection of one of time, date, continuous mode, and other modes. The smartphone 10 can be used independently as an access card for an operator without authentication of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during a period in which an access right through authentication is granted, As shown in FIG. 2 for managing the underground collecting area, the information of the toxic gas,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from the sensor module 30 by the radiator 20 described later can be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 underground public premises before the entrance. In addition, the smartphone 10 can set a reference value for the radiator 20, transmit the set reference value to the radiator 20, and set the reference value to a quantitative value. Accordingly, the transmitter 20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0 with th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30, and when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utputs the message to the alarm and the screen itself, ) To send alarm and information for message output on the screen. Here,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through the access controller 60,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he light controller 80 And the radiator 20 may be formed in the same body as the entrance door reader 90 described later or may be formed independently.

한편, 스마트폰(10)은 통합 제어기(7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Bluetooth)을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10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Bluetooth).

출입통제 제어기(60)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시에도 동작하며,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출입구에 설치된 개폐기(61)에 대한 제어를 중개할 수 있다.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includes a built-in battery, operates even when a power failure occurs, and incorporates a local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therein to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The control on the installed switch 61 can be mediated.

통합 제어기(70)는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출입통제 제어기(6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배수펌프 제어, 동파방지 제어, 환풍기 제어에 대해서 중개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incorporat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therein to perform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controls the drain pump control, the anti-frost control, and the fan control by the smartphone 10 It can be brokered.

통합 제어기(70)의 통신관련 회로는 정전시 충전지로 동작하며, 통합 제어기(70)의 관련 상태 데이터 정보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출입통제 제어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related circuit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operates as a rechargeable battery during the power failure and the related state data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70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전등 제어기(80)는 스마트폰(10)을 운영하는 작업자가 개폐기(61)가 설치된 출입구에서 전등 제어 및 상태 모니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제어 명령 수신 및 상태 정보 전송을 통합 제어기(70) 및/또는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등 제어기(80)는 송출기(20)가 연결됨으로써, 송출기(20)가 센서모듈(30)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온도, 습도, 유독가스)에 대한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10)으로의 전송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등 제어기(80)는 지하 공동구 내의 정전 시 충전지로 동작하며 충전 상태값 출입구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정보를 통합 제어기(70) 및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controller 80 incorporates a local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in the interior of the smartphone 10 to allow the operator operating the smartphone 10 to perform the light control and the status monitor at the entrance where the switch 61 is installed, And can receive control commands and transmit status information by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 or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0033] FIG. The light controller 80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er 20 so that the emitter 20 can display its own display of the sensor value (temperature, humidity, toxic gas)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0, To be output through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The light controller 80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so that the light controller 80 operates as a rechargeable battery in a power failure in the underground cavity and can be confirmed at the charging state value entrance.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smartphone 10 in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앱을 구동하여 네트워크(40)를 통한 통합관제센터에 구비된 상황실 인증서버(50)로의 액세스를 통한 승인 요청을 수행한다(S11).Referring to FIG. 3, the smartphone 10 operates an underground access control application to perform an approval request through an access to a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provided in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through a network 40 (S11) .

단계(S11) 이후, 상황실 인증서버(50)는 네크워크(40)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 뒤 출입자 관련 정보에 대한 확인 대조 후 매칭되는 경우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S12).After the step S11, when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10 via the network 40 and then matches with the user information, 10) (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폰(1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상황실 인증서버(5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승인 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 Bluetooth, ZigBee, RFID 방식 중 하나를 통해 출입구 리더기(90)와 통신하여 출입구 리더기(90)와 연결된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개폐기(61)에 대한 제어를 통한 출입문 개폐를 위한 제어를 요청한다(S13).After step S12, the smartphone 10 transmits the access permission approval code received from the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via the network 40 to the gateway 40 through one of NFC, Bluetooth, ZigBee, The controller 90 communicates with the reader 90 and requests contro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rough the control of the switch 61 through the access controller 60 connected to the door reader 90 at step S13.

단계(S13) 이후, 출입구 리더기(90)와 연결된 출입통제 제어기(60)는 스마트폰(10)의 출입 허가 승인 코드를 확인하여 출입문 개방한다(S14). After step S13,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connected to the door entrance reader 90 confirms the access permission code of the smartphone 10 and opens the entrance door (S14).

단계(S14) 이후, 스마트폰(1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단계(S14)에 따른 출입 정보를 상황실 인증서버(50)나 한전에 해당하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로 전송함으로써,출입정보(출입시간, 장소 정보 포함)를 제공할 수 있다(S15).After step S14, the smartphone 10 transmits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step S14 to the communic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or the electric supply provider server 50a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through the network 40, (Access time, location information) (S15).

단계(S15) 이후, 상황실 인증서버(50) 및/또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는 단계(S15)에서 수신된 출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서 저장한다(S16).After step S15, the service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and / or the electricity supplier server 50a databases and stores the access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15 (S16).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을 이용한 인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출입구 리더기(90)에 대해서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연결된 개폐기(61)의 ID 및 지하 상태요청을 수행한다(S21).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a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smartphone 10 performs an ID and ground state request of the switch 61 connected to the entrance reader 90 through the entrance control controller 60 (S21).

단계(S21) 이후, 출입구 리더기(90)는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단계(S21)에서 요청된 데이터인 개폐기(61)의 ID 및 센서모듈(30)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을 획득하여 스마트폰(10)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한다(S22).After the step S21, the door entrance reader 90 acquires the ID of the door switch 61, which is the data requested in the step S21, and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0 via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22).

단계(S22) 이후, 스마트폰(10)은 단계(S22)에서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40)를 통한 상황실 인증서버(50)나 한전에 해당하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로 전송함으로써, 승인을 요청한다(S23).After step S22, the smartphone 10 transmits the data acquired in the step S22 to the communic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via the network 40 or the electricity supplier server 50a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liance, (S23).

단계(S23) 이후, 상황실 인증서버(50) 및/또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는 네크워크(40)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 뒤 출입자 관련 정보에 대한 확인 대조를 수행한 뒤(S24), 매칭되는 경우 출입허가 승인 코드(인증 코드)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S25).After the step S23, the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and / or the electricity supplier server 50a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10 via the network 40, (S24). If it is matched, the access permission code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10 (S25).

단계(S25) 이후, 스마트폰(10)은 출입허가 승인 코드(인증 코드)를 이용해 출입구 리더기(90)에 대한 명령 전송을 통해 출입구 리더기(90)와 연결된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연결된 개폐기(61)의 상태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출입문 제어(Open/Close)를 수행할 수 있다(S26).After step S25, the smartphone 10 transmits an instruction to the door entrance reader 90 by using the access authorization code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entrance door reader 90 through the door control device 60 connected to the entrance door reader 90 The state of the door 61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oor control (Open / Close) may be performed (S26).

단계(S26) 이후, 스마트폰(10)은 출입구 리더기(90)를 통해 제어가 완료된 개폐기(61)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S27).After step S26, the smartphone 10 can receive and confirm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witch 61 that has been controlled through the entrance reader 90 (S2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에 의한 제어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상술한 전등 제어기(80)와 연결된 조작 스위치(90b)를 포함하는 제어박스(90c)에 대한 제어를 위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상술한 출입구 리더기(90)로의 액세스를 통해 개폐기(6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은 출입구 리더기(90)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액세스하여 제어박스(90c)와 개폐기(61) 사이에 연결된 개폐기 제어선을 통해 제어박스(90c)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unction of the smartphone 10 in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smartphone 10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doorway rea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oorway reader ")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rol box 90c including the operation switch 90b connected to the above- 90 through the access to the switch 61. The smartphone 10 accesses the access point reader 90 via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ntrols the control box 90c through a switch control line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box 90c and the switch 61 can do.

이를 위해 출입구 리더기(90)는 개폐기(61)로부터 원거리로 연결하는 개폐기 제어선을 통해 제어박스(90c), 제어박스(90c) 내부에 장착되어 정전시에도 전원을 제어박스(90c)에 공급할 수 있는 비상배터리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0)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출입허가 승인 코드를 수신하여 개폐할 수 있는 동작 방식을 수행함으로써, 출입구 리더기(50)가 옥외에 위치하므로 충격에 의한 파손 방지 및 비나 먼지로 인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entrance reader 90 is mounted inside the control box 90c and the control box 90c through a switch control line that is connected to the remote switch 61 from the switch 61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box 90c The access point reader 50 is located outdoors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an impact and can be protected against rain or d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from occurring.

한편, 제어박스(90c)는 충전지를 내장하여 정전 시 충분한 시간 동안 구동 가능하며, 조작 스위치(90b)는 스마트폰(10) 상에서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앱에 의한 액세스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을 소지한 상태로 작업자가 작업 후 밖으로 나가는 경우, 조작 스위치(90b)에 대한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앱에 의한 조작시 스마트폰(1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상황실 인증서버(50) 및/또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로의 액세스를 통해 출입정보를 전송하며, 개폐기(61)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출입문 오픈 후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box 90c has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nd can be driven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during a power failure. The operation switch 90b can be operated in a state of accessing the smartphone 10 The smartphone 10 is connected to the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via the network 40 and / or the control unit 50 via the network 40 when the worker goes out after the work, It can control entrance and exit information through access to the supplier server 50a and control to open and close the door for a preset time through control of the switch 61. [

또한, 스마트폰(10)은 전등 제어기(80) 및 통합 제어기(70)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상황실 인증서버(50) 및/또는 전기공급자 서버(50a)로 전송할 수 있다.The smartphone 10 also checks the power supply and control status by the light controller 80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ransmit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and / To the server 50a.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전등 제어기(80)에 대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등 제어기(80)는 2개 선로에 DC 전원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정전시 자체적인 배터리에 의한 회로전원 공급을 수행한다. 전등 제어기(80)와 연결된 조작 스위치(90b)는 전등(90a)과 병렬 회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등(90a)은 LED 전등으로 형성되며, 전등 케이스 제작 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30)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및 습도센서는 주변온도/습도변화 또는 전력선 접합부위 비접촉 온도/습도를 측정하며 가스센서는 유독가스를 감지하며, 센서모듈(3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여 주변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light controller 80 in the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light controller 80 performs DC power and data transmission to two lines, and performs circuit power supply by a self-battery when a power failure occurs. The operation switch 90b connected to the lamp controller 8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amp 90a. The lamp 90a is formed of an LED lamp. When the lamp case is manufactured, a temperature sensor, a gas sensor, And a sensor module 30 including the sensor module 30. 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measures the ambient temperature / humidity change or the contactless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power line junction, and the gas sensor senses toxic gas. The sensor module 30 includ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한편, 스마트폰(10)은 스탠바이 모드(Stand By Mode), 페이지 모드(Page Mode), 조사모드(Inquiry Mode), 활성모드(Active Mode), 파크모드(Park Mode), 대기모드(Hold Mode), 탐지모드(Sniff Mode)로 작동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martphone 10 may include a standby mode, a page mode, an inquiry mode, an active mode, a park mode, a standby mode, , And a detection mode (Sniff Mode).

스탠바이 모드(Stand By Mode)는 대기상태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의 유닛이 피코넷범위에 들어온 경우(미접속상태)의 상태에 수행되는 모드이다. Standby mode (standby mode) is a standby mode in which a Bluetooth unit, which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laced in the piconet range (unconnected state).

페이지 모드(Page Mode)는 호출모드로, 피코넷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유닛은 1.28초마다 호출(Paging 메시지) 확인을 수행하는 모드이다.The page mode is a call mode, and a unit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piconet performs a call (paging message) confirmation every 1.28 seconds.

조사모드(Inquiry Mode)는 마스터가 기기의 주소를 알지 못할 때, 주변장치에게 문의하는 상태로써 디바이스의 정보를 취득한다.In the inquiry mode, when the master does not know the address of the device, it inquires the peripheral device and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device.

활성모드(Active Mode)는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연결을 설정하고 실질적인 자료를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송수신하는 모드이다. Active Mode is a mode in which a master and a slave establish a connection and send and receive substantial data between applications.

파크모드(Park Mode)는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마스터와 동기화되어 있으나 데이터를 주고받지 않고, 제어메시지만을 점검하는 모드이다. Park mode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t is synchronized with the master but does not exchange data. It checks only control messages.

대기모드(Hold Mode)는 데이터 전송을 마스터, 슬레이브 모드 중지할 수 있으며, 전력비를 줄이기 위한 모드이다. Hold mode is a mode to stop data transmission in master and slave mode and to reduce power ratio.

탐지모드(Sniff Mode)는 슬레이브 유닛에만 적용되며, 데이터는 전송치 않고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만을 점검하는 모드이다.The detection mode (Sniff Mode) is applied only to the slave unit, and the data is a mode for checking only data transmitted without transmiss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스마트폰
20 : 송출기
30 : 센서모듈
40 : 네트워크
50 : 상황실 인증서버
60 : 출입통제 제어기
70 : 통합 제어기
80 : 전등 제어기
90 : 출입구 리더기
90a : 전등
90b : 조작 스위치
90c : 제어박스
10: Smartphone
20:
30: Sensor module
40: Network
50: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60: Access control controller
70: Integrated controller
80: Light controller
90: Doorway reader
90a: light
90b: Operation switch
90c: control box

Claims (6)

작업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로, 네트워크(40)를 통한 상황실 인증 서버(50)로의 액세스(Access)를 통한 인증을 통해 상기 상황실 인증 서버(50)의 DB에 의한 출입 권한을 부여받으며, 출입 권한에 대해서 시간, 일자, 연속 모드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통해 제한적 또는 비제한적으로 설정하는 스마트폰(10); 및
상기 스마트폰(10)의 인증을 통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기간 동안에는 별도의 인증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업자에게 출입카드와 같이 사용되도록 관리하며, 지하 공동구내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허여하며 출입 전 지하 공동구내 상황에 대해서 지하 공동구를 관리하는 송출기(20)에 의한 센서모듈(30)로부터 측정된 유독가스,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상황실 인증 서버(50); 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송출기(20)에 대한 기준값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기준값을 상기 송출기(20)로 전송하며, 기준값 설정은 정량적 수치로 설정하며,
상기 송출기(20)는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된 기준값과 상기 센서모듈(30)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자체적으로 알람 및 화면에 메시지 출력을 수행하거나 상기 스마트폰(10)으로 알람 및 화면상으로의 메시지 출력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송출기(20)와 상기 센서모듈(30)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송출기(20)와 상기 센서모듈(30) 사이에는 출입통제 제어기(60), 통합 제어기(70), 전등 제어기(8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
A mobile smart device operated by an operator is granted access right by the DB of the situation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through authentication through access to the status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via the network 40, The smartphone 10 which sets the time limit, the date, and the continuous mode to a limited or unlimited range by selecting one of them; An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access right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smartphone 10 is granted, it manages to be used as an access card independently to the operator without any separate authentication. It also allows monitoring or control of the underground public premises equipment, The service room authentication server 50 for controlling the presence server 10 to check information including toxic gas,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from the sensor module 30 by the radiator 20 managing the underground cavity; / RTI >
The smartphone 10 can set a reference value for the radiator 20, transmits a set reference value to the radiator 20, sets a reference value to a quantitative value,
The transmitter 20 compares a reference value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0 with a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30, and when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utputs the message to the alarm and the screen itself, And transmits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 alarm and a message on the screen to the controller 10,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are directly connected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and data or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70 are provided between the transmitter 20 and the sensor module 30. [ , And a light controller (8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시에도 동작하며,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출입구에 설치된 개폐기(61)에 대한 제어를 중개하는 출입통제 제어기(60);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출입통제 제어기(6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배수펌프 제어, 동파방지 제어, 환풍기 제어에 대해서 중개하는 통합 제어기(70); 및
스마트폰(10)을 운영하는 작업자가 개폐기(61)가 설치된 출입구에서 전등 제어 및 상태 모니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근거리 통신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통합 제어기(70)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제어 명령 수신 및 상태 정보 전송을 통합 제어기(70) 및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수행하는 전등 제어기(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The smartphone 10 can be connected to the switch 61 installed at the doorway by the smartphone 10,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for mediating control;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by incorporating a local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in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10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70 for mediating the drain pump control, ); And
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by incorpora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 module therein so that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smartphone 10 can perform the light control and the status monitor at the entrance where the switch 61 is installed A light controller 80 for performing control command reception and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by the smartphone 10 through an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an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Further comprising a smartphone authentication key based underground access control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등 제어기(80)는,
송출기(20)가 연결되어 송출기(20)가 센서모듈(30)에 의해 측정된 센서값(온도, 습도, 유독가스)에 대한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10)으로의 전송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지하 공동구 내의 정전 시 충전지로 동작하며 충전 상태값 출입구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정보를 통합 제어기(70) 및 출입통제 제어기(60)를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인증키 기반 지하 공동구 출입관리 시스템.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The transmitter 20 is connected to allow the transmitter 20 to output through its own display for sensor values (temperature, humidity, toxic gas)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0 or transmission to the smartphone 10 ,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ler (70) and the access control controller (60) so that the battery operates as a rechargeable battery in a power failure in the underground cavity and can be confirmed at the charging state value entrance. Access Key Management System based on Phone Authentication Key.
KR1020170078723A 2017-06-21 2017-06-21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KR101912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23A KR101912349B1 (en) 2017-06-21 2017-06-21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23A KR101912349B1 (en) 2017-06-21 2017-06-21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349B1 true KR101912349B1 (en) 2018-10-26

Family

ID=6409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23A KR101912349B1 (en) 2017-06-21 2017-06-21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34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41A (en)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entrance of the facilities and opening and closing method
CN111540095A (en) * 2020-04-20 2020-08-14 北京澎思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access control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access control system
KR20210051504A (en)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A door lock security system using one time security password
KR102262485B1 (en) * 2019-12-31 2021-06-08 주식회사 대림 A smart home enhanced security system using one time security password
KR20230147419A (en) 2022-04-14 2023-10-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er access contro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92A (en) * 2007-04-26 2008-10-30 (주)모노시스 The management system of an underground line using rfid/usn
KR101118679B1 (en)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229333B1 (en)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Ent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296863B1 (en)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Entr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nfc door lock
KR20140126675A (en) 2013-04-23 2014-10-31 피케이이노 인크. Access control system
KR20160115538A (en)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신성테크 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amart terminal and method of 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theref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92A (en) * 2007-04-26 2008-10-30 (주)모노시스 The management system of an underground line using rfid/usn
KR101118679B1 (en) 2011-07-07 2012-03-06 현대통신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229333B1 (en)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Ent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40126675A (en) 2013-04-23 2014-10-31 피케이이노 인크. Access control system
KR101296863B1 (en)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Entr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nfc door lock
KR20160115538A (en)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신성테크 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amart terminal and method of 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theref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41A (en)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엘에스에이치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entrance of the facilities and opening and closing method
KR20210051504A (en)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A door lock security system using one time security password
KR102344754B1 (en) 2019-10-30 2021-12-29 주식회사 대림 A door lock security system using one time security password
KR102262485B1 (en) * 2019-12-31 2021-06-08 주식회사 대림 A smart home enhanced security system using one time security password
CN111540095A (en) * 2020-04-20 2020-08-14 北京澎思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access control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access control system
KR20230147419A (en) 2022-04-14 2023-10-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er access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49B1 (en) Entran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015896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9690272B2 (en) Indoor automation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RFID-to-Bluetooth selective adapter
CN101043400B (en)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KR101956344B1 (en) Smartphone-based access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method and its access control system
KR101564716B1 (en) Apparatus for managing open and shut in enclosure box
KR102097755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call interlocking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al-time mobile service
CN1989531A (en) Wi-fi premises to vehicle telematics interface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3262134A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ntrol unit of a home-utomation installation
US20210209879A1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40347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ontrol device
KR20180028649A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used smart tag
KR20210025909A (en) Smart door look control system and method
TW201633211A (en) RFID-to-bluetooth selective adapter
JP5785013B2 (en) Lock system
KR102345168B1 (en) Double secure door lock interworking system and method the same
US20170011574A1 (en) Electronic tamper resistant load control
KR101888545B1 (en) Performance method for setting service by designated area based on GPS
KR101689623B1 (en) building control system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4790733A (en) Intelligent control lock
KR101641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mtrence Management Using NFC and Bluetooth
JP2022548101A (en) Remote sensors and communication methods with remote sensors
KR20160070248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User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