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488B1 -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 Google Patents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488B1
KR101911488B1 KR1020170058634A KR20170058634A KR101911488B1 KR 101911488 B1 KR101911488 B1 KR 101911488B1 KR 1020170058634 A KR1020170058634 A KR 1020170058634A KR 20170058634 A KR20170058634 A KR 20170058634A KR 101911488 B1 KR101911488 B1 KR 10191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lective reflection
display light
windshield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종
김승현
현상원
이계승
허환
김건희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4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02B26/088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the refracting element being a prism
    • G02B26/0891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the refracting element being a prism forming an optical w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A combiner attached to a windshield for an HU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windshield of a vehicle and reflects display light emitted from an image output devic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ward a driver. Wherein, the combiner attached to a windshield for an HUD includes: a transmitting layer for transmitting the display light to the outer side by refracting the display light which is incident to the inner side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and a selective reflection layer whose inner side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transmitting layer and which reflects a specific polarization beam in the display light which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lay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egradation of visibility.

Description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본 발명은 HUD(HEAD-UP DISPLAY)용 광학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상을 방지하고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member for a head-up display (HU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a HUD capable of preventing a double image and minimizing visibility due to external light .

최초 HUD 시스템은 전투기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영상 표시광은 조종석 전방에 놓여진 컴바이너에서 반사되고 조종사측으로 입사되어 영상 표시광에 의한 각종 정보를 조종사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HUD 시스템은 자동차 산업 분야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차량 주행에 필요한 주변 환경 정보, 안전 정보 등을 운전자 시야 정면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주행 중에 시선을 옮길 필요가 없게 되어 운전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HUD system was developed for fighter aircraft, and the image display light is reflected from a combiner placed in front of the cockpit and incident on the pilot side, allowing the pilot to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by the image display light. In recent years, the HUD system has been actively applied to the automobile industry. By displa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afety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in front of the driver's view, the driver does not have to move his / her eyes while driving, .

컴바이너 타입의 HUD은, 반사 필름이 부착된 컴바이너를 차량 패널 위에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표시 영상에 대한 시인성 및 외부상에 대한 투과도가 낮아, 최근에는 윈드쉴드 타입의 HUD가 각광 받고 있다. Since the combiner-type HUD is required to install a reflector-mounted combiner on the vehicle panel,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space efficiency, has low visibility for the display image and has low transparency to the external image. Recently, a windshield type HUD is in the spotlight.

도 1 및 2는 종래 차량용 윈드쉴드 타입 HUD 시스템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HUD 시스템(10)은 영상 출력 장치(11) 및 반사 미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영상 출력 장치(11)는 각종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광을 반사 미러(12) 측으로 출력하고, 영상 표시광은 반사 미러(12)에서 반사되어 차량의 윈드쉴드(13) 내면으로 입사한다. 여기에서, 윈드쉴드(13) 내면에서 반사된 영상 표시광은 운전자의 시선(아이박스)으로 입사되고, 영상 표시광은 운전자에게 윈드쉴드(13) 외면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허상으로 인식되게 된다. 1 and 2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windshield type HUD system for a vehicle. Referring to FIG. 1, a vehicular HUD system 10 includes a video output device 11 and a reflection mirror 12. Here, the video output device 11 outputs video display light including various video information to the reflection mirror 12, and the video display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12 and is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of the vehicle I will join. Here, the image display light reflec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is incident on the sight line (eye box) of the driver, and the image display light is recognized as a virtual image located at a positio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

종래 윈드쉴드 타입 HUD 시스템에 있어서, 윈드쉴드(13) 외면에서 외부광(예 : 태양광 등)이 HUD 광학계로 입사하는 경우, 외부광은 HUD 광학계에서 반사 및 산란되어 영상 표시광과 함께 운전자의 시야로 입사하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눈에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등 영상 표시광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윈드쉴드(13) 외면에서 입사하는 태양광은 윈드쉴드(13)를 투과하고 반사 미러(12)에서 반사되어 다시 윈드쉴드(13) 내면으로 입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11)에서 출력되는 영상 표시광과 함께 운전자의 시야로 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영상 표시광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windshield type HUD system, when external light (such as sun light) enters the HUD optical syste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and scattered by the HUD optical system, As the light enters the field of view, the visibility of the image display light may be lowered, such as causing the driver's eyes to feel tired. 1, the sunlight incid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ndshield 13,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12, and then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The visual field of the image display light outpu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1 is reached together with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또한, 종래 윈드쉴드 타입 HUD 시스템은, 윈드쉴드(13)의 내측면 및 외측면 각각에서 반사되는 광에 의하여 이중상이 발생됨에 따라 영상 표시광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출력 장치(11)에서 출력되는 영상 표시광은 윈드쉴드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아이박스로 진행하는 제1 광경로와, 윈드쉴드 외측면에서 반사되어 아이박스로 진행하는 제2 광경로로 분할되어 진행됨에 따라, 운전자는 영상 정보를 미세하게 중첩된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indshield type HUD system, visibility of the image display light may be lowered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double phase due to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13, respectively.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image display light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11 is reflec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and travels to the eye box, , The driver recognizes the image information in a finely superimposed state.

그러나, 윈드쉴드 타입의 HUD 시스템에 있어서, 의도치 않게 입사하는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와 윈드쉴드의 양면에서 반사되는 영상 표시광에 의한 이중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However, in a windshield type HUD system, there is not provided a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solving a problem of low visibility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unintentionally and a dual-phase problem caused by image display light reflected from both sides of the windshield to be.

일본등록특허 제5,081,953호Japanese Patent No. 5,081,95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HUD 시스템에 입사하여 아이박스(Eyebox)로 반사되는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윈드쉴드의 양면에서 반사되는 영상 표시광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visibility degradation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HUD system and reflected by the eye box,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double phase due to the windshield of the HU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는 차량의 윈드쉴드 내측면에 부착되어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표시광을 운전자에게 향하도록 차량 내측으로 반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내측면으로 입사되는 표시광을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키는 투과층; 및 내측면이 상기 투과층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투과되는 표시광에서 특정 편광 빔을 상기 투과층으로 반사시키는 선택 반사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HU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nd reflects the display light emitted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toward a driver. Here, the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HUD includes a transmissive layer that refracts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inner side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ransmits the display light to the outer side; And a selective reflection layer for attaching the inner side surface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nsmissive layer and reflecting a specific polarized beam from the transmissive display light to the transmissive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과층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층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쐐기형(wedge) 광학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ve layer may include a wedge optical layer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an inner side formed obliquely with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쐐기형 광학층은 상기 입사되는 표시광이 브루스터 각(Brewster angle)을 이루며 상기 선택 반사층의 내측면으로 입사하도록,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층과 기정의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has an inner surfac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so that the incident display light forms a Brewster angle and enters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과층은 상기 쐐기형 광학층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무반사(Anti Refletion)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coating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반사층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지며,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하는 표시광에서 S 편광 빔을 상기 투과층으로 반사시키는 선택 반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may include a selective reflection film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and forming an Brewster angle, and reflecting the S polarized light to the transmissive layer in incident display ligh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은 상기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하는 표시광에서 P 편광 빔을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forms the Brewster's angle and can refract the P-polarized beam from the incident display light to transmit the P-polarized beam to the outer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반사층은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과되는 P 편광 빔의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S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S polarizing film which has an inner surface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and absorbs at least a part of the transmitted P polarized light beam.

일 실시예에서, 상기 S 편광 필름은 외측면이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량의 외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 polarizing film may reflect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쐐기형 광학층은 SiO2 나노로드(nanoload)로 형성되고,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은 SiO2, Si3N4 및 amorphous S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is formed of a SiO 2 nanoload, and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본 발명에 따르면, HUD 시스템에 입사하여 아이박스(Eyebox)로 반사되는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윈드쉴드의 양면에서 반사되는 영상 표시광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isibility degradation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HUD system and reflected by the eye box,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ouble image due to the image display light reflected from both sides of the windshield have.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윈드쉴드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설계 가능하고, 종래의 HUD용 컴바이너와 비교하여 설계 비용이 저렴하며 공간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signed corresponding to various windshield shapes, and the design cost can be lower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UD combiner, and the space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윈드쉴드 타입의 HUD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광학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에 적용 가능한 소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and 2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windshield type HUD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and 4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combiner equipped with a windshield for a HU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wedge-shaped optica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13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material applicable to a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a HU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HUD용 광학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UD 시스템에 입사하여 아이박스(Eyebox)로 반사되는 외부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윈드쉴드의 양면에서 반사되는 영상 표시광에 의한 이중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member for a HU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member for an HUD which minimizes visibility degradation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HUD system and reflected by an eye box, To a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HUD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double phase due to light.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윈드쉴드 내측면에 부착되는 컴바이너를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되, 내측(영상 출력 장치 측)의 광학층은 입사되는 영상 표시광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고, 외측(윈드쉴드 측)의 광학층은 내측 광학층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에서 특정 편광 빔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s a result of intensive effort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 combin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a windshiel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optical layer on the inner side (video output device side) It is confirmed that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obtained by spatially separating light and selectively configuring the optical layer on the outer side (windshield side) to selectively transmit a specific polarized light beam through the inner optical layer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이하, 부착형 컴바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내측면은 차량의 내부(또는 운전자)를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고, 외측면은 차량의 외부(또는 윈드쉴드)를 향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3 and 4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windshield attachment type comb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ttachment typ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ner side means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r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the outer side means the surface facing the outside (or windshield) of the vehicle.

도 3을 참조하면, 부착형 컴바이너는 윈드쉴드(110) 내측면에 부착되어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로부터 출사되는 표시광을 운전자에게 향하도록 차량 내측으로 반사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attachable combiner is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windshield 110 and reflects the display light emitted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not shown)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driver.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는 기설정된 영상 표시광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부착형 컴바이너의 하부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영상 신호 제공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영상 신호와 대응되는 영상 표시광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The video output device (not shown) outputs a predetermined video display light. The video output device may be locat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attachable combiner shown in FIG. 3 and may be connected to a video signal providing device (not shown) And outputs the generated image display light to the outside.

부착형 컴바이너는 투과층(120) 및 선택 반사층(130)을 포함한다. The attachable combiner includes a transmissive layer 120 and a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투과층(120) 및 선택 반사층(130) 각각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박막(thin film)으로, 면적 및 두께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면적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transmissive layer 120 and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is a thin fil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transmissive layer 120 and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may have various areas and thickness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차량의 전면에 형성된 윈드쉴드(110)의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컴바이너는 윈드쉴드(110)의 내측면 일정 영역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부착 면적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windshield 11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shield 110,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rea of attachment.

투과층(120) 및 선택 반사층(130) 각각은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진다. 여기에서, 투과층(120)의 내측면은 차량 내부를 향하고 외측면은 선택 반사층(130)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으며, 선택 반사층(130)의 외측면은 윈드쉴드(110)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다. Each of the transmissive layer 120 and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has an inner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may b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may be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110. [ .

투과층(120) 및 선택 반사층(130) 각각은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투과층(120) 및 선택 반사층(130)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transmissive layer 120 and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and the transmissive layer 120 and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may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투과층(120)은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내측면으로 입사되는 표시광을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킨다. The transmissive layer 120 refracts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ransmits the display light to the outer surface.

일 실시예에서, 투과층(120)은 내측면이 선택 반사층(130)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쐐기형(wedge) 광학층(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층(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광학층(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ve layer 120 may include a wedge optical layer 121 whose inner surface is sloped with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ve layer 120 may include an optical layer 121 formed in a wedge shape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은 선택 반사층(130)과 기정의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쐐기형 광학층(121)은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내측면으로 입사되는 표시광을 물성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and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made of a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frac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ransmit the light to the outer side.

한편,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표시광은,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에서 차량 내부로 반사되는 제1 광경로(A)와,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을 굴절 및 투과하여 외측면에서 반사된 후 내측면에서 굴절되어 차량 내부로 입사하는 제2 광경로(B)로 분할되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층(120)이 쐐기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광경로(A)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과 제2 광경로(B)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쐐기형 광학층(121)은, 제2 광경로(B)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은 아이박스로 입사되고, 제1 광경로(A)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은 아이박스의 하부로 입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light incident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is reflected by the first optical path A reflec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optical path A reflect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wedge- And then divided into a second optical path B which is reflected by the outer side surface and is refrac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and en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Here, as shown in Fig. 5, as the transmissive layer 120 is formed in a wedge shape, the display light proceeding along the first optical path A and the display proceeding along the second optical path B The light can be proces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arranged such that the display light proceeding along the second optical path B is incident on the eye box, and the display light proceeding along the first optical path A is incid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eye box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층(120)이 쐐기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표시 영상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도 2의 종래 윈드타입 HUD에서 나타나는 이중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ransmissive layer 120 is formed in a wedge shape, the display image can be spatially separated, thereby solving the double-phase problem that occurs in the conventional wind type HUD of FIG.

한편, 제2 광경로(A)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은 운전자의 시선으로 입사되지 않는 광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이하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light traveling along the second optical path A corresponds to the light not incident on the line of sight of the driver, and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서, 투과층(120)은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무반사(Anti Refletion) 코팅층(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반사 코팅층(1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표시광을 차량 내부로 반사시키지 않고 쐐기형 광학층(121)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에, 무반사 코팅층(122)은 부착형 컴바이너의 전체 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2 광경로(B)를 따라 진행하는 표시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이중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ve layer 120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coating 122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Here, as shown in FIG. 4, the anti-reflective coating layer 122 can transmit the display light incident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into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without reflecting it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us, the anti-reflective coating layer 122 can increase the overall light efficiency of the attachable combiner and prevent the display light from proceeding along the second optical path B from being generated, thereby solving the dual phase problem.

일 실시예에서, 쐐기형 광학층(121)은 입사되는 표시광이 브루스터 각(Brewster angle)을 이루며 선택 반사층(130)의 내측면으로 입사하도록, 내측면이 선택 반사층(130)과 기정의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쐐기형 광학층(121)을 투과한 표시광이 선택 반사층(130)의 내측면과 브루스터 각(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1
)을 이루며 입사할 수 있도록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은 선택 반사층(130)과 각도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쐐기형 광학층(121)의 경사 각도θ에 대한 설계 범위에 대하여는 후술한다.In one embodiment,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formed such that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as a Brewster angle, Can be formed at an angle. 4, the display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reflec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and the Brewster's angle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1
The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may be formed to form an angle &thetas; with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On the other hand, the design range f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will be described later.

선택 반사층(130)은 내측면이 투과층(12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선택반사층(130)은 투과층(120)을 투과하는 표시광에서 특정 편광 빔을 투과층(12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has an inner surfac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missive layer 120. Here,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may reflect a specific polarized beam to the transmissive layer 120 in the display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ve layer 120.

일 실시예에서, 선택 반사층(130)은 쐐기형 광학층(121)보다 큰 굴절률을 가지는 선택 반사 필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택 반사 필름(131)은 쐐기형 광학층(121)의 굴절률(n1, 제1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n2, 제2 굴절률)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ve layer 130 may include a selective reflective film 131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That is,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n2, second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n1, first refractive index)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

일 실시예에서, 선택 반사 필름(131)은 쐐기형 광학층(121)을 투과하여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하는 표시광에서 S 편광 빔을 쐐기형 광학층(121)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입사하는 표시광은, 쐐기형 광학층(121)을 투과하되, 쐐기형 광학층(121)의 물성 및 경사 각도 에 의하여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선택 반사 필름(131)의 내측면으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광이 선택 반사 필름(131)의 내측면으로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됨에 따라 P 편광 빔은 선택 반사 필름(131)의 내부로 투과굴절되고, S 편광 빔은 선택 반사 필름(131)의 내측면에서 쐐기형 광학층(121)으로 반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transmits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to form a Brewster angle, and can reflect the S polarized beam to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n the incident display light. 4,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image display device passes through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and forms the Brewster's angle by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As shown in FIG. As the display light enters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with a Brewster angle, the P-polarized light beam is transmitted and refracted into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and the S- To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윈드쉴드(110) 외측에서 외부광(예 : 태양광 등)이 의도치않게 HUD 광학계로 입사되는 경우, 입사되는 외부광이 HUD 광학계에서 반사 및 산란되어 윈드쉴드(110) 내측면으로 입사되더라도, S 편광 빔만 선택적으로 아이박스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outside light (e.g., sunlight) is incident on the HUD optical system from outside the windshield 110, the inciden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and scattered by the HUD optical system, 110), only the S-polarized light beam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eye box,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일 실시예에서, 선택 반사층(130)은 내측면이 선택 반사 필름(13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S 편광 필름(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S 편광 필름(132)은 선택 반사 필름(131)을 투과되는 P 편광 빔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0 may further include an S polarizing film 132 whose inn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Here, the S polarizing film 132 can absorb at least a part of the P polarized light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일 실시예에서, S 편광 필름(132)은 외측면이 윈드쉴드(110)의 외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윈드쉴드(110)의 외측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 polarizing film 132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windshield 110 to the outside of the windshield 110 on the outer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S 편광 필름(132)이 선택 반사 필름(131)을 투과하는 P 편광 빔을 흡수하여 P 편광 빔이 더 이상 반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광이 부착형 컴바이너 내측으로 입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 polarizing film 132 absorbs the P polarized light beam transmitted through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so that the P polarized light beam is not further reflected, So that the vi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컴바이너의 설계 조건에 대하여 도 4를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attachable comb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쐐기형 광학층(121)의 경사 각도(θ)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dge-

쐐기형 광학층(121)의 경사 각도(θ)를 유도하기 위하여,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n0 -> n1)에서 스넬의 법칙을 적용하고, 선택 반사 필름(131)의 내측면(n1 -> n2)에서 브루스터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The Snell's law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n 0 -> n 1 )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to induce the tilt angle θ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N 1 - > n 2 ), the following is applied.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4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4

여기에서, 삼각형 내각 공식을 이용하면 쐐기형 광학층(121)의 경사 각도(θ)는 다음과 같다. Here, the inclination angle &thetas;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5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5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6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6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7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7

즉, 쐐기형 광학층(121)의 경사 각도(θ)는 n1, n2 및 입사각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8
에 의존한다.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θ) is n 1, n 2, and the angle of incidence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8
Lt; / RTI >

2. 아이박스로 입사하는 표시광의 입사각도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9
)2. The incident angle of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eye box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09
)

아이박스로 입사하는 표시광의 입사각도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0
)를 유도하기 위하여,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n1 -> n0)에서 스넬의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The incident angle of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eye box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0
(N 1 -> n 0 )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Snell's law is applied as follows.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1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1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4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4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5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5

즉, 아이박스로 입사하는 표시광의 입사각도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6
)는 n1, n2 및 입사각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7
에 의존한다. That is, the incident angle of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eye box (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6
) Are n 1 , n 2, and the incident angle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7
Lt; / RTI >

단,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However, the following conditions shall be satisfied.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8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8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9
Figure 112017044799252-pat00019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0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0

상기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condi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1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1

또는,or,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2

3. 부착형 컴바이너의 광효율(light efficiency) Leff 3. Light efficiency of the attachable combiner L eff

프레넬 방정식에 의하여, 경계면에서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Fresnel equation,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at the interface are as follows.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4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4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5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5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6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6

(Rs - pol : s 편광 빔의 반사율, Rp - pol ; p 편광 빔의 반사율, Ts - pol : s 편광 빔의 투과율, Tp - pol : p 편광 빔의 투과율)(R s - pol: s reflectance of the polarized beam, R p - pol; reflectance of p-polarized beam, T s - pol: transmittance of s-polarized beam, T p - pol: the transmittance of the p-polarized beam)

여기에서, n0와 n1에서의 투과율, n1과 n2에서의 반사율 및 n1과 n0에서의 투과율을 각각 유도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transmittance at n 0 and n 1 , the reflectance at n 1 and n 2 , and the transmittance at n 1 and n 0 are respectively derived as follows.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7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7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8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8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9
Figure 112017044799252-pat00029

부착형 컴바이너의 최종 광효율은 n0와 n1에서의 투과율, n1과 n2에서의 반사율, n1과 n0에서의 투과율 및 n1 매질의 투과도의 곱으로 주어진다.The final optical efficiency of the attached combiner is given by the product of the transmittance at n 0 and n 1 , the reflectance at n 1 and n 2 , the transmittance at n 1 and at n 0 , and the transmittance at n 1 medium.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0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0

([T]n1 : n1 매질의 투과도)([T] n1 : Transmittance of n1 medium)

즉, 부착형 컴바이너의 광효율(light efficiency) Leff 은 n1, n2 및 입사각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1
에 의존한다.That is, the light efficiency L eff of the attachable combiner N 1 , n 2 and the incident angle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1
Lt; / RTI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에 무반사 코팅층(122)이 형성되는 경우, n0와 n1에서의 투과율과 n1과 n0에서의 투과율은 1이므로, n1과 n2에서의 반사율만을 고려하면 부착형 컴바이너의 광효율(light efficiency) Leff 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ti-reflective coating layer 12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ance at n 0 and n 1 and the transmittance at n 1 and n 0 are 1 Therefore, considering only the reflectance at n 1 and n 2 , the light efficiency L eff Is as follows.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2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2

4. 부착형 컴바이너의 소재4. Material of attachable combiner

상기 1 내지 3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컴바이너의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각 구성에 적용 가능한 소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다양한 공지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n embodiment of the material applicable to each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onsidering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attachabl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aspec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known materials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can be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쐐기형 광학층(121)은 SiO2 나노로드(nanoload)로 형성되고, 선택 반사 필름(131)은 SiO2, Si3N4 및 amorphous S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formed of a SiO 2 nanoload, and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632.8 nm 파장에서 SiO2 나노로드는 약 1.05의 굴절률을, SiO2는 약 1.45의 굴절률을, Si3N4는 약 2.04의 굴절률을, amorphous Si은 약 4.5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SiO2, Si3N4 및 amorphous Si(n2)는 SiO2 나노로드(n1)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iO2 나노로드(n1)는 가시영역에서 우수한 투과도를 나타내며, SiO2, Si3N4 및 amorphous Si(n2)는 얇은 코팅(약 수십 nm 수준)이 가능하므로 광의 투과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6 to 8, at a wavelength of 632.8 nm, SiO 2 nanorods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05, SiO 2 has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45, Si 3 N 4 has a refractive index of about 2.04, amorphous Si has a refractive index of about 4.5 . It can be seen that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n 2 ) exhibit a relatively high refractive index as compared with the SiO 2 nanorod (n 1 ). In addition, SiO 2 nanorods (n 1 ) exhibit good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egion, and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n 2 ) can be thin coated (about several tens nm) Is not generated.

도 9 내지 11은, 쐐기형 광학층(121)이 SiO2 나노로드(nanoload)로 형성되고 선택 반사 필름(131)이 SiO2, Si3N4 및 amorphous Si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1 내지 2에서 설명한 부착형 컴바이너의 설계 조건에 따른 θi와 1/sin(θb+θ), θt2의 관계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9 to 11 show the case where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formed of SiO 2 nanorod and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is formed of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θ i and 1 / sin (θ + θ b) according to the attached combiners your design conditions described, is a referenc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θ t2.

우선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상기 소재 각각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θi, θt2 및 θ의 각도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9 to 11, an angle range of θ i , θ t2 and θ for the case where each of the materials is applied can be confirmed.

우선, 도 9는 입사각 θi와 1/sin(θb+θ)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은 도 9에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θi의 범위에서의 θt2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t angle θ i and 1 / sin (θ b + θ). FIG. 10 shows θ t2 in the range of θ i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 in FIG.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3
Figure 112017044799252-pat00033

여기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나타나는 입사각 θi 범위에서의 θi 와 θ(부착형 컴바이너의 경사 각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2가 SiO2로 형성되는 경우, 입사각 θi = 50°에서 부착형 컴바이너의 쐐기 각도 θ는 7°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n2가 Si3N4로 형성되는 경우, 입사각 θi =60° 에서 부착형 컴바이너의 쐐기 각도 θ는 7°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n2가 amorphous Si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사각 θi = 45°에서 부착형 컴바이너의 쐐기 각도 θ는 34°로 형성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11, the incident angle &thetas; i Θ i in the range And θ (inclination angle of the attachable combiner). For example, if n 2 is formed of SiO 2 , the wedge angle θ of the attachment combiner can be formed at 7 ° at an incident angle θ i = 50 °. For another example, if n 2 is formed of Si 3 N 4 , the wedge angle θ of the attachment combiner can be formed at 7 ° at an incident angle θ i = 60 °. For another example, if n 2 is formed of amorphous Si, the wedge angle θ of the attachment combiner can be formed at 34 ° at an incident angle θ i = 45 °.

도 12 내지 13은 쐐기형 광학층(121)이 SiO2 나노로드(nanoload)로 형성되고 선택 반사 필름(131)이 SiO2, Si3N4 및 amorphous Si로 형성되며, 쐐기형 광학층(121)의 내측면에 무반사 코팅층(122)이 형성된 경우의 반사율 및 최종 광효율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12 to 13 show the case where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s formed of SiO 2 nanorod and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131 is formed of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and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121 In the case where the antireflection coating layer 12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coating layer 122. FIG.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면, 무반사 코팅을 고려한 부착형 컴바이너의 최종 광효율 Leff는 가시 영역에서 SiO2의 경우 약 0.1, Si3N4의 경우 약 0.34, Amorphous silicon의 경우 약 0.8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윈드쉴드의 광효율은 0.1 미만임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컴바이너의 광효율은 매우 우수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2-13, the final light efficiency L eff of the attachable combiner with anti-reflective coatings is about 0.1 for SiO 2 , about 0.34 for Si 3 N 4 , and about 0.8 for amorphous silicon in the visible region Can be confirmed. Considering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a typical windshield is less than 0.1,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the mount comb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goo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 종래의 HUD 시스템
11 : 영상 출력 장치
12 : 반사 미러
13 : 윈드쉴드
110 : 윈드쉴드
120 : 투과층
121 : 쐐기형 광학층
122 : 무반사 코팅층
130 : 선택 반사층
131 : 선택 반사 필름
132 : S 편광 필름
10: Conventional HUD system
11: Video output device
12: reflection mirror
13: Windshield
110: Windshield
120: transmissive layer
121: wedge-shaped optical layer
122: Non-reflective coating layer
130: selective reflection layer
131: Selective reflective film
132: S polarizing film

Claims (9)

차량의 윈드쉴드 내측면에 부착되어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표시광을 운전자에게 향하도록 차량 내측으로 반사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내측면으로 입사되는 표시광을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키는 투과층; 및
내측면이 상기 투과층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투과되는 표시광에서 특정 편광 빔을 상기 투과층으로 반사시키는 선택 반사층;
을 포함하되,
상기 투과층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층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쐐기형(wedge) 광학층;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형 광학층은
상기 입사되는 표시광이 브루스터 각(Brewster angle)을 이루며 상기 선택 반사층의 내측면으로 입사하도록,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층과 기정의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선택 반사층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지며,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하는 표시광에서 S 편광 빔을 상기 투과층으로 반사시키는 선택 반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형 광학층은 SiO2 나노로드(nanoload)로 형성되며,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은 SiO2, Si3N4 및 amorphous S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
A combiner with a windshield for HUD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nd reflects the display light emitted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driver,
A transmissive layer for refracting the display light incident on the inner surface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display light to the outer surface; And
A selective reflection layer for attaching the inner side surface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nsmissive layer and reflecting a specific polarized beam from the transmissive display light to the transmissive layer;
≪ / RTI >
The transmissive layer
And a wedge optical layer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an inner side formed obliquely with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The wedge-
Wherein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at a Brewster angle, the inn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The selective reflection layer
And a selective reflection film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e first refractive index and reflecting the S polarized light beam to the transmissive layer at the Brewster's angle and entering the display light,
Wherein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is formed of SiO 2 nanorods, and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is formed of any one of SiO 2 , Si 3 N 4, and amorphous Si.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층은
상기 쐐기형 광학층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무반사(Anti Refletion)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ve layer
And an antireflection co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optical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은
상기 브루스터 각을 이루며 입사하는 표시광에서 P 편광 빔을 굴절시켜 외측면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
The reflective film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 polarizing beam refracts the P polarized beam from the incident display light and transmits the B polarized light to the outer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층은
내측면이 상기 선택 반사 필름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과되는 P 편광 빔의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S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
Th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6,
And an S polarizing film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lective reflection film to absorb at least a part of the transmitted P polarized light bea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 편광 필름은
외측면이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량의 외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UD용 윈드쉴드 부착형 컴바이너.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S polarizing film
And the external surface reflect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삭제delete
KR1020170058634A 2017-05-11 2017-05-11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KR101911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34A KR101911488B1 (en) 2017-05-11 2017-05-11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34A KR101911488B1 (en) 2017-05-11 2017-05-11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488B1 true KR101911488B1 (en) 2018-10-24

Family

ID=6413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634A KR101911488B1 (en) 2017-05-11 2017-05-11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4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8959B2 (en) 2019-11-26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hielding film for head-up display (HUD) and HUD system for vehicle
WO2024066880A1 (en) * 2022-09-26 2024-04-04 未来(北京)黑科技有限公司 S-polarized light transflective film, windshield window, display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957A (en) 1998-07-07 2000-01-28 Asahi Glass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9128658A (en) * 2007-11-26 2009-06-11 Toshiba Corp Head-up display optical film, the head-up display, and moving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957A (en) 1998-07-07 2000-01-28 Asahi Glass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9128658A (en) * 2007-11-26 2009-06-11 Toshiba Corp Head-up display optical film, the head-up display, and moving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8959B2 (en) 2019-11-26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hielding film for head-up display (HUD) and HUD system for vehicle
WO2024066880A1 (en) * 2022-09-26 2024-04-04 未来(北京)黑科技有限公司 S-polarized light transflective film, windshield window, display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8095B2 (en) Visual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virtual images onto a field of vision
JP7233493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6839764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7715103B2 (en) Buried numerical aperture expander having transparent properties
JP7202191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7397925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7377609B2 (en) heads up display device
WO2018047522A1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therefor
US108842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911488B1 (en) Combiner attached to windshield for head-up-display
CN114127612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with acute angle diffusion characteristic and image light control film used by same
WO2020059281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mirror used for same
CN112859332B (en) Light shielding film for head-up display (HUD) and HUD system for vehicle
JP6733151B2 (en) Display device
JP2019207315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240176139A1 (en) Vehicle
CN116097149A (en) Head-up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running device
JP2017090860A (en) Display device
CN118055856A (en) Laminated glass and head-up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