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453B1 -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 Google Patents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453B1
KR101908453B1 KR1020170026025A KR20170026025A KR101908453B1 KR 101908453 B1 KR101908453 B1 KR 101908453B1 KR 1020170026025 A KR1020170026025 A KR 1020170026025A KR 20170026025 A KR20170026025 A KR 20170026025A KR 101908453 B1 KR101908453 B1 KR 10190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ic
stimulation
sites
tinni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9066A (en
Inventor
오승하
김진호
민규식
김두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토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토닥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453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06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adapted for a particular treatment
    • A61N1/361Phantom sensations, e.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1Cochlear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61N1/36038Cochlea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개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달팽이관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서로 크기가 같거나 다른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사이트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최대 전기필드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극하고자 하는 위치를 세밀하게 조절하고, 자극되는 부위를 국소화 함으로써 이명환자의 청력손실 부위를 정확히 자극하여 이명증상을 제거 또는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a tinnitus using an electric stimulation method.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ic stimulator having at least two physically separated electrode sites to apply electric stimuli of the same or different size to each other in the lattice of the cochlea or the cochlea of the cochlea, So that a maximum electric field is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m. In this way, the position to be stimulated is finely adjusted, and the stimulated region is localized, thereby precisely stimulating the hearing loss region of the diaphragmatic disorder, thereby eliminating or alleviating the dysphonia.

Description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electric stimulation,

본 발명은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a tinnitus using an electric stimulation method.

소리를 받아들여 청각신호로 바꾸어 뇌로 전달하는 말초감각 기관을 총칭하는 청각 기관이라 한다. 청각 기관은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되며, 외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는 고막에서 진동한 후 중이를 거쳐 내이의 달팽이관(와우관)으로 전달된다.It is called the auditory organ collectively called the peripheral sensory organs that accepts sounds and converts them into auditory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brain. The auditory organ is divided into the outer ear, the middle ear, and the inner ear. The soun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ear vibrates in the eardrum and then passes through the middle ear to the inner cochlea (cochlea).

와우관의 기저막에는 청각 유모 세포(Auditory Hair Cell, 이하 ‘청각 세포’라 함)가 배열되며, 기저막 위에 가지런히 배열된 청각 세포의 전체 수효는 대략 1만 2천여개에 이른다. 기저막의 길이는 대략 2.5 내지 3cm 정도이며, 기저막 시작부분에 위치한 청각세포는 높은 주파수를 감지하며 기저막 끝부분에 위치한 청각세포는 낮은 주파수를 감지한다.Auditory hair cel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ditory cells') are arranged on the basal membrane of the cochlea, and the total number of auditory cells arranged on the basal membrane is approximately 12,000. The basement membrane is about 2.5 to 3 cm in length. The auditory cells located at the basal membrane perceive a high frequency and the auditory cells located at the basal membrane perceive a low frequency.

이를 청각세포의 주파수 특이성(frequency specificity)이라 하며, 가장 이상적인 자극 강도 수준에서의 주파수 특이성 해상도는 기저막 상에서 대략 0.2mm(0.5semitone) 범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is is known as the frequency specificity of auditory cells, and the frequency specificity resolution at the ideal stimulus intensity level is known to range from about 0.2 mm (0.5semitone) on the basement membrane.

이명(tinnitus)은 이러한 청각 관련 질환의 일종으로서 외부에 음원이 없을 경우에도 지속적인 소음을 인지함으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Tinnitus is a type of hearing-related illness that refers to symptoms that are distressed by the perception of continuous noise even when there is no external sound source.

우리나라에서는 총 인구의 약 15%에서 이명을 경험하며, 수면에 심한 장애를 주는 중증도 약 8%, 일상생활에 극심한 지장을 주는 경우는 약 1% 정도라고 보고되고 있다.It is reported that about 15%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experiences tinnitus, about 8% of the severity of sleep disorder, and about 1% of severe disability in daily life.

특히,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소음의 증가, 날로 복잡해져가는 정신질환, 노령인구의 증가, 약물의 남용 등으로 이명환자의 수는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Especial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number of the pati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noise, the increasingly complicated mental diseases,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abuse of drugs.

이명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진단을 위한 치료도 다양하여 신경전달물질 차단제를 주입하는 약물요법, 수술로 교정이 가능한 뇌종양, 혈관질환, 근육질환 등에 대한 수술요법, 보청기처럼 생긴 소음 발생기(noise generator)를 통해 환자의 이명과 유사한 소리를 외부에서 이명보다 더 큰 음량으로 들려주어서 이명이 들리지 않게 하는 이명 차폐법(tinnitus-masking method) 등이 있다.The causes of tinnitu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diagnosis. Drug therapy for injecting neurotransmitter blockers, surgery for correctable brain tumors, vascular diseases, muscular diseases, and noise generators like hearing aids There is a tinnitus-masking method that makes the sound of a patient's tinnitus sound larger than that of the tinnitus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tinnitus can not be heard.

그리고, 넓은 주파수에 걸쳐 실제 이명보다 조금 작은 소리를 지속적으로 들려주는 소리치료(sound therapy)와 상담치료를 병행하는 이명재훈련 치료(tinnitus retraining therapy) 등이 있다.And tinnitus retraining therapy, which is a combination of sound therapy and counseling that continually speaks a little less than real tinnitus over a wide frequency range.

그러나, 종래에 사용해온 보청기 혹은 소음 발생기를 통해 단순히 음향을 전달하는 음 자극 치료(sound-based treatment)는 최근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모아 분석한 결과 그 단독의 이명 치료 효과는 불확실한 것으로 밝혀져 이명치료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ound-based treatment, which simply transmits the sound through a conventional hearing aid or a noise generator, has recently been analyzed by collecting systematic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sole tinnitus therapy is uncertain, There was a low problem.

또한, 종래의 이명치료 중에 두개골을 통해 대뇌 피질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경두개 자기 치료(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는 대형 병원에서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치료로써만 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hich applies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erebral cortex through the skull during the conventional tinnitus treatment, is costly because it can only be treated using expensive equipment in large hospitals .

이에 더하여, 종래의 전기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법으로 인공와우 이식, 와우갑각자극 등이 있으나, 이명이 있는 환자가 인공와우 이식술 이후 이명이 사라졌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 시술 이후 이명이 새로 생기거나 악화되는 등의 경우도 많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tinnitus therapy with electrical stimulation has been used for cochlear implantation and cochlear implantation.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tinnitus has disappeared after cochlear implantation, Is also reported in many cases.

특히, 상기 인공와우 이식술은 달팽이관 내로 전극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이명환자의 잔존청력(residual hearing) 손실 위험이 크며, 와우갑각자극법은 탐침형 전극을 고막을 통해 삽입하여 달팽이관 근처에 위치시키고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이명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정확한 위치를 자극하기가 어려우므로 치료효과에 한계가 있었다.Particularly, the cochlear implantation method requires the insertion of the electrode into the cochlea, so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residual hearing loss of the MR. In the cochlear implant method, the probe electrode is inserted through the eardrum and positioned near the cochlea, Tinnitus can be relieved by continuous use and it is difficult to stimulate the exact location, so the treatment effect was limit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27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227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사이트에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이명환자의 청력손실 부위를 정확히 자극할 수 있는 이명치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nnitus treatment device capable of precisely stimulating a hearing loss region of a diaphragm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t least one physically separated electrode 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인체의 귓속에 삽입되어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 및An electric stimulator inserted in the ear of a human body to apply electric stimulation to a specific region; And

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기자극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 처리기; 를 포함하며,An external signal processo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outside the human body to the electric stimulator; / RTI >

상기 전기자극기는 전기절연성 패드 및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이명치료장치를 제공한다.The electric stimulator includes an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lectric insulating p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전기자극기에 의해서 달팽이관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으로 전기자극을 인가하여 이명환자의 청력손실 부위를 정확히 자극함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다.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stimulate a hearing loss region of a diaphragm by applying an electric stimulus to a canal of a cochlea or a cow and a cane by an electric stimul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hysically separated electrode sites, Tinnitus can be 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부가 와우에 결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로 이격된 두개의 전극사이트에 같은 크기의 전기펄스(a)와 서로 다른 크기의 전기펄스(b)를 동시에 인가할 때, 자극되는 세포(나선신경절세포)의 위치변화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의 전기자극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a) 쌍극(bipolar)모드, (b) 공통기준(common ground)전극모드, (c) 단극(monopolar)모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극모드를 이용하여 이명치료를 할 때, 전극부가 와우에 결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를 이식하기 전에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작한 다채널 전기자극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제작한 다채널 전기자극테스트 장치의 사진, 도 9(b)는 상기 도 8의 장치에서 출력되는 자극 전기펄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는 도 8(a) 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자극법의 유형성 검증을 위한 실험을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 10(b) 는 네가지 조건에 따른 전계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an electrode portion is coupled to a wa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stimulated cells (spiral ganglion cells) when simultaneously applying an electric pulse a of the same size and an electric pulse b of a different size to two electrode si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lectric stimulation mode of the electrod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polar mode, (b) common ground electrode mode, (c) ) Monopolar mode).
FIG. 7 is a view showing positions where an electrode unit is coupled to a wah when tinnitus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a unipolar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electrical stimulation test apparatus manufactu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is a photograph of the multi-channel electric stimulation test apparatus manufactur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stimulation electric pulse output from the apparatus of FIG.
10 (a)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 experiment for testing the tacticity of an electric stimul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of FIG. 8 (a), and FIG. 10 (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ccording to four conditions to b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우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인체의 귓속에 삽입되어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 및An electric stimulator inserted in the ear of a human body to apply electric stimulation to a specific region; And

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기자극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 처리기; 를 포함하며,An external signal processo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outside the human body to the electric stimulator; / RTI >

상기 전기자극기는 전기절연성 패드 및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이명치료장치를 제공한다.The electric stimulator includes an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lectric insulating p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전극부를 특정부위인 와우(달팽이관)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가하여 이명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is attached to a lanceau of a cochlea or cochlea of a cochlea, and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hereto to improve tinnitus.

와우로부터의 소리는 귓바퀴와 고막을 지나고 청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된다. 사람의 귀는 귓바퀴로부터 외이도를 지나 고막에 이르는 외이, 고막에서 작은 뼈들(이소골)을 통하여 와우(달팽이관)에 이르는 중이, 달팽이관에서 청신경에 이르는 내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리 전달 경로의 어느 한 부분에서라도 이상이 생기면 소리를 듣는데 장애를 느끼게 된다.The sound from the wah is transmitted through the auditory canal and the tympanic membrane and through the auditory nerve to the brain. The human ear consists of the outer ear extending from the auricle through the ear canal to the ear drum, through the small bones (ossicles) in the ear drum, through the middle ear to the wah (cochlea), and from the cochlea to the auditory nerve.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part of the sound transmission path, the user will be disturbed to hear the sound.

와우는 소리를 감지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는 이명환자의 청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상기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전극부를 위치시켜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to the gawk of the wow or the womb of the woof to preserve the hearing power of the gynecologist. And a method of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was se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명치료장치(10)는 이명환자에게 이식되어 청력 손실 부위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100)와 상기 전기자극기(100)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처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stimulator 100 implanted in a patient's face and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a hearing loss region, and an external signal processing .

먼저, 이하에서는 전기자극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stimulator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극기(100)는 전극부(110), 수신부(120) 및 전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ctric stimu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110, a receiving unit 120, and a wire unit 13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명치료장치(10)의 전기자극기(100)는 외이 안의 이도 근방 측두골에 삽입되는 수신부(120) 및 와우(달팽이관)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결합되어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전극부(11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electric stimulator 100 of the tinnitu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receiving section 120 and a canopy of a worm (cochlea) And an electrode unit 110 for electrically receiving and electrically stimulating the carapace.

한편, 상기 전극부(110)는 와우(달팽이관)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결합될 때, 조직이나 연골로 덮어놓거나 생체적합성을 갖는 접착제(글루)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lectrode unit 110 is coupled to the lanceau of the cochlea or the cochlea of the cochlea, the electrode unit 110 may be covered with tissue, cartilage, or a biocompatible adhesive (glue).

특히, 상기 전극부(110)는 전기절연성 패드(112) 및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사이트(111)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수신부(120)의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n electrically insulating pad 112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lectrically insulating pad. The electrode unit 110 is coupled to a specific site, Electrical signals can be received and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specific areas.

상기 전극사이트(111)는 생체적합성 및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연성패드에 의해서,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는 서로 절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1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electrode sites 111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conductivity,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pa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더하여, 상기 수신부(120)와 전극부(1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부(130)는 상기 수신부(120)에 연결되어 중이의 고막을 거치지 않고 측두골과 이도 사이의 미세 틈을 통하여 와우에 설치되는 전선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The wir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2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receiving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10 to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ire section 130 installed in the wah through fine gaps between the temporal bone and the tooth.

특정 양태로서, 상기 전선부(130)는 복수개의 리드와이어가 내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리드와이어의 감싸도록 생체 친화성 피막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리드와이어는 후술하게 되는 각각의 전극사이트(111)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극사이트(111)에 서로 다른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s a specific aspect, the wire section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ead wires, and a biocompatible coating may be coated to enclose the plurality of lead wires. The plurality of lead wires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ites 111 to be described later to transmit different electric signals to the electrode sites 111.

또한, 상기 수신부(120)는 외부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시킨 전기 신호를 상기 전선부(130)를 통하여 전극부(110)로 전달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20 may receive an external electric signal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ic signal to the electrode unit 110 through the electric wire unit 130.

한편, 상기 수신부(120)는 내부에 무선 충전식 배터리(이차전지)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배터리는 전자기유도 방식 또는 자기공명 방식으로 근거리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형 배터리일 수 있다. Meanwhile, the receiving unit 120 may include a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be a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charged in a short distance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다른 양태로서,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 수신부(120)에 내장된 자극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신기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고, 자극프로그램은 외부 신호 처리기(200)에 의하여 이명이 최소화되는 한 개 이상의 자극설정을 택하여 수신부에 저장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when a battery is used, the receiver may operate solely by the stimulus program built in the receiver 120, and the stimulus program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r more stimulus settings by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to minimize tinnitus And store it in the receiver.

이러한 경우, 외부신호처리기(200)로 자극설정을 조정하여 수신부(120)로 전송하여 수신부(120)에서 미리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부(120)에 내장된 충전지의 전원을 이용하여 외부신호처리기(200) 없이 수신부(120)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imulus setting may be adjusted by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20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receiver 120.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The receiving unit 120 can operate independent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신호 처리기(200)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전기자극기(100)에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n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or 100 in a non-contact manner.

이러한 외부 신호 처리기(200)는 체외에 부착되거나 귀에 거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120)와는 환자의 피부를 경계로 분리되어 있지만 비접촉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이식부에서 전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r may be fixed in a manner to hang on the ear.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may receive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transplanting unit, do.

한편, 상기 외부 신호 처리기(200)는 신호의 전달 및 수신을 위하여 코일 형태의 송신코일(210) 및 수신코일(미도시)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210 and a reception coil (not shown) in the form of a coi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respectively.

특정 양태로서, 피부를 매개로 외부 신호 처리기(200)와 이식부가 동일 위치에서 고정되기 위해 각각 자석을 내장할 수도 있다.As a specific aspect,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and the implantation unit may be embedded with magnets in order to be fixed at the same position via the skin.

이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사이트(111)는 특정부위인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0.01 내지 2mA의 크기의 전기강도 및 10 내지 1000Hz 빈도의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can apply an electric stimulus having a magnitude of 0.01 to 2 mA and a frequency of 10 to 1000 Hz to the gland of the wow or the cow and shell of a specific region.

한편, 상기 전기강도가 0.01mA 미만일 경우, 전기강도가 너무 작아 이명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2mA를 초과할 경우 다른 이명음 등 소리가 들리거나, 근접한 얼굴신경자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외부 신호 처리기(200)의 전기강도는 0.01 내지 2mA가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ic strength is less than 0.01 mA, the electric strength may be too small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tinnitus, or the effect of treatment may not be exhibited. If the electric strength exceeds 2 mA, And the electric strength of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is preferably 0.01 to 2 mA.

또한, 상기 전기 신호의 빈도가 10Hz 미만일 경우, 치료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00Hz 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자극으로 다른 이명음이 들리거나 얼굴신경자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외부 신호 처리기(200)의 전극 강도는 10 내지 1000Hz 가 바람직하다.If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is less than 10 Hz, the effect of treatment may be deteriorated. If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exceeds 1000 Hz, an excessive stimulation may cause other synonymous sounds or problems such as facial nerve stimulation. ) Is preferably 10 to 1000 Hz.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극부(110)가 와우에 결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unit 110 is coupled to the W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10)는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promontory)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gourd window or the promo of WoW.

특히, 상기 전극부(110)는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결합함으로써, 와우(달팽이관)내에 남아있는 나선신경절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이명 증상을 억제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electrode unit 110 can be combined with the canthus or the canine of the womb to stimulate the spinal ganglion cells remaining in the cochlea, thereby suppressing and / or treating the tinnitus.

한편, 종래의 인공와우장치와 같이 정원창을 뚫거나 와우(달팽이관)에 구멍을 내 전극을 설치하면 와우 내의 림프액이 누출되어 청력이 손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명치료장치는 청력이 정상이나 이명이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하기 위하여 와우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장시간 전기자극이 가능하도록 이식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 is installed in the cochlear implant or in a cochlear implant such as a conventional cochlear implant device, the hearing loss may be caused by the leakage of the lymph fluid in the wah. However, in the tinnitus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antable so that electric stimul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for a long time without damage to the woW.

아울러, 본 발명의 이명치료장치의 이식시 측두피하에 위치하는 전기자극기(100)에 연결된 전극부(110)의 접근성을 고려할 때 와우갑각이나 정원창에 전극부(110)를 위치시키면 청신경 절을 용이하게 자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the electrode unit 110 connected to the electric stimulator 100 positioned under the temporal region during transplantation of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de unit 110 is placed in the canine or the canine,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10)는 절연성 소재(123)에 적어도 두개의 전극사이트(11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3,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electrode site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ulating material 123. Referring to FIG.

여기서, "절연성 패드(112)"라 함은 전기가 통하지 아니하는 성질의 소재의 패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생체 친화성 피막이 코팅된 절연성 소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액정폴리머(LCP), 실리콘, 폴리이미드, 패럴린(parylene) 또는 테프론의 소재일 수 있다.Here, the "insulative pad 112" may mean a pa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electricity to pass through, and may be an insulative material coated with a biocompatible film,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liquid crystal polymer (LCP) , Polyimide, parylene, or Teflon.

또한, 전극사이트(111)는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직접적으로 전기 신호를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생체적합성의 금(Au), 백금(Pt), 백금-이리듐 합금(Pt-Ir Alloy), 산화이리듐(Iridium oxide), 탄소나노튜브, 탄소 또는 텅스텐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site 111 is for stimulating an electric signal directly in the window of the wow or in the cell of the wow and includes a biocompatible gold (Au), platinum (Pt), platinum-iridium alloy (Pt-Ir Alloy, Iridium oxide, carbon nanotubes, carbon or tungsten.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정원창에 부착되는 형태의 전극부(1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절연성 패드(112) 내에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원판형 또는 사각형의 절연성 패드(112)에 각각 0.1 내지 0.5mm 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전극사이트(1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3(a)).As an example, the electrode unit 110 attached to the window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nsulating pad 112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Circular electrode sites 111 each having a diameter of 0.1 to 0.5 mm may be formed in the rectangular insulating pad 112 (Fig. 3 (a)).

다른 예로써, 상기 와우갑각에 이식되는 형태의 전극부(1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프로브 형태의 절연성 패드(123) 내에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절연성 패드(112)에 각각 0.1 내지 0.5mm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전극사이트(111)가 형성될 수 있다(도 3(b)).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de unit 110 to be implanted in the Cowhide electrode may have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nsulating pad 123 in the form of a prob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ircular electrode sites 111 each having a diameter of 0.1 to 0.5 mm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pad 11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3 (b)).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는 상기 수신부(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는 전선부(130) 내의 각각의 리드와이어에 의해서 각각 수신부(120)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20 by the respective lead wires in the wire unit 130.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20, Can be connected.

한편, 와우갑각에 상기 전극부(110)가 이식될 때는 와우의 손상 없이 그 주위를 둘러싼 와우갑각을 드릴링하여 이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 unit 110 is implanted into the cell of the WoW, it can be implanted by drilling the cell of the cell of the WoW without surrounding the cell.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10)의 전극부(110)는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이식됨으로써, 이식 시술시 와우에 손상을 주지 않아 잔존 청력이 보존되며 시술이 매우 쉽고 간편하다. 또한, 이명치료장치(10)의 장기적인 착용이 가능하며 일상 생활이나 운동중에도 착용감이 우수하다.That is, since the electrode unit 110 of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anted in the canal or the canine, it does not damage the woof during implantation, Do. In addition,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10 can be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s excellent in comfort even in daily life and during exercise.

아울러,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10)의 전극사이트(111)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1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111)는 전극사이트(11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이식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site 111 of the tinnitus tre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1111. The fixing protrusion 11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de site 111 and may be a means for stably fixing the electrode protector 1111 when the electrode protector 1110 is implanted in a weaning window or a weeping cane.

도 4는 서로 이격된 두개의 전극사이트(111)에 같은 크기의 전기펄스(a)와 서로 다른 크기의 전기펄스(b)를 동시에 인가할 때, 자극되는 세포(나선신경절세포)의 위치변화를 도식화한 도면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position of stimulated cells (spiral ganglion cells) when the electric pulses a of the same size and the electric pulses b of different size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two electrode sites 111 spaced from each other Fig.

도 4를 참조하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인접한 전극사이트(111)에 동일한 시점에 서로 크기가 같거나(a) 다른 전기자극(b)을 인가하여 전극사이트(111)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최대 전기필드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wo adjacent electrode sites 111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same point in time by applying a different electric stimulus b to the electrode sites 11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formed.

이렇게 형성된 전기필드를 이용하여 이명환자의 청력손실 부위를 정확히 자극할 수 있으며, 전극사이트 (111)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최대 전기필드가 형성되도록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earing loss region of the ear canal can be precisely stimulated by using the electric field thus formed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can be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electrode sites 111.

상술한 전기자극에 의해 자극된 나선신경세포절에서 발생하는 전기자극이 청각신경로를 통하여 대뇌피질 등으로 전달되어 이명을 억제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ed from the spinal nerve cell stimulus stimulated by the electric stimulation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cerebral cortex through the auditory nerve pathway, and thus can suppress the tinnitus.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자극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기자극을 통하여 청력이 손실되어 정상적으로 자극되고 있지 않은 나선신경절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이명증상을 완화 내지는 치료를 최적화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stimulation of spinal ganglion cells, which are not stimulated normally due to loss of hearing through electrical stimula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stimulation position, thereby alleviating the symptoms of tinnitus can be optimized

즉, 나선신경절세포에 전기자극을 주어 이명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이명 치료의 효율이 최적화 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fficiency of tinnitus treatment can be optimized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pinal ganglion cells to alleviate tinnitus symptoms.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의 전기자극 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a) 쌍극(bipolar)모드, (b) 공통기준(common ground)전극모드, (c) 단극(monopolar)모드).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lectric stimulation mode of the electro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bipolar mode, (b) a common ground electrode mode, c) monopolar mode).

도 5는 하나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두 개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shows a case where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one point, and FIG. 6 shows a case where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two points.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의 전기자극 모드를 설명한다.5 and 6, an electric stimulation mode of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는 필요에 따라 전극부(110)의 쌍극모드(bipolar mode), 공통기준전극모드(common ground mode) 또는 단극모드(monopolar mode)를 이용하여 전기자극이 가능하다.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electric stimulation using a bipolar mode, a common ground mode, or a monopolar mode of the electrode unit 110, It is possible.

하나의 양태로서, 쌍극모드(a)를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10)를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위치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reating the tinnitus using the bipolar mode (a),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in the canopy or the canine.

그리고, 전극부(110)에 형성된 전극사이트(111)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전극사이트(11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전극사이트(111) 중 하나의 전극사이트(111)는 기준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전극사이트(111)는 자극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극전극은 작업전극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adjacent electrode sites 111 among the electrode sites 111 formed on the electrode unit 110 can be selected. At this time, one electrode site 111 of the two electrode sites 111 can be used as a reference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site 111 can be used as a magnetic pole electrode. Here, the stimulating electrode may mean a working electrode.

아울러, 쌍극모드일 경우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극로를 변경할 수 있다(도 5(a)).In addition, in the bipolar mode, the magnetic pole path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magnetic pole electrode (Fig. 5 (a)).

한편, 두 개의 지점에 전기자극주어 동시자극을 하는 경우에는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이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두 쌍의 전극사이트를 선택하여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다(도 6(a)).In the case of simultaneous stimulation with two stimuli applied to two points,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timulation electrode are composed of one pair, and two pairs of electrode sites are selected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to treat the tinnitus (Fig. 6 (a) .

다른 양태로서, 공통기준전극모드(b)를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110)를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위치시킬 수 있다.In another aspect, when treating the tinnitus using the common reference electrode mode (b), the electrod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in the canopy or the canine.

그리고, 전극부(110)에 형성된 전극사이트(111) 중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전극사이트(111) 중 하나의 전극사이트(111)는 기준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의 전극사이트(111)는 자극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among the electrode sites 111 formed in the electrode unit 110 can be selected. At this time, one electrode site 111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111 can be used as a reference electrode, and the remaining electrode sites 111 can be used as a magnetic pole electrode.

하나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하는 경우에는 두개의 전극사이트(111)가 선택되어 하나의 전극사이트는 기준전극이 되며, 나머지 하나의 전극사이트는 자극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전극과 작업전극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In a case where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o one point, two electrode sites 111 are selected, one electrode site becomes a reference electrode, and the other electrode site can be used as a stimulation electrode. At this time,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working electrode need not be formed at the adjacent positions.

다만, 자극로를 변경할 수는 있으나, 기준전극의 위치는 고정되며, 다른 자극전극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극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b)).Howev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is fixed, and the stimulation path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stimulation electrode (Fig. 5 (b)).

아울러, 두 개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주어 동시자극을 하는 경우에는 세 개의 전극사이트(111)가 선택되며, 이때, 하나의 전극사이트(111)는 기준전극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두 개의 전극사이트(111)는 작업전극으로 사용되어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다(도 6(b)).Three electrode sites 111 are selected when simultaneous stimul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wo points. At this time, one electrode site 111 is used as a reference electrode, and the remaining two electrode sites 111 ) Can be used as a working electrode to treat tinnitus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Fig. 6 (b)).

또 다른 양태로서, 단극모드(c)를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경우, 전극부(100)에 기준전극이 형성된 추가의 연결부(113)을 형성하여 전극부(110)를 환자의 정원창에 설치하고, 연결부(113)는 갑각융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극부를 갑각융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113)를 정원창에 설치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n the case of treating the tinnitus using the single-pole mode (c), an additional connection portion 113 having a reference electrode is formed on the electrode portion 100 to install the electrode portion 110 on the patient's window The connection part 113 can be installed on the crust of the carcass, conversely, the electrode part can be installed on the crust of the carcass, and the connection part 113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window.

그리고, 하나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주는 경우에는 전극부(110)의 전극사이트 중 하나의 전극사이트가 선택되어 자극전극으로 사용되고, 연결부(113)의 전극이 기준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one point, one of the electrode sites of the electrode unit 110 is selected as a stimulating electrode, and the electrode of the connecting unit 113 can be used as a reference electrode.

다만, 자극로를 변경할 수는 있으나, 기준전극의 위치는 고정되며, 다른 자극전극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극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c)).However,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is fixed, and the stimulation path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stimulation electrode (Fig. 5 (c)).

아울러, 두 개의 지점에 전기자극을 주어 동시자극을 하는 경우에는 기준전극의 위치는 연결부(113)로 고정되며, 전극부(110)의 전극사이트(111)가 선택되어 동시의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다(도 6(c)).In addi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simultaneous stimulation by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two poin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electrode is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3, and the electrode site 111 of the electrode portion 110 is selected, (Fig. 6 (c)).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는 기준전극과 작업전극을 어떻게 설정해 주느냐에 따라서 전류의 흐름방향과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flow direction and the method can be changed depending on how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working electrode are se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극모드를 이용하여 이명치료를 할 때, 전극부가 와우에 결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positions where an electrode unit is coupled to a wah when tinnitus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a unipolar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때, 자극전극으로 사용되는 전극부(110)는 정원창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기준전극으로 사용되는 연결부(113)는 와우갑각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de unit 110 used as the stimulation electrode may be coupled to the window, and the connection unit 113 used as the reference electrode may be coupled to the Wow's carapace.

필요에 따라서, 전극부(110)와 연결부(113)가 설치되는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positions where the electrode unit 110 and the connection unit 113 are installed can be chang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 장치는 전극부(110)의 쌍극모드(bipolar mode), 공통기준전극모드(common ground mode) 또는 단극모드(monopolar mode)를 이용하여 전기자극을 함으로써, 자극경로를 세밀하게 조절하고, 최대자극부위를 국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a bipolar mode, a common ground mode, or a monopolar mode of the electrode unit 110, It has the effect of finely adjusting the path and localizing the maximum stimulation region.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동시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이명치료Experimental Example 1. Tinnitus treatment using simultaneous electric stimul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장치를 이식하기 전에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작한 다채널 동시전기자극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t apparatus manufactured to verify the effect of transplanting a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이명환자에 장치를 이식하는 대신 고막일부를 열어 전극사이트를 포함하는 전극부를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위치시키고, 두 채널이상의 동시자극을 통하여 자극부를 정밀하게 조정하며 이명증상의 완화 내지는 치료의 유효성을 보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More specifically, FIG. 8 shows a case where an electrode part including an electrode site is opened in place of a gawker window or a canine cape by opening a part of a tympanic membrane instead of implanting the device in a pseudo-annulus, precisely adjusting a stimulating part through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wo or more channels, As well as the efficacy of treatment.

한편, 본 실험예에서 사용하는 다채널 동시전기자극 테스트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신부(120)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 처리기(200)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이다.Meanwhile, the multi-channel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ting apparatus used in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is a device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receiving unit 12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ternal signal processor 200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아울러, 상기 다채널 동시전기자극 테스트 장치에는 8개의 전극사이트(111)가 형성되어 있는 전극부(110)를 연결하였다.In addition, the electrode unit 110 in which eight electrode sites 111 are formed is connected to the multi-channel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ting apparatus.

도 9(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제작한 다채널 동시전기자극테스트 장치의 사진, 도 9 (b)는 상기 (a) 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시자극 전기펄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9 (a) is a photograph of a multi-channel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t apparatus manufactured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b)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measurement of simultaneous magnetic pole electric pulses output from the apparatus .

도 9(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전극사이트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기펄스를 동시에 인가한 것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9 (b), electric pulses of different sizes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wo electrode sites.

도 10(a)는 도 9(a) 의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전기자극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실험을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 10(b) 는 네가지 조건에 따른 전계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0 (a)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 experiment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of FIG. 9 (a), and FIG. 10 (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ccording to four conditions to be.

도 10을 참조하면, 도 9(a) 를 이용하여 16 채널 전극사이트 중 두개(El-7, El-11)를 선택하여 각각 1:0, 0:1, 1:1, 3:1 의 크기비율을 갖도록 자극하였을 때 전계분포 측정을 위한 셋업 및 측정값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10, two of the 16-channel electrode sites (El-7 and El-11) are selected using the size of 1: 0, 0: 1, 1: The setup and measurement values for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ppear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동시자극법(쌍극모드)을 이용하여 최대로 자극되는 부분의 조정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실험하였으며, 1개 또는 2개의 전극사이트에 전기자극을 주고,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를 이동시키며 전기세기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More specifically, FIG. 10 shows an experiment in which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rtion to be maximally stimulated using the simultaneous magnetic stimulation method (bipolar mode). The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to one or two electrode sites, the probe of the oscilloscope is moved The electrical strength was observed and recorded.

먼저, 1개의 전극사이트에 전기자극을 주는 실험으로 7번 전극사이트와 11번 전극사이트에 각각 전기자극을 가하였다. 전극 7번(El-7)에만 자극을 주면 전극 7번 위치에서 가장 큰 세기의 전기자극이 관찰(파란색선)되었으며, 전극 11번(El-11)에만 자극을 가하면 11번 위치에서 가장 큰 세기의 전기자극이 관찰(붉은색)되었다.First, electric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7th electrode site and the 11th electrode site, respectively, in an experiment in which electric stimulation was given to one electrode site. When the stimulus was applied only to the electrode 7 (El-7), the electric stimulation of the highest intensity was observed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7 (blue line), and when the stimulus was applied only to the electrode 11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brain was observed (red).

다음으로, 2개의 전극에 전극에 동시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최대자극부위를 조정하였다.Next, simul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to adjust the maximum stimulation region.

전극 7과 11에 같은 크기의 자극을 주면 전극 10번 위치에서 가장 큰 자극이 관찰되었고(자주색선), 전극 7번과 11번에 3:1 의 세기의 자극을 주면 전극 7, 8번 사이에서 가장 큰 세기의 자극이 관찰되었다.When the same stimulus was applied to electrodes 7 and 11, the largest stimulus was observed at the position of electrode 10 (purple line), and stimulation at a ratio of 3: 1 was applied to electrodes 7 and 11, Stimulation of the greatest intensity was observed.

즉, 7번의 전극사이트와 11번의 전극사이트에만 자극을 가하면 최대자극위치는 각각 7번 전극사이트와 11번의 전극사이트이나 세기는 달랐으며, 7번 전극사이트와 11번 전극사이트에 같은 크기에 전기자극을 가하였을 때, 최대자극위치가 중간부인 9번과 10번 사이가 아닌 10번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That is, when the stimulation was applied only to the 7th electrode site and the 11th electrode site, the maximum stimulation positions were different from the 7th electrode site and the 11th electrode site, respectively, and the 7th electrode site and the 11th electrode site had electric stimulat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imulation position was located at 10, not between 9 and 10, which is the middle part.

아울러, 7번과 11번에 3:1의 크기로 전기자극을 가하였을 때, 최대자극위치는 7번과 8번에 위치하며 세기는 7번 전극사이트 한 곳에 전기자극을 가하였을 때보다 작았다.In addition, when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at a size of 3: 1 at 7 and 11, the maximum stimulation positions were located at 7 and 8, and the intensity was smaller than that at the 7th electrode site when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

이를 바탕으로, 실제의 인체에 적용하였을 때, 최대자극부는 자극전극과 기준전극의 위치, 자극전극과 기준전극 주위의 조직과 뼈 등으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자극파라미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Based on this, when applied to a human body, the maximum stimulation portion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stimulat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the change in impedance due to the tissue and bone around the stimulat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And it can be optimized by adjust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치료기는 동시에 자극되는 전극의 위치와 세기 및 비율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므로, 최대자극부위의 공간적 해상력을 높여 이명증상의 완화 내지는 치료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In addition, the tinnitu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intensity, and ratio of electrodes stimul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laxation or treatment of the tinnitus by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maximum stimulation region Respectively.

10: 이명치료장치
100: 전기자극기
110: 전극부 111: 전극사이트
1111: 고정돌기
112: 절연성 패드 113: 연결부
120: 수신부 130: 전선부
200: 외부 신호 처리기
210: 송신코일
10: Tinnitus treatment device
100: Electrical stimulator
110: electrode part 111: electrode site
1111: Fixing projection
112: Insulation pad 113: Connection
120: Receiving unit 130:
200: External signal processor
210: transmission coil

Claims (10)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결합되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 및
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기자극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 처리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극기는
외부 신호 처리기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내장된 자극설정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부, 전기절연성 패드와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고, 수신부의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사이트는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치료장치.
An electric stimulator coupled to the gourd window of the wow or the wow shell to apply electric stimulation; And
An external signal processo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outside the human body to the electric stimulator; / RTI &gt;
The electric stimulator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from an external signal processor 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by using a built-in stimulation setting, an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n electrode unit for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the canopy of the wau or the cane of the wau,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Wherein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magnetic pole electrode comprise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ereof.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결합되어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 및
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기자극기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신호 처리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극기는
외부 신호 처리기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내장된 자극설정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부, 전기절연성 패드와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사이트를 포함하고, 수신부의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와우의 정원창 또는 와우갑각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사이트는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부는 하나의 기준전극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사이트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치료장치.
An electric stimulator coupled to the gourd window of the wow or the wow shell to apply electric stimulation; And
An external signal processo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rom outside the human body to the electric stimulator; / RTI &gt;
The electric stimulator
A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from an external signal processor 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by using a built-in stimulation setting, an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lectric insulating pad, And an electrode unit for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the canopy of the wau or the cane of the wau,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are made of magnetic pole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un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one reference electrode,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기는
상기 수신부 및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부를 더 포함하는 이명치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ic stimulator
Further comprising a wire se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ceiving section and the electrode section.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사이트는
0.01 내지 2mA의 크기의 전기강도 및 10 내지 1000Hz 빈도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치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An electric stimulus having a magnitude of 0.01 to 2 mA and an electric stimulus having a frequency of 10 to 1000 Hz.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성 패드는
원판형 또는 프로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치료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ically insulating pad
Wherein the tinnitus treatment device is in the form of a disk or a pro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사이트는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한 쌍의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이 선택되어, 전기자극 경로를 설정하여 전기자극을 가하는 이명치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Wherein at least one pair of reference electrodes and a magnetic pole electrode are selected as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magnetic pole electrode,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by setting the electric pole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사이트는
기준전극과 자극전극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기준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자극전극이 선택되어, 전기자극 경로를 설정하여 전기자극을 가하는 이명치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electrode sites
A tinnitus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reference electrode and a stimulating electrode, wherein one referenc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timulating electrode are selected to set an electric stimulation path and apply electric stimul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자극전극이 선택되어, 전기자극 경로를 설정하여 전기자극을 가하는 이명치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electrode and at least one stimulation electrode are selected to set an electric stimulation path and apply electric stimulation.
KR1020170026025A 2017-02-28 2017-02-28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KR101908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25A KR101908453B1 (en) 2017-02-28 2017-02-28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025A KR101908453B1 (en) 2017-02-28 2017-02-28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066A KR20180099066A (en) 2018-09-05
KR101908453B1 true KR101908453B1 (en) 2018-10-17

Family

ID=6359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25A KR101908453B1 (en) 2017-02-28 2017-02-28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4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625A (en) 2022-08-25 2024-03-05 유원 Tinnitus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75B1 (en) 2019-06-03 2021-09-0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tinnitus
WO2022058829A1 (en) * 2020-09-18 2022-03-24 Cochlear Limited Parameter optimization based on different degrees of focu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922A (en) * 1996-01-31 2000-03-14 コクリヤ リミテッド Thin film fabrication technology for implantable electrodes
KR100409279B1 (en) 2000-12-30 2003-12-18 임재중 Electric stimulating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of ringing in the ears
JP2004530520A (en) * 2001-06-29 2004-10-07 コクレア リミテッド Multi-electrode cochlear implant device with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KR101342083B1 (en) * 2011-08-25 2013-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2922A (en) * 1996-01-31 2000-03-14 コクリヤ リミテッド Thin film fabrication technology for implantable electrodes
KR100409279B1 (en) 2000-12-30 2003-12-18 임재중 Electric stimulating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of ringing in the ears
JP2004530520A (en) * 2001-06-29 2004-10-07 コクレア リミテッド Multi-electrode cochlear implant device with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KR101342083B1 (en) * 2011-08-25 2013-12-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625A (en) 2022-08-25 2024-03-05 유원 Tinnitus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066A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016B2 (en) Device for applying a stimulus percutaneously or detecting a parameter percutaneously
US8880180B2 (en) Assessing neural survival
CA1292285C (en) External ear canal electrode to be placed proximate the tympanic membrane and method of stimulating/recording utilizing external ear canal electrode placed proximate the tympanic membrane
US10357656B2 (en) Hearing prosthesis programming
US9731142B2 (en) Magnetic stimulation in tissue-stimulating prostheses
KR20110059562A (en) An adjustable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system
US2020033834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EP3519040B1 (en) Perception change-based adjustments in hearing prostheses
KR101908453B1 (en) Tinnitus treatment device using method of electric stimulation
JP2016508835A (en) Distributed neuromodulation system with auxiliary stimulus recording control unit
US20240017060A1 (en) Neural stimulator with flying lead electrode
Matsushima et al. A study of electrical promontory stimulation in tinnitus patients
US8565899B1 (en) Implantable prosthesis configuration to control heat dissipation from prosthesis components
US20230233850A1 (en) Stimulation and electroporation assembly
US20100030301A1 (en) Electrical stimulation for modulation of neural plasticity
EP3498166B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tinnitus and a system for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ion of the ear
US20240181256A1 (en) Vagal nerve stimulation
US20070213788A1 (en)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inner ear in patients with unilateral hearing loss
WO2024023676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stimulus for tinnitus therapy
US20200330764A1 (en) Electro-acoustic interaction control in auditory prostheses
CN107206228A (en) With the cochleostapedial reflex recording electrode for sacrificing part
WO2022263996A1 (en) Vagal nerve stimulation
WO202322014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WO2023161796A1 (en) Adaptive electroporation
EP4200010A1 (en) Electroporation shield for implantable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