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378B1 -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378B1
KR101905378B1 KR1020160108837A KR20160108837A KR101905378B1 KR 101905378 B1 KR101905378 B1 KR 101905378B1 KR 1020160108837 A KR1020160108837 A KR 1020160108837A KR 20160108837 A KR20160108837 A KR 20160108837A KR 101905378 B1 KR101905378 B1 KR 10190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rol unit
proximity
energy sav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3425A (en
Inventor
장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16010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78B1/en
Publication of KR2018002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4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7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센싱에 의해 PC의 보안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사용 에너지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ystem according to proximity of the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of the PC can be maintained by the user's position or the user's sensing, and the energy used by the system can be remarkably reduced.

Description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0002]

본 발명은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의 감지 신호 또는 사용자 센싱을 통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시스템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a system and saving energy of the system through sensing signals or a user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s location .

최근 전자 기기 또는 PC의 보안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 지정된 사용자만 기기를 사용하고, 지정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등 보안을 위한 개발이 요구된다. Recently, the security of electronic devices or personal comput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particular, when a high level of security is required, development for security is required, such that only a designated user uses the device and restricts access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designated user.

즉, PC 등의 전자기기를 타인이 사용하는 것은 방지하되, 사용자가 사용시에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별도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PC를 잠그거나 웨이크업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잦은 스마트키의 구동은 사용 편리성을 현저하게 저하한다. That is,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C from being used by another person, but to avoid inconvenience when the user uses the device. Therefore, technologies for locking or waking up a PC using a separate smart key have been developed, but frequent activation of the smart key significantly reduces the usability.

또한, 이와 더불어 PC 등 전자기기의 사용도가 증가되어 전자기기의 에너지 절감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PC의 경우에는 그 신속한 업무 처리를 위해 업무의 종료 시 까지 PC, 모니터 및 주변기기 모두를 턴온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는 에너지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PCs has increased, and energy saving of electronic devices has also become a big issue. For example, in the case of PCs, PCs, monitors, and peripherals are often kept turned on until the end of the business for rapid processing,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cause of significantly lowering energy efficiency It is true.

이에 PC의 OS에서는 일정 시간 PC의 사용이 없는 경우 PC 모니터를 턴오프하거나 절전모드 등으로 바꾸어 에너지를 절감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PC 등에 적용된 절전모드는 실시간으로 동작하지 않고, PC가 실제 사용되지 않아도 설정 시간 동안은 절전 모드로 전환되지 않아 그 에너지 절감 효율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Therefore, in the PC OS, when the PC is not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program for turning off the PC monitor or changing the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is applied. However, the power saving mode applied to the PC does not operate in real time, and the energy saving efficiency is very small because the PC does not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during the set time even if the PC is not actually used.

[선행특허문헌][Prior Patent Literature]

1. 공개특허 제10-2012-0057080호
1.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5708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센싱에 의해 PC 등 시스템을 매우 직관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하면서, 시스템의 사용 에너지도 현저하게 저감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ystem such as a PC by very intuitively turning on or off the system,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된다.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ystem according to proximity of the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를 이격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는 경우를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evice is not 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n a spaced-apart state, and may determine that the device 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in an adjacent state.

또한,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모듈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를 센싱하여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the proximity, and the correction module may correct the proximity by sensing a user's input or a user.

또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센싱값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근접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rection module can correct the input content of the user or the user sens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evice determines that the device is in close proximity when the device does not respond to the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모듈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evice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proximate to the device, and if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입력부 또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는 RF모듈, 카메라 및 IR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rrection module may include an input unit or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RF module, a camera, and an IR sensor.

또한, 상기 RF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F module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by the user, and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wave is close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또한, 상기 카메라는 설정 방향을 촬상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 크기의 증감여부 및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captures a setting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siz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ther the captured image includes a user image.

또한, 상기 IR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R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infrared rays radiated from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the infrared sensor is in the proximity state when the amount of the infrared ray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및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더라도 상기 크기가 증가하는 피사체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잠금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reflected wav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nd the size of the subject increases, and the amount of infrared ray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f not, the system can be put into the locked state or the off state.

또한, 상기 단말기는 시스템의 턴오프, 턴온 또는 절전 기능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manually controlling a turn-off, a turn-on, or a power-saving function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제2 디바이스를 근접 상태로 신속하게 판단하게 되어 제1 디바이스를 설정된 모드로 신속하게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etermine that the second device is in the proximity state when the second device responds to the request of the first device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security of the system and maximize the energy sav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의 근접 상태를 보정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security of the system and maximize energy saving efficiency by correcting the proximity state of the second device to the firs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정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rrection module of FIG.
3 is a flowchart of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meth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program to which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ally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지 시스템(1000)은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는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PC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휴대 단말기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mart sens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vice 100 and a second device 200.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re, the first device 100 may be a user's PC, and the second device 200 may be a portable device as a user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화면부(130), 및 보정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통신부(120)는 제2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디바이스(200)가 근접한 경우에 화면 표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nd a correction module 14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200, and can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screen display when the second device 200 is close.

제어부(110)는 제1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에 근접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와 연결되는데, 통신부(120)는 폴링 프로토콜(Polling Protocol)을 사용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응답을 요청하거나, 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를 수신하여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측정한다. 이때, 폴링 포로토콜은 일 예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프로토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때, 통신부(120)는 자체적으로 측위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네크워크 영역(ar)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device 10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st device 100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device 200 is close to the first device 100 or not. The control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20 requests a response of the second device 200 using a polling protocol or transmits a positioning signal of the second device 200 And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In this case, the polling protocol may be, for example, a 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proto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generate a positioning signal by itself and form a network area ar.

이때,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1 디바이스(100)의 설정된 기능을 구동(반면, 이와 상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은 정지)하고, 제2 디바이스(200)가 응답하지 않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정지할 수 있다(반면, 이와 상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은 구동).At this time, if the second device 200 responds or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of the second device 200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10 drives the set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100 The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200 can be stopped if the second device 200 does not respond or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of the second device 20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contrast, the function of complementary operation is driven).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가 노트북 컴퓨터이고, 제2 디바이스(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의 측위 신호의 세기가 점차 증가하여 기준값 보다 커지면 제2 디바이스(200)가 근접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디바이스(100)를 제2 상태(부재 모드(Lock 모드))에서 제1 상태(작업 모드)로 변경하고 화면부(130)에 표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device 100 is a notebook computer and the second device 200 is a smart phon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device 200 responds to the SDP request or the second device 200 The first device 100 is judged to be in the proximity position and the first device 100 is moved from the second state (member mode (Lock mode)) to the first state Operation mode)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unit 130, for example.

이와 반대로, 제2 디바이스(200)가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지 않거나, 측위 신호의 세기가 점차 감소하여 기준값 보다 작아지면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이격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디바이스(100)를 제1 상태(작업 모드)에서 다시 제2 상태(부재 모드)로 변경하여 화면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device 200 does not respond to the SDP request or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gradually decreases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vice 200 is in a position It is possible to stop the screen driving by changing the first device 100 from the first state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state (member mode) again.

화면부(130)는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화면부(13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과 근접한 제1 상태,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와 이격된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는 여러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표시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는 잠금 화면이나 절전 화면 또는 화면 오프 상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오프 상태로 설명하나 이로써 권리 범위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0. [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a first state in which the second device 200 is close to the first device 100, a second state in which the second device 200 is in a second state apart from the first device 100, Display. Here, the interface in the first state can be configured as a screen display for providing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The interface in the second state may be configured as a lock screen, a power saving screen, a screen off state, or the lik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in the off st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디바이스(20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물리적으로 독립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여,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의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MAC address)를 미리 입력하여 제1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200 may be physically independent of the first device 100. Thus, the second device 200 moves with the user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device 100 can vary. The second device 200 may be provided to interwork with the first device 100 by previously inputting network information (for example, a MAC address of a smartphone) to the first device 100. [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디바이스(200)는 내부에 통신부, 제어부 및 화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2 디바이스의 내부에 온보드로 장착될 수 있는데, 제1 디바이스(100)의 통신부(12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1 디바이스의 SDP에 응답하거나 통신부에 측위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이러한 신호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200)의 근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미도시)는 통신용 칩, 및 화면부에 연결되어 이들 구성을 제어한다.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부(미도시)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110)의 화면부(113)와 연동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동되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사이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and a screen unit t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device,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of the first device 100. That is, it responds to the SDP of the first device or transmits the positioning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roximity of the second device 200 through such a signal.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second device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chip and a screen unit to control these components. A screen portion (not shown) of the second device 200 may be linked with the screen portion 113 of the first device 110 to display an 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evice 100 and the second device 200 is stably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제2 디바이스를 근접 상태로 신속하게 판단하게 되어 제1 디바이스를 작업 모드로 유지하거나 신속하게 작업 모드로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such,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econd device responds to a request of the first device or the intensity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first device can be quickly maintained in the operation mode or the operation mode can be quickly changed, thereby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system and maximizing the energy saving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보정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환경 변화에 따라 제2 단말기가 SDP 요청에 즉각적으로 응답하지 않거나, 제2 단말기에서 수신된 측위 신호의 세기가 순간적으로 출렁거림에 따라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1000)은 보정모듈(140)이 제2 디바이스(200)의 근접 여부 판단의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eanwhile, in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ice 100 includes a correction module 140. [ That is, since the second terminal does not immediately respond to the SDP reques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or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at the second terminal may be erroneous as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momentarily fluctuates,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1000 plays a role of correcting an error of the correction module 140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vice 200 is in proximity.

도 2는 도 1의 보정모듈(140)에 대한 구성도인데, 보정모듈(140)은 입력부(141), RF모듈(142), 카메라(143) 및 IR센서(144)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41)는 사용자가 PC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이용한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근접해 있음을 제어부(110)가 판단하도록 하고, RF모듈(142), 카메라(143) 및 IR센서(144)는 사용자를 직접 센싱하여 사용자가 근접해 있음을 제어부(110)가 판단하도록 한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rrection module 140 of FIG. 1. The correction module 14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put unit 141, an RF module 142, a camera 143, and an IR sensor 144. The input unit 141 allows the control unit 110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proximity to the user by input using a mouse or a keyboard of the PC and the RF module 142, the camera 143, and the IR sensor 144, And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lose to the user.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200)가 SDP 요청에 응답하지 않아 이격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보정모듈(140)은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사용자 센싱값을 제어부(110)에 전달하여 사용자 또는 제2 디바이스(200)를 근접한 상태로 보정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로(200)부터 수신된 측위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도 보정모듈(140)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second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device 200 does not respond to the SDP reques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evice 200, the correction module 140 transmits the input content or the user sensing value of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10 The user or the second device 200 can be corrected and determined to be close to each other. Also,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device 20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proximity state by the input or sensing of the correction module 140.

이때, RF모듈(142)은 통신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RF모듈(142)은 사용자의 인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제어부(110)는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하거나, 제어부의 최초 근접 판단을 컨펌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F module 142 may b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RF module 142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by the user's body, and the controller 110 measures the size of the reflected wave, , Or may be configured to confirm the first proximity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카메라(143)는 PC 모니터 등의 주변(전방, 후방 등)을 촬상하는데, 이때,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제어부가 연산하도록 하고, 더욱 나아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이미지와 대비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피사체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욱 판단하여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보정 또는 컨펌하게 된다. The camera 143 picks up images of the surroundings (forward, backward, etc.) of a PC monitor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amera 143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the su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ncreases or decreases. Further,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object which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image of the user stored in advance is included, and the proximity state of the user is corrected or confirmed.

IR센서(144)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는데, 제어부(110)은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보정 판단하거나 먼저 판단한 상태를 컨펌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IR sensor 144 measures the amount of infrared rays radiated from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infrared ray is close to the predetermined value or not, or to confirm the first determined state.

한편, 더욱 높은 등급의 보안을 위해, 제어부(110)가 최초 근접상태로 판단하고, 보정모듈(140)의 입력부(141), RF모듈(142), 및 IR센서(144)를 통해 근접 상태로 컨펌한 경우라도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그 크기가 증가하는 피사체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권한 없는 사용자로 판단하여 제1 디바이스를 잠금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하여 더욱 높은 보안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first proximity state is established and the proximity state is established through the input unit 141 of the correction module 140, the RF module 142, and the IR sensor 144 In the case where the user image is not included in the subject which is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 size thereof is increased, even if it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authorized and the first device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or the off state,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제2 디바이스의 근접 상태의 보정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제1 디바이스를 작업 모드 등으로 유지하거나 신속하게 작업 모드 등으로 변경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및 에너지 절감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ice is more accurately maintained in the operation mode or the like or is quickly changed to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proximity state of the second device, To further enhance security and maximize energy savings.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수동 제어로 시스템 또는 화면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거나 제1 디바이스(100)를 절전모드 등으로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설치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device 100 can be turned on or off by the user's manual control or the first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in a power saving mode or the like. At this time, a control application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second device 20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서는 제2 디바이스에 가속도 센서 또는 충격 센서가 더욱 포함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이들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센서 신호를 유발시키는 경우에 이 내용을 서버로 즉각 전송하여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or an impact sensor. If a user triggers a sensor signal set by using these sensors,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command to the server immediately to execute a predetermined comman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강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제2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을 흔드는 경우에,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이를 특정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2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서버로 그 내용을 전송하고, 서버는 PC 등인 제1 디바이스를 락 또는 오프하거나, 제1 디바이스와 별도의 보안 장치(출입문 등)를 락 또는 오픈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hakes the smartpho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vice at a preset intensity or speed, the control unit of the second device determines that the smartphone is in a specific situ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device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lock or unlock the first device such as a PC or execute a command to lock or open a security device (door or the like) separate from the first device.

나아가 이러한 작용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근접한 상태라 별도의 시스템 락 또는 출입문 락이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에도 제2 디바이스 자체를 이용하여 시스템 또는 출입문 등의 락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서버와 연결된 시스템 또는 보안 대상물의 보안 수준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Further, even if the second device is close to the first device, even if the second system lock or the door lock is not performed, the second device itself is used to lock the system or door, The security level of the < / RTI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중복된 설명은 지양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방법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단계(S1), 제2 디바이스의 응답을 확인하거나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2), 제2 디바이스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 및 보정모듈이 근접여부를 보정하거나 컨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3 is a flowchart of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 of communicating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a step of confirming a response of the second device or receiving A step S2 of calculat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a step S3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device is in proximity, and a step of correcting or confirming the proximity of the correction modul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모듈은 최초 판단된 근접여부에 대하여 반대의 판단을 하도록 하거나, 최초 판단된 근접여부를 컨펌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ion module performs an opposit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proximity is initially determined, or performs a ro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proximity is initially determined.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을 통해 PC의 총 보안시간을 산출하고,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 의식을 더욱 고취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에서 제1 디바이스는 PC를 사용하였고,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였는데, 스마트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1 디바이스인 PC와 연동하였다.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program to which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ally applied.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total security time of the PC is calculated through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ergy saving amount is calculated to further enhance the user's energy saving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gram, the first device uses a PC and the second device uses a smart phon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감지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mart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deviated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스마트 감지 시스템 110; 제 1 디바이스
111; 제어부 112; 측위 신호 발생부
113; 화면부 120; 제 2 디바이스
121, 221; 통신용 칩 122; 센서부
123; 제어부 124; 화면부
230; 서버
100, 200; Smart sensing system 110; The first device
111; A control unit 112; The positioning signal generator
113; Screen portion 120; The second device
121, 221; A communication chip 122; The sensor unit
123; A control unit 124; Screen portion
230; server

Claims (11)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응답 여부 또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판단되고,
상기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은 근접 여부를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모듈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를 센싱하여 상기 근접 여부를 보정하며,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입력부 또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는 RF모듈, 카메라 및 IR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In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ystem according to proximity of the device;
Lt; / RTI >
Wherein the proximity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device responds or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device,
Wherein the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further comprises a calibration module for calibrating proximity, the calibration module sensing a user input or a user to calibrate the proximity,
Wherein the correction module includes an input unit or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RF module, a camera, and an IR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를 이격된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는 경우를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evice is not 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n a state of being distanced from the device, and determines that the device 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in the proximity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모듈은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 내용 또는 사용자를 센싱한 값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근접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보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module is able to correct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or a value obtained by sensing the user when the device is not 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so as to judge that the device is in the proximity stat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보정모듈의 입력 또는 센싱에 의해 근접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evice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proximate to the device, and if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a smart energy saving and security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반사파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파의 크기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F module measures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by the user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wave is close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설정 방향을 촬상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 크기의 증감여부 및 촬상된 이미지에 사용자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captures a setting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ize of a su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ther a user image is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센서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양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의 양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근접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R sensor measures an amount of infrared rays radiated from a user,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infrared sensor is in a state close to when the amount of infrared ray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시스템의 턴오프, 턴온 또는 절전 기능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및 보안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comprises an application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turn-off, turn-on or power-down functions of the system.

KR1020160108837A 2016-08-26 2016-08-26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KR101905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en) 2016-08-26 2016-08-26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en) 2016-08-26 2016-08-26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25A KR20180023425A (en) 2018-03-07
KR101905378B1 true KR101905378B1 (en) 2018-11-12

Family

ID=6168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37A KR101905378B1 (en) 2016-08-26 2016-08-26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37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425A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65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2024004002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EP23743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sponsive to orientation and movement
US88667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CN103164117A (en) External opera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elayed screen locking method thereof
US117214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orientation compensation in pointing devices
KR102500072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1101B2 (en)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KR20140085952A (e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or changing security mode of portable terminal
US20130091369A1 (en) Power-saving input device and power-saving method for such input device
US20130345833A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05378B1 (en) Smart Energe Saving and Security System
KR20150131792A (en) Door lo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20032776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337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ctronic products
KR20140086937A (en) Remote controller for setting mode according to state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WI822437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57684B1 (en) Sensoring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EP1675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lctronic products
KR20050018126A (en)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