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115B1 -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Google Patents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115B1
KR101904115B1 KR1020170162476A KR20170162476A KR101904115B1 KR 101904115 B1 KR101904115 B1 KR 101904115B1 KR 1020170162476 A KR1020170162476 A KR 1020170162476A KR 20170162476 A KR20170162476 A KR 20170162476A KR 101904115 B1 KR101904115 B1 KR 10190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lumn
seating
concrete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언
김용주
Original Assignee
박경언
김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언, 김용주 filed Critical 박경언
Priority to KR102017016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nd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comprises: a column where a steel frame and concrete are coupled to support the load of a building; an extension beam bonded to the out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to be integrated with the column; and a horizontal beam of which both end parts are respectively mounted inside the extension beams provided to the columns.

Description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본 발명은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합성기둥을 현장에서 수평보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이질재료간의 접합 성능을 향상시키며 강도를높일 수 있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joining a composite column to a beam, And a joining system of composite posts and beams.

종래의 건축구조물에서 사용되는 건축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와 같이 기둥과 보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단일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일 구조는 각각의 전문적인 분야를 형성하면서 체계화되었다. 이중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매우 약한 콘크리트에 인장력이 강한 철근을 보강하여 상호 보완작용되도록 한 구조로서, 구조적으로 또는 경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부재의 단면과 중량이 크고, 공사 진행상황에 맞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해야 하므로 건축공사기간이 많이 소용되며, 균일한 시공이 어려워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a single structure using a material such as a column and a beam, such a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steel structure or a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generally used, and this single structure forms each of the specialized fields . The doubl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structurally or economically most commonly used to reinforce reinforcing bars with strong tensile force to concrete that is strong to compressive force but very weak to tensile strength. Thi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s many advantages Nevertheless, since the section and weight of the member are large, and concrete must be poured and c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is much consumed, and uniform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thorough management is required.

또한, 철골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에 비하여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강재를 재질로 하므로, 지진이나 바람, 충격 등에 의한 변형에너지를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고층 또는 초고층 건물이나 장스팬 건물에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압축력에 대하여 부재가 좌굴되기 쉽고, 용접연결시 고온에 의해 강도저하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습기에 의해 녹슬기 쉬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el structure is made of a steel material excellent in strength and ductility as compared with reinforced concrete, it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strain energy caused by an earthquake, wind, impact, etc., and is advantageous for high- On the other hand, the member is easily buckled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are liable to occu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t the time of welding, which is liable to be rusted by moisture.

그러나, 최근에는 건물이 규모 면에서 대형화, 초고층화되고 있으며, 기능면에서는 복합화, 다양화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단일 구조로는 그 재료의 특성상 건물의 요구에 부적합하고, 시공조건이나 경제적인 면에서도 불리한 경우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size of a building has been increased in size and has been made into a superstructure. In the case of a single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ructure is unsuitable for the needs of a building, It was also disadvantageous in terms of quality.

이와 같은 건축구조는 전단력에 약한 단부만을 보강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과 보를 모두 보강하는 것으로 공사 기간이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n architectural structure reinforces both the column and the beam rather than reinforcing the weak end only to the shear force, which increase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creases the cos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7666호(2012.10.0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7666 (Oct. 8,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 제작하는 합성기둥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capable of laying concrete on a composite column to be manufactured in adv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기둥에 관통되는 연장보에 수평보를 현장에서 설치함에 따라 이질재료 간의 접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ing system of composite posts and beams capable of improving the bonding performance between heterogeneous materials by installing horizontal beams on the extension beams passing through the composite colum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철골과 콘크리트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보와, 다수의 상기 기둥에 구비되는 상기 연장보의 내부에 양 단부가 각각 안착되는 수평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joining system for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comprising: a column formed by joining a steel frame and concrete to support a load of a building; An extended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lumn and a horizontal beam having both ends thereof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extended beam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columns.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 단면에 수직 배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주부재와, 상기 주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등간격으로 접합되는 다수의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띠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주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간격부재와, 상기 간격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격부재가 상기 띠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거푸집에 감싸지며 형성되는 상기 기둥 내부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column includes a main member vertically disposed on an end surface of the column and supporting a load, a plurality of belt members surrounding the main member and join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belt members passing through the belt members, A release prevent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spacing member to prevent the spac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elt member, Concrete can be provided.

상기 주부재는 상기 기둥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 단면의 중심에 배치되며 H형상, 사각형상, 'ㄷ'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에 서로 이격하게 수직 배치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며 'ㄱ'형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end surface of the column to support a load of the column, the reinforcing member being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H shape, a square shape, and a " And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vertically dis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formed of 'a' shaped steel.

상기 연장보는 상기 수평보가 안착되며 거푸집 역할을 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보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연장보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스터드를 구비하는 측판과, 한쌍의 상기 측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상기 측판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간격재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extended beam extend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s of the lower plate so as to support the horizontal beams and serves as a formwork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joints between th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concrete, A sid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tud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gap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n order to maintain a pair of the side plates.

상기 연장보는 상기 기둥의 상부에 상기 연장보를 접합시키기 위하여'ㄴ'형상으로 형성되는 접합앵글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joining angl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to form the 'B' shape to join the extended beam.

상기 수평보는 상기 연장보의 내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안착보와, 상기 안착보의 양측면에 다수가 구비되며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합판과,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접합판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안착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재와, 상기 접합판의 외측에 수용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horizontal plate is positioned inside the extended beam and has the concrete poured therein; a join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lates at both sides of the seating plate and having both ends bent outwar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lates to each other and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mounting beams, and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which is received on the outer side of the joint plate and prevents the concrete from coming off.

상기 안착보는 상기 연장보의 내측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안착보와, 상기 하부안착보의 상부에서 양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보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ating surface may include a lower seating beam insert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extended beam and an upper seating beam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eating beam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ded beam.

상기 상부안착보는 상기 연장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측판과, 상기 상부측판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상부접합판과, 상기 상부측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장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판을 구비할 수 있다.An upper joint plate that is bent i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and increases a joining force with the concrete, and an upper joint plate that is bent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And an upper seating plate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eam.

상기 연결재는 상기 하부안착보와 상기 상부안착보 사이를 관통하며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상기 접합판을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판을 고정하는 고정바와, 상기 하부안착보의 양측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안착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바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xing ba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joining plates passing through between the lower seating beam and the upper seating beam and fixing the detachment preventing plate to the upper and lower side plates, And an interval bar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lower seating beams.

상기 수평보는 상기 연장보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절곡되는 연결보와, 상기 연결보 내측에 절곡되어 상기 연결보 하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철물과, 각각의 상기 연결철물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보 하단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horizontal view includes a connection beam which is seated inside the extension beam and is bent so that the concrete is laid, at least one connection hardware bent at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beam and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am, And a plurality of fixing bodies fixed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beams.

상기 연결보는 양 단부가 상기 연장보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체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측판과, 한쌍의 상기 가이드측판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측판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전단력을 향상시키는 전단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A connection plate having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on beams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extension beams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ture passes, and a connection plate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And a shear tool for preventing the gap of the guide side plates, which are coupled to connect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guide side plates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from spreading and improving the shear force.

상기 고정체는 상기 수평보의 내측 폭과 동일한 길이로 장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보의 하단에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수평보를 관통하며 너트 및 상기 수평보에 구비되는 관통홀에 형성되는 나선홈에 나선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철물이 내측에 안착되되록 한쌍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long side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an inner width of the horizontal beam and maintains a height equal to a thickness of a covering of the concrete at a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and a fix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xing portion and the horizontal beam,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that is spirally engaged with a spiral groove formed in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horizontal beam and a seat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and is formed in a pair so that the coupling hardware is seated inside have.

본 발명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에 의하면, 합성기둥과 수평보를 사전에 제작한 후 현장에서 다수의 기둥을 설치한 후 수평보를 용접 및 볼트 접합하여 시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joining system of the composit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by preparing the composite posts and the horizontal beams in advance, installing a plurality of pillars in the site, and welding and bolting the horizontal beams.

그리고, 합성기둥과 접하는 수평보를 다양하게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다수의 합성기둥 사이에 수평보를 연결하여 이질 재료간의 접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horizontal beam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composite column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actories, and horizontal beams can be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synthetic columns in the field, so that the bond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materials can be strength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수평보가 접합되어 슬래브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에 수평보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의 상부에 연장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에 이탈방지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평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를 나타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pillar and a horizontal beam joined together to form a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beam is joined to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tension beam coupled to an upper part of a composi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is coupled to a horizontal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beam shown in FIG. 5. FIG.
7 to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orizontal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은 서로 다른 두 부재인 철골과 콘크리트(100)가 결합된 합성기둥(1000)인 기둥(1000)과 수평보(3000)가 보다 견고하고 편리하게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1 and 2,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umn 1000, which is a composite column 1000 in which a steel frame and a concrete 100, And the horizontal beam 3000 can be joined more firmly and conveniently.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부재인 철골과 콘크리트(100)가 결합된 합성기둥(1000)인 기둥(1000)과 수평보(3000)를 결합시키는 접합 시스템은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철골과 콘크리트(10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기둥(1000)과, 상기 기둥(1000)의 상부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10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보(2000)와, 다수의 상기 기둥(1000)에 구비되는 상기 연장보(2000)의 내부에 양 단부가 각각 안착되는 수평보(3000)를 구비할 수 있다.The joining system for joining the columns 1000 and the horizontal beams 3000, which are the composite columns 1000 in which two steel members and two concrete members 100 are combined, An extension beam 2000 join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1000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lumn 1000, And a horizontal beam 3000 in which both ends are seated inside the extended beam 2000.

그리고 상기 수평보(3000)의 상부에 슬라브(200)가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labs 200 may b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eam 3000 to form a bottom surface.

상기 기둥(1000)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1000) 단면에 수직 배치되며 하중을 지지하는 주부재(1100)와, 상기 주부재(1100)의 외측을 감싸며 등간격으로 접합되는 다수의 띠부재(1200)와, 상기 띠부재(1200)를 관통하여 상기 띠부재(1200)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주부재(1100)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간격부재(1300)와, 상기 간격부재(13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격부재(1300)가 상기 띠부재(1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400)와, 거푸집(300)에 감싸지며 형성되는 상기 기둥(1000) 내부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100)를 구비할 수 있다.3 to 4, the column 1000 includes a main member 1100 vertically disposed on an end surface of the column 1000 and supporting a load, a plurality of main members 1100 surrounding the main member 1100, A spacing member 1300 arrang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member 1100 by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strip member 1200 through the strip member 1200, 1300) to prevent the spacing member (1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rip member (1200), and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40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lumn (1000) And the concret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crete.

상기 주부재(1100)는 기둥(1000) 단면에 수직 배치될 수 있으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콘크리트(100)가 충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주부재(1100)는 휨, 하중을 동시에 저항하는 구조재가 될 수 있다.The main member 1100 may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end surface of the column 1000, and the concrete 100 may be filled therein to support the load. Accordingly, the main member 1100 may be a structural member that simultaneously resists warpage and load.

이 때, 상기 기둥(1000)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장 및 현장에서 거푸집(300)을 설치하여 내부에 콘크리트(100)가 충진되는 것으로 거푸집(3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although the column 10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orm 300 is installed at a factory and a site so that the concrete 100 is filled in the column 1000. The shape of the form 300 is not limited.

이와 같이, 상기 기둥(1000)은 상부 및 하부의 주부재(1100)가 노출되도록 공장에서 주부재(1100)에 거푸집(300)이 결합된 상태로 현장에 도착한 후 현장에서 하부층에 노출된 주부재(1100)와 결합하여 결합부(3720)위에 거푸집(30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주부재(1100) 내부에 콘크리트(100)를 충진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illar 1000 reaches the site with the formwork 300 coupled to the main material 1100 at the factor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ain material 1100 are exposed, and then the main material 1100 exposed to the lower layer at the site, The mold 30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720 and the concrete 100 can be filled in the main member 1100. [

이러한 상기 주부재(1100)는 상기 기둥(10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1000) 단면의 중심에 배치되며 H형상, 사각형상, 'ㄷ'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1110)와, 상기 보강부재(1110)의 외측에 서로 이격하게 수직 배치되며 상기 보강부재(1110)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며 'ㄱ'형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11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member 11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1000 to support the load of the column 1000 and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H shape, the square shape, And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1120 that ar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1110 and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hape, which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110 .

상기 보강부재(1110)는 상기 기둥(1000)의 중심에 배치됨에 따라 상부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주부재(11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0)에 감싸짐에 따라 기둥(100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As the reinforcing member 11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lumn 10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against the load gene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column 100, The strength of the column 1000 can be increased.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110)는 상기 모서리부재(1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모서리부재(1120)와 함께 하중을 분산시켜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1110 is provided inside the corner member 1120 to disperse the load together with the corner member 1120 to improve the resistance performance.

상기 모서리부재(1120)는 상기 보강부재(1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부재(112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기둥(1000)의 모서리에 콘크리트(100)의 피복두께에 맞도록 배치된다.The edge member 11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110 and the edge member 1120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concrete 100 at the corner of the column 1000 .

이 때, 상기 모서리부재(1120)는 'ㄱ'형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1000)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ge members 1120 may be formed as 'a' shaped steel and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column 1000.

또한, 상기 모서리부재(1120)는 상기 보강부재(1110) 및 각각의 상기 모서리부재(112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member 1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inforcing member 1110 and each of the corner members 1120 at equal intervals.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1110) 외측에 모서리부재(112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주부재(1100)는 기둥(1000)의 휨, 하중, 전단력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corner member 1120 is provided outside the reinforcing member 1110, the main member 1100 can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the bending, load, and shearing force of the column 1000.

상기 띠부재(1200)는 기둥(1000)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모서리부재(112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부재(1300)가 관통될 수 있다.The strip member 120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 member 1120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column 1000 from outside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to penetrate the spacing member 1300 .

또한, 상기 띠부재(1200)는 상기 모서리부재(1120)에 용접 및 볼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1000)의 수직으로 등간격으로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d member 1200 may be fastened to the corner member 1120 by welding or bolt, and a plurality of the bars 1000 may be vertic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그로 인해, 상기 기둥(1000)의 모서리부재(1120)가 상기 콘크리트(100)와 접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수직으로 고정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고 상기 기둥(1000)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edge member 1120 of the column 1000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100, and can be vertically fixed, and can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column 1000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상기 간격부재(1300)는 상기 띠부재(1200)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타 측면까지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재(1300)는 상기 띠부재(1200)를 다수가 관통하여 상기 띠부재(120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부재(1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1110)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The spacing member 1300 extends through one side of the band member 1200 and penetrates to the other side. The spacing member 1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ip members 1200 to surround the reinforcing member 1110 disposed inside the strip member 1200.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110 can be maintained unchanged.

또한, 상기 간격부재(1300)의 양단부는 상기 띠부재(12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되는 길이는 콘크리트(100)의 피복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며, 나선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spacing member 1300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belt member 1200 and have a length that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100. The spiral protrusions may be formed.

상기 이탈방지부재(1400)는 상기 간격부재(13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띠부재(1200)의 외측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부재(1300)를 고정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140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pacing member 1300 and may contact the outside of the strip member 1200 to fix the spacing member 1300.

상기 연장보(2000)는 상기 수평보(3000)가 안착되며 거푸집(300) 역할을 하는 하판(2100)과, 상기 하판(2100)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보(2000)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연장보(2000)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판(2200)과, 한쌍의 상기 측판(2200)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상기 측판(2200)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간격재(2300)를 구비할 수 있다.The extension beam 2000 includes a lower plate 2100 on which the horizontal beam 3000 is mounted and serves as a mold 300 and a lower plate 2130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2100, A side plate 2200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200 so as to increase a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100 placed on the extension beam 2000 and a pair of side plates 2200, And at least one spacing material 2300 provided on the side plate 2200.

상기 하판(2100)은 상기 기둥(1000)의 일 측면에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3000)의 하단이 접합되어 안착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21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lumn 1000, and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3000 can be joined and seated.

상기 측판(2200)은 상기 하판(2100)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일 단부는 상기 기둥(1000)에 접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수평보(3000)가 결합되도록 접합홀(2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타공될 수 있다.The side plate 2200 extend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2100 and has one end bonded to the column 1000 and the other end bonded to the horizontal plate 3000 More than one can be perforated.

이와 같은 상기 측판(2200)은 상기 수평보(3000)를 감싸고 콘크리트(100)가 타설될 때 상기 측판(2200)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부에 간격재(23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late 22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ing member 230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surround the horizontal beam 3000 and prevent the side plate 2200 from being opened when the concrete 100 is installed.

상기 간격재(2300)는 한쌍의 측판(2200) 상부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에 다수의 스터드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cers 2300 may be provided on the pair of side plates 2200 and a plurality of stud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pacers 2300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oncrete 100.

그리고 상기 연장보(2000)는 상기 기둥(1000)의 상부에 접합시키기 위하여 'ㄴ'형상으로 형성되는 접합앵글(2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extension beam 2000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angle 2400 formed in a 'b' shape to jo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1000.

상기 접합앵글(2400)은 상기 기둥(1000)의 주부재(110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연장보(2000)의 일 단부 상부와 하부에 각가 구비되며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측판(2200)과 주부재(1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joining angle 240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extension beam 20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main member 1100 of the column 1000 and is provided with a side plate 2200 and a main member 11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상기 접합앵글(2400)은 상기 기둥(1000)에 용접 및 볼트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1000)에 콘크리트(100)가 타설됨에 따라 상기 접합앵글(2400)과 상기 연장보(2000)의 일 단부가 같이 타설될 수 있다.The joint angle 2400 may be welded to the column 1000 by bolts and the concrete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lumn 1000 so that the joint angle 2400 and the extension beam 2000) can be put together.

이러한 상기 기둥(10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보(2000)가 관통되는 수량에 따라 수평보(3000)가 결합되어 4면에 보가 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orizontal beam 3000 may be coupled to the column 10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xtended beams 2000 passing therethrough.

상기 수평보(3000)는 단부가 상기 연장보(2000)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기둥(1000)에 콘크리트(100)를 타설할 때 수평보(3000)의 내부에도 콘크리트(100)가 타설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100 is installed in the column 1000, the concrete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beam 3000. [0043]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에 이탈방지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평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ion beam is coupled to a horizontal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concret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eam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3000)는 상기 연장보(2000)의 내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100)가 타설되는 안착보(3100)와, 상기 안착보(3100)의 양측면에 다수가 구비되며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합판(3200)과,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접합판(320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안착보(31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재(3300)와, 상기 접합판(3200)의 외측에 수용되어 상기 콘크리트(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3400)을 구비할 수 있다.5 to 6, the horizontal beam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beam 3100 which is seated inside the extended beam 2000 and in which the concrete 10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joint plates 3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3100 and bent at the opposite ends of the seat 3100 and the joint plates 3200 facing each other, And a detachment prevention plate 3400 accommodated outside the joint plate 3200 to prevent the concrete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joint plate 3300. [

상기 안착보(3100)는 상기 연장보(2000)의 내측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안착보(3110)와, 상기 하부안착보(3110)의 상부에서 양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보(20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보(31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ating beam 3100 includes a lower seating beam 3110 insert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extension beam 2000 and a lower seating beam 311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eating beam 3110, And an upper seating beam 312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상기 하부안착보(3110)는 상기 연장보(2000)의 하판(2100)에 안착되는 하부접합판(3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양 측면이 상기 연장보(2000)의 측판(2200)과 접하는 하부측판(3112)이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eating beam 3110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joining plate 3111 that is seated on the lower plate 2100 of the extension beam 2000. The lower seating joining plate 311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late 2000, And the lower side plate 3112 may be formed as a pair.

상기 하부측판(3112)에는 상기 연장보(2000)의 접합홀(2210)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하부접합홀(3113)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연장보(20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side plate 3112 may have a lower joint hole 3113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joint hole 2210 of the extension beam 2000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beam 2000.

상기 상부안착보(3120)는 상기 연장보(2000)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측판(3121)과, 상기 상부측판(312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상부접합판(3122)과, 상기 상부측판(31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장보(20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판(3123)을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seating beam 3120 includes an upper side plate 3121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beam 2000 and an upper side plate 3121 bent inwardl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3121 to increase a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upper side plate 3121 and the concrete 100. [ A joint plate 3122 and an upper seating plate 3123 bent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3121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ded beam 2000.

이러한 상기 상부안착보(3120)는 상기 하부안착보(3110) 상부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eating beams 31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eating beams 3110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상부측판(3121)은 상기 하부측판(3112)과 동일하게 상기 연장보(2000)의 접합홀(2210)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상부접합홀(3124)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연장보(20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side plate 3121 includes an upper joint hole 3124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joint hole 2210 of the extended beam 2000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side plate 3112, Lt; / RTI >

그리고 상기 상부측판(3121)은 상기 하부안착보(3110)의 하부측판(3112)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측판(3121)과 상기 하부측판(3112)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ide plate 31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plate 3112 of the lower seating beam 3110 so that the upper side plate 3121 and the lower side plate 311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상부접합판(3122)은 상기 상부측판(312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접합판(3122)에 의하여 상기 수평보(3000) 내부에 콘크리트(100)를 타설할 때 별도의 철근을 배근하지 않고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joint plate 3122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plate 3121. When the concrete 100 is pushed into the horizontal beam 3000 by the upper joint plate 3122 The joining force with the concrete 100 can be improved without disposing a separate reinforcing bar.

상기 상부안착판(3123)은 서로 대응되는 상부측판(31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됨에 따라 상기 수평보(3000)가 연장보(2000)에 안착될 때 연장보(2000)의 측판(2200) 상부에 상부안착판(3123)이 안착된다.The upper seating plate 3123 is bent so as to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3121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plate 3121. When the horizontal plate 3000 is seated on the extended beam 2000, 2200, the upper seating plate 3123 is seated.

상기 접합판(3200)은 상기 하부측판(3112)부터 상기 상부측판(3121)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측판(3112)의 하부와 상기 상부측판(3121)의 상부인 상부안착판(3123)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joining plate 3200 may be vertically formed so as to connect the lower side plate 3112 to the upper side plate 3121. The lower side plate 311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3121, And is bent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plate 3123. [

이러한 상기 접합판(3200)은 상기 하부측판(3112)과 상부측판(3121)에 용접 및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수평보(300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0)가 양생된 후 제거할 수 있다.The joint plate 3200 is welded to the lower side plate 3112 and the upper side plate 3121 by welding and bolts so as to be removed after the concrete 100 cured in the horizontal beam 3000 is cured.

상기 연결재(3300)는 상기 하부안착보(3110)와 상기 상부안착보(3120) 사이를 관통하며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상기 접합판(3200)을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판(3400)을 고정하는 고정바(3310)와, 상기 하부안착보(3110)의 양측판(22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안착보(311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바(33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3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joining plates 3200 passing through between the lower seating beam 3110 and the upper seating beam 3120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joining plate 3200 to fix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3400 And a spacing bar 3320 coupled to upper portions of both side plates 2200 of the lower seating beam 3110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lower seating beams 3110.

상기 고정바(3310)는 양단부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부측판(3121)과 하부측판(3112) 사이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 때, 고정바(3310)는 양단부가 수평보(30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접합판(3200)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bar 3310 has spiral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penetrates between the upper side plate 3121 and the lower side plate 3112. At this time, the fixing bar 3310 can be fixed through the joining plate 3200 having both end portion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rizontal beam 3000.

그리고 상기 고정바(3310)는 다수가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fixing bars 3310 are provided,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oncrete 100 can be increased.

상기 간격바(3320)는 다수의 상기 접합판(3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으로 형성되는 하부측판(3112) 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판 및 원형의 바로 형성된다.The spacing bars 33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nding plates 3200 and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lower side plates 3112 to each other.

이러한 상기 간격바(3320)는 하부안착보(3110)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100)와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The spacing bars 3320 can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oncrete 100 while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lower seating beams 3110.

상기 이탈방지판(3400)은 다수의 접합판(3200)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거푸집(300) 역할을 함에 따라 수평보(3000) 내부에 콘크리트(100)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3400 is received and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joint plates 3200 to serve as a mold 300. When the concrete 10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eam 3000, Can be prevented.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판(3400)은 상기 고정바(3310)가 관통된 후 고정바(3310)와 고정철물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보(30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보(3000)의 양 측면에 다수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After the fixing bar 3310 is penetrated, th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3400 may be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3000 by being coupled to the fixing bar 3310 and the fixing hardware, And may be formed by being coupled to both sid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 joining system of a composite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joining system of the composite column and the bea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s omitted.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to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horizontal bea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수평보(3000)는 상기 연장보(2000)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콘크리트(100)가 타설되도록 절곡되는 연결보(3500)와, 상기 연결보(3500) 내측에 절곡되어 상기 연결보(3500) 하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철물(3600)과, 각각의 상기 연결철물(360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보(3500) 하단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체(3700)를 구비할 수 있다.7 to 8, the horizontal beam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beam 3500 which is seated inside the extension beam 2000 and is bent so that the concrete 100 is poured, At least one connection hardware 3600 bent inside the connection beam 3500 and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am 3500 and the connection beam 3500 for placing the connection hardware 3600, And a plurality of fixing bodies 3700 fixed through the lower ends.

상기 연결보(3500)는 양 단부가 상기 연장보(200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체(3700)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511)을 구비하는 연결판(3510)과, 상기 연결판(3510)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측판(3520)과, 한쌍의 상기 가이드측판(3520) 상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측판(3520)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전단력을 향상시키는 전단철물(3530)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eam 3500 includes a connecting plate 3510 having both ends thereof coupled to ends of the extended beam 2000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3511 through which the fixing body 3700 passes, A guide side plate 3520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3510 to prevent the concrete 100 from being displaced inward and a pair of guide side plates 3520 And a shearing rig 3530 that prevents the gap between the guide side plates 3520 facing each other from spreading and improves the shearing force.

상기 연결판(3510)은 폭 방향으로 연결철물(3600)이 배치되는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관통홀(3511)이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관통홀(3511)과 동일한 수량으로 고정체(37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3510 may have a through hole 3511 in the width direction equal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hardware 3600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be the same as the through hole 3511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xing body 3700 may be provided in a quantity.

상기 가이드측판(3520)은 상기 연결판(3510)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보(3500)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side plate 3520 may extend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hort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3510 to prevent the concrete 100 placed inside the connection beam 3500 from being detached.

그리고 상기 가이드측판(352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소폭 연장되어 상기 전단철물(35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ide plate 3520 may be forme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outward so that the front end hardware 3530 can be seated.

상기 전단철물(3530)은 상기 가이드측판(3520)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측압에 의한 연결보(35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단력에 대하여 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측판(3520)의 상부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The shearing hardware 3530 prevents the gap between the guide side plates 3520 from spreading and prevents the connection beam 3500 from being damaged by the side pressure and prevents the guide side plate 3520 35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이 때, 상기 전단철물(3530)은 연결철물(3600)이 연결보(3500)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연결보(350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ear metal fitting 353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eam 3500 after the connecting hardware 3600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ng beam 3500.

상기 연결철물(3600)은 상기 수평보(300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결철물(3600)의 양 단부가 상기 기둥(100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ardware 360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rizontal beam 3000 so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hardware 3600 extend to the inside of the column 1000.

상기 고정체(3700)는 상기 수평보(3000)의 내측 폭과 동일한 길이로 장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보(3000)의 하단에서 콘크리트(100)의 피복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부(3710)와, 상기 고정부(3710)와 상기 수평보(3000)를 관통하며 너트 및 상기 수평보(3000)에 구비되는 관통홀(3511)에 형성되는 나선홈에 나선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3720)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372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철물(3600)이 내측에 안착되되록 한쌍으로 형성되는 안착부(37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3700 has a long sid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eam 3000 and a fixing unit 3710 for maintaining the same height as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concrete 100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3000 And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which is spirally engaged with the helical groove formed in the through hole 3511 formed in the nut and the horizontal beam 3000 through the fixing portion 3710 and the horizontal beam 3000 And a seating portion 37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3720 and formed as a pair so that the coupling hardware 3600 is seated inside.

상기 고정부(3710)는 상기 연결보(3500)의 내측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720)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다수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71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inner width of the connection beam 3500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372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3720 A support plate may be provided.

상기 몸체는 상기 연결보(3500)에 구비된 관통홀(3511)과 동일한 위치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720)가 상기 몸체와 상기 관통홀(3511)을 각각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hol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hrough hole 3511 provided in the connection beam 3500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3720 passes through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3511, respectively.

상기 지지판은 상기 몸체의 하단에서 콘크리트(100)와 상기 연결철물(3600)의 피복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100 and the connection hardware 3600.

상기 결합부(3720)는 몸체와 관통홀(3511)을 각각 관통하며 상부에 안착부(3730)가 구비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는 나선홈이 구비되어 너트 및 관통홀(3511)에 형성된 나선홈과 나선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72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through which the body and the through hole 3511 pass through and a seating portion 373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piral groove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spiral groove can be formed by the spiral groove.

상기 안착부(3730)는 상기 안착부(3730)는 상기 결합부(3720)에 용접 및 나선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 단부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결철물(3600)을 수용하는 수용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3730 includes a fixing plate 3730 welded and spir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720 and a fixing plate 3730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3730 to receive the connection hardware 3600 The receiv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l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d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 would say.

1000: 기둥 1100: 주부재
1200: 띠부재 1300: 간격부재
1400: 이탈방지부재 2000: 연장보
2100: 하판 2200: 측판
2300: 간격재 2400: 접합앵글
3000: 수평보 3100: 안착보
3200: 접합판 3300: 연결재
3400: 이탈방지판 3500: 연결보
3600: 연결철물 3700: 고정체
1000: Column 1100: Main component
1200: strip member 1300: spacer member
1400: Release preventing member 2000: Extended beam
2100: Lower plate 2200: Side plate
2300: Interval material 2400: Joint angle
3000: Horizontal beam 3100: Seal beam
3200: joining plate 3300: connecting member
3400: Breakaway plate 3500: Connection beam
3600: Connection hardware 3700: Fixture

Claims (12)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철골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주부재와, 상기 주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등간격으로 접합되는 다수의 띠부재와, 상기 띠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띠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주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간격부재와, 상기 간격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격부재가 상기 띠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거푸집에 감싸지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구비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외측에 접합되어 상기 기둥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보와,
다수의 상기 기둥에 구비되는 상기 연장보의 내부에 양 단부가 각각 안착되는 수평보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보는 상기 연장보의 내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안착보와,
상기 안착보의 양측면에 다수가 구비되며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합판과,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접합판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안착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재와,
상기 접합판의 외측에 수용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보는 상기 연장보의 내측 하단에 삽입되는 하부안착보와,
상기 하부안착보의 상부에서 양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A main body member formed of a steel frame for supporting a load of the building and vertically disposed; a plurality of band members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member and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A separating member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member;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acing member to prevent the spac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nd member; and a column having a concrete ,
An elongated beam join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lumn,
And a horizontal beam having both ends thereof seated inside the extended beam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columns,
The horizontal beam is seated inside the extended beam and the concrete is poured therein,
A plurality of joint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beam and having opposite ends bent outward;
A connecting member that connects the facing plates facing each other to each other and maintains the interval of the seating beams,
And a release preventing plate accommodated outside the joint plate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coming off,
And a lower seating beam inserted into an inner lower end of the extended beam,
And an upper seating beam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eating beam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eating beam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ded bea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재는 상기 기둥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 단면의 중심에 배치되며 H형상, 사각형상, 'ㄷ'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에 서로 이격하게 수직 배치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며 'ㄱ'형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lumn section to support the load of the column and formed in at least one of an H shape, a square shape, and a "
And a plurality of corner members disposed on an outer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formed of 'A' shaped ste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보는 상기 수평보가 안착되며 거푸집 역할을 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단변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보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연장보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면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판과,
한쌍의 상기 측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상기 측판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간격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view includes a bottom plate on which the horizontal beam is seated and serves as a mold,
A side plat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o extend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to enclose a side surface of the extended beam and to increase a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placed in the extended beam;
And a gap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air of side plates in order to maintain a pair of the side plate spac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보는 상기 기둥의 상부에 상기 연장보를 접합시키기 위하여'ㄴ'형상으로 형성되는 접합앵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joining angle formed in a 'b' shape to join the extension beam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보는 상기 연장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측판과,
상기 상부측판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상부접합판과,
상기 상부측판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연장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안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side plat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extended beam,
An upper joining plate bent i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to increase bo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And an upper seating plate bent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plate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ded be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하부안착보와 상기 상부안착보 사이를 관통하며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상기 접합판을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판을 고정하는 고정바와,
상기 하부안착보의 양측판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안착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xing bar passing through the lower seating beam and the upper seating beam and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he joining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eating beam and fix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late,
And a spacing bar coupled to upper portions of both side plates of the lower seating beam to maintain spacing of the lower seating bea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62476A 2017-11-30 2017-11-30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1904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76A KR101904115B1 (en) 2017-11-30 2017-11-30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76A KR101904115B1 (en) 2017-11-30 2017-11-30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15B1 true KR101904115B1 (en) 2018-10-04

Family

ID=6386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76A KR101904115B1 (en) 2017-11-30 2017-11-30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1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075B1 (en) * 2019-07-16 2021-01-19 Metal-Era, Inc. Lightweight concrete nailer form
WO2022164128A1 (en) * 2021-02-01 2022-08-04 (주)센벡스 Synthetic frame having end-embedded girder joint structure
CN115126226A (en) * 2022-06-30 2022-09-30 陕西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Girder mould and upright post quick link construction proc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6B1 (en) * 2012-04-23 2012-10-08 (주)동하이엔지 Joint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t method of the same
KR101661542B1 (en) * 2015-12-17 2016-10-06 (주)씨지스플랜 Pre-fabricated column with ribbed round angle and reinforcing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3670B1 (en) 2016-04-28 2016-12-08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6B1 (en) * 2012-04-23 2012-10-08 (주)동하이엔지 Joint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t method of the same
KR101661542B1 (en) * 2015-12-17 2016-10-06 (주)씨지스플랜 Pre-fabricated column with ribbed round angle and reinforcing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3670B1 (en) 2016-04-28 2016-12-08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5075B1 (en) * 2019-07-16 2021-01-19 Metal-Era, Inc. Lightweight concrete nailer form
WO2022164128A1 (en) * 2021-02-01 2022-08-04 (주)센벡스 Synthetic frame having end-embedded girder joint structure
KR20220111082A (en) * 2021-02-01 2022-08-09 (주)센벡스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KR102585526B1 (en) * 2021-02-01 2023-10-06 (주)센벡스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CN115126226A (en) * 2022-06-30 2022-09-30 陕西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Girder mould and upright post quick link construction process
CN115126226B (en) * 2022-06-30 2023-11-07 陕西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Quick linking construction process for girder die and upright po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819B1 (en)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steel plate frame concrete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KR101295740B1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1544803B1 (en)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75165B1 (en)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72924B1 (en) Fire proof reinforced panel using high strength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904115B1 (en)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2311223B1 (en) Resistance to earthquake reinforcement method for DIY reinforcement of multi-household house piloti column
KR101750177B1 (en) Punching shear stiffening member of cutting bridge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oting using of the same
KR102104382B1 (en)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101429527B1 (en)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KR101739126B1 (en) Method for Forming Top-down-typed Underground Strucutre
KR102074402B1 (en) Beam-girder joint of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KR101415695B1 (en) Structure for clean room using composite beam
KR101466683B1 (en) The remodeling earthquake resistant connection details by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for old reinforced beam-column building structures and the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01212A (en) Permanent assemble form structure having stiffnes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ermanent assemble form for column using the same
KR200469319Y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101796101B1 (en) Bon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KR101904118B1 (en)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KR101355147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junctional region of column-slab
KR101736594B1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KR101904121B1 (en) Composite Column with the Steel and the Concrete
KR101177316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for junctional region of column-slab
KR20090093599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form-less column and slim beam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80026286A (en)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