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50B1 -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50B1
KR101898650B1 KR1020170056040A KR20170056040A KR101898650B1 KR 101898650 B1 KR101898650 B1 KR 101898650B1 KR 1020170056040 A KR1020170056040 A KR 1020170056040A KR 20170056040 A KR20170056040 A KR 20170056040A KR 101898650 B1 KR101898650 B1 KR 10189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cree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충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포스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포스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포스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05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rtworks and an exhibition center thereof to a user in an interesting way by efficiently exposing registered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creen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twork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an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part managing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of artworks in an exhibition center and c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artworks exhibited in the exhibition center, on a database; a locked screen providing part selecting at least one artwork screen datum from among artwork screen data, which are image data about the artworks stored in the database, in accordance with preset standards, and controlling the selected artwork screen datum to make the datum outputted through a locked screen of a mobile terminal of a user; and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part controlling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an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artwork screen datum outputted through the locked screen to make the exhibition information output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hen receiving preset control input except for control input for unlocking the locked screen.

Description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예술 작품 전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접근이 용이한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예술 작품 전시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사용시 전시 작품에 대한 노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예술 작품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rt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that a user can feel interesting and easy to ac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efficiently expose a display work when a mobile terminal is used and can induce a user's interest in an art work.

최근 다양한 문화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문화 전시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나 전지장소를 검색하여 예술 작품 전시 행사를 이용하게 된다.Recently, various culture relat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users who acquire cultural exhibition information by using a mobile terminal search for their favorite artists or battery locations and use the art exhibition event.

예술 작품 전시에 관련된 기술에 있어서, 예술 작품의 전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기존의 기술들은 전시 정보를 단순 소팅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검색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및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그치고 있다.It is an important issue to provide the exhibition information of the art works to the users in the art relating to the exhibition of art works.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limited to technologies that provide simple sorting of exhibition information, technology that enables users to search, and technology that provides exhib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information.

한편 선행기술로서, 출원번호 제10-2006-0124564호 등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장에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게시되고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에서 제공되는 예술 작품 전시장에 대한 정보는, 전시장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전시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거나,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위치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전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24564, technologie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n exhibition hall corresponding to user's location information are posted. 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space of the art work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ay be a techniqu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work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exhibition hall or a technique of providing exhibition space information This is posted.

그러나 사용자들은 위치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전시장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부족하며, 특히 모바일 단말의 특징 및 예술 작품에 대한 특징을 제대로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시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노출을 함으로써, 예술 작품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 유발 및 전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방문을 실질적으로 유도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users are not able to acquir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hall simply by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nd it is not enough to induce users to pay attention to the exhibition hall.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that effectively induces user's visit by providing the user with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the art work and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information by efficiently expos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화면 내에서 등록된 전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예술 작품 및 해당 예술 작품이 전시되는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흥미롭게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exposing information on exhibi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various screens of a mobile terminal to provide a user with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an art work and an exhibition space on which the art work is displayed There is a purpose.

한편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거나 접근이 용이한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예술 작품 전시에 대한 방문을 실질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that can substantially induce a visit to a display of a work of ar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xhibition hall where a user can be interested or can easily access through a mobile terminal, .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는, 전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들에 대한 전시회에 관한 정보 및 전시장에서 전시되어 관람 가능한 예술 작품에 관한 큐레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관리하는 전시 정보 관리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술 작품에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인 작품 화면 데이터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품 화면 데이터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잠금화면 제공부; 및 상기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제외한 기설정된 제어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에 의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전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 apparatus for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on art 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n exhibition of art works performed in an exhibition hall, information on exhibition on exhibition sites, An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database; A lock screen for selecting at least one work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work screen data as image data related to the art work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the selected work screen data to be output to the lock scree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Offering;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where the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being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by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when receiving the preset control input excluding the control input for releasing the lock screen To be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광고처럼 노출됨에 따라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 대신, 전시회에서 전시되고 있는 예술 작품을 사용자들의 모바일 단말의 잠금화면에 노출시키고, 노출된 잠금화면에 대한 특정 입력을 수신 시 해당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특히,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순환노출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an exhibition in which users feel tired by exposure as an advertisement, the art work displayed on the exhibition is exposed on the lock scree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Upon receipt of the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o output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dvertisement for the exhibition in which the work is displayed. In particular, at least one work screen data for the artwork is selected and circulated.

이로써, 사용자들은 모바일 단말의 잠금화면 상에 예술 작품의 이미지가 출력됨에 따라서 광고보다는 작품을 감상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서 거부감 없이 전시회에 대한 광고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더욱 흥미를 느끼고 전시회에 대한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전시회에 대한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고,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the images of the artworks are outputted on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s feel that they are viewing the works rather than the advertisements. Therefore, the users can perform the advertisements for the exhibitions without any sense of discomfort, And can lead to a visit to the exhibition,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advertisement for the exhibition and minimizing the user's rejection of the advertisement.

또한, 위치 기반으로 사용자와 가깝거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 및 잠금화면 상의 예술 작품의 이미지를 출력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거나 접근이 용이한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예술 작품 전시에 대한 방문을 실질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which is close to the user based on the location, or the exhibition, which is predicted to be preferred by the user, and the image of the art work on the lock screen are outputted,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h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induce the user to visit the exhibition of the art work.

한편, 잠금화면 상에 출력되는 작품 화면 데이터를 유로 또는 무료로 모바일 단말의 배경화면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전시 정보에 대한 조회 등에 따라서 사용자의 계정에 포인트를 지급하고, 지급된 포인트로 예술 작품에 관련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작가와 서비스 제공 주체에 대한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할 수 있고,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work screen data outputted on the lock screen as a screen of a wallet or free of charge for a mobile terminal, pay a point to a user's account according to inquiry about exhibi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profit model for a writer and a service providing entity by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purchasing a related item,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ervice utilization rate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o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rtwork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to 9 are examples of screens output to a user's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 / or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 (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that some of the various ways of practicing various aspects of the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at the description set forth is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In addition,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multiple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and so forth.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and / or modules, etc., and / 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Must be understood and understoo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an embodiment," "an embodiment," " an embodiment, "" an embodiment ",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better or worse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The terms 'component', 'module', 'system', 'interface', etc. used in the following generally refer to a computer-related entity,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means that the feature and / or component is present, bu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that i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ean ideal or overly formal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도 2 내지 9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의 화면 예를 부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수행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rtwork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9 are examples of screens output to a user's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artwork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a scree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S. 2 to 9 is additionally referred to,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o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10)는 전시 정보 관리부(11), 잠금화면 제공부(12), 전시 정보 제공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인 기능 수행을 위하여 포인트몰 인터페이스 제공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rtwork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hibition information managing unit 11, a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and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And may include a point-of-mole interface providing unit 14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and all the data managed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15.

또한 상술한 모든 구성들은 서로 독립된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구현되거나,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포함되어 각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서 구분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In addition,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may be realized by independent hardware or a processor, or may be included in a single hardware or a processor to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functions performed by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전시 정보 관리부(11)는, 전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들에 대한 전시회에 관한 정보 및 전시장에서 전시되어 관람 가능한 예술 작품에 대한 큐레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 상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manages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art works performed in the exhibition hall and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ation information on the art work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site on the database 15 do.

본 발명에서 전시장이란, 일반적으로 미술관, 갤러리 등으로 칭하여 지는 장소로서, 예술 작품을 유료 또는 무료로 전시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전시장에 방문 시 다양한 예술 작품을 보거나 구매할 수 있는 모든 장소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hibition hall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art museum or a gallery, and refers to all the places where users can view or purchase various artworks when they visit the exhibition site by displaying art works for a fee or free of charge.

본 발명에서 예술 작품은, 일반적으로 예술 작품으로 지칭되는 모든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차원 또는 3차원의 미술작품, 공예품, 도예품, 사진, 행위 예술작품, 설치 예술 작품 등 예술 작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오감을 이용하여 체험하고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rt work refers to all objects generally referred to as art works. For example, i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as an art work such a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art work, a craftwork, a ceramic art, a photograph, a performance art work, a installation art work, It means all objects.

전시회에 관한 정보에는, 구체적인 예로서 전시회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시장의 위치 정보, 전시회의 명칭 정보, 전시회가 열리는 기간 정보, 전시회 관람 시 사용자가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이용 금액 또는 이용 내용에 대한 프로모션에 관한 정보,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하여 전시하고 있는 작가의 프로필 정보, 전시회에 대한 사용자들의 후기 또는 평가 등의 평가 정보, 전시장에 포함된 편의 시설 또는 전시장 인근의 편의 시설 등에 대한 시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site where the exhibition is held, the nam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the period of time during which the exhibition is held, the amount of money the user can receive at the exhibition, , Profile information of the artist exhibiting and exhibiting the work at the exhibition, evalu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later evaluation or evaluation of the exhibition, facil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hibition space, or facility facilities near the exhibition space.

즉 전시회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들이 전시회의 정보를 확인하고, 전시회의 이용 시 이용할 수 있는 유무형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공 또는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means all information processed or generated so that users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and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or service of the type or the usable in using the exhibition.

한편 예술 작품에 대한 큐레이션 정보는, 예술 작품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정보와 같고, 일반적으로 큐레이션 정보로 지칭되는 의미에서 이해될 수 있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예술 작품의 제작 시기, 작가, 예술 작품의 장르, 예술 작품을 통하여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 예술 작품의 제작을 위하여 사용된 도구 또는 종류 등 모든 정보가 큐레이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ration information about an art work is the same information as the guide information that enables users to understand the art work, and is generally the same information that can be understood in a meaning referred to as cu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ll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of production of an artwork, a genre of an artist, a genre of an artwork, a content the artist wishes to present through an artwork, a tool or a kind used for producing an artwork,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curation information .

작가의 프로필 정보란, 작가가 공개를 허락한 개인 정보, 작가의 작품 출품 내역, 경력, 작가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정보 등 작가를 확인하여 사용자들이 전시회의 이용에 있어서 이해하기 원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rtist's profile information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understand in using the exhibition by checking the artist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 artist has allowed to disclose, the entry details of the artist's work, the career history, .

전시 정보 관리부(11)는 외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작가의 단말 또는 전시회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통하여, 상술한 전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5)에 전송하여 전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은, 전시회가 새롭게 열리는 경우 해당 전시회와 관련된 전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에 신규 저장하고, 전시회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전시 정보를 수정하거나, 전시회가 폐회된 경우 즉시 또는 일정 기간 후 데이터베이스(15)에서 해당 전시 정보를 삭제하거나 최소화하여 별도 저장하는 등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 receives the above-mentioned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30 via a terminal of the artist or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exhibi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database 15 to manage the exhibition information . When the exhibition is newly opened, the exhibi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hibition is newly stored in the database 15, the exhibition information is modified whe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are changed,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y be deleted or minimized and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for example.

잠금화면 제공부(12)는,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예술 작품에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인 작품 화면 데이터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품 화면 데이터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selects at least one piece of work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set reference among pieces of work screen data that are image data related to the art work stored in the database 15, And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20 to be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본 발명에서 잠금화면이란, 모바일 단말의 이용 시 초기 배경 화면의 출력 전,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 및 불필요한 기능 수행의 방지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의 전원을 온(On)할 때 출력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화면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지문, 홍채인식, 패턴, 비밀번호 등의 인증 수단을 통하여 잠금화면 상에서 일정한 입력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만 초기 배경 화면이 출력되어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잠금화면 상에는 다양한 팝업(Pop-Up)메시지 또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내용 확인을 위한 푸시 알람 또는 상술한 팝업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screen means a screen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before the initial background screen is output,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o prevent unnecessary functions from being performed. In the lock screen, the user performs a certain input on the lock screen through authentication means such as fingerprint, iris recognition, pattern, password, etc., and the initial background screen is output only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On the other hand, a pop-up message or a push-alarm for confirming the contents of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above-mentioned pop-up message may be output on the lock screen.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술 작품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작품 화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at least one piece of work screen data, which means an image of the art work,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ting the selected pieces of work screen data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기본적으로 캐시 슬라이드(Cash Slide)로 지칭되는 잠금화면 기능이 존재한다. 해당 기능은, 잠금화면 상에 광고 등의 컨텐츠를 노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상술한 캐시 슬라이드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 시 출력되며, 직접적인 광고 컨텐츠가 무분별하게 노출되어, 사용자들은 잠금화면 상의 캐시 슬라이드 화면의 노출에 의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There is a lock screen function, which is basically referred to as a cash slide. This function exposes contents such as advertisements on the lock screen, and allows the user to check and use the conte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ache slide function, when a user installs an application, direct advertisement contents are indiscriminately exposed, and users feel fatigue due to the exposure of the cache slide screen on the lock screen.

본 발명에서의 잠금화면 제공부(12)는 단순한 광고 컨텐츠가 아니라, 현재 전시됨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5) 상에서 관리되고 있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 관한 이미지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imple advertisement content but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work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among images related to various works of art managed on the database 15 To be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 of the user.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예술 작품에 관련된 이미지를 잠금화면 상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대한 피로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전시회에 대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자신이 모바일 단말(20)의 잠금화면을 통해서 예술 생활을 향유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users can confirm an image related to art work that can feel aesthetic sense on the lock screen, they do not feel any fatigue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on the exhibition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but also to feel the feeling that the user himself enjoys the art life through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er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잠금화면 제공부(12)가 데이터베이스(15) 상에 저장된 다양한 작품 화면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준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criterion for selecting at least one work screen data among various work screen data stored on the database 15 by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is as follows.

(제1 실시예)(Embodiment 1)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5)에는 전시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이용 내역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atabase 15 may store not only exhibition information, but also usage history data on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 for the us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잠금화면 제공부(12)는 모바일 단말(20)을 통한 사용자 계정의 전시 정보 조회 내역, 전시회에의 이용 내역을 나타낼 수 있는 전시회에 대한 이용 결제 내역, 사용자 계정에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 시 또는 이용 도중 입력하여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작품 선호 장르, 선호 작가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게 된다. 상술한 정보와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과의 유사도 수치를 연산하며, 연산된 유사도 수치가 높은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5개)의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In this case,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displays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the payment history of the exhibition that can display the usage history of the exhibition, And at least one of the works preference genr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avorite writer is used as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account during the creation or during us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and the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artwork screen data is calculated, and artwork screen data for a predetermined number (e.g., five) of artworks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calculated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

즉, 제1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용 내역이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예술 작품에 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잠금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전시 정보를 더욱 많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이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ork screen data about the art work that the user can be interested in is reflected on the lock screen by reflecting the usage history of the user or the user's preference, thereby causing the user's interest, So that mor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유사도 수치를 위하여 이용되는 각 정보간의 유사도 수치 연산 시의 가중치가 서로 다르게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각 요소간의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weights in the similarity degree numerical calculation among the respective information used for the similarity degree numerical value can be reflected differently. That i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flect the user's preference, the weights of the elements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유사도 수치를 연산 시, 전시 정보 조회 내역 및 전시회 결제 내역에 관한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를 선호 장르 및 선호 작가에 대한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alculating the similarity value,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may set the weight of the similarity degree values related to the exhibit information inquiry history and the exhibition payment history to be higher than the weight values of the preference genre and the similarity degree value to the preferred writer have.

사용자는 계정 생성 시 선호 장르 및 선호 작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선택적일 수 밖에 없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저장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선호도를 반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about the favorite genre and the favorite writer at the time of account creation. Such information is inevitably optional, and information stored by the user's input is highly likely to not reflect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한편, 전시 정보를 조회한 내역이나 특히 사용자가 이용한 적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는 사용자가 실제로 자신이 원하여 전시 정보를 조회하거나 전시회에 방문할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정보보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욱 직접적으로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especially the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which the user has used, will display the exhibition information or visit the exhibition at the user's own desire, the user's preference is more directly Will likely be reflected.

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더욱 사용자의 선호도를 명확하게 반영하고, 이를 통해 산출된 유사도 수치가 높은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잠금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명확하게 유발할 수 있다.Accordingly, by setting the weigh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reflect the user's preference and output the work screen data for the art work having the high degree of similarity calculated on the lock screen, .

한편,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유사도 수치를 연산 시, 현재시점과 저장된 정보의 시간의 오차에 반비례하도록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잠금화면이 선택되는 시점과 가까운 시점에 생성된 사용자 계정의 전시 정보 조회 내역, 전시회 결제 내역,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선호 장르 및 선호 작가에 대한 정보에 더욱 큰 가중치를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calculating the similarity value,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may set a weight for the similarity valu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time and the stored inform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me. That is, a larger weight is set for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quiry history of the user account, the exhibition payment history, the favorite genre stored in the user accou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avorite author, which are close to the time when the lock screen is selected.

예술 작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는 예술 작품이 사용자에게 주는 심미감의 특징 상 시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화면을 선택 시에도,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욱 명확하게 반영하기 위해서는, 유사도 수치에 사용되는 정보들 중 최근의 정보를 더욱 큰 비중으로 반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서,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최근에 사용자의 입력 또는 이용 내역 따라서 생성된 정보를 더욱 큰 비중으로 반영하게 된다.The user's preference for the artwork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ime of the aesthetic sense given to the user by the artwork. Therefore, in order to more clearly reflect the user's preference even when the lock screen is selected, it is effective to reflect recent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used for the similarity value as a larger weight. For this purpose,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reflect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put or use history of the user in a larger propor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function execution.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화면 제공부(12)는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 센서(예를 들어 GPS 등)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와,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장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적은 순으로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5개)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잠금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is provided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obtained from a position information sensor (for example, GPS or the like) of the mobile terminal 20, A predetermined number (e.g., five) of pieces of work screen data may be selected and output on the lock screen in the order of a small amount of error 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on which the work is displayed.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전시장에서 개최되고 있는 전시회에 출품된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들은 실시간으로 전시장에 방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즉 가까운 전시장에 관련된 작품의 이미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전시장에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provides a work screen data for an art work exhibited at an exhibition held in an exhibition hall close to a user's current location. Since the users can visit the exhibition hall in real tim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exhibition hall, output an image of the work related to the near exhibition hall, and prompt the user to visit the exhibition hall.

예술 작품의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가 전시회에 대한 방문 확률에 큰 영향을 끼치나, 예술 작품에 대한 조예가 깊지 않은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예술 생활의 향유 경험이 크지 않고, 오히려 접근이 용이한 전시장에 방문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In the case of art works, the preference of the us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visiting the exhibition. However, in the case of general users who are not proficient in the works of art, the experience of enjoying art life is not large, It is very likely to visit.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에게 가까운 곳에서 전시되는 예술 작품을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면, 모바일 단말(20)의 전원을 온할 시 사용자들은 자신과 가까운 곳에서 열람할 수 있는 예술 작품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즉각적인 흥미를 느껴 전시회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에게 접근이 용이한 전시 정보를 광고 형태가 아닌 작품의 이미지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광고에 대한 피로감을 최소화하는 한편 효율적인 전시회 이용 유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this reason, when the art work displayed near the users is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20 is turned on, the users can confirm the art works that can be browsed near the user, There is an immediate interest and an exhibition can be us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xhibit information, which is easy to access to the user, as an image of the work rather than the advertisement form, thereby minimizing the fatigue of the users and obtaining the effective use of the exhibition.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상에서 작품 화면 데이터를 기설정된 개수만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때 출력되는 작품 화면 데이터의 출력 기간 또는 순서는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고, 또한 기설정된 개수와 다른 다양한 개수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ut can be implemented in a complex manner.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of work screen data are selected. In this case, the output period or order of the output work screen data can be determined at random, Various numbers of images can be selected.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잠금화면을 제공 시, 작품 화면 데이터뿐 아니라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는 전시장에 대한 전시 정보의 일부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전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시장에 대한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When providing the lock screen,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outputs not only work screen data but also part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site o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is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users can confirm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is can lead to a visit to the exhibition hall.

예를 들어,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잠금 화면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에는 작품 화면 데이터가 출력되고, 제2 영역에는 잠금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divides the lock screen in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work screen data is output to the first area and the work screen data It is possible to control all or a part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for the exhibition o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is displayed.

이때 함께 출력되는 전시 정보에는, 사용자가 적어도 잠금화면에 출력된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할 수 있는 정보가 일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는 전시장에 대한 위치 정보로서 지도 이미지 또는 주소 정보, 전시회의 개최 기간, 전시회의 명칭 또는 전시장의 명칭, 전시회 이용 가격 등이 선택될 수 있다.At this time, some pieces of information that the user may want to check for the exhibition o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outputted on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may be selected as the exhib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where the exhibition is held, the map image or address information, the period of holding the exhibition, the name of the exhibition or the name of the exhibition hall, the price of the exhibition,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 중첩(오버랩)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제2 영역에 출력되는 전시 정보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 처리되어 제1 영역에 출력되는 작품 화면 데이터를 가리지 않도록 처리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rea may be included so as to overlap (overlap) the first area. The exhibi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second area may be processed to be opaque or semi-transparent so as not to cover the work screen data output to the first area.

한편 작가에 따라서, 자신의 예술 작품이 사용자의 잠금화면 상에 출력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수익을 위해서 잠금화면 상에 작품 화면 데이터가 노출될 때 일정 대금이 작가 또는 전시회 제공 주체에 과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artist, he may want his or her artwork not to be output on the user's lock screen. Or when the work screen data is exposed on the lock screen for the profit of the service provider, a certain amount of money may be charged to the artist or the exhibition providing entity.

이를 위해, 잠금화면 제공부(12)는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가 또는 전시회 제공 주체로부터 예술 작품이 잠금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승인받은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작품 화면 데이터를 생성 시 예술 작품에 대해서 작가로부터 작품별 또는 작가별로 노출 승인 여부를 요청하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selects work screen data for the art work approved for outputting the art work from the artist or exhibition providing entity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 And output it to the screen. For example, when generating work screen data, information for requesting permission or disapproval of exposure for each artwork or artist by an artist can be inputted.

한편,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의 제공 업체의 수익을 위해서 잠금화면 제공부(12)는, 금융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잠금화면 상에 작품 화면 데이터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작가 또는 전시회 제공 주체로부터 과금이 결제된 작품 화면 데이터만을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rofit of the provider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receives a charge from the artist or exhibition providing entity to expose the work screen data on the lock screen through the financial settlement process Only the paid work screen data can be selected.

상술한 기능은,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 시 또는 생성 시에 수행될 수 있고, 과금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한 과금으로 인정되도록 하여, 작품 화면 데이터의 선택 또는 생성이 승인 또는 취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un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time of selection or creation of work screen data, and can be recognized as valid bil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kind of billing, so that selection or creation of work screen data can be approved or canceled have.

한편 잠금화면 제공부(12)는 사용자들의 흥미 유발 및 작품 화면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유료 또는 무료로 작품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20)의 배경화면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ck picture providing unit 12 may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in order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interest and work screen data.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save the work screen data for a fee or free of charge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

모바일 단말(20)의 배경 화면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을 이용 시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화면의 배경을 의미한다. 작품 화면 데이터의 배경화면 지정은 작품별 또는 전부에 대해서 유료 또는 무료로 설정될 수 있다. 유료 프로세스 진행 시, 배경화면 지정에 따라서 해당 작품 화면 데이터의 작가 또는 전시회 제공 주체에게 일정 수수료가 지급될 수 있다.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 means a background of a screen on which an icon or the like is displayed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terminal 20. [ The design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work screen data can be set to be paid or free for each work or all of them. At the time of the paid process, a fee may be paid to the artist of the work screen data or the exhibitor providing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screen designation.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제외한 기설정된 제어 입력을 수신 시, 잠금화면 제공부(12)에 의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가 모바일 단말(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receives the predetermined control input except for the control input for releasing the lock scree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i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is displayed to the mobile terminal 20. [

물론,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상술한 기능 수행 이외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모바일 단말(2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검색 조건을 입력하거나 실행에 따라서 출력되는 초기 화면 상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도 전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f course,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may execut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 for the us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the exhib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n the screen.

이때 잠금화면 제공부(12)의 기능 수행과 유사하게,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전시 정보를 제공 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전시장에 대한 전시 정보가 모바일 단말(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imilar to the function of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12,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dete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hibition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hall within the set distance to be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20. [

상술한 기능 수행에 있어서,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전시 정보를 출력 시, 지도 이미지 상에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지도를 출력하고, 해당 지도마다 지도에 포함되는 장소들 중 일 장소에 대응되는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지도의 위치정보에 매핑하여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시장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시장 리스트를 출력 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와 가까운 순으로 전시장 리스트를 소팅(Sorting)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hibition information is outputted,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outputs a map of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ing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on the map image, It is possible to map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corresponding to one place among the places included in the map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p and output it as an image. Or a list of exhibition halls. When the exhibition hall list is outputted, the exhibition hall list can be sorted and output in the order of the closest to the mobile terminal 20.

다른 실시예에서,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가 어느 한 전시장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 어느 한 전시장에 관련된 전시 정보 자체 또는 해당 전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메뉴 등을 모바일 단말(2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거나, 이와 관계없이 푸시(Puch) 알람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dete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20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an exhibition sit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xhib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hall itself or a menu for inquir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 so as to be controlled to be outputted.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menu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application is executed or irrespective of whether the menu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Puch alarm message.

한편 상술한 바에 따라서, 상술한 기설정된 제어 입력 이외에, 모바일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한 전시 정보 검색 입력을 수신 시에도 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시 정보 검색 입력 시 검색 조건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검색 조건은 지역, 작품 종류, 작가, 작품 장르, 전시장 등 다양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be output even when receiv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arch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20,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set control input. Information on the search condition can be input when enter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arch. Search conditions can include various conditions such as region, type of work, artist, genre of work, exhibition hall, and so on.

이때,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입력된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전시 정보를 출력 시,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와 거리 순으로 가까운 전시장에 대한 전시 정보가 우선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earch condition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20 is outputted,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determines whether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nearest exhibition hall is output first.

한편,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 주체의 수익을 위해서, 전시회 주최자 또는 작가가 결제한 과금에 따라, 전시 정보가 노출되는 크기, 순서 및 노출되는 전시 정보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의 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rofit of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displays the size, order, and exposur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ge paid by the exhibition organizer or the artist Different types can be set differently. This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 of a screen.

한편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전시 정보 제공부(13)는, 모바일 단말(20)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20)의 위치가 어느 한 전시장과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 어느 한 전시장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에만 활성화되는 게시글 저장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게시글 정보가 모바일 단말(2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 can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in order to induce users' interest.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dete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20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an exhibition hal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post information input by the other users to the mobile terminal 20 in the post storage space activated only at the time of activation.

즉, 어느 한 전시장과 가까운 영역에 위치시, 해당 영역에 위치된 바 있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전시장과 관련되거나 이와 무관하게 등록한 다양한 게시글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술 작품이라는 특성 상, 전시장에서 출품된 바 있는 예술 작품에 대해서 서로 유사한 흥미를 갖는 사용자들끼리 서로의 정보 공유 또는 추억 공유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를 더욱 흥미를 갖고 이용할 수 있고, 결국 이용률 증가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close to an exhibition site, various users located in the relevant area can confirm the various pos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hall or regardless thereof. Due to the nature of art works, it is possible for users who have a similar interest to each other to share information or to share memories about art works exhibited at the exhibition site.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users can us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interestingly, and as a result,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and generate a profit by providing the service.

한편, 상술한 기능 이외에, 전시 정보 제공부(12)는 위치 정보와 관계 없이, 전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메뉴가 전시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공유 가능 메뉴는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전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게시글 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메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 can control the menus, which can share the exhibition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exhibition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bove-described shareable menu can be used to share exhibition information with, for example,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r to transmit all the menu items .

본 발명에서 전시 정보 제공부(12)는 전시 정보에 대한 공유 메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전시 정보에 대한 링크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의 모바일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나, 불필요한 데이터 소모의 감소 및 공유 형태에 따른 한계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시 정보 화면을 캡쳐한 이미지만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haring menu for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 may transmit the link information for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s of other users. However,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exhibition information screen can be transmitted to other users in order to minimize the limit according to the sharing form.

전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야 할 것인데, 다른 사용자들 중에서는 해당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시 정보에 대한 공유 및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전송 시, 전시 정보를 캡쳐한 이미지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output the exhibition information,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other user does not install or install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application .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image data captur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hen the exhibition information is shared and transmitted to other users.

포인트몰 인터페이스 제공부(14)는, 기설정된 제어 입력을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정보에 대한 검색 입력을 수신 시,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를 지급하고, 지급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예술 작품과 관련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포인트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int mall interface providing unit 14 receives a predetermined control input or receives a search input for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The point mall interface providing unit 14 pays a point to the user account, And provides a point-to-point interface to purchase items related to the work.

포인트몰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별로 획득한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 가능한 아이템 및 아이템의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아이템의 정보 확인, 구매 프로세스 진행 등 일반적인 쇼핑몰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oint-to-point interface, an interface for confirming information about points acquired for each user, an interface for confirming information on items that can be purchased and items to be purchased, an item information confirmation, an interface of the same type as a general shopping mall interface May be included.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활동한 내역에 따라서 포인트를 제공받고, 이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 또는 작가와 관련된 굿즈(Goods)를 포함하는 아이템을 구매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더욱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s receive points according to their activities, and purchase items including goods related to their favorite works or writer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us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o be.

상술한 기능 수행에 따라서 다양한 화면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의 예가 도 2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Various screens can be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ures 2-9.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의 잠금화면(1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화면(100)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선택된 예술 작품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작품 화면 데이터(1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방향(b1)으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수행 시 잠금화면(100)이 해제되어 이용을 위한 초기 배경 화면이 출력됨을 가정하면, 그 외의 입력 중 기설정된 입력, 즉 제2 방향(b2)으로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2, an example of a lock screen 100 of a mobile terminal is shown. On the lock screen 100, work screen data 101 representing an image of the art work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criteria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performs the touch and drag input in the first direction b1, it is assumed that the lock screen 100 is released and the initial background screen for use is output. In this case, b2),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in which the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is displayed can be output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화면(100)에서 작품 화면 데이터(101)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영역에는 전시 정보(102, 103)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되는 전시회장의 지도(102) 및 작가, 전시정보, 이용 대금 등이 포함될 수 있는 일부 정보(103)가 출력될 수 있다.At this time, part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102, 103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ncluded in the area where the work screen data 101 is output from the lock screen 10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map 102 of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site and some information 103 including the artist, exhibition information, usage fee, etc. may be output.

도 3에는 지도 인터페이스(11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지도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들은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 즉, 현재 사용자들의 위치(111)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영역의 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의 위치(111)에 있어서 지도에 포함된 영역, 즉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되는 전시장(112, 11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map interface 110 is shown in Fig. Through the map interface 110 of FIG. 3, users can grasp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location 111 of the current users, and can confirm the map of the predetermin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111.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exhibition sites 112 and 113 located in the area included in the map, tha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at the users' location 111 can be confirmed.

한편 도 4는 리스트 형식으로 전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120)의 예이다. 도 4의 화면(12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 주체의 수익을 위해서, 전시회 주최자 또는 작가가 결제한 과금에 따라, 전시 정보가 노출되는 크기, 순서 및 노출되는 전시 정보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타입(121)의 경우 제일 높은 과금 형태일 수 있고,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기의 이름, 전시장의 이름, 전시회의 이름, 대표적인 작품 리스트 등이 표시된다. 제2 타입(122)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과금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회의 이름, 작가의 이름이 표시된다. 제3 타입(123)의 경우, 가장 낮은 과금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회의 이름만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120 in which exhibition information is output in a list format. Referring to the screen 120 of FIG. 4, for the profit of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rder and / or size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exposed according to the bill paid by the exhibition organizer or the artist The kinds of exhibition information to be exposed can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121, it may be the highest billing typ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name of the small, the name of the exhibition hall, the name of the exhibition, and a representative work list are displayed.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122, the name of the exhibit and the name of the artist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4 as the second highest charging type. In the case of the third type 123, as the lowest billing type, only the name of the exhibition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노출 영역의 크기, 순서 및 노출되는 전시 정보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수익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manner, the size, order, and type of exhibition information to be exposed are set differently from one another, and the profit of the service providing entity can be increased.

도 5의 잠금화면(1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경화면 저장 메뉴(132)를 통해, 잠금화면(130) 상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131)를 잠금화면(130)의 해제 시 출력되는 초기 배경화면에 출력되도록 해당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이미지의 저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료 또는 무료로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lock screen 130 of FIG. 5, the user can output the work screen data 131, which is being output on the lock screen 130, via the background screen storage menu 132, It is possible to store the image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initial background screen. The storage of the image may be possible for a fee or free of charge as described above.

도 6에는 전시 정보 화면(14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시 정보 화면(140) 상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시회의 이름, 작가의 이름 및 프로필 정보, 전시장의 이름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표작품의 이름 또는 이미지, 전시되고 있는 예술 작품의 이름 또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예약하기 메뉴를 통해 해당 전시장의 방문을 예약하고 유무료 여부에 따라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FIG. 6 shows an example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screen 140.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screen 140, the user can confirm the name of the exhibition, the name and profile information of the artist, the na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for example. Also, the name or the image of the representative work, the name or the image of the art work being displayed can be confirmed, and the visit of the exhibition hall can be reserved through the reservation menu, and the payment process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free lunch.

도 7에는 전시 정보 화면(15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화면(150)에서, 도 6과 유사하게 사용자들은 기초적인 전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도 7의 화면(150)에서 사용자는 공유하기 메뉴(151)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전시 정보를 공유 하거나, 게시글 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정보(152)를 통해, 사용자들이 해당 전시회에 대해서 평가한 수치 또는 텍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ig.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screen 150. Fig. 6, the user can confirm the basic exhibition information. However, in the screen 150 shown in FIG. 7, the user can access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transmit exhibition information to other users in the form of a post, a chat application, or a text message. Also, through the evaluation information 152, the user can confirm the numerical value or text information evaluated for the exhibition.

도 8에는 상술한 기능들 중,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어느 한 전시장과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 어느 한 전시장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에만 활성화되는 게시글 저장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게시글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16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8, when detecting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approach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ny one exhibition hall amo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 screen 160 in which post information input by other users is output is shown in a post storage space activated only by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160) 상에서 사용자는 어느 한 전시장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에만 활성화되는 게시글 저장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게시글 정보(161)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eck the bulletin information 161 inputted by other users in the bulletin board storage space, which is activated only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bulletin board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exhibition hall on the screen 160.

도 9에는 포인트몰 인터페이스(17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들은 전시 정보 조회 등의 활동에 따라서 누적된 사용자의 포인트(171)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 가능한 아이템 및 가격 정보를 확인한 후, 구매하기 메뉴(172)를 이용하여 해당 아이템을 포인트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point-to-point interface 170 is shown in Fig. The user can confirm the accumulated points 171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activities such as the display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confirm the items and price information that can be purchased, and purchase the items using the points 172 by using the purchase menu 172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10, computing device 1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 / output subsystem I / O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At this time,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11200 can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software modules, a set of instructions, or various other data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t this point, accessing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processor 11100 or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couple the input and / or output peripheral devices of computing device 11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variety of functions and process data for the computing device 11000 by executing a software module or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00.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 / 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 / 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Power circuitry 11500 may provide power to all or a por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one or more power supplies, such as a power management system, a battery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nd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Communication circuitry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Or as described above, communication circuitry 11600 may, if necessary, enable communications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by sending and receiving RF signals, also known as electromagnetic signals, including RF circuitry.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10 is mere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have the additional components omitted in FIG. 10, or further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0, Lt; RTI ID = 0.0 > components. ≪ / RTI >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0, a computing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a sensor,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device 116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 Bluetooth, NFC, Zigbee, etc.). The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computing device 11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instruction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fer unit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ing device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8)

전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작품들에 대한 전시회에 관한 정보 및 전시장에서 전시되어 관람 가능한 예술 작품에 관한 큐레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관리하는 전시 정보 관리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술 작품에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인 작품 화면 데이터들 중,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품 화면 데이터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잠금화면 제공부;
상기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입력을 제외한 기설정된 제어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에 의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전시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기설정된 제어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정보에 대한 검색 입력을 수신 시,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를 지급하고, 상기 지급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예술 작품과 관련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포인트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포인트몰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사용자 계정의 전시 정보 조회 내역, 전시회 결제 내역,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선호 장르 및 선호 작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하는 예술 작품과의 유사도 수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유사도 수치가 높은 기설정된 개수의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잠금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유사도 수치를 연산 시, 현재 시점과 저장된 정보의 시간의 오차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전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시 정보를 제공 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전시장에 대한 전시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어느 한 전시장과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됨을 감지 시, 상기 어느 한 전시장에 관련된 전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푸시 알람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고, 활성화되는 게시글 저장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입력한 게시글 정보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An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exhibition information on exhibition of art works performed in the exhibition hall and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curation information about the artwork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site,
A lock screen for selecting at least one work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ng work screen data as image data related to the art work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the selected work screen data to be output to the lock scree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Offering;
When receiving the preset control input excluding the control input for releasing the lock screen, the exhibi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ion i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being output on the lock screen by the lock screen providing unit is displayed An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ntroll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receiving the predetermined control input or receiving a search input for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a point is paid to the user account, and an item related to the art work can be purchased using the paid point A point mall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oint mall interface,
Wherein the lock-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t least one of exhibition information inquiry history of the user accou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exhibition payment history, preference genre stored in the user account, and information about the favorite artist and the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artwork screen data,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select the artwork data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artworks having a high degree of similarity and output the artwork data to the lock screen. Lt; / RTI >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hibi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hal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hibition information is provided,
When detecting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is approach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ny exhibition hall, transmits a push alarm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posted information inputted by the other users in the active post storage space to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상기 유사도 수치를 연산 시, 상기 전시 정보 조회 내역 및 전시회 결제 내역에 관한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선호 장르 및 선호 작가에 대한 유사도 수치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And setting a weight for the similarity degree values regard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inquiry history and the exhibition payment history to be higher than a weight for the similarity degree value for the preferred genre and the preferred artist when calculating the similarity scor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장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적은 순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A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of work screen data are selected in the order o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on which the art 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is displaye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rtwork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잠금화면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에 작품 화면 데이터가 출력되고, 제2 영역에 잠금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작품 화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있는 전시회에 대한 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The lock screen is divided in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work screen data is outputted in the first area and the art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reen data outputted on the lock screen in the second area is display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중첩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area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작가로부터 예술 작품이 잠금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승인받은 예술 작품에 대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And selects work screen data for the art work which is approved to output the art work from the artist to the lock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금융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잠금화면 상에 작품 화면 데이터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작가로부터 과금이 결제된 작품 화면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k-
And selects artwork screen data on which charge has been paid from the artist to expose artwork screen data on the lock screen through the financial settlement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화면 제공부는,
모바일 단말의 입력에 따라서, 유료 또는 무료로 상기 작품 화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배경화면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And stores the work screen data as a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or a fee or free of char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정보 관리부는,
전시회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시장의 위치, 전시회의 명칭, 전시회가 열리는 기간, 전시회 관람과 관련된 프로모션,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한 작가의 프로필, 전시회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정보, 전시장의 시설 정보 및 전시장에 전시되어 관람 가능한 예술 작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큐레이션 정보를 전시 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location of the exhibition where the exhibition is held, the name of the exhibitio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exhibition is held, the promo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 the profile of the artist who exhibited the work in the exhibition, the user's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And managing c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escription of a viewable art work as exhibi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정보 제공부는,
기설정된 제어 입력 이외에, 모바일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한 전시 정보 검색 입력을 수신 시에도 전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전시 정보를 출력 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와의 거리 순으로 가까운 전시장에 대한 전시 정보가 우선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output even when receiv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arch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preset control input and outputt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search condition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by the information sensor to the nearest exhibit 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정보 제공부는,
전시회 주최자가 결제한 과금에 따라서, 상기 전시 정보가 노출되는 크기, 순서 및 노출되는 전시 정보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rein the size, order, and type of the exposed exhibition information are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a bill paid by the exhibition organiz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메뉴가 상기 전시 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menu for shar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together with the exhibi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170056040A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KR101898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40A KR101898650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040A KR101898650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50B1 true KR101898650B1 (en) 2018-09-13

Family

ID=6359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040A KR101898650B1 (en) 2017-05-02 2017-05-02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5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969B1 (en) * 2019-07-11 2020-02-19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System for displaying and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AR and VR
KR102178385B1 (en) * 2019-11-15 2020-11-13 한승주 Method for providing an exhibition space rental platform
CN112348599A (en) * 2020-11-30 2021-02-09 浙江神韵文化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publishing system
KR20220018398A (en) * 2020-08-06 2022-02-15 박현정 system that provides a gallery platfor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JP7198895B1 (en) 2021-09-28 2023-01-04 みずほリサーチ&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PROPOSAL SUPPORT SYSTEM, PROPOSAL SUPPORT METHOD AND PROPOSAL SUPPORT PROGRA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378A (en) * 2009-02-24 2010-09-02 이동원 Ar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1025312B1 (en) * 2010-08-17 2011-03-29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System for measuring user's preference using multimedia object recognition in mobile configur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30115552A (en) * 2012-04-12 2013-10-22 차승우 Location based mobile commercial system and mehtod thereof
KR20140000038A (en) * 2012-06-22 2014-01-02 서경동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in smart phone
KR20140137026A (en) * 2013-05-20 2014-1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n AD and an AD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managing the A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6378A (en) * 2009-02-24 2010-09-02 이동원 Ar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1025312B1 (en) * 2010-08-17 2011-03-29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System for measuring user's preference using multimedia object recognition in mobile configur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30115552A (en) * 2012-04-12 2013-10-22 차승우 Location based mobile commercial system and mehtod thereof
KR20140000038A (en) * 2012-06-22 2014-01-02 서경동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in smart phone
KR20140137026A (en) * 2013-05-20 2014-12-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n AD and an AD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managing the A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969B1 (en) * 2019-07-11 2020-02-19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System for displaying and transacting digital art using AR and VR
KR102178385B1 (en) * 2019-11-15 2020-11-13 한승주 Method for providing an exhibition space rental platform
KR20220018398A (en) * 2020-08-06 2022-02-15 박현정 system that provides a gallery platfor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KR102585298B1 (en) * 2020-08-06 2023-10-05 박현정 system that provides a gallery platform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CN112348599A (en) * 2020-11-30 2021-02-09 浙江神韵文化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publishing system
JP7198895B1 (en) 2021-09-28 2023-01-04 みずほリサーチ&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PROPOSAL SUPPORT SYSTEM, PROPOSAL SUPPORT METHOD AND PROPOSAL SUPPORT PROGRAM
JP2023048420A (en) * 2021-09-28 2023-04-07 みずほリサーチ&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Proposal support system, proposal support method, and proposal support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5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splaying information of works of art
US20200387887A1 (en) Selected place on maps associate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selected place associated merchant account based payment transactions, connections, offers, order, deals, reservation and call-to-actions
US11361292B2 (en) Selected place on map or from category specific list of nearby places associated payment interface for making payment
JP7096851B2 (en) User interface for payment
CN107038565B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JP2022184940A (en) Intelligent presentation of document
US20170264674A1 (en) Detecting and transmitting a redeemable document
KR20150035877A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real time conversation
CN109074573B (en) Portable device and electronic payment method of portable device
KR1015426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nefit information by store
CN111294370B (en) Information delivery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445745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haracter-based payment service using metaverse
JP67362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20140056869A (en) Beautyshop administration system by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kiosk, and its recording medium
KR20160113568A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real time conversation
JP2019125359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system
JP2021505987A (en) Payment devices and processes
KR102104281B1 (en) A Service Method of Unmanned Study Cafe
KR1018808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 exiting customer
KR102431302B1 (en) System for processing offline substitute payment, method of processing offline substitute payment based on recommendation of substitute payment situ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505977B1 (en) System for processing offline payment, method of processing offline payment using secondary authentication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70024175A (en) Method of service providing realtime mobie coupon
KR102630981B1 (en) Providing method of access car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230185522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entry at electronic user devices
KR2017011631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data using image m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