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7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70B1
KR101896970B1 KR1020180059540A KR20180059540A KR101896970B1 KR 101896970 B1 KR101896970 B1 KR 101896970B1 KR 1020180059540 A KR1020180059540 A KR 1020180059540A KR 20180059540 A KR20180059540 A KR 20180059540A KR 101896970 B1 KR101896970 B1 KR 10189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dicating
network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2996A (en
Inventor
이진욱
나상태
김영기
김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70B1/en
Publication of KR2018006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과,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current status among situations that can occur during a content sharing procedure through a network; The alert includes a process of displaying an icon. The above situations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item of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whether or not the device is found, the type of the discovered device,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and the exist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0002]

본 발명은 네트워크(network) 상에서의 컨텐츠(contents) 공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ent sharing on a network.

최근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및 디지털 디바이스(device)들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간 컨텐츠(contents)를 공유하는 서비스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network) 상의 접속이 구성(configuration)되어야 한다. 컨텐츠 공유 절차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다른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발견된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s the performance of mobile terminals and digital devices has improve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services that share content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other digital devices. In order to share the contents, a connection on a network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digital device must be configured. Briefly,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network as a control device, searches for other devices, and shares contents with the discovered devices.

상기 컨텐츠의 공유는 다양한 이유에서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였으나 다른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의 공유는 수행될 수 없다. 상기 컨텐츠의 공유가 실패된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확인 과정을 통해야만 실패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부가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발견되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The sharing of the contents may fail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if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twork but no other device is found, the sharing of the content can not be performed. If the sharing of the content fails, the user can confirm the cause of the failure only through a separate confirm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user should additionally check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Also, even if a large number of devices are found, the user can not immediately recognize this.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컨텐츠 공유 절차의 진행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컨텐츠 공유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sharing content through a network between devices, the user can not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ontent sharing procedure. Therefore, an alternative for enhancing user's convenience should be presented by providing information o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content sharing procedure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o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a content sharing procedure in a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network connection status in a content sharing procedure in a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devices found in a content sharing procedure in a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n a content sharing procedure in a net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과,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current status among situations that can occur during a content sharing procedure through a network; And displaying an icon informing the current status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The situations include at least one of a network connection, a device discovery, a discovered device type, a discovered device number, And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one i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 장치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device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comprising: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Wherein the module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current status among situations that may occur during a content sharing procedure through a network and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a current status among a plurality of predefined icons Wherein the conditions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item of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a network, whether or not a device is found, a type of a discovered device, a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and existence of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들을 아이콘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By displaying various situations that can occur in the content sharing network through the icon, a more efficient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목록 및 서비스 목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a network connection status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one device is found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4 illustrates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a device is not found in the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it is discovering multiple devices;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vice list and a service list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control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는 공유 네트워크(110), 제어 디바이스(control device)(120), 재생 디바이스(player device)(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sharing network includes a shared network 110, a control device 120, and a player device 130.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디바이스들(120, 130)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유선 또는 무선 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무선 랜(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al Engineers) 802.3i, IEEE 802.3u, IEEE 802.11a/b/g와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로 지칭될 수 있다.The shared network 11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devices 120 and 130. The shared network 110 may b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shared network 110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In this case, the shared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P). For example, the shared network 110 may be configured based on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802.3i, IEEE 802.3u, and IEEE 802.11a / b / g. The shared network 110 may be referred to as a " home network ".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랩탑(laptop) 컴퓨터, 타블렛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의 이동 단말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20 holds content and controls the playback device 130. [ In detail, the control device 120 may output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20 through the playback device 130. [ The control device 120 performs a function of searching for the playback device 130.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12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 오디오(Audio), 카메라, 냉장고, 청소기 등의 전자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도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가 상기 PC, 상기 TV, 상기 카메라 등과 같이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가 상기 PC, 상기 TV, 상기 오디오 등과 같이 소리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reproduction device 130 reproduces cont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20. [ For example, the playback device 130 may be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a TV (Television), an audio device, a camera, a refrigerator, or a vacuum cleaner.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also serve as the playback device 130. For example, when the playback device 130 includes display means such as the PC, the TV, and the camera, the playback device 130 displays images, moving images, and the like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120 can do. In addition, when the reproducing device 130 includes sound output means such as the PC, the TV, and the audio, the reproducing device 130 may output the sound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ing device 120 .

상기 도 1과 같은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icon)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컨텐츠 공유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아이콘'의 용어를 사용하나, 상기 '아이콘'은 UI(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이미지 기반의 표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지시자(indicator)', '알림(notific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들은 이하 도 2 내지 이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1, a user can reproduce content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20 through the playback device 130 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120. In the content sharing network shown in FIG.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120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content sharing procedure to the user by using a plurality of predefined icons. Hereinafter, the term 'icon' refers to an image-based displa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UI (User Interface), and an 'image', an 'indicator' ',' Notification ',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icons are as shown in FIGS. 2 to 5 below.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재생되는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 종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인물(예 : 음악의 경우 가수, 작곡가 등, 영화의 경우 감독, 배우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IMDB(Internet Movide Data Base) 서비스(예 : 관련 이미지, 영화 줄거리 제공, 리뷰 검색 등), 광고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컨텐츠 재생 중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거나,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서버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예 : 영화의 경우 특정 인물의 등장 시점)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 제공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가 서비스의 개수, 종류 등의 정보는 컨텐츠 재생 중에 발생하고, 소멸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12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nd can notify the number and type of the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upplementary service may includ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erson related to the content (e.g., a singer or a composer in the case of music, a director, an actor, etc. in the case of a movie), an IMDB (Internet Movide Data Base) : Related images, movie story offerings, review searches, etc.), advertising services,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120 may acqui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service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nd may display the additional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supplementary service may include a specific URL (Uniform Resource Location). Here, the information on the additional service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data or may be transmitted from a server that streams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additional service can be defined to be provided to the control device 120 at a specific time point at which the content is reproduc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appearance of a specific person in the case of a movie). Therefor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and type of the additional services may be generated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and may be destroy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 (a)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 2 shows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a network connection status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forming that the contro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b)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forming that th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도 2의 (a)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도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만으로, 문자만으로, 또는, 문자 및 도형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의 (b)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문자만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문자만으로, 도형만으로, 또는, 문자 및 도형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of FIG. 2 represents an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not connected may be represented by only a figure different from the one shown in FIG. 2, a letter alone, or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figures. 2 (b) shows an icon indicating the connection to the network by characters only.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connected may be represented by only character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2, a figure alone, or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figur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서, (a)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TV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PC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c)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랩탑 컴퓨터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 3 shows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one device is found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forming that only a PC is found as a playback device, (c)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a playback device,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only a laptop computer is found.

상기 도 3의 (a), (b), (c)를 참고하면,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1표시(3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제1표시(310)는 도형 또는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표시(31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으로, 문자만으로, 또는, 도형 및 문자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아이콘들은 좌측 하단에 휴대용 단말의 표시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표시는 다른 모양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3 (a), 3 (b), and 3 (c), an icon indicating discovery of one device includes a first indication 310 indicating the type of one device found. 3, the first display 310 is represented by a graphic or an image.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310 may be represented by a figur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3, by a letter alone, or by a combination of a figure and a letter. In addition, although the icons shown in FIG. 3 include the ind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bottom le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shape or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서, (a)는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a device is not found in the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a plurality of devices are found. In FIG. 4, (a)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a device is not found, and (b)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a plurality of devices are found.

상기 도 4의 (a), (b)를 참고하면,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및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표시(4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제2표시(410)는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41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문자만으로, 숫자만으로, 문자 및 숫자의 결합으로, 또는, 도형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아이콘들은 좌측 하단에 휴대용 단말의 표시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표시는 다른 모양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found and an icon indicating discovery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 a second indication 410 indicating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 In Figure 4, the second representation 410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figures and numbers.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410 may be a combination of figures and number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4, and may be a combination of letters, numerals, letters and numbers, Can be expressed by only. In addition, although the icons shown in FIG. 4 include a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bottom lef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shape or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서, (a)는 (a)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c)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d)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e)는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FIG. 5 shows an example of icons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i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when the contro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b) is an example of providing an icon when th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C)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when a device is found, (d)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a possible additional service, (E) shows an example of an icon informing that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when the device is not found.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은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3표시(5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표시(510)는 네트워크와의 연결 여부, 디바이스의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와 무관하게 언제든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 5의 (d), (e)를 참고하면,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표시(410) 및 상기 제3표시(510)는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410) 및 상기 제3표시(510)는 보다 구분이 명확한 서로 다른 모양들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제3표시(510)는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3표시(51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문자만으로, 숫자만으로, 문자 및 숫자의 결합으로, 또는, 도형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cons indicating that the available additional services exist include a third indication 510 indicating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s shown in FIG. 5, the third display 510 may be displayed at any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 third display 510 is connected to a network, whether the device is found, and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This is because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Referring to FIGS. 5 (d) and 5 (e), the second display 410 and the third display 510, which represent the number of found devices, are represented in a similar manner.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410 and the third display 510 may be represented in different shapes that are more clearly distinguished. 5, the third representation 510 i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figures and numbers.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indicator 510 may be a combination of figures and number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5, and may be a combination of letters, numerals, letters and numbers, Can be expressed by only.

상기 도 5의 (d)와 같이,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검색되고 및 다수의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발견된 디바이스들의 목록 및 부가 서비스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들의 목록 및 상기 부가 서비스들의 목록은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목록 및 서비스 목록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디바이스 목록(610)은 4개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서비스 목록(620)는 2개의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As shown in (d) of FIG. 5, 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searched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 services are available, the control device can provide a list of discovered devices and a list of additional services to the user. For example, a list of the devices and a list of the additional services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FIG. 6 shows an example of a device list and a service list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device list 610 includes four devices, and the service list 620 includes two additional ser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아이콘들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e current situation among the situations that can occur during the content sharing procedure through the network, and displays an icon informing the current situation out of a plurality of predefined icons do. At this time, the above conditions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item of whether or not a network connection, device discovery, discovered device typ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existence of additiona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re-defined icons may include an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not connected, an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connected,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found, an icon indicating that one device is found, The notification ic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con, an icon including an indication that indicates that at least one of the available additional services exists, and the number of available additional services.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7A and 7B illustrate operation procedures of a control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a 및 상기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1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여부 판단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최초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7A and FIG. 7B,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in step 701. FIG. The network connection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when an application supporting content sharing is executed. That is, when the control device desires to perform content sharing on the network, it firs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a)와 같을 수 있다.If the contro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03 and displays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For example, an ic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may be the same as shown in FIG. 2 (a). At this time,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additional service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may include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the same as shown in FIG. 5 (a).

이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접속 명령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무선 랜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AP로 접속할 것이 명령되는지 판단한다.In step 705,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 connection command of the user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network is configured based on a wireless LAN,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structed to connect to a specific AP.

상기 접속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네트워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701단계로 되돌아간다.When the connection command is generate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07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connection is established, and performs a network connection procedure. For example, the icon indicating the network connection may be as shown in FIG. 2 (b). In this case,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network is connected may include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as shown in FIG. 5 (b).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returns to step 701. [

상기 701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패킷의 수신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응답을 요구하는 패킷을 송신하고, 응답의 수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검색 동작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step 701, if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09 and searches for a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can search for another device by attempting to receive a packet transmitted by another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can search the other device by transmitting a packet requesting a response to the another devic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a response is received. The device search operation may be periodical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ile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이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발견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패킷이 수신되는지,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711,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device is found.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 packet transmitted by another device is received, or whether another device responds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device.

만일,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4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e)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709단계로 되돌아간다.If the device is not foun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13 and displays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found. For example,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found may be the same as FIG. 4 (a). At this time,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a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not found may include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the same as shown in FIG. 5 (e).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returns to step 709. FIG.

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하나인지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device is foun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15 and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is one.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하나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3의 (a), (b) 또는 (c)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c)와 같을 수 있다.If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is one,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17 and displays an icon informing that one device is found. The icon informing the discovery of the one device includes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discovered device. For example, an icon indicating that the one device is discovered may be the same as (a), (b), or (c) of FIG. At this time,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one device is discovered may include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the same as shown in FIG. 5 (c).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클릭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19 and determines whether an icon indicating that the one device is found is clicked. The click may be recognized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a keypad, a touch pad, or the like.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와 재생 중인 컨텐츠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프로토콜(protocol) 및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을 발견된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및 미디어 포맷과 비교한다. 상기 발견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 자체의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송신한다.If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one device is found is clicke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21 to share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with the found one devic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compares the protocol and media format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with the protocols and media formats supported by the discovered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playback is possible in the discovery device,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data of the content itself being reproduced or information (e.g., a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necessary for reproducing the content.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둘 이상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3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4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d)와 같을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715 that the number of discovered devices is more than two,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23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at a plurality of devices are found. The icon informing the discovery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s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devices found. For example, an icon indicating discovery of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be as shown in FIG. 4 (b). At this time,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ogether with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discovered may include an indic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as shown in (d) of FIG.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클릭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In step 725,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n icon indicating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iscovered is clicked. The click may be recognized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a keypad, a touch pad, or the like.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7단계로 진행하여 발견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으로 인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에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가 포함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의 목록도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목록들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If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iscovered is clicke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27 to display a list of discovered devices. At this time, if the additional service exists and an indication of the number of the additional services is included in the icon indicating that the plurality of devices are found due to the existence of the available additional service, the list of the additional services is also displayed. For example, the lists are as shown in FIG.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디바이스들의 목록에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선택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In step 729,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ne device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devices. The selec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a keypad, a touchpad, and the like.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와 재생 중인 컨텐츠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프로토콜(protocol) 및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을 발견된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및 미디어 포맷과 비교한다. 상기 발견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 자체의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 : URI)를 송신한다.If the one device is selected, the control device proceeds to step 731 and shares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with the found one device.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compares the protocol and media format of the content being played back with the protocols and media formats supported by the discovered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playback is possible in the discovery device,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data of the content itself being reproduced or information (e.g., URI) necessary for reproducing the content.

상기 도 7b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727단계에서 부가 서비스 목록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고,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703단계, 상기 705단계, 상기 713단계, 상기 717단계에서 부가 서비스의 존재를 알리는 표시가 아이콘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판단하고, 아이콘이 클릭되면, 부가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고,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7B, if the additional service list is displayed in step 727,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n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and if the on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the control device can execute the selected additional service. If the icon includes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additional service in steps 703, 705, 713, and 717,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con is clicked. If the icon is clicked, A list of services can be displayed. Then,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n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and when the on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the control device can execute the selected additional servic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tablet)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과 같은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8 may b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phone, a mobile pad, a media player, a tablet computer, a handheld computer ),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t may also be any device that includes a device that combines two or more of these devices.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메모리(810), 프로세서(processor) 유닛(820), 통신 유닛(830), 외부 포트(840), 오디오 IC(Integrated Circuit) 유닛(850), 스피커(860), 마이크로폰(870), 표시부(880), 입력부(89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810) 및 상기 외부 포트(840)는 다수 개일 수 있다.8,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memory 810, a processor unit 820, a communication unit 830, an external port 840, an audio IC (Integrated Circuit) unit 850, a speaker 860, a microphone 870, a display unit 880, and an input unit 890. The memory 810 and the external port 840 may be plural.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은 메모리 제어부(821), 프로세서(822) 및 주변 인터페이스(8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22)는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라 지칭될 수 있으며, 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830)은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or)(832) 및 RFIC 유닛(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Unit)(831)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는 일 실시 예이며, 상기 도 8에 도시한 것보다 많은 개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configuration)될 수 있다. The processor unit 820 includes a memory control unit 821, a processor 822, and a peripheral interface 823. Here, the processor 822 may be referred to as a "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and two or more processors may be present. The communication unit 830 includes a base band processor 832 and an RFIC unit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Unit) 831.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s, or in software, and also in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8 is one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larger number of elements than the one shown in FIG. 8, or may include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lternatively, th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상기 메모리(8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셋트,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각각의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The memory 810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a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a flash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CD-ROM),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or other optical storage devices, magnetic storage devices such as magneto- A cassette, or a combination of some or all of these. A plurality of such memories may be included.

또한, 제어 디바이스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를 메모리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포트(840)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상기 RFIC 유닛(831)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도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LAN (Local Area Network), a WLAN (Wide LA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SAN (Storage Area Network) The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ttachable storage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memory. Such a storage device may access the contro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port 840. [ In addition, a separate storage device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access the control device via the RFIC unit 831. [

상기 메모리(8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810)는 운영 체제(811) 소프트웨어,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812),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8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미디어 공유 모듈(8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822) 또는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상기 메모리(810)에 접근(access)하는 경우의 제어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821)에 의하여 수행된다.The memory 810 stores software. The memory 810 includes operating system 811 software, communication software module 812, graphics software module 813, user interface software module, and media sharing module 815. Here, the module may be referred to as an instruction set. Control by the memory control unit 821 when another element such as the processor 822 or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included in the processor unit 820 accesses the memory 810 is controlled by the memory control unit 821 .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일반적인 시스템 운영(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운영의 제어는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811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for controlling general system operations. For example,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811 may be an embedded operating system such as WINDOWS, LINUX, Darwin, RTXC, UNIX, OS X, or VxWorks. For example, control of the system operation includes memory management and control, storage hardware (device) control and management, power control and management, and the like.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811 also function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hardware (devices) and software components.

상기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812)은 상기 RFIC 유닛(831)이나 상기 외부 포트(840)를 통하여 송신하고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813)은 상기 표시부(8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software module 812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for processing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RFIC unit 831 or the external port 840. The graphics software module 813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graphics on the display unit 880. [ The term graphics includes text, a web page, an icon, a digital image, video, animation, and the like. The user interface module 814 includes various software components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How the state of the user interface changes,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 change of the user interface state occurs.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공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은 디바이스 검색 모듈(816), 디바이스 제어 모듈(817), 아이콘 표시 모듈(818)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검색 모듈(816)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모듈(817)은 네트워크 상에서 발견된 다른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 모듈(818)은 컨텐츠 공유 중 발생하는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표시부(880)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는 상기 도 7a 및 상기 7b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는 명령어, 코드, 프로그램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media sharing module 815 includes software components for performing a content shar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a sharing module 815 includes a device search module 816, a device control module 817, and an icon display module 818. The device search module 816 includes software components for searching for other devices on the network. The device control module 817 includes software components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found on the network to reproduce the content. The icon display module 818 includes icons for informing a situation occurring during content sharing, and includes software components for displaying the icons through the display unit 880. For example, the media sharing module 815 includes software components for performing the procedure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software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n instruction, code, program, or the like.

상기 외부 포트(84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USB(Universial Serial Bus) 또는 FIREWI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포트(840)는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external port 84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Universal Serial Bus (USB) or FIREWIRE. The external port 840 is used to directly connect to another device or indirectly connect with another device through a network (e.g., Internet, intranet, wireless LAN, etc.).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는 제어 디바이스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822) 및 상기 메모리(810)(메모리 제어기의 제어 하에)에 연결시킨다. 제어 디바이스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822)는 상기 메모리(8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couples the input / output peripheral of the control device to the processor 822 and the memory 810 (under the control of the memory controller).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822. The processor 822 performs various functions for the control device using various software programs and also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se conventional functions, the processor 822 also executes a specific software module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810 and performs various specific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module.

상기 프로세서(822),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 및 상기 메모리 제어부(821)는 단일 칩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렇게 단일 칩으로 구성한 것을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으로 칭한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는 단일 칩이 아니라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822,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and the memory control unit 821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hip, and the processor unit 820 is referred to as a single chip. In addition,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discrete chips rather than a single chip.

상기 통신 유닛(830)은 상기 RFIC 유닛(831)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를 포함한다. 상기 RFIC 유닛(831)은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기저대역처리부(8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전자파를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부에 제공한다. 상기 RFIC 유닛(831)은, RF 트랜시버(transceiver), 증폭기(amplifier), 튜너(tunner), 오실레이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Coding-Decoding) 칩셋(chip set), 가입자 식별 모듈 (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830 includes the RFIC unit 831 and the baseband processor 832. The RFIC unit 831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Convert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832 into an electromagnetic wave, and transmits the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antenna. Or converts the electromagnetic wav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s it to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The RFIC unit 831 may be an RF transceiver, an amplifier, a tuner, an oscillat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oding-Decoding) chipset,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and the like.

상기 RFIC 유닛(831)은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IC 유닛(831)은 인터넷, 인트라넷,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이나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며, 또한,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Bluetooth),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와이 파이 (Wireless Fidelity, Wi-Fi),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instant messaging), 단문 문자 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용 프로토콜 또는 이들 여러 가지의 통신 방식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The RFIC unit 831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via electromagnetic waves. For example, the RFIC unit 831 may communicate with a wireless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network,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a wireless LAN or a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may also communicat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can d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n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wireless fidelity (Wi-Fi), Wi-MAX, email, instant messaging, SM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y combination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RFIC 유닛(831)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기저대역처리부(83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서, 송신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FIC unit 831 frequency-convert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s the baseband signal to the baseband processor 832, and output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or 832 to the baseband processor 832. [ Frequency-conver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nd the baseband processor 832 processes the baseband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832 performs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The baseband processor 832 performs a function of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a received signal.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스피커(860) 및 상기 마이크로폰(870)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즉,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스피커(860) 및 상기 마이크로폰(870)과 함께 사용자와 제어 디바이스 간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신호(electric signal)는 상기 스피커(860)로 전달되고, 상기 스피커(860)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는 상기 마이크로폰(816)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이렇게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14)은 수신한 전기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로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810)로 전송되거나 상기 통신 유닛(830)으로 전송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잭(jack)(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은 출력(한 쪽 또는 두 귀용 헤드폰)과 입력(마이크로폰)이 모두 가능한 경우도 있다. 잭은 이어폰 잭 또는 헤드셋 잭이라고도 한다.The audio IC unit 85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860 and the microphone 870. That is, the audio IC unit 850 provides the audio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ntrol device together with the speaker 860 and the microphone 870. The audio IC unit 850 receives a data signal from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of the processor unit 820 and converts the received data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860, and the speaker 860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into a sound wave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In addition, the sound waves transmitted from a person or other sound sources are converted into electrical signals in the microphone 816. The audio IC unit 850 receive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he audio IC unit 814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 signal into an audio data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audio data signal to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810 via the peripheral interface 823 or to the communication unit 830. The audio IC unit 850 may include a jack (not shown) that provides an interface with an attachable and detachable ear phone, a head phone, or a headset . The headset may be capable of both output (one or two headphones) and input (microphone). A jack is also called an earphone jack or a headset jack.

상기 표시부(880)는 제어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890)는 제어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88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표시부(880) 및 상기 입력부(890)는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어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 즉,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는, 햅틱(haptic) 접촉, 택타일(tactile) 접촉 또는 이들의 조합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부(880)를 통하여 입력한다.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880)와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사용자 접촉에 사용된 손가락의 폭(digit)에 대응한다. 또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stylus) 펜(pen) 등과 같이 적절한 대상물을 이용하여 표시부(880)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하면, 상기 표시부(880)는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과 연동하여 접촉을 검출한다. 검출된 접촉은 상기 표시부(88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예를 들어,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상호 작용(interaction)으로 변환한다. The display unit 880 provides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The input unit 890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When the display unit 880 i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880 and the input unit 890 may be configured as one block.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880 transmit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o the control device. In addition, the medium that shows the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user, i.e., the display unit 880, shows the visual output to the user. This visual output appears in the form of text, graphics, video,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user inputs through the display unit 880 in accordance with a haptic contact, a tactile contact,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display unit 880 has a touch sensing surface for accepting user input. For exampl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display portion 880 and the user corresponds to the digit of the finger used for user contact. In addition, the user may contact the display portion 880 using a suitable object such as a stylus pen or the like. When the user inputs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880 detects the contact in association with an associated software module (instruction set). The detected contact is converted into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a user interface object (for example, a soft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80. [

상기 표시부(880)는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80)와 터치스크린 제어기(822)는 용량형(capacitive) 검출, 저항형(resistive) 검출, 적외선형 (infrared) 검출 또는 표면 음파 검출 기술과 같은 여러 가지 터치 검출(감지) 기술을 사용하여 접촉의 시작, 접촉의 이동 또는 접촉의 중단이나 종료를 검출(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근접 감지기 어레이(proximity sensor array) 기술 또는 터치스크린상의 접촉 지점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기술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시각적 출력은 나타내지 않으며, 터치 입력만 검출하는 터치 감지 태블릿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880 may include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echnology, a light emitting diode (LED) technology, a 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LP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echnology can be used. The display unit 880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822 use various touch detection techniques such as capacitive detection, resistive detection, infrared detection or surface acoustic wave detection technology. Thereby detecting (detecting) the start of the contact, the movement of the contact, or the termination or termination of the contact. Also, for this purpose, proximity sensor array technology or other techniques that can determine the point of contact on the touch screen are availab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ouch-sensitive tablet that does not show visual output, but detects touch input only.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 이외에 특정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터치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터치스크린과는 달리 시각적 출력을 표시하지 않고, 터치 입력만 감지하는 경우도 있다. 터치패드는 상기 표시부(880)와 분리되는 별도의 터치 감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표시부(880)이 형성하는 터치 감지면의 확장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touch pad (not shown)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Unlike the touch screen, such a touch pad does not display a visual output but may detect touch input only. The touch pad may have a separate touch sensing surface separate from the display unit 880 or may be formed on an extension of a touch sensing surface formed by the display unit 880. [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에 포함된 여러 가지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은 전원(power source)(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 (converter), 전력 인버터(inverter), 충전장치 또는/및 전력 상태 표시장치(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관리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lso includes a power system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The power system may include a power source (AC power or battery),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a power inverter, a charging device, and / or a power status indicator (light emitting diode) . It may also include a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power gener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functions.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부(880)으로 입력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별도의 터치패드를 통하여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물리적 입력/제어 장치(예를 들어, 다이얼 또는 버튼)를 사용 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를 온/오프시키고 잠그기 위한 푸시 버튼, 볼륨 조절 로커 버튼과 링어 프로파일(ringer profile), 토글링(toggling)용 슬라이더 스위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마이크로폰(870)을 통하여 미리 정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can inpu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display unit 880 through a separate touch pad. This function may use a physical input / control device (e.g., a dial or a button). A push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control device, a volume control rocker button, a ringer profile, and a slider switch for toggling.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unction of processing a voice input to activate or deactivate a predetermined function through the microphone 870.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8)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표시부;
통신부;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의 실행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의 실패에 대응하여 상기 실패를 나타내는 제1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의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를 검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제2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A control device comprising:
A display section;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attempt connection to a home network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haring contents based on execution of the stored instructions and display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failur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failure,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search for at least one 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n response to the success of the conne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corresponds to the search resul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secon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cond tim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시각 정보가 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list of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being touch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중 하나가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다른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ntent or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producing the content to the selected other device in accordance with one of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device being selected from the li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다른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firms whether the selected other device can reproduce the cont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각 검색된 다른 장치의 종류 및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s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and position of each other search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가 검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 또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has not been retrieved or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retriev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제3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ir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at least one service is presen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시각 정보 또는 상기 제3시각 정보 중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list including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device and the at least on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one of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nd the third tim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 중인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제4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rocessor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fourth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n response to the contro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여 통신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
상기 연결의 실패에 대응하여 상기 실패를 나타내는 제1시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연결의 성공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제2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 device,
Attempting to connect to a home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haring contents;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first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failure in response to the failure of the connection;
Searching at least one 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success of the connection; And
And displaying secon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sul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 정보가 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list of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information being touch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중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Detec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retrieved at least one other device;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eproducing the content or the content to the selected other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다른 장치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selected other device is capable of reproducing the cont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각 검색된 다른 장치의 종류 및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s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and location of each other searched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가 검색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 또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의 수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tim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has not been retrieved or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other device retriev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제3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Determining whether at least one service associated with the content exists; And
And displaying thir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at least one service is presen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각 정보 또는 상기 제3시각 정보 중 하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list including the searched at least one other device and the at least on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one of the second time information and the third time information. How to.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 중인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제4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home network
And displaying fourth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n response to the contro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KR1020180059540A 2018-05-25 2018-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KR101896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40A KR101896970B1 (en) 2018-05-25 2018-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40A KR101896970B1 (en) 2018-05-25 2018-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92A Division KR101863197B1 (en) 2012-01-31 2012-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96A KR20180062996A (en) 2018-06-11
KR101896970B1 true KR101896970B1 (en) 2018-09-10

Family

ID=6260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40A KR101896970B1 (en) 2018-05-25 2018-05-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247A (en) * 2018-11-13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the method for purchasing the digital cont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99B1 (en) * 2005-04-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method for displaying?information in bluetooth of wirel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96A (en)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1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KR1018072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in mobi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9363551B2 (en) TV program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system
WO2017202348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8761691B2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20178500A1 (en) Communication operating method, portable device including dual sim card and, network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9258841B2 (en) Method of reducing a waiting time when cancelling a conne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7770759B (en) Bluetooth voice link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CN102210134A (en) Intelligent input device lock
CN10422102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mission to applications in portable terminal
US20200174741A1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7215661A1 (en) Scenario-based sound effec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699744B1 (en) Do-not-disturb method and terminal
US20140155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call service area in mobile terminal
KR10187639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KR1018969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KR1019212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in mobi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CN105763929A (en) Audio switching method and audio switching device
CN106776847B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media file and mobile terminal
US201500893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KR101958747B1 (en) Method for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a portable terminal
CN106210325B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setting incoming call ringtone of social application
US202401791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EP36906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N116095384A (en) Multimedia play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