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455B1 -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455B1
KR101894455B1 KR1020170044123A KR20170044123A KR101894455B1 KR 101894455 B1 KR101894455 B1 KR 101894455B1 KR 1020170044123 A KR1020170044123 A KR 1020170044123A KR 20170044123 A KR20170044123 A KR 20170044123A KR 101894455 B1 KR101894455 B1 KR 10189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general
content
production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수영
김지율
Original Assignee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botic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은 3D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도록 함에 따라, 시간/장소/인원수의 제약 없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교육실습이나 훈련을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에게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현행법의 규제/방사선 피폭/교육장소/의료장비의 제한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뿐만 아니라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을 위한 교육용 의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촬영조건 등의 설정(set up)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실무수습용 의료장비 제작/유지보수 업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Method for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radiology X-ray study}
본 발명은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3D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지도록 함에 따라, 시간/장소/인원수의 제약 없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교육실습이나 훈련을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에게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현행법의 규제/방사선 피폭/교육장소/의료장비의 제한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뿐만 아니라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을 위한 교육용 의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촬영조건 등의 설정(set up)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실무수습용 의료장비 제작/유지보수 업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은 프로그래밍 IT분야와 디지털 콘텐츠 분야가 융합되는 4차 산업을 이끄는 첨단 기술 분야로서, 대한민국 정부는 가상현실 산업을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선정하여 적극적인 예산을 투자하기로 결정하였다.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한 3D 가상공간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인체의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몰입감을 느끼고, 실제로 그 공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받는 융합기술이다. 또한 가상현실 기술은 360°로 펼쳐지는 영상/음향을 통해 실제와 흡사한 가상공간을 만들어 내어 3D 기술에 비해 실재감(Presence)과 감각적인 몰입도가 높고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해 가상현실에서 구현되는 상황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로 인하여 가상현실 기술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고, 지금까지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영역에 집중돼 있던 가상현실 콘텐츠가 최근에는 의료, 교육, 여행, 쇼핑, 영화, 성인, 저널리즘, 마케팅, 건설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기술과 헬스케어의 융합은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었던 새로운 방식의 의료기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의료 가상현실은 크게 치료와 교육, 두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가상의료를 주도하고 있는 일부 대학병원 및 의료기관에서는 재활 치료 및 심리 치료, 신경 치료 등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미숙련 의료인의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첨단 의료기기를 이용한 시술 분야에 속하는 로봇수술, 복강경, 흉강경, 내시경, 심뇌혈관 조영술 등의 시술들을 의료 IT 기술을 적용한 시뮬레이터 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의 의학지식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가상현실과 의료기술의 융합은 일부 대학병원 및 의료기관의 주도로 의료인의 환자에 대한 치료 및 첨단 의료기기를 이용한 시술 교육용의 목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실이며, 의료 및 보건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용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은 미비한 상황이다.
한편 영상의학 검사에 있어 일반촬영 검사는 영상의학 검사의 검사 건수 비중 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검사방법의 정확도는 의료영상의 질적 수준을 판단할 정도로 중요하다. 그리고 2017년 1월 기준으로, 방사선학과 개설된 대학교는 전국 38개 대학(4년제 21개교, 3년제 17개교)이며, 재학생수는 약 2,300여 명에 달한다. 방사선학의 교육과정은 방사선학 전반에 관련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영상의학검사와 관련한 실습위주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사선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경우 학과 내 실습실 및 인근 대학병원 등에서 실습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인 영상의학검사에 대한 지식 및 경험을 쌓고 있다.
그러나 일반촬영에 대한 실습교육은 의료 방사선을 이용한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습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실습교육보다는 참관교육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방사선 구역에서 이루어지는 의료 행위 및 교육은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방사선 안전에 대한 관련법은 강화되어, 2016년도 4월에 개정된 방사선 관리구역에 업무상 출입하는 수시출입자에 대한 건강진단 및 기본교육에 대한 관련법 개정으로 인하여 방사선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경우 이전과 달리, 건강 진단 및 개인 피폭 선량계를 통한 선량한도 측정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법 개정은 방사선학과가 개설된 대학교 및 전공 학생들에게 영상의학 검사에 대한 실습 교육의 제한을 야기시키며, 건강 검진 및 개인 피폭 선량계 착용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 또한 발생하게 되어, 결국 방사선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그 부담이 고스란히 전달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93808호 "3D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3D VR 검사공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의 제작으로 구현되는 VR 컨텐츠에 의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가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장소/인원수의 제약 없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교육실습이나 훈련을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에게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현행법의 규제/방사선 피폭/교육장소/의료장비의 제한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뿐만 아니라,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을 위한 교육용 의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촬영조건 등의 설정(set up)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실무수습용 의료장비 제작/유지보수 업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VR 컨텐츠로 제작될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종류가 선정되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는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진행절차와 세부절차 운용방법이 포함되는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어 저장되는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가 수행되는 공간의 물리적 구성을 구현하는 3D VR 검사공간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사용되는 검사설비/검사도구의 물리적 구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받게 되는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와; VR 컨텐츠 DB(200)에 저장된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에 맞추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되,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는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진행구조 데이터,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메시지,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음성을 포함하는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 제작단계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된 3D VR 검사공간 정보,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정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정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저장되는 VR 컨텐츠 운용장치 정보저장단계와; 컨텐츠 유저의 머리 부위에 착용되는 HMD(500), 컨텐츠 유저가 소지하여 조작하게 되는 VR 터치센서(600), 컨텐츠 유저의 3D VR 검사공간 상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는 위치추적 적외선장치(700)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연결되는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와; HMD(500)에 의해 컨텐츠 유저의 시선 전방으로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배치된 3D VR 검사공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구현되고, 컨텐츠 유저가 3D VR 검사공간에서 움직이면서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가상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일반촬영 검사 VR 컨텐츠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는 교재용 일반촬영 텍스트북, 검사방법 임상자료로부터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3D VR 검사공간이 일반촬영 검사실과 촬영조건 조정실로 구분되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는 X선 촬영검사이되,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일반촬영 검사실인 X선 스터디 룸(1)과 촬영조건 조정실인 X선 컨트롤 룸(2)을 제작하게 되고, 상기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는 X선 발생장치인 X선 튜브(3), X선 조사야(照射野, radiation field)를 설정하는 콜리메이션(4),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누운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테이블(5), 3D 가상 캐릭터가 선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탠드(6)를 제작하여 X선 스터디 룸(1)에 배치되도록 하는 한편, X선 동작제어와 노출제어를 위한 X선 제어장치(7)와 X선 촬영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모니터(8)를 제작하여 X선 컨트롤 룸(2)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에서 사용되는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은 3D 모델링이 가능한 게임 엔진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특성에 맞추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의 부위별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구조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서 상기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에서 사용되는 HMD(500)는 구글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 오큘러스 리프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의하면, 3D 가상현실 컨텐츠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져 시간/장소/인원수의 제약 없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교육실습이나 훈련을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의하면,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에게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현행법의 규제/방사선 피폭/교육장소/의료장비의 제한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의하면,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을 위한 교육용 의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촬영조건 등의 설정(set up)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실무수습용 의료장비 제작/유지보수 업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의 순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3D VR 검사공간의 내부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운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3D VR 컨텐츠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X선 촬영검사, 컴퓨터장치, DB, 그래픽툴,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 툴,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유니티 엔진(UNITY 3D ENGINE), 블렌더 엔진(BLENDER 3D ENGINE), VR 컨텐츠, HMD, 구글 VR 플랫폼 데이드림(Daydream), 오큘러스 리프트, VR 터치센서, 위치추적 적외선장치, X선 튜브, 콜리메이션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 제작단계, VR 컨텐츠 운용장치 정보저장단계,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 일반촬영 검사 VR 컨텐츠 수행단계를 거쳐 수행되는 것으로,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이나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는 VR 컨텐츠로 제작될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종류가 선정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는 X선 촬영검사를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로 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진행절차와 세부절차 운용방법이 포함되는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어 저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는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이 학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교재용 일반촬영 텍스트북이나 의료기관 등의 임상에서 주로 이용하고 되는 검사방법 임상자료로부터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가 수행되는 공간의 물리적 구성을 구현하는 3D VR 검사공간이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현실의 검사공간에 대한 사진촬영을 수행한 후, 현실의 검사공간 영상이미지를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입력하고, 입력된 현실의 검사공간 영상이미지에 대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의 3D 영상화와 이미지편집 과정을 거쳐 3D VR 검사공간을 제작할 수 있다. 현실의 검사공간에 대한 사진촬영은 Gopro사의 Omni카메라 등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의 순수 컴퓨터그래픽 작업만으로 3D VR 검사공간을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3D VR 검사공간이 일반촬영 검사실과 촬영조건 조정실로 구분되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일반촬영 검사실인 X선 스터디 룸(1)과 촬영조건 조정실인 X선 컨트롤 룸(2)을 제작하게 된다.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사용되는 검사설비/검사도구의 물리적 구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단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는 도 3에서와 같이 X선 발생장치인 X선 튜브(3), X선 조사야(照射野, radiation field)를 설정하는 콜리메이션(4),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누운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테이블(5), 3D 가상 캐릭터가 선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탠드(6)를 제작하여 X선 스터디 룸(1)에 배치되도록 하는 한편, X선 동작제어와 노출제어를 위한 X선 제어장치(7)와 X선 촬영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모니터(8)를 제작하여 X선 컨트롤 룸(2)에 배치되도록 한다.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받게 되는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특성에 맞추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의 부위별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구조가 설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는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로 3D 모델링이 가능한 게임 엔진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는데, 3D 모델링이 가능한 게임 엔진 프로그램에는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유니티 엔진(UNITY 3D ENGINE), 블렌더 엔진(BLENDER 3D ENGINE)이 포함될 수 있으나,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 제작단계는 VR 컨텐츠 DB(200)에 저장된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에 맞추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에는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진행구조 데이터,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메시지,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음성이 포함될 수 있다.
VR 컨텐츠 운용장치 정보저장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된 3D VR 검사공간 정보,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정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정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컨텐츠 유저의 머리 부위에 착용되는 HMD(500), 컨텐츠 유저가 소지하여 조작하게 되는 VR 터치센서(600), 컨텐츠 유저의 3D VR 검사공간 상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는 위치추적 적외선장치(700)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연결되면서 3D VR 구현시스템이 세팅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에서 사용되는 HMD(500)는 구글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 오큘러스 리프트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HMD(500)에는 컨텐츠 유저의 머리 움직임정보를 센싱하는 움직임 검출센서(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가 구비되어 컨텐츠 유저의 현재 시선방향 등이 검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컨텐츠 유저는 VR 터치센서(600)를 직접 잡은 상태에서 버튼/스위치/터치 조작 등에 의해 VR 컨텐츠 운용과정에서 필요한 조작신호나 선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텐츠 유저는 VR 터치센서(600)를 특정 신체부위(손, 손가락, 손목 등)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특정 패턴동작에 의해 VR 컨텐츠 운용과정에서 필요한 조작신호나 선택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추적 적외선장치(700)는 상하/좌우/전후방향 위치를 모두 파악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를 통해 포지셔널 트래킹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일반촬영 검사 VR 컨텐츠 수행단계는 HMD(500)에 의해 컨텐츠 유저의 시선 전방으로 도 5에서와 같이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배치된 3D VR 검사공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구현되고, 컨텐츠 유저가 3D VR 검사공간에서 움직이면서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가상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은 3D VR 검사공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의 제작으로 구현되는 VR 컨텐츠에 의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가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시간/장소/인원수의 제약 없이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교육실습이나 훈련을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은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에게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현행법의 규제/방사선 피폭/교육장소/의료장비의 제한 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통해 의료/보건 계열의 전공학생들뿐만 아니라, 미숙련 의료인, 의료기사들을 위한 교육용 의료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촬영조건 등의 설정(set up)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의료장비제공업체 담당자를 위한 실무수습용 의료장비 제작/유지보수 업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컴퓨터장치
200 : VR 컨텐츠 DB
300 :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
400 : VR 컨텐츠 운용장치
500 : HMD
600 : VR 터치센서
700 : 위치추적 적외선장치
1 : X선 스터디 룸
2 : X선 컨트롤 룸
3 : X선 튜브
4 : 콜리메이션
5 : 테이블
6 : 스탠드
7 : X선 제어장치
8 : 이미지 모니터

Claims (7)

  1. VR 컨텐츠로 제작될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종류가 선정되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는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진행절차와 세부절차 운용방법이 포함되는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DB(200)에 입력되어 저장되는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가 수행되는 공간의 물리적 구성을 구현하는 3D VR 검사공간이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에 사용되는 검사설비/검사도구의 물리적 구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와;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받게 되는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는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와;
    VR 컨텐츠 DB(200)에 저장된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에 맞추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되되,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는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진행구조 데이터,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메시지, 일반촬영 검사 관련 안내음성을 포함하는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 제작단계와;
    컴퓨터장치(100)에 설치된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에 의해 제작된 3D VR 검사공간 정보,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정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정보, 일반촬영 검사 가상수행 운용컨텐츠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저장되는 VR 컨텐츠 운용장치 정보저장단계와;
    컨텐츠 유저의 머리 부위에 착용되는 HMD(500), 컨텐츠 유저가 소지하여 조작하게 되는 VR 터치센서(600), 컨텐츠 유저의 3D VR 검사공간 상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는 위치추적 적외선장치(700)가 VR 컨텐츠 운용장치(400)에 연결되는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와;
    HMD(500)에 의해 컨텐츠 유저의 시선 전방으로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가 배치된 3D VR 검사공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구현되고, 컨텐츠 유저가 3D VR 검사공간에서 움직이면서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를 가상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일반촬영 검사 VR 컨텐츠 수행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 제작단계는 교재용 일반촬영 텍스트북, 검사방법 임상자료로부터 일반촬영 검사 매뉴얼이 제작되고,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3D VR 검사공간이 일반촬영 검사실과 촬영조건 조정실로 구분되어 제작되며,
    상기 VR 컨텐츠 제작용 일반촬영 검사 종류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는 X선 촬영검사이되,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는 일반촬영 검사실인 X선 스터디 룸(1)과 촬영조건 조정실인 X선 컨트롤 룸(2)을 제작하게 되고,
    상기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는 X선 발생장치인 X선 튜브(3), X선 조사야(照射野, radiation field)를 설정하는 콜리메이션(4),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가 누운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테이블(5), 3D 가상 캐릭터가 선 상태로 X선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스탠드(6)를 제작하여 X선 스터디 룸(1)에 배치되도록 하는 한편, X선 동작제어와 노출제어를 위한 X선 제어장치(7)와 X선 촬영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 모니터(8)를 제작하여 X선 컨트롤 룸(2)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VR 검사공간 제작단계, 3D VR 검사설비/검사도구 제작단계,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에서 사용되는 VR 컨텐츠 제작용 그래픽툴(300)은 3D 모델링이 가능한 게임 엔진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 제작단계는 선정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의 특성에 맞추어 피검사자 3D 가상 캐릭터의 부위별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구조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VR 구현시스템 세팅단계에서 사용되는 HMD(500)는 구글 VR 플랫폼인 데이드림(Daydream), 오큘러스 리프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KR1020170044123A 2017-04-05 2017-04-05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KR10189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23A KR101894455B1 (ko) 2017-04-05 2017-04-05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23A KR101894455B1 (ko) 2017-04-05 2017-04-05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55B1 true KR101894455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23A KR101894455B1 (ko) 2017-04-05 2017-04-05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606B1 (ko) 2019-04-09 2020-01-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CN110933515A (zh) * 2018-12-13 2020-03-27 湖南汉坤建筑安保器材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全景视频播放控制方法
KR20200124108A (ko) 2019-04-23 2020-11-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KR20210025391A (ko) * 2019-08-27 2021-03-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7896A1 (en) * 2004-11-30 2008-08-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Multimodal Medical Procedure Training System
US20140272863A1 (en) * 2013-03-15 2014-09-18 Peter Kim User Interface For Virtual Reality Surgical Training Simulator
KR20150136083A (ko) * 2013-03-11 2015-12-04 링컨 글로벌, 인크. 가상 현실 환경에서의 향상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808B1 (ko) 2014-09-02 2017-01-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d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18930A (ko) * 2014-06-14 2017-02-2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및 증강 현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7896A1 (en) * 2004-11-30 2008-08-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Multimodal Medical Procedure Training System
KR20150136083A (ko) * 2013-03-11 2015-12-04 링컨 글로벌, 인크. 가상 현실 환경에서의 향상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72863A1 (en) * 2013-03-15 2014-09-18 Peter Kim User Interface For Virtual Reality Surgical Training Simulator
KR20170018930A (ko) * 2014-06-14 2017-02-2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및 증강 현실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101693808B1 (ko) 2014-09-02 2017-01-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d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3515A (zh) * 2018-12-13 2020-03-27 湖南汉坤建筑安保器材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全景视频播放控制方法
KR102071606B1 (ko) 2019-04-09 2020-01-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간호 중 오류상황 인지 여부 평가 시스템
KR20200124108A (ko) 2019-04-23 2020-11-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KR20210025391A (ko) * 2019-08-27 2021-03-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226198B1 (ko) * 2019-08-27 2021-03-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안 흐름을 이용한 시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131B2 (en) Virtual reality-based radiology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CN107111894B (zh) 用于专业和教育训练的增强或虚拟现实模拟器
Süncksen et al. Gamification and virtual reality for teaching mobile x-ray imaging
KR101894455B1 (ko)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KR20180058656A (ko) 현실-증강된 형태학적 방법
CN107527542B (zh) 基于动作捕捉的叩诊训练系统
Sun et 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ng images onto an object
Mathew et al. Role of immersive (XR) technologies in improving healthcare competencies: a review
Girau et al. A mixed reality system for the simulation of emergency and first-aid scenarios
Cheng et al. Application of DenTeach in remote dentistry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Sukotjo et al. Development and student perception of virtual reality for implant surgery
Lányi Virtual reality in healthcare
Jani et al. Virtual reality and its transformation in forensic education and research practices
Tai et al. Augmented-reality-driven medical simulation platform for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with cybersecurity awareness
Bergmann et al. Inspiration from vr gaming technology: Deep immersion and realistic interaction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Chan et al. Virtual reality prototype of a linear accelerator simulator for oncological radiotherapy training
Xu et al. Co-located mixed reality for teaching equine radiology techniques to veterinary students
See et al. Medical learning murmurs simulation with mobile audible augmented reality
Fallavollita Innovative technologies for medical education
Reis et al. A framework for simul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for medical training
Zafar et al. Augmented reality in healthcare education for human anatomy
Sukanya et al. Modernized healthcare using augmented reality
Sújar et al. Projectional Radiography Simulator: an Interactive Teaching Tool.
Güler et al. Augmented reality in anatomy education and designing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learning skeleton system
TWI730346B (zh) 應用虛擬實境模擬x光攝影室之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