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389B1 -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389B1
KR101894389B1 KR1020110037351A KR20110037351A KR101894389B1 KR 101894389 B1 KR101894389 B1 KR 101894389B1 KR 1020110037351 A KR1020110037351 A KR 1020110037351A KR 20110037351 A KR20110037351 A KR 20110037351A KR 101894389 B1 KR101894389 B1 KR 10189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event
context
f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432A (ko
Inventor
김광민
이종창
박원주
심현식
박영희
이문상
구민수
윤승현
남지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389B1/ko
Priority to EP12162473.8A priority patent/EP2515505B1/en
Priority to PCT/KR2012/002609 priority patent/WO2012144757A2/en
Priority to US13/452,766 priority patent/US20120271901A1/en
Publication of KR2012011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432A/ko
Priority to US15/653,231 priority patent/US111906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Abstract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 요청을 수신하고,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기기간 연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 간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고, 피추종자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추종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바이스 간의 연결 및 데이터 교환은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또는 문서와 같은 컨텐츠를 복사 또는 재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디바이스 간 연결은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소스(source)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와 목적지(destination)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결정이 미리 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바이스 간 추종 관계를 설정하여, 피추종자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피추종자 디바이스의 특성, 상태 또는 사용자의 특성 또는 상태를 파악하여 추종자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간 연결 방법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기간 연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간 연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공된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제 3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외부 정보를 연계하여 재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기저장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연계하여 재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 및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연계하여 재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가공된 정보는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machine readable langua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또는 OWL(Web Ontology Language)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종 요청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추종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추종관계가 설정된 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기기간 연결 장치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 요청을 수신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추종자(follower)가 되고, 제 2 디바이스가 피추종자(followee)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간의 추종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 간의 추종에 관련된 것이다.
단계 120에서, 기기간 연결 장치는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추종자인 제 1 디바이스와 피추종자인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한다. 추종 관계가 설정된 경우에는, 기기간 연결 장치는 피추종자인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또는 수신한 정보를 재가공한 정보를 추종자인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피추종자인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할 필요가 없다. 즉, 기기간 연결 장치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지는 않는다. 설정 후, 기기간 연결 장치는 추종 관계를 관리하게 된다.
기기간 연결 장치는 제 2 디바이스에 추종 승인 요청을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기간 연결 장치는 추종 요청을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추종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의 추종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추종관계가 설정된 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기기간 연결 장치는 피추종자인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 내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의 동작 또는 외부 정보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로그(log)를 수집한다.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가 수집 가능한 이벤트 정보로써, 디바이스 스펙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센싱 정보, 디바이스 동작 정보, 사용자 이벤트 정보, 디바이스 내의 사용자 정보 또는 디바이스 사용 정보 등이 있다. 디바이스 스펙 정보는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타입(type), 디바이스 이름(name), 디바이스 제조일 등과 같은 디바이스 제작 또는 판매 시점에서 결정되는 정보이다. 디바이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셋팅 정보, CPU의 사용량, CPU의 사용 시간 등의 디바이스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이다. 디바이스 센싱 정보는 GPS와 같은 위치 정보, 외부 온도 등 디바이스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이다. 디바이스 동작 정보는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이벤트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디바이스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디바이스 내 사용자 정보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이름, 사용자 ID 또는 PIMS 등의 사용자 정보이다. 디바이스 사용 정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사용의 히스토리 정보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정보는 일례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제 2 디바이스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전송 가능한 메시지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machine readable language)로 변환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는 디바이스 메시지라고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또는 OWL(Web Ontology Language)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그 후, 제 2 디바이스는 생성된 메시지를 기기간 연결 장치로 송신한다.
단계 220에서, 기기간 연결 장치는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한다. 기기간 연결 장치는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로부터 검색 또는 통계 정보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후, 기기간 연결 장치가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기존의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와 새로 수신한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조합하여,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외부의 제 3 디바이스(3rd party)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여,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와 조합하여,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제 2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와 조합하여,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할 수도 있다.
단계 230에서, 기기간 연결 장치는 재가공된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machine readable language)로 변환한 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 기기간 연결 장치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종자로서 제 1 디바이스인 모바일 기기(310)가 기기간 연결 장치인 서버(320)에 제 2 디바이스인 가정(3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331, 332, 333)에 대한 추종 요청을 한다. 그 후, 서버(320)는 모바일 기기(3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331, 332, 333)에 대하여 추종 관계를 설정한다. 피추종자인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331, 332, 333)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인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피추종자인 냉장고(333)의 문이 열려 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냉장고(333)는 문이 열려 있는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디바이스 메시지로 생성하여, 서버(320)에 전송한다. 또는, 가전 기기(331, 332, 333)는 스마트 미터링과 같은 가전 기기(331, 332, 333)의 전력 소비 상태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 메시지로 생성하여, 서버(320)에 전송한다. 서버(320)는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재가공하여 모바일 기기(310)로 전송하거나, 수신한 메시지를 모바일 기기(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휴대폰 또는 제조사 단말이 가정 내 가전 기기의 추종자로 등록하여, 가정 내 가전 기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원격 진단을 할 수가 있거나, 낭비 전력 감지를 통한 가정 내 가전 제품의 전력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종자로서 제 1 디바이스인 모바일 기기(410)가 기기간 연결 장치인 서버(420)에 제 2 디바이스인 가정(430)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31, 432, 433)에 대한 추종 요청을 한다. 그 후, 서버(420)는 모바일 기기(4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31, 432, 433)에 대하여 추종 관계를 설정한다. 피추종자인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31, 432, 433)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인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420)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420)는 외부 서버(440), 예를 들어, 3rd party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로부터 날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서버(420)는 디바이스 메시지와 외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텍스트(context) 기반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432)로부터 빨래가 종료되었다는 디바이스 메시지를 수신하고, 외부 서버(440)인 기상청 서버로부터 날씨(예를 들어, 맑음)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서버(420)는 빨래가 종료되고, 날씨가 좋으니 실외에서 건조하라는 컨텍스트 메시지로 디바이스 메시지를 재가공할 수 있다. 그 후, 서버(420)는 재가공된 메시지를 모바일 기기(410)로 전송한다. 서버(420)는 가전 기기 등에서 생성된 디바이스 메시지 정보와 연결 가능한 웹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정보를 연동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특화된 또는 사용자 행동을 요구하는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종자로서 제 1 디바이스인 모바일 기기(510)가 기기간 연결 장치인 서버(520)에 제 2 디바이스인 자동차(530)에 대한 추종 요청을 한다. 그 후, 서버(520)는 모바일 기기(510)와 자동차(530)에 대하여 추종 관계를 설정한다. 피추종자인 자동차(53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인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5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530)는 현재 자신의 위치에 관련된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520)에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510)도 자신의 위치에 관련된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520)로 송신한다. 서버(520)는 수신한 위치 관련 디바이스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판단후, 피추종자인 자동차(530)의 위치 관련 메시지를 모바일 기기(5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서버(520)는 두 위치 관련 디바이스 메시지를 분석하여, 모바일 기기(510)와 자동차(530)의 거리 관계를 분석하고,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모바일 기기(510)로 자동차(530)의 위치 관련 디바이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A(610)는 자신에 대하여 기기간 연결 장치(620)에 추종 요청을 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 A(610)는 추종자 및 피추종자의 지위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디바이스 A(610)는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기간 연결 장치(620)에 송신하고, 기기간 연결 장치(620)는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를 재가공하여 또는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에 기초한 새로운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바이스 A(610)에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용량 기기간 연결 장치(710)는 계속하여 디바이스들로부터 디바이스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 경우, 대용량 기기간 연결 장치(710)는 분석되어 저장된 대용량의 디바이스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별 특화된 기기 환경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상황 인지 서비스로의 확대로도 가능하여 진다. 또한, 대용량 기기간 연결 장치(710)는 분석되어 저장된 대용량의 디바이스 메시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성, 디바이스의 사용 형태 등 기본적인 통계 자료로도 이용할 수 있고, 신규 비즈(BIZ) 발굴을 위한 사용자 또는 주제별 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대용량 기기간 연결 장치(710)는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3rd party(720)에 정보를 팔로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간 연결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추종자 디바이스(810)는 통신부(812) 및 제어부(814)를 포함하고, 기기간 연결 장치인 서버(820)는 통신부(822), 제어부(824) 및 저장부(826)를 포함하고,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는 통신부(832), 제어부(834) 및 저장부(836)를 포함한다.
추종자 디바이스(810)의 제어부(814)는 통신부(812)를 통하여,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에 대한 추종 요청을 서버(820)에 송신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간의 추종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 간의 추종에 관련된 것이다.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와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추종 관계를 설정한다. 추종 관계가 설정된 경우에는, 서버(820)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또는 수신한 정보를 재가공한 정보를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한다.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는 추종자 디바이스(810)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할 필요가 없다. 즉, 서버(820)는 추종자 디바이스(81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로 송신하지는 않는다. 설정 후, 서버(820)는 추종 관계를 관리하게 된다.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에 추종 승인 요청을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추종자 디바이스(810)와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추종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통신부(826)를 통하여 추종 요청을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에 송신하고,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로부터 추종 요청에 대한 승인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추종자 디바이스(810)와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추종 관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서버(820)의 통신부(822)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로부터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 내의 상태 정보 또는 디바이스의 동작 또는 외부 정보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로그(log)를 수집한다.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가 수집 가능한 이벤트 정보로써, 디바이스 스펙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디바이스 센싱 정보, 디바이스 동작 정보, 사용자 이벤트 정보, 디바이스 내의 사용자 정보 또는 디바이스 사용 정보 등이 있다. 디바이스 스펙 정보는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타입(type), 디바이스 이름(name), 디바이스 제조일 등과 같은 디바이스 제작 또는 판매 시점에서 결정되는 정보이다. 디바이스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의 셋팅 정보, CPU의 사용량, CPU의 사용 시간 등의 디바이스의 시스템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이다. 디바이스 센싱 정보는 GPS와 같은 위치 정보, 외부 온도 등 디바이스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이다. 디바이스 동작 정보는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디바이스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디바이스 내 사용자 정보는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이름, 사용자 ID 또는 PIMS 등의 사용자 정보이다. 디바이스 사용 정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을 사용의 히스토리 정보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정보는 일례일 뿐,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제어부(834)는 이들 정보를 저장부(83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제어부(834)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전송 가능한 메시지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제어부(834)는 수집한 이벤트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machine readable language)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또는 OWL(Web Ontology Language)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그 후,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의 통신부(832)는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820)로 송신한다.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수신한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를 재가공한다.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부(826)에 저장하며, 또한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로부터 검색 또는 통계 정보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후, 서버(820)의 통신부(822)가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저장부(826)에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기존의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와 새로 수신한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를 조합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서버(820)의 통신부(822)는 외부의 제 3 디바이스(3rd party)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와 조합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추종자 디바이스(810)로부터 추종자 디바이스(81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피추종자 디바이스(830)와 관련된 정보와 조합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할 정보로 재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820)는 계속하여 디바이스들로부터 디바이스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서버(820)의 저장부(826)에 저장한다. 이 경우, 분석되어 저장된 디바이스 메시지를 기반으로 사용자별 특화된 기기 환경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고, 상황 인지 서비스로의 확대로도 가능하여 진다. 또한, 서버(820)는 분석되어 저장된 디바이스 메시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성, 디바이스의 사용 형태 등 기본적인 통계 자료로도 이용할 수 있고, 신규 비즈(BIZ) 발굴을 위한 사용자 또는 주제별 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재가공된 정보를 디바이스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메시지 형태(machine readable language)로 변환한 후, 서버(820)의 통신부(822)를 통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로, 서버(820)의 제어부(824)는 피추종자 디바이스(83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추종자 디바이스(8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추종자 디바이스(810)는 자신에 대하여 서버(820)에 추종 요청을 한다. 이 경우, 추종자 디바이스(810)는 추종자 및 피추종자의 지위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추종자 디바이스(810)는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820)에 송신하고, 서버(820)는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를 재가공하여 또는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에 기초한 새로운 디바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추종자 디바이스(810)에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기기간 연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서버가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디바이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및 상기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생성된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디바이스 메시지로부터, 상기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나타내도록 재가공된,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와는 별개의 메시지인,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동작이나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인,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벤트인,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자(follower)가 될 것을 요청하는 추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종 관계 설정에 대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승인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1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제2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디바이스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디바이스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이벤트 발생 및 상기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 위한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생성된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디바이스 메시지로부터, 상기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나타내도록 재가공된,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와는 별개의 메시지인, 서버 장치.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인, 서버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이벤트인, 서버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추종자(follower)가 될 것을 요청하는 추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추종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에 추종 관계를 설정하는, 서버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종 관계 설정에 대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승인을 확인하는, 서버 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수신한 제2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버 장치.
  17. 제1 디바이스가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에 관한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기반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 발생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외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나타내도록 상기 서버에 의해 재가공된, 상기 디바이스 메시지와는 별개의 메시지인,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10037351A 2011-04-21 2011-04-21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351A KR101894389B1 (ko) 2011-04-21 2011-04-21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EP12162473.8A EP2515505B1 (en) 2011-04-21 2012-03-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PCT/KR2012/002609 WO2012144757A2 (en) 2011-04-21 2012-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US13/452,766 US20120271901A1 (en) 2011-04-21 2012-04-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US15/653,231 US11190605B2 (en) 2011-04-21 2017-07-1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351A KR101894389B1 (ko) 2011-04-21 2011-04-21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432A KR20120119432A (ko) 2012-10-31
KR101894389B1 true KR101894389B1 (ko) 2018-10-05

Family

ID=4608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351A KR101894389B1 (ko) 2011-04-21 2011-04-21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20271901A1 (ko)
EP (1) EP2515505B1 (ko)
KR (1) KR101894389B1 (ko)
WO (1) WO2012144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10B1 (ko) * 2012-09-2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06014B2 (en) 2014-06-20 2019-02-12 Google Llc Clarifying audible verbal information in video content
US9805125B2 (en) 2014-06-20 2017-10-31 Google Inc. Displaying a summary of media content items
CN106462637B (zh) * 2014-06-20 2020-12-08 谷歌有限责任公司 显示与设备上播放的内容有关的信息
US10349141B2 (en) 2015-11-19 2019-07-09 Google Llc Reminders of media content referenced in other media content
US11212134B2 (en) * 2018-09-17 2021-12-28 Siemens Schweiz Ag Building automation system providing for integration of subsystems
CN110554668A (zh) * 2019-08-20 2019-12-10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制丝生产信息实时监视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169A (ja) * 2002-06-04 2004-01-15 Sharp Corp 情報伝達システム、情報伝達装置、情報伝達方法、情報伝達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伝達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00036941A1 (en) * 2008-08-07 201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rtial subscription/eventing and event filtering in a home network
US20100093366A1 (en) * 2008-10-15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corporating Non-Presence Information in the Calculation of Presence Aspects by a Presence Access Layer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7086B (en) * 1998-05-12 2001-03-21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US7392309B2 (en) * 1999-10-27 2008-06-2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Network appliance management
US7483964B1 (en) * 2000-02-25 2009-01-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15177B2 (en) * 2000-10-06 2014-05-06 Ip Holdings, Inc. Intelligent drug delivery appliance
US20030079000A1 (en) * 2001-10-19 2003-04-24 Chamberlain Robert 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ultiple logical networks of devices on a single physical network
KR100440583B1 (ko) * 2002-05-16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KR100440969B1 (ko) * 2002-05-2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4804B1 (ko) * 2002-07-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318040B2 (en) * 2002-09-17 2008-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ng and adjusting users' working hours and electronic calendar events
KR100559025B1 (ko) * 2003-05-30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100442732C (zh) * 2003-11-20 2008-1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关联控制设备、关联控制方法及服务关联系统
JP4547927B2 (ja) 2004-02-09 2010-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断片データ作成装置及び統合ファイル作成システム
JP4455170B2 (ja) * 2004-05-31 2010-04-21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家電制御システム
KR20060076839A (ko) 2004-12-29 2006-07-05 학교법인 대양학원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7770229B2 (en) * 2005-05-11 2010-08-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pagation of DRM protected content
US20080209034A1 (en) * 2005-07-04 2008-08-28 Sk Telecom Co., Ltd. Home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ethod of Setting Residential Gateway For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Event Protocol For the Same
EP1947571A4 (en) * 2005-10-19 2009-09-02 Sharp Kk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730109B2 (en) * 2005-12-12 2010-06-01 Google, Inc. Message catalogs for remote modules
US7730082B2 (en) 2005-12-12 2010-06-01 Google Inc. Remote module incorporation into a container document
KR100728025B1 (ko) * 2006-01-02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서 외부의 유료 컨텐트를 획득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25943B1 (ko) * 2006-01-0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된 환경 조건을 만족하도록 해당 전자 기기를 제어할수 있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47307A1 (en) * 2006-04-25 2007-10-25 Riep Theresa M Child tracking device
JP2008035453A (ja) * 2006-08-01 2008-02-14 Fujitsu Ltd プレゼンス情報管理システム、プレゼンスサーバ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ES2357042T3 (es) * 2006-09-07 2011-04-15 France Telecom Método y sistema de control a distancia de equipos.
US20080125887A1 (en) * 2006-09-27 2008-05-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vent context data and aggregation for industrial control systems
KR100778618B1 (ko) * 2006-11-13 2007-11-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70137B2 (en) * 2006-12-20 2010-08-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nhancing presence services
CA2695194C (en) 2007-07-30 2014-07-15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mash-up, or personalized mixture, and associated contextual suggestions to mobile users
DE102007037247A1 (de) * 2007-08-07 2009-02-19 Abb Ag System und Verfahren zur Instandhaltungsunterstützung
KR100953826B1 (ko) 2007-08-14 2010-04-20 광주과학기술원 사용자 건강 관리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건강 관리 방법
US8160752B2 (en) * 2008-09-30 2012-04-17 Zome Networks, Inc. Managing energy usage
US20090098907A1 (en) * 2007-10-15 2009-04-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arke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ccess via a Portable Cellular Communication Device
WO2009137654A1 (en) * 2008-05-07 2009-11-12 Power House Dynamics, Llc.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manage performance of appliances
US8417786B2 (en) * 2008-09-23 2013-04-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presence information to provide a simplified unified presence
US8242884B2 (en) * 2008-09-24 2012-08-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Car finder by cell phone
US20100114488A1 (en) * 2008-10-31 2010-05-06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Vehicle
US8447322B2 (en) * 2008-12-17 2013-05-2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rrier tracking of wireless devices during an emergency
US20100241716A1 (en) * 2009-03-17 2010-09-23 Tayo Dare Akadiri System for interconnecting manifold entities across a real-time Meshed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KR101563487B1 (ko)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KR101113460B1 (ko) * 2009-06-09 2012-02-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최적화된 호스트 장치 연결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0408623B2 (en) * 2009-06-12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tracing steps
US8626344B2 (en) *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10046805A1 (en) * 2009-08-18 2011-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ext-aware smart home energy manager
US9083443B2 (en) * 2009-08-19 2015-07-14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Intelligent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and system
US8295979B2 (en) * 2010-01-06 2012-10-23 Deere & Company Adaptive scheduling of a service robot
US20110202293A1 (en) * 2010-02-15 2011-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Diagnostics using sub-metering device
US8798445B2 (en) * 2010-02-26 2014-08-05 Blackberry Limited Enhanced banner advertisements
WO2012011630A1 (en) *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US8090477B1 (en) * 2010-08-20 2012-01-03 Ecofa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se of plug-in air conditioners and portable heaters
US9342082B2 (en) * 2010-12-31 2016-05-17 Google Inc. Methods for encouraging energy-efficient behaviors based on a network connected thermostat-centric energy efficiency platform
US20120053746A1 (en) * 2011-01-03 2012-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Smart energy device reporting "opt-out" autonomously depending on user settings
WO2012095870A2 (en) * 2011-01-13 2012-07-19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A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nergy consumption by household appliances
US20120182939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Telehealth wireless communication hub and service platform system
WO2012113460A1 (en) * 2011-02-25 2012-08-30 Ennova Research S.R.L.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more than one content data to a single resulting media and making this resulting media available to a content directory service (upnp) or digital media server (dlna)
US20120259470A1 (en) * 2011-04-05 2012-10-11 Neil Nijhawan Building temperature control appliance recieving real time weather forecast data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169A (ja) * 2002-06-04 2004-01-15 Sharp Corp 情報伝達システム、情報伝達装置、情報伝達方法、情報伝達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伝達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00036941A1 (en) * 2008-08-07 201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rtial subscription/eventing and event filtering in a home network
US20100093366A1 (en) * 2008-10-15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corporating Non-Presence Information in the Calculation of Presence Aspects by a Presence Access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5505B1 (en) 2020-08-12
KR20120119432A (ko) 2012-10-31
US20170318106A1 (en) 2017-11-02
EP2515505A1 (en) 2012-10-24
US20120271901A1 (en) 2012-10-25
US11190605B2 (en) 2021-11-30
WO2012144757A2 (en) 2012-10-26
WO2012144757A3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89B1 (ko)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JP6811263B2 (ja) M2m−iotサービスのパブリケーションおよび発見
US11368522B2 (en) Lightweight IoT information model
Tokognon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ramework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 survey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ause et al. Challenges in modelling and using quality of context (qoc)
CN105659633A (zh) 物联网事件管理系统以及方法
US20160270021A1 (en) M2m application remote registr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4159294A (zh) 一种基于蓝牙4.0技术的云定位平台
Giang et al. Extending the EPCIS with Building automation systems: a new information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07950005B (zh) 服务元素主机选择
KR101938734B1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Giang et al. Integrating the EPCIS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into the Internet of Things: a Lightweight and Interoperable Approach.
US20160337443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on service control apparatus, data coll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00092825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에서의 센서 네트워크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101283170B1 (ko) 이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800745B1 (ko)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Aliev et al. The use of bluetooth low energy smart sensor for mobile devices yields an efficient level of power consumption
JP6376159B2 (ja) データフロー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ロー制御方法
Ohlson Digitising statistics handling through hardware and mobile web technology
KR20140071822A (ko) 스마트 작업공간에서 변화 인지를 통한 예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