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13B1 -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 Google Patents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13B1
KR101889913B1 KR1020160178482A KR20160178482A KR101889913B1 KR 101889913 B1 KR101889913 B1 KR 101889913B1 KR 1020160178482 A KR1020160178482 A KR 1020160178482A KR 20160178482 A KR20160178482 A KR 20160178482A KR 101889913 B1 KR101889913 B1 KR 10188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ata
smart
time
smar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4422A (en
Inventor
윤대일
Original Assignee
(주)유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미테크 filed Critical (주)유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7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1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5Surv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IoT 센서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여 위험상황, 소모품 상태, 위생 상태 등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판단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data sensed by an IoT sensor installed in a smart toilet through an IOT gateway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a consumable state, a sanitary state, etc., and transmit information determined by an administrator terminal to manage the public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improving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a toilet.

Description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IoT 센서에서 센싱되는 데이터를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여 위험상황, 소모품 상태, 위생 상태, 센서 고장 여부 등을 판단하고, 화장실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판단된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ata sensed by an IoT sensor installed in a smart toilet through an IoT gateway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a consumable state, a sanitary state, a sensor failur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capable of improving the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a public toilet.

보다 구체적으로, 제1출입문, 세면 및 대기공간, 제2출입문이 구비된 다수의 칸막이 화장실을 포함하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관리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수 패턴,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사용자 모션 패턴, 소모품 소모량 패턴, 위생상태 패턴,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 범위 여부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및 사용자 모션 패턴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를 판단하고, 상기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와 유효 범위 여부를 이용하여 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소모품 소모량 패턴을 이용하여 소모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위생상태 패턴을 이용하여 위생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판단된 스마트 화장실의 상태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accumulate sensed data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including a first door, a toilet and an atmospheric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tioned toilets provided with a second door,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smart toilet using at least one of a user number pattern, a user usage time pattern, a user motion pattern, a consumable consumption pattern, a hygiene status pattern, A sensor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smart toilet by using the user usage time pattern and the user motion patter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is malfunctioning or not by using the data sensing period and the effective range of each sensor And determines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consumable consumption pattern as A state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state of consumables, determining a hygiene state using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hygiene state pattern, and an informa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smart toilet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er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종래의 화장실은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 및 시민의식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에,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화장실에서 이용되는 화장지, 비누 등의 소모품 관리가 잘되지 않아, 사용자는 화장실 사용중 소모품을 이용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Conventional toilets are used together by several people,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leanliness when systematic management and citizen consciousness improvement is not achieved. Therefore, it can give an uncomfortable feeling to users. In addition, since consumable items such as toilet paper and soap used in the toilet are not well managed, the user can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 consumables can not be used while using the toilet.

이러한 화장실의 청결상태 및 소모품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인이 화장실을 수시로 방문하여 상태를 점검하고 판단하여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이 경우, 많은 인력 및 시간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manage the cleanliness and consumables of these toilets, the manager must visit the toilets from time to time to check the condition and take action. In this case, not only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but also efficient management is not performed.

또한, 최근 밀폐된 화장실의 특성으로 인해, 범죄의 표적이 되는 장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실 범죄 예방만을 위해 따로 경비원을 채용하기에도 비용상의 문제로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ly closed toilets, it becomes a target of cr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hire security guards for the prevention of crime prevention.

또한, 술에 취하거나 지병으로 인해 화장실을 사용하는 중 쓰러져 의식 불명에 이르는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칸막이 화장실 내에 있는 사람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밖에서는 알 수 없고, 함부로 문을 열고 상황을 확인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위급 상황 때 대처가 늦어져 불행한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that leads to unrecognized person falling down while using the toilet due to drinking or illness, the person inside the cubicle restroom can not know what situation it is outside,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so it is often the case that unfortunate events occur.

이에, 화장실 이용시 발생되는 위생 문제점, 소모품 문제점 및 위험상황 발생시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체계적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solve the hygiene problems, consumables problems, and problems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toilet.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128701호(2010.12.08.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8701 (Dec. 8,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발생징후, 센서 고장 여부, 소모품 상태, 위생 상태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화장실 상태정보를 화장실 AS 담당자 단말기 및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 화장실의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dangerous state, a sensor failure, a consumable state, a hygiene state, and the like by using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that can improve the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a smart toilet by transmitting and managing the smart toile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또한, 소모품 교체시기 및 교체수량을 판단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납품업체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소모품 관리 및 소모품 납품 진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that can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consumables and the progress of the supply of consumables by determi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onsumables and the replacement quantity,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supplier server.

또한,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위생상태평가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상상태를 평가하고, 불량상태시 제어명령 전송을 통해 자동 위생처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that evaluates a phase state using sensed data through a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sensor installed in a smart toilet and performs an automatic sanitization process through transmission of a control command in a defective state.

또한, 스마트 화장실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용 패널에 위생상태설문평가, 스마트 화장실 안내 정보 및 영상광고를 표출하고, 위생상태설문평가를 통하여 청소시간 및 청소주기를 판단하고, 설문평가시 큐알코드 형태의 할인쿠폰을 제공함으로써 화장실 위생상태를 관리하고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hygiene status questionnaire evaluation, smart toilet guidance information, and image advertisement are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panel provided in the smart toilet, the cleaning time and the cleaning cycle are judged through the hygiene status questionnaire evaluation, To provide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that can manage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and obtain advertisement effec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출입문, 세면 및 대기공간, 제2출입문이 구비된 다수의 칸막이 화장실을 포함하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관리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수 패턴,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사용자 모션 패턴, 소모품 소모량 패턴, 위생상태 패턴,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 범위 여부를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및 사용자 모션 패턴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를 판단하고, 상기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와 유효 범위 판단를 이용하여 센서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소모품 소모량 패턴을 이용하여 소모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위생상태 패턴을 이용하여 위생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판단된 스마트 화장실의 상태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toi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including a plurality of partitioned toilets provided with a first door, a toilet and an atmospheric space,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nd accumulating data and managing the smart toilet using cumulative stored data, the smart toilet managing server comprising: means for generating a user pattern, a user usage time pattern, a user motion pattern, a consumable consumption pattern A data analysis unit for analyzing a sanitization state pattern, a data sensing period for each sensor, and an effective range of received data; Determining a risk occurrence symptom of the smart toilet using the user usage time pattern and the user motion pattern, determining whether the sensor is faulty using the data sensing period and the effective range determination for each sensor, and determining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consumable amount pattern A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consumable using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sanitization state pattern;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smart toilet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장실 상태정보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마트 화장실의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oilet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by using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IoT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The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of the smart toilet can be improved.

또한, 소모품 교체시기 및 교체수량을 판단하여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납품업체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소모품 관리 및 소모품 납품 진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lso, by determining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onsumables and the quantity of replacement,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vendor serve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consumables and the progress of the supply of consumables.

또한,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위생상태평가센서를 통해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상상태를 평가하고, 불량상태시 제어명령 전송을 통해 자동 위생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phase state can be evaluated using the sensed data through the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and the automatic sanit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through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mmand in the defective state.

또한, 위생상태설문평가를 통해 청소시간 및 청소주기를 판단하고, 설문평가 시 코드 형태의 할인쿠폰을 제공함으로써 화장실 위생상태를 관리하고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nitary condition questionnaire evaluates the cleaning time and the cleaning cycle, and when the questionnaire is evaluated, the code hygienic condition can be managed and the advertising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대기자 수가 많을 시 인근에 위치하는 사용가능한 스마트 화장실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수가 많은 집중 시간대에 활용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waiters are provided, a smart toilet position that is available nearby is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in a concentrated time zone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are present,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위험상황징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소모품 상태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위생상태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isk situation symptom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sumable state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anitary condition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IoT 센서(10)에서 센싱된 데이터들을 통신망(2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각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들은 스마트 화장실(1)에 설치된 IoT게이트웨이(11)를 통해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에서 전송되는 제어명령 등의 데이터는 IoT게이트웨이(11)로 전송되어 해당 제어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다수의 스마트 화장실을 위치정보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data sensed by a plurality of IoT sensors 10 installed in a smart toile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20. [ At this time, the data sensed by each sensor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the IoT gateway 11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1. [ In addition, data such as control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IOT gateway 11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Meanwhile,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a plurality of smart restrooms by lo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스마트 화장실은 출입을 위한 제1출입문, 세면 및 대기 공간, 제2출입문이 구비된 다수의 칸막이 화장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은 세면 및 대기공간에 스마트미러를 구비할 수 있고, 제2출입문의 내측에 제1사이니지용 패널을 구비하며 제2출입문의 외측에 제2사이니지용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화장실은 환풍기 또는 공기청정기, 각 칸막이 화장실 내의 변기마다 변기 자동세척기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smart toil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ed toilets provided with a first door for entrance and exit, a toilet and an atmospheric space, and a second door. Further, the smar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art mirror in the washing and waiting spaces, a first siding panel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door, and a second siding panel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door can do. In addition, the smart toilet may be equipped with a ventilator or an air cleaner, and a toilet bowl automatic cleaner for each toilet in each compartment toilet.

또한, 다수의 센서는 제1출입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는 출입감지센서, 제2출입문에 설치되어 제2출입문의 개폐 및 잠금 여부를 판단하는 개폐 및 잠금 감지센서, 칸막이 화장실에 구비되는 제1모션센서, 세면 및 대기공간에 구비되는 제2모션센서, 특정 소모품을 공급하고 기설정 소모품량을 감지하는 다수의 소모품 디스펜스, 스마트 화장실 천장에 구비되는 화재/연기 감지센서, 조명감지센서, 화장실 위생상태 센싱을 위한 냄새센서, 변기상태 측정센서, 비명소리 감지센서, 긴급버튼 입력감지센서 등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oor, an entrance / exit sensor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to detect opening / closing of the second door, A first motion sensor, a second motion sensor provided in the toilet and the atmospheric space, a plurality of consumable dispensers for supplying specific consumables and sensing a predetermined consumable amount, a fire / smoke sensor, a light sensor, An odor sensor for sensing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a toilet state measuring sensor, a screaming sound detecting sensor, and an emergency button input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통신망(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수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장실의 안전상태, 위생상태, 소모품 상태를 판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판단된 해당 정보를 기설정된 단말기(30,40) 및 소모품 납품업체서버(50)로 전송하여 화장실 상태가 관리될 수 있게 한다.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and manage the safety state, hygiene state, and consumable state of the smart toilet using a plurality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In addition,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s 30 and 40 and the consumable supplier server 50 so that the state of the toilet can be manag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데이터 분석부(120), 상태 판단부(130) 및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110, a data analysis unit 120, a status determination unit 130,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데이터베이스(110)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10)에서 센싱된 데이터들을 센서종류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된 데이터들 간의 연관관계에 따라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데이터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패턴 등을 저장하고, 상태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화장실 상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base 110 may classify and store the sensed data in the plurality of sensors 10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according to sensor types, and may store the sensed data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lassified data. In addition, the database 110 may store the analyzed pattern and the like in the data analysis unit 120, and may store the toilet state, etc.,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

또한, 데이터베이스(110)는 센서(1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들 이외에, 스마트 화장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화장실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화장실 담당 관리자, 청소 담당자, 소모품 납품업체 및 주문량, 스마트 화장실 위치, 주변 상권 등에 대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o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10, the database 11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mart toilet. For exampl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smart toilet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bathroom manager, the cleaning person, the supplies supplier and the order quantity, the location of the smart toilet, the surrounding commercial area, and the like.

데이터 분석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수 패턴,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사용자 모션 패턴, 소모품 소모량 패턴, 위생상태 패턴 및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 등을 분석할 수 있다. The data analysis unit 120 may analyze the number of users, the pattern of user's time, the user's motion pattern, the consumption amount pattern, the sanitary condition pattern, and the data sensing period of each sensor u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0 .

또한, 상태 판단부(130)는 데이터 분석부(120)에서 판단한 패턴들을 이용하여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 센서 고장 여부, 소모품상태 및 위생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30)는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 및 사용자 모션 패턴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를 판단하고, 각 센서별 데이터 센싱주기 및 수신된 데이터의 센싱시간, 센싱값 등을 비교하여 해당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소모품 소모량 패턴을 이용하여 소모품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수 패턴 및 위생상태 패턴을 이용하여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tate determiner 130 may determine the risk of the toilet, the failure of the sensor, the consumables state, and the sanitary state using the patterns determin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20.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a risk occurrence symptom of the smart toilet using a user time pattern and a user motion pattern, compares the data sensing period of each sensor, the sensing time of the received data, the sensing value, Determines the state of the consumable using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consumable amount pattern, and determines the sanitary state using the user number pattern and the sanitary condition pattern.

또한, 정보 전송부(140)는 상태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스마트 화장실의 상태를 화장실 현장 관리자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련 단말기(40) 또는 관련 서버(50)로도 전송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y transmit the state of the smart toilet determined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to the toilet field manager terminal 30 and may also transmit the state of the smart toilet to the related terminal 40 or the related server 50 .

여기서, 스마트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 소모품상태 및 위생상태에 따른 데이터 분석부(120), 상태 판단부(130) 및 정보 전송부(140)의 기능을 도 3 내지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화장실의 상태판단 및 관리를 설명하기 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Here, the functions of the data analysis unit 120,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dangerous signs of the smart toilet, the consumables state and the hygiene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Meanwhile, before describing the state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of the smart toilet,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제1출입문은, 사용자가 스마트 화장실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출입문은, 칸막이 화장실에 설치된 출입문이 될 수 있다.The first door can be a door for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smart toilet. Further, the second door may be a door installed in a partitioned toilet.

제1데이터는, 스마트 화장실의 제1출입문에 구비된 출입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출입감지데이터로, 입장데이터 및 퇴장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데이터는 사용자가 스마트 화장실의 제1출입문을 통과하여 입장하는 입장시간 및 퇴장하는 퇴장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ata may be classified as entry data and exit data as entrance and exit detection data sensed by an entrance and exit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a first door of a smart toilet. In addition, the first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n entrance time when the user enters through the first door of the smart toilet and an exit time to exit.

제2데이터는,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한 사용자가 칸막이 화장실로 입장하여 제2출입문을 개폐, 잠금 및 해지시 감지되는 데이터로, 제2출입문 개방시간, 제2출입문 폐쇄시간, 잠금감지시간 및 해지감지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ata is data that is detected when a user who enters the smart toilet enters the partition restroom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door, and locks and releases the second door, and detects the second door opening time, the second door closing time, Time, and the like.

제1평균이용시간은 스마트 화장실 평균이용시간으로, 제2평균이용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평균이용시간은 칸막이 화장실 평균이용시간이 될 수 있다. The first average usage time may be a smart toilet average usage time, and may include a second average usage time. Also, the second average usage time may be the average usage time of the partition.

모션데이터는, 칸막이 화장실에 구비된 모션감지센서, 세면 및 대기공간에 구비된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로, 사용자의 움직임 발생시간 및 움직임 발생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data is data sensed by a motion sensing sensor provided in a cubicle restroom, a motion sensing sensor provided in a toilet and a waiting spac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motion generation time and a motion generation size of a user.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는, 소모품 디스펜스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로, 소모품의 소모에 의해 기설정된 잔량이 있는 경우 수신되는 데이터로, 해당 소모품명 및 데이터발생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sumable replacement request data is data that is sensed by the consumable dispensing and is received when there is a preset remaining amount due to consumption of the consumable item,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consumable name and data generation time.

<스마트 화장실의 위험발생징후 판단 및 관리><Determination and management of danger signs of smart restroom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위험상황징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 분석부(120)는 제1데이터가 수신되면(S300), 데이터베이스(110)에 누적된 제1데이터를 시간경과로 패턴화(입장데이터 및 퇴장데이터를 구분하여 패턴화함)하여 전체 스마트 화장실 사용자 수 및 현재 이용중인 스마트 화장실 사용자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입장데이터 및 퇴장데이터의 시간정보와 누적된 전체 사용자 수를 이용하여 제1평균이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305).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isk situation symptom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the first data is received (S300), the data analyzer 120 patterns the first data accumulated in the database 110 with a lapse of time (separating the entry data and the exiting data and patterning them) ),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otal number of smart toilet users and the number of smart toilet users currently in use. In addition, the first average use tim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ntry data and the exit data and the accumulated total number of users (S305).

다음으로, 데이터 분석부(120)는 제2데이터가 수신되면(S310), 데이터베이스(110)에 누적된 제2데이터를 시간경과로 패턴화(잠금감지 및 해지감지를 구분하여 패턴화함)하여 현재 사용중인 칸막이 화장실 사용자 수 및 전체 누적 사용자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입장데이터 및 퇴장데이터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제1평균이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315). Next, when the second data is received (S310), the data analyzer 120 patterns the second data accumulated in the database 110 with time (classifies the lock detection and the termination detection by patterning) You can calculate the number of restroom users and the total number of cumulative users in use. In addition, the first average usage tim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entry data and the exit data (S315).

다음으로, 상태 판단부(130)는 현재 잠금 상태인 칸막이 화장실의 이용시간이 제2평균 이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S320), 또는 S320단계에서 제2평균 이용시간을 초과하지는 않지만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 후 퇴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스마트 화장실 이용시간이 제1평균이용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S345), 해당시점에 발생된 모션데이터에 따라 위험상황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Next, when the use time of the cubicle toilet currently in the locked state exceeds the second average use time (S320), or when the state determining unit 130 does not exceed the second average usage time in step S320, If the smart toilet usage time of the user who has not discharged after the first usage time exceeds the first average usage time (S345), the user can judge the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data generated at that time.

이때, S320단계에 따른 모션데이터는 칸막이 화장실에 설치된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될 수 있고, S345단계에 따른 모션데이터는 세면 및 대기공간에 설치된 모션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tion data according to the step S320 can be the data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cubicle restroom, and the motion data according to the step S345 can be the data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toilet and waiting space have.

상태판단부(130)는 모션감지센서 수신여부를 판단하여(S325), 해당위치에 화장실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체류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평균이용시간 또는 제2평균이용시간 내에 모션감지센서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움직임 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상황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S330). 즉, 화장실 사용자가 모션감지 후 같은 위치에 장시간 움직임이 없이 위치하는 경우 위험상황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S330).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motion sensor is received (S325), and can determine the existence and the stay time of the toilet use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not received within the first average usage time or the second average usag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tion of the user and it can be determined as a dangerous condition indication (S330). That is, if the toilet user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without motion for a long time after the motion detection, it can be determined as a dangerous situation symptom (S330).

한편, 상태판단부(130)는 모션감지센서를 수신하면 화장실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모션감지 후 같은 위치에 장시간 있더라도 움직임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정상적 사용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수신된 모션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 누적될 수 있다(S340). On the other hand,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toilet user is located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s received. In other words, if the motion continues even if the motion is detected for a long time at the same position after the motion det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use of the user is continued, and the received motion data may be accumulated and accumulated in the database 110 (S340).

한편, 정보 전송부(140)는 상태판단부(130)에서 위험상황징후를 판단하면,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비상벨이 울리도록 스마트 화장실 제어부(미도시)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현장 관리자 단말기(30)로 위험상황을 알려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정보 전송부(140)는 모션데이터를 감지한 모션센서의 위치에 따라, 스마트 화장실 내 위험상황이 발생된 위치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smart toilet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the emergency bell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is emitted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dangerous state indication, 30) to inform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o cope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y also provide the location where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in the smart toile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tion sensor that sensed the motion data.

여기서, 현장 관리자 단말기(30)는 해당 스마트 화장실이 위치한 건물의 경비, 관리자, 건물주 등이 구비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Here, the field manager terminal 30 may be a terminal provided for the expenses of the building where the smart toilet is located, a manager, a building owner, and the like.

한편, 상태 판단부(130)는 센싱된 데이터가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긴급버튼 입력, 비명소리 인식, 화재 또는 연기 발생 인식에 따른 데이터이면 비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sensed data is in an emergency state if the emergency button input, the screaming sound recognition, the fire or the smoke generation recognition are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정보 전송부(140)는 상태 판단부(130)에서 비상상황으로 판단하면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비상벨 동작 및 안내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정보전송부(140)는 비상상황 발생시, 현장 관리자 단말기(30) 및 사회안전기관 서버(60)로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사회안전기관(60)은 경찰서 및 소방서에 구비된 서버로, 위험상황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output the emergency bell operation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and the alarm sound through the guidance speaker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emergency situation, . 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can notify the risk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30 and the social security institution server 60 when an emergency occurs. At this time, the social security institution 60 is a server provided in the police station and the fire department, and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스마트 화장실의 소모품 상태 판단 및 관리><Determination and management of consumables status of smart toile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소모품 상태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데이터 분석부(120)는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가 수신되면(S400), 현재 사용중인 소모품의 교체시점부터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사용자 수 대비 소모품 소모량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S410).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sumable state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data analysis unit 120 calculates a consumable consumption pattern for the number of users from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urrently used consumable item to the time when the consumable replacement request data is received, when the consumable item replacement request data is received (S400) (S410).

여기서, S410단계의 사용자 수는, 소모품의 배치위치에 따라 스마트 화장실 사용자 수 또는 해당 칸막이 화장실별 사용자 수가 될 수 있다. Here, the number of users in step S410 may be the number of smart toilet users or the number of users per toile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sumables.

상태 분석부(130)는 산출된 사용자 수 대비 소모품 소모량 패턴으로부터 소모품 교체주기 및 교체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tate analyzer 130 may determine a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and a replacement quantity from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consumable relative to the calculated number of users.

정보 전송부(140)는 상태 분석부(130)에서 결정된 소모품 교체주기 및 교체수량을 현장 관리자 단말기(30) 및 해당 소모품의 납품업체서버(50)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해당 소모품을 용이하게 주문 및 관리할 수 있고, 남품업체는 소모품 공급량을 확인하고 준비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may transmit the consumable replacement period and the replacement quantity determined by the status analyzing unit 130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30 and the supplier server 50 of the consumable product to inform them. Thus,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order and manage the consumables, and the vendor can check and prepare supplies.

또한, 정보전송부(140)는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를 센싱한 소모품 디스펜스의 위치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의 소모품 교체도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may also provide the location of the consumable dispense sensing the consumable replacement request data. Therefore, replacement of the consumables of the administrator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스마트 화장실의 위생상태 판단 및 수동관리><Determination of sanitary condition of smart toilet and manual contro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의 위생상태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정보 전송부(140)는 제2출입문이 잠금 상태이면(S510), 제2출입문 내측에 구비된 제1사이니지용패널을 통해 위생 상태 평가 설문을 제공할 수 있다(S520).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anitary condition determination of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5, if the second door is locked (S510),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may provide a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questionnaire through a first panel for a siding provided inside the second door (S520 ).

이때, 설문응답시(S530), 큐알코드 등과 같은 코드 인식을 통한 할인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S550). 한편, 설문 미응답시 해당 스마트 화장실이 위치한 건물 특성에 대응하는 광고 또는 해당 스마트 화장실 인근에 위치하는 특정 상권에 대한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S540). 이때, 설문제공 및 광고제공은 칸막이 화장실 평균 이용시간 동안 제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S530), a discount coupon through code recognition such as a quay code may be provided (S550). On the other hand, when the questionnaire is not answered, an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building where the smart toilet is located, or an advertisement for a specific commercial located near the smart toilet may be provided (S540). 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providing and the advertisement providing can be provided during the average use time of the cubicle restroom.

한편, 데이터 분석부(120)는 설문응답에 따른 설문결과를 수신하면, 기설정 시간 동안의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이용한 사용자 수 대비 평가참여인원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560). 이때, 신뢰성있는 데이터이용을 위해, 산출된 평가참여인원 비율이 기설정비율 이상인지 판단하고(S570), 기설정비율 이상이면 설문응답 시간별 평가점수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S580). On the other hand, if the data analysis unit 120 receives the questionnaire result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the data analysis unit 120 may calculate the ratio of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smart toilet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S560). In order to utilize the reliable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ratio of the participating personn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atio (S570). If the ratio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atio, the evaluation score average may be calculated (S580).

상태 판단부(130)는, 산출된 설문응답 시간별 평가점수평균에 따라 청소시간대 및 청소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S590). 평가점수평균이 높을수록 청소주기를 짧게 스케줄할 수 있고, 평가점수평균이 높은 시간대를 추출하여 해당시간의 기설정 이전시간에 청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스케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수가 많은 시간대(대기자수로 판단)는 피해서 청소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cleaning time period and the cleaning perio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times (S590). The higher the average score, the shorter the schedules of the schedules can be, and the schedules can be scaled so that the schedules can be cleaned earlier than the pre-set time of the schedules. In addition, the cleaning time can be scheduled while avoiding the time zone where the number of users is large (determined as the number of waiters).

정보 전송부(140)는 판단된 청소시간대 및 청소주기를 현장 관리자 단말기(30) 및 스마트 화장실 청소 담당자의 단말기(40)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S600). 이에, 스마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청소담당자의 단말기(40)로 설문응답에 따른 평가점수에 따라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청소 담당자의 책임감을 높일 수 있고, 위생적인 화장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may transmit the determined cleaning time period and the cleaning period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30 and the terminal 40 of the smart toilet cleaning person in step S600. Thus,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smart toilet can be managed. At this time, compens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to the terminal 40 of the cleaning person. Thus, the responsibility of the cleaning person can be enhanced, and the hygienic toilet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스마트 화장실의 위생상태 판단 및 자동관리><Determination of sanitary condition of smart toilet and automatic management>

데이터 분석부(120)는 누적된 데이터로부터 요일별, 시간대별 화장실 이용자수 대비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값이 기준치 이하이면 불량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값은 화냄새센서 및 변기 상태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data analyzer 120 calculates the toilet hygiene condition evalua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users of the toilet by the day of the week and the time period from the accumulated data, and judges that the toilet hygiene condition evaluation value is in a bad condition if the calculated toilet hygiene condition evaluation valu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the toilet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value can b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odor sensor and the toilet condition measurement sensor.

정보 전송부(140)는,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결과 불량상태로 판단되면, 기준치에 도달되도록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환풍기 또는 공기청정기로 가동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변기 자동세척기로 세척 제어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위생상태를 자동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전송부(140)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불량상태 및 상기 제어명령 전송 상황을 알림함으로써, 관리자가 위생상태 및 자동관리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transmits the operation control command to the ventilator or the air cleaner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so as to reach the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ilet hygiene condition evaluation result is in a bad state, The sanitary condition can be managed automatically.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informs the field manager terminal of the defective state and the transmission state of the control command, thereby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check sanitary conditions and automatic management details.

<센서 고장상황 판단 및 관리><Detection and management of sensor failure situation>

데이터 분석부(120)는 다수의 센서(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별 센싱주기를 분석하여 DB(11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 analyzer 120 analyzes the sensing period of each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0 and stores the analyzed sensing period in the DB 110. [

상태 판단부(130)는 다수의 센서(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데이터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해당 센싱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유효범위를 벗어나거나, 사용자 이용시간 패턴에서 벗어나는 시간대에 데이터가 정상 수신이 되는 경우, 센서 고장 상황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 고장 상황을 정보 전송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0 is not received within the corresponding sensing period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20 or the sensing value of the received data is out of the predetermined effective range , And if the data is received normally in a time zone deviating from the user use time patter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is in a failure state, and the sensor failure state can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정보 전송부(140)는 센서 고장 상황으로 판단되면 현장 관리자 단말기(30) 및 화장실 AS 담당자 단말기(40)로 센서 고장 상황을 알림으로써, 고장상황이 발생한 센서에 대한 확인 및 교체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may notify the sensor manager terminal 30 and the toilet AS contact terminal 40 of the sensor failure state so as to perform confirmation and replacement of the sensor in which the failure has occurred do.

<인근 스마트 화장실 위치정보 제공서비스><Nearby Smart Restroom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데이터 분석부(120)는 제1출입문을 통해 입장한 사용자 수 및 제2출입문의 잠금 여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130)는 다수의 제2출입문이 모두 잠금 상태이면서,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한 사용자 수가 칸막이 화장실 개수보다 많으면,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자 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data analysis unit 120 may extract the number of users who entered through the first door and whether or not the second door is locked. If the number of users entering the smart toile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estrooms in the cubicle, the state determine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waiter and calculate the number of waiters.

상태 판단부(130)는 대기자 수가 기설정 수보다 많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인근 스마트 화장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정보 전송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30 can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arby smart toilet that is available immediately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when the waiting number is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정보 전송부(140)는 제2출입문의 외측에 구비된 제2사이니지용 패널 또는 세면 및 대기공간에 설치된 스마트 미러를 통해 해당 칸막이 화장실의 사용현황 및 대기시간, 바로 사용이 가능한 인근 스마트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실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pane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door, or the smart mirror installed on the toilet and the waiting spac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 of the toilet can be efficiently managed.

한편,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향후 화장실 리모델링 및 신축시, 스마트 화장실의 위치(건물특성)에 따라 사용자 수를 예상하여 남녀화장실의 칸막이 화장실 개수 등을 판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화장실의 리모델링 및 신축시 발생되는 비용, 유지시 발생되는 비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00 estimates the number of us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building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toilet when the toilet is remodeled and newly constr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in the database 110, Can be determined and applied. In addition, the remodeling of the smart toilet, the cost incurred in expanding and retracting, and the cost incurred in maintenance can be considered.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1 to 5 describe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5 It is self-evident.

10 :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
20 : 통신망 30 : 현장 관리자 단말기
50 : 소모품 납품업체서버 60 : 사회안전기관 서버
100 :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데이터 분석부
130 : 상태 판단부 140 : 정보 전송부
10: Multiple sensor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20: communication network 30: field manager terminal
50: supplier supplier server 60: social safety agency server
100: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110: Database 120: Data Analysis Unit
130: status determination unit 14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laims (9)

제1출입문, 세면 및 대기공간, 제2출입문이 구비된 다수의 칸막이 화장실을 포함하는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적저장하고, 누적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관리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2출입문이 잠금 상태이면, 상기 제2출입문 내측에 구비된 제1사이니지용패널을 통해 칸막이 화장실 평균 이용시간 동안, 위생 상태 평가 설문을 제공하고 설문응답시 코드 인식을 통한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정보전송부;
기설정 시간 동안의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이용한 사용자 수 대비 평가참여인원비율을 산출하여 기설정비율 이상이면, 설문응답 시간별 평가점수평균을 산출하는 데이터분석부; 및
상기 설문응답 시간별 평가점수평균에 따라 청소시간대 및 청소주기를 생성하되 대기자수가 기준치 이상인 시간대를 제외한 청소시간스케줄을 생성하는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생성된 청소시간스케줄을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스마트 화장실 청소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분석부는 상기 제2출입문이 모두 잠금 상태이면서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한 실시간 사용자수가 칸막이 화장실 개수보다 많으면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기자수(상기 제1출입문을 통과하여 입장한 사용자수-칸막이 화장실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스마트 화장실의 제1출입문에 구비된 출입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제1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한 사용자 수 및 스마트 화장실에 대한 제1평균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칸막이 화장실의 제2출입문에 구비된 개폐 및 잠금 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제2데이터를 이용하여 칸막이 화장실에 대한 제2평균이용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상태 판단부는, 현재 잠금 상태인 칸막이 화장실의 이용시간이 제2평균이용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 후 퇴장하지 않은 사용자의 스마트 화장실 이용시간이 제1평균이용시간을 초과되는 경우, 상기 세면 및 대기공간에 설치된 모션감지센서 또는 상기 칸막이 화장실에 설치된 모션감지센서로부터 모션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센싱된 데이터가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긴급버튼 입력, 비명소리 인식, 화재 또는 연기 발생 인식에 따른 데이터이면 비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비상벨 동작 및 안내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위험상황을 알리며,
상기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설치된 비상벨 동작 및 안내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사회안전기관 서버로 비상상황을 알리며, 상기 사회안전기관은 경찰서 및 소방서가 되고,
-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저장된 소모품 교체일로부터 상기 소모품 교체요청 데이터 수신시점까지의 상기 스마트 화장실을 이용한 사용자 수 대비 소모량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사용자 수 대비 소모량 패턴으로부터 소모품 교체주기 및 교체수량을 결정하면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소모품 교체 알림 및 교체수량을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소모품 납품 업체의 서버로 전송하며,
-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별 센싱주기를 분석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분석된 해당 센싱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거나, 기분석된 사용자 이용시간에서 벗어나는 시간대에 데이터가 정상 수신이 되는 경우, 센서 고장 상황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센서 고장 상황으로 판단되면 화장실 AS 담당자 단말기 및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센서 고장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The smart toilet is installed in a smart toilet including a first door, a toilet and an atmospheric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tioned toilets provided with a second door, receives and accumulates sensed data, accumulates the sensed data,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If the second door is in a locked state, a hygiene status evaluation questionnaire is provided during a mean time of the cubicle restroom through the first panel for a siding provided inside the second door, and a discount coupon is provided through code recognition in a questionnaire respons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 data analyzer for calculating a ratio of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evaluation compared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smart toilet during a predetermined time, And
And a status determination unit for generating a cleaning time period and a cleaning period according to the average of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time, and generating a cleaning time schedule excluding a time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waiters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W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generated cleaning time schedule to the terminal of the field manager and the terminal of the smart toilet cleaner, the data analyzing unit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real-time users entering the smart toilet while the second door is all locked, (The number of users who pass through the first door and the number of restrooms of the partition) by judging that there is a waiter when the number of the door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doors Calculating a number of users entering the smart toilet and a first average usage time for the smart toilet for a preset time using data, and calculating a first average usage time for the smart toilet bas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door of the cubicle restroom, Data is used to calculate the second average usage time for the cubicle restroom ,
If the usage time of the partitioned toilet currently in the locked state exceeds the second average usage time and the smart toilet usage time of the user who has not exited after entering the smart toilet exceeds the first average usage time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toilet surface and a waiting space,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cubicle restroom,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data is not in a dangerous state, and the sensed data is input to the emergency toilet button, If it is data according to fire or smoke generation recognition, it is judged as an emergency situ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output an alarm sound through the emergency bell operation and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smart toilet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hrough the emergency loudspeaker and the loudspeaker installed in the smart lavatory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and notifies the emergency manager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social safety agency server, And fire station,
The data analyzing unit analyzes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smart toilet from the pre-stored consumable replacement date to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sumable replacement request data when receiving the consumable replacement request data, When the consumable replacement period and the replacement quantity are determined from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number,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consumable replacement notification and the replacement quantity to the server of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supplier supplier,
The data analyzing unit analyzes the sensing period of each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stat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is not received within the analyzed sensing period analyzed, Wherein when the data is normally received in a time zone deviating from th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or is in a failure state, and if the sensor failure state is determined to be the sensor failure state, Toilet care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스마트 화장실의 제1출입문에 구비된 출입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제1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 입장한 사용자 수를 산출하고, 각 칸막이 화장실의 제2출입문에 구비된 개폐 및 잠금 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제2데이터를 이용하여 잠금 여부를 추출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인근 스마트 화장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제2출입문의 외측에 구비된 제2사이니지용 패널 또는 세면 및 대기공간에 설치된 스마트 미러를 통해 상기 칸막이 화장실의 사용현황 및 대기시간, 상기 바로 사용이 가능한 인근 스마트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nalysis uni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entered the smart toilet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the first data sensed by the access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door of the smart toilet, Extracts the lock state using the second data sensed by the lock detection sensor,
The state judging unit, when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waiting person, grasp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nearby smart toilet which can be used immediately,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usage status and the waiting time of the partitioning toilet through the second siding pane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door or the smart mirror installed on the toilet and the waiting space,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화장실 위생상태 센싱을 위한 센서로 냄새 센서, 변기 상태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화장실에는 환풍기 또는 공기청정기, 변기 자동세척기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누적된 데이터로부터 요일별, 시간대별 화장실 이용자수 대비 상기 냄새 센서 및 변기 상태 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한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화장실 위생 상태 평가값이 기준치 이하이면 불량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는,
불량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기준치에 도달되도록 상기 환풍기 또는 공기청정기로 가동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변기 자동세척기로 세척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로 불량상태 및 상기 제어명령 전송을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n odor sensor and a toilet state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a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wherein the smart toilet includes an air cleaner, an air cleaner,
The data analysis unit
The toilet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value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odor sensor and the toilet condition measurement sensor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the users of the toilet by the day of the week and the time period from the accumulated data and if the calculated toilet sanitary condition evaluation value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Wherein,
And transmits a cleaning control command to the ventilator or the air cleaner so as to reach the reference value, and sends a cleaning control command to the toilet cleaner, and notifies the defective stat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mmand to the 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KR1020160178482A 2016-12-23 2016-12-23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KR101889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82A KR101889913B1 (en) 2016-12-23 2016-12-23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82A KR101889913B1 (en) 2016-12-23 2016-12-23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22A KR20180074422A (en) 2018-07-03
KR101889913B1 true KR101889913B1 (en) 2018-08-21

Family

ID=6291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82A KR101889913B1 (en) 2016-12-23 2016-12-23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87B1 (en)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fety of independent space using IoT sen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333B1 (en) 2015-01-20 2019-07-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Providing insurance discounts based upon usage of telematics data-based risk mitigation and prevention functionality
KR102623184B1 (en) * 2019-01-22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KR102235305B1 (en) * 2019-04-16 2021-04-02 엄정범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KR102161757B1 (en) * 2020-02-26 2020-10-05 김철만 Sterilizing despenser for hand towel based on iot, system for managing restroom including the same and mehtod thereof
KR20210132391A (en)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Bidet with privacy prot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99261B1 (en) 2020-06-26 2022-07-26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status
US11653186B2 (en) * 2020-06-26 2023-05-16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pplication status
US11363426B1 (en) 2020-07-07 2022-06-14 BlueOw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reliability of sensor data received from mobile devices
KR102306799B1 (en) * 2020-10-15 2021-11-05 주식회사 유니유니 A deep learning-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system that detects the behavior of a camera installation in a safe toilet using de-identified data
KR102271888B1 (en) * 2020-12-07 2021-07-01 주식회사 프리코 Management system for shared space
WO2022187674A1 (en) * 2021-03-05 2022-09-09 Peter Milliu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monitoring, and confirming cleaning within a faci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53B1 (en)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for public lavatory
KR100881596B1 (en)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Method and system for managering state of lavatory
JP2014213186A (en)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Toilet system
KR101637828B1 (en) * 2015-04-15 2016-07-07 박인철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8701A1 (en) 2008-11-24 2010-05-27 Qualcomm Incorporated Beacon transmission for participation in peer-to-peer formation and discovery
KR20150127426A (en) * 2014-05-07 2015-11-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Machine-to Machine 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53B1 (en)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for public lavatory
KR100881596B1 (en) * 2008-08-26 2009-02-04 (주)아이리녹스 Method and system for managering state of lavatory
JP2014213186A (en) 2013-04-30 2014-11-17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Toilet system
KR101637828B1 (en) * 2015-04-15 2016-07-07 박인철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87B1 (en)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fety of independent space using IoT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22A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913B1 (en)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US11832772B2 (en) Product use acoustic determination system
US10529219B2 (en) Hand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US8344893B1 (en) Hygienic assurance system for monitoring the hand washing of an individual
US9659481B2 (en)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A2704577C (en) Restroom convenience center
US8970391B2 (en) Toilet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US20180080807A1 (en) Universal Dispenser Monitor
KR20170033808A (en) Fitting room management and occpancy monitoring system
KR102199089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the person in charge of a request to refill a distributor in a service area
JP2017152029A (en) Private room management system
JP2018062776A (en) Toilet control server, toilet contro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11847905B2 (en) Cloud-connected occupancy lights and status indication
JP6258910B2 (en) Private room management system
CN112236655B (en) Toilet use determination system
EP4332854A1 (en) Functional facility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functional facility
WO2024075710A1 (en) Toilet managemen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20200753A (en) Toilet equipment and toilet usage notification system
JP2021129955A (en) Toilet management method, toilet management system, toilet management device, and toilet management program
CN114971292A (en) Paper towe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60033323A (en) Guide and management device of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