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964B1 -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964B1
KR101887964B1 KR1020170055107A KR20170055107A KR101887964B1 KR 101887964 B1 KR101887964 B1 KR 101887964B1 KR 1020170055107 A KR1020170055107 A KR 1020170055107A KR 20170055107 A KR20170055107 A KR 20170055107A KR 101887964 B1 KR101887964 B1 KR 10188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number
quantum random
electronic money
ser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체인
Priority to KR102017005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거래할 수 있도록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로서,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양자난수 관리부와;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암호코드 처리부와;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구비하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되고,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개인키, 공개키, 전자지갑주소를 결정하는 기초 시드(seed)를 양자난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안이 한층 강화되어 패턴예측에 따른 중복생산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부당 개인키 및 공개키를 수반하는 트랜잭션의 부당 생산과, 이에 따른 블록 또는 블록체인의 부당한 생성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BLOCKCHAIN CORE SERVER HAVING SECURITY ABILITY BASED ON QUANTUM RANDOM NUMBER, BLOCKCHAIN SECURITY METHOD AND ELECTRONIC CASH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그리고,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거래당사자가 사용하는 개인키, 공개키, 지갑주소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결과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한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이러한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이용한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그 전자화폐의 거래(트랜잭션)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인증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블록체인이 사용되는 것은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749호(2016.10.06)(특허문헌 1)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블록체인은 보안용 암호기능을 위해 의사 랜덤 넘버(Pseudo Random Number)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 의사 랜덤 넘버는 입력값이 고정된 종자 또는 시드(seed)로 불리운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의 전자화폐 시스템에서의 블록체인은 이러한 시드(seed)를 소위 "비트코인 시드(Bitcoin seed)"로 칭하고 있으며, 이 비트코인 시드라는 문자열을 이용하여 마스터 키 값을 해싱하고, 해싱된 마스터 키값을 활용하여 다시 고유 개인키를 생성하고, 이어서 개인키를 해싱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며, 다시 공개키를 해싱하여 고유 지갑주소를 생성하고 있다.
트랜잭션(송금 등의 거래)의 경우, 송신자는 상대방 공개키로 전자화폐를 암호화하여 상대방 고유 지갑주소로 송금하고, 상대방은 자신의 개인키로 전자화페와 함께 암호화되어 보내온 자신의 공개키를 복호화하여 수취 및 그 거래의 성립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7호(2016. 06.13)(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공개키와 개인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단위의 체인형태로 P2P 분산 네트웍 상에 전파하여 블록체인으로부터 거래의 무결성을 확인받고 해커가 해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블록체인 시스템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블록체인의 암호체계는 수학적인 계산 복잡성에 기초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복잡성을 능가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따른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붕괴할 수 있다는 이론적 추론이 가능하다. 더욱이, 현실적으로도, 비트코인 거래소인 비트스탬프와 블록체인 닷인포에서 해커에 의해 비트코인이 도난된 사례가 이미 발생하였다. 즉, 의사난수 발생기에서 나오는 고정값 시드(seed)는 기본적으로 시간상의 문제만 극복할 수 있다면, 즉, 현재보다 고도의 컴퓨터가 개발될 수 있다면 얼마든지 패턴화의 예측에 따른 해독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현재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타 분야에서도 널리 쓰이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인 RSA(Rivest Shamir Adleman Algorithm) 암호체계는 궁극적으로는 해독이 가능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더욱이, 양자 컴퓨터가 현실화되고 있는 현재에는 이러한 암호체계의 붕괴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예측된 패턴으로 무수히 많은 개인키, 공개키, 전자지갑주소가 고유성을 잃고 중복하여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존재하고 있으며, 시스템의 신뢰를 상실할 수 있다. 또한, 패턴예측은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블록체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전자화페 거래 시스템 자체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양자난수’, 네이버 지식백과(2016.04.01. 게재) <URL : http : //terms.naver.com/print.nhn?docId = 3580434&cid = 58944&categoryId = 58970>(비특허문헌 1)와 같은 비예측 패턴의 암호체계를 방지할 수 있는 시드(seed)가 개발되어 있으나, 구체적, 직접적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접목된 기술은 개발된 바 없다.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또 다른 문제는 안전성이 확실이 보장되는 고도의 암호체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을 분산네트워크의 참여자, 예를 들면,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 채굴을 희망하는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 전자화폐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 기초적인 소프트웨어 지원이나 갱신을 제공하는 메인서버 등, 누구라도 용이하게 접근하여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 보다 고도의 안정성을 가진 암호체계를 저렴하고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법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4749호(2016.10.06) 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7호(2016. 06.13)
'양자난수', 네이버 지식백과(2016.04.01. 게재) <URL : http : //terms.naver.com/print.nhn?docId = 3580434&cid = 58944&categoryId = 5897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해킹이나 붕괴가 불가능한 고도의 암호체계를 가지고 전자화폐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양자난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코어서버 또는 블록체인 보안방법을 적용한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도의 암호체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용이하고도 저렴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양자난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코어서버 또는 블록체인 보안방법을 적용한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거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로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양자난수 관리부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암호코드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은,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양자난수 관리부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암호코드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를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양자난수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가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제1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전자화폐 거래 과정의 토대가 되는 보안용 암호코드로서 개인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개인키, 공개키, 전자지갑주소를 결정하는 기초 시드(seed)를 양자난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드로부터 예측되는 패턴을 추론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개인키, 공개키, 지갑주소의 보안이 한층 강화되어 패턴예측에 따른 중복생산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부당 개인키 및 공개키를 수반하는 트랜잭션의 부당 생산 이에 따른 블록 또는 블록체인의 부당한 생성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고도의 보안성을 가진 개인키, 공개키, 지갑주소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가 다른 단말기나 서버에 쉽게 접목하여 일체로 기능하도록 USB 커넥터기가 설치되어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전체적으로, 그리고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메인서버 등에서 보안기능을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변경없이도 최신의 향상된 보안관련기술을 최초 설치시는 물론 설치 이후에도 편리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셋째, 양자난수 발생기를 블록체인 코어서버와 일체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할 수도 있어, 필요나 형편에 따라서 참여자 단말기나 서버 입장에서 적절한 조합으로 최적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전자화폐 거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블록체인에서의 트랜잭션의 인증체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서버와 관련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보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블록체인 코어서버(100)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은 통신망(400)을 중심으로 참여자 그룹으로서, 이용자 단말기Ta, Tb, 분산네트워크에서 채굴(또는 마이닝: mining)을 위한 경쟁자 그룹인 참여자 단말기T1, T2, T3, T4, 채굴에 성공한 마이닝 서버(200),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대해 블록체인의 오픈소스를 제공하고, 기타 전자화폐 거래의 원활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서버(500), 현실적인 전자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상행위 주체로서의 전자화폐거래소(600), 그리고, 본 발명의 독창적인 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100) 및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대해 양자난수를 제공하는 양자난수 발생기(300)는 단수로 표현되어 있지만 복수로 사용될 수 있고,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와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함께 결합된 단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현하는 양자난수 발생기(300, 301, 302)는 방사성 동위원서 방식, 빛의 랜덤성 이용방식 등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이 부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양자난수 발생기를 사용할 때, 각각 다른 방식의 양자난수 발생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통신망(400)에 연결되는 참여자그룹에 속하는 모든 단말기 또는 서버 또는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특별히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장애가 없는 한 통신방법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통신망은 인터넷(410), 이동무선망(420), 와이파이(430), 블루투스(440), 저전력통신망(LPWAN: Low Power Wide Area Net, 또는 사물인터넷망)(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전자화폐 송수신에 관여하는 이용자 단말기(Ta, Tb) 또는 전자화폐 채굴에 참여하는 참여자 단말기(T1, T2, T3, T4)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전자화폐 거래가 가능한 기기이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해의 편의상, 본 발명의 요지인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일반적으로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거래(이하 트랜잭션)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송금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전자화폐 거래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그 구체적인 과정을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P1: 먼저, 사용자 단말기Ta, Tb가 전자화폐 거래소(600)로부터 전용앱(전자지갑앱)을 다운로드 받고, 전자지갑주소를, 예를 들면, 메인서버(500)나 상용 전자화폐 거래소(600)에 요청한다.
프로세스 P2: 사용자 단말기Ta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Tb로 전자화폐(예를 들면, 비트코인 BTC1)의 송금을 희망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Ta의 전자지갑에 존재하는 비트코인 중 원하는 분량의 비트코인BTC1에 사용자 단말기 Tb의 전자지갑에 존재하는 공개키를 결합하여 BTC1 트랜잭션n을 생성하고 단말기Tb로 전송한다.
프로세스 P3: 마이닝 서버(200)가 다른 트랜잭션(BTC2 트랜잭션n, BTC3, 트랜잭션n)과 함께 BTC1 트랙잭션n을 함께 묶어 신규 블록을 형성하고 복수의 모든 참여 단말기(T1, T2, T3, T4)에 전송한다.
프로세스 P4: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마이너로서 참여 단말기T1, T2, T3, T4 중 ½ 이상이 접수한 신규블록에 대해 정당성을 승인하여 주면 마이닝 서버(200)는 BTC1 트랜잭션n을 포함한 신규 블록을 기존 불록체인에 결합시키고 BTC1 트랜잭션n이 무결성임을 증명한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전자 거래장부라 할 수 있으며, 그동안 하나의 전자화폐가 거래되어온 시간적 역사가 기록되어 있고 누구라도 열람할 수 있는 공개된 장부라할 수 있다. 즉, 현재 거래대상이 되는 특정 전자화폐는 그 이전에 거래되어온 과정(소유자가 변경되어온 시간적 과정)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통해 그 전자화폐의 고유성이 증명되어 있으며, 참여자 단말기(T1, T2, T3, T4) 또는 노드들은 이전 블록의 해시값으로 다음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블록이 승인되었다는 의사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의 블록n의 헤더는 이전 블록해시값과 차후 블록해시값을 가지고 전후 블록n-1 및 블록n+1과 상호 연결되며, 블록n의 바디는 고유 전자화폐BTC1, BTC2, BTC3(본 실시예에서는 비트코인을 예로들어 설명함)의 과거나 미래의 거래기록이 추적될 수 있다.
프로세스 P5: 프로세스 P4 이후에, 단말기Ta 로부터 단말기Tb로 보낸 BTC1 트랜잭션n의 무결성을 확인(송금완료)하고, 단말기 Tb에 존재하는 전자지갑 개인키로 수금완료를 확인한다.
프로세스 P6: 사용자 단말기Tb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Tc로 전자화폐 송금을 희망할 경우 전자지갑에 존재하는 비트코인 중 원하는 분량의 전자화폐(예를 들면, BTC1 전자화폐)에 사용자 단말기Tc의 전자지갑에 존재하는 공개키를 결합하고 BTC1 트랜잭션 n+1을 생성한다.
프로세스 P7: 이미 전자화폐 BTC1은 이전 블록체인까지에서 무결성 화폐가 증명되어 있으며, 다시 프로세스 P3 내지 P6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금번 거래에서도 무결성을 확인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및 프로세스 P4를 참조하면, 특정 전자화폐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블록체인에 있는 거래장부를 통해 무결성 화폐임이 증명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현재의 트랜잭션을 포함하여 새롭게 블록이 형성된다는 것은 이전의 무결성과 현재의 무결성을 함께 담보한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므로, 해커는 특정 거래기록, 즉 트랜잭션을 위조하려면 과거의 모든 거래기록을 조작해야 하고, 이를 위해 블록의 헤더의 해시를 함께 풀어서 작업해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 참여자 단말기(T1, T2, T3, T4)에 있는 다른 블록체인의 블록도 함께 위조해야하는 것이지만 현재의 컴퓨터기술로는 시간상으로 부족하며, 비트코인의 경우 매 10분 마다 새로운 블록이 태어나고 있고, 다른 전자화폐의 경우 매 수십초 마다 새로운 블록이 태어나고 있어 더욱더 시간상 위조할 대상을 따라간다는 것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예측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실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트코인 지갑주소의 생성과정에서 패턴의 예측이 가능함에 따라서 비트코인의 도난이 현실적으로 발생하였고, 현재 사용하는 암호체계인 RSA는 양자컴퓨터 차원에서는 해독이 가능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예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와 관련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보안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양자난수 발생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Ta로부터 지갑주소의 요청이 있을 때, 독립적으로 또는 전자화폐 거래소(600)를 대신하여, 개인키, 공개키 및 지갑주소를 사용자 단말기Ta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인키, 공개키 및 지갑주소를 제공하기 위해 마스터 키값을 생성해야 하는데, 이 마스터 키값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시드(seed)를 양자난수 발생기(301)로부터 받는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양자난수 발생기(301)는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로부터 요청(구체적으로는 양자난수 관리부(120)로부터의 요청)하는 양자난수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난수요청 감시부(310)와 난수요청 감시부(310)에서 접수한 양자난수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고유 양자난수를 제공하는 양자난수 제공부(320) 및 블록체인 코어서버(100) 또는 도 3의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과 직접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부(330)를 적어도 포함한다. 양자난수 발생기(301)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301)가 교호로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에 양자난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드의 예측가능성을 더욱 어렵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현재 블록체인에서 사용하고 있는 난수인 의사 랜덤 넘버가 아니라 양자난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출력 패턴 예측이 불가능하며, 더욱이 난수 입력소스인 양자난수 발생기(300)의 개수조절과, 입력방식(교호방식, 복수의 출력 양자난수의 산술평균값 사용 등)을 변형하여 더욱더 입출력 패턴 예측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는 외부에서 오는 신호를 분석하고 해당 구성요소에 적절히 분배하고, 해당 구성요소에 그 동작여부를 명령하는 제어부(110)와, 사용자 단말기Ta, Tb, Tc(도 4의 경우는 Ta만 표시되고, 도 3의 경우 Ta, Tb, Tc가 표시됨)에서 전자지갑 요청신호가 도래하면, 그 요청신호를 감지하여 대응 양자난수 요청신호를 양자난수 발생기(301)에 전달하고, 양자난수 발생기(301)로부터 보내오는 양자난수를 접수하여 적절히 처리하거나 보관하는 양자난수 관리부(120)와, 양자난수 관리부(120)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기초로 전자화폐 거래에 사용하는 암호화 코드를 생성하는 암호코드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처리 코드부(130)는 기본적으로 양자난수 관리부(120)로부터 전달하는 양자난수에 기초하여 기본키값이 되는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 생성기(131), 마스터키값을, 예를 들면, 해시처리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Ta용 개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인키 제공부(132)와, 개인키 제공부(132)로부터 제공하는 개인키를 기초로 대응 공개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공개키 제공부(133), 대응 공개키에 기초하여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전자지갑주소 생성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는 전자지갑앱(이하 "전자화폐 거래용 전용앱, 또는 "전용앱"이라함)을 업데이트하여 이용자 단말기Ta, Tb, Tc에 제공하는 전용앱 업데이트부, 블록체인 코어서버(100) 내외에서 생성되고, 입출하는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70),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를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로서의 유무선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유무선통신부(180)는 무선통신기(181), 유선통신기(182) 외에도 USB 커넥터기(18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USB 커넥터기(183)는 직접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60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전자회폐 거래소 서버(600)는 전자지갑 주소를 생성함에 따른 구조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고객에게 지원하는 전용앱을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측에서 관리하게 할 수 있어 보안업무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USB 커넥터기(183)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전자화폐거래소 서버(600)에 물리적으로 접속하기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 코어서버(100)를 소형으로 제조할 경우, 이동, 조립, 조합, 취급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동작 및 그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스텝S1에서, 사용자 단말기Ta, Tb가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전자화폐 거래용 전용앱을 신청한다. 그러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전용앱 업데이트부(160)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기Ta, Tb에 최신의 전용앱을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블록체인 코어서버((100)가 제공하는 전자화폐 거래용 전용앱은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전자화폐를 직접 송금하거나 수취할 수 있게 해주고 지갑주소, 개인키, 공개키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앱이며, 전자화폐의 거래와 관련된 부분은 전자화폐 거래소(600)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를 대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전용앱 업데이트부(160)에서 모두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전용앱 업데이트부(160)는 전용앱을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적절한 시기에 사용자 단말기Ta, Tb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전자화폐 거래의 유용성을 알리면서 전용앱의 업데이트를 수시로 권장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전용앱을 다운로드 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전용앱 다운로드라는 표현은, 사용자 단말기의 신청에 의한 전용앱 다운로드의 경우와,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전용앱 업데이트부(160)에서 사용자 단말기측에 다운로드를 권장하는 경우와, 이미 다운로드된 전용앱에 대한 업데이트 프로그램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Ta, Tb가 전용앱 다운로드를 신청할 때, 사용자 단말기Ta, Tb가 통신망(400)을 통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도 있고, 전자화폐 거래소(600)를 경유하여 이 전자화폐 거래소(600)에 USB 커넥터기로 연결된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Ta, Tb가 직접 무선망(400)을 통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와 함께 동작과정을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스텝S2 내지 스텝S7에서도 동일하다.
스텝S2에서, 사용자 단말기Ta, Tb는 지갑주소를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신청한다. 그러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지갑주소 신청신호를 확인하고, 양자난수 관리부(120)로 전달한다. 양자난수 관리부(120)는 지갑주소 신청신호에 기초하여 양자난수 발생기(301)에 난수요청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양자난수 발생기(301)의 난수요청 감시부(310)는 난수요청신호를 감지하여 난수요청신호가 있음을 양자난수 제공부(320)에 알리고, 그 응답으로 양자난수 제공부(320)는 고유 양자난수를 생성하고 유무선통신부(330)를 통해 블록체인 코어서버(12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양자난수 발생기(302)도 양자난수 발생기(301)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별도의 양자난수를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양자난수 관리부(120)는 복수의 양자난수 발생기(301, 302)로부터 각각 받은 양자난수를, 예를 들면, 교호로 사용자 단말기Ta, Tb기 마다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지갑 신청신호를 접수한 순서대로 복수의 양자난수 발생기(301, 302)로부터 받은 양자난수를 교호로 할당하거나, 복수의 양자난수의 평균값을 각각의 전자지갑 신청신호에 대해 할당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단수의 양자난수 발생기(301) 만을 사용하여 각각의 전자지갑 신청신호 마다 할당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개의 양자난수 발생기(301)만을 사용하여 각각의 전자지갑 신청신호마다 하나의 양자난수를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스텝S4에서,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가 전자지갑 신청신호에 대응하는 양자난수를 수신하여 암호코드 처리부(130)에 제공한다. 그러면, 암호코드 처리부(130)의 마스터키 생성기(131)는 제공받은 양자난수를 기초로 마스터키를 생성한다.
스텝S5에서, 암호코드 처리부(130)의 개인키 제공기(132)는 스텝S4에서 생성한 마스터키를 기초로, 예를 들면, 마스터키의 해시처리를 통해 개인키를 생성한다. 그러면, 암호코드 처리부(130)의 공개키 제공기(133)는 생성된 개인키를, 예를 들면, 해시처리하여 공개키를 생성하고, 다시 전자지갑주소 생성기(134)는 생성된 공개키를 해시처리하여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한다.
스텝S6에서,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암호코드 처리부(130)에서 생성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Ta, Tb(본 실시예에서는, 스텝S2에서 지갑주소를 신청한 사용자 단말기)로 보내준다.
이후, 개인키, 공개키, 전자지갑주소를 받은 해당 사용자 단말기Ta, Tb는 도 1의 프로세스P2 내지 P6 과정을 통해, 전자화폐를 송금하거나 수취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자난수 발생기(301, 302)는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에 연결되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에서의 양자난수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양자난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양자난수 발생기(301, 302)를 별도의 독립된 서버로 구성하여 두고, 양자난수 발생기(301, 302)의 난수요청 감시부(310)가 사용자 단말기Ta, Tb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신청신호를 통신망(400)을 통해 직접 감시하여 그 신청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양자난수를 자동으로 발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Ta, Tb의 식별기호와 함께 통신망(400)을 통해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양자난수 관리부(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블록체인 코어서버(100)의 암호코드 처리부(130)는 입수한 양자난수를 기초로 적절히 개인키, 공개키 및 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식별된 이용자 단말기Ta, Tb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여러 실시예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100: 블록체인 코어서버 110: 제어부
120: 양자난수 관리부 130: 암호코드 처리부
131: 마스터키 생성기 132: 개인키 생성기
133: 공개키 생성기 134: 전자지갑주소 생성기
160: 전용앱 업데이트부 170: 데이터베이스부
180: 유무선통신부 181: 무선통신기
182: 유선통신기 183: USB 커넥터기
200: 마이닝 서버 300, 301, 302: 양자난수 발생기
310: 난수요청 감시부 320: 양자난수 제공부
330: 유무선 통신부 400: 통신망
410: 인터넷 420: 이동무선망
430: WiFi 440: 블루투스
450: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500: 메인서버 600: 전자화폐 거래소
T1, T2, T3, T4: 참여자 단말기 Ta, Tb, Tc: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거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로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양자난수 관리부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암호코드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
  4. 삭제
  5.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은,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양자난수 관리부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암호코드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난수 관리부는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8. 삭제
  9. 전자화폐를 채굴하는 마이닝 서버 또는 참여자 단말기와; 전자화폐를 거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전자화폐의 거래를 중개하는 전자화폐 거래소 서버, 전자화폐 거래소를 통해 또는 개인간 통신을 통해 전자화폐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암호코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코어서버를 포함하는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서, 양자난수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양자난수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자난수 발생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가 전자화폐의 거래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에서 상기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양자난수를 전달받는 제1단계와;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가 상기 양자난수를 기초로 개인키, 공개키, 및 전자지갑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2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보안관련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기, 참여자 단말기, 전자화폐 거래소 단말기 및 메인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업데이트부 및 USB 커넥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기를 통해 전자화폐 거래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의 기능유지를 위한 적어도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메인서버에 접목되고,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의 고유기능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코어서버의 기능이 보조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참여자 단말기 또는 전자화폐거래소 서버 또는 상기 메인서버와 함께 일체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는 블록체인 코어서버에 일체로 포함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난수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교대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자난수를 이용한 블록체인 보안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양자난수 발생기가 복수개일 경우는 상기 블록체인 코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양자난수 관리부가 접수하는 전자지갑주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각의 양자난수 발생기로부터의 양자난수를 산술평균한 값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보안방법.
KR1020170055107A 2017-04-28 2017-04-28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KR10188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07A KR101887964B1 (ko) 2017-04-28 2017-04-28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107A KR101887964B1 (ko) 2017-04-28 2017-04-28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64B1 true KR101887964B1 (ko) 2018-08-13

Family

ID=6325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107A KR101887964B1 (ko) 2017-04-28 2017-04-28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64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3269A (zh) * 2019-01-30 2019-05-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区块链的随机数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223439A (zh) * 2019-06-13 2019-09-10 北京艾摩瑞策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区块链的随机摇号方法及装置
CN110519268A (zh) * 2019-08-27 2019-11-29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投票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2063678B1 (ko) 2018-08-20 2020-01-09 주식회사 이와이엘 모바일기기의 스머지 및 훔쳐보기 공격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사용자 패턴 인증 방법
WO2020060433A1 (ru) * 2018-09-20 2020-03-26 БОГДАНОВ, Михаил Леонидович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цепочки 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KR20200037490A (ko) * 2018-10-01 2020-04-09 윤태경 디지털통화를 이용한 운용방법 및 운영시스템
CN111325535A (zh) * 2020-02-19 2020-06-23 福州博泉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椭圆曲线偏移的区块链私钥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WO2020177109A1 (zh) * 2019-03-07 2020-09-10 北京建极练科技有限公司 抽签处理方法、可信芯片、节点、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0222372A1 (ko) * 2019-04-29 2020-11-05 박문수 블록체인과 이미지 회전암호 및 프로그램이 결합된 프로젝트형 크립토블록집
KR20200144756A (ko) * 2019-06-19 2020-12-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합의 장치 및 방법
KR20210020606A (ko) 2019-08-16 2021-0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경품 추첨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765665A (zh) * 2021-11-10 2021-12-07 济南量子技术研究院 基于量子密钥的区块链网络及数据安全传输方法
KR102337264B1 (ko) * 2021-03-03 2021-12-08 (주)올잇코인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카드의 생성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337265B1 (ko) * 2021-02-23 2021-12-08 (주)올잇코인 생체정보를 디지털 토큰과 매칭시켜 전화번호로 연동시키는 디지털 토큰의 보안 거래방법
KR102367416B1 (ko) * 2021-03-03 2022-02-2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KR102390988B1 (ko) * 2020-12-22 2022-04-27 김성중 양자난수 암호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594497B1 (ko) * 2023-02-08 2023-10-27 주식회사 커먼컴퓨터 오프라인 nft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에게 nft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얼굴 인식 기반 사용자의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t 시스템
KR102666758B1 (ko) * 2020-12-22 2024-05-17 김성중 암호기반 지능형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20A (ko) * 2001-04-27 2002-11-02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전자지갑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101628007B1 (ko) 2015-04-07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20160114749A (ko) 2015-02-25 2016-10-06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20170040079A (ko) * 2016-05-03 2017-04-12 안규태 블록 검증을 위한 복수의 일방향 함수를 지원하는 블록 체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20A (ko) * 2001-04-27 2002-11-02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전자지갑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4749A (ko) 2015-02-25 2016-10-06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101628007B1 (ko) 2015-04-07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20170040079A (ko) * 2016-05-03 2017-04-12 안규태 블록 검증을 위한 복수의 일방향 함수를 지원하는 블록 체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양자난수', 네이버 지식백과(2016.04.01. 게재) <URL : http : //terms.naver.com/print.nhn?docId = 3580434&cid = 58944&categoryId = 58970>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678B1 (ko) 2018-08-20 2020-01-09 주식회사 이와이엘 모바일기기의 스머지 및 훔쳐보기 공격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사용자 패턴 인증 방법
WO2020040395A1 (ko) * 2018-08-20 2020-02-27 주식회사 이와이엘 모바일기기의 스머지 및 훔쳐보기 공격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사용자 패턴 인증 방법
WO2020060433A1 (ru) * 2018-09-20 2020-03-26 БОГДАНОВ, Михаил Леонидович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цепочки 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KR102186117B1 (ko) 2018-10-01 2020-12-03 윤태경 디지털통화를 이용한 운용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200037490A (ko) * 2018-10-01 2020-04-09 윤태경 디지털통화를 이용한 운용방법 및 운영시스템
CN109753269A (zh) * 2019-01-30 2019-05-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区块链的随机数生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0177109A1 (zh) * 2019-03-07 2020-09-10 北京建极练科技有限公司 抽签处理方法、可信芯片、节点、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0222372A1 (ko) * 2019-04-29 2020-11-05 박문수 블록체인과 이미지 회전암호 및 프로그램이 결합된 프로젝트형 크립토블록집
CN110223439A (zh) * 2019-06-13 2019-09-10 北京艾摩瑞策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区块链的随机摇号方法及装置
CN110223439B (zh) * 2019-06-13 2020-10-02 北京瑞策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区块链的随机摇号方法及装置
KR102251776B1 (ko) * 2019-06-19 2021-05-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합의 장치 및 방법
KR20200144756A (ko) * 2019-06-19 2020-12-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합의 장치 및 방법
KR20210020606A (ko) 2019-08-16 2021-0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경품 추첨 이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519268A (zh) * 2019-08-27 2019-11-29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投票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0519268B (zh) * 2019-08-27 2024-03-05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投票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325535A (zh) * 2020-02-19 2020-06-23 福州博泉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椭圆曲线偏移的区块链私钥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2390988B1 (ko) * 2020-12-22 2022-04-27 김성중 양자난수 암호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666758B1 (ko) * 2020-12-22 2024-05-17 김성중 암호기반 지능형 스마트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337265B1 (ko) * 2021-02-23 2021-12-08 (주)올잇코인 생체정보를 디지털 토큰과 매칭시켜 전화번호로 연동시키는 디지털 토큰의 보안 거래방법
KR102337264B1 (ko) * 2021-03-03 2021-12-08 (주)올잇코인 전화번호를 연계한 생체인증에 의한 앱(App) 형 모바일 디지털 카드의 생성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367416B1 (ko) * 2021-03-03 2022-02-28 (주)올잇코인 원자난수와 생체정보를 연계한 탈착식 분리형 usb를 이용한 금융거래방법
CN113765665A (zh) * 2021-11-10 2021-12-07 济南量子技术研究院 基于量子密钥的区块链网络及数据安全传输方法
KR102594497B1 (ko) * 2023-02-08 2023-10-27 주식회사 커먼컴퓨터 오프라인 nft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에게 nft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얼굴 인식 기반 사용자의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t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964B1 (ko) 양자난수 기반 보안기능을 가진 블록체인 코어서버 및 블록체인 보안방법 및 전자화폐 거래 시스템
JP736472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IoT装置のため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11687924B2 (en) Cryptocurrency infrastructure system
JP6736033B2 (ja) 暗号通貨のためのウォレット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る署名方法
CN109756582B (zh) 区块链网络中的信息记录方法、装置、节点及存储介质
CN109075964B (zh) 支持用于区块验证的多个单向函数的区块链
CA3011600C (en) Information transaction infrastructure
Chaudhry et al. A secure and efficient authenticated encryption for electronic payment systems using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P3746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transaction verification in a distributed ledger system
KR101976027B1 (ko) 암호 화폐의 전자 지갑 생성 및 백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와 서버
CN107111500A (zh) 应用库的无线储备
CN107533620A (zh) 基于二次装置交互的增强认证
CN113874899A (zh) 用于通过区块链网络实现转账的计算机实现的系统和方法
CN105684346A (zh) 确保移动应用和网关之间空中下载通信安全的方法
CN109919611B (zh) 基于对称密钥池服务器的抗量子计算区块链交易方法和系统
KR20190119920A (ko) 서로 다른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506151A (ja) ブラインド化された帰結選択のためのブロックチェーンで実装される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599342A (zh) 基于区块链的身份信息的授权方法及装置
CN112001713A (zh) 区块链系统以及请求处理方法和装置
CN113316798B (zh) 用于网络绑定代理重新加密和pin转换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CN109687961B (zh) 基于对称密钥池路由装置的抗量子计算区块链交易方法和系统
CN109685659B (zh) 一种区块链硬钱包支持链下交易的方法及硬钱包
JP7074319B2 (ja) 正当性管理システム、正当性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11725A1 (en) Secure communication
CN110677246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密钥生成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