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96B1 -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96B1
KR101887596B1 KR1020170022327A KR20170022327A KR101887596B1 KR 101887596 B1 KR101887596 B1 KR 101887596B1 KR 1020170022327 A KR1020170022327 A KR 1020170022327A KR 20170022327 A KR20170022327 A KR 20170022327A KR 101887596 B1 KR101887596 B1 KR 10188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upport
lumbar
seat
flow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원
고유민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lumbar train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lumbar training which repeatedly performs a process of centering a waist region and a pelvis region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when a user sits on a saddle unit lifted from the ground so that muscle force is enhanced to correct a body shape while enhancing the sense of balance and flexibility of the body part including the pelvis region and the waist region. The device comprises: a support frame unit; a saddle unit; a ball-joint; and an elastic support member.

Description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

본 발명은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장부에 착석한 이용객이 지면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허리부위와 골반부위를 전후 및 좌우로 움직여 중심을 잡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골반부위와 허리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부위의 균형감각과 유연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의 단력을 도모하여 체형을 교정하도록 하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that repeatedly performs a process of centering a waist and a pelvis by moving a waist and a pelvis in a lift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a lumbar spine, which improves the sense of balance and flexibility of a body part including a pelvis part and a waist part,

일반적으로 사무직이나 운전업에 관련된 종사자들은 장시간 동안 고정된 자세로 의자에 앉아 근무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고정된 자세가 오래 지속됨으로써 근육이 경직되기도 하고, 또 잘못된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어 허리 근육이나 척추에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In general, workers who are related to office workers or drivers often sit in a chair in a fixed posi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fixed pos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muscles are stiff and the wrong pos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Or spinal problems.

인체의 허리는, 골격구조가 골반과 요추가 서로 연결되고 골반의 하부에는 고관절이 연결되며, 골반과 요추는 허리근육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The waist of the human body is composed of the skeletal structure connecting the pelvis and the lumbar spine, connecting the hip joint to the lower part of the pelvis, and connecting the pelvis and the lumbar spine by the back muscles.

이러한 허리근육을 단련하거나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들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Lumbar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s which are used for training the back muscles or for rehabilitation are known.

상기와 같은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요추관절 재활운동 시에 하체는 고정시키고 상체를 굽힌 상태에서 상향으로 펼치는 신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허리힘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못하였다.Most of the above-mentioned lumbar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es are configured to perform the extension exercise in which the lower body is fixed and the upper body is bent while lifting the upper body during the rehabilitation of the lumbar joint. Not fit.

그리고, 헬스 사이클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부하가 조절되는 페달을 밟아 다리, 복부 등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로서 가정이나 각종 체력단련장 등 실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The fitness cycle is a fitness device for strengthening legs, abdomen and the like by stepping on a pedal whose load is regulated while sitting on a saddle, and there is one that can be easily used indoors, such as a home or a variety of fitness training cente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헬스 사이클을 이용하여 강도 높은 운동을 하면 골반이나 척추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골반이나 척추가 곧지 못하거나 비교적 약한 사람에게는 사실상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However, using the above-mentioned health cycle, when exercising with high intensity, the pelvis or vertebrae are given a load, so that the pelvis or vertebrae are not straightened or practically not recommended to a relatively weak person.

KRKR 10-116058710-1160587 B1B1 KRKR 10-139884710-1398847 B1B1 KRKR 10-109393810-1093938 B1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부에 착석한 이용객이 지면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허리부위와 골반부위를 전후 및 좌우로 움직여 중심을 잡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골반부위와 허리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균형감각과 유연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의 단력을 도모하여 체형을 교정하도록 하고, 특히 안장부의 변형적인 유동을 통해 변형적으로 신체를 유동시켜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유희감과 흥미감이 고취되도록 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repeatedly carry out a process of centering a waist and a pelvis by moving a waist and a pelvis in a state in which a user is seated on the floor, It improves the balance sense and flexibility of each part of the body, including the part and the waist part, and corrects the body shape by applying the muscle force, and especially performs the original function by deforming the body through the deformed flow of the saddle part. And an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a lumbar spine in which amusement and interest are inspired.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는,In the lumbar train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면에 고정되어 직립된 지지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부와; A support frame part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n upright support;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지대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안장부와; And a sadd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he support being kept apart from the ground by a support;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안장을 회동 굴절구조로 연결하는 볼조인트와, 상기 볼조인트에 의해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 굴절구조로 설치된 안장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시켜 안장의 중심을 탄력적으로 정렬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 ball joint for connecting the saddle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y a rotational refraction structure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saddle, And,

상기 안장부를 구성하는 안장부의 저면에는 가동 유동추부를 형성하여, 가동 유동추의 위치 변경에 의해 안장부의 무게 중심이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vable flow weight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portion constituting the saddle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ddle por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low weight.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안장부의 저면을 방사구조로 지지하여, 상기 볼조인트에 의해 지지대의 상부에 굴절구조로 조립된 안장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댐퍼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상부에 형성된 안장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Preferably, the resilient supporting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ing bas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in a radial mann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ckrest assembled with the refractive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base by the ball joint, And a coil-shaped compression spring which is disposed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 유동추부는 안장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안장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includes a guide rail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and at least one floating weight installed in the guide rail to guide the saddle and move along the guide rail to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ddle d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의 지지대와 안장부 사이에 회동 굴절 연결부를 마련하고 상기 안장부를 탄력적으로 지지시켜서, 안장부가 탄력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deflecting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support and a seat portion of a support, and the seat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seat portion is elastically held horizontally.

따라서, 본 발명은 안장부에 착석한 이용객은 지면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허리부위와 골반부위를 전후 및 좌우로 움직여 중심을 잡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골반부위와 허리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균형감각과 유연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의 단력을 도모하여 체형을 교정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is seated in the backrest repeatedly performs a process of centering the waist and the pelvis by moving the waist and the pelvis in front and back and left and right while being lifted from the floor, It is possible to calibrate the body shape by improving the balance sense and flexibility of the muscles while improving the muscular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안장부의 변형적인 유동을 도모하는 가동 유동추부와 탄발 지지암부를 부가하여, 안장부의 변형적인 유동을 통해 변형적으로 신체를 유동함으로써, 보다 심화된 근육의 단력과 유연성 및 균형감각의 향상이 가능하고 유희감과 흥미감이 고취시켜 이용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vable flow weight portion and a collapsible support arm portion for providing a deformable flow of the saddle portion are added to flow the body deformably through the deformed flow of the saddle portion,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muscle force, flexi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amusement and interest can be inspired, which can cause the interest of the use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전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에, 가동 유동추부를 탑재한 상태와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전면 구성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and the 'B' portion in FIG. 3,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shown in FIGS. 1 to 3,
FIGS.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is mounted and an operation state in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shown in FIGS. 1 to 3,
8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propo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shown in FIGS. 8 to 10.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전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에, 가동 유동추부를 탑재한 상태와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전면 구성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al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se of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exercising shown in FIGS. 1 to 3, and FIGS.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xercises for lumbar exercising shown in FIGS. 1 to 3 8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lumbar exercising apparatus proposed a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0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low-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shown in FIG. 8 to FIG.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1, 1')는, 체형교정을 요하는 이용객이 안장부(20)에 착석하여 지면의 상부에 이격된 부양 상태에서,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를 좌우 및 전후로 움직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정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유연성과 균형성을 향상하면서 전신 근육을 단련하는 장치이다.In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1, 1 ')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quiring body correction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 and is in a floating stat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And lumbar vertebrae are moved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to alig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repeatedly to improve the flexibility and balance of the body including the pelvis and lumbar region, Device.

상기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1, 1')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어 직립된 지지대(11)를 갖는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10)의 지지대(11) 상단에 설치되어 이용객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며, 지지대(11)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안장부(20)를 포함한다.The lumbar exercising apparatus (1, 1 ') comprises a support (10) having an upstanding support (11) fixed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s 1 to 3 and 8 to 10; And a security unit 2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1 of the support 10 to provide a seating space for the user and to mainta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the support 11.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력 교정 전용의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를 예시하고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형의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를 제안하여, 평상시에는 의자용도로 사용하면서 간헐적으로 체형 교정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7, a lumbar support exercise apparatus for fitness correction is illustrat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to 11, A training apparatus for exercise is proposed, and a body type calibration process is intermittently performed while being used as a chair for a normal purpose.

상기 안장부(20)는, 지지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용객의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안장(21)과, 상기 안장(21)에 안착된 이용객의 다리부위를 거상시켜 지면에 이격되도록 하는 다리 거상대(22)를 포함한다.The seat 20 includes a saddle 21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1 to provide a seating space for a user and a seat 21 which is placed on the saddle 21 so as to be elevated, And a leg cushion (22).

따라서,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이용객은 엉덩이 부위를 안장에 안착하고 다리부위를 다리 거상대(22)에 지지시켜, 이용객의 신체는 안장부에 의해 지면에서 이격된 즉, 부양된 상태를 형성한다.Therefore, a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 20 can seat the hip portion on the saddle and support the leg portion on the leggate opponent 22, so that the body of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by the seat portion, that is, .

본 실시예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에 안장부(20)를 고정화되게 고정하지 아니하고, 안장부(20)를 지지대(10)의 상단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회동 굴절구조로 조립하여서, 안장부(20)에 착석한 이용객은 안장부(20)의 회동 굴절작용에 의해 불안정한 착석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at 20 is not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and the seat 20 is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in a rotating and refracting structure capable of flowing back and forth, Thus, a user who is seated in the seat 20 maintains an unstable seat occupied by the turning refracting action of the seat 20.

따라서,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하여 지면에서 부양하여 위치된 이용객은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를 전후 및 좌우로 움직여, 불안정한 안장부(20)에서 자신의 중심을 정렬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근력을 단력하고,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배가한다.Therefore, a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 20 and floats on the ground moves the body including the pelvis region and the lumbar region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aligns the center of the body in the unstable seat 20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muscular strength of each part of the body including the pelvic region and the lumbar region is cured, and flexibility and balance are doubled.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과 안장부(20)를 구성하는 안장 사이에, 안장부(20)의 탄력적인 회동굴절을 도모하는 회동 굴절 연결부(30)를 마련하여, 안장부(20)에 착석한 이용객은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움직여 안장부(20)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otation-deflecting connecting portion 3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10 and the saddle constituting the inserting portion 20 so as to provide elastic rotation refraction of the supporter 20, A user who is seated in the seat 20 moves the pelvis part and the lumbar part to flow in the front, back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at 20.

상기 회동 굴절 연결부(30)는, 도 1 내지 도 4a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상단에는 안장부(20)을 회동 굴절구조로 연결하는 볼조인트(31)와, 상기 볼조인트(31)에 의해 지지대(10)의 상단에 회동 굴절구조로 설치된 안장(21)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시켜, 안장(21)의 중심을 탄력적으로 정렬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한다.1 to 4A, the tiltable refracting connection part 30 includes a ball joint 31 for connecting the seat 20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by a torsionally refracting structure, And a resilient supporting member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21, which is provided with a torsionally refracting structure,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table 10 to elastically align the center of the saddle 21.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지대(10)의 상단에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지지댐퍼(32)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를 배치하여 탄성 지지댐퍼(32)에 의해 안장부(20)가 방사구조로 탄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볼조인트(31)에 의해 지지대(10)의 상부에 회동 굴절구조로 조립된 안장부(20)는 탄성 지지댐퍼(32)에 의해 탄지되어 수평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osed of an elastic supporting damper 32 having a superior elastic restoring force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ase 10 so that the elastic supporting dampers 32 can securely hold the backrest 20 in a radiation structure So that the backrest 20 assembled with the rotation refracting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table 10 by the ball joint 3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damper 32 so that the horizontal state is elastically maintained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댐퍼(32)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와 압축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를 병용하여, 이들 탄성 지지부재(32, 33)는 상호 보완하여 안장부(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안장부(20)의 탄력적인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s 32 and 33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by using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osed of the elastic supporting damper 32 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osed of the compression spring 33, So that the resilient horizontal state of the secured portion 20 is maintain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댐퍼(32)와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33)을 병용하여, 탄성 지지댐퍼(32)의 탄성 복원작용과, 압축 스프링(33)의 탄성 압축작용에 의해 볼조인트(31)를 통해 지지대(10)의 상단에 회동 굴절구조로 조립된 안장부(20)가 수평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memb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lastic support damper 32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coil-shaped compression spring 33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action of the elastic support damper 32,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is elastically held by the ball joint 31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which is assembled with the rotation refracting structur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지지부재인 압축 스프링(33)의 압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장부(20)의 수평 유지에 따른 탄성 지지강도의 증감이 가능하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by adjusting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3 which is the elastic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elastic support strength according to the horizontal holding of the seat portion 20. [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대(11)의 외경에 나선 체결홈(11a)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 체결홈(11a)에 나선의 압축 스프링(33)을 체결시켜서, 압축 스프링(33)은 정역 회전에 의해 나선 체결홈(11a)을 따라 상하로 나선 이동하도록 한다.2 and 3, a spiral coupling groove 11a is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ase 11 and a spiral compression spring 33 is fastened to the spiral coupling groove 11a. So that the compression spring 33 is allow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piral engagement groove 11a by normal rotation.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33)을 역방향으로 체결하여 지지대(11)를 따라 하강시키면 압축 스프링(33)에 의한 안장부(20)의 탄성 지지강도는 약화되고, 또 압축 스프링(33)을 정방향으로 체결하여 지지대(11)를 따라 상승시키면 압축 스프링(33)에 의한 안장부(20)의 탄성 지지강도는 강화된다.Therefore, when the compression spring 33 is tighten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is lowered along the support base 11, the elastic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base 20 by the compression spring 33 is weakened and the compression spring 33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strength of the seat portion 20 by the compression spring 33 is strengthened.

이를 통해 이용객은, 자신의 체중이나 요하는 단련강도에 따라 압축 스프링(33)을 지지대(11)를 따라 승강시켜, 압축 스프링(33)에 의한 안장부(20)의 탄성 지지강도를 변경하게 된다.This allows the user to move the compression spring 33 along the support base 11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body weight or required strength to change the elastic support strength of the base 20 by the compression spring 33 .

그리하여, 상기 탄성 지지댐퍼(32)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와 압축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대(11)의 상단에 볼조인트(31)를 통해 회동 굴절구조로 조립된 안장부(20)는 안정되게 탄성 지지되어서, 지지대(11)의 상단에 수평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하게 된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composed of the elastic support damper 32 and the elastic support member composed of the compression spring 33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se 11 through the ball joint 31, (20)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elastically hel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se (11).

그리고, 이용객은 상기 안장(21)에 엉덩이 부위를 안착하고 다리부위를 다리 거상대(22)에 안착시킨 상태로 안장부(20)에 착석하여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부양되고, 이 상태에서 이용객은 상체 등을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신의 무게중심과 안장부의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유연성과 균형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을 단련하여 전신의 체형을 교정한다.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20 in a state in which the hip portion is seated on the saddle 21 and the leg portion is seated on the leggated opponent 22 and is lift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upper body and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ddle is moved repeatedly so that the flexibility and balance of the body, including the pelvis and lumbar region, while improving muscle And the body shape of the whole body is corrected.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4b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20)의 무게 중심을 편심부에 변경하여 형성하는 가동 유동추부(23)를 마련하여, 상기 가동 유동추부(23)에 의해 이용객의 선택에 의해 안장부(20)의 무게중심을 중심부가 아닌 편심부에 형성하여서, 보다 심화된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유연성과 균형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의 단련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nd 4B to 6, a movable flow weight portion 23 is formed by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at 20 to an eccentric por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urement portion 20 is formed at the eccentric portion ra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by the choice of the user by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23 so that flexibility and balance of each part of the body including the deeper lumbar region So that the muscles can be trained.

그리고, 상기 안장부(20)에 착석한 사용자는 경사진 안장부(20)를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해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편향지게 형성하고, 이를 통해 이용객은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다양한 자세로 운동시켜서, 허리부위와 요추부위에서 국부 부위의 심화된 단련을 도모하도록 한다.A user who is seated in the seat 20 forms a pectoral region and a lumbar region so as to deflect the inclined seat 20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seat 20. The user can thus place the pelvis region and the lumbar region in various positions Exercise to allow for deep training of the local area on the waist and lumbar region.

여기서, 상기 가동 유동추부(23)는 도 6과 같이 상기 안장(21)의 저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안내레일(23a)과, 상기 안내레일(23a)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어 안내레일(23a)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추(23b)를 포함한다.6,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23 includes an annular guide rail 2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21 and guide rails 23a provided on the guide rail 23a in a guide structure, And at least one flow weight 23b that moves along the flow path 23b.

따라서, 이용객은 유동추(23b)를 안내레일(23a)을 따라 이동시켜 안장부(20)의 편심부에 유동추(23b)를 위치시켜서, 편심부에 위치된 유동추(23b)의 중량에 의해 안장부(20)의 무게중심이 중심부가 아닌 편심부에 형성되도록 한다.The user moves the flow weight 23b along the guide rail 23a to place the flow weight 23b at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seat 20 and adjust the weight of the flow weight 23b positioned at the eccentric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ured portion 20 is formed in the eccentric portion rather than the central portion.

그리하여, 상기 지지대(11)의 상단에 회동 굴절 구조로 연결되어 탄성 지지부재(32, 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안장부(2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아니하고, 편심부에 위치된 유동추(23b)의 중량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형성하고, 이용객은 편심부에 위치된 유동추(23b)에 의해 경사진 상태의 안장부(20)에 착석하여서, 골반부위와 허리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를 전후 및 좌우로 이동시켜 안장부(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더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Thus, the seat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1 by a rotationally folding structur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members 32 and 33, does not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The user is seated on the inclined portion 20 which is inclined by the flow weight 23b located at the eccentric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pelvis portion and the waist portion, So that the safety unit 20 is kept in a horizontal state repeatedly.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국부적으로 체형 교정이 요구되는 이용객은 상체의 중심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련을 요하는 부위의 심화 단력이 가능하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 user who is required to locally correct body shape can perform the deepening step of a part requiring training by repeatedly performing a process of moving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in a specific direction.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추(23b)를 안내레일(23a)에 직접 고정하지 아니하고, 안내레일(23a)에는 안내레일(23a)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23e)를 마련하고, 상기 캐리어(23e)와 유동추(23b) 사이에는 와이어(23c)를 통해 연결하여서, 안장부(20)의 좌우 및 전후 유동과정에 유동추(23b)는 원심력에 의해 원심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칙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weight 23b is not directly fixed to the guide rail 23a, but the carrier 23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3a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23a, and the carrier 23e And the flow weight 23b is connected to the flow weight 23b through a wire 23c so that the flow weight 23b is centrifugally rot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right and left and forward and backward flows of the seat 2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캐리어(23e)와 유동추(23b) 사이를 이격되게 연결하는 와이어(23c)에는, 와이어(23c)의 탄력적인 전개를 도모하는 보강 스프링(23d)을 관통시켜, 유동추(23b)의 원심 회전과정에 와이어(23c)의 과도한 굽힘을 방지함으로써, 유동추(23b)의 과도한 원심 회전에 의해 유동추(23d)에 이용객이 타격되어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 reinforcement spring 23d for resiliently expanding the wire 23c is passed through the wire 23c that connects the carrier 23e and the flow weight 23b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xcessive bending of the wire 23c during the centrifugal rotation process of the flow weight 23b is prevented so that the floating weight 23d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and damaged by the centrifugal rotation of the flow weight 23b.

그리고,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20)의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탄발 지지암부(24)를 배치하고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to 11,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arm portions 24 are disposed at the edge portions of the secured portion 20. As shown in Figs.

여기서, 상기 탄발 지지암부(24)는 공압 실린더나, 실린더 하우징(24a)과 진퇴로드(24b) 사이에 탄발 스프링(24c)이 배치된 스프링암 등 압축에 의해 탄발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elastic support arm portion 24 is configured to be compressed by a pneumatic cylinder, or a spring arm in which a elastic spring 24c is disposed between the cylinder housing 24a and the movable rod 24b.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유동추부(23)가 설치되는 안장부(20)의 저면에 형성된 환형의 안내레일(23a)의 가이드(24e)에, 복수의 탄발 지지암부(24)를 직립되게 배치하여서,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에 의해 탄발 지지암부(24b)들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arms 24 are disposed upright on the guide 24e of the annular guide rail 2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ured portion 20 where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23 is installed, The positions of the elastic arms 24b can be changed by the guide moving along the guide rails.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발 지지암부(24)과 가이드(23e)는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pawl support arm 24 and the guide 23e are fixed by fastening.

따라서, 상기 안장부(20)에 착석된 이용객이 허리부위와 골반부위를 움직여 안장부(20)를 전후 및 좌우로 유동시키면, 안장부(20)의 저면에 직립하여 배치된 탄발 지지암(24b)은 지면, 또는 지지체(10)에 하단을 지지시켜 상향 탄발하여서, 안장부(20)를 상향 탄발시켜 안장부(20)의 불규칙적인 유동이 이룩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20 moves the waist and pelvis to move the seat 20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the seat back support arm 24b 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10 upwardly and elastically upwardly and elastically causing the safety part 20 to flow.

그리고, 상기 안장부(20)의 변칙적인 유동에 의해 이용객은 보다 심화된 골반부위와 요추부위를 포함하는 신체 각 부위의 유연성과 균형성을 향상하면서 근육을 단련하여 전신의 체형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nd, by the irregular flow of the above-mentioned seat 20, the user can adjust the body shape of the whole body by training the muscles while improving the flexibility and balance of the body parts including the deepened pelvis region and lumbar region Do.

1.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
10. 지지체 11. 지지대
11a. 나선 체결홈 12. 손잡이부
20. 안장부 21. 안장
22. 다리 거상대
23. 가동 유동추부 23a. 안내레일
23b. 유동추 23c. 와이어
23d. 보강 스프링 23e. 가이드
24. 탄발 지지암부 24a. 실린더 하우징
24b. 진퇴로드 24c. 탄발 스프링
30. 회동 굴절 연결부 31. 볼 조인트
32. 탄성 지지댐퍼 32. 압축 스프링
1. Exercise device for lumbar training
10. Support 11. Support
11a. Helical fastening groove 12. Handle
20. Not Registered 21. Saddle
22. Legs opponent
23. Movable flow weight 23a. Guide rail
23b. Flow weight 23c. wire
23d. The reinforcing spring 23e. guide
24. Elastic support arm 24a. Cylinder housing
24b. Progressive load 24c. Spring
30. Rotating refracting connection 31. Ball joint
32. Elastic support damper 32. Compression spring

Claims (3)

지면에 고정되어 직립된 지지대를 갖는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지대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안장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안장을 회동 굴절구조로 연결하는 볼조인트와, 상기 볼조인트에 의해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 굴절구조로 설치된 안장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시켜 안장의 중심을 탄력적으로 정렬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장부를 구성하는 안장부의 저면에는 가동 유동추부를 형성하여, 가동 유동추의 위치 변경에 의해 안장부의 무게 중심이 변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 유동추부는 안장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 가이드 구조로 설치되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안장의 무게 중심을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
A support frame part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n upright support;
And a sadd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the support being kept apart from the ground by a support;
A ball joint for connecting the saddle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y a rotational refraction structure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saddle, And,
A movable flow weight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portion constituting the saddle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ddle por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low weight,
Wherein the movable flow weight portion comprises a guide rail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and at least one flow weight installed in the guide rail in a guide structure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to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ddl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안장부의 저면을 방사구조로 지지하여, 상기 볼조인트에 의해 지지대의 상부에 굴절구조로 조립된 안장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댐퍼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상부에 형성된 안장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단련용 운동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omprises: a resilient supporting damper which is fixed to a supporting base a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rest in a radiating manner, and elastically supports a saddle portion assembled in a refracting structure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base by the ball joint;
And a coil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as to extend through the support member.


삭제delete
KR1020170022327A 2017-02-20 2017-02-20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KR101887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27A KR101887596B1 (en) 2017-02-20 2017-02-20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27A KR101887596B1 (en) 2017-02-20 2017-02-20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596B1 true KR101887596B1 (en) 2018-08-10

Family

ID=6322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27A KR101887596B1 (en) 2017-02-20 2017-02-20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59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302A (en) * 2006-02-07 2007-08-10 한각수 The sports equipment by recycling of the tire wheel
JP2010158329A (en) * 2009-01-07 2010-07-22 Fumio Kasai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1093938B1 (en) 2009-07-24 2011-12-13 (주)대성마리프 Training equipment for spinal physiotherapy
KR101160587B1 (en) 2010-06-21 2012-07-03 정대훈 Saddle for bike having seat at type of exercise function
KR101398847B1 (en) 2012-06-30 2014-07-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Chai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302A (en) * 2006-02-07 2007-08-10 한각수 The sports equipment by recycling of the tire wheel
JP2010158329A (en) * 2009-01-07 2010-07-22 Fumio Kasai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1093938B1 (en) 2009-07-24 2011-12-13 (주)대성마리프 Training equipment for spinal physiotherapy
KR101160587B1 (en) 2010-06-21 2012-07-03 정대훈 Saddle for bike having seat at type of exercise function
KR101398847B1 (en) 2012-06-30 2014-07-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1379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bdominal muscle and gluteal muscle exercise
US5120052A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that provides for increased elonga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US6997857B2 (en) Posture correction exercise device
EP1427487B1 (en) Training apparatus/chair
US10021983B2 (en) Ergonomic chair
US7217228B2 (en) Low impact exercise system
US5318495A (en) Method for improving circulation by oscillation of a resilient foot rest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US801673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6106490A (en) Torso exercise and traction machine with vibrational therapy pads
GB2349099A (en) Spine exerciser with hand and foot pedals
KR101887967B1 (en) Body-shape correction apparatus
KR101887596B1 (en) Exercise apparatus for lumbar training
KR101398847B1 (en) Chair
KR101647461B1 (en) Saddle type Spine Health Chair
US20190387886A1 (en) Physical Motion Device
KR200478393Y1 (en) Complex health apparatus
US20220088437A1 (en) Training device for training individual muscle groups in the upper body
KR102071359B1 (en) Movement apparatus for patient rehab therapy
KR102570514B1 (en) 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with massage function
KR102615717B1 (en) Exercise Bed combined with Automatic and Semi-Automatic functions
KR102263477B1 (en) Waist muscles massage bed
KR100603148B1 (en) Exercising apparatus to train tru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