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11B1 - 다기능 양이 보청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양이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11B1
KR101887411B1 KR1020160134414A KR20160134414A KR101887411B1 KR 101887411 B1 KR101887411 B1 KR 101887411B1 KR 1020160134414 A KR1020160134414 A KR 1020160134414A KR 20160134414 A KR20160134414 A KR 20160134414A KR 101887411 B1 KR101887411 B1 KR 10188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lave
audio signal
master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970A (ko
Inventor
최용일
Original Assignee
소리노리닷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리노리닷컴(주) filed Critical 소리노리닷컴(주)
Priority to KR102016013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11B1/ko
Priority to US15/296,327 priority patent/US994904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2Binau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61B5/02433Details of sensor for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3Aspects relating to adaptation of the battery voltage, e.g. its regulation, increase or decr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양이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양이 보청기에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 맥박 측정 기능, 맥박정보 전송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양이 보청기{Binaural hearing aid with multi functions}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다기능 양이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0874호(2015.02.27)에서 마이크로폰, 디지털 신호 처리기, 동기화 유닛 및 전송 유닛으로 이루어진 보청기 모듈 및 상기 전송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보조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 및 보조 기기는 동기화 유닛에 의하여 동기화가 되고, 전송 거리에 따른 지연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사용자의 서로 다른 귀로 전달하는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를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0874호(2015.02.27)
본 발명은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양이 보청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청 기능 외에 맥박 측정 기능 및 맥박정보 전송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양이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다기능 양이 보청기가 마스터 보청기와 슬레이브 보청기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보청기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 자동 이득 조정 및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1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1무선 통신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 스피커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가 상기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슬레이브 보청기로 송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 자동 이득 조정 및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마스터 보청기로부터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 통신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제2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 스피커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제2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 상기 맥박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맥박정보를 로컬(Local)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의 제어부가 상기 맥박 측정기를 통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해당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저장하여 축적하도록 제어하는 맥박 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의 제어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맥박정보를 읽어 슬레이브 보청기의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마스터 보청기로 맥박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의 제어부가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로부터 송신되는 맥박정보를 마스터 보청기의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제1무선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의 제어부가 마스터 보청기의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과, 슬레이브 보청기의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마스터 보청기의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의 제어부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의 제어부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 보청기의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을 슬레이브 보청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의 제어부가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 수신시,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의 제어부가 마스터 보청기의 배터리 잔량과 슬레이브 보청기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여, 맥박 측정기의 맥박 측정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 또는 슬레이브 보청기가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채널별로 증폭 또는 감쇄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이 보청기에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 맥박 측정 기능, 맥박정보 전송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마스터 보청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에 구현되는 맥박 측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는 마스터 보청기(100)와, 슬레이브 보청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스터 보청기(100)는 사용자의 한쪽 귀에 착용 가능하고, 슬레이브 보청기(200)는 사용자의 다른쪽 귀에 착용 가능하다. 마스터 보청기(100)는 제1무선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TV, 노트북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슬레이브 보청기(200)는 마스터 보청기(100)와 제2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무선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무선 통신 방식이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 중의 하나인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마스터 보청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보청기(100)는 마이크(110)와, 신호 처리부(120)와, 제1무선 통신부(130)와, 이어 스피커(140)와,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110)는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Analog Audio Signal)를 입력받는다. 이 마이크(110)를 통해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마스터 보청기(10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마이크(110)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Amplifying), 자동 이득 조정(Automatic Gain control) 및 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신호 처리부(120)가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121)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자동 조정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ler)(122)와, 상기 자동 이득 조정기에 의해 이득 조정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 통신부(130)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노트북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1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제1무선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기기가 주변의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된 마스터 보청기(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와 마스터 보청기(100)간에 양방향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어 스피커(14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이어 스피커(140)가 귓구멍에 삽입되도록 제작된 디지털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제1무선 통신부(130)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가 보청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어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하고, 무선 헤드셋 모드에서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어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마스터 보청기가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마스터 보청기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듣거나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가 제2무선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무선 통신부(160)는 상기 제1무선 통신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슬레이브 보청기(200)로 송신한다. 이 때, 상기 제2무선 통신 방식이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 중의 하나인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마스터 보청기(100)가 제1무선 통신부(130)에 의해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2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슬레이브 보청기(200)로 전송하여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가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듣거나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보청기(200)는 마이크(210)와, 신호 처리부(220)와, 제2무선 통신부(230)와, 이어 스피커(240)와,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210)는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마이크(210)를 통해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슬레이브 보청기(20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 처리부(220)는 상기 마이크(210)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Amplifying), 자동 이득 조정(Automatic Gain control) 및 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신호 처리부(220)가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221)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이득을 자동 조정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ler)(222)와, 상기 자동 이득 조정기에 의해 이득 조정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무선 통신부(230)는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로부터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제2무선 통신 방식이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 중의 하나인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마스터 보청기(100)와 슬레이브 보청기(200)간에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 통신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마스터 보청기(100)와 슬레이브 보청기(200)간에 양방향 무선 통신이 이루어져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2무선 통신부(230)가 마스터 보청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어 스피커(240)는 상기 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제2무선 통신부(23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이어 스피커(240)가 귓구멍에 삽입되도록 제작된 디지털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신호 처리부(220)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제2무선 통신부(230)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가 보청 모드에서는 상기 신호 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어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하고, 무선 헤드셋 모드에서는 상기 제2무선 통신부(230)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이어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가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를 통해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듣거나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200)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260)와, 상기 맥박 측정기(260)에 의해 측정된 맥박정보를 로컬(Local) 저장하는 메모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양이 보청기의 슬레이브 보청기에 구현되는 맥박 측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맥박 측정기(260)는 IRED(Infrared Emitting Diode)(261)와, PD(Photo Diode)(262)와, 전류/전압 변환기(263)와, 증폭기(264)와, 필터(265)와, 구형파 출력기(266)와, 맥박 연산기(267)를 포함한다.
상기 IRED(261)는 사용자의 귀 뒤쪽 피부로 적외선(IR)을 조사한다. 상기 PD(262)는 사용자의 귀 뒤쪽 피부에서 반사되는 적외선(IR)을 수광하여, 수광되는 적외선(IR) 양에 따라 전류성분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263)는 PD(26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성분의 신호를 전압성분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증폭기(264)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26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성분의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필터(265)는 상기 증폭기(264)에 의해 증폭된 전압성분의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한다. 상기 구형파 출력기(266)는 상기 필터(265)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전압성분의 신호를 기준레벨 신호와 비교하여 신호 차이에 따라 구형파를 출력한다.
상기 맥박 연산기(267)는 상기 구형파 출력기(266)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의 분당 횟수를 계산하여 맥박을 연산하고, 상기 메모리(270)에 맥박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맥박 측정기(260)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맥박정보가 메모리(270)에 저장되어 축적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어부(250)가 상기 메모리(270)에 저장된 맥박정보를 읽어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2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마스터 보청기(100)로 맥박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맥박 측정기(260)에 의해 측정되어 메모리(270)에 저장된 사용자의 맥박정보가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마스터 보청기(100)로 전송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어부(150)가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맥박정보를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2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하여 제1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슬레이브 보청기(2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수신한 마스터 보청기(100)가 스마트 기기로 맥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마스터 보청기(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심장박동 이상 징후를 예측하는 등의 헬스케어에 응용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어부(150)가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과,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이어 스피커(2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연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2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2무선 통신부(230)로 전송되므로,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송 지연에 따른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 위상 차이를 보정하지 않는다면,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보다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이어 스피커(240)에서 늦게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송 지연에 따른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 위상 차이를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어부(150)를 통해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특정 시간 지연 제어하여 해소한다.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과,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이어 스피커(2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마스터 보청기(100)와 슬레이브 보청기(200)간에 제2무선 통신을 통해 시간 동기를 위한 신호를 루프백(Loopback)시켜 지연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지연 시간만큼 마스터 보청기(100)의 이어 스피커(140)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연시키면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어부(150)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 보청기(100)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의 제어부(150)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 보청기의 제2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을 슬레이브 보청기(200)로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어부(250)가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 수신시,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시킨다.
이 실시예는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즉 무선 헤드셋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함께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면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청취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헤드셋 모드에서는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시키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어부(250)가 마스터 보청기(100)의 배터리(도면 도시 생략) 잔량과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배터리(도면 도시 생략) 잔량을 비교하여, 맥박 측정기(260)의 맥박 측정 주기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마스터 보청기(100)기와 슬레이브 보청기(200)는 각각 수은 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되며,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맥박 측정기(260)가 너무 자주 웨이크 업(Wakeup)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한다면,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배터리 소모량이 마스터 보청기(100)기의 배터리 소모량 보다 매우 클 것이다.
따라서,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제어부(250)를 통해 마스터 보청기(100)의 배터리(도면 도시 생략) 잔량과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배터리(도면 도시 생략) 잔량을 모니터링 및 비교하여 슬레이브 보청기(200)의 맥박 측정 주기(웨이크 업 주기)를 실시간으로 적절하게 제어한다면, 마스터 보청기(100)기와 슬레이브 보청기(200)간의 배터리 잔량 차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보청기(100) 또는 슬레이브 보청기(200)가 각각 오디오 믹서(170)(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믹서(170)(280)는 각각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채널별로 증폭 또는 감쇄시켜 출력한다.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저주파 대역 오디오 신호에 비해 고주파 대역의 오디오 신호에 난청이 있다. 따라서, 오디오 믹서(170)(280)를 통해 각각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저주파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쇄시키고, 고주파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증폭시키는 주파수 채널별 오디오 신호 증폭 또는 감쇄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오디오 청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이 보청기에 보청 기능 외에 무선 헤드셋 기능, 맥박 측정 기능, 맥박정보 전송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보청기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마스터 보청기
110 : 마이크
120 : 신호 처리부
121 : 증폭기
122 : AGC
123 : AD 컨버터
130 : 제1무선 통신부
140 : 이어 스피커
150 : 제어부
160 : 제2무선 통신부
170 : 오디오 믹서
200 : 슬레이브 보청기
210 : 마이크
220 : 신호 처리부
221 : 증폭기
222 : AGC
223 : AD 컨버터
230 : 제2무선 통신부
240 : 이어 스피커
250 : 제어부
260 : 맥박 측정기
261 : IRED
262 : PD
263 : 전류/전압 변환기
264 : 증폭기
265 : 필터
266 : 구형파 출력기
267 : 맥박 연산기
270 : 메모리
280 : 오디오 믹서

Claims (13)

  1. 마스터 보청기와 슬레이브 보청기를 포함하는 양이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슬레이브측 마이크와;
    상기 슬레이브측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 자동 이득 조정 및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슬레이브측 신호 처리부와;
    상기 마스터 보청기로부터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측 제2무선 통신부와;
    상기 슬레이브측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슬레이브측 제2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슬레이브측 이어 스피커와;
    상기 슬레이브측 신호 처리부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슬레이브측 제2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슬레이브측 제어부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
    상기 맥박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맥박정보를 로컬(Local)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측 제어부가:
    상기 맥박 측정기를 통해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해당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저장하여 축적하도록 제어하는 맥박 측정 기능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맥박정보를 읽어 슬레이브측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마스터 보청기로 맥박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청기가: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스터측 마이크와;
    상기 마스터측 마이크에 의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 자동 이득 조정 및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스터측 신호 처리부와;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1무선 통신방식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스터측 제1무선 통신부와;
    상기 마스터측 신호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마스터측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측 이어 스피커와;
    상기 마스터측 신호 처리부에 의한 보청 기능 수행 및 상기 마스터측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한 무선 헤드셋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마스터측 제어부와;
    상기 마스터측 제1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제2무선 통신방식으로 슬레이브 보청기로 송신하는 마스터측 제2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측 제어부가:
    상기 슬레이브 보청기로부터 송신되는 맥박정보를 마스터측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마스터측 제1무선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맥박정보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측 제어부가:
    마스터측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과, 슬레이브측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마스터측 이어 스피커의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측 제어부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측 제어부가:
    제1무선 통신 기능 활성시, 마스터측 제2무선 통신부를 통해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을 슬레이브 보청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측 제어부가: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 중지 명령 수신시, 슬레이브 보청기의 보청 기능 수행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측 제어부가:
    마스터 보청기의 배터리 잔량과 슬레이브 보청기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여, 맥박 측정기의 맥박 측정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청기 또는 슬레이브 보청기가:
    보청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무선 헤드셋용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채널별로 증폭 또는 감쇄시켜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양이 보청기.
KR1020160134414A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양이 보청기 KR10188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414A KR101887411B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양이 보청기
US15/296,327 US9949044B1 (en) 2016-10-17 2016-10-18 Binaural hearing aid with multi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414A KR101887411B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양이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70A KR20180041970A (ko) 2018-04-25
KR101887411B1 true KR101887411B1 (ko) 2018-08-10

Family

ID=6187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14A KR101887411B1 (ko) 2016-10-17 2016-10-17 다기능 양이 보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49044B1 (ko)
KR (1) KR101887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4308B1 (en) * 2000-02-17 2004-12-21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media content presented on a media playing device
US10972845B1 (en) * 2019-09-30 2021-04-06 Sonova Ag Hearing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26B1 (ko) * 2011-06-27 2012-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티브 지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무선 양이 보청기
US20150124976A1 (en) * 2013-11-07 2015-05-07 Oticon A/S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two wireless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6073A1 (en) * 2000-12-19 2002-06-20 Taenzer Jon C. Automatically switched hearing aid communications earpiece
US20050090295A1 (en) * 2003-10-14 2005-04-28 Gennum Corporation Communication headset with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EP2132957B1 (en) * 2007-03-07 2010-11-17 GN Resound A/S Sound enrichment for the relief of tinnitus
EP2129088A1 (en) * 2008-05-30 2009-12-02 Oticon A/S A hearing aid system with a low power wireless link between a hearing instrument and a telephone
US9937355B2 (en) * 2010-11-08 2018-04-10 Zoll Medical Corporation Remote medical device alarm
US9131322B2 (en) * 2013-07-08 2015-09-08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ssistance devices in a bluetooth network
KR101504721B1 (ko) 2013-08-19 2015-03-2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26B1 (ko) * 2011-06-27 2012-1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티브 지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선된 무선 양이 보청기
US20150124976A1 (en) * 2013-11-07 2015-05-07 Oticon A/S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two wireless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9044B1 (en) 2018-04-17
KR20180041970A (ko) 2018-04-25
US20180109887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6901A1 (en) Ear-borne Audio Device Conversation Recording and Compressed Data Transmission
US10499183B2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multiple individual wireless earbuds for a common audio source
TWI551267B (zh) 睡眠輔助系統及其作業方法
US83259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bone conduction sound propagation
CN104637505B (zh) 音频播放方法及装置
US20170214994A1 (en) Earbud Control Using Proximity Detection
US20080101635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data logg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1118822A (ja) 電子機器、発話検出装置、音声認識操作システム、音声認識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28893B2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JP2017511025A (ja) イヤホンのサウンドエフェクト補償方法、装置及びイヤホン
CN107452395B (zh) 一种语音信号回声消除装置及电视机
US9288590B2 (en) Hearing device and method of low power operation thereof
WO2011152724A3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ear-level device and control device applied therein
US9247356B2 (en) Music player watch with hearing aid remote control
US10141494B2 (en) Headset and headphone
WO2017071183A1 (zh) 一种语音处理方法、装置及拾音电路
US10219081B2 (en) Configuration of hearing prosthesis sound processor based on control signal characterization of audio
KR101887411B1 (ko) 다기능 양이 보청기
EP26171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ring assistance to a user
US10042428B2 (en) Non-touch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01404A1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CN105554663B (zh) 用于估计听力装置的反馈通路的听力系统
CA2558301C (en) Hearing instrument with data transmission interference blocking
US10178482B2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JP6370205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