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07B1 -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407B1
KR101887407B1 KR1020160061025A KR20160061025A KR101887407B1 KR 101887407 B1 KR101887407 B1 KR 101887407B1 KR 1020160061025 A KR1020160061025 A KR 1020160061025A KR 20160061025 A KR20160061025 A KR 20160061025A KR 101887407 B1 KR101887407 B1 KR 10188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st
learning
o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0222A (en
Inventor
안은영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07B1/en
Publication of KR2017013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자기 주도 학습 증진 및 실시간 시험 평가를 실행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출판사, 학원강사, 교사, 개인 교습자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문제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학습용 문제 또는 시험용 문제의 제작시 마련된 전자문서 파일에 대해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지정하는 단계, (c) 상기 그룹 단위에서 특정 문제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d) 상기 특정 문제 영역 안에서 문제 번호, 각각의 보기 번호를 지정하고, 이 지정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문제 번호에 대응하는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연결을 위해 문제 정보 파일을 만들어 해당 문제에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정보 등을 입력하여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f) 상기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에 OID 코드를 인쇄하여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기 주도 학습 증진 및 시험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 The publisher, the lecturer, the teacher, and the tutor make the problem of the study paper or the test paper for the study. (b) designating a group unit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for an electronic document file prepared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learning problem or the test question; (c) designating a specific problem area in the group unit; (d) Designating a problem number and a view number in the specific problem area and extrac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area; (e) creating a problem information file for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number; Constructing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by inputting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information or the like to the problem, (f) And a step of printing and distributing an OID code to the learning question papers or test test papers, thereby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reducing test costs.

Description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mmentary contents of a problem,

본 발명은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주도 학습 증진, 실시간 시험 평가, 콘텐츠 제공에 대해 미세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lem solv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blem explan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blem solv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blem solving content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blem solving content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systematic method for solving a problem based on an object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ed with information and using commentary contents of the problem.

근래에는 인터넷과 개인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학습분야에서도 원격학습이나 화상학습 등과 같은 전자도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온라인 상으로 강의 및 문제지를 푸는 방식으로 개인 PC를 이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만 학습을 수행해야 했으나, 최근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의 사용이 급격히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보행 중 또는 이동 중에 온라인상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Internet and person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volved, learning methods using electronic tools such as distance learning and video learning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learning. This learning method has been required to perform learning only at a fixed location by using a personal PC in a way of solving lectures and questionnaires on the internet, but recently, the use of a device using wireless Internet has been rapidly activated and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So that learning can be performed online while walking or traveling.

또, 다양한 교육매체의 발달로 학습자는 보다 폭넓은 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 그 중 인터넷을 통한 교육서비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저비용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각광받는 교수 학습 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부응하여 e-러닝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달하게 되었고, 이제는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으로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불가능했던 맞춤형 교육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세분화된 수준별 학습을 제공함으로써,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 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습자의 개인 역량에 따른 교육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media, learners have been able to select and use a wider range of learning methods. Among them, educational services over the Internet have become more popular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overcoming time and space restrictions and low cost education. Sudan has become one of the. In response to this tendency, e-learning related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customized educational service, which is now impossible with offline education due to limited human resources, has become possible. For example, by providing leveled learning according to the individuality and ability of the lear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learner's personal competence by breaking away from the uniform teaching method of the past.

그러나 이와 같은 맞춤형 교육서비스에서도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교육 콘텐츠는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교수자가 먼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제공하면, 이를 수강한 학습자는 오프라인상에서 별도의 학습과정을 거친 후, 평가과정을 통해 학습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교육서비스는 강의를 수강한 학습자의 오프라인상에서의 노력 여하에 따라 학습성과가 좌우된다는 점에서, 종래 오프라인상의 교수법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실질적인 실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양방향 교육이 가능한 인터넷 교육환경에서 제대로 그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However, mo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so far in such customized education services take a form of unilateral education. In other words, if the instructor provides the lectur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the learner who took it can check the learning outcome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after going through a separate learning process in offline. In this way, the educational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has not differed from the offline teaching method in that the learning outcome depends on the offline effort of the learner taking the lecture.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practical abilit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he can not utilize the function properly in the Internet education environment where the interactive education is possible.

또한, 최근에는 학습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능동적 학습 방법의 일 형태로서, 자기 주도적 학습 방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은 특정 학습 과정에서 개인이 솔선수범하여 고취된 학습 욕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학습에 대한 인적, 물적 자원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접근전략을 이용하여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elf - directed learning methods as a form of active learning method in order to respect learners' personality and maximize individual potential. Self - directed learning consists of search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learning in order to satisfy the learning need inspired by the initiative in the specific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ng the learning result using appropriate approach strategy.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escribed in documents 1 to 3 below.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DB, 문제지 DB 및 학습자 정보 DB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350)를 통해 학습자 단말에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제공 모듈(302),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문제 풀이시간을 체크하는 시간 체크 모듈(303),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문제 풀이과정의 정확도를 산출하는 풀이과정 체크 모듈(304), 문제 풀이시간 및 풀이과정 정확도에 따라 정답률을 산출하는 정답률 산출 모듈(305) 및 학습자별로 실시간으로 문제 풀이시간, 문제 풀이과정 정확도, 정답률 분석 및 그에 따른 학습자의 성실도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내용을 생성하는 학습 평가 모듈(306)을 포함하고, 상기 정답률 산출 모듈은 문제 풀이시간이 학습자 단말에 제공된 제한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제1 범위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정답률을 하향 조정하고, 문제 풀이시간이 상기 제1 범위 시간보다 긴 제2 범위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정답률을 상기 제1 범위 시간을 초과한 경우보다 더 하향 조정하는 시간 기반 정답률을 산출하고, 문제풀이 과정 및 저장된 해답 키워드가 일치하는 개수에 따라 풀이과정 정확도를 산출하여, 상기 풀이과정 정확도 기반 정답률을 산출하며, 시간 기반 정답률 및 풀이과정 정확도 기반 정답률을 합산한 정답률을 산출하는 학습 관리 서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1, a problem provision module 302 for providing a problem to a learner terminal through a database 350 having a problem DB, a problem database and a learner information DB, A time check module 303 for checking the problem solving time received from the terminal, a solving process check module 304 for calculating the accuracy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calculating correct answers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time and the solving process accuracy And a learning evaluation module 306 for generating learning evaluation contents including the problem solving tim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ccuracy, the correct answer rate analysis and the learner's sincerity according to the learner, When the problem solving time exceeds the time limit provided to the learner's terminal or the preset reference time exceeds the first range time, Based correct answer rate in which the correct answer rate is adjusted lower than the case where the problem solving time exceeds the first range time when the problem solving time exceeds the second range time longer than the first range time, A correcting rate based on the number of coincidences between the solving process and the stored answer keyword is calculated, the correcting rate based on the correcting process accuracy is calculated, and the correcting rate based on the sum of the time based correcting rate and the correcting rate based on the correcting process accuracy is calculated Lt; / RTI >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의미적 정보를 서로 구분하는 시맨틱(semantic) 모델링을 이용해 학습자들의 학습 이력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정보에 연계하여 상기 학습자들이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풀이 및 힌트를 저장하는 풀이 및 힌트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정보, 상기 풀이 및 힌트 중 어느 하나에 연계하여 상기 문제를 저장하는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는 상기 학습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문제, 상기 풀이 및 힌트를 제공하며, 상기 풀이 및 힌트 제공시 상기 학습 이력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되는 힌트를 제공하는 학습능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능력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힌트 제시 방법, 학습능력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user information database for classify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learning histories of learners using semantic modeling that distinguishes semantic information from each other,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the problem in association with any one of the user information, the solution and the hint, a solution and hint database for stor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a hint, A learning ability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the solution and the hint, and provides a hint that the solution and the hin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history when providing the solution and the hint; and a hint presentation method, A serv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erver are disclosed .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 인터페이스 환경을 지원하는 학습 인터페이스부, 상기 맞춤형 학습에 필요한 학습 콘텐츠 정보, 학습 정보,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지식 데이터베이스, 상기 학습 인터페이스부 및 학습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며, 학습자의 학습 활동 분석 및 학습 상태 진단을 통해 학습자별 맞춤형 학습 콘텐츠 및 학습 과정을 개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부, 상기 학습 지식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정보를 관리하고, 관리되는 상기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정보를 상기 학습 지식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하는 학습 지식 관리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학습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learning interface unit that supports a learning interface environment for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a learning knowledge database that stores at least one of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learning information, and system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ustomized learning,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unit that links the interface unit and the learning knowledge database and provides the individual learning contents and the learning process to the individual learners through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learner and diagnosis of the learning condition, And a learning knowledg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information to be supported and for providing the learning knowledge database with information supporting the customized learning to be manag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10449호(2015.10.02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110449 (Published Oct. 20,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382호(2012.05.0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45382 (published on May 05,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2255호(2011.06.10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2255 (published on June 10, 2011)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말기 상에서 문제 풀기 및 학습을 진행하므로, 일정 일자가 경과한 후 학습자가 반복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반복하여 시스템에 접속을 하여 확인을 하던가 또는 그 결과물을 프린트하여 활용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blem is solved and the learning is performed on the terminal, after the lapse of a certain date, the learner repeatedly accesses the system and confirms the result, or prints the result There was a problem to be done.

또 토익 및 공무원 수험생, 각종 자격시험 수험생,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별도의 교재를 구입한 후, 이 교재에 대응하는 인터넷 강의만을 접속 가능하므로, 학습자의 학습 선택의 폭이 한정된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 TOEIC and civil servant candidates, various qualification examination candidate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urchased only a separate textbook, and only the Internet lecture corresponding to the textbook can be accessed.

또한, 인터넷 강의 등을 수강하여도 일방적인 강의만 진행하고 문제풀이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그 해설을 학습할 수 있을 뿐,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서 실시간으로 문제의 해설, 용어의 설명 등을 학습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aking lectures on the Internet, only one-sided lectures can be given, and after the lectures have been solved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the learner can learn the explanation of the problem and the explanation of the term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we could not learn.

또한, 현재의 시험 과정에서는 시험이 종료된 후, 채점이 이루어지고, 이 채점 결과에 따라 수험생의 등위를 결정하므로, 시험의 종료에서 등위 결과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도 있으며, 수험생이 틀린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공표된 후 공표된 문제지에 대해 자신의 표기한 답에 대해 추정하고, 이에 대한 해설을 확인해야 하는 번잡함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urrent test process, after the test is finished, the score is determined and the score of the candid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cor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from the end of the test to the result of the sc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posted after the problems are published and to confirm the commentary on th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험문제가 인쇄된 시험지 또는 문제집에서 학습자 또는 수험자가 문제를 풀면 매 문제를 풀 때마다 즉시 정답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blem solving method and a test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in which a learner or an examinee solves a problem on a test paper or a test book printed with test questions, A problem commentary contents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 또는 수험자가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학습 콘텐츠를 받을 수 있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lem solv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blem explanation system capable of receiving learning contents in real time in a process of solving a problem by a learner or an examine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자기 주도 학습을 증진시키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으로서, 문제 내용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고유 좌표인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저장하는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거쳐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포인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문제 풀이 동작을 수행하고, 문제 풀이에 대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제 처리 서버와 위치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에는 전자펜을 인쇄물에 접촉 시 그에 대응하는 고유 좌표 정보가 인가되고, 상기 전자펜은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소정 시간 대기 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 되며, 상기 문제 처리 서버는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OID 정보의 값 또는 명령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모듈과 상기 인증 모듈에서 인증된 OID 정보의 값 또는 명령이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인가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시험용 시험지인 경우 상기 전자펜의 터치에 따라 전달된 OID 코드를 이용해 문제풀이의 정/오답을 판단하고 기록을 남기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문제 처리 서버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펜의 터치에 따라 전달된 OID 코드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explaining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explaining contents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to a learner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 cod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n OID code of the printed matter and transmitting OID information which is a uniqu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OID code, a code recogni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OID transmitted from the code recognition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 terminal for displaying the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pointing information from the OI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one position, After the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 problem solv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etected problem information, a problem processing server for provid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solution, and a cont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retrieved Wherei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is an electronic pen, and when the electronic pe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inted matter, uniqu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and if the electronic pen is not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automatically detects whether the value of the O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or the command is the user registe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OID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a judgment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a value or command is a study paper or a test paper. , And if the test paper is a test paper, judges correct / incorrect answers of the problem solving by using the OID cod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electronic pen and leaves a record. The content server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like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The user can search for and provide a desired content using the OID cod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user.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OID 코드는 상기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에서의 문제 영역, 문제 번호 영역, 보기 영역 또는 기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ID code is provided in a problem area, a problem number area, a viewing area, or other area in the learning questionnaire or test book.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문제 처리 서버는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시험용 시험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험용 문제에 대한 채점을 실행하는 채점 모듈,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학습용 문제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학습용 문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모듈, 상기 채점 모듈에서 채점된 결과에 따라 수험자에 따라 등위를 판단하는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may include a scoring module that performs scoring for a test problem,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test site is the test site, A content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learning question, and an evalu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ranking according to an examinee according to a result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전자펜에는 인쇄물에 대응하는 고유 번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number corresponding to a printed matter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채점 모듈은 객관식 문제인 경우는 수험자가 전자펜으로 보기 영역을 포인팅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주관식 문제인 경우는 수험자가 전자펜으로 답안 영역을 포인팅 하므로써 단말기에서 답안 텍스트 입력 모드가 되고,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단말기의 자판을 이용해서 답안 텍스트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ore module is a multiple choice question, the examinee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nswer is correct in real time by pointing the viewing area with the electronic pen, The terminal enters the answer text input mode, and the answer text is input using the electronic pen or the terminal board of the terminal, there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nswer is correct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terminal .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any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and a desktop computer as an intelligent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search function do.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은 학습자가 상기 문제 영역 내의 문제번호, 용어 또는 단어를 포인팅하면, 그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provid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learner points to a problem number, a term or a word in the problem area, the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상기 문제 처리 서버와 학습자 또는 수험자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자 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 처리 서버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formation database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with users who are learners or examinees,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And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having a content databas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content server and storing the conten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의 운영 방법은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구축된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의 운영 방법으로서, (a) 시험지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에 대해 사용자의 수험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펜의 고유 번호를 인가하고 시험시간 동안만 인식부(21)가 작동되게 제어부(22)가 제어하는 단계, (b) 시험용 시험지의 문제에 대해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지정하고, 상기 그룹 단위에서 특정 문제 영역을 지정하며, OID 코드가 인쇄된 시험용 시험지를 상기 전자펜으로 인식하여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단말기(30)가 인식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문제처리 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문제 처리 서버(40)의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미세 OID 코드의 값에 따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인증을 하고, 전자펜으로 포인트한 문제에 대해 채점 모듈(44)에서 채점을 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a)에서 고유 번호가 인가된 전자펜에 대해 시험의 종류 후, 콘텐츠 서버(70)를 통해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blem solving method and an operation method of problem explaining contents, the method comprising: (a) The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recognition unit 21 to operate only for the test time by applying the unique number of the electronic pen to the electronic pe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est number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pen as the device 20, A step of designating a group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for the problem of the test paper, designating a specific problem area in the group unit, recognizing the test paper on which the OID code is printed by the electronic pen, (c) transmitting the value or command of the OID code recognized by the terminal 30 to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in the step (b); (d) Authenticating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received in the module 41 and scoring a question in the scoring module 44 pointed by the electronic pen, ) Providing the commentary content through the content server 70 after the type of the test for the electronic pen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pplied in the step (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에 의하면, 문제 내용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과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자기 주도 학습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de recognition device for transmitting OID information and a printed matter on which fine OID (cod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realize self-initiated learning.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에 의하면,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인 시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시험의 종료와 함께 채점 결과 및 등위를 알 수 있으므로, 시험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problem explanation and problem explan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 and the score can be known at the end of the test by using the test paper, which is a printed matter on which the fine OID code is recorded, Reduction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의 학습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지 또는 시험지에 마련된 미세 OID 코드의 배치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드 인식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문제 처리 서버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시스템에서 문제지 또는 시험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에 대한 시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learning management server,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ayout diagram of the fine OID code provided in the test paper or the test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de recognition device shown in FIG. 2,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shown in FIG. 2;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for a questionnaire or test paper in th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est processing procedure for a tes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인쇄물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를 포함한다. 학습용 문제지는 교과서, 참고서, 수험서 등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토익 문제집, 공무원 수험용 문제지, 각종 자격시험 문제지, 중고등학교 학습용 문제지를 포함하며, 특정 문제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험용 시험지는 토익 등 자격시험용 시험지, 공무원 채용용 시험지, 중고등학교 학생 내신 또는 모의고사용 시험지, 수능 시험지 등을 포함하며 특정 시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inted matte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 study paper or a test paper ". The questionnaire for study refers to a textbook, a reference book, and a test book. For example,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TOEIC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for civil servants examination, various qualification test questionnaires, and a questionnaire for secondary school study. It is not limited to test paper for qualification test, examination paper for civil servant recruitment,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 or mock exam, test for SAT test.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학습자'는 중 고등학교 학생, 각종 자격시험 준비자, 공무원 시험 준비자 등을 의미하며, '수험자'는 실제 시험지로 시험을 치르는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학습자 또는 수험자를 의미하고, 운영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에 미세 OID(object identifier) 코드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term 'learn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qualification examiners, official examiner candidates, and the 'examinee' means a person who takes the test using the actual test paper. Further, the user means a learner or examinee, and the operator means to prepare a micro OID (object identifier) code in the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nstruct a database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은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이러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commentary contents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can solve problems and use commentary contents of the problems, and propose a system for constructing such a system systematically.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지 또는 시험지에 마련된 미세 OID 코드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코드 인식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문제 처리 서버의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solving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ayout diagram of fine OID codes provided in a test paper or a test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shown in FIG. 2.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자기 주도 학습을 증진시키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수험자에게 실시간으로 시험 정보를 통지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으로서, 문제 내용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10),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30),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저장하는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60),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거쳐 상기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포인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문제 풀이 동작을 수행하는 문제 처리 서버(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arning contents to the learner so as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vides problem solving contents and problem explanation contents A system comprising: a printed matter (10) on which fine OID codes regularly arranged with a problem content are recorded; a code recognition device (20) for recognizing an OID code of the printed matter and transmitting OI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code; A terminal (30) for receiving the O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troub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for storing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From the OI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 or the repeater 2,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pointed by the user And a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that detects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and then performs a test problem solving operation using the detected problem informa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은 통신망(1)을 통해 문제 처리 서버(40)와 학습자 또는 수험자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자 정보데이터베이스(50), 통신망을 통해 문제 처리 서버(40)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6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7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와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문제 처리 서버(40)와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와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60)가 문제 처리 서버(4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explan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with users who are learner or examine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70 having a server 40 and a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and a content database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2,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nd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are separated from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server 40. [

상기 통신망(1)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한 인터넷이 가능한 망으로서 특정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계기(2)도 단말기(30)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문제 처리 서버(40)가 직접 접속 가능한 통상의 스마트폰용 중계기이면 충분하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1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etwork as a network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the repeater 2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0 using a smart phone so that the smart phone and the trouble- A normal repeater for a smartphone that can be connected is sufficient.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은 통상의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D 코드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에서의 문제 영역(11), 문제 번호 영역(12), 보기 영역(13)에 각각 마련된다. 이와 같은 OID 코드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면 충분한 것으로서 특정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제작시 문제 번호(12), 각각의 보기 번호(13) 및 기타의 영역에 OID 코드가 인쇄된 것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3, the printed mat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rmal learning question paper or a test paper. The OID code is a question paper 11, a problem number area 12, a view number area 12, Regions 13, respectively. Such an OID code is sufficient if it has a func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posi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ndition. That is, the printed mat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the OID code is printed in the problem number 12, the respective view number 13, and other areas in the production of the study paper or test paper.

이와 같은 OID 코드는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제작시 전자문서 파일에 대해 운영자가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정하고 특정 문제 영역(11)을 지정하면, 그 영역 안에서 문제 번호(12), 각각의 보기 번호(13)에 해당하는 텍스트(텍스트 문자 열)을 찾고, 그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정답 또는 해설 컨텐츠 연결을 위해 문제 정보를 엑셀 시트로 보내고 해당 문제에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정보 등을 입력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구축하게 한다. Such an OID code sets the group number of the learning problem or the test question on the electronic document file when designing the study paper or the test paper, and designates the specific problem area 11 in which the problem number 12, (Text string) corresponding to the view number 13 of the view number 13,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sends the problem information to the Excel sheet for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connection, inputs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information to the question , And causes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to be built on this basis.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OID 코드를 스캔하고, OID 코드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으로 단말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스캔 기능을 구비한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에는 인쇄물에 대응하는 고유 번호가 인가될 수 있으며, 이 전자펜에는 연필(샤프 펜슬)이나 볼펜, 형광 펜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has a function of scanning an OID cod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OID code to the terminal 3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is an electronic pen having a scanning function, and a unique number corresponding to a printed matter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 function of a pencil (pencil), a ballpoint pen,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D 코드를 스캔 하여 인식하는 인식부(21),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전원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2), 인식부(21)에서 인식된 OID 코드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하는 송신부(23), 인식부(21), 송신부(23)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2)는 단말기(30)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3분 대기 후 자동 전원 오프가 되도록 전원부(24)를 제어하여 소모 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상기 전원부(24)는 예를 들어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구비하고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사용하여 5V 0.5A DC로 충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21 for scanning and recognizing an OID code, a control unit 22 for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i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And a power supply unit 24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transmission unit 23, the recognition unit 21, the transmission unit 23 and the lik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OID cod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21 to the terminal 3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24 so as to turn off the automatic power supply after 3 minutes standby if the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30 is not establish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lithium polymer battery and be configured to be charged to 5V 0.5A DC using a micro USB connector.

상기 단말기(30)는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해설 콘텐츠 등을 구동하기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30)는 학습 진행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가능하고,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적용되는 경우, 중계기(2)를 거쳐 문제 처리 서버(40)에 연결된다. 즉 단말기(30)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부터 스캔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며, 예를 들어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단말기(30)에 내장된 학습 진행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30)에서 자체 처리되고, 학습 진행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은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거쳐 학습 서버(60)로 전송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terminal 30 may be applied to various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and may include a web application for driving commentary contents and the like. That is, the terminal 30 i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or a desktop computer as an intelligent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 learning progress application and equipped with an internet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search function in a mobile phone, For example, when a smart phone is applied, it is connected to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via the relay 2. That is, the terminal 30 receives the value or command of the OID code scanned from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for example, the value or command of the OID code is received by the learning progress application embedded in the terminal 30 A value or an instruction of an OID code which is self-processed by the terminal 30 and is not executed by the learning progress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learning server 6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 or the relay 2 As shown in FIG.

상기 문제 처리 서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통해 전송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41),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모듈(42), 인증 모듈(42)에서 인증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인가 판단하는 판단 모듈(43), 상기 판단 모듈(43)에서 시험용 시험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험용 문제에 대한 채점을 실행하는 채점 모듈(44), 송신 모듈(49)을 포함한다.5,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includes a receiving module 41 and a receiving module 41 for receiving a value or an instruction of an OID cod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or the repeater 2 An authentication module 42 for verifying that the value or command of the received OID code is a user registe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 value or an instruction of the OID code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42 as a test paper or test paper And a scoring module 44 and a sending module 49 for scoring a test question if it is judged to be a test strip in the judgment module 43.

상기 수신 모듈(41)과 송신 모듈(49)은 통상의 서버에 마련된 수신기 및 송신기로서 특정 수신기 및 송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증 모듈(42)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을 구입할 때,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적합한 사용자인지 판단하여 인증한다. The receiving module 41 and the transmitting module 49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receiver and a transmitter. When the user purchases a study paper or an electronic pen as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the authentication module 42 receives from the reception module 41,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nd judges whether the value of the OID code or command is a suitable user and authenticates.

상기 판단 모듈(43)은 상기 인증 모듈(42)에서 인증된 사용자가 학습자인지 또는 수험자인지 판단한다. 이와 같은 판단은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의 고유 번호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험장에서 수험자가 시험지에 대해 문제를 푸는 경우, 수험장에서 배분된 전자펜의 고유 번호(수험 번호에 대응)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module 43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ed user is the learner or the examinee in the authentication module 42. This judgment can be easily realized by the value of the OID cod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41 or the unique number of the electronic pen which is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examinee solves the problem on the test paper at the test site, it can be easily achieved by the uniqu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est number) of the electronic pen distributed at the test site.

상기 채점 모듈(44)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제작시 문제 번호(12), 각각의 보기 번호(13)에 마련된 OID 코드에 대응 미리 마련된 정답의 보기 번호에 대응하여 채점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채점 모듈(44)은 시험문제가 인쇄된 시험지 또는 문제집을 풀면 문제 풀이가 끝나는 즉시 또는 매 문제를 풀 때마다 즉시 정답인지 아닌지의 판별한다. 즉 상기 채점 모듈(44)은 학습자 또는 수험자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로 보기 영역을 포인팅하는 것에 의해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 미리 저장된 문제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모듈(49)을 통해 채점 결과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시험의 종료와 함께 채점 결과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채점을 위한 시간 등의 비용을 절감하므로 각종 시험 진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grading module 44 performs grading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number 12 and the example number of the correct answer prepared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OID code provided in the respective view number 13 in the production of the study paper or test paper. The scoring module 4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st questions are immediately correct as soon as the problem solving ends or each time a problem is solved. That is, the learner module or the examinee determines whether the learner or examinee is correct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oblem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by pointing the viewing area to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49) to the terminal (30). Since the result of scoring can be judged at the end of the tes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such as the time for scoring, and thus the cost for conducting various tests.

또한, 상기 채점 모듈(44)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작동 시간과 연동하여 채점을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작동이 시험 개시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작동하고, 시험 종료 시간에 동기하여 코드 인식 디바이스(20)가 오프로 되는 것에 의해 시험 시간을 엄격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coring module 44 may perform scor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time of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That is,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operates at the same time as the test start time, and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is turned off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est end time, have.

상기 인증 모듈(42), 판단 모듈(43) 및 채점 모듈(44)의 각각의 기능은 서버 내에 구획되어 마련된 하드웨어적인 구성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The functions of the authentication module 42, the determination module 43, and the scoring module 44 are realized by a hardware configuration or a program partitioned in the server.

또 상기 문제 처리 서버(40)는 평가 모듈(45), 콘텐츠 제공 모듈(46), 선택 모듈(47), 수익 배분 모듈(48)을 더 구비한다.,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further includes an evaluation module 45, a content providing module 46, a selection module 47, and a profit distribution module 48. [

상기 평가 모듈(45)은 예를 들어 수험자가 특정 장소에서 시험을 보는 경우, 상기 채점 모듈(44)에서 채점된 결과에 따라 수험자에 따라 등위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평가 모듈(45)은 중고등학교 학생이 집이나 도서관에서 모의고사 등의 시험에 참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채점 모듈(44)에 의해 채점된 결과에 따라 등위를 판단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aminee looks at the test at a specific place, the evaluation module 45 judges the rank according to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result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44. In addition, when the middle school student participates in a test such as a mock examiner at a home or a library, the evaluation module 45 can determine the ranking according to a result scored by the scoring module 44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have.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46)은 상기 판단 모듈(43)에서 학습용 문제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학습용 문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즉 콘텐츠 제공 모듈(46)은 학습자가 문제 영역(12) 내의 용어 또는 단어를 포인팅하면, 송신 모듈(49)을 통해 그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한다.The content providing module 46 provid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blem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odule 43 that it is a question paper for learning. That is, when the learner points to a term or a word in the problem area 12, the content providing module 46 transmits the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to the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49. [

이와 같은 콘텐츠는 OID 코드가 마련된 학습용 문제지에 대응하여 미리 마련된 문제 풀이 해설 콘텐츠를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의 인식부(21)에 의해 스캔된 단어에 대해 온톨로지(ontology)의 개념으로 콘텐츠 서버(70)를 통해 추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Such contents are based on the problem-solving commentary contents prepared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question-of-study questionnaire provided with the OID c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dditional data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server 70 on the concept of an ontology for a word scanned by the recognition unit 21 of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

온톨로지는 사람들이 사물에 대해 생각하는 바를 추상화하고 공유된 모델로, 정형화되어 있고 개념의 타입이나 사용상의 제약 조건들이 명시적으로 정의된 기술을 말한다. 온톨로지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는 어떤 관심 분야를 개념화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정형화한 명세서(An Ontology is an explicit and formal specification of conceptualisation of a domain of interest)이다. 이는 온톨로지는 일단 합의된 지식을 나타내므로 개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관련된 모든 구성원들의 동의에 의해 수용되는 개념과 개념들 간의 관계를 공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정형화를 통하여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여 나타낸 용어들의 논리적 집합이다. 이러한 온톨로지의 개념의 일 예로서, 학습자가 학습용 문제지로서 고등학교 2학년 국사 문제집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펜에 의해 스캔된 단어가 '거란족' 및 '침입'인 경우, 다수의 콘텐츠 서버(70)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온톨로지의 개념에 의한 추출은 본 발명자가 특허 출원한 10-2011-0062867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n ontology is a technology that abstracts what people think about an object and is a shared model, formalized, and explicitly defining constraints of type or use of a concept. A commonly used definition of an ontology is an explicit specification of an explicit and formal specification of a conceptualization of a domain of interest to conceptualize a field of interest. This is because the ontology represents the agreed knowledge, so it i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but it sha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concepts accepted by the consent of all related members, As shown in FIG. As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the ontology, when a learner uses a second-grade Korean language education workbook as a question paper for learning, and the words scanned by the electronic pen are 'raglan' and 'intrusion',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70 And extracts the corresponding content. Since the extraction by the concept of the ontology is described in the patent application 10-2011-0062867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선택 모듈(47)은 상기 전자펜에 의해 선택된 문제 해설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교재 또는 강사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종래의 1:1 개념의 문제 해설 콘텐츠의 제공과 달리 동일한 문제에 대해 다수의 교재 또는 다수의 강사가 다수의 콘텐츠 서버(70)에 올린 문제 해설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다양한 해설 콘텐츠에 접근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selection module 47 is provided for selecting a textbook or a lecturer desir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roblem description content selected by the electronic pen. In other words, 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explaining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plurality of textbooks or a plurality of instructors on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70 for the same problem, unlike the conventional one- You can learn the contents of the problem commentary by selecting it. Therefore, the learner can access various commentary contents and improve the learning effect.

상기 수익 배분 모듈(48)은 다수의 강사 또는 저작자가 다수의 콘텐츠 서버(70)에 올린 문제 해설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해설 콘텐츠에 따라 강사 또는 저작자에게 지급해야 할 강의료를 배분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익 배분 모듈(48)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강사 및 저작자들은 선의의 경쟁을 통해 콘텐츠의 품질을 최상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일정한 수준의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ofit distribution module 48 is arranged to distribute a lecture fee to be paid to the lecturer or the author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 commentary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roblem commentary contents that a plurality of lecturers or authors put on the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70 . By providing such a profit distribution module 48, the lecturers and authors can maintain a certain level of low price while upgrading contents quality to the best through good competition.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지 또는 시험지에 마련된 미세 OID 코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building a database according to the micro OID code provided in the test paper or the test paper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시스템에서 문제지 또는 시험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for a questionnaire or test paper in th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출판사, 학원강사, 교사, 개인 교습자가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문제를 제작하고(S10), 이 학습용 문제 또는 시험용 문제의 제작시 마련된 전자문서 파일에 대해 운영자가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지정한다(S11). 예를 들어 고등학교 2학년 국사에 대해 각각의 단원에 대응하는 그룹 단위를 지정하고,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문제 영역(11)을 지정한다(S12). 계속해서 그 영역 안에서 문제 번호(12), 각각의 보기 번호(13)를 지정하고(S13,S14), 이 지정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S15).First, a publisher, a school lecturer, a teacher, and a tutor make a problem (S10) of a study paper or a test paper, and a group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Unit is designated (S11). For example, a group unit corresponding to each unit is designated for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then a specific problem area 11 is designated as shown in FIG. 3 (S12). Subsequently, the trouble number 12 and the respective view number 13 are designated in the area (S13, S14),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area is extracted (S15).

다음에 각 문제 번호(12)에 대응하는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연결을 위해 문제 정보 파일을 만들어 해당 문제에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정보 등을 입력하며(S16), 이것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구축하게 한다(S17). 이와 같은 문제 정보의 구축과 함께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D 코드가 인쇄되어 배포된다.Next, a problem information file is created for connection of the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problem number 12, and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information or the like is inputted to the question (S16). Based on this, the basic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S17). The OID code is printed and distributed to the question paper for study or the test paper for test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problem information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구축된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이용하여 시험 문제를 푸는 사용자가 시험지의 문제 번호와 보기 번호를 순차적으로 포인팅하는 경우, 상기 문제 정보를 이용한 동작을 수행하는 문제 풀이 및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ho solves the test problem using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equentially points to the problem number and the view number of the test paper, the problem solu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using the problem information,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학습용 문제지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a process of a learner learning using a question paper for learning in which a fine OID code is recorded in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 explan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시스템의 작동은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문제지 또는 시험지의 제작이 이루어지고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구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물(10)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such that after the production of the question paper or the test paper as shown in FIG. 6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is completed, the user moves the printed matter 10 as shown in FIG. 2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is purchased and used.

사용자가 학습을 원하는 문제의 그룹 단위에 따라 문제 풀기를 시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에서 [문 1]에 대해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으로 포인팅하는 경우(S20), 즉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인식부(21)가 [문 1]을 스캔하면, [문 1]에 마련된 미세 OID 코드의 값이 읽혀지고 송신부(23)를 통해 단말기(3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미세 OID 코드의 값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단말기(30)로 전송되고,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된 웹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통신망(1) 또는 중계기(2)를 통해 문제 처리 서버(40)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전송된다.In the case of pointing to the electronic pen which is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Question 1] in the problem as shown in Fig. 3 (S20) in order to execute the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 group of problems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recognition unit 21 scans [Expression 1] i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provided in [Expression 1]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23.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composed of the smart phone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and the smart phone, and the web applic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mart phone is activated, The value or command of the OID code is transmitted to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via the relay 2.

문제 처리 서버(40)는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미세 OID 코드의 값에 따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인증을 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를 사용 중인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에 판단 모듈(43)은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따라 정당 사용자가 학습용 문제지에서 [문 1]을 학습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authenticate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41. When the user inputs the printed matter 10 and the code recognition The device 20 is recognized as being in use. Next, the determination module 43 determines that the party user learns [Question 1] from the learning paper according to the value or command of the received OID code.

이어서 사용자가 [문 1]에 대한 문제를 풀고 보기 번호(13)에서 ①을 포인팅하면(S22), 채점 모듈(43)에서는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와 연동하여 정답으로 판단하고, 이 정답의 상태를 송신 모듈(49)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22, S23).Then, when the user solves the problem of [Statement 1] and points to (1) in the view number (13) (S22), the scoring module 43 interlocks with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to determine that the answer is correct,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49 (S22, S23).

상기 단계 S23에서 정답인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하여 사용자가 다음 문제를 풀기 위해 진행을 하고, 상기 단계 S23에서 오답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해설 자료 수신을 요구할 수 있다(S24). 이와 같은 요구는 스마트폰에 마련된 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설 자료 요구에 따라 콘텐츠 제공 모듈(46)은 콘텐츠 서버(70)을 통해 [문 1]에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 that the answer is correct, the user proceeds to solve the next problem, 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S23 that the answer is incorrect, the user may request reception of commentary data (S24). Such a request can be executed by a web application provided on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commentary data request, the content providing module 46 provid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statement 1] through the content server 70.

사용자가 상기 단계 S24에서 수신된 해설 자료를 이해하면(S25),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5에서 사용자가 해설 자료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 추가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S26). 이와 같은 추가 자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 모듈(47)을 통해 직접 콘텐츠 서버(70)에 접속하여 인터넷 강의, 동영상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강사를 선택하여 추가 해설 자료를 선택할 수 있다(S28).If the user understands the commentary data received in step S24 (S2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fully understand the commentary data in step S25, the user can request additional data (S26). Such additional dat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er 70 through the selection module 47 to receive Internet lectures and moving image data at the user's option.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select the instructor he / she desires to select additional commentary material (S28).

상기 단계 S27 및 S28에서의 자료 수신 및 선택에 따라 수익 배분 모듈(48)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강사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자료 집필자 또는 강사에게 수익을 배분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and selection at steps S27 and S28, the profit distribution module 48 calculates the profit rate of the instruct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distributes the profit to the data writer or the instructor.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시험용 시험지에 따라 수험자가 시험보는 과정에 대해 도 8에 따라 설명한다.Next, a process for examiner testing according to a test sheet on which a fine OID code is recorded in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지에 대한 시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test processing procedure for a test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험지에 대한 시험 처리 과정에서는 미리 시험지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 대해 사용자의 수험번호에 대응하여 전자펜의 고유 번호를 인가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1). 즉 동일 문제의 배열로 이루어진 시험지에 대해서는 전자펜에 고유 번호를 인가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문제 배열이 상이한 경우, 전자펜에 고유 번호를 인가할 필요는 없다. In the test process for the test papers,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unique numbers of the electronic pens to the test papers and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test number of the user in advance (S31).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apply a unique number to the test pens for the test pads having the same problem arrangement. However, when the trouble pa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unique number to the test pens.

이후 시험 감독관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인 시험지를 배포하고(S31), 사용자는 시험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는 제어부(22)를 통해 시험 시간동안에만 인식부(21)가 작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est supervisor distributes the test paper as the printed mat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31), and the user executes the test. At this time,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recognition unit 21 only during the test time through the control unit 22.

사용자가 시험 문제를 풀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에서 [문 1]에 대해 전자펜으로 포인팅하는 경우(S32), 즉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에서 인식부(21)가 [문 1]을 스캔하면, [문 1]에 마련된 미세 OID 코드의 값이 읽혀지고 송신부(23)를 통해 단말기(3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미세 OID 코드의 값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와 시험장에 마련된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로 이루어진 단말기(30)로 전송되고,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에 미리 저장된 웹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어 통신망(1)을 통해 문제 처리 서버(40)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이 전송된다.When the user uses the electronic pen to point at point S32 in the problem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solve the test problem (S32), that is, when the recognition unit 21 i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reads [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provided in [statement 1]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23.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 composed of the notebook computer or the desktop computer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of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and the notebook computer or the desktop computer provided in the test site, A previously stored web application is activated and the OID code value or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 [

문제 처리 서버(40)는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미세 OID 코드의 값에 따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인증을 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10)과 코드 인식 디바이스(20)를 사용 중인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에 판단 모듈(43)은 수신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에 따라 정당 사용자가 시험지에서 [문 1]을 시험보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authenticates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received by the receiving module 41. When the user inputs the printed matter 10 and the code recognition The device 20 is recognized as being in use. Next, the judgment module 43 judges that the party user tests [door 1] on the test sheet according to the value or command of the received OID code.

이어서 사용자가 [문 1]에 대한 문제를 풀고 보기 번호(13)에서 ①을 포인팅하면(S33), 채점 모듈(43)에서는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60)와 연동하여 정답으로 판단하고, 이 정답의 상태를 송신 모듈(49)을 통해 시험장에 마련된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34).Then, when the user solves the problem of [Statement 1] and points to ① in the view number 13 (S33), the scoring module 43 determines that the answer is correct in cooperation with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60, To the laptop computer or desktop computer smart phone provided at the test site through the transmission module 49 (S34).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시험이 완료되면,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에는 수험자에 대한 채점이 완료되어 표기되고, 이와 함께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채점 모듈(44)에 의해 채점된 결과에 따라 등위를 판단하게 할 수 있다(S35). 이와 같이 시험의 종료와 함께 채점 결과 및 등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채점을 위한 시간 등의 비용을 절감하므로 각종 시험 진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and the test is completed, the score of the examinee is displayed on the notebook computer or the desktop computer, and the score is judged according to the result scored by the scoring module 44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valuation criterion (S35). Since the scoring result and the score can be judged at the end of the tes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s such as time for scoring, and thus various test progress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단계 S30에서 고유 번호가 인가된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 시험의 종류 후, 사용자는 해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S36). 이와 같은 해설 콘텐츠의 제공은 도 6에서 단계 S24 내지 단계 S28과 같은 결로를 통해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 한다.If the electronic pen with the unique number is used in step S30,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commentary contents after the type of the test (S36). The provision of such commentary content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ame condensation as steps S24 to S28 in Fig. 6,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및 구축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자기 주도 학습 증진 및 시험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By using the problem solving and problem-explaining contents system and the bui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reduce the test cost.

10 : 인쇄물
20 : 코드 인식 디바이스
30 : 단말기
40 : 문제 처리 서버
5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60 :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70 : 콘텐츠 서버
10: Printed matter
20: Code recognition device
30:
40: Problem-handling server
50: User information database
60: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70: Content server

Claims (9)

학습자에게 자기 주도 학습을 증진시키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으로서,
문제 내용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OID(object identifier)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상기 인쇄물의 OID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OID 코드에 대응하는 고유 좌표인 OID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 인식 디바이스,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상기 OID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상기 OID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저장하는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
통신망 또는 중계기를 거쳐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OID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포인팅한 위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문제정보를 이용하여 시험 문제 풀이 동작을 수행하고, 문제 풀이에 대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제 처리 서버와
위치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인식 디바이스는 전자펜이고, 상기 전자펜에는 전자펜을 인쇄물에 접촉 시 그에 대응하는 고유 좌표 정보가 인가되고, 상기 전자펜은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소정 시간 대기 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 되며,
상기 문제 처리 서버는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OID 정보의 값 또는 명령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 모듈, 상기 인증 모듈에서 인증된 OID 정보의 값 또는 명령이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인가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전자펜에 의해 선택된 문제 해설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교재 또는 강사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선택 모듈, 상기 선택 모듈에 의해 선택한 문제 해설 콘텐츠에 따라 강사 또는 저작자에게 지급해야 할 강의료를 배분하기 위해 마련된 수익 배분 모듈을 포함하고, 시험용 시험지인 경우 상기 전자펜의 터치에 따라 전달된 OID 코드를 이용해 문제 번호와 보기 번호를 모두 터치하지 않고 보기 영역만을 포인팅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해당 문제의 정/오답을 판단하고 기록을 남기며,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문제 처리 서버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펜의 터치에 따라 전달된 OID 코드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상기 OID 코드는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제작시 전자문서 파일에 대해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정하고 특정 문제 영역을 지정하면, 그 영역 안에서 문제 번호, 각각의 보기 번호에 해당하는 텍스트 문자 열을 찾고, 그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정답 또는 해설 컨텐츠 연결을 위해 문제 정보를 엑셀 시트로 보내고 해당 문제에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정보 등을 입력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A problem solving and problem interpretation contents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to a learner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 printed matter on which the problem contents and regularly arranged OID (object identifier) codes are recorded,
A code recognition device which recognizes an OID code of the printed matter and transmits OID information which is a uniqu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OID code,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OI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de recognition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troub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A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ID information,
The controller detects the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pointed by the user from the OID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repeater, A problem processing server that performs a test problem solving operation and provides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oblem solving process;
And a content server for searching for and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de recognition device is an electronic pen, and when the electronic pen is in contact with a printed matter, uniqu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and when the electronic pen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ff,
Wherein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comprises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verifying whether the value of the O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or the user is a user registe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a value or command of the OID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module, A selection module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 a textbook or a lecturer desir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description content selected by the electronic pen, a lecture fee to be paid to the lecturer or the author in accordance with the question description content selected by the selection module In the case of a trial test pad, by pointing only the viewing area without touching both the problem number and the view number using the OID cod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electronic pen, / Judge the wrong answer and leave a record,
The content server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like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searches for and provides a content desired by the user using the OID cod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electronic pen,
The OID code specifies a group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for an electronic document file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a study paper or a test paper and designates a specific problem area. In this area, a problem number, a text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view number And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sends the problem information to the Excel sheet for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connection, inputs the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information to the problem, and builds up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i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nd problem commentary content system.
제1항에서,
상기 OID 코드는 상기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에서의 문제 영역, 문제 번호 영역, 보기 영역 또는 기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ID code is provided in a problem area, a problem number area, a viewing area, or another area in the learning questionnaire or test book.
제2항에서,
상기 문제 처리 서버는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시험용 시험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험용 문제에 대한 채점을 실행하는 채점 모듈,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학습용 문제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학습용 문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모듈,
상기 채점 모듈에서 채점된 결과에 따라 수험자에 따라 등위를 판단하는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comprises: a scoring module for performing scoring for a test problem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test strip is the test strip,
A content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a learning question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odule that the content is a question paper for learning,
And an evalu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n equality according to an examinee according to a result scored in the scoring module.
제3항에서,
상기 전자펜에는 인쇄물에 대응하는 고유 번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uniqu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matter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en.
제4항에서,
상기 채점 모듈은 객관식 문제인 경우는 수험자가 전자펜으로 보기 영역을 포인팅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주관식 문제인 경우는 수험자가 전자펜으로 답안 영역을 포인팅 하므로써 단말기에서 답안 텍스트 입력 모드가 되고,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단말기의 자판을 이용해서 답안 텍스트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f the question module is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examinee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is real-time by pointing the viewing area with the electronic pen. If the answer module is a question of a short answer type, the examinee points the answer area with the electronic pen, , And an answer text is input by using an electronic pen or a terminal board of the terminal, and a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answer text,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TV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is one of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TV, a notebook computer, and a desktop computer as an intelligent terminal hav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search function.
제4항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은 학습자가 상기 문제 영역 내의 문제번호, 용어 또는 단어를 포인팅하면, 그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ents providing module sends the corresponding learn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when the learner points to a problem number, a term or a word in the problem area.
제3항에서,
상기 문제 처리 서버와 학습자 또는 수험자인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자 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 처리 서버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다수의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user information database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with users who are learners or examine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ent servers each having a content databas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trouble information database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ing contents, .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시스템에서 구축된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의 운영 방법으로서,
(a) 시험지와 코드 인식 디바이스(20)인 전자펜에 대해 사용자의 수험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펜의 고유 번호를 인가하고 시험시간 동안만 인식부(21)가 작동되게 제어부(22)가 제어하는 단계,
(b) 시험용 시험지의 문제에 대해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지정하고, 상기 그룹 단위에서 특정 문제 영역을 지정하며, OID 코드가 인쇄된 시험용 시험지를 상기 전자펜으로 인식하여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단말기(30)가 인식한 OID 코드의 값 또는 명령을 문제처리 서버(40)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문제 처리 서버(40)의 수신 모듈(41)에서 수신된 미세 OID 코드의 값에 따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0)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인증을 하고, 문제가 아닌 보기 번호만을 전자펜으로 터치하도록 하고, 터치된 보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문제를 자동으로 찾고, 그 문제에 대해 채점 모듈(44)에서 채점을 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a)에서 고유 번호가 인가된 전자펜에 대해 시험의 종료 후, 콘텐츠 서버(70)를 통해 해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f) 선택 모듈(47)을 통해 상기 콘텐츠 서버(70)에 접속하여 추가 자료를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f)에서의 추가 자료 선택에 따라 수익 배분 모듈(48)이 강사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자료 집필자 또는 강사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OID 코드는 학습용 문제지 또는 시험용 시험지의 제작시 전자문서 파일에 대해 학습 문제 또는 시험 문제의 그룹 단위를 정하고 특정 문제 영역을 지정하면, 그 영역 안에서 문제 번호, 각각의 보기 번호에 해당하는 텍스트 문자 열을 찾고, 그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정답 또는 해설 컨텐츠 연결을 위해 문제 정보를 엑셀 시트로 보내고 해당 문제에 정답 또는 해설 콘텐츠 정보 등을 입력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및 문제 해설 콘텐츠 운영 방법.
Problem Solving and Problem Explanation Problem solving and problem description constructed in content system As a method of operating contents,
(a) a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recognition unit (21) so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onic pen is applied only to the test papers and the code recognition device (20) ,
(b) designating a group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for a problem of the test paper, designating a specific problem area in the group unit, recognizing the test paper on which the OID code is printed with the electronic pen, , ≪ / RTI >
(c) transmitting the value or command of the OID code recognized by the terminal 30 to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in the step (b)
(d)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0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ne OID code received by the reception module 41 of the problem processing server 40, and only the view numbe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problem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ed view and scoring the problem in the scoring module 44,
(e) providing commentary contents through the content server (70) after completion of the test on the electronic pen to which the unique number is applied in the step (a)
(f) accessing the content server (70) through the selection module (47) to request additional data,
(g) distributing the profit to the data writer or instructor by calculating the profit rate of the instructo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dditional data in the step (f)
The OID code specifies a group of a learning problem or a test question for an electronic document file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a study paper or a test paper and designates a specific problem area. In this area, a problem number, a text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view number And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sends the problem information to the Excel sheet for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connection, inputs the correct answer or commentary content information to the problem, and builds up the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is information And how to operate the content.
KR1020160061025A 2016-05-18 2016-05-18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KR101887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25A KR101887407B1 (en) 2016-05-18 2016-05-18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25A KR101887407B1 (en) 2016-05-18 2016-05-18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22A KR20170130222A (en) 2017-11-28
KR101887407B1 true KR101887407B1 (en) 2018-08-13

Family

ID=6081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25A KR101887407B1 (en) 2016-05-18 2016-05-18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4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85B1 (en) 2021-06-22 2022-01-18 최성백 System kiosk supply a test ques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992A (en)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지노테크 Automated tutoring agent operating system for supporting efficient video conference and video learning environment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N112396543B (en) * 2020-10-26 2024-03-15 成都汉青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and intelligently guiding general topic solution ideas
KR20230080113A (en) * 2021-11-29 2023-06-07 신은영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location and type of question automatically in learning contents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KR102583307B1 (en) * 2023-03-27 2023-09-26 라이트하우스(주)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problem solving vide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39B1 (en) * 2014-12-04 2016-01-19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217B2 (en) * 2002-09-26 2011-06-28 Kenji Yoshida Information reproduction/i/o method using dot patter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i/o device, and electronic toy
KR20080015682A (en) * 2006-08-16 2008-02-20 이창숙 Device for studying, and educ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834517B1 (en) * 2006-10-19 2008-06-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online learning that uses published texts as reference poi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10062255A (en) 2009-12-03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learning
KR20120045382A (en)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learning abi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hint thereby, server for managing learning abi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37263B1 (en) * 2013-01-18 2014-09-11 정대용 Method for providing download service of on―line contents using off―line media
KR20150110449A (en) 2015-09-15 2015-10-02 주식회사 테라클 Server and method for learning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39B1 (en) * 2014-12-04 2016-01-19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85B1 (en) 2021-06-22 2022-01-18 최성백 System kiosk supply a test ques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22A (en)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wer et al. A critical analysis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design frameworks
Westwood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a cross-curricular approach
Kazempour et al. Pre-service teachers’ science beliefs, attitudes, and self-efficacy: A multi-case study
KR101887407B1 (en)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Owan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Hanbidge et al. Information literacy skills on the go
CN101777273A (en) Multi-interactive learning and teaching system
WO2013025438A1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KR20150101632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ing qr cod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terminal
KR101887409B1 (en) A contents market service system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micro OID coded prints and related digital files
Zhu Application of Rain classroom in formal classroom learning in the teaching of offshore engineering environment and loads
Prasetya The design of Moodle-based English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Case study of Indonesian higher education)
Chauhan Beyond the phenomenon: Assessment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Lin et al. Research on teachers’ needs when using e-textbooks in teaching
Al-Abdullatif An investigation into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structors 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in a Saudi tertiary environment
KR1014905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earning contents
Mällinen Conceptual change process of polytechnic teachers in transition from classrooms to web-based courses
Artal-Sevil et al. Addressing flipped classroom from several teaching methodologies. An interdisciplinary experience
Popescu et al. Evaluation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adaptivity purposes
Williams Point, Read, Think, Click: Expanding New Literacies in Kazakhstan and Mongolia.
Power A framework for promoting teacher self-efficacy with mobile reusable learning objects
Johnson et al. Technology Outlook: Singaporean K-12 Education 2012-2017. An NMC Horizon Project Regional Analysis.
KR201800669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mart learning application
KR101874617B1 (en) Method for providing checking out demonstration of solving process for math equation
Parkavi et 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in adult education curricu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