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02B1 -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02B1
KR101886302B1 KR1020110117505A KR20110117505A KR101886302B1 KR 101886302 B1 KR101886302 B1 KR 101886302B1 KR 1020110117505 A KR1020110117505 A KR 1020110117505A KR 20110117505 A KR20110117505 A KR 20110117505A KR 101886302 B1 KR101886302 B1 KR 10188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cover
display panel
substrate
access key
quick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2193A (en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302B1/en
Publication of KR2013005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 합착되는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 상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칩과, 상기 집적 회로칩과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모듈과,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LED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와,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2프론트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 및 네로우 베젤의 평판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display.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re defined, and a second substrate which is adhered to the first substrate in a facing manner; A display panel modul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long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first front cover includ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And a front cover coupl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of a thin and narrow bezel.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젤의 폭과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width and an overall thickness of a bezel.

통상 CRT(cathode ray tube)가 표시장치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CRT를 대신할 수 있는,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A cathode ray tube (CRT) is usually used as a display device. Howeve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s have been widely studied and used.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해 화상을 구현한다. Among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advantageous for moving picture display and exhibit a large contrast ratio, and they are actively used in TVs, monitors, and the like. In optical anisotropy and polarization of liquid crystal, Thereby realizing an image.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element, and it is lightweight and thin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ight emitting element.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it has superio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wit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quick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due to its solid internal components, .

이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보다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ccordingly, researches for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 various field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수동형(passive matrix type) 및 능동형(active matrix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저소비전력, 고정세, 대형화가 가능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n be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apable of low power consumption, fixed size, and large size is being used.

한편, 근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핸드폰, 소형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은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벽걸이형 텔레비전과 같은 대형으로 그 사용영역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이며,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도록 베젤의 폭을 줄임으로써 네로우 베젤(narrow bazel)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are being used in a large size such as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cell phone and a small computer, as well as a desktop computer and a wall-mounted television, and the width of the use area is gradually widen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 realize a narrow bazel.

특히, 핸드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주로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기기로, 박형이면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빠른 메뉴에 접속하기 위한 퀵 엑세스 키에 대응되는 구성이 차지하는 영역이 많아 박형 및 네로우 베젤로 구현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mainly used by a user while carrying out researches to have a thin display area and a wider display area.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quick access key for accessing a quick menu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thin and narrow bezel.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체 두께는 종래와 동일하고,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홈을 가지도록 형성된 이중 구조의 프론트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박형 및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의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ck access key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 합착되는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 상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칩과, 상기 집적 회로칩과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모듈과;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LED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와;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2프론트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at panel display comprising: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hav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defined therein,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display panel modul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mounted on a non-display area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connected via a connecting member along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A quick access key assembly including a light guide plate and an LED assembly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 first front cover includ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상기 제2프론트 커버는 화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프론트 커버의 정면에서 상기 차단부 중 하측의 차단부에는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퀵 엑세스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econd front cover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portion for transmitting an image and a blocking portion formed along the rim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blocking light, and the blocking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over And a quick access key corresponding to the access key assembly.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는 쿠션 또는 패드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ack cover coupl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e front cover has a resilient member such as a cushion or a pad.

특히, 상기 제1기판은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기판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econd substrate faces the first substrate and is a substrate for encapsula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ealed Are sealed and joined together through a member.

또는, 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패널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은 그 사이에 액정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cklight unit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삽입홀이 구비된 제1프론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위치되는 제2프론트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론트 커버를 합착시켜 프론트 커버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삽입홀에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표시패널 모듈과 백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으로 상기 프론트 커버를 위치시키고,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으로 상기 백 커버를 위치시킨 후, 이들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preparing a first front cover having insertion holes; Preparing a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and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front covers to manufacture a front cover; Inserting and fixing a quick access key assembly in an insertion hole of the first front cover; Preparing a display panel module and a back cover, positioning the front cover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positioning the back cover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n joining them.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프론트 커버와 이의 전면에 위치되는 제2프론트 커버로 구성되는 프론트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비표시영역인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front cover composed of the first front cover having the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and the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on the front 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Width can be reduced.

특히, 일반적인 프론트 커버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이중 구조의 프론트 커버를 제작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 박형 및 네로우 베젤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particular, a dual-structure front cover having a thickness equal to that of a general front cover is manufactur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a thin and narrow beze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의 표시패널에 대한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view showing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IG.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 모듈(130)과,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와, 상기 표시패널 모듈(130) 및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를 보호하고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40)와 백 커버(16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includes a display panel module 130, a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a display panel module 130, and a quick access key assembly (not shown) 120 and a back cover 160 for covering and covering the front cover 140 and the back cover 160.

표시패널 모듈(130)은 표시패널(110)과, 집적 회로칩(115)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17)을 포함한다.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n integrated circuit chip 115,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17.

표시패널(110)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에 해당되는 실장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판(112)과, 제1기판(1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기판(112)의 표시영역(DA)과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2기판(114)으로 구성된다.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2 having a moun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nd a second substrate 112 formed with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a second substrate 114 for encapsulation.

이러한 제1 및 제2기판(112, 114)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고, 이의 가장자리부는 밀봉부재(seal pattern:미도시)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다.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are sealed and attached together through a seal pattern (not shown).

제1기판(112)은 표시영역(DA)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를 표시영역(DA) 또는 비표시영역인 실장영역에 포함하며, 게이트 및 데이터 패드 전극을 실장영역에 포함한다. The first substrate 112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in a display area DA, and a gate and a data driver for driving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in a display area DA or a mounting area And a gate and a data pad electrode are included in the mounting region.

제2기판(114)은 제1기판(112)과 서로 대향하도록 합착되어 제1기판(112)에 형성된 구동부 및 배선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substrate 114 is bonded to the first substrate 112 so as to oppose each other and functions to seal the driving unit and the wire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2 from the outside.

이러한 표시패널(110)의 제2기판(114)의 전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편광판(119)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편광판(119)의 전면에는 표면처리층(15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표면처리층(150)은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하고,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polarizing plate 119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14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5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19.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50 may prevent the contrast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external light and improve the outdoor visibility.

한편, 집적 회로칩(115)은 제1기판(112)의 비표시영역(NDA)에 실장되어 게이트 및 데이터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is mounted on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and data pad electrodes.

이러한, 집적 회로칩(115)은 제2기판(114)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집적 회로칩의 주위로는 레진(135)이 도포되는데, 상기 레진(135)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UV 경화 레진으로, 비표시영역(NDA)에 형성된 구동부와 배선 및 전극들을 외부의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레진(135)은 집적 회로칩(115)을 덮도록 집적 회로칩(115)의 전면에도 도포되어 집적 회로칩(115)이 보호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ubstrate 114 and a resin 135 is applied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chip. The resin 135 is UV cured Resin, and protects the driver, the wiring, and the electrode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from external moistur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resin 135 may be co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so as to cover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so that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is protected.

이와 같은 표시패널(1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circuit board:116)과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표시패널(110)의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된다. A printed circuit board 117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via a connection member such as a flexible circuit board 116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상기 인쇄회로기판(117)은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며 집적 회로칩(115)과 연결되고, 이의 일 가장자리에는 외부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커넥터와 같은 연결부(118)가 포함된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117 includes electronic elements for processing driving signals and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and includes a connector 118 such as a connector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t one edge thereof.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는 빠른 메뉴에 접속하기 위한 퀵 엑세스 키(143)에 대응되는 어셈블리로, 광원과, 상기 광원과 일 측면이 마주하는 도광판(123) 및 상기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s an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143 for accessing a quick menu.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ncludes a light source, a light guide plate 123 facing one side of the light source,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이러한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는 퀵 엑세스 키(143)가 선택될 시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가 구동될 시에 반응하여 퀵 엑세스 키(143)측으로 빛을 공급함으로써 키의 선택 또는 장치의 구동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responds to the selection of the quick access key 143 or the driving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to supply light to the quick access key 143, And notifies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여기서, 광원으로는 LED(129a)를 사용하는데, 복수의 LED(129a)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129b)에 장착됨으로써 LED 어셈블리(129)를 이룬다. 여기서, 복수의 LED(129a) 각각은 광을 일 측면으로 출사하는 사이드 뷰(side-view) 타입에 해당되고, 인쇄회로기판(129b)은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에 해당된다.Here, the LED 129a is used as a light source, and a plurality of LEDs 129a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129b to form the LED assembly 129. [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129a corresponds to a side-view type in which light is emitted to one sid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29b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CB) FPCB).

상기 LED 어셈블리(129)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로 위치가 고정되어 복수의 LED(129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광판(123)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한다. The LED assembly 129 is fixed by an adhesive or an adhesive such as a double-sided tape so that light e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129a faces the light-incoming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23. [

도광판(123)은 복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된 빛을 도광하여 면광원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The light guide plate 123 functions to realize light as a surface light source by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29a.

이에 따라, LED 어셈블리(129)의 복수의 LED(129a)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23)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프론트 커버(140)의 일부분(퀵 엑세스 키(143)에 대응되는 부분)에 면광원의 형태로 공급되게 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129a of the LED assembly 129 is refracted and reflected by the light guide plate 123 so that a part of the front cover 14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143) In the form of a surface light sour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121)로 프론트 커버(140)에 부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의 도광판(123)의 전면이 제1프론트 커버(140a)에 형성된 삽입홀(148)을 통해 제2프론트 커버(140b)의 배면에 부착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제1기판(112)의 집적 회로칩(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front cover 140 with an adhesive 121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More specifically,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23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over 140b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8 formed in the first front cover 140a and fixed in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상에서 전술한 표시패널 모듈(130)과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는 이의 전후방 각각으로 프론트 커버(140)와 백 커버(160)가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장치화된다.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and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described above are assembled by combining the front cover 140 and the back cover 160 in front of and behind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and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respectively.

여기서 프론트 커버(140)는 제1프론트 커버(140a)와 이의 전면에 위치되는 제2프론트 커버(140b)로 구성되어 표시패널 모듈(130)의 전방에서 표시패널 모듈(130)을 보호하고 장치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front cover 140 includes a first front cover 140a and a second front cover 140b position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0. The front cover 140 protects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

제1프론트 커버(140a)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48)을 포함하여 베젤의 폭이 좁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front cover 140a includes an insertion hole 148 into which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s inserted so tha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 narrow bezel width can be realized.

여기서, 상기 삽입홀(148)은 제1프론트 커버(140a)를 수직으로 세워 정면에서 볼 때 하단에 형성된다. The insertion hole 14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ront cover 140a when viewed from the front.

이와 같은 제1프론트 커버(140a)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중앙의 표시영역은 투명하게 형성되고 표시영역을 제외한 테두리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ront cover 140a may be formed entirely transparent so as to transmit an image form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or the center display region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and the frame except for the display region may be opaque .

제2프론트 커버(140b)는 제1프론트 커버(140a)의 전면에 구비됨으로써 제1프론트 커머(140a)에 형성된 삽입홀(148)의 전면을 막아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The second front cover 140b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140a to block the front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48 formed in the first front comer 140a to prevent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from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do.

이러한 제2프론트 커버(140b)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DA)에 대응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투광부(142)와,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DA) 가장자리와 실장영역(NDA)에 대응되는 차광부(144)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front cover 140b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142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144 corresponding to the NDA.

여기서, 차광부(144)는 불투명색으로 구현되어 불필요한 빛을 차단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light-shielding part 144 is implemented as an opaque color to prevent unnecessary light, thereby preventing a light leakage phenomenon.

제2프론트 커버(140b)를 정면에서 보면, 차광부(144)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 차광부(144a)와 하측 차광부(144b) 그리고 좌측 차광부(144c)와 우측 차광부(144d)로 구분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second front cover 140b, the shielding part 144 is divided into an upper shielding part 144a and a lower shielding part 144b, and a left shielding part 144c and a right shielding part 144d .

이때, 상측의 차광부(144a)는 제1폭(L1)을 가지고, 좌측 및 우측의 차광부(144c, 144d) 각각은 제1폭(L1)보다 좁은 제2폭(L2)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측 차광부(144b)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영역(NDA)에 대응되어 제1폭(L1) 및 제2폭(L2)보다 넓은 제3폭(L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폭(L1)과 제2폭(L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light shielding portion 144a has a first width L1 and the left and right light shielding portions 144c and 144d each have a second width L2 that is narrower than the first width L1. And the lower shielding part 144b may be formed in a third width L3 that is larger than the first width L1 and the second width L2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display panel 110 . Here, the first width L1 and the second width L2 may be formed identically.

상기 하측 차광부(144b)에는 퀵 엑세스 키(143)에 대응되는 표식이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퀵 엑세스 키(143)는 대기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키, 종료를 위한 종료 키, 취소를 위한 취소 키 및 다양한 메뉴를 보여주는 메뉴 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 mark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143 is printed on the lower shielding part 144b. Here, the quick access key 14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me key for returning to the idle screen, an end key for ending, a cancel key for canceling, and a menu key showing various menus.

한편, 제2프론트 커버(140b)는 평판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표시모듈(110)의 전면 및 측면 가장자리를 덮으며 백 커버(16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면 중앙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second front cover 140b is shown as a flat plate, the second front cover 140b may be formed to include a side surface to cover the front and side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10 and to be coupled with the back cover 160 , And the front center may be opened.

이와 같이 제1 및 제2프론트 커버(140a, 140b)로 구성되는 프론트 커버(140)는, 일반적인 프론트 커버의 전체 두께를 분할하여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전체 두께(A)가 일반적인 프론트 커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The front cover 140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covers 140a and 140b is formed by dividing the overall thickness of a general front cover in such a way that the total thickness A is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front cover . So tha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is not affected.

백 커버(160)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의 전체 기구물 조립에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로, 사각 모양의 판 형상인 수평부(162)와 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측면부(164)로 구성된다. The back cover 160 is a component based on the entire assembl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and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6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side portion 164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horizontal portion 162 .

이에 따라, 백 커버(160)는 수평부(162)와 측면부(164)를 통해 표시패널 모듈(130)을 수용하는데, 이때, 백 커버(160)의 전면에는 쿠션 또는 패드와 같은 충격완화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Accordingly, the back cover 160 receives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162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64. At this time, a shock absorbing member such as a cushion or pad (Not shown).

상기 충격완화부재(미도시)는 표시패널 모듈(130)과 백 커버(160)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모듈(1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not shown)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and the back cover 160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from external impact.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의 전면, 최외면에는 보호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호필름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의 전면을 보호하고, 화면에서의 외부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눈부심을 방지하며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rotective film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The protective film prot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 It can reduce the reflectance to light to prevent glare and improve the visibility.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3A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여기서, 도 3a에 도시된 유기발광다이오드(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고, 도 3b에 도시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는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이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shown in FIG. 3A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 shown in FIG. 3B is a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is is a comparative example for comparison.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 100)를 수직으로 세워 정면에서 보면, 실시예로서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는 제3폭(L3)의 하단 베젤 폭을 가지고, 비교예로서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는 제3폭(L3)보다 넓은 제4폭(M)을 가짐을 알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width of the lower bezel of the third width L3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s a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device 1 has a fourth width M that is wider than the third width L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는 하단 베젤 폭을 제3폭(L1)으로 줄임으로써 보다 넓은 화면 면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r screen area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lower bezel to the third width L1.

이는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는, 집적 회로칩의 전면으로부터 프론트 커버의 배면까지의 여유공간이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가 위치되기에는 부족하여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20)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게 됨으로써 하단 베젤의 폭(M)이 넓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This is because the free spa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is insufficient for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to be located in the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 And the width M of the lower bezel is widened by being position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lower bezel.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00)는 프론트 커버(도 2의 140)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내측의 제1프론트 커버(도 2의 140a)에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도 2의 1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도 2의 148)을 형성함으로써 집적 회로칩(도 2의 115)의 전면으로부터 최외면에 위치한 제2프론트 커버(도 2의 140b)의 배면까지의 여유공간이 충분히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120)는 삽입홀(도 2의 148)을 통해 집적 회로칩(도 2의 115)의 전면으로부터 제2프론트 커버(도 2의 140b)의 배면까지의 여유공간에 위치됨으로써 하단 베젤의 제3폭(L3)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40 (see FIG. 2) and a quick access key assembly (not shown) on the inner first front cover 140a 2) of the second front cover (140b in Fig. 2)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15 in Fig. 2) by forming an insertion hole (148 in Fig. 2) So that a sufficient space can be provided. 2)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8 in FIG. 2)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over (140b in FIG. 2)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ird width L3 of the lower bezel can be reduced.

특히,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의 전체 두께(A)를 일반적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1)의 프론트 커버와 동일하게 하면서 이중으로 구성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박형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the total thickness A of the front cover (140 in FIGS. 1 and 2) is made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ront cover of the gener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작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d FIG.

우선,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도 1 및 도 2의 1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도 1 및 도 2의 148)이 형성된 제1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a)를 준비한다(ST1).First, a first front cover (140a in FIG. 1 and FIG. 2) in which an insertion hole (148 in FIGS. 1 and 2) for inserting a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n FIGS. 1 and 2) ).

그리고, 투광부(도 1 및 도 2의 142)와 차단부(도 1 및 도 2의 144)가 정의된 제2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b)를 준비한다(ST3). 이때, 상기 제2프론트 커버 (도 1 및 도 2의 140b)를 세워 정면에서 봤을 때 하단의 차광부(도 1 및 도 2의 144b)에는 퀵 엑세스 키(도 1의 143)에 대응되는 표식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상단의 차광부(도 1 및 도 2의 144a)에는 제조사 로고(logo, 미도시)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Then, a second front cover (140b in FIG. 1 and FIG. 2) in which the transparent portion (142 in FIGS. 1 and 2) and the blocking portion (144 in FIG. 1 and FIG. 2) are defined is prepared (ST3). At this time, a mark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143 in FIG. 1) is displayed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144b in FIG. 1 and FIG. 2) of the lower front cover It is printed. In addition, a logo (not shown) may be printed on the upper light shielding part (144a in FIG. 1 and FIG. 2).

이러한 제1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a)의 전면에 제2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b)가 위치하도록,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a, 140b)를 합착함으로써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를 제작한다(ST5). A first front cover (140b in Fig. 1 and Fig. 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140a in Fig. 1 and Fig. 2) (FIGS. 1 and 2) 140a and 140b) are assembled together to manufacture a front cover 140 (FIGS. 1 and 2) (ST5).

이어서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의 배면, 즉 제1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a)의 삽입홀(도 1 및 도 2의 148)에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도 1 및 도 2의 120)를 부착하여 고정시킨다(ST7). 이때,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도 1 및 도 2의 120)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도 2의 121)를 통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1 and 2) i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0 in Figs. 1 and 2), i.e., the insertion holes (148 in Figs. 1 and 2) of the first front cover 2) is attached and fixed (ST7). At this time,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120 in FIGS. 1 and 2) is fixed in position through an adhesive member (121 in FIG. 2) such as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그리고, 백 커버(도 1 및 도 2의 160)와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을 준비한다(ST9, ST11). Then, a back cover (160 in Fig. 1 and Fig. 2) and a display panel module (120 in Fig. 1 and Fig. 2) are prepared (ST9 and ST11).

이에 따라,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은 이의 전후방 각각으로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와 백 커버(도 1 및 도 2의 160)가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장치화된다(ST13). 1 and 2) and the back cover (160 of FIG. 1 and FIG. 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isplay panel module 120 (ST13).

이때,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의 전면, 즉 편광판(도 2의 119)의 전면에 투명한 레진을 일정 두께 도포하여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을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에 부착 고정시키거나, 또는 투명한 양면테이프를 통해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을 프론트 커버(도 1 및 도 2의 140)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진 또는 양면테이프는 표면처리층(도 2의 1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표면처리층(도 2의 150)은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하고,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잇다. At this time, a transparent resin is applied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front 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120 in Figs. 1 and 2), that is, the front face of the polarizer 119 (Fig. 2) (140 in Figs. 1 and 2), or can be fixed to the front cover (140 in Figs. 1 and 2) of the display panel module (120 in Figs. 1 and 2) via a transparent double- have. Here, the resin or the double-sided tape may serve as a surface treatment layer (150 in FIG. 2).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50 in FIG. 2) prevents the deterioration of contrast caused by external light, Can play a role.

또한,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20)의 배면에서 결합되는 백 커버(도 1 및 도 2의 160)의 전면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모듈(도 1 및 도 2의 130)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미도시)는 쿠션 또는 패드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and Fig. 2) coupled to the back panel of the display panel module (120 of Fig. 1 and Fig. 2), the display panel module (130 of Fig. 1 and Fig. 2) A shock-absorbing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The shock-absorbing member (not shown) may be made of a resilient member such as a cushion or pad.

이하에서는, 표시패널(110)의 내부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의 표시패널에 대한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형성된 제 1 기판(112)과, 제 1 기판(112)과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114)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112, 114)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이의 가장자리부는 밀봉부재(seal pattern:220)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다. 5,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2 on which a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re formed, a first substrate 112, And a second substrate 114 for encapsula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12 and 114 are sealed through a seal pattern 220, do.

제 1 기판(112)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P) 별로 스위칭(switching)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driving)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제 1 전극(211)과 제 1 전극(211)의 상부에 위치하며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213), 유기발광층(2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전극(215)으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형성된다.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r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2 for each pixel region P, and each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DT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211 and the first electrode 211 to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and a second electrode 215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formed.

여기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게이트전극(207)과 반도체층(203)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219a, 219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이거나,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ncludes a gate electrode 207, a semiconductor layer 203,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219a and 219b. At this tim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may include a top gate type including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or may be a bottom gate type including a semiconductor layer made of amorphous silicon of pure water and impurities. have.

여기서, 탑게이트 타입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일예로 설명하면, 반도체층(203)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203a) 그리고 액티브영역(2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3b, 203c)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반도체층(2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205)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top gate typ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emiconductor layer 203 is made of polysilicon, and its central portion has active regions 203a, which are channels, and active regions 203a,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203b and 203c doped with impurities, and a gate insulating film 205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203. [

게이트절연막(205) 상부로는 반도체층(203)의 액티브영역(2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207)이 형성되어 있다. A gate electrode 207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05 in correspondence with the active region 203a of the semiconductor layer 203. [

그리고, 게이트전극(207)의 상부 전면에는 층간절연막(20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층간절연막(2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205)은 액티브영역(203a)의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3b, 2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202)을 구비한다.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9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electrode 207.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9a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205 under the gate insulating film 209a are formed on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203a, And a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202 for exposing the semiconductor layers 203b and 203c, respectively.

다음으로, 반도체층 콘택홀(202)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2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반도체층 콘택홀(202)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203b, 2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19a, 219b)이 형성되어 있다. Next,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9a including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202, a sour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203b and 203c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posed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202, Drain electrodes 219a and 219b are formed.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219a, 219b)과 이들 사이로 노출된 층간절연막(209a) 상부로 보호막(209b)이 형성되는데, 보호막(209b)은 드레인전극(219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217)을 갖는다. A protective film 209b is formed on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219a and 219b and the exposed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9a. The protective film 209b includes a drain contact hole 217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219b, Respectively.

이때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또한, 보호막(209b) 상부의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제 1 전극(211)과 유기발광층(213) 그리고 제 2 전극(2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A first electrode 21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and a second electrode 215 constitut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are sequentially formed in a region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protective film 209b have.

유기발광층(2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막(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막(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막(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막(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막(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made of a light emitting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emitting material layer, And may b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여기서, 제 1 전극(2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211) 사이의 비화소영역(미도시)에는 뱅크(bank:218)가 위치한다. Here, the first electrode 211 is formed for each pixel region P, and a bank 218 is formed in a non-pixel region (not shown)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211 formed for each pixel region P Located.

즉, 뱅크(218)는 기판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의 매트릭스 타입으로 형성되어, 뱅크(218)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2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banks 218 are formed in a matrix type of a lattice structure as a whole on the substrate, and the banks 218 are divided into the pixel regions P by using the banks 218 as boundary portions for each pixel region P Respectively.

이러한 제 1 전극(211)은 보호막(209b)의 드레인콘택홀(217)을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219b)과 연결된다.The first electrode 211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19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217 of the protective film 209b.

이러한 표시패널(110)은 빛이 나오는 방향에 따라 상부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뉜다. The display panel 110 is divided into a top emission type and a bottom emission typ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상부발광방식은, 제2전극(215)을 투명하게 하여 유기발광층(213)으로부터의 빛이 제2전극(215)을 통과하여 나오게 되고, 하부발광방식은, 제1전극(211)을 투명하게 하여 유기발광층(213)으로부터의 빛이 제1전극(211)을 통과하여 나오게 된다. In the upper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215 is made transparent, light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213 passes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215, and the lower emission type is a method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211 is transparent So tha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passe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211.

이때, 상부발광방식에서는, 제2전극(215)을 투명도전물질인 ITO로 형성하고, 제1전극(211)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하여, 유기발광층(213)으로부터의 빛이 제2전극(215)을 통과하여 나오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upper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215 is formed of ITO, which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first electrode 21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o tha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lectrode 215, and the like.

그리고 하부발광방식에서는, 제1전극(211)을 투명도전물질인 ITO로 형성하고, 제2전극(215)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하여, 유기발광층(213)으로부터의 빛이 제1전극(211)을 통과하여 나오도록 할 수 있다.In the bottom emission type, the first electrode 211 is formed of ITO, which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electrode 215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o tha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211).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표시패널(110)은,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211)과 제 2 전극(2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일례로 제1전극(211)이 음극(cathode)이고, 제2전극(215)이 양극(anode)일 시에 제 1 전극(211)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제 2 전극(215)으로부터 인가된 정공(hole)이 유기발광층(2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11 and the second electrode 215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color signal, the display panel 1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lectrode 211 is connected to the cathode Electrons injected from the first electrode 211 and holes injected from the second electrode 215 are transpor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when the second electrode 215 is an anode When the excitons transit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light is generated and emitted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이때, 발광된 빛을 통해 표시패널(110)은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110 implements an arbitrary image through the emitted light.

한편, 상기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액정 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프론트 커버가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ront cov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는 휴대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디지털카메라 등의 경량, 박형 및 소형의 휴대용 표시장치에 적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ghtweight, thin and compact por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2: 제 1 기판 114: 제 2 기판
115: 집적 회로칩 116: 연성회로기판
117: 인쇄회로기판 119: 편광판
120: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 123: 도광판
129: LED 어셈블리 130: 표시패널 모듈
140a: 제1프론트 커버 148: 삽입홀
140b: 제2프론트 커버 142: 투광부
144: 차광부 160: 백 커버
10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12: first substrate 114: second substrate
115: integrated circuit chip 116: flexible circuit board
117: printed circuit board 119: polarizer
120: quick access key assembly 123: light guide plate
129: LED assembly 130: display panel module
140a: first front cover 148: insertion hole
140b: second front cover 142:
144: light shield 160: back cover

Claims (9)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 합착되는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 상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칩과, 상기 집적 회로칩과 연결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모듈과;
상기 표시패널 모듈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 전면(全面)을 덮고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프론트 커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프론트 커버 전면(全面)을 덮는 제2프론트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와;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되는 LED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과 상기 삽입홀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제2프론트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판에는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기판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
평판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e defined and a second substrate which is adhered to and opposed to the first substrate; an integrated circuit chip mounted on a non- A display panel modul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chip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long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front cover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covering an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including an insertion hole; a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front cover and covering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A front cover which is composed of two front covers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 quick access key assembly comprising a light guide plate and an LED assembly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being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the second front cover exposed by the insertion hole.
/ RTI >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es a first substrat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for encapsulation, Sealed < / RTI >
Flat panel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평판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 커버는 화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프론트 커버의 정면에서 상기 차단부 중 하측의 차단부에는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퀵 엑세스 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ont cover comprises a transparent portion for transmitting an image and a blocking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blocking light,
And a quick access key corresponding to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included in the lower blocking part of the blocking par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ont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의 전면에는 쿠션 또는 패드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ck cov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a member having elasticity such as a cushion or pad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삽입홀이 구비된 제1프론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프론트 커버 전면(全面)을 덮는 제2프론트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론트 커버를 합착시켜 프론트 커버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론트 커버의 삽입홀에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표시패널 모듈과 백 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전방으로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가 고정된 상기 프론트 커버를 위치시키고, 상기 표시패널 모듈의 후방으로 상기 백 커버를 위치시킨 후, 이들을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 모듈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 합착되는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판에는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기판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reparing a first front cover having an insertion hole;
Preparing a second front cover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ont cover and covering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ont cover and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front covers to manufacture a front cover;
Inserting and fixing a quick access key assembly in an insertion hole of the first front cover;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the back cover are prepared, the front cover to which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fixe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e back cover is position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module, step
/ RTI >
Wherein the display panel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re defined, and a second substrate which is adhered to the first substrate in a fac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es a first substrat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for encapsulation, Encapsulated and bonded together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lat panel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는 상기 집적 회로칩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평판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는 상기 도광판 상의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퀵 엑세스 키 어셈블리는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삽입홀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제2프론트커버에 부착되는 평판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ncludes an adhesive layer o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quick access key assembly is attached to the second front cover exposed by the insertion hole through the adhesive layer.

KR1020110117505A 2011-11-11 2011-11-11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86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505A KR101886302B1 (en) 2011-11-11 2011-11-11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505A KR101886302B1 (en) 2011-11-11 2011-11-11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193A KR20130052193A (en) 2013-05-22
KR101886302B1 true KR101886302B1 (en) 2018-09-06

Family

ID=4866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505A KR101886302B1 (en) 2011-11-11 2011-11-11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3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61B1 (en) * 2014-09-24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406A (en) * 2007-02-14 2008-08-28 Funai Electric Co Lt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liquid crystal module
JP2011071072A (en) * 2009-09-28 2011-04-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utton-ke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54B1 (en) * 2008-06-26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mae
KR101704686B1 (en) * 2010-04-01 2017-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406A (en) * 2007-02-14 2008-08-28 Funai Electric Co Lt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liquid crystal module
JP2011071072A (en) * 2009-09-28 2011-04-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utton-ke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193A (en)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163B2 (en) Display device
KR102655011B1 (en) Display device
US20090167171A1 (en)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737315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heat dissipation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06135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639989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40239277A1 (en) Display device
KR10220941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113345933A (en) Display device
KR101951366B1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bonding method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15027700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38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system using virtualization
KR1009180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886302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07967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0001972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1806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217996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092236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2772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395576B1 (en) Display device
KR10091805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568265B1 (en) Display Device
CN117079552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00079680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