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736B1 -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 Google Patents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736B1
KR101884736B1 KR1020160159557A KR20160159557A KR101884736B1 KR 101884736 B1 KR101884736 B1 KR 101884736B1 KR 1020160159557 A KR1020160159557 A KR 1020160159557A KR 20160159557 A KR20160159557 A KR 20160159557A KR 101884736 B1 KR101884736 B1 KR 10188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ld
water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5759A (en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주)케어스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스워터 filed Critical (주)케어스워터
Publication of KR2018004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50Constructional features of escutcheons for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 싱크(UNDER SINK)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토출하는 토출수단이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형화를 통해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시 개방형 배수밸브를 통해 배관에 남은 잔수를 자동 배출함으로써, 정수, 냉수 및 온수의 사용이 편리한,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apparatus of a sub-sink type, And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is provided in an upp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ink, so that utiliz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improved through miniatu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ich can conveniently us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remaining water in a pipe.

Description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0001]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0002]

본 발명은 언더 싱크(UNDER SINK)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수형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의 하부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토출하는 토출수단이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형화를 통해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시 개방형 배수밸브를 통해 배관에 남은 잔수를 자동 배출함으로써,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의 사용이 편리한,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apparatus of a sub-sink type, And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is provided in an upp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ink, so that utiliz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improved through miniatu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use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a pipe.

정수기는, 일반 상수도의 물을 다단의 필터로 통과시켜 음용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수된 음용수가 냉수탱크 및 온수 탱크로 자동으로 유입되게 하여,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켜 대기 상태로 있게 하며, 사용자가 냉수 배출구 또는 온수 배출구를 조작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냉수 또는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다.A water purifier is a water purifier that allows water to be flowed through a multi-stage filter to drink drinking water. Generally, purified drinking wate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a cold water tank and a hot water tank to heat or cool the water stored in each tank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ld water outlet or hot water outlet, cold or hot water in the standby state is discharged.

이러한 정수기는 모델에 따라 냉온수를 모두 제공하거나, 온수 기능이 없이 냉수만을 제공하는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These water purifiers are sold in the form of providing both cold and hot water according to the model or providing only cold water without hot water function.

상기한 구조의 일반적인 정수기(스탠드 타입)는, 냉수 또는 온수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냉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냉수 냉각 및/또는 온수 가열이 계속 이루어져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크고, 냉온수의 공급 용량이 각 탱크 용량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water purifier (stand typ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cold water or hot water can be stably supplied. On the other hand, even when cold / hot water is not used, cold water and / Is limited by the capacity of each tank.

한편 최근에는 음용수를 냉수/온수 탱크 등에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정수기 사용 시 음용수가 바로 정수되면서 배출되는 형태의 직수형 정수기(하프 타입)에 관한 수요가 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direct water type water purifier (half type) in which drinking water is directly purified and discharged when the water purifier is used without separately storing drinking water in a cold water / hot water tank.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는 냉온수 저장을 위한 별도의 탱크를 사용하지 않아 정수기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정수된 깨끗한 물이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에 냉온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용수를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Since such a direct water type water purifier does not use a separate tank for storing hot and cold water, i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water purifier, and clean purified water is immediately discharged, which is advantageous in safety. In order to implement the cold / A technique to instantaneously cool or heat the drinking water is needed.

특히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는 냉온수 기능이 아예 없는 저가의 특별한 모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냉수 기능이 기본적으로 구현된 상태에서, 모델에 따라 온수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로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Especially, this type of water purifier is sold with the hot water function added to the model in a state where the cold water function is basically implemented, except for a special low cost model which does not have cold / hot water function at all.

이러한 일반 정수기, 냉온수기, 얼음 정수기 등으로 대별되는 먹는물 공급장치는, 주로 주방의 싱크대나 식탁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water supply device, which is generally divided into a general water purifier, a cold water heater, and an ic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on a kitchen sink or a kitchen tabl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water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그러나 먹는물의 정수 및 저장 방식 등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먹는물 공급장치는, 본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싱크대나 식탁 위에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regardless of the water and the storage method of the water to be eaten, all kinds of food water supply devices occupy a considerable volume of more than a certain size, and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is installed on a sink or a table, .

즉, 스탠드 타입의 일방 정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에 유리한 하프 타입의 직수형 정수기도, 각종 필터 및 냉온수 형성을 위한 모듈의 구성 등으로 인해,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주방의 공간을 상당히 많이 차지할 수밖에 없다.That is, as compared with the one-piece water purifier of the stand type, the water purifier of the half type,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relatively small size, also has a limitation in the miniaturization due to the various filters and the module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cold / hot water, There is no other choice.

이에 상기와 같은 먹는물 공급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각종 필터를 설치하고, 일방 상수도를 필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싱크대 상부에 필터와 연결된 노즐(파우셋)을 설치하여, 정수된 물이 노즐을 통해 수도꼭지와 같은 형태로 바로 토출되는 방식의 언더 싱크(UNDER SINK)형 정수기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apparatus, various filters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below the sink, and a nozzle (powder set) connected to the filter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ink, (UNDER SINK) type water purifier that water is directly discharged through a nozzle in the form of a faucet.

이러한 언더 싱크형 정수기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을 활용함에 따라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일반 파우셋 및 이와 별도로 연결된 조리수용 파우셋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Such an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kitchen by utilizing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 general faucet and the separately-connected cooking faucet.

그러나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는, 일반 상수도와 파우셋 사이의 배관에 필터를 직렬 방식으로 단순 연결한 형태여서 냉수 및 온수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별도로 냉온 정수기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또는 정수된 조리수의 제공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since the filter is connected to the pipe between the general water supply and the faucet in a simple manner in series, it is impossible to use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a cold water purifier Or only limitedly to the provision of purified wat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종래의 언더 싱크형 구조와 같이, 싱크대나 식탁 등 설치 공간 상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별도의 냉온 정수기 설치 없이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정수용 필터부,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구비한 본체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정수 및 냉수 및/또는 온수가 토출되는 토출수단을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in the conventional under-sink typ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use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cold / warm water purifier, while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above the installation space such as a sink or a table, And a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은,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 사용 시, 배관에 잔수가 남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수, 냉수, 온수가 각각 흐르는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에 공급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토출수단과 연결된 출수배관에 배수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밸브가 잠긴 상태에서, 정수 또는 냉/온수 출수 시, 해당 배관의 공급밸브가 개방되면서 출수가 이루어진 후, 출수가 완료되면, 해당 공급밸브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배수밸브가 개방되어, 배관에 남은 잔수가 드레인을 통해 자동 배출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ly valve is provided in first to third water supply pipes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respectively flow so as to prevent residual water from remaining in the pipe when us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A drain valve is provided in the connected outgoing pipe, and when the drain valve is locked and the outflow is made while the supply valve of the pipe is opened when the purified water or cold / hot water is taken out, In which the drain valve is opened and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또한 본 발명은, 정수, 냉수, 온수의 선택, 출수량 조절 및 냉수, 온수의 온도 설정 등 각종 기능 조작이 쉽고 편리하도록, 토출수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조작 패널, 또는 본체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토출수단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ischarging means 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so as to facilitate various functions such as selection of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And a detachable operation panel detachable from the discharge means and capable of being detached from the discharge means.

나아가 본 발명은, 정수, 냉수, 온수 등을 컵이나 냄비 등의 용기에 담을 때 사용자가 용기를 계속 들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토출수단에 용기 받침용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받침부를 필요에 따라 접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노즐부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상기 받침부가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ing means is provided with a receptacle for receiving a container so a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keep holding the container when putting containers such as water, cold water, hot wa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device in which the bearing portion is foldably connected or rotationally connected so that the nozzle portion can be folded or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nee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By being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직수형 필터부와, A linear filter portion,

상기 필터부와 연결된 입수배관 상에 냉수용 직냉 모듈 및 온수용 직온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A main body having a cold water direct cooling module and a hot water direct temperature module 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filter portion; And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상기 본체의 출수배관과 연결되어 정수, 냉수, 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를 구비한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discharge means having a nozzle portion connected to an outflow pipe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includes: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출수배관,An outflow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means,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는 제1 입수배관,A first intake pipe connecting the filter unit and the outflow pipe,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냉 모듈을 구비한 제2 입수배관,A second intake pipe connecting the filter unit and the outflow pipe and having the direct cooling module,

상기 필터부와 상기 출수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직온 모듈을 구비한 제3 입수배관,A third intake pipe connecting the filter unit and the outflow pipe and having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상기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에 구비된 공급밸브 및A supply valve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inlet pipes,

상기 출수배관의 배수부에 구비된 배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drain valve provided in a drain portion of the outflow pipe,

상기 직온 모듈을 이용해 고온의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출수배관 및 상기 토출수단의 살균이 이루어지며,Temperature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by using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sterilization of the outflow pipe and the discharging unit is performed,

미사용 시, 상기 배수밸브의 개방이 상시적으로 유지되어, 배관에 남은 잔수가 드레인을 통해 자동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valve is kept open at all times, and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In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상기 노즐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jec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panel for function selection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nozzle por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In addition, in the under-sink type food water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상기 노즐부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jec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panel for function selec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nozzle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서,Further, in the under-sink type food water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토출수단은,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container receiving base which is foldably connected or rotatably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같이, 직수형 필터부를 구비한 본체가 싱크대나 식탁 등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내장, 설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직수형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직냉 및/또는 직온 모듈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이러한 본체와 연결된 토출수단이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별도의 냉온 정수기 설치 없이,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정수된 물을 필요에 맞게 음용수, 조리수 등으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conventional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having a linear filter portion built in the low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ink or a table, A direct cooling and / or direct temperature module for use in a direct water-type cold / hot water heate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discharging mea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an upp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reby achieving downsizing of the under- ,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can be us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cold / hot water purifier, so that purified wate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for drinking water, cooking water or the like as nee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토출수단 및 각종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자동 배출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필요한 냉수 및/또는 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냉수 및 온수, 특히 온수 사용 시, 배관 내에 남은 잔수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냉/온수를 받기 위해 잔수를 일부러 배출시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necessary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can not be used immediately by apply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discharging means and various pipes, And when the hot water, particularly hot water, is used,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piping is discharged automatically,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residual water is deliberately discharged in order to receive the necessary hot / cold wate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 조작 패널을 도입하여, 정수, 냉수, 온수의 선택, 출수량 조절 및 냉수, 온수의 온도 설정 등 각종 기능 조작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asy and convenient effect of manipula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election of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temperature control of cold water and hot water by introducing an integrated or detachable operation panel .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는, 토출수단에 구비된 받침부를 이용해, 컵이나 물병, 냄비 등의 용기를 받친 상태로, 정수, 냉수 및/또는 온수를 받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상기 받침부를 접이식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받침부를 접거나 다른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있어, 받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노즐부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고, 다양한 종류 및/또는 크기의 용기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can receive water,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in a state of support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 water bottle, or a pot by using a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discharging mean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oldably or rotatably connect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folding the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need or turning it in another direction, so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use the nozzle portion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not used, The container can b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u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라셋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배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노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ip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zzl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upper,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eterm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downw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n the claims that relate to the other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under 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내장(또는 매립) 설치되고, 파우셋(20) 또는 노즐부재(25) 등으로 이루어진 토출수단이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외장(또는 노출) 설치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1 to 9,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in body 10 is installed (or embedded) in a low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and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means 20 such as a powder set 20 or a nozzle member 25, (Or exposed) to an upp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식탁, 급수대 등 다양한 설치 장소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is shown as being installed in a kitchen sink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various installation places such as a table, a water supply station, and the lik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본체(10), 싱크대 상부에 구비된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파우셋(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under-sink type drinking-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installed in a low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 And a faucet (20) installed in an upp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ink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상기 본체(10)는, 일반 상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정수되지 않은 원수를 정수로 정화하는 것으로, 싱크대 하부 수납 공간과 같은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설치되며,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a general water pipe to purify raw water which is not purified, and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not exposed to a low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lower storage space of a sink,

직수형 필터부(11)와, 상기 필터부(11)와 연결된 배관 상에 구비된 냉수용 직냉 모듈(12) 및/또는 온수용 직온 모듈(13)을 포함한다.And a cold water direct cooling module (12) and / or a hot water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provided on a pipe connected to the filter part (11).

상기 직수형 필터부(11)는, 일측 배관이 일반 상수도와 연결되고, 타측 배관이 상기 냉수용 직냉 모듈(12) 및/또는 온수용 직온 모듈(13)과 연결되어 구성되며, The linear filter portion 1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pipe is connected to a general water pipe and the other pip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direct cooling module 12 and / or the hot water direct heating module 13,

이러한 직수형 필터부(11)는 각종 여과수단이 마련된 복수개의 필터를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여, 파우셋(20)을 통해 먹는물이 배출될 때, 상용수가 필터들을 거치면서 정화가 이루어진다.In this linear type filter unit 11, a plurality of filters provided with various filtering mean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when water to be eaten is discharged through the powders 20, the purified water is purified while the commercial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s.

물론 상기 직수형 필터부(11)의 구체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여과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다만 개별 필터 및/또는 하나의 직수형 필터부(11)를 구성하는 필터모듈을 본체(10)의 하우징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Of cours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inear filter unit 11 may be varied according to various known filtering methods, and the filter module constituting the individual filter unit 11 and /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직냉 모듈 또는 직온 모듈의 선택은, 먹는물 공급장치의 모델(냉수 공급형, 냉/온수 공급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냉수 및 온수의 공급이 모두 가능한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selection of the direct cooling module or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ld water supply type, cold / hot water supply type), and in this specification, do.

본 발명의 직냉 모듈 및 직온 모듈은 공지된 직수형 정수기에 사용되는 직수형 냉각 및 직수형 가열 방식이다.The direct cooling module and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direct cooling type and a straight type heating type used in a known direct water type water purifier.

즉, 일반 스탠드 타입 정수기와 같이, 정수된 물을 냉수/온수 탱크에 개별 저장한 상태에서, 각 탱크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That is, rather than providing cold / hot water by cooling and heating each tank in the state where purified water is separately stored in a cold water / hot water tank like a general stand type water purifier,

하프 타입 정수기(직수형 정수기)와 같이, 노즐부(22)를 통해 물이 출수될 때, 정수가 본체(10)의 배관을 통과하면서 순간적인 냉각 또는 가열이 이루어져, 냉/온수를 제공하는 형태이다.When the water flows out through the nozzle unit 22 like a half-type 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instantaneous cooling or heating is performed while the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pipe of the main body 10, to be.

대표적으로 이러한 공지된 직냉 모듈 및 직온 모듈은, 냉매 순환용 배관이, 정수용 배관 외측에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정수가 냉매 순환용 배관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매 순환용 배관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온수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Typically, in the known direct cooling module and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outside the purified water pipe, and while the purified water passes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s,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ipe To generate hot / cold water.

이렇게 직수형 직냉/직온 모듈을 도입하면, 싱크대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본체(1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By introducing the linear type direct cooling / direct temperature module in this way, it is advantageous to further downsize the size of the main body 10 provided in the lower space of the sink.

이하에서는, 필터부(11)와 직냉/직온 모듈(12)(13)간의 배관 연결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iping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lter unit 11 and the direct cooling / direct temperature modules 12,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부(14)와 연결된 필터부(11)는, 정수 및 냉/온수 공급을 위한 제1 내지 제3 배관(15)(16)(17)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내지 제3 배관(15)(16)(17)은 메인배관(18)을 통해 토출수단(파우셋(20))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4 to 8, the filter unit 11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unit 14 includes first to third pipes 15, 16 and 17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and cold / hot water, The first to third pipes 15, 16 and 17 are all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the faucet 20) through the main pipe 18.

그리고 제1 입수배관(15)에는 별도의 모듈 없이 상온의 정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흐르고,In the first water inlet pipe 15, a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flows into the water outlet pipe 18 without a separate module,

제2 입수배관(16)에는 직냉 모듈(12)이 구비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흐르고,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6 is provided with a direct cooling module 12, in which cold water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ower flows to the outflow pipe 18,

제3 입수배관(17)에는 직온 모듈(13)이 구비되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가 출수배관(18)으로 흘러,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is provided with a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so that hot wate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flows to the water outlet pipe 18,

파우셋(20)을 통해 배출된다.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owders 20.

이러한 각 배관(15)(16)(17)에는, 필터부(11)와의 사이(즉, 입수측)에 정수의 공급을 on/off 하는 공급밸브(솔레노이드밸브)(15a)(16a)(17a)가 구비되어 있다.The respective pipes 15, 16 and 17 are provided with supply valves (solenoid valves) 15a, 16a and 17a for turning on / off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 from the filter unit 11 .

그리고 상기 출수배관(18)은, 일측 출수부가 파우셋(20)에 연결되고, 타측 배수부가 드레인에 연결되며, 출수부와 배수부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이 연결된다.The outflow pipe 18 is connected to the faucet 20 on one side and to the drain on the oth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inflow pipes 15 and 16 between the outflow unit and the drainage unit. (17) are connected.

또한 상기 출수배관(18)의 배수부에는, 드레인과의 사이에 잔수의 배출을 on/off 하는 배수밸브(솔레노이드밸브)(18a)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drain valve (solenoid valve) 18a for turning on / off the discharge of the residual water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is provided in the drain portion of the outflow pipe 18.

이러한 배수밸브(18a)는, 상시 개방이 유지되어, 미사용 시(즉, 출수 작동이 하지 않을 때), 배관의 잔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drain valve 18a is normally kept open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ip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not in use (that is, when the outflow operation is not performed).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23)로 정수 또는 냉/온수의 출수를 작동하면, 상기 배수밸브(18a)가 잠긴 상태에서, 해당 배관의 공급밸브가 개방되면서 출수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utflow of purified water or cold / hot water to the operation panel 23, the water supply valve 18a is locked, and the supply valve of the relevant pipe is opened and the water outflow is performed.

그리고 해당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해당 공급밸브가 잠기면서, 별도의 조작 없이, 배수밸브(18a)가 자동으로 다시 개방되어, 각 배관(15)(16)(17) 및 출수배관(18)에 남은 잔수가 드레인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되며, 이러한 배수밸브(18a)의 개방은 출수 시를 제외하고 상시적으로 유지된다.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supply valve is locked so that the drain valve 18a is automatically opened again without any operation, and the drain valve 18a is automatically opened again to connect the respective pipes 15, 16, 17 and the outflow pipe 18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and the opening of the drain valve 18a is maintained at all times except during the outflow.

따라서 본 발명은, 정수 및 냉/온수 사용 후, 배관에 잔수가 남지 않게 됨에 따라, 다음 출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을 바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piping after us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 hot water, the next water outflow is not affected, an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and use the water required by the user.

즉, 각 공급밸브(15a)(16a)(17a)와 배수밸브(18a) 사이의 배관들에 잔수가 남게 되면, 잔수가 상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다음 출수 시 잔수가 먼저 배출되는데, 이때 냉/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온의 잔수로 인해 냉/온수가 적정 온도로 출수되지 않아, 최초 출수되는 물을 일정량 따라서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 사용 후 잔수의 자동 배출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at is, when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pipes between the supply valves 15a, 16a, 17a and the drain valve 18a, the residual water is first discharged at the next water discharge, In the case of using hot water, the cold / hot water can not be brought out to the proper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there is a case where the water that is initially watered out is discarded according to a certain amount. .

물론 이러한 잔수의 배출은 사용 후 자동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전에 자동으로 잔수의 배출이 선행 된 후 해당 물이 토출수단으로 토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Of course, the discharge of such residual wat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use,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ing means after the discharged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efore use.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수단(파우셋(20))에, 분배밸브(20a)(솔레노이드밸브)를 추가 설치하고, 이 분배밸브(20a)에 별도의 배출관(28)을 연결하면, 정수 및 냉/온수 사용 후, 분배밸브(20a)를 이용해 배관에 남은 잔수를 배출관(28)으로 자동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5, a distributing valve 20a (solenoid valv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ischarging means (the faucet 20), and a separate discharging pipe 28 is provided in the distributing valve 20a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ing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28 by using the dispensing valve 20a after us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ld / hot water.

즉, 해당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해당 공급밸브가 잠기면서, 별도의 조작 없이, 분배밸브(20a)가 배출관(18) 연결부를 개방하도록 작동하여, 각 배관(15)(16)(17) 및 출수배관(18)에 남은 잔수가 배출관(28)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된다.The dispensing valve 20a is operated so as to ope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18 so that the respective pipes 15, 16, 17,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outlet pipe (18)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8).

이러한 잔수의 배출은 사용 후 자동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전에 자동으로 잔수의 배출이 선행 된 후 해당 물이 토출수단으로 토출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scharge of such residual water is not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use but al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ing means after the discharged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efore use.

상기 분배밸브(20a)와 배수밸브(18a)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잔수 배출이 보다 빠르고 완전하게 이루어져, 정상 출수 시 잔수에 의한 온도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distributing valve 20a and the drain valve 18a are use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of the residual water is quicker and more complet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e residual water at the time of normal outflow.

물론 상기 분배밸브(20a) 역시, 후술하는 살균수 배출 및 배관의 잔압 해소에 사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dispensing valve 20a can also be used for discharging the disinfecting water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 relieving the residual pressure of the piping.

아울러 이러한 배관 연결 구조는, 온수를 이용한 각 배관(15)(16)(17)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iping connection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sterilize the pipes 15, 16 and 17 using hot water.

도 6은 온수를 이용한 출수배관(18)의 살균을 도시한 것으로, 조작 패널(23)로 온수 살균을 작동하거나, 주기별로 온수 살균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6 shows the disinfection of the outflow pipe 18 using the hot water. The hot water disinfection can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panel 23 or the hot water disinfection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for each cycle.

살균 모드를 작동하면, 먼저 밸브(15a)(16a)(18a)들이 잠긴 상태에서, 제3 입수배관(17)의 공급밸브(17a)만이 개방되면서 직온 모듈(13)이 작동한다. When the sterilization mode is activated, only the supply valve 17a of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is opened while the valves 15a, 16a and 18a are closed, and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operates.

이때 살균 모드에서의 직온 모듈(13)은 일반 온수보다 더 높은(살균 가능한) 온도로 정수를 가열한다.At this time,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in the sterilization mode heats the purified water to a higher (sterilizable) temperature than the normal hot water.

그리고 고온의 살균수는, 출수배관(18) 전체를 따라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진 후, 배수밸브(18a)가 개방되면서 잔존 살균수가 배수된다. The high-temperature sterilized water is sterilized while flowing along the whole of the outflow pipe 18, and then the drain valve 18a is opened and the remaining sterilization water is drained.

그리고 도 7은 온수를 이용한 전체 배관의 순환 살균을 도시한 것으로,7 shows circulation sterilization of the whole piping using hot water,

상기 제3 입수배관(17)과, 상기 제1, 제2 입수배관(15)(16) 사이에는, 살균수 순환을 위한 분기관(19)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입수배관(17)의 출수측과, 분기관(19)의 입수측에 각각 순환밸브(솔레노이드밸브)(17b)(19a)가 구비된다.A branch pipe 19 for sterilizing water circul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Circulation valves (solenoid valves) 17b and 19a are provided on the water intake side and the intake side of the branch pipe 19,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에서, 조작 패널(23)로 순환 살균을 실시하면, 밸브(15a)(16a)(18a)들이 잠기고, 제1 순환밸브(17b)가 열린 상태에서, 제3 입수배관(17)의 공급밸브(17a)만이 개방되면서 직온 모듈(13)이 작동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irculation steriliz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panel 23, the valves 15a, 16a, and 18a are locked and the supply of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circulation valve 17b is opened. Only the valve 17a is opened and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operates.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직온 모듈(13)은 일반 온수보다 고온으로 정수를 가열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heats the purified wat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normal hot water.

이렇게 제3 입수배관(17)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살균수는, 일부가 출수배관(18) 및 토출수단을 따라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다른 일부는 분기관(19)을 거쳐 제1, 제2 입수배관(15)(16)으로 흐르며, 이와 동시에 제1, 제2 입수배관(15)(16)의 공급밸브(15a)(16a)들이 개방(이 경우 삼방밸브 등을 활용하여 분기관(19)과 제1, 제2 입수배관(15)(16) 사이만이 개방되고, 제1, 제2 입수배관(15)(16)과 필터부(11) 사이는 잠긴 상태가 유지됨.)되어, 살균수가 제1, 제2 입수배관(15)(16)을 거쳐 출수배관(18)으로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진다.The high-temperature sterilized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is partially sterilized while flowing along the water discharge pipe 18 and the discharging means, and the other part is sterilized through the branch pipe 19, The supply valves 15a and 16a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are opened to flow into the second intake pipe 15 and 16, Only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are opened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and the filter unit 11 are locked. Sterilized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to the outflow pipe 18 and sterilized.

그리고 각 모든 배관을 순환한 살균수는, 파우셋 (20)을 통해 출수 또는 배수밸브(18a) 및/또는 분배밸브(20a)의 개방에 의해 배수된다.The sterilized water circulating through all the pipes is drained by the outlet or drain valve 18a and / or the opening of the distributor valve 20a through the faucet 20.

나아가 이러한 배관 연결 구조는, 필터 교체 시 각 배관(15)(16)(17)(18)에 남은 잔압을 해소하는데 사용된다.Further, such a piping connection structure is used to eliminate residual pressure remaining in each of the pipes 15, 16, 17 and 18 when the filter is replaced.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밸브(15a)(16a)(17a), 배수밸브(18a)를 개방하면 배관들에 남은 잔수가 강제 배수되면서, 배관의 잔압을 해소함으로써, 필터 교체 작업 중 필터가 분리되지 않거나, 물이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8, when the supply valves 15a, 16a, 17a and the drain valve 18a are opened while the raw water is shut off,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pipes is forcedly drain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ilter is not separated or the water flows backward during the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자동 배출은, 배수밸브(18a)를 대체하거나 또는 추가로 배수밸브(18a)에 연결된 배수펌프를 통해 강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직접 배수하거나 별도의 챔버를 통해 담수하였다가 정량 도달 후 배수펌프로 배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is automatic discharge can replace the drain valve 18a or additionally allow for forced drainage via a drain pump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18a, and can be drained directly or through a separate chamber After reaching a fixed amount, it can be drained by a drainage pump.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셋(20)은, 싱크대 상부에 구비된 개수대와 같은,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1 to 3, the faucet 20 is installed in a manner such that it is exposed to an upper space of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sink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sink,

상기 본체(10)의 직냉/직온 모듈과 배관으로 연결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되어 정수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22)로 이루어진다.A body portion 21 connected to the direct cooling / direct temperature module of the main body 10 by piping and a nozzle portion 22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and discharging purified water and cold / hot water.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배관이 내장되어, 파우셋(20)을 개수대의 일측 상면에 고정하면서, 본체(10) 직냉/직온 모듈과, 노즐부(22) 사이를 배관 연결한다.The main body part 21 has a pip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is fixed to one upper surface of the draw frame 20 so that the main body part 10 is connected to the direct cooling / .

상기 노즐부(22)는,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되어 정수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일종의 수도꼭지 내지 코크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The nozzle unit 22 is connected to the body unit 21 and functions as a kind of faucet or coke discharging purified water and cold /

노즐부(22)의 토출공이 싱크볼(개수대) 상부에 형성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몸체부(21)에 대하여 일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결된다.And is connected in the form of being bent in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e hole of the nozzle portion 2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ball.

이러한 노즐부(22) 또는 몸체부(21)는, 출수 on/off 제어를 위한 별도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The nozzle unit 22 or the body unit 21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valve for on / off control of outflow,

본 발명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23)이, 노즐부(22)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조작 패널(23)로 각 공급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밸브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panel 23 for function selection is provided integrally or separately in the nozzle section 22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supply valve with the operation panel 23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valve desirable.

또한 상기 노즐부(22)는, 입설된 몸체부(21)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Further, the nozzle unit 22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uilt-in body unit 21,

도 2의 [A]에는, 노즐부(22)가 몸체부(21)의 상부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이 노즐부(22)의 상면에 조작 패널(2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2, the nozzle unit 2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2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operation panel 23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unit 22. [ An example is shown,

도 2의 [B]에는, 노즐부(22)가 꼭지부(22a)와 조작부(22b)로 이루어져 몸체부(21)의 상부에 꼭지부(22a)와 조작부(22b)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꼭지부(22a)가, 조작부(22b)와 몸체부(21) 사이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조작부(22b)의 전면에 조작 패널(2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22 is composed of the stem 22a and the operating unit 22b and the stem 22a and the operating unit 22b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21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em portion 22a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operating portion 22b and the body portion 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operation panel 23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22b .

상기 조작 패널(23)은, The operation panel (23)

정수, 냉/온수 선택을 위한 기능 선택 기능,Function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on of constant, cold / hot water,

정수, 냉/온수 출수를 위한 밸브 기능,Valve function for water purification, cold / hot water outflow,

정량 출수 또는 연속 출수 선택 등의 출수량 조절 기능,Control of water flow rate such as selection of constant watering or continuous watering,

수압 조절 기능,Water pressure control function,

냉/온수 온도 설정 기능,Cold / hot water temperature setting function,

살균 선택 기능(배관에 살균수단이 구비된 모델의 경우) 등Sterilization selection function (for model equipped with sterilization means in piping) etc.

정수 및 냉/온수 사용을 위한 각종 기능을 선택 및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It is possible to select and operate various functions for use of water and cold / hot water.

이러한 조작 패널(23)은, 버튼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나, 방수성 및 사용의 편리성 확보를 위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기능 선택과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panel 23 may be realized in a button manner,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panel 23 is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method in order to secure waterproofness and ease of use, so that function selection and display of corresponding func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23)을 이용해, 냉/온수의 온도를 설정하고, Therefore, the user sets the temperature of the cold / hot water using the operation panel 23,

정수를 선택 후 출수하면, 필터부(11)를 통과한 정수가 제1 배관(15)을 거쳐, 냉각 또는 가열 없이 몸체부(21)와 노즐부(22)를 지나 바로 토출되고,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1 is immediately discharged through the body portion 21 and the nozzle unit 22 without cooling or heating through the first pipe 15,

냉/온수를 선택 후 출수하면, 직냉/직온 모듈이 작동하여, 필터부(11)를 통과한 정수가 제2, 제3 입수배관(16)(17)의 직냉/직온 모듈을 지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로 몸체부(21)와 노즐부(22)를 지나 토출되며,When the cold / hot water is selected, the cold / direct temperature module operates, and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1 passes instantaneously through the direct / indirect temperature module of the second and third water supply pipes 16 and 17 Is discharged through the body portion (21) and the nozzle portion (22) in a cooled or heated state,

이때 출수량이나 수압 등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water volume and water press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언더 싱크형 정수기와 같이 본체(10)를 수납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직냉 및 직온 모듈, 특히 순간적인 냉각 및 가열이 가능한 직수형 직냉 및 직수형 직온 모듈을 사용함에 따라 일반 정수뿐만 아니라, 냉/온수를 모두 사용하면서,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하고, 일체형 또는 분리형 조작 패널(23)을 통해 파우셋(20)의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배수밸브를 통한 잔수 배출이 가능하여, 냉/온수를 바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irect cooling and direct temperature module, particularly, a direct cooling type and a direct type direct temperature module capable of instantaneous cooling and heating while accommodating the main body 10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under sink type water purifier. It is more advantageous to downsize the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while using both the common water and the cold water as well as the ordinary water, and it is convenient to use the faucet 20 through the integral or detachable operation panel 23 Howeve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residual water through the drain valv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ld / hot water can be used immediately.

한편 물병이나 냄비와 같이 용량이 큰 용기에 물을 받기 편하도록, 본 발명의 파우셋(20)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24)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auce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support receiving portion 24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so as to receive water in a large capacity container such as a water bottle or a pot.

상기 받침부(24)는, 상기 노즐부(22)보다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를 직접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수 및 냉/온수를 받아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조리수용 파우셋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4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nozzle portion 22 so as to receive purified water and cold / hot water even when the user does not directly hold the container, The drawbacks can be compensated.

이러한 받침부(24)는, 상기 몸체부(21)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식으로 연결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받침부(24)를 접을 수 있고, 또는 용기의 크기 등에 따라 받침부(24)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4 may be fold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1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4 can be folded when not in use or the support portion 24 ) Can be rotated and used in different directions.

특히, 상기 받침부(24)에, 접이식과 회전식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노즐부(22)의 회전과 함께 받침부(24)를 회전시켜 사용이 보다 편리해지며, 미사용 시 받침부(24)를 접어 싱크대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olding unit and the rotary unit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receiving unit 24, the receiving unit 24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nozzle unit 22 to make the use more convenient. When the receiving unit 24 is not used,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ing the sink.

이때 접이식과 회전식이 동시에 적용되는 받침부(24)는, 받침부의 베이스(미도시)가 노즐부에 힌지 결합되어 받침부 전체가 좌우 회전함과 동시에, 받침부가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받침부가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접이식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24, to which the folding type and the rotary type are simultaneously applie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se (not shown) of the support portion is hinged to the nozzle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ortion is rotated right and left, and the support portion is hinged to the base, So as to rotate in a vertical folding manner.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및 냉/온수 사용을 위한 하나의 파우셋(20)이 본체(10)와 연결되어 개수대에 설치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별도의 조리수용 파우셋 등을 포함한 일반 상수도용 수도꼭지(30)를 본체(10)와 추가 연결 가능하며, 이때 본체(10)와 연결된 수도꼭지(30)는, 본체(10)의 필터부(11)와 직결되어 정수만이 토출되는 형태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one faucet 20 for use with purified water and cold / hot wat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o be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furthermore, a common faucet The water faucet 30 can be furth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faucet 3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1 of the main body 10 in such a manner that only the water is discharged. do.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2 실시예의 본체(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파우셋(20)을 대신해 노즐부재(25)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main body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differs in that the nozzle member 25 is used instead of the powders 20. [

제2 실시예의 노즐부재(25)는, 노즐부로써, 본체(10)의 출수배관(18)과 하나의 관체로 연결된 관체형 노즐(26)이 구비되는 것으로, 노즐(26)의 하단에 용기 받침용 받침부(27)가 구비되고, 노즐(26) 상단에 분리형 조작 패널(23A)이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The nozzle member 25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ubular type nozzle 26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18 of the main body 10 by a single tube as a nozzle part. And a separable operation panel 23A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nozzle 26. [

상기 노즐(26)은, 받침부(27)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받침부(27)에는 물받이용 그릴부(27a)가 구비될 수 있다.The nozzle 26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27. The receiving part 27 may be provided with a grill part 27a for the water receiving part.

상기 분리형 조작 패널(23A)은, 상기 일체형 조작 패널(23)과 동일 기능을 갖는 것으로, 다만, 일체형 조작 패널(23)이 본체(1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에 반하여, 분리형 조작 패널(23A)은 본체(10)와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detachable operation panel 23A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panel 23. The detachable operation panel 23A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detachable operation panel 23A, (Bluetooth or the like) with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형 조작 패널(23A)을 관체형 노즐(26)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작동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 조작하여 정수 및 냉/온수의 출수 등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motel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 by wired or wireless in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operation panel 23A is separated from the tubular nozzle 26, thereby allowing water and / or hot / hot water to be dispensed.

나아가, 파우셋(20) 또는 노즐부재(25)로 구성된 토출수단은, 도면과 다른 종류 내지 모양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조작 패널(23)을 구비한 형태이면 구체적인 종류 내지 모양에 제한이 없다.Further, the discharging means composed of the powder 20 or the nozzle member 25 can be modified into a kind or a shape different from the drawing,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pecific kind or shape as long as it has the operation panel 23.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1 : 필터부
12 : 직냉 모듈 13 : 직온 모듈
14 : 원수공급부 15, 16, 17 : 제1 내지 제3 배관
15a, 16a, 17a : 공급밸브 18 : 출수배관
18a : 배수밸브 19 : 분기관
19a, 17b : 순환밸브 20 : 파우셋
20a : 분배밸브 21 : 몸체부
22 : 노즐부 22a : 꼭지부
22b : 조작부 23, 23A : 조작 패널
24, 27 : 받침부 25 : 노즐부재
26 : 노즐 27a : 그릴부
28 : 배출관 30 : 수도꼭지
10: main body 11: filter section
12: Direct cooling module 13: Direct temperature module
14: raw water supply part 15, 16, 17: first to third piping
15a, 16a, 17a: supply valve 18: outflow pipe
18a: drain valve 19: branch pipe
19a, 17b: circulation valve 20:
20a: dispensing valve 21:
22: nozzle part 22a:
22b: Operation section 23, 23A: Operation panel
24, 27: support portion 25: nozzle member
26: Nozzle 27a: Grille portion
28: discharge pipe 30: faucet

Claims (4)

설치 장소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수형 필터부(11)와,
상기 필터부(11)와 연결된 입수배관 상에 냉수용 직냉 모듈(12) 및 온수용 직온 모듈(13)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 및

설치 장소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출수배관(18)과 연결되어 정수, 냉수, 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22)를 구비한 파우셋(20)을 포함한 토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상기 토출수단과 연결된 출수배관(18),
상기 필터부(11)와 상기 출수배관(18)을 연결하는 제1 입수배관((15),
상기 필터부(11)와 상기 출수배관(18)을 연결하고 상기 직냉 모듈(12)을 구비한 제2 입수배관(16),
상기 필터부(11)와 상기 출수배관(18)을 연결하고 상기 직온 모듈(13)을 구비한 제3 입수배관(17),
상기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에서 필터부(11)와의 사이인 입수측에 구비된 공급밸브(15a)(16a)(17a) 및
상기 출수배관(18)의 배수부에 구비된 배수밸브(18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직온 모듈(13)을 이용해 고온의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출수배관(18) 및 상기 토출수단의 살균이 이루어지며,

상기 출수배관(18)은, 일측 출수부가 파우셋(20)에 연결되고, 타측 배수부가 드레인에 연결되며, 출수부와 배수부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3 입수배관(15)(16)(17)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정수 또는 냉/온수의 출수를 작동하면, 상기 배수밸브(18a)가 잠긴 상태에서, 해당 배관의 공급밸브가 개방되면서 출수가 이루어지고,
미사용 시, 상기 배수밸브(18a)의 개방이 상시적으로 유지되어, 해당 물의 출수가 완료되면, 해당 배관의 공급밸브가 잠기면서, 별도의 조작 없이, 배수밸브(18a)가 자동으로 다시 개방되어 배관(15)(16)(17)(18)에 남은 잔수가 드레인을 통해 자동 배출되며,

상기 제3 입수배관(17)과, 상기 제1, 제2 입수배관(15)(16) 사이에는 살균수 순환을 위한 분기관(19)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입수배관(17)의 출수측과, 분기관(19)의 입수측에 각각 순환밸브(17b)(19a)가 구비되어,
순환 살균을 실시하면, 밸브(15a)(16a)(18a)들이 잠기고, 제1 순환밸브(17b)가 열린 상태에서, 제3 입수배관(17)의 공급밸브(17a)만이 개방되면서 직온 모듈(13)이 작동하여, 상기 제3 입수배관(17)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살균수는 일부가 출수배관(18) 및 토출수단을 따라 흐르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살균수의 다른 일부는 분기관(19)을 거쳐 제1, 제2 입수배관(15)(16)으로 흐르면서 제1, 제2 입수배관(15)(16)의 공급밸브(15a)(16a)들이 개방되어 살균수가 제1, 제2 입수배관(15)(16)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By being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 linear filter portion 11,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cold water direct cooling module 12 and a hot water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filter part 11; And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And a dispenser 20 including a nozzle unit 22 connected to an outflow pipe 18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nozzle unit 22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The main body (10)
An outflow pipe 18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15) for connecting the filter unit (11) and the outflow pipe (18)
A second water inlet pipe 16 connecting the filter unit 11 and the water outlet pipe 18 and having the direct cooling module 12,
A third water supply pipe 17 connecting the filter unit 11 and the water outflow pipe 18 and having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Supply valves 15a, 16a and 17a provided on the inlet side between the first to third water supply pipes 15, 16 and 17 and the filter unit 11,
And a drain valve (18a) provided in a drain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ipe (18)
Temperature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by using the direct temperature module (13), sterilization of the outflow pipe (18) and the discharging means is performed,

The outflow pipe 18 is connected to the faucet 20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on the oth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inflow pipes 15 and 16 17 are connec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outflow of purified water or cold / hot water, the water supply valve 18a is locked, the supply valve of the pipe is opened,
When the water discharge valve 18a is not used, the drain valve 18a is automatically opened again, without any operation, when the supply valve of the relevant pipe is locked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s 15, 16, 17 and 18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A branch pipe 19 for circulating sterilizing water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Circulation valves 17b and 19a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upstream side of the branch pipe 19, respectively,
When the circulating sterilization is performed, the valves 15a, 16a and 18a are locked and only the supply valve 17a of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is opened and the first circulation valve 17b is opened, 13) operates to sterilize the high-temperature sterilized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water supply pipe (17) while partly flowing along the water discharge pipe (18) and the discharge means, The supply valves 15a and 16a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are opened while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5 and 16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ipes 19 and 19, And sterilizing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15)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23A)이, 상기 노즐부(22)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j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23A) for function selection integrally with the nozzle unit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23A)이, 상기 노즐부(22)에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j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23A) for function selection in a detachable form detachable from the nozzle unit (2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셋(20)은 상기 본체(10)와 연결된 배관이 내장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되어 정수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노즐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부(22)는 입설된 몸체부(21)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우셋(20)은 상기 몸체부(21)에 연결된 용기 받침용 받침부(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4)는 받침부(24)의 베이스가 노즐부(22)에 힌지 결합되어 받침부(24) 전체가 좌우 회전함과 동시에, 받침부(24)가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받침부(24)가 베이스에 대하여 상하 접이식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aucet 20 includes a body 21 having a pipe connected to the body 10 and a nozzle 22 connected to the body 21 to discharge purified water and hot / ,
The nozzle unit 22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21,
The faucet (20)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support receiving part (24) connected to the body part (21)
The base 24 of the base 24 is hinged to the nozzle 22 so that the whole base 24 is rotated clockwise and the base 24 is hinged to the base, (24) is configured so as to be vertically folded with respect to the base.

KR1020160159557A 2016-10-25 2016-11-28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KR1018847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128 2016-10-25
KR20160139128 2016-10-25
KR20160144719 2016-11-01
KR1020160144719 2016-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59A KR20180045759A (en) 2018-05-04
KR101884736B1 true KR101884736B1 (en) 2018-08-02

Family

ID=6219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557A KR101884736B1 (en) 2016-10-25 2016-11-28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73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2214A (en) * 2020-05-22 2020-08-18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watering plants and water dispenser
EP3699367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EP3699366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EP3699368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220122286A (en)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Househol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ndersink type dual dispenser that can use both antibacterial-agent and purified water using the same
KR20240031655A (en) 2022-09-01 2024-03-08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0814A (en) * 2018-09-18 2018-12-04 泉州万滤达净水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erminal purifier two-in-one cold-hot water faucet
KR102505861B1 (en) 2018-10-17 202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nozzle apparatus for a kitchen sin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259A (en) * 1997-04-30 1998-11-10 I I C:Kk Electrolytic ionic water preparation apparatus
KR101155078B1 (en) * 2010-01-07 2012-06-11 (주) 화인워터 A water purifier for portable
KR101507860B1 (en)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9367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EP3699366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EP3699368A1 (en) 2019-02-22 2020-08-2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EP4089242A1 (en) 2019-02-22 2022-11-1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66317B2 (en) 2019-02-22 2024-01-0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CN111552214A (en) * 2020-05-22 2020-08-18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watering plants and water dispenser
KR20220122286A (en)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Househol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ndersink type dual dispenser that can use both antibacterial-agent and purified water using the same
KR20240031655A (en) 2022-09-01 2024-03-08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59A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736B1 (en)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KR20180045757A (en) Under sink type water dispenser
ES2947169T3 (en) liquid supply system
AU2018347169B2 (en) Refrigerator
EP3695756B1 (en) Refrigerator
CN107917573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WO2019072228A1 (en) Refrigerator
US9441874B2 (en)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20221212A1 (en) Free-standing ice or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US20170057803A1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9254058B2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10758080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extraction fluid assembly
KR20160142445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capable of offering beverage
KR20170133196A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KR20060095232A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and method for using therefor
CN208692975U (en) Water dispenser
KR101012229B1 (en) Hot water cooling device of dringking water supplying apparetus
CN109665641A (en) A kind of purifying water dispenser
WO2019169485A1 (en) Beverage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distribution using same
KR20120119969A (en)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ice maker
JP6279205B2 (en) Water purifier
US20230108527A1 (en) Beverage-dispensing appliance having a chilled carbonator
CN206350677U (en) Purifying drinking appliance
KR20100001411U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KR200385975Y1 (en) Drinking fountain with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