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75B1 -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 Google Patents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275B1
KR101884275B1 KR1020160124513A KR20160124513A KR101884275B1 KR 101884275 B1 KR101884275 B1 KR 101884275B1 KR 1020160124513 A KR1020160124513 A KR 1020160124513A KR 20160124513 A KR20160124513 A KR 20160124513A KR 101884275 B1 KR101884275 B1 KR 10188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smart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4822A (en
Inventor
윤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
Priority to KR102016012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2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8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suring or weighing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을 보조하고,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두뇌 자극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that assists a stable walking of a user, monitors the safety and health of a user by determining a heart rate or an operation state of a user, as well as an application including contents for stimulating a user's brain and improving flexibility through an application And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included smart stick.

Description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본 발명은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을 보조하고,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두뇌 자극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which assists a stable walking of a user and monitors the safety and health of a user by judging a heart rate or an operation state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including an application including content for enhancing brain stimulation and flexibility of a user.

현대에 들어서면서 의학이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망률이 현저하게 줄고 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매년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In modern age, the mortality rate has been remarkably de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the standard of living, and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fertility rate is falling every year.

이때, UN에서 규정한 바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이른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an aged society is more than 7% of the total population, an aged society is more than 14%, and a super-aged society is more than 20%.

우리나라는 노인인구비율이 2001년부터 7%를 넘어가면서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이 비율은 2016년 현재 10.5%를 기록했다. 또 이 비율은 2030년경에는 21.5%에 도달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빠른 고령화 속도는 노인 및 실버산업 분야가 새롭게 조명받는 계기가 될 것이다.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has increased from 7% in 2001 to an aging society, which is 10.5% as of 2016. The ratio is expected to reach 21.5% by 2030 and enter the aging society. This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elderly and the silver industry to be newly illuminated.

한편, 노인들의 안정적인 보행을 위한 지팡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종래기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860279호는 직류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 전압에 의하여 기동되어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며 고유의 식별 코드를 저장하는 능동형(active) RFID 소자를 포함한 노인용 지팡이, 및 상기 능동형 RFID 소자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ID 리더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의 식별 코드를 참조하여 신호등의 횡단 신호 또는 정지 신호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노인용 지팡이를 휴대한 사용자가 보행 중이었다가 신호등 앞에서 정지한 것을 감지하여 횡단의사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신호등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용 지팡이 및 신호등 시스템을 제시하였다.As a technique related to a cane for stable walking of the elder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60279 disclos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DC power supply voltage and a DC power supply unit for starting a DC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 RFID reader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the active RFID device, and an RFID reader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and storing an inherent identification code of the active RFID device, The user who is carrying the wand for the elderly person is walking and detects that the user is stationary in front of the traffic light so as to judge whether or not there is a traffic light, A cane for the elderly person and Hodeung the proposed system.

그러나 종래기술은 노인용 지팡이를 휴대한 사용자가 신호등 시스템에 접근하면 단순히 신호등의 신호를 제어하므로, 노인용 지팡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적이고, 노인의 안전 및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한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user carrying a cane for the elderly approaches the signal lamp system, the signal of the signal lamp is simply controlled. Therefore, the place where the staff for the elderly can be utilized is limited, and there is no function to monitor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elderly .

또한, 종래기술은 노인의 치매 및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의 두뇌를 자극하거나 스트레칭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부재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have a function of stimulating the elderly's brain or inducing stretching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and falling of the elderly.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860279호 (2008년 09월 19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60279 (September 19, 2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 및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which can be utilized in various places and can monitor the safety and health of a user.

또한,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거나 스트레칭을 유도하여 치매 및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capable of stimulating a user's brain or inducing stretching to prevent dementia and falls.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모듈 및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서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동작감지부와,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수 센서모듈 및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하단과 지면이 서로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하는 압력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건강감지부와,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지팡이와,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감지부, 건강감지부 및 GPS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전송된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상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부에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건강상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도중에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가 미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위급상황을 통지하는 위급상황 통지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걸음수,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산출 및 저장하는 신체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동작정보 또는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활용하여 화면에 콘텐츠로 표시되는 운동콘텐츠, 게임콘텐츠, 건강관리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콘텐츠는 선택적 실행시 상기 동작정보를 운동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동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게임콘텐츠는 선택적 실행시 화면에 특정화상체를 표시하고 상기 동작정보를 게임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특정화상체가 이동되게 하고, 상기 건강관리콘텐츠는 항상 강제 실행되며 상기 신체정보를 화면의 일단에 항상 강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동작정보가 기설정된 동작 기준수치범위를 벗어나면 제1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건강정보가 기설정된 건강 기준수치범위에서 벗어나면 제2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가 발생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상기 GPS부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위급 버튼 및 안전확인버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위급 버튼은 위급버튼이 눌러져 제3 위급신호가 생성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3 위급신호 및 상기 GPS부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전확인버튼은 상기 대기시간 동안 안전확인버튼이 눌러지면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위급상황 통지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상기 위급버튼에서 생성된 제3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ilt information of a smart wand,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 heart rat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heart rate information of a user, and a pressur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ever the lower end of the smart wand touches the ground surface, thereby generat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GPS unit for sens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sensing unit, the health sensing unit, and the GPS unit of the smart wand,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ceiver is stored, Health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detected while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 emergency state notifying unit that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wand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to calculate the heart rate, the number of steps, And a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calculating and storing body information including the body information, and an exercis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or the bod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An interlocking application that includes content, healthcare content Wherein the motion content is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as an exercise input signal during selective execution, the game content displays a specified upper body on a screen during selective execution, and outputs the motion information as a game input signal And a user terminal for allowing the healthcare contents to be always forced and forcibly displaying the body information at one end of the screen, wherein the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health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Generates a second emergency signal when the health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health standard value range, and generates a first emergency signal when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waiting time elapses,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GPS unit And the smart button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and a safety confirmation button.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and a thir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after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the third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GPS unit to the main server. When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during the waiting time,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generates a safety signal and transmits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nd the third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button are stopped.

또한, 상기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정보 수신부와, 상기 동작정보 수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상기 운동 입력신호 및 게임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입력 신호를 활용하여 상기 게임콘텐츠 또는 운동콘텐츠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slope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the game content or the exercise content using the input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또한, 상기 게임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1 이동화상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기 제1 이동화상체의 근처에 주기적으로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제1 이동화상체와 접촉되면 상기 제1 이동화상체의 이동을 일시정지시키는 장애물화상체를 구현하는 게임 제1 서브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me contents may include a first moving body that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moves on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ting unit, A game which i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periodically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moving upper body and which stops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upper body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oving upper body,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sub-content.

또한, 상기 게임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2 이동화상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기 제2 이동화상체로부터 이격되어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일단에서 출현하여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었다가 타단에서 사라지며 상기 제2 이동화상체와 접촉되면 사라졌다가 다른 지점에서 다시 출현하는 표적화상체를 구현하는 게임 제2 서브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me contents may include a second moving imag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mov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slope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t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die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moving bod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re displayed at one en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disappear at the other end, And a game second sub-content for realizing a target object appearing again at a point.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지팡이에 설치된 동작감지부 및 건강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동작정보 및 건강정보를 통해 메인 서버의 위급상황 통지부가 위급상황임을 판단하면, 관리자 단말기에 위급상황을 통지함으로써,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다양한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of the main server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the health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smart wand When the judg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afety of the user using the smart wand in real time in various places by notifying the manager terminal of the emergency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지팡이에 설치된 건강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건강정보를 기초로 하고, 사용자의 심박수, 걸음수, 칼로리 소모량 등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어디서든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health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mart wand, calculates the user's heart rate, number of steps, calorie consumption,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게임콘텐츠가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에 따라 구현되므로,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여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w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mentia by stimulating the user's brain since the game contents of the interlock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운동콘텐츠가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에 따라 구현되므로, 사용자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낙상 등 위급상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stick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exercise contents of 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so that the flexibility of the user is improved,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시작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운동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게임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게임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wand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server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wand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rtup screen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content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game contents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ame content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할 시 필수적으로 지참하여 사용자의 안정적인 보행을 보조함은 물론 스마트 지팡이(100)의 기울기, 방향, 각도 등의 변화와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100)와, 스마트 지팡이(100)로부터 감지된 동작 및 심박수 등을 전송받아 위급상황임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700)에 위급상황을 통지하는 메인 서버(300)와, 메인 서버(300)로부터 스마트 지팡이(100)의 동작 및 사용자의 심박수 등을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lking assist system that assists a stable walking of a user by bringing a user to the outside when essential for a user's going out, as well as changes in a slope, direction, angle, A main server 300 for receiving an operation and a heart rate sensed by the smart wand 100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notifying an administrator terminal 700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user terminal 500 receiv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wand 100 and the heart rate of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wand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100)는 동작감지부(110) 및 건강감지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w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sensing unit 110 and a health sensing unit 120.

동작감지부(110)는 스마트 지팡이(100)의 기울기, 방향, 각도 변화에 따른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부(110)는 스마트 지팡이(100)의 가속도 및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모듈(112) 및 스마트 지팡이(100)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모듈(113)을 포함한다.The motion sensing unit 110 senses motions of the smart wand 100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wrist, and generates mo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otion sensing unit 11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module 112 for measuring acceleration and tilt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13 for measuring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

가속도 센서모듈(112)는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사물이 3축(X, Y, Z축)에서 받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스마트 지팡이(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고, 각속도 센서모듈(113)은 일정시간 동안 3축의 각 축에 대한 스마트 지팡이(100)의 각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112 can detect the tilting of the smart wand 100 by measuring the force received by the object on three axes (X, Y, Z axis) based o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13 Can sense the angular change of the smart wand 100 for each axis of the three axes over a period of time.

즉, 동작감지부(110)는 가속도 센서모듈(112)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정보 및 기울기 정보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기울어짐 여부, 기울기 변화, 기울어진 방향에 대한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각속도 센서모듈(113)로부터 측정된 각속도 정보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회전 여부, 방향 및 각도 변화에 대한 동작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at is, the motion sensing unit 110 generates mo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smart wand 100 is tilted, tilted, or tilted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ilt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112, Direction and angle of the smart wand 100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or module 113,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rasp the state of the user more accurately and easily.

예를 들어, 스마트 지팡이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화하면,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화된 스마트 지팡이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 또한 급격하게 기울어짐을 추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낙상, 넘어짐 등을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lope of the smart wand changes abruptly, it is possible to guess that the user's posture also tilts sharply according to the smart wand that the slope has changed suddenly,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fall or fall.

이러한 동작감지부(110)는 가속도 센서모듈(112) 및 각속도 센서모듈(113)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기울기 및 각속도 정보의 변화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자세, 기울어짐 등을 판정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도록 스마트 지팡이(100)의 손잡이(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ion sensing unit 110 determines the posture and inclination of the smart wand 100 through changes in acceleration, tilt,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112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13, (Not shown) of the smart wand 100 so that the state of the smart wand 100 can be accurately guessed.

건강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감지하여 건강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건강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수 센서모듈(122) 및 스마트 지팡이(100)의 하단과 지면이 서로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정보를 측정하는 압력센서모듈(123)을 포함한다.The health sensing unit 120 senses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generates health information. The health sensing unit 120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for measuring heart rate information of a user and a pressure sensor module 122 for measuring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ever the bottom of the smart wand 100 touches the ground, 123).

이때, 심박수 센서모듈(122)은 손잡이의 내측에 전반적으로 설치되어 스마트 지팡이(1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바닥 전체에서 감지되는 심박수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손잡이를 계속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손잡이의 내측에 설치되는 심박수 센서모듈(122) 등 심박수를 감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자재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may b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so as to measure the heart r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entire palm of the user holding the smart wand 100. However, in order to continuously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The user may inconvenience the user to keep gripping the handl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nsumed material cost for detecting the heart rate, such as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installed inside the handle, increases.

따라서, 심박수 센서모듈(122)은 스마트 지팡이(100)의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서 감지되는 심박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 단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andle end to measure heart r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thumb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100.

이러한 심박수 센서모듈(122)을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can continuously check changes in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mart wand 100,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can be checked.

또한, 압력센서모듈(123)은 스마트 지팡이(100)의 하단과 지면이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정보를 보다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스마트 지팡이(100)의 손잡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미도시)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 sensor module 123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100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each time the bottom of the smart wand 100 touches the ground, As shown in Fig.

더 나아가, 스마트 지팡이(100)는 스마트 지팡이(100)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부(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mart wand 100 may further include a GPS unit 130 installed in the smart wand 100 to sens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이러한 GPS부(130)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can be sensed through the GPS unit 130, the position of the user using the smart wand 100 can be easily grasped.

한편, 스마트 지팡이(100)의 손잡이에는 전원부(미도시)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와, 조명을 출력하는 LED(미도시)와, 충전회로 및 배터리로 구성되어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되거나 새 배터리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전부(미도시)를 더 포함될 수 있다.The handle of the smart wand 100 includes a power unit (not shown),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sound, an LED (not shown) for outputting light, a charging circuit and a battery (Not shown) that can be charged or used by replacing a new battery.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server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서버(300)는 수신부(310), 위급상황 통지부(320) 및 신체정보 저장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server 300 includes a receiving unit 310,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and a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330.

수신부(310)는 스마트 지팡이(100)의 동작감지부(110) 및 건강감지부(120)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 및 건강정보를 전송받는다.The reception unit 31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sensing unit 110 and the health sensing unit 120 of the smart wand 100.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수신부(310)로부터 동작정보 및 건강정보를 전송받는 도중에 동작정보 및 건강정보가 미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700)에 위급상황을 통지한다.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are received while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are being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310,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informs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of an emergency do.

여기서, 동작정보 및 건강정보가 미감지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낙상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지팡이(100)가 분리되거나, 사용자가 스마트 지팡이(100)만 넘어져 사용자와 스마트 지팡이가 분리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Here,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health information are not sensed,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 wand 100 due to an emergency such as a fall, or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 wand only by the smart wand 100 And so on.

신체정보 저장부(330)는 수신부(310)에서 전송받은 스마트 지팡이(100)의 동작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걸음수,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산출 및 저장한다.The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330 calculates and stores the body information including the heart rate, the number of steps and the calorie consumption of the user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received from the receiver 310 and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

이때, 건강감지부(120)의 압력센서모듈(123)을 통해 사용자가 걸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한 사용자의 걸음수를 기초로 하여 보행에 따라 소모되는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by sensing the pressure generated each time the user makes a walk through the pressure sensor module 123 of the health sensing unit 120, and calculate the number of steps The consumed calorie consumption can be calculated.

또한, 동작감지부(110)를 통해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추측하고, 걸음수와 함께 사용자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ing unit 110 senses changes in acceleration, tilt, and angular velocity of the smart wand to estimate the user's motion, and calculate calorie consumption based on the number of steps and the user's motion.

덧붙여, 메인 서버(300)는 수신부(310)에 전송된 스마트 지팡이(100)의 가속도, 기울기 및 각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상태 데이터베이스(340)와, 수신부(310)에 전송된 사용자의 심박수 및 압력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건강상태 데이터베이스(35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server 300 includes an operation state database 340 in which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eleration, tilt,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310 is stored, And a health state database 350 in which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heart rate and pressure information is stored.

구체적으로,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동작정보가 기설정된 동작 기준수치범위를 벗어나면 제1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건강정보가 기설정된 건강 기준수치범위에서 벗어나면 제2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가 발생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GPS부(130)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unit 320 generates a first emergency signal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numerical value range, generates a second emergency signal if the health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health reference numerical value range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GPS unit 130 are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when a certain waiting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do.

예를 들어, 제1 위급신호는 사용자에게 낙상 등 위급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와 스마트 지팡이(100)가 분리되거나, 스마트 지팡이(100)만 넘어져 사용자와 스마트 지팡이(100)가 분리되는 경우일 수 있으며, 사용자와 스마트 지팡이(10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동작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스마트 지팡이(100)의 동작정보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mergency signal may be a case where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 wand 100 due to an emergency such as a fall, or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smart wand 100 only by the smart wand 100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may be changed suddenly as the operation of the user suddenly changes in a state where the user and the smart wand 100 are not separated.

그리고 제2 위급신호는 사용자의 낙상으로 인해 스마트 지팡이(100)와 사용자가 분리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미감지되거나, 사용자의 일시적인 쇼크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mergency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smart wand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user due to the user's fall, the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user is undetected, or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is rapidly changed due to a temporary shock of the user have.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한 제1 위급신호 및 제2 위급신호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reason why the first emergency signal and the second emergency signal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ted is not limited to this.

덧붙여, 대기시간은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가 발생하여 위급상황 통지부(320)가 위급상황임을 최종적으로 판단하기 전에 주어지는 시간을 말하며, 위급상황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5 내지 10초의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iting time refers to the time given before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and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320 finally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is an emergency. The waiting time is 5 to 10 Lt; / RTI > seconds. The waiting time can be arbitrarily changed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wand of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지팡이(100)는 위급버튼(140) 및 안전확인버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mart wand 10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button 140 and a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위급버튼(140)은 위급버튼(140)이 눌러져 제3 위급신호가 생성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제3 위급신호 및 GPS부(130)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메인 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the emergency button 140 is pressed and the thir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he third emergency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GPS unit 130 ar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300, Lt; / RTI >

위급상황 통지부(320)가 동작정보 또는 건강정보에 의해 각각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위급상황임을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700)에 위급상황을 통지할 수도 있으나, 위급버튼(140)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위급상황임을 직접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700)에 위급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may generate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health information, and may notify the emergency terminal of the emergency termi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However, 140 to directly inform the us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

안전확인버튼(150)은 대기시간 동안 안전확인버튼(150)이 눌러지면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위급상황 통지부(320)에서 생성된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위급버튼(140)에서 생성된 제3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한다. 즉, 사용자에게 실제로 낙상 등이 발생하였으나, 안전확인버튼(150)을 통해 안전신호를 입력받아 제1 위급신호, 제2 위급신호 또는 제3 위급신호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is pressed during the waiting time,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generates a safety signal and outputs a first emergency signal or a second emergency signal generated by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Lt; RTI ID = 0.0 > 3 < / RTI > That is, although the user actually falls, the safety signal may be inputted through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to not transmit the first emergency signal, the second emergency signal, or the third emergency sig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Meanwhile,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w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스마트 지팡이(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결(S800)되고, 가속도 센서모듈(112) 및 각속도 센서모듈(113)을 통해 스마트 지팡이(100)의 기울기, 방향, 각도 변화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810).5, the smart wand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00 (S800)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and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Direction and angle of the smart wand 100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12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13 in operation S810.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스마트 지팡이(100)의 동작정보가 동작 기준수치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S811)되면 제1 위급신호를 발생(S812)하는데, 이는 동작정보가 미감지되는 경우도 포함된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generates a first emergency signal (S8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is out of the operation reference numerical value range (S811) do.

이때, 제1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대기시간 내에 안전확인버튼(150)에서 안전신호가 생성되면,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위급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S813)하여 제1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한다(S816).If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generates a safet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fter the first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signal is not an emergency (S813) (S816).

반면에, 제1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S813)하여 GPS부(130)를 통해 감지된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제1 위급신호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S818).On the other hand, if a certain waiting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emergency signal has been generat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is in an emergency state (S813) and determines that the smart stick 100 sensed through the GPS unit 130 The first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together with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S818).

덧붙여,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제1 위급신호와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마트 지팡이(100)에 설치된 스피커 및 LED에서 각각 알람 경보 및 알람 조명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transmits the first emergency signal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and at the same time, Alarm light may be outpu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스마트 지팡이(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결(S800)되고, 심박수 센서모듈(122)을 통해 사용자의 손에 대한 심박수 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820).Referring to FIG. 6, the smart wand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S800), and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of the user's heart (S820).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건강 기준수치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S821)되면 제2 위급신호를 발생(S822)하는데, 이는 심박수 정보가 미감지되는 경우도 포함된다.When the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health standard value range (S821), the emergency state notification unit 320 generates a second emergency signal (S822), which includes the case where the heart rate information is not sensed.

이때, 제2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대기시간 내에 안전확인버튼(150)에서 안전신호가 생성되면,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위급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S823)하여 제2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한다(S826).If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generates a safet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fte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has been generat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signal is not an emergency (S823) (S826).

반면에, 제2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위급상황 통지부는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S823)하여 GPS부(130)를 통해 감지된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제2 위급신호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S828).On the other hand, if a certain waiting time elapse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mergency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is in an emergency (S823)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sensed through the GPS unit 130 Together with the second emergency sig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S828).

덧붙여,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제2 위급신호와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마트 지팡이(100)에 설치된 스피커 및 LED에서 각각 알람 경보 및 알람 조명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transmits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and at the same time, Alarm light may be outpu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w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스마트 지팡이(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와 연결된다(S800).Referring to FIG. 7,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mart wand 1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S800).

그 이후에, 위급버튼(140)에서 제3 위급신호가 발생(S830)하게 되면, 제3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대기시간 내에 안전확인버튼(150)에서 안전신호가 생성되면,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위급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S833)하여 제3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한다(S836).Thereafter, when the thir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in the emergency button 140 (S830), if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150 generates a safety signal within a certain waiting time after the third emergency signal has been gener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gnal is not the emergency (S833), and the generation of the third emergency signal is stopped (S836).

반면에, 제3 위급신호가 발생한 이후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S833)하여 GPS부(130)를 통해 감지된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제3 위급신호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한다(S838). 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third emergency signal has been generat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is in the emergency state (S833) and determines that the smart stick 100 sensed through the GPS unit 130 Together with the positional information, the third emergency sig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S838).

덧붙여, 위급상황 통지부(320)는 제3 위급신호와 스마트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마트 지팡이(100)에 설치된 스피커 및 LED에서 각각 알람 경보 및 알람 조명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320 transmits the third emergency signal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10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and at the same time, Alarm light may be outpu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시작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er terminal of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rt screen of an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500)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5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500 includes an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510.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510)은 수신부에서 전송된 동작정보 또는 신체정보 저장부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활용하여 화면에 콘텐츠로 표시되는 운동콘텐츠(512), 게임콘텐츠(511), 건강관리콘텐츠(513)를 포함한다.The ac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510 uses the mo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or the bod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to generate exercise contents 512, game contents 511, health care contents 513, .

여기서, 운동콘텐츠(512)는 선택적 실행시 동작정보를 운동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동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게임콘텐츠(511)는 선택적 실행시 화면에 특정화상체를 표시하고 상기 동작정보를 게임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특정화상체가 이동되게 하며, 건강관리콘텐츠(513)는 항상 강제 실행되며 상기 신체정보를 화면의 일단에 항상 강제 표시한다.Here, the exercise content 512 displays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by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selective execution as the exercise input signal, the game content 511 displays the specified upper body on the screen during the selective execution, The healthcare contents 513 are always forcibly executed, and the body information is always forcibly displayed at one end of the screen.

여기서,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는 치매 및 낙상을 포함하는 위급상황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고 신체를 유연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할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are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and making the body flexibl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including dementia and fall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I will explain in detail.

또한, 건강관리콘텐츠(51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신체정보는 심박수 센서모듈(122)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사용자의 심박수, 압력센서모듈(123)을 통해 감지된 압력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카운팅된 횟수를 특정시간 동안 산출한 사용자의 걸음수, 사용자의 걸음수에 따라 특정시간 동안 산출한 칼로리 소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healthcare contents 513 may include the heart rate of the user sensed in real time through the heart rate sensor module 122 and the heart rat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module 123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who has counted the number of counts every time the pressure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a specific time,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alculated during a specific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and the like.

이러한 건강관리 콘텐츠(513)는 게임콘텐츠(511), 운동콘텐츠(512) 등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510)의 다른 콘텐츠가 실행 중이더라도 신체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0)의 화면상에 항상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healthcare content 513 always displays the body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500 even if other contents of the ac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510 such as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are running,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immediately confirm the body information.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시작화면을 살펴보면, 게임콘텐츠 및 운동콘텐츠는 "신체건강" 탭으로 표시될 수 있고, 건강관리콘텐츠는 "안전관리" 탭으로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tart screen of the operation-linked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isplayed such that the game content and the exercise content may be displayed as a "physical health" tab, and the healthcare content may be displayed as a " .

이때, 도면에 표시된 시작화면의 구성 및 콘텐츠를 나타내는 탭의 명칭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명칭 및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names of the tabs indic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rt screen and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names and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link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더 나아가,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은 보호자 등록콘텐츠(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 등록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에 관리자 단말기를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기타설정" 탭으로 표시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ction-linked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guardian registration content (not shown). Such guardian registration contents are for registering an administrator terminal in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displayed in the "Other Settings" tab.

예를 들어,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시작화면에서 "기타설정" 탭이 선택된 후, 화면이 전환되어 관리자 단말기의 등록을 위한 항목들이 표시되는데, QR코드가 표시되는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QR코드가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other setting" tab is selected on the startup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y executing the operation-linked application, the screen is switched and items for register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are displayed. When the item is selected, the QR c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이때, 관리자 단말기에도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시작화면에서 "기타설정" 탭이 선택된 후, 전환된 화면에서 QR코드를 스캔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QR코드를 스캔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가 실행된다.At this time,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s also install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an item for scanning the QR code on the switched screen is selected from the "Other Settings" tab on the start screen of the operation-linked application as show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n selected, the camera built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is executed to scan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그런 다음, 관리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QR코드를 스캔하면, QR코드를 스캔한 관리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되어 메인 서버로부터 위급상황을 통지받을 수 있다. Then, when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scanned using the camera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at has scanned the QR code can be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and be notified of the emergency status from the main server.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복수의 관리자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고, 한번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는 메인 서버로부터 위급상황을 계속 통지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는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 변경 또는 삭제 등 등록된 관리자 단말기를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administrator terminals can be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and once registered,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n be continuously notified of the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main ser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ser terminal can manage the registered administrator terminal such as registered administrator terminal change or deletion.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와 관련없는 외부인이 아닌 보호자의 단말기를 관리자 단말기로 등록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외부인 단말기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register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in this way, a terminal of a guardian who is not an outside person unrelated to the user can be registered as an administrator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an external terminal.

여기서, QR코드를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등록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관리자 단말기가 등록될 수 있다.Here, it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dministrator terminal is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using the QR code,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n be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various registration methods without limiting thereto.

덧붙여, 도 8을 참조하면,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510)은 동작정보 수신부(514), 신호 변환부(515) 및 실행부(516)를 더 포함한다.8, 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510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4, a signal converting unit 515, and an executing unit 516. [

동작정보 수신부(514)는 수신부(310)에서 전송된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수신한다. 즉, 동작정보 수신부(514)는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510)에 활용하기 위해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310)에서 동작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The mo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4 receives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tilt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310. That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4 receives only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310, which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nd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in order to utilize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tilt information, can do.

신호 변환부(515)는 동작정보 수신부(514)에서 전송된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운동 입력신호 및 게임 입력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에 따라 필요한 입력 신호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신호 변환부(515)는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515 converts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4 into a motion input signal and a game input signal. At this time, since necessary input signal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the signal conversion unit 515 converts the input signals into different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can do.

실행부(516)는 신호 변환부(515)에서 변환된 입력 신호를 활용하여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를 실행한다. 즉, 신호 변환부(515)에서 변환된 입력 신호를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에 활용하여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에 따라 게임콘텐츠(511) 및 운동콘텐츠(512)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ecution unit 516 executes the game content 511 and the exercise content 512 using the input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515. [ That is, the input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ting unit 515 is used for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so that the game contents 511 and the exercise contents 512 are execu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운동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FIG. 10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ercise content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exercise contents which can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user by using the smart wan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되는 시작화면에서 "신체건강" 탭이 선택되고, 이후에 전환된 화면상에 나열되는 복수의 운동 종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운동에 해당하는 효과가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되어 운동콘텐츠가 실행된다.When the "physical health" tab is selected on the start screen displayed by executing the action-linked application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exercise types listed on the switched screen is selected, an effect corresponding to the exercise is displayed And the exercise content is executed.

이때, 운동콘텐츠가 실행되면,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구현되는 사람 형상의 사용자 화상체가 출현하는데, 사용자 화상체는 스마트 지팡이가 좌, 우, 상, 하로 이동 또는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화상체도 좌, 우, 상, 하로 이동 또는 회전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된다.At this time, when the exercise content is executed, a human-shaped user image that i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ppears. The user's upper body is a smart wand moving left, right, The use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also shifted to the left, right, up, or down,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changed and display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는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므로, 스마트 지팡이의 전체가 아닌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스마트 지팡이의 일부에만 위치, 방향, 각도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since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slope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re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 part of the smart wand installed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position, direction and angle only.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에 설치된다고 가정하고,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가 상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면, 가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방향의 전환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동작정보는 메인 서버의 수신부를 거쳐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정보 수신부로 수신되며, 신호 변환부를 통해 운동콘텐츠의 입력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화상체는 전환된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와 동일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re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when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changes direction to the upper side, mo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nsing the direction chang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via the receiving unit of the main server and converted into the input signal of the exercise contents through the signal converting uni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us converted, the user body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of the converted smart staff.

이러한 사용자 화상체의 이동은 상측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가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좌측, 우측, 하측으로도 이동할 수 있고,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ement of the user object is not limited only to the upper side, but can be moved to the left, right, and lower sid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It is possible to mov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이와 같이, 운동콘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들을 제공함은 물론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여 올바르게 운동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단순한 넘어짐, 미끄러짐 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motions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user through the exercise contents, as well as to detect the motion of the smart wand and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correctly exercising using the smart wand, So as to cope with a simple fall, slip, and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게임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game contents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게임콘텐츠의 일실시예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난 상태를 확인하기에 앞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콘텐츠(511)는 게임 제1 서브콘텐츠(511-1)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game content 51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game content, And sub-content 511-1.

게임 제1 서브콘텐츠(511-1)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1 이동화상체(A)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제1 이동화상체(A)의 근처에 주기적으로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고 제1 이동화상체(A)와 접촉되면 제1 이동화상체(A)의 이동을 일시정지시키는 장애물화상체(B)를 구현한다.The game first sub-contents 511-1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A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eriodically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moving body A. When the first moving body A is contacted with the first moving body A, (B) which stops the obstacle.

이때, 게임콘텐츠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지 않는 게임콘텐츠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는 게임콘텐츠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game contents include game contents that do not use the smart wand, but only the game contents using the smart wand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되는 시작화면에서 "신체건강" 탭이 선택되고, 이후에 전환된 화면에서 지팡이의 이용 여부와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 제1 이동화상체(A)와 장애물화상체(B)를 구현하는 게임 제1 서브콘텐츠가 실행된다.11, when the "body health" tab is selected on the start screen displayed by executing the operation-linked application, and whether or not the cane is used and the game mode is selected on the screen that is switched after, the first moving object A ) And the obstacle image body (B) are executed.

이때, 제1 이동화상체(A)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현하면, 제1 이동화상체(A)와 마주보는 장애물화상체(B)가 적어도 하나 이상 출현하는데, 장애물화상체(B)는 제1 이동화상체(A)와 동시에 출현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mobile body A appear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least one obstacle body B facing the first mobile body A appears, May appear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mobile body (A).

게임 제1 서브콘텐츠가 실행되면, 제1 이동화상체(A)는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므로, 스마트 지팡이가 좌, 우, 상, 하로 이동 또는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제1 이동화상체(A)도 좌, 우, 상, 하로 이동 또는 회전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된다.When the game first sub content is executed, the first moving upper body A mov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tilt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so that the smart wand moves left, right, The first mobile body A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obile body A is also moved or rotated to the left, right, up, or down so that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changed and display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는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므로, 스마트 지팡이의 전체가 아닌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이 설치되는 스마트 지팡이의 일부에만 위치, 방향, 각도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since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slope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re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 part of the smart wand installed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position, direction and angle only.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에 설치된다고 가정하고, 제1 이동화상체(A)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우측에 출현한 장애물화상체(B)와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가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면, 가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방향의 전환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동작정보는 메인 서버의 수신부를 거쳐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정보 수신부로 수신되며, 신호 변환부를 통해 게임콘텐츠의 입력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이동화상체(A)는 전환된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와 동일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re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and the first mobile body A is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body B appearing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handle of the smart stick switches its direction to the left to prevent it,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nsing the change of direction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via the receiver of the main server , And is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of game contents through a signal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us converted, the first mobile body A moves to the left side of the handle of the converted smart staff.

이러한 제1 이동화상체(A)의 이동은 좌측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가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우측, 상측, 하측으로도 이동할 수 있고,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ement of the first movable body A is not limited to the left side but can be moved to the right sid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movement of the smart stick's handle It is possible to mov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더 나아가, 게임 제1 서브콘텐츠는 제1 이동화상체(A)가 장애물화상체(B)와 접촉되지 않을 때마다 점수를 획득한 후의 점수, 제1 이동화상체(A)가 장애물화상체(B)와 접촉될 때마다 체력이 차감된 후의 잔여 체력 수치 등 게임콘텐츠의 진행에 따른 다양한 화상체를 더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ame first sub-content is a score obtained after acquiring the score every time the first moving body A is not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body B, the score after the first moving body A is acquired from the obstacle body (B) B),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image obj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contents such as the remaining physical strength value after the physical strength is subtrac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게임콘텐츠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FIG. 12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ame content of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게임콘텐츠의 다른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난 상태를 확인하기에 앞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콘텐츠(511)는 게임 제2 서브콘텐츠(511-2)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a game content 5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ame second sub-content 511-2).

게임 제2 서브콘텐츠(511-2)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2 이동화상체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제2 이동화상체로부터 이격되어 표시되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일단에서 출현하여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었다가 타단에서 사라지며 제2 이동화상체와 접촉되면 사라졌다가 다른 지점에서 다시 출현하는 표적화상체를 구현한다.The game second sub-contents 511-2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ting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eparated from the second moving image, displayed at one en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ed for a specific time, disappears at the other end, disappeared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ving image, And realizes the emerging target body.

이때, 게임콘텐츠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지 않는 게임콘텐츠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하는 게임콘텐츠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game contents include game contents that do not use the smart wand, but only the game contents using the smart wand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이동화상체(C)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현하면, 제2 이동화상체(C)로부터 이격되어 표시되는 표적화상체(D)가 출현하는데, 표적화상체(D)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일단에서부터 출현하여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었다가 타단에서 사라진다.12, when the second moving body C appear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target body D displayed apart from the second moving body C appears, and the target body D Appears from one en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for a specific time, and disappears from the other end.

이때, 게임 제2 서브콘텐츠가 실행된 후, 제2 이동화상체(C)가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것은, 제1 이동화상체(A)가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하다.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image C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tilt information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fter the game second sub-content is executed means that the first moving image A ) Is the same as mov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예를 들어, 게임 제1 서브콘텐츠와 같이 가속도 센서모듈 및 각속도 센서모듈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에 설치된다고 가정하고, 제2 이동화상체(C)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하측의 일단에서 출현하여 타단으로 이동하고 있는 표적화상체(D)와 접촉하기 위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가 하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면,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방향의 전환을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동작정보는 메인 서버의 수신부를 거쳐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정보 수신부로 수신되며, 신호 변환부를 통해 게임콘텐츠의 입력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입력 신호에 따라 제2 이동화상체(C)는 전환된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와 동일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cceleration sensor module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re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like the game first sub content, the second mobile body C appears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ensing the change of direction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of the main server Is receiv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of the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and is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of game contents through the signal conver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thus converted input signal, the second mobile body C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of the converted smart staff.

이러한 제2 이동화상체(C)의 이동은 하측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스마트 지팡이의 손잡이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측, 좌측, 우측으로도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C is not limited to the lower side but can be mov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handle of the smart wand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upward, left, and righ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더 나아가, 게임 제2 서브콘텐츠는 제2 이동화상체(C)가 표적화상체(D)와 접촉되어 표적화상체(D)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사라질 때마다 일정 점수를 획득한 후의 점수 등 게임콘텐츠의 진행에 따른 다양한 화상체를 더 구현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sub-content of the game is a game sub-content, which is obtained by acquiring a predetermined score every time the second moving upper body 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rgeted upper body D and the targeted upper body D disappear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further realize various imag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image.

이와 같이, 게임콘텐츠를 통해 게임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두뇌를 자극하여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gam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game contents to induce the user's interest, and the user's brain can be stimulated to prevent dementia.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마트 지팡이
110: 동작감지부
112: 가속도 센서모듈
113: 각속도 센서모듈
120: 건강감지부
122: 심박수 센서모듈
123: 압력센서모듈
130: GPS부
140: 위급버튼
150: 안전확인버튼
300: 메인 서버
310: 수신부
320: 위급상황 통지부
330: 신체정보 저장부
340: 동작상태 데이터베이스
350: 건강상태 데이터베이스
500: 사용자 단말기
510: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
511: 게임콘텐츠
511-1: 게임 제1 서브콘텐츠
511-2: 게임 제2 서브콘텐츠
512: 운동콘텐츠
513: 건강관리콘텐츠
514: 동작정보 수신부
515: 신호 변환부
516: 실행부
700: 관리자 단말기
A: 제1 이동화상체
B: 장애물화상체
C: 제2 이동화상체
D: 표적화상체
100: Smart Staff
110:
112: Acceleration sensor module
113: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120: Health sensing unit
122: heart rate sensor module
123: Pressure sensor module
130: GPS unit
140: Emergency button
150: Safety check button
300: main server
310:
320: Emergency Notification Department
330: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340: Operation state database
350: Health status database
500: User terminal
510: Operation Interlocking Application
511: Game contents
511-1: game first sub-content
511-2: game second sub-content
512: Exercise content
513: Healthcare content
514: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r
515:
516:
700: administrator terminal
A: the first moving image body
B: Obstacle image
C: second moving image body
D: Targeted upper body

Claims (8)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모듈 및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모듈을 통해서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동작감지부와,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측정하는 심박수 센서모듈 및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하단과 지면이 서로 맞닿을 때마다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측정하는 압력센서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건강감지부와,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GPS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지팡이;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감지부, 건강감지부 및 GPS부를 통해 생성된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전송된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상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부에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건강상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도중에 상기 동작정보, 건강정보 및 위치 정보가 미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위급상황을 통지하는 위급상황 통지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받은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동작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걸음수,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산출 및 저장하는 신체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동작정보 또는 상기 신체정보 저장부에서 전송된 신체정보를 활용하여 화면에 콘텐츠로 표시되는 운동콘텐츠, 게임콘텐츠, 건강관리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콘텐츠는 선택적 실행시 상기 동작정보를 운동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동작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게임콘텐츠는 선택적 실행시 화면에 특정화상체를 표시하고 상기 동작정보를 게임 입력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특정화상체가 이동되게 하고, 상기 건강관리콘텐츠는 항상 강제 실행되며 상기 신체정보를 화면의 일단에 항상 강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동작정보가 기설정된 동작 기준수치범위를 벗어나면 제1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건강정보가 기설정된 건강 기준수치범위에서 벗어나면 제2 위급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가 발생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상기 GPS부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스마트 지팡이는 위급 버튼 및 안전확인버튼이 더 포함되며,
상기 위급 버튼은 위급버튼이 눌러져 제3 위급신호가 생성된 이후에 일정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3 위급신호 및 상기 GPS부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전확인버튼은 상기 대기시간 동안 안전확인버튼이 눌러지면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위급상황 통지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위급신호 또는 제2 위급신호와, 상기 위급버튼에서 생성된 제3 위급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An acceleration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n operation sensor for generating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an angular velocity sensor module for measuring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a heart rat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user's heart rate information, A smart sensor module including a pressure sensor module for measuring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each time the lower end of the smart stick touches the ground surface and generating a health information of a user and a GPS module for sens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
Health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mart sensing unit, the health sensing unit, and the GPS unit; an operation state database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Health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detected while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And information on the body of the user including the heart rate, the number of steps, and the calorie consumption by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And a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ody information; And
And an operation-linked application including an exercise content, a game content, and a healthcare content displayed as contents on a screen by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or the bod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Wherein the gam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screen by us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as an exercise input signal during selective execution, the game content displays a specified upper body on a screen during selective execution, and utilizes the operation information as a game input signal, And a user terminal for always urging the healthcare contents to forcibly display the body information at a first end of the screen,
Where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generates a first emergency signal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reference numerical value range and generates a second emergency signal when the health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health reference numerical value range, When a certain waiting time elapses after an emergency signal or a second emergency signal is generated, transmits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GPS uni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e smart wand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and a safety confirmation button,
The emergency button transmits the third emergency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GPS unit to the main server when a certain waiting time elapses after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to generate the third emergency signal,
When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during the waiting time, the safety confirmation button generates a safety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emergency signal or the second emergency signal generated 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the third emergency signal generated in the emergency button, And the generation of the smart cane is stopp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연동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정보 수신부와,
상기 동작정보 수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를 상기 운동 입력신호 및 게임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서 변환된 입력 신호를 활용하여 상기 게임콘텐츠 또는 운동콘텐츠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to the motion input signal and the game input signal;
And an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the game contents or the exercise contents using the input signal converted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1 이동화상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기 제1 이동화상체의 근처에 주기적으로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고 상기 제1 이동화상체와 접촉되면 상기 제1 이동화상체의 이동을 일시정지시키는 장애물화상체를 구현하는 게임 제1 서브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mobile body that mov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cceleration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sti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a game first sub-content which i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moving body and which realizes an obstacle body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body when the first mov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oving body Wherein the safety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smart ca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신호 변환부에 전송된 상기 스마트 지팡이의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각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제2 이동화상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상기 제2 이동화상체로부터 이격되어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의 일단에서 출현하여 특정시간 동안 표시되었다가 타단에서 사라지며 상기 제2 이동화상체와 접촉되면 사라졌다가 다른 지점에서 다시 출현하는 표적화상체를 구현하는 게임 제2 서브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second mobile body that mov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mart w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second moving object on the display unit, the second moving object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disappearing from the other end, And a game second sub-content for realizing the upper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4513A 2016-09-28 2016-09-28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KR101884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13A KR101884275B1 (en) 2016-09-28 2016-09-28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13A KR101884275B1 (en) 2016-09-28 2016-09-28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22A KR20180034822A (en) 2018-04-05
KR101884275B1 true KR101884275B1 (en) 2018-08-01

Family

ID=6197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513A KR101884275B1 (en) 2016-09-28 2016-09-28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2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763B1 (en) 2022-10-21 2024-01-11 한국전기연구원 Smart stick with Real-time positional tracking-healthcare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982B1 (en) * 2018-12-06 2019-08-28 김경태 The climbing stick
KR102124558B1 (en) * 2019-12-30 2020-06-18 위덕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Feedback Stick for Walking Aid to Stroke Pati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9985A (en) * 2010-05-19 2011-12-01 Nintendo Co Ltd Game device, game program, game system, and game processing method
KR200477554Y1 (en) 2014-04-30 2015-06-29 오채연 Stick with auxiliary means for exerci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79B1 (en) 2008-05-09 2008-09-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tick for an aged person and signal system therefore
KR20110133879A (en) * 2010-06-07 2011-12-14 김영창 A walking stick for detecting walking correction, physiologicl signal and falling down
KR20120115166A (en) * 2011-04-07 2012-10-1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 multi function walking supporter
KR20150086791A (en) * 2014-01-20 2015-07-29 제이에스씨 주식회사 Stick for managing health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9985A (en) * 2010-05-19 2011-12-01 Nintendo Co Ltd Game device, game program, game system, and game processing method
KR200477554Y1 (en) 2014-04-30 2015-06-29 오채연 Stick with auxiliary means for exerci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763B1 (en) 2022-10-21 2024-01-11 한국전기연구원 Smart stick with Real-time positional tracking-healthcar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22A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4929B2 (en) Multi-function smart mobility aid and how to use
US9852600B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intelligent walking stick
KR101834077B1 (en) A postural balance training system
JP5938214B2 (en) Fall detection system
US10863926B2 (en)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84275B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tick
JP5998780B2 (en) Biometric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biometric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KR101898582B1 (en) A stick for the blind
CN108348813A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earable activity monitor to carry out running tracking
KR20190012986A (en) A dynamic harness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motion recognition
JP2019514140A (en) Mobile device with smart features and charging mount for mobile device
WO2017088817A1 (en) Crutch walker
JP2009106375A (en) Gait discrimination system
JP2009142470A (en) Posture discriminating device
JP2009106374A (en) Display system for gait information
JP2003061935A (en)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nd behavior discriminating system
CN112294293A (en) Wear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JP6229830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exercise support program
AU2019101779A4 (en) A method of detecting a fall for use at a mobility-assistive device, and a mobility-assistive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170073995A (en) Stick for leisure and system for monitoring user's situation using it
JP4839939B2 (en) Autonomous mobile device
KR101615517B1 (en) Stick for leisure and method for finding teammate using the same
JP3178369U (en) Sensor that identifies people
KR20210004730A (en) A cane with various functions
KR20190068040A (en) Safety detection system using a smart c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