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112B1 - Intraocular lens - Google Patents

Intraocular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112B1
KR101884112B1 KR1020170006326A KR20170006326A KR101884112B1 KR 101884112 B1 KR101884112 B1 KR 101884112B1 KR 1020170006326 A KR1020170006326 A KR 1020170006326A KR 20170006326 A KR20170006326 A KR 20170006326A KR 101884112 B1 KR101884112 B1 KR 10188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side portions
thread
fitting
op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3715A (en
Inventor
엄영섭
차덕선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1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8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는 파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파지 부재에는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고정될 수 있다.An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ptic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gripp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or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port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is fixed .

Description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Intraocular lens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인공수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 부재가 구비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인공수정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cular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raocular lens including a side portion provided with a gripping member.

백내장 수술 중 수정체낭의 지지가 소실된 경우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에 삽입할 수 없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은 인공수정체 지지부에 실을 고정하여 이 실을 바늘을 이용하여 공막에 고정하는 술기이다. 이러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은 시간이 다소 걸리는 술기이며,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환자의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If the lens capsule is lost during cataract surgery, IOL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lens capsule, and intraocular lens fixation can be performed in this case. Intraocular lens fixation is a technique in which a thread i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intraocular lens and the needle is used to fix the needle to the sclera. Such an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is a time-consuming procedure and may cause visual impairment of the patient due to tilting of the intraocular lens after surgery.

또한,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심한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 모양체소대 해리가 진행하여 수정체의 중심이탈, 기울어짐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인공수정체 탈구로 이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evere contraction of the lens capsule after cataract surgery, dissociation of the ciliary body may proceed and central lens dislocation and tilting may occur. In severe cases, the cataract can be converted to dislo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한편,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음성 이상광시증(negative dysphotopsia)은 수정체낭 내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귀쪽 시야를 가리는 초승달 모양의 그림자'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음성 이상광시증의 원인 중 하나는 인공수정체의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된 빛의 경로 변경이다.Negative dysphotopsia, which may occur after cataract surgery, is a symptom of 'crescent-shaped shadow' that obscures the visual field of the ear, which may occur in patients with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the lens capsule. One of the causes of these phonemic aphasia is the path change of refracted light at the optical edge of the IOL.

이와 같이 백내장 수술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인공수정체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intraocular lens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ataract surgery.

예를 들어, 2008년 7월 4일에 출원된 KR 10-2008-0065126에는 '인공수정체 및 인공수정체의 수술 후 굴절오차 보정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R 10-2008-0065126, filed on July 4, 2008, discloses a method for correcting refractive errors after surgery of intraocular lenses and intraocular lenses.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짧은 시간에 손쉽게 시행할 수 있고,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수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cular lens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time-consuming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mproving the positional stability of an intraocular lens after surgery.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수축을 예방하여 수정체낭 원형절개부 수축에 의한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기울어짐,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cular lens capable of preventing decentration, tilting, and dislo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due to shrinkage of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after contraction of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after cataract surgery.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인공수정체의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을 차단하여 수술 후 음성 이상광시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ocular lens capable of preventing light from being refracted at the corners of an optical portion of an intraocular len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visual abnormalit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는 파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파지 부재에는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raocular lens comprising: an optical unit;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gripp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or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port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is fixed .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는, 상기 광학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 요소;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 요소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상부 요소 및 상기 하부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include an upper element extending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And a lower element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and facing the upper element, the gripping member being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요소의 하단에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요소의 상단에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는 각각 빗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a second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and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include a hypotenuse .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r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side by sid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파지 부재는 달팽이관 형상의 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는 상기 홈을 따라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chlea-shaped groove, and the thread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can be rotated and fixed along the groove.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학부의 측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djacent to the optical unit.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에 의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짧은 시간에 손쉽게 시행할 수 있고,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ime-consuming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short time, and postoperative stability of the intraocular lens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에 의하면,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수축을 예방하여 수정체낭 원형절개부 수축에 의한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기울어짐, 탈구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cataract surgery, contraction of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center of the lens capsule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tilting and dislocating due to contraction of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에 의하면, 인공수정체의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을 차단하여 수술 후 음성 이상광시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fracted at the optical portion edge of the IOL can be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visual abnormalities.

도 1a 및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d)는 측면부 및 지지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e)는 측면부에 형성된 다양한 파지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d)는 인공수정체의 고정을 위해 공막을 관통하여 실이 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c)는 인공수정체가 실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인공수정체가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지지부에 의해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Figures 1A and 1B illustrate an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a) to 2 (d) show various shapes of the sid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Figs. 3 (a) to 3 (e) show the shape of various holding members formed on the side surface portion.
4 (a) to 4 (d)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thread is inserted through a scleral for fixation of an intraocular lens.
5 (a) to 5 (c) show the process of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chamber.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traocular lens is fixed to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light refracted at the edge of the optical part is blocked by the support.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best of an understanding clear.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scope.

도 1a 및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를 도시하고, 도 2(a) 내지 (d)는 측면부 및 지지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하고, 도 3(a) 내지 (e)는 측면부에 형성된 다양한 파지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다.FIGS. 1A and 1B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side and support portions, and FIGS. 3A to 3E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hape of the holding member.

도 1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10)는 광학부(100), 복수 개의 측면부(200) 및 복수 개의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n intraocular len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optical portion 100,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nd a plurality of supports 300.

상기 광학부(100)는 인공수정체의 렌즈 역할을 하는 원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의미한다.The optical unit 100 refers to a circular portion serving as a lens of the intraocular lens.

이때, 광학부(100)는 투명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아크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tical unit 1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transparency, but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plastic, silicone, and acrylic.

상기 광학부(10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unit 100.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200)는 예를 들어 광학부(100)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또는 서로 대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so as to face each other or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측면부(200)는 광학부(100)의 측면에서 광학부(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광학부(10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portion 100 on the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portion 100.

이때,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는 파지 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ing member 210.

상기 파지 부재(210)에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삽입 또는 관통된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공수정체(10)가 공막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grasping member 210 may have a thread or a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inserted or penetrated into the plurality of side parts 200 to the sclera. Whereby the intraocular lens 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sclera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예를 들어, 도 1에는 파지 부재(210)가 복수 개의 측면부(200) 내에 파지 공간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파지 부재(210)가 복수 개의 측면부(2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파지 부재(210)의 형상은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파지 부재(210)가 복수 개의 측면부(200) 내에 파지 공간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although the grip member 210 is shown as a holding space 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in FIG. 1, the grip member 210 may have a protruding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10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shape of the gripping member 210 can be any shape as long as the thread or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can be stably fixed. Hereinafter, a cas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grip member 210 is provided as a holding space 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광학부(100)의 측면에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ptical unit 100 to serve as a support.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예를 들어 광학부(100)의 측면에서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지지부(300)의 배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서 직접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t a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for example.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atural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또한,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광학부(100)의 측면에서 복수 개의 측면부(200)와 달리 방사상 방향이 아닌 광학부(100)의 측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exten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which is not the radial direction, unlike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on the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이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공막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에 고정되는 경우, 공막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에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300 from colliding with the scleral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when they are fixed to the sclera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part in the plurality of side parts 200.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10)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300)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측면부(200)에 비해서 복수 개의 측면부(200)의 길이 또는 폭이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a에 도시된 파지 부재(210)에 비해서 도 1b에 도시된 파지 부재(210)의 길이 또는 폭이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natural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s 300 may not be included as shown in FIG. 1B. In order to supplement the rol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have a greater length or width than the side portion 200 shown in FIG. 1A. Whereby the length or the width of the gripping member 210 shown in FIG. 1B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gripping member 210 shown in FIG. 1A.

특히, 도 2(a) 내지 (d)를 참조하여, 전술된 광학부(100), 복수 개의 측면부(200) 및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2 (a) to 2 (d), the optical portion 100,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경우로서, 광학부(100) 및 복수 개의 지지부(300)의 형태는 도 1과 동일하다.2 (a) is thinner tha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shown in FIG. 1, and the shapes of the optical portion 10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ortions 30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지지부(300)의 형태가 다르게 구성된 경우로서, 도 1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광학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도시된 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고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를 연장한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IG. 2 (b) shows a case where the plurality of supports 300 shown in FIG. 1 are configured differently, and FIG. 1 shows a plurality of supports 300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optical unit 100, As shown in FIG. 2 (b),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an axis extending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측면부(200)가 네 개로 마련된 경우로서, 한 쌍의 측면부(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학부(10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의 측면부(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학부(100)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측면부(200)는 광학부(100)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 중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Fig. 2 (c) shows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shown in Fig. 1 are provided in four, the pair of side portions 2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The pair of side portions 200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tical portion 100.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optical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300 may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side parts 200.

도 2(d)는 도 2(c)에 도시된 복수 개의 측면부(200)와 유사하나, 복수 개의 측면부(200)가 광학부(100)의 수평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측면부(20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광학부(100)에서 연결될 수 있다.2 (d) is similar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shown in FIG. 2 (c), except that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ral axis of the optical portion 100, .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may be spaced from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nd connected to the optical portion 100.

이와 같이 광학부(100)의 측면에 연결된 복수 개의 측면부(200) 및 복수 개의 지지부(300)의 폭, 두께, 형상 또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width, thickness, shape or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또한, 도 3(a) 내지 (e)를 참조하여, 측면부(200)에 형성된 파지 부재(2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3 (a) to 3 (e), the grip member 210 formed on the side portion 2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특히, 도 3(a) 내지 (d)를 참조하여, 측면부(200)는 광학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 요소(202) 및 광학부(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부 요소(20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하부 요소(204)를 포함할 수 있다.3 (a) to 3 (d), the side portion 200 includes an upper element 20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100, and an upper element 202 exten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100 And a lower element 204 extending to face the upper element 202.

이때, 파지 부재(210)는 상부 요소(202) 및 하부 요소(2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상부 요소(202) 및 하부 요소(20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ing member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lower element 204. Whereby a thread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can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lower element 204.

특히, 상부 요소(202)의 하단에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끼움 돌기 및 제2 끼움 돌기는 각각 빗변을 포함할 수 있다.Particularly, a first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a second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204, and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may each include a hypotenuse can do.

이는 파지 부재(210)에 배치된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요소(202)의 하단 및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 돌기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This is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thread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or securing the intraocular lens disposed on the grip member 210 to the sclera.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rojection of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projec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소(202)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 및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3 (a),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204 are form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소(202)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 및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b),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204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소(202)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 및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c),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204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

이때, 상부 요소(202)의 하단에 형성된 제1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은 광학부(100)로부터 측면부(200)의 단부를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요소(204)의 상단에 형성된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은 측면부(200)의 단부로부터 광학부(100)를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점은 공통된다.At this time, the hypotenuse included i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is inclined upward from the optical part 100 toward the end of the side part 200, It is common that the hypotenuse included in the two fitting projections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side portion 200 toward the optical portion 100. [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요소(202)의 하단 및 하부 요소(204)의 상단이 평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202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204 may be provided in planar form, as shown in Fig. 3 (d).

게다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재(210)는 달팽이관 형상의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면부(200)에 삽입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홈을 따라 회전되어 측면부(200) 또는 파지 부재(2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3 (e), the gripping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f a cochlea. Whereby the thread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 200 can be rotated along the groove and fixed within the side portion 200 or the gripping member 210.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인공수정체(10)가 안과영역에서 백내장 수술 시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상술된다.The structure of the intraocular lens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intraocular lens 10 is applied to cataract surgery in the ophthalmic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내지 (d)는 인공수정체의 고정을 위해 공막을 관통하여 실이 배치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5(a) 내지 (c)는 인공수정체가 실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6은 인공수정체가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지지부에 의해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다.4 (a) to 4 (d)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a thread is inserted through a scleral for securing an intraocular lens, FIGS. 5 (a) to 5 (c)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traocular lens is fixed to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light refracted at the optical part edge is blocked by the support part.

도 4(a) 내지 (d)를 참조하여, 인공수정체를 공막(A)에 고정하기 위해, 공막(A)을 관통하여 실(B)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막(A)에 형성된 원형 공간에 실(B)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 to 4 (d), in order to fix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A, the thread B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through the sclera A. Whereby the yarn B can be arranged in a circular space formed in the sclera A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실(B)은 예를 들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추후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실(B)이 예를 들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되어 추후 제거될 필요가 없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thread B may be made of a non-absorbable material, for example, and may be removed after surgery.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hread B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need not be removed later.

도 5(a) 내지 (c)를 참조하여, 공막(A)을 관통하여 배치된 실(B)이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끼워질 수 있다.5 (a) to 5 (c), the yarn B disposed through the sclera A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이때, 복수 개의 측면부(20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실(B)이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read B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또한,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는 공막(A)에 형성된 원형 공간에 노출된 실(B)이 끼워질 수 있고, 광학부(100)는 공막(A)에 형성된 원형 공간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chamber B exposed in a circular space formed in the sclera A and the optical portion 100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space formed in the sclera A. have.

따라서,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고정될 것을 고려하여 실(B)을 공막(A)에 관통하여 미리 배치함으로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이 비교적 간단하게 시행될 수 있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refo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thread B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the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can be relatively easily performed by arranging the thread B through the sclera A,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공막(A)의 내측에 수정체낭 원형절개부(B)가 형성되고, 수정체낭 원형절개부(B)가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6, a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B may be formed inside the sclera A, and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B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 백내장 수술 후에 수정체낭 원형절개부(B)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정체낭 원형절개부(B)의 수축에 의한 수정체의 중심이탈, 기울어짐, 인공수정체의 탈구 등을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B from contracting after the cataract surgery, and to prevent the lens center deviation, tilting, and dislocation of the lens due to shrinkage of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B have.

게다가, 도 7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측면부(200)를 공막(A)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광학부(100)의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이 차단되어 음성 이상광시증 발생이 예방될 수 있다.7, by positioning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clera A, the light refracted at the edge of the optical portion 100 is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negative abnormal light incidence .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공막(A)이 밀착 고정되어, 복수 개의 측면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부(300)가 공막(A) 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복수 개의 지지부(300)에 의해 빛이 굴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00,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are extended outward on the scrim film A by tightly fixing the scrim A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200, The refraction of light by the light source 300 can be blocked.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정체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짧은 시간에 손쉽게 시행할 수 있고,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위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수축을 예방하여 수정체낭 원형절개부 수축에 의한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기울어짐, 탈구를 방지할 수 있고, 인공수정체의 광학부 모서리에서 굴절되는 빛을 차단하여 수술 후 음성 이상광시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The intraocular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long-time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in a short time and can improve the position stability of the intraocular lens after the cataract surger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centration, tilting and dislocation of the intraocular lens due to contraction of the capsular incision by preventing shrinkage and to prevent light refraction after surgery by blocking light refracted at the optical edge of the IOL.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인공수정체
100: 광학부
200: 복수 개의 측면부
202: 상부 요소
204: 하부 요소
210: 파지 부재
300: 복수 개의 지지부
10: intraocular lens
100: Optical part
200:
202: upper element
204:
210:
300: a plurality of supports

Claims (6)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측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는 파지 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파지 부재에는 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하기 위한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가 고정되고,
상기 실은 상기 공막을 관통하여 직사각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공막에 형성된 원형 공간에 상기 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실이 상기 파지 부재를 관통하도록 각각의 파지 부재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는,
상기 광학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 요소;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 요소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하부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상부 요소 및 상기 하부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요소의 하단에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요소의 상단에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는 각각 빗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에서 상기 빗변은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 사이 공간을 통해서 삽입된 상기 실 또는 수정체낭 원형절개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인공수정체.
An optic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on a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Lt; / RTI >
And a gripping member i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The grasp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hread or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for fixing the intraocular lens to the sclera,
The thread is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passing through the sclera, the thread is arranged in a circular space formed in the scraper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threa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grip member Each of the holding members being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so as to face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An upper element extending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And
A lower element extending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optical portion and arranged to face the upper element;
Lt; / RTI >
The gripping member being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ment and the lower element,
A first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element,
A second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lower element,
Wherei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each include a hypotenuse,
The hypotenuse in each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is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thread or the lens capsule circular incision inser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Prevented intraocular le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끼움 돌기 및 상기 제2 끼움 돌기에 포함된 빗변이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 인공수정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r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or the first fitt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s In which the hypotenuses included in the eye are formed side by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측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수정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ptical unit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KR1020170006326A 2017-01-13 2017-01-13 Intraocular lens KR101884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26A KR101884112B1 (en) 2017-01-13 2017-01-13 Intraocular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26A KR101884112B1 (en) 2017-01-13 2017-01-13 Intraocular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715A KR20180083715A (en) 2018-07-23
KR101884112B1 true KR101884112B1 (en) 2018-07-31

Family

ID=6307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326A KR101884112B1 (en) 2017-01-13 2017-01-13 Intraocular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11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298B2 (en) 1989-06-22 1998-12-24 株式会社メニコン Intraocular lens
JP2003524502A (en) 2000-02-29 2003-08-19 カミング、ジェイ.スチュアート Intraocular lens with fixed support
JP2014166355A (en) * 2007-03-13 2014-09-11 Optimedica Corp Intraocular le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9859A5 (en) * 1975-06-06 1979-03-30 Inprohold Ets Lens as a substitute for the natural lens surgically removed from the eye of a living be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298B2 (en) 1989-06-22 1998-12-24 株式会社メニコン Intraocular lens
JP2003524502A (en) 2000-02-29 2003-08-19 カミング、ジェイ.スチュアート Intraocular lens with fixed support
JP2014166355A (en) * 2007-03-13 2014-09-11 Optimedica Corp Intraocular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715A (en)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5814B (en) Multi-part artificial lens
US4946469A (en) Intraocular lens
KR102652996B1 (en) Intraocular pseudophakic contact lens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681981B2 (en) Intraocular implant and method for fixing same into an eye
US9782291B2 (en) Intraocular implant and method for fixing same into an eye
US20100082100A1 (en) Intraocular lens
CN111629692A (en) One-piec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138282A1 (en) Intraocular lens assembly
CN115486965A (en) Device for repair and tensioning of the lens capsule
EP3123979B1 (en) Intraocular lens
KR101884112B1 (en) Intraocular lens
KR0162655B1 (en) Intraocular lens
US4795460A (en) Flexible three-piece posterior chamber lens
KR102251842B1 (en) Support Structure for Artificial Eyes Lens
RU2020108181A (en) INTRAOCULAR LENS
US10925721B2 (en) Optical implantable member
EP2422747B1 (en) Intraocular implant
CN114901210A (en) Intraocular lens with increased optical diameter
US11103343B2 (en) Intraocular lenses having open-loop haptic structures
JP4283229B2 (en) A fixation ring for reconstructing prosthetics in the inner or outer envelope in the anterior region of the human eye
US20180296324A1 (en) Optical Devices Having Partial or Incomplete Optic and Associated Methods
KR20180133451A (en) After having a swivel tactile portion for fixation of the incision,
RU2253411C2 (en) Intracapsular ring having member for fixing intraocular lens
RU75151U1 (en) ARTIFICIAL EYE CRYSTAL
US20210386537A1 (en) Intraocular Len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