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37B1 -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 Google Patents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37B1
KR101879437B1 KR1020160080268A KR20160080268A KR101879437B1 KR 101879437 B1 KR101879437 B1 KR 101879437B1 KR 1020160080268 A KR1020160080268 A KR 1020160080268A KR 20160080268 A KR20160080268 A KR 20160080268A KR 101879437 B1 KR101879437 B1 KR 10187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transmission line
spring
unit blocks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1304A (en
Inventor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6008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3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특히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관절형 지지모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시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마련된 복수의 단위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module for a transmission line sleeve inserted in a part of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formed in a flexible transmission line sleeve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sleeve, In particular,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is provided. 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ranged in a line while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and arranged to be bent or expanded in a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a spring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unit blocks which are two adjacent unit blocks and exerts an elastic force on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are bent.

Description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0001]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0002]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블록들을 갖는 관절형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module for preventing sleeve deflection for transmission li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unit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현재,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에는 에너지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전송라인 베이어(transmission line veyor)가 사용되고 있다. 전송라인 베이어는 케이블 베이어(cable veyor)라 칭해지기도 한다.Currently, transmission lines such as cables and air hoses are used for energy supply or signal transmission in various industrial machines such as semiconductor equipment, clean room facilities, and robots. In order to safely protect and transfer such a transmission line, a transmission line vessel is used. Transmission line bearer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cable veyors.

일반적으로 전송라인 베이어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송라인 베이어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한다.Generally, a transmission line bearer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ranged in a line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blocks. The connection unit connects a plurality of unit blocks so that the transmission line bearer can bend.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송라인 베이어에 따르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단위블록들 간 마찰, 단위블록들과 전송라인 간 마찰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라인 베이어에 의하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소음은 작업 환경의 열악화를 초래하고, 상기 분진은 산업기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line bearer thus constructed, friction betwee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urse of repeated bending and spreading, and friction between unit blocks and transmission lines is accompani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line coupler, noise and dust are generated in the course of repeated bending and spreading. The noise causes deterio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dust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industrial machine.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sleeve)는 이러한 개선책의 일환으로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갖는다. 이 수용공간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곳 이외에는 전송라인이 삽입된다. 그리고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곳에는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삽입된다. 위와 같은 슬리브 및 지지모듈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및 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개시되어 있다.Flexible sleeves have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arranged in a line as part of this improvement measure. The transmission lines are inserted in the outermost two of the accommodating spaces. And a support modul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sleeve is inserted in two outermost positions. One example of such a sleeve and support modul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49286 (assembled support module of a sleeve for a transmission line)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100676 (support module of a sleeve for a transmission line).

위 등록특허들에 개시된 지지모듈은 일렬로 나열하도록 평판에 결합한 복수의 단위블록들을 갖는다. 지지모듈이 굽혀지면 단위블록들이 서로 맞닿게 되는데, 그러면 지지모듈의 굽힘이 제한된다. 지지모듈이 펴질 때에도 단위블록들은 서로 맞닿게 되는데, 그러면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된다.The supporting module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s have a plurality of unit blocks coupled to a flat plate to be arranged in a line. When the support module is bent, the unit block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limits the bending of the support module. Even when the support module is extended, the unit block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ch prevents sagging of the support module in the unfolded state.

한국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Korean Patent No. 10-1249286 (Assembled Support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한국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Korean Patent No. 10-1100676 (Supporting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위 등록특허들의 지지모듈에서는 단위블록들이 평판에 연결되어 있을 뿐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위 등록특허들의 지지모듈은 무관절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무관절 지지모듈은 단위블록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지지모듈, 즉 관절형 지지모듈에 비해 더 잘 처지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무관절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되는 최대 펴진 길이가 3m라면, 관절형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되는 최대 펴진 길이는 이보더 훨씬 길다. 따라서 긴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관절형 지지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In the supporting modules of the above patents, the unit blocks are connected to the flat plate and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upporting modules of the above-mentioned patents have a non-concave shape. However, the non-tubeless support modul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more easily deployed than the support module in which the uni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For example, if the maximum unfolded length of the unshifted support module is 3 m, the maximum unfolded length of 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is much longer than this. Therefore, it is better to use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in an environment where long sleeves are used.

그런데 관절형 지지모듈에서는 굽힘과 펴짐 과정에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진동과 소음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However, in 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large vibration and noise occur during the bending and spreading process.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특히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관절형 지지모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시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마련된 복수의 단위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module for a transmission line sleeve inserted in a part of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formed in a flexible transmission line sleeve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sleeve, In particular,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is provided. 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arranged in a line while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and arranged to be bent or expanded in a rotational mo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a spring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unit blocks which are two adjacent unit blocks and exerts an elastic force on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are bent.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와 접촉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반대단은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과 접촉한다.The spring may be a coil spring. In this case, one end of the coil spring contacts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unit block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posite end of the coil spring contacts the front end bottom of the rear unit block.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판 스프링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 고정된 고정단 및 이의 반대단인 자유단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pring may be formed of a leaf spring. In this case, the leaf spring is supported by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ward unit block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otary shaft. And the leaf spring has a fixed end fixed to the front unit block and a free end opposite to the fixed end.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스프링이 단위블록들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을 관절형으로 구성하여 그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상기 지지모듈의 굽힘 및 펴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이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adjacent unit blocks, i.e., The spring provided in one prevents sudden rotation of the unit blocks. Therefore, even if the support module for supporting the transmission line sleeve is configured to have an articulated length, the vibration and noise that may occur in the bending and spreading process of the support module ar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of a sleeve for a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block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pr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of a sleeve for a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100)은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미도시)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예컨대,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블록(110)과, 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지지모듈(100)이 갖는 각각의 구성들을 설명하되, 도시된 모습에서 좌측단이 있는 곳을 전방으로 칭하고 우측단이 있는 곳을 후방으로 칭한다. 그러나 이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좌측단이 있는 곳이 후방으로 이해되고 상기 우측단이 있는 곳이 전방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rticulated support module 100 of the transmission line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art of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for example, two accommodating spaces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s) formed in a sleeve (not shown) having flexibilit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110 and a spring 120, as shown in FIGS. 1 to 3,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the sleeve. Hereinafter,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support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left en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right end is referred to as the rear. But this is just an example for a clear understanding. Therefo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lace where the left end is located is understood to be rearward and the place where the right end is located can be understood as a front view.

상기 단위블록(11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110)의 후방 좌측면과 후방 우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홀(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11a, 11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홀(111a, 111b)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위블록(110)의 전방 좌측면과 전방 우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돌기(112a, 112b)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은 단위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된다. 이 경우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에 삽입되면,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unit blocks 110 have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1, and are arranged in a line while being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Holes 111a and 111b are formed on the rear left and rear right sides of the unit block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By forming the holes 111a and 111b, a rotatio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holes 111a and 111b is formed in the unit block 110. On the other hand, cylindrical protrusions 112a and 112b are formed on the front left side surface and the front right side surface of the unit block 110 so as to face each other. Two neighboring unit blocks 11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block 110. In this case, when the protrusions 112a and 112b of the rear unit block 11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11a and 111b of the front unit block 110, two neighboring unit blocks 110 ar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받침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받침부(116)의 전방에 굽힘 정도 제한면(1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굽힘 정도 제한면(114)은 상기 단위블록(110)의 하면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굽힘 정도 제한면(114)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면 상기 지지모듈(100)의 굽힘 정도는 그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The unit block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16 in front of the rotating shaft. In addition, the unit block 110 is provided with a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 114 in front of the receiving unit 116. The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 114 is inclined toward the rear end 115 of the unit block 110 as the unit block 110 i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10.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upporting module 100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 114.

지지모듈(100)이 펴진 상태에 있을 때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은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접촉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지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모듈(100)이 굽혀진 상태에 있을 때 전방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은 후방 단위블록(110)의 굽힘 정도 제한면(114)과 접촉하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굽혀진 후 더 굽혀지지 않게 된다.The front end lower surface 113 of the rear unit block 11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6 of the front unit block 110 when the supporting module 100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module 100 is not sagg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supporting module 100 is in the bent state, the rear end rear surface 115 of the front unit block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 114 of the rear unit block 110, The bending portion 100 is bent to a certain degree and then is not bent as shown in Fig.

상기 스프링(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은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접촉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반대단은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 및 반대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 또는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pring 120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120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coil spring 120 contacts the receiving portion 116 of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opposite end of the coil spring 120 contacts the front end bottom 113 of the rear unit block. At least one of the one end and the opposite end of the coil spring 120 may be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6 of the front unit block 110 or the front end bottom 113 of the rear unit block 110. [

한편,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 및 반대단은 각각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 및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wo neighboring unit blocks 110 are rotated in the bending direc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120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16 of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rear unit block 110 And the front end lower surface 113 of the cover member 113. [

이러한 코일 스프링(120)은 전후방 단위블록(110)들이 서로 굽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후방 단위블록(110)은 굽혀진 상태에서 펴진 상태로 될 때에는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펴진 상태에서 굽혀진 상태로 될 때에는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회전하게 된다. The coil spring 120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110 are bent toward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rear unit block 110 is in the bent state, the rear unit block 110 rotates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0. On the contrary, when the rear unit block 110 is bent in the expanded state, .

이러한 코일 스프링(120)이 없으면, 굽혀진 상태의 후방 단위블록(110)이 펴진 상태로 갑작스럽게 회전하게 되는데, 그러면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이 서로 강하게 충돌하면서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20)이 없으면, 펴진 상태의 후방 단위블록(110)이 굽힌 상태로 갑작스럽게 회전하게 되는데, 그러면 전방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과 후방 단위블록(110)의 굽힘 정도 제한면(114)이 서로 강하게 충돌하면서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120)이 전방 단위블록(110)에 대한 후방 단위블록(110)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이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When the coil spring 120 is not provided, the bent rear unit block 110 suddenly rotates in a unfolded state. Then,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rear unit block 110 The front lower surface 113 strongly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vibration and noise are greatly generated. The rear unit block 110 of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rear unit block 110 of the rear unit block 110 rotate in a bent state, The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s 114 strongly collid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large vibration and nois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il spring 120 prevents sudden rotation of the rear unit block 110 with respect to the front unit block 110, vibration and noise are significantly reduced.

상술한 바에 따르면,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에 삽입됨으로써 두 단위블록(11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돌기(112a, 112b) 대신 상기 홀(111a, 111b)과 같은 직경을 가진 별도의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과 후방 단위블록(110)의 홀(미도시)이 서로 연통하도록 두 단위블록(110)이 일렬로 나열되면, 상기 홀(111a, 111b)에 별도의 핀(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두 단위블록(11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rotrusions 112a and 112b of the rear unit block 11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11a and 111b of the front unit block 110 so that the two unit blocks 110 are rotatably connected. However, a separate hole (not shown)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holes 111a and 111b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s 112a and 112b of the rear unit block 110 are located, instead of the protrusions 112a and 112b have. In this case, if the two unit blocks 110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 holes 111a and 111b of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holes (not shown) of the rear unit block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holes 111a and 111b The two unit blocks 11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a separate pin (not shown).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120)은 코일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단위블록(110)에 마련된 받침부(116)에 지지되고, 단위블록들(110)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판 스프링(130)의 일단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110)에 고정된 고정단을 갖고, 판 스프링(130)의 반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에 지지된 판 스프링(130)은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spring 120 is constituted by the coil spring 120. However, the spring 120 may be configured as a leaf spring 130 as shown in FIG. The plate spring 130 is supported by a receiving portion 116 provided in the unit block 110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nit blocks 110 are bent. One end of the leaf spring 130 has a fixed end fixed to the front unit block 110 and the opposite end of the leaf spring 130 is a free end. The plate spring 130 suppor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16 of the front unit block 110 is moved to the front end lower surface 113 of the rear unit block 11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100)에서는 상술한 스프링(120, 130)이 모든 단위블록(110)에 마련된다.In the support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s 120 and 130 are provided in all the unit blocks 1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110 : 단위블록 111a, 111b : 홀
112a, 112b : 돌기 113 : 앞단 하면
114 : 굽힘 정도 제한면 115 : 뒷단 후면
116 : 받침부 120 : 코일 스프링
130 : 판 스프링
100: articulated support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110: unit block 111a, 111b: hole
112a, 112b: projection 113:
114: degree of bending limit surface 115: rear end rear surface
116: receiving portion 120: coil spring
130: leaf spring

Claims (3)

동일한 형태의 단위블록들이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되고,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로서,
상기 단위블록은,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후방 좌측면 및 후방 우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는 홀과, 상기 후방 좌측면 및 후방 우측면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좌측면 및 전방 우측면에 각각 마련된 돌기와, 상기 홀의 앞쪽에서 상기 후방 좌측면 및 후방 우측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와, 상기 돌기의 앞쪽에 위치하는 앞단 하면 및 상기 홀의 뒤쪽에 위치하는 뒷단 후면과, 상기 받침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아래로 갈수록 상기 뒷단 후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는 굽힘 정도 제한면을 갖고,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은, 후방 단위블록의 돌기가 전방 단위블록의 홀에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이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받침부와 접촉하여 쳐지지 않으며,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굽힘 정도 제한면이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뒷단 후면과 접촉하여 굽힘 정도가 제한되고,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 및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받침부 사이에는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An articulated support module of a transmission line sleeve inserted in a part of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formed in a flexible transmission line sleeve, the unit blocks of the same type being arranged in a line in a back and forth direction,
The unit block includes protrusio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left side surface and the front right side surfac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ar left side surface and the rear right side surface, th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rear left side surface and the rear right side surface, A front end lower surface positioned at a front side of the protrusion and a rear end rear surface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hole and a rear end rear surface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And a bending degree restricting surfac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end rear surface toward the rear end rear surface,
The front unit block, which is two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bent or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es of the front unit block, and when the front unit bottom face of the rear unit block is in the extended state, The bending degree limiting surface of the rear unit bloc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rear surface of the front unit block to restrict the degree of bending,
Wherein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a front end face of the rear unit block and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ont unit block, the spring exer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unit blocks are b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 및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받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a coil spring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front end face of the rear unit block and a receiving portion of the front unit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의 받침부에 의해 지지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 고정된 고정단 및 이의 반대단인 자유단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constituted by a leaf spring supported by a receiving portion of the forward unit block, and the leaf spring has a fixed end fixed to the forward unit block and an articulated support of a transmission line sleeve having a free end opposite thereto module.
KR1020160080268A 2016-06-27 2016-06-27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KR101879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en) 2016-06-27 2016-06-27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en) 2016-06-27 2016-06-27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4A KR20180001304A (en) 2018-01-04
KR101879437B1 true KR101879437B1 (en) 2018-07-17

Family

ID=6099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en) 2016-06-27 2016-06-27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258B2 (en) * 2019-07-12 2022-11-22 Duperon Innovation Llc Chain link
CN110867777B (en) * 2019-11-29 2021-02-02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Modular submarine cable dragging tool
CN110829287B (en) * 2019-11-29 2021-03-02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Front-end modularized submarine cable bending limiter for submarine cable burying machine hydraulic blade
USD1011446S1 (en) * 2023-03-01 2024-01-16 Yue Qiu Do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80U (en) * 1978-08-30 1980-03-05
JPH07208561A (en) * 1994-01-21 1995-08-11 Nippon Steel Corp Long life block chain for high temperature and heavy load
JP2005076851A (en) * 2003-09-03 2005-03-24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Chain for power transmission
KR20110058724A (en) * 2009-11-26 2011-06-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Multijoint cables or the like protecting and guiding device
JP2014145399A (en) * 2013-01-28 2014-08-14 Dainippon Printing Co Ltd Cable holdi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86B1 (en) 2010-12-02 2013-04-01 신무현 Assembled-type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KR101100676B1 (en) 2011-06-16 2012-01-03 신무현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80U (en) * 1978-08-30 1980-03-05
JPH07208561A (en) * 1994-01-21 1995-08-11 Nippon Steel Corp Long life block chain for high temperature and heavy load
JP2005076851A (en) * 2003-09-03 2005-03-24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Chain for power transmission
KR20110058724A (en) * 2009-11-26 2011-06-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Multijoint cables or the like protecting and guiding device
JP2014145399A (en) * 2013-01-28 2014-08-14 Dainippon Printing Co Ltd Cable hold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4A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37B1 (en)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JP5047197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JP6301775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CN106920471B (en) Flexibl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870767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TWI584546B (en) Cable protection and guiding device
KR20160038760A (en) Robot
JP3717168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KR20050047463A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709832B2 (en) Cable protection guide device
KR102237568B1 (en) Roll Joint
TWI715153B (en) Support module for transmission line sleeve
TWI682109B (en) Apparatus for guiding elongated object
RU2005127033A (en) SWIVEL MECHANISM, IN PARTICULAR, FOR EQUIPMENT USED IN ROBOTICS AND FOR FACING GLASSES
KR101760641B1 (en) Apparatus of protecting cable
KR101300068B1 (en)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KR101249286B1 (en) Assembled-type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EP3293844B1 (en) Mechanical link
KR100924679B1 (en) Cableveyor
KR20180001302A (en)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KR101739706B1 (en) Apparatus of protecting cable
CN105122566A (en) Assembly of cable and cable support device
KR101891665B1 (en) Brush Ball for Cleaning Tube, and Brush Ball Assembly
JP5132084B2 (en) Joint cover device
KR101216118B1 (en)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