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28B1 -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 Google Patents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28B1
KR101877728B1 KR1020170013663A KR20170013663A KR101877728B1 KR 101877728 B1 KR101877728 B1 KR 101877728B1 KR 1020170013663 A KR1020170013663 A KR 1020170013663A KR 20170013663 A KR20170013663 A KR 20170013663A KR 101877728 B1 KR101877728 B1 KR 10187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oil
main body
pri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천환
Original Assignee
김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환 filed Critical 김천환
Priority to KR1020170013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6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combination of solid and fluid materials, e.g. a powder selectively bound by a liquid binder, catalyst, inhibitor or energy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10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2Lubric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rinter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f a filament or deterioration of printer quality by appropriately maintaining humidity of the filament positioned within a main body of a supply unit. A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increased filament spray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upply unit which receives and draws out the filament; a feed roller which guides a pointed end part of the filament drawn out from the supply unit; and a printer head which is positioned in one side of the feed roller to melt a transferred filament by a heating unit and spray a melted filament by a nozzle. The supply unit includes: a main body which has the filament positioned to be rotated at an inner side thereof, and in which a drawing hole for drawing out the pointed end part of the rotated filament to the outside is provided; a draw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rawing hole to guide drawing and direction of the filament that is being drawn; and an oil supplier which is install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drawing hole to supply oil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lament that is being drawn.

Description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ilament injection,

본 발명은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부의 본체 내부에 위치된 필라멘트의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필라멘트의 손상과 프린터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용융된 필라멘트를 프린터헤드의 분사노즐로 분사할 시, 필라멘트의 분사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which improves filament injection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ament which is positioned inside a main body of a supply unit to properly maintain the humidity of the fila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injecting filaments by efficiently injecting filaments when injecting the filaments into the nozzles of the head.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란 소프트웨어로 모델링이 이루어진 3D도면을 3차원의 입체 물품으로 만들어내는 기계를 말하는 것이다.Generally, a 3D printer is a machine that produces a 3D drawing modeled with software as a three-dimensional solid article.

위와 같은, 3D 프린터는 기업에서 물건의 시제품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으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The 3D printer, which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aking a prototype of a product in the enterprise, was developed to solidify a plastic liquid to produce a solid article.

이러한 3D 프린터는 입체적으로 그려진 물건을 미분하듯이 가로로 1만개 이상 잘게 잘라 분석하고, 얇은 막(레이어)을 한 층씩 쌓아 물건의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se 3D printers are configured to finely cut and analyze more than 10,000 pieces horizontally, as thinly layered objects, and to stack thin layers (layers) one by one to complet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object.

대개, 3D 프린터는 설계에 따라 레이어를 넓거나 좁게, 그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1시간당 2~2.8cm를 쌓아 올릴 수 있도록 제작된다.Typically, 3D printers are designed to accommodate a wide or narrow layer, depending on the design, and can be used to build and stack 2 to 2.8 cm per hour.

최근의 3D 프린터는 플라스틱 소재에 국한되었던 초기 단계에서 발전하여 나일론과 금속 소재 등으로 범위가 확장되고 있는 실정이며, 산업용으로의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3D printers have been developed in the early stage, which is limited to plastic materials, and have been expanded to include nylon and metal materials. In addition to industrial applications,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특히, 3D 프린터는 사용되는 소재의 형태 변화에 따라 크게 나뉘며 이러한 3D 프린터 방식의 하나로는 광경화성플라스틱(빛을 만나면 굳는 성질의 플라스틱 소재)을 탱크에 채워놓고, 3차원 물체의 모양대로 레이저를 플라스틱에 노출 시켜 플라스틱이 순차적으로 굳어지며 쌓여나가는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광경화수지조형)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In particular, 3D printers ar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terials used. One of these 3D printer methods is to fill the tank with photocurable plastics (plastic material that solidifies when the light touches them)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A) method in which the plastic is sequentially hardened and piled up.

그러나 위와 같은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광경화수지조형)방법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형속도가 빠르고 정밀도가 높은 장점은 있으나, 레이저를 이용한 고가의 장비로,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프린터 과정에서도 충격과 빛을 통해 소재가 변색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대개, 기업의 컨셉 모델, 전시 모델 등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uses a laser beam, the molding speed is high and the accuracy is high. However, since it is an expensive apparatus using a laser, it is difficult for a general person to use it easily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may be discolored due to impact and light even in the printer process, and it is usually used to make a company concept model and exhibition model.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분말을 레이저 빛으로 녹이며 굳혀 순차적으로 쌓아 나가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In another method, a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powders are melted and hardened by laser light and sequentially stacked.

이러한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은 분말체를 녹는점 이하로 가열하여 분말체 입자간 결합이 일어나 응고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레이저 빛으로 분말 가루를 녹여 분말끼리 굳으며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This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method uses a phenomenon in which the powder is heated to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so that the powder is solidified and bonded to each other. The powder is melted with laser light to solidify the powder, It is a way to make it happen.

예컨대,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은 레이저 빔이 물체의 단면을 따라 이동하며 분말입자를 녹이고, 분말이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여 굳는 과정을 반복시킴으로써, 제작을 이루고자 하는 물품의 바닥면에서부터 꼭대기까지 순차적으로 제작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method, a laser beam is moved along the cross section of an object to melt powder particles, and the powder is melted and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to be repeated, It is made sequentially from the face to the top.

이러한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은 3D 프린터 방식에서 지지물을 출력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레이저를 이용한 방식이기에 출력 속도가 빠른 장점과, 다양한 가루 재료(티타늄, 스텐레이스강, 코발트, 왁스, 나일론, 유리, 세라믹 등)로 제작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와, 분말층 사이에 기공이 발생해 후공정 없이는 내구도가 약한 문제가 있었다.This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method does not need to output or remove the support in the 3D printer method,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utput speed is fast due to the laser using method, and various powder materials (titanium, stainless steel, Cobalt, wax, nylon, glass, ceramics, etc.). However, since the expensive equipments using the laser are required,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erson to use them easily, Without the process there was a problem of weak durability.

이에 따라, 종래의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광경화수지조형)방법과,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은 고가인 레이저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으로써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method and the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selective laser sintering and shaping) method are required to have expensive laser apparatuses, so that ordinary users can not easily use them .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융된 플라스틱을 분사하여 쌓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방법이 제안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n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in which molten plastic is injected and piled is proposed and u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위의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가열부(3a)와, 노즐(3b)을 구비한 프린터헤드(3)로 열가소성 플라스틱(필라멘트(1))을 녹이며 분출시켜, 용융된 플라스틱 소재(필라멘트(1))를 순차적으로 쌓아나가며 필름형태로 적층하는 것이다.The above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thermoplastic plastic (filament 1) is formed by a heating unit 3a and a printer head 3 having a nozzle 3b, (Filaments (1))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laminated in the form of a film.

예컨대, 가늘게 만들어진 필라멘트(1)를 고온으로 달구어진 프린터헤드(3)의 가열부(3a)로 천천히 주입하고, 고온에 녹은 필라멘트(1)를 노즐(3b)로 분사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finely filament 1 is slowly injected into the heating portion 3a of the printer head 3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filament 1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is injected into the nozzle 3b.

이러한 과정은 제작을 이루고자 하는 물품의 작업대를 먼저 제작하고, 그 위에 프린터헤드(3)로 녹인 필라멘트(1)를 쌓아 나가며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work table of the article to be produced is first made, and the filament 1 melted by the printer head 3 is stacked thereon to form a layer. By repeating this process, an article to be manufactured can be manufactured .

이러한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한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광경화수지조형)방법과,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소결 조형)방법보다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정밀도가 높은 물품을 만들 수 있고, 특히, 고가의 장비인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기계장치의 구성으로 제작됨으로써, 3D 프린터의 가격과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has higher durability than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and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 precision article, and in particular, it is manufactured with a simple mechanical devic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use expensive laser equipment, thereby affording a 3D printer with a low cost and maintenance cost.

이에 따라, 저렴하고 안전하며 복잡한 공정이 덜 요구되는 장점으로 인하여 3D 프린팅의 보편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it is becoming a universal technology of 3D printing due to its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safe, and less complicated.

그러나 이러한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방법은 용융되는 필라멘트가 습기에 약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 필라멘트에 수분이 과하게 있는 경우에는 3D 프린팅을 통하여 제작된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필라멘트에 수분이 적은 경우에는 프린터헤드로 공급되는 필라멘트가 구부러져 파손되거나, 손상되어 3D 프린터 본연의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has a weak point that the melted filament is weak to moisture, and when the filament has excess mois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nufactured through 3D printing is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filament has a small amount of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ament fed to the printer head is bent, broken or damaged, and thus the function of the 3D printer is not achieved.

또한,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방법은 필라멘트를 프린터헤드로 녹이며 분사하는 과정에서 프린터헤드의 노즐 부위에 용융된 필라멘트가 쌓여 노즐을 막아 프린터헤드로 필라멘트의 지속적인 공급이 어려워짐으로써 3D 프린터가 고장을 일으키거나 3D 프린터 본연의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melted filaments accumulate in the nozzle portion of the print head in the process of melting and spraying the filaments with the print head, thereby blocking the nozzles and making it difficult to continuously supply the filaments to the print head Which causes the 3D printer to fail or fail to function as a 3D printer.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여 필라멘트의 인출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필라멘트의 외측에 오일을 묻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필라멘트의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필라멘트의 외측에 오일을 용이하게 묻히기가 어려운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되었다.Recently,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allow the filament to be drawn out easily so that the filament can be easily drawn out. However, since the humidity of the filament is properly maintained and the oil is easily embed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lament Difficult problems persisted.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25868(2015.03.11)(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5868 (Feb.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53817(2016.08.29)(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3817 (2016.08.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린터헤드로 공급되는 필라멘트의 외부 노출을 억제하여 설치된 환경이나 사용형태에 따라 필라멘트의 습도가 급격하게 증가 또는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3D 프린터를 통하여 제작된 물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3D 프린터의 작업 과정에서 필라멘트가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ress the external exposure of filaments supplied to a printer head to prevent the humidity of filaments from rapidly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r usage form, Provided is a 3D printer which prevents the quality of manufactured articles from deteriorating and improves filament injection efficiency that can prevent the filaments from being broken or damaged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3D printe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라멘트의 외부로 오일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함으로써, 프린터헤드를 관통하며 이동하는 필라멘트가 프린터헤드의 가열부와 노즐에 남아있는 필라멘트 찌거기로 인하여 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fficiently supplying oil to the outside of a filament, whereby the movement of filaments passing through the printer head is restricted due to the filament scrapes remaining in the heating unit and the nozzle of the printer head And to provide a 3D printer which can increase the filament injec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라멘트가 수용되어 인출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인출되는 필라멘트의 첨단부를 안내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달되는 필라멘트를 가열부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필라멘트를 구비된 노즐로 분사하는 프린터헤드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내측으로 필라멘트가 회전되게 위치시키고, 회전되는 필라멘트의 첨단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이 구비된 본체; 상기 인출공의 내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의 인출과 방향을 안내하는 인출기; 및 상기 인출공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의 외부 표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ament feeding device comprising: a feeding part for receiving and drawing out filaments; a feed roller for guiding a tip end portion of a filament drawn out from the feed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including a printer head for injecting a filament into a nozzle, and a printer head for injecting the filament into the nozzle, wherein the supply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rawer for positioning the filament to be rotated inwardly, An extractor installed to b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drawing hole to guide the drawing and the direction of the drawn filament; And an oil supply unit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drawing hole to supply oil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lament to be drawn out.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필라멘트가 넣어지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필라멘트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eating space into which the filament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seating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otatably mount the filament.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안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eating space to the outside, an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o cover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인출공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기는 상기 필라멘트의 첨단부가 삽입되는 관체형의 인출기몸체와, 상기 인출기몸체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rawing hole. The drawing machine includes a tubular body of a tubular body into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filament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of the drawer, And may include the above fixing protrusions.

또한, 상기 본체는 고정홈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공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공급기는 상기 유로공에 삽입되어 인출기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오일관과, 상기 오일관의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오일수용함과, 상기 오일수용함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유로공과 연결되는 오일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일수용함과 유로공의 오일 흐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오일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n oil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il supply device includes an oil pipe inserted into the oil hole and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outlet body, and oil A li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il receptacle; and an oil ro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oil pipe connected to the oil passage and selectively regulating an oil flow of the oil receptacle and the oil passage, can do.

또한, 상기 오일롤러의 외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공급홈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il supply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il roller.

또한, 상기 인출기몸체의 내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복수 개의 솔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oles that block the flow of air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ATM.

더하여, 상기 본체는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comprise a transparent window for confirming the remaining amount of filaments located insid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프린터헤드로 공급되는 필라멘트의 외부 노출을 억제함으로써, 필라멘트의 습도가 설치된 환경이나 사용형태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by suppressing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ilament fed to the printer he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umidity of the filament from changing abruptly according to the installed environment or the usage pattern.

둘째, 습기에 약한 필라멘트 본연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3D 프린터를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필라멘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업과정을 이룰 수 있으며, 3D 프린터로 제작된 물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preventing the problem of filaments which are weak to mois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ament from being damaged in the course of working with the 3D printer, to achieve a stable working process, and to prevent the quality of the article made with the 3D printer from deteriorating .

셋째, 필라멘트를 이용한 3D 프린터 작업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 since the process of working the 3D printer using the filament is easi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obtain not only ease of use but also cost reduction.

넷째, 복잡한 기계적 구성 없이도 프린터헤드로 공급되는 필라멘트의 외부표면에 오일의 공급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Fourth, the supply of oi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ament fed to the printer head can be efficiently achieved without a complicated mechanical configuration.

다섯째, 프린터헤드의 가열부와 노즐에 필라멘트의 찌꺼기가 남아있는 경우에도 필라멘트 표면에 도포된 오일을 통하여 프린터헤드로 공급되는 필라멘트의 이동과 용융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3D 프린팅 작업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Fifth, even when the filament remains on the heating portion and the nozzle of the print head, the movement and melting process of the filament fed to the print head through the oil coated on the filament surfac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

도 1은 종래 3d 프린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공급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인출기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의 공급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덮개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오일공급기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오일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3d print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unit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upply section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per machine of the suppl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ly section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operation state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il supply unit of a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il roller of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필라멘트(1)가 수용되어 인출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로부터 인출되는 필라멘트(1)의 첨단부를 안내하는 피드롤러(20), 상기 피드롤러(20)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달되는 필라멘트(1)를 가열부(3a)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필라멘트(1)를 구비된 노즐(3b)로 분사하는 프린터헤드(3)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내측으로 필라멘트(1)가 회전되게 위치시키고, 회전되는 필라멘트(1)의 첨단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11a)이 구비된 본체(11); 상기 인출공(11a)의 내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1)의 인출과 방향을 안내하는 인출기(12); 및 상기 인출공(11a)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1)의 외부 표면에 오일(O)을 공급하는 오일공급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eed roller 20 includes a feed portion 10 for receiving and drawing out the filament 1, a feed roller 20 for guiding the tip portion of the filament 1 drawn out from the feed portion 10, A 3D printer including a printer head (3) which melts a filament (1) placed and delivered by a heating section (3a) and injects a molten filament (1) into a nozzle (3b) 10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draw-out hole 11a for allowing the filament 1 to rotate inward and to draw out the tip portion of the filament 1 to be rotated to the outside; An extractor (12)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rawing hole (11a) and guiding the drawing and direction of the filament (1) drawn out; And an oil supply unit 13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drawing hole 11a and supplying oil O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lament 1 drawn out.

도시한 도 2, 도 3,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부(10)는 프린터헤드(3)로 공급되는 필라멘트(1)를 보관하기 위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3 and 5, the supply unit 10 is configured to store the filament 1 supplied to the printer head 3.

상기 공급부(10)는 내측으로 넣어져 보관되는 필라멘트(1)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작업 환경이나 작업 형태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eeding part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light and sturdy material so as to prevent the filament 1, which is stored in the inside and stored therein,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이하, 상기 공급부(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본체(11)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넣어지는 필라멘트(1)가 외부 충격이나 환경 변화에도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필라멘트(1)가 넣어지는 안착공간(11b)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필라멘트(1)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켜 필라멘트(1)가 본체(11)의 안착공간(11b)에 회전 가능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바(1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6, the main body 11 has a seating space 11b in which the filament 1 is inserted inwardly so that the filament 1 inserted into the inside can be safely stored even under external impact or environmental changes And a connecting bar 11c which rotatably mounts the filament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lament 1 can be rotatably stored in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

예컨대, 상기 본체(11)는 안착공간(11b)에 넣어지는 필라멘트(1)가 상기 연결바(11c)에 결합 된 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필라멘트(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인출공(11a)의 내측으로 필라멘트(1)의 첨단부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lament 1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1b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11c and then rotated. When the filament 1 is rotated,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filament 1 can be easily drawn out to the inside of the drawing hole 11a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11a.

이는 즉,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연결바(11c)에 필라멘트(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1)가 회전을 이루는 경우에만, 본체(11)의 인출공(11a)으로 필라멘트(1)가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1)의 안착공간(11b)에 보관되는 필라멘트(1)가 외부 환경에 손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3 to 5, the filament 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11c of the main body 11, and the filament 1, which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1, The filament 1 is configured to be drawn out by the drawing hole 11a of the main body 11 only when the filament 1 is rotated and the filament 1 stored in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Thereby preventing easy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연결바(11c)에 필라멘트(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에는 안착공간(11b)을 외부로 노출 시키는 개구(11d)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1d)에는 개폐 가능하게 덮개(11e)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otatably connect the filament 1 to the connection bar 11c of the main body 11, the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d for exposing the seating space 11b to the outside , And a lid 11e is provided in the opening 11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본체(11)의 안착공간(11b) 내측으로 필라멘트(1)를 넣거나 꺼내고자 하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1)의 개구(11d)를 덮도록 결합 된 덮개(11e)를 사용자가 본체(11)의 외측 방향으로 젖힌 후에 상기 필라멘트(1)를 안착공간(11b)의 내측으로 넣어 보관하는 것이며, 보관이 이루어진 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에 형성된 개구(11b)를 덮도록 덮개(11e)를 젖혀 상기 본체(11)의 안착공간(11b)에 넣어진 필라멘트(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6, when the filament 1 is to be inserted into or pulled out from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the cover 11 (see FIG. 6) The filaments 1 are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1b and stored after the user tilts the filaments 11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After storing the filaments 1, The lid 11e is bent so as to cover the opening 11b formed in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filament 1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본체(11)의 개구(11d)는 필라멘트(1)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연결바(11c)의 결합 위치를 저해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11)의 상단, 하단은 물론이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덮개(11e)는 형성된 개구(11b)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덮을 수 있고, 상기에서는 상기 덮개(11e)가 개구(11b)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개구(11b)를 덮어 본체(11)의 안착공간(11b)으로 필라멘트(1)의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덮개(11e)의 형상과 연결되는 부위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opening 11d of the main body 11 does not imped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bar 11c to which the filament 1 is rotatably mount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1 The lid 11e can cover the opening 11b formed by the user at the user's choice and the lid 11e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opening 11b,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11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ing 11b can be easily inserted and drawn out into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The area to be connected can be changed and applied by the user appropriately.

한편, 상기 연결바(11c)가 구비되는 안착공간(11b)의 내측에는 연결홈(11d-1)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바(11c)가 본체(11)의 내측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on bar 11c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space 11b where the connection bar 11c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on bar 11c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또한, 상기 인출기(11)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인출공(11a)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인출공(11a)으로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1)의 인출방향을 변경하며 필라멘트(1)의 인출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4 to 7, the drawer 11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raw-out hole 11a of the main body 11, and the filament 1 is drawn out by the draw-out hole 11a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filament 1 is changed and the drawing process of the filament 1 is easily performed.

이러한, 상기 본체(11)와 인출기(12)의 결합 되는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1 and the drawer 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인출공(11a)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1a-1)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인출기(12)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필라멘트(1)의 첨단부가 삽입되는 관체형의 인출기몸체(12a)와,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11a-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least one fixing groove 11a-1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rawing hole 11a. The leading end of the filament 1 is inserted into the drawing machine 12, as shown in FIGS. 3 to 7 A tubular body 12a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12b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body 12a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11a-1.

위와 같은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인출공(11a)에 형성된 고정홈(11a-1)의 내측으로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고정돌기(12b)가 안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출기몸체(12a)가 고정홈(11a-1)과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1)의 안착공간(11b)에 위치된 필라멘트(1)의 풀리는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필라멘트(1)의 인출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3 and 4, the fixing protrusion 12b of the ejector body 12a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 11a-1 formed in the drawing hole 11a to be rotatable As shown in FIG. 4, the ejector body 12a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fixing groove 11a-1 and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Even in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filament 1 to be unwound is changed, the drawing process of the filament 1 is easily performed in a flexible manner.

이는 즉,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고정돌기(12b)가 본체(11)의 인출공(11a)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11a-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필라멘트(1)의 첨단부가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을 관통하며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필라멘트(1)의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인출기(12)가 회전을 이룸으로써,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1)의 풀리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3 and 4, the fixing protrusion 12b of the body 12a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1a-1 formed in the inside of the drawing hole 11a of the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4, even when the leading end of the filament 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2a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filament 1 is pulled out in the unwinding direction of the filament 1, So that the unwinding process of the filament 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1 can be easily performed.

이때, 상기 인출공(11a)은 상기 인출기(12)의 설치와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위와 같은 상기 인출공(11a)의 형상에 따라 상기 인출기몸체(12a)와 고정돌기(12b)의 형상 및 결합 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outflow hole 11a is preferab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so as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rotation of the withdrawal device 12. The shape of the outflow hole 11a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ejector body 12a and the posi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12b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상기 본체(11)는 고정홈(11a-1)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공(11a-2)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기(13)는 상기 유로공(11a-2)에 삽입되어 상기 인출기몸체(12a)에 관통 결합되는 오일관(13a)과, 상기 오일관(13a)의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오일수용함(13b)과, 상기 오일수용함(13b)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13c)과, 상기 유로공(11a-2)과 연결되는 오일관(13a)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일수용함(13b)과 유로공(11a-2)의 오일(O) 흐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오일롤러(1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1 is formed with a flow hole 11a-2 penetrating the fixing groove 11a-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il feeder 13 is inserted into the flow hole 11a-2 An oil pipe 13a connected to the body 12a of the ejector 12a, an oil container 13b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il pipe 13a, The lid 13c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oil pipe 13a connected to the oil passage 11a-2 and is connected to the oil O of the oil container 13b and the oil passage 11a- And an oil roller 13d for selectively regulating the flow.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로공(11a-2)은 본체(11)에 형성된 고정홈(11a-1)에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오일관(13a)은 상기 유로공(11a-2)에 일단이 결합되되, 본체(11)의 인출공(11a)에 결합된 인출기몸체(12a)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인출기몸체(12a)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동되는 필라멘트(1)와 오일수용함(13b)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5 and 6, the oil holes 11a-2 are formed in the fixing grooves 11a-1 formed in the main body 11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ube 13a is connected to the outlet body 12a coupled to the outlet hole 11a of the main body 11 at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outlet hole 12a through an inner side So that the filament 1 and the oil receiving chamber 13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오일수용함(13b)은 상기 유로공(11a-2)에 결합되는 오일관(13a)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1)와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오일수용함(13b)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오일관(13a)을 따라 흐르며 상기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으로 흘러 들어가 필라멘트(1)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il receiving chamber 13b can be connected to the filament 1 moving inside the body 12a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oil pipe 13a coupled to the channel 11a-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il accommodated in the oil accommodating chamber 13b flows along the oil tube 13a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outlet body 12a to be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ilament 1 It is.

또한, 상기 뚜껑(13c)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오일수용함(13b)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오일수용함(13b)의 내측으로 오일(O)을 수용하는 과정과, 수용된 오일(O)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and 6, the lid 13c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oil accommodating compartment 13b to accommodate the oil O inside the oil accommodating compartment 13b,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il O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더하여, 상기 오일롤러(13d)는 도시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유로공(11a-2)과 연결되는 오일관(13a)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필라멘트(1)가 오일롤러(13d)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만, 상기 오일수용함(13b)의 오일(O)이 오일롤러(13d)를 통하여 필라멘트(1)의 표면으로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된다.6 and 7, the oil roller 13d is rotatab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oil pipe 13a connected to the oil passage hole 11a-2, The oil O of the oil accommodating chamber 13b flows through the oil roller 13d through the oil roller 13d only when the filament 1 moved i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lament 1 is in contact with the oil roller 13d To the surface.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인출기(12)의 내측에서 이동을 이루는 상기 필라멘트(1)의 표면이 상기 오일롤러(13d)의 표면과 밀착되고, 밀착을 이룬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이동을 이루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오일관(13a)의 단부에서 상기 오일롤러(13d)가 회전을 이루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인출기(12)의 내경을 따라 이동하는 필라멘트(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오일수용함(13b)의 오일(O)을 필라멘트(1)의 표면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urface of the filament 1, which moves inside the take-out machin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il roller 13d and, as shown in FIG. 7, The oil roller 13d rotates at the end of the oil pipe 13a so that the oil container 13d moves along the inner diameter of the take-out device 12, 13b can be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ament 1. [

한편, 상기 오일롤러(13d)의 외측부에는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오일공급홈(13d-1)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은 상기 오일롤러(13d)를 통한 오일(O)의 공급 과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ide of the oil roller 13d,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oil supply grooves 13d-1 are provided so that the oil roller 13d as shown in Fig. 6 and Fig. So that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oil O through the oil supply passage is mor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일공급기(13)를 이루는 오일관(13a), 오일수용함(13b), 뚜껑(13c)이 상기 본체(11)의 유로공(11a-2)에 결합을 이루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1)의 인출공(11a) 외측으로 인출기(12)의 단부가 돌출되게 구성하고, 돌출이 이루어진 인출기(12)의 측부에 상기 오일관(13a), 오일수용함(13b), 뚜껑(13c)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오일수용함(13b)의 오일(O)을 필라멘트(1)의 표면으로 선택적이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작업 환경이나 사용자의 작업 형태에 따라 상기 오일공급기(13)의 구성과 결합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il pipe 13a, the oil container 13b, and the lid 13c constituting the oil feeder 13 are connected to the oil hole 11a-2 of the main body 1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nd portion of the extractor 12 may protrude outside the extraction hole 11a of the main body 11 and the oil pipe 13a, The oil chamber 13b and the lid 13c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il O of the oil receiving chamber 13b can be selectively and easily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ament 1, The position of the oil supply unit 13, which is coupled with the structure of the oil supply unit 13, may be variously modified.

그리고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에는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솔(12c)이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rushes 12c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air ar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2a.

상기 솔(12c)은 상기 본체(11)의 안착공간(11b)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안착공간(11b)에 보관된 필라멘트(1)의 습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brush 12c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humidity of the filament 1 stored in the seating space 11b from changing due to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seating space 11b of the main body 11. [

이때, 상기 솔(12)은 인출기몸체(12)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필라멘트(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인출기몸체(12)에 결합되는 오일공급기(13)의 오일관(13a) 및 오일롤러(13d)와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인출기몸체(12)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필라멘트(1)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고, 오일공급기(13)를 통한 오일(O)의 공급 과정이 저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brush 12 preferably uses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not to disturb the movement of the filament 1 moving along the inside of the ejector body 12, The oil supply unit 13 is provided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oil pipe 13a and the oil roller 13d of the oil supply unit 13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lament 1 moved inside the body of the ejector body 12 is not disturbed, So that the supply process of the oil (O) is not imped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솔(12c)을 상기 인출기몸체(12a)의 내측에 복수 개 구비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인출공(11a)의 내경에 복수 개의 솔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1)의 내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차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istles 12c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2a of the ejecto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bristles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w-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into the inside.

더하여, 상기 본체(11)의 외측부에는 투명창(11e)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1)의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1)의 잔여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parent window 11e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1,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lament 1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1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user.

상기 투명창(11e)은 견고하면서도 투과성이 좋은 아크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필라멘트(1)의 잔여량을 확인하며 효율적인 3d 프린터 작업을 이루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window 11e is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having a high rigidity and a high transparency. Through this configuration, a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lament 1 and achieve an efficient 3d printer opera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라멘트의 습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린터헤드로 필라멘트의 공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하여 3d 프린터의 전체적인 작업과정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ament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humidity of the filaments is prevented from being drastically changed, and the filament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printer hea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tably accomplish the entire working process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필라멘트 2:피드롤러
3a: 가열부 3b: 프린터헤드
3: 노즐 10: 공급부
11: 본체 11a: 인출공
11a-1: 고정홈 11a-2: 유로공
11b: 안착공간 11c: 연결바
11d: 개구 11e: 덮개
11f: 투명창 12: 인출기
12a: 인출기몸체 12b: 고정돌기
12c: 솔 13: 오일공급기
13a: 오일관 13b: 오일수용함
13c: 뚜껑 13d: 오일롤러
13d-1: 오일공급홈
1: filament 2: feed roller
3a: heating section 3b: printer head
3: nozzle 10: supply part
11: main body 11a: drawer
11a-1: Fixing groove 11a-2:
11b: seating space 11c: connection bar
11d: opening 11e: cover
11f: transparent window 12:
12a: Dispenser body 12b: Fixing projection
12c: Brush 13: Oil feeder
13a: Oil tube 13b: Oil container
13c: lid 13d: oil roller
13d-1: Oil supply groove

Claims (8)

필라멘트가 수용되어 인출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인출되는 필라멘트의 첨단부를 안내하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달되는 필라멘트를 가열부로 용융시키고, 용융된 필라멘트를 구비된 노즐로 분사하는 프린터헤드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내측으로 필라멘트를 회전되게 위치시키고, 회전되는 필라멘트의 첨단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이 구비된 본체;
상기 인출공의 내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의 인출과 방향을 안내하는 인출기; 및
상기 인출공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인출이 이루어지는 필라멘트의 외부 표면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공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기는
상기 필라멘트의 첨단부가 삽입되는 관체형의 인출기몸체와,
상기 인출기몸체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고정홈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공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공급기는
상기 유로공에 삽입되어 인출기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오일관과,
상기 오일관의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오일수용함과,
상기 오일수용함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유로공과 연결되는 오일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일수용함과 유로공의 오일 흐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오일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A feed roller for guiding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filament drawn out from the feeding portion, a filamen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eed roller for melting the filament to be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 and injecting the filament into a nozzle having a melted filament, In a 3D printer including a head,
Wherein the supply uni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raw-out hole for rotating the filament inside and rotating the leading end of the filament to the outside;
An extractor installed to b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drawing hole to guide the drawing and the direction of the drawn filament; And
And an oil supply device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drawing hole to supply oi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ament to be drawn out,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drawing hole,
The handler
A tube-like body of the injector into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filament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body of the ejector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assage hole penetrating the fix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il feeder
An oil pipe inserted into the oil passage hole and penetratingly connected to the outlet body,
An oil receiving cha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oil pipe,
A li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il accommodation box,
And an oil roller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oil pipe connected to the oil passage and selectively controlling an oil flow of the oil container and the oil pa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라멘트가 넣어지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필라멘트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 seating space into which the filament is inserted,
And a connection bar for rotatably mounting the filament by connecting the seating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안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An opening for exposing the seating space to the outside,
And a lid provid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cover the op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롤러의 외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공급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il supply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il 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몸체의 내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복수 개의 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brushes for blocking the flow of air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ej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위치된 필라멘트의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분사 효율을 높인 3D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transparent window for confirm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laments located inside.
KR1020170013663A 2017-01-31 2017-01-31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KR101877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63A KR101877728B1 (en) 2017-01-31 2017-01-31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63A KR101877728B1 (en) 2017-01-31 2017-01-31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28B1 true KR101877728B1 (en) 2018-07-12

Family

ID=6291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663A KR101877728B1 (en) 2017-01-31 2017-01-31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2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933A (en) * 1997-07-28 1999-02-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Welding wire feed device
JP2003171064A (en) * 2001-12-03 200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Micro-wire feeder
JP2004504177A (en) * 2000-07-13 2004-02-12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Filament cassette and load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933A (en) * 1997-07-28 1999-02-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Welding wire feed device
JP2004504177A (en) * 2000-07-13 2004-02-12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Filament cassette and loading system
JP2003171064A (en) * 2001-12-03 200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Micro-wire feed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4-504177호(2004.02.1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207A (en) Rapid prototyping system with filament supply spool monitoring
CN106103052B (en) The system being used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the method for using the system
US5968561A (en) High performance rapid prototyping system
JP4527397B2 (en) Quantization feeder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7648664B2 (en) Clamped quantized feed system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US20070063366A1 (en) Removal of fluid by-product from a solid deposition modeling process
US20180043627A1 (en) 3d printer with coupling for attaching print head to head carriage
US20170297320A1 (en) Sheet substrate retention device for securing a sheet substrate to a vacuum platen in a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US5700406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 three-dimensional article
WO2013096441A1 (en) Universal adapter for consumable assembly used with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101918754B1 (en) A 3d-printer with improved precision of driving
WO2009030791A1 (en) Device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epositing molten plastic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selective deposition
KR101938233B1 (en) The apparatus of the outputting head in a color 3-d printer
KR101849592B1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material with replacable nozzles
KR101773134B1 (en) Flexible Filament Feeding Apparatus for 3D Printer
KR101877728B1 (en) 3D Printer for Raiser the Spray Efficiency OF Filament
JP2018501997A (en) 3D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particle transfer pipe
US20170297321A1 (en) Magnetically coupled print head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20170000295A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selective material feed unit for multi-color output
EP3021149A1 (en) Optical fiber recoating device
US10442179B2 (en) 3D printer with spool and material container
KR101801457B1 (en) 3D printer device
KR102158572B1 (en) Resin supplying apparatus for 3D printer
US20240009924A1 (en) Tethered spool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10206057A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mov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