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020B1 -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020B1
KR101876020B1 KR1020160057099A KR20160057099A KR101876020B1 KR 101876020 B1 KR101876020 B1 KR 101876020B1 KR 1020160057099 A KR1020160057099 A KR 1020160057099A KR 20160057099 A KR20160057099 A KR 20160057099A KR 101876020 B1 KR101876020 B1 KR 10187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screen
scroll bar
touch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6706A (en
Inventor
안병구
오훈
이종명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20B1/en
Publication of KR2017012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기기에서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과 같이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3D 터치를 이용하여 커서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롤바를 활성화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스크롤바를 3D 터치하여 커서의 위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and is capable of precisely moving a cursor using a 3D touch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requiring editing and correction in a mobile device The scroll bar of the scroll bar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nd the scroll bar can be 3D-touched to speed up or slow down the movement of the cursor.

Description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sor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핸드폰과 테블릿 등 모바일기기에서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과 같이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3D 터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cursor scroll on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of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cursor scroll on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so that a cursor can be more efficiently moved using a 3D touch on the screen.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모바일기기들(예컨대, 휴대폰, 테블릿, MP3, PMP, PDP 등)이 입력장치로 터치 스크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With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y, many mobile devices (e.g., mobile phones, tablets, MP3s, PMPs, PDPs, etc.) are using touch screen systems as input devices.

터치 스크린 시스템은 사용자 모바일기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손가락 또는 펜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system can intuitively and easily use the portable terminal by simply touch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user mobile device with a finger or a pen.

때문에 입력 작업이 간결해지고 키패드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 input operation is simplifi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keypad is reduced, thereby providing a wider screen to the user, which is widely used.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예컨대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의 화면에서 해당 문자열을 터치하여 커서를 활성화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activates the cursor by touch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 on a screen of a word document or the like which needs to be edited and corrected, for example, by using the mobile device.

커서가 활성화되면 잘못된 문자를 제거하는 ◀━(back key)를 눌러 해당 문자를 제거하고 편집 및 수정하게 된다.When the cursor is activated, press ◀ ━ (back key) to remove the wrong character and edit and modify it.

특히 하나의 문자열에 편집 및 수정하는 단어가 많을 경우, 해당 단어로 각각 커서를 이동해야 되는데, 이 때 문자 보다 손가락의 반경이 너무 커서 커서의 정밀 위치 이동이 어려웠다.In particular, when there are many words to be edited and modified in a single character string, it is necessary to move the cursor to each word. At this time, the radius of the finger is too large to move the cursor precisely.

따라서 오타난 문자에 커서가 근접되면 오타난 문자만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 전체를 제거하고 다시 써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cursor is close to the OTA character,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OTA character is removed, but the entire word must be removed and rewritten.

종래의 공개된 특허로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기기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137753호)과,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054925호)가 있다.Conventional patents disclose a scroll device and method in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137753) and a screen scroll method and device in a touch screen termina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54925) have.

이러한 종래의 특허는 화면을 터치하고, 터치 입력방향으로 화면을 이동할 뿐, 커서를 정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재가 없다.Such a conventional patent does not have a description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cursor, only touching the screen and moving the screen in the touch input direction.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에서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allows a user to efficiently move a cursor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which is required to be edited and corrected in a mobile device.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13775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37753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05492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549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핸드폰과 테블릿 등 모바일기기에서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과 같이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3D 터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uses a 3D touch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cursor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 3D touch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3D 터치를 이용하여 커서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롤바를 활성화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that enables or disables a scroll bar capable of precisely moving a cursor using a 3D touch.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3D 터치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capable of speeding up or slowing a cursor moving speed by using a 3D tou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문서에서 화면을 터치하여 커서(cursor)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커서의 방향 제어를 위해 모바일기기 화면을 설정된 압력과, 임계치 시간 이상 3D 터치하여 스크롤바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20)와, 활성화된 스크롤바의 중심을 기점으로 선택되는 방향 영역을 터치하여 해당 방향으로 커서(cursor)를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S30) 및 스크롤바를 터치하여 스크롤바를 해제하는 단계;(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S20단계는 모바일기기 화면의 굴곡변화와, 임계치 시간 이상 터치에 의해 활성화되고, 화면 굴곡변화는 일반적인 화면을 터치를 제외한, 화면을 가압하여 화면의 제 1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1과, 화면의 제 2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2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touch device for a mobile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efficiently move a cursor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S10) for activating a cursor by touching a screen in an arbitrary document displayed for this purpose, and controlling a cursor of the mobile device by using a predetermined pressure (S30) touching the directional region selected from the center of the activated scroll bar to move the cursor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touching the scroll bar for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And releasing the scroll bar by touching the scroll bar (S40). In the step S20, , And the screen bending change is set to the pressure 1 representing the first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by pressing the screen except for the touch of the general screen and the pressure 2 representing the second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S40단계는 스크롤바를 터치하여 스크롤바를 해제하는 윈도우 엑스박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41)와, 활성화된 윈도우 엑스박스를 터치하여 스크롤바를 해제시키는 단계;(S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40) includes the steps of activating a window X box for releasing the scroll bar by touching the scroll bar; S42).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S20단계의 스크롤바는 화면 하단에 "ㅡ" 형태 및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ㅣ"의 형태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invention, the scroll bar in the step S20 is activated in the form of "ㅡ"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in the form of "ㅣ"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or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S20단계의 스크롤바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커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 형태로 활성화되고, 화면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fourth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the scroll bar of the step S20 is activated in a "+" form so that the cursor can move in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direction, Is activated.

제 5발명은, 제 3발명 또는 제 4발명에서, 상기 S30단계의 커서는 스크롤바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일반 터치와 압력1에 의해 속도변화가 이루어지되, 스크롤바의 압력1에 의해 빠르고, 일반 터치 압력에 의해 느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hird invention or the fourth invention, the cursor of the step S30 is changed in speed by the general touch which does not apply pressure to the scroll bar and the pressure 1, As shown in FIG.

제 6발명은, 제 4발명에서, "+" 형태의 스크롤바는 터치한 상태에서 드레그 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x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urth invention, the scroll bar of the "+" shape can be moved by dragging while being touched.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따르면 커서를 문자열의 단어나 문자에 손쉽게 이동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편집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of the PC screen using the 3D touch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sor can be easily moved to a word or character of a character string, thereby enabling editing and correction more efficiently.

또한 화면을 3D 터치하여 간단한 동작만으로 스크롤바를 이동, 활성화 및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croll bar can be moved, activated, and released by simply touching the screen with the 3D touch.

또한 화면을 3D 터치하여 커서의 위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cursor can be made faster or slower by touching the screen with the 3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내지 도 7은 도 1의 단계별 세부 구성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for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to FIG. 7 are detailed block diagrams of the steps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for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내지 도 6은 도 1의 단계별 세부 구성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of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of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detailed block diagrams of the steps of FI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과 테블릿 등 모바일기기에서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과 같이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3D 터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7,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 cursor more efficiently using a 3D touch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requiring editing and correction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tab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또한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은 사용자 모바일기기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of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can be installed in a user's mobile device to perform operations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PC 화면의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은 PC에 저장된 임의의 문서를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해 원격으로 출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a cursor scroll control method for a PC screen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can remotely output an arbitrary document stored in a PC through an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상기 터치는 화면을 터치한 후 터치가 떨어질 때까지 즉,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감지되는 신호이고, 3D 터치는 모바일기기가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화면 터치 화면의 굴곡변화에 따른 압력 정도와, 임계치 시간 이상 터치에 의한 신호변화에 반응하는 신호를 포함한다.The touch is a signal sensed while the touch is held until the touch is dropped after touching the screen. The 3D touch includes a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 pressure degree according to the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touch screen, And a signal responsive to a change in the signal due to a touch over the threshold time.

상기에서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압력센서는 화면의 압력에 따른 굴곡 변화를 설정(압력1,압력2에 따른 화면의 굴곡변화)에 의해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built in the mobile device can detect the bending change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screen by dividing it by the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sure 1 and the pressure 2.

본 발명의 화면 굴곡변화는 일반적인 화면을 터치를 제외한, 화면을 가압하여 화면의 제 1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1과, 화면의 제 2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2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외에 더 세분한 화면의 굴곡변화를 셋팅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The screen bending ch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o a pressure 1 indicating a first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by pressing the screen except a touch on a general screen and a pressure 2 indicating a second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The bend change of the screen can be set by setting.

본 발명에서 S10단계는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문서에서 화면(100a)을 터치하여 커서(cursor)(11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As shown in FIG. 2, step S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activating a cursor 110 by touching a screen 100a in an arbitrary document displayed.

여기서 임의의 문서는 모바일기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메모장과 워드 프로세서에서 문자열을 수정이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문서를 말한다. Here, the arbitrary document refers to a notepad displayed using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a document for modifying a character string or passing a page through a word processor.

또한 상기 임의의 문서는 모바일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PC 내의 메모장,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lso, the arbitrary document includes a notepad and a word processor in a PC displayed remotely using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S20단계는 도 3과 같이, 상기 커서(110)의 방향 제어를 위해 모바일기기 화면(100a)을 설정된 압력으로 3D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As shown in FIG. 3, in step S20,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by touching the mobile device screen 100a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ursor 110. FIG.

여기서 3D 터치는 화면의 굴곡변화에 따란 압력 정도와, 더불어 임계치 시간 이상 화면 터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3D touch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degree of pressure depending on the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and the touch of the screen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여기서 스크롤바(120)의 활성화는 화면(100a)을 압력2로 가압한 상태에서 임계치 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 된 후 활성화된다.Here, the activation of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after a lapse of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reshol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screen 100a is pressurized to the pressure 2.

상기 임계치 시간 이상이라 함은 기(伎) 설정에 따라 달리 되는데, 예를 들어 2초, 3초, 4초 이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다.The term " above threshold time " varies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timer, for example, 2 seconds, 3 seconds, 4 seconds or more.

한편 상기 스크롤바(120)는 실시예로 화면 하단에 "ㅡ" 형 및 화면 좌측 또는 화면 우측에 "ㅣ"의 형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oll bar 120 can be activated in the form of "?"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in the form of "?" At the left side of the screen or right side of the screen.

여기서 화면(100a) 하단에 활성화되는 스크롤바(120)는 커서(110)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화면 좌측 또는 우측에 활성화되는 스크롤바(120)는 커서(110)를 상하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scroll bar 120 activ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en 100a moves the cursor 110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croll bar 120 activat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screen moves the cursor 110 vertically and precisely.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이, 상기 스크롤바(12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커서(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 형태로 활성되고, 화면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활성화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면(100a)을 가리지 않고 커서(11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 왼쪽 하단에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in the " + "form so that the cursor 110 can move in the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directions, And more preferably, it is activ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screen so a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cursor 110 without selecting the screen 100a.

한편 도 5와 같이, "+" 형태의 스크롤바(120)는 터치한 상태에서 드레그 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 + "scrollbar 120 is configured to be moved by dragging while being touched.

여기서 위치 이동은 스크롤바(120)를 터치한 상태에서, 화면(100a)이 압력2에 반응하고, 드레그하여 가능하다.Here, the positional movement is possible by touching the scroll bar 120, the screen 100a responding to pressure 2, and dragging.

아울러 S30단계는 도 6과 같이, 활성화된 스크롤바(120)의 중심을 기점으로 어느 한쪽 방향 영역을 터치하여 해당 방향으로 커서(110)를 이동을 수행하는 단계이다.In operation S30, as shown in FIG. 6, a cursor 110 is mov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touching one of the directional regions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activated scroll bar 120. [

이 때 커서(110)의 이동은 스크롤바(120)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일반 터치와 압력1에 의해 속도변화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cursor 110 is changed by the general touch which does not apply pressure to the scroll bar 120 and the pressure 1.

여기서 상기 커서(110)의 움직임 속도는 스크롤바(120)의 압력1에 의해 빠르고, 일반 터치 압력에 의해 느리게 이동된다.Here, the movement speed of the cursor 110 is fast due to the pressure 1 of the scroll bar 120, and is moved slowly by the general touch pressur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임의의 문서에서 커서(110)를 원하는 위치에 빠르게 이동시켜 임의의 문서를 수정하거나 페이지 넘길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move the cursor 110 to a desired position in an arbitrary document, and modify or page any document.

S40단계는 도 7과 같이, 스크롤바(120)를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해제하는 단계이고, S41단계와, S42단계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step S40 is a step of releasing the scroll bar 120 by touching the scroll bar 120, and includes steps S41 and S42.

상기 S41단계는 스크롤바(120)를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해제하는 윈도우(130) 엑스박스(131)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The step S41 is a step of activating the X-box 131 of the window 130 for releasing the scroll bar 120 by touching the scroll bar 120.

여기서 스크롤바(120)를 압력2로 터치한 상태에서 임계치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면 스크롤바(120)의 외곽에 윈도우(130) 엑스박스(131)가 활성화 된다.If the screen is touched for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while touching the scroll bar 120 with the pressure of 2, the window 130 X-box 131 is activated at the outer edge of the scroll bar 120.

그리고 S42단계는 활성화된 윈도우(130) 엑스박스(131)를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해제시켜 완료한다.In step S42, the scroll bar 120 is released by touching the activated window 130 X-box 131. FIG.

이 때 스크롤바(120)를 해제시키면 임의의 문서에 활성화된 커서(110) 역시 해제된다.At this time, when the scroll bar 120 is released, the activated cursor 110 in any document is also released.

이렇게 스크롤바(120)가 화면에서 해제되면 사용자는 다른 임의의 문서를 디스플레이하여 상술된 일련의 단계를 거쳐 커서와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다. Thus, when the scroll bar 120 is released from the screen, the user can display another arbitrary document and activate or deactivate the cursor and the scroll bar 120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steps.

상술된 커서와 스크롤바의 활성화 및 해제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Th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the cursor and the scroll bar described above are defined as follows.

커서의 활성화: 임의의 문서 디스플레이한 후 화면을 터치Activate cursor: touch the screen after displaying any document

스크롤바의 활성화: 화면을 압력2로 가압한 상태에서 임계치 시간 이상 시간이 경과Activate the scroll bar: If the time exceeds the threshold time with the screen pressed to pressure 2

스크롤바의 위치 이동: 스크롤바를 압력2로 가압하여 드레그Moving scrollbar position: press scrollbar to pressure 2 and drag

커서의 속도변화: 스크롤바의 방향 결정 후 압력1에 의해 빠르고, 일반 터치 압력에 의해 느리게 이동Cursor speed change: Fast, by the pressure 1 afte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scroll bar, move slowly by normal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all such variations.

100: 모바일기기 100a: 화면 110: 커서
120: 스크롤바 130: 윈도우 131: 엑스박스
100: mobile device 100a: screen 110: cursor
120: scroll bar 130: window 131: X-box

Claims (6)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문서에서 사용자의 화면(100a) 터치를 압력센서를 통하여 감지하여 커서(11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커서(110)의 방향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100) 화면(100a)을 설정된 압력과 임계치 시간 이상 3D 터치하는 경우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20)와; 활성화된 스크롤바(120)의 중심을 기점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선택되는 방향으로 커서(110)를 이동시키는 단계(S30)와; 사용자의 스크롤바(120) 터치에 따라 해당 스크롤바(120)를 해제하는 단계(S4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20)에서 스크롤바(120)는 모바일기기(100) 화면(100a)의 굴곡변화와 임계치 시간 이상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활성화되고, 화면 굴곡변화는 일반적인 화면(100a) 터치를 제외한 화면(100a)이 가압되어 화면(100a)의 제 1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1과, 화면(100a)의 제 2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2로 설정되며,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S30)에서 커서(110)는 스크롤바(120)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일반 터치와 상기 압력1에 의해 속도변화가 이루어지되, 스크롤바(120)의 압력1에 의해 빠르고, 일반 터치 압력에 의해 느리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
A cursor scroll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that controls a cursor movement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device so that a user can move the cursor efficiently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requiring editing and correction In the control method,
(S10) sensing a touch of a user's screen (100a) in a displayed document through a pressure sensor and activating a cursor (110); A step S20 of activating the scroll bar 120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100a of the mobile device 100 for more than the set pressure and the threshold tim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cursor 110; (S30) moving the cursor 110 in a direction selected by touching by the user from the center of the activated scroll bar 120; (S40) of releasing the scroll bar 120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of the scroll bar 120,
In the step S20 of activating the scroll bar 120,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by the touch of the user over the bending change and the threshold time of the screen 100a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screen 100a excluding the touch is pressed to set the pressure 1 indicating the first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100a and the pressure 2 indicating the second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100a,
In the step S30 of moving the cursor, the cursor 110 changes speed by the general touch which does not apply pressure to the scroll bar 120 and the pressure 1, but by the pressure 1 of the scroll bar 120, Wherein the cursor is moved slowly by the touch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상기 스크롤바(120)를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해제하는 윈도우(130) 엑스박스(131)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41)와,
활성화된 윈도우(130) 엑스박스(131)를 터치하여 스크롤바(120)를 해제시키는 단계;(S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peration S40,
Activating a window (130) X box (131) for releasing the scroll bar (120) by touching the scroll bar (120); (S41)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activating the cursor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activated window (130) X box (131) to release the scroll bar (1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의 스크롤바(120)는 화면(100a) 하단에 "ㅡ" 형태 및 화면(100a) 좌측 또는 화면(100a) 우측에 "ㅣ"의 형태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oll bar 120 of the step S20 is activated in the form of a "ㅡ" at the bottom of the screen 100a and in the form of "ㅣ" at the left of the screen 100a or to the right of the screen 100a. A method of controlling cursor scroll 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의 스크롤바(12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커서(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 형태로 활성화되고, 화면(100a)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oll bar 120 in step S20 is activated in a "+" form so as to move the cursor 110 in the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direction, and is displayed on any one of the bottom, left, Wherein the controller is activated when the touch of the cursor is detected.
삭제delete 편집 및 수정이 필요한 워드 문서 등 커서의 이동이 필요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문서에서 사용자의 화면(100a) 터치를 압력센서를 통하여 감지하여 커서(11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커서(110)의 방향 제어를 위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100) 화면(100a)을 설정된 압력과 임계치 시간 이상 3D 터치하는 경우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20)와; 활성화된 스크롤바(120)의 중심을 기점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선택되는 방향으로 커서(110)를 이동시키는 단계(S30)와; 사용자의 스크롤바(120) 터치에 따라 해당 스크롤바(120)를 해제하는 단계(S4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롤바(12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S20)에서,
상기 스크롤바(120)는 모바일기기(100) 화면(100a)의 굴곡변화와 임계치 시간 이상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활성화되고, 화면 굴곡변화는 일반적인 화면(100a) 터치를 제외한 화면(100a)이 가압되어 화면(100a)의 제 1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1과, 화면(100a)의 제 2굴곡 변화를 나타내는 압력2로 설정되며,
상기 스크롤바(12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커서(1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 형태로 활성화되고, 화면(100a) 하단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활성화되어, "+" 형태의 스크롤바(120)는 터치된 상태에서 드레그 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3D 터치를 이용한 커서 스크롤 제어방법.
A cursor scroll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that controls a cursor movement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device so that a user can move the cursor efficiently on a screen requiring movement of a cursor such as a word document requiring editing and correction In the control method,
(S10) sensing a touch of a user's screen (100a) in a displayed document through a pressure sensor and activating a cursor (110); A step S20 of activating the scroll bar 120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100a of the mobile device 100 for more than the set pressure and the threshold tim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cursor 110; (S30) moving the cursor 110 in a direction selected by touching by the user from the center of the activated scroll bar 120; (S40) of releasing the scroll bar 120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of the scroll bar 120,
In step S20 of activating the scroll bar 120,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by the touch of the user over the bending change and the threshold time of the screen 100a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screen 100a is pressed by the touch of the general screen 100a, The pressure 1 representing the first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100a and the pressure 2 representing the second bending change of the screen 100a,
The scroll bar 120 is activated in a "+" form so as to enable movement of the cursor 110 in the forward / backward / left / right direction, and is activated in any one of the bottom, left, or right side of the screen 100a, Wherein the scroll bar (120) of the "+" shape is dragged and moved in a touched state.
KR1020160057099A 2016-05-10 2016-05-10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KR101876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99A KR101876020B1 (en) 2016-05-10 2016-05-10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99A KR101876020B1 (en) 2016-05-10 2016-05-10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706A KR20170126706A (en) 2017-11-20
KR101876020B1 true KR101876020B1 (en) 2018-07-06

Family

ID=6080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99A KR101876020B1 (en) 2016-05-10 2016-05-10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02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en)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ouch screen apparatus and file search method thereof
KR20100039194A (en)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s touch pattern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10028834A (en) *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KR20150094243A (en) * 2014-02-11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69626B1 (en) * 2014-07-10 2015-11-17 김진태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KR101577277B1 (en) * 2015-02-04 2015-12-28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type distinguishing method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954A (en) * 2006-08-01 2008-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ouch screen apparatus and file search method thereof
KR20100039194A (en)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s touch pattern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10028834A (en) *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KR20150094243A (en) * 2014-02-11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69626B1 (en) * 2014-07-10 2015-11-17 김진태 characters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KR101577277B1 (en) * 2015-02-04 2015-12-28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type distinguishing method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706A (en)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097B1 (en) Method for operating p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197792B2 (en) Electronic devic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1031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controlling using touch-screen
EP358209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KR1022558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lural windows
CN107193438B (en) Method for managing desktop icons and mobile terminal
KR20180081133A (en) Rapid screen seg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display interface, and storage medium
KR20090130563A (e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CN104736969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TW201314560A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re-arranging icons
EP24265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2346662A (en) Mobile terminal (MT) and method for realizing scrolling of user interface thereof
EP2728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KR102161061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JPWO20131757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096100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1876020B1 (en) Cursor Scrolling Control Method Using A 3D Touch Of A Mobile Device
KR2014010132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KR102296968B1 (en) Control method of favorites mode and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performing the same
JP6249851B2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032441B (en) Interface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00138132A (en) Method for operating p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750016A1 (en) Method of op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10993A (en) Object edi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JP2015185144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