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020B1 -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020B1
KR101875020B1 KR1020110052120A KR20110052120A KR101875020B1 KR 101875020 B1 KR101875020 B1 KR 101875020B1 KR 1020110052120 A KR1020110052120 A KR 1020110052120A KR 20110052120 A KR20110052120 A KR 20110052120A KR 101875020 B1 KR101875020 B1 KR 10187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s
pattern
opening
electrode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3474A (en
Inventor
송원선
김성철
송문봉
이소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20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improving touch performance,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formed in the electrode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es and a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e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n the routing wiring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on the insulating layer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arrang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ings,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ines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s are kept in non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s first electrod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electrode row,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rows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integrally formed, Each of the patterns has a first opening, and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includes a second opening.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0001]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0002]

본 발명은 정정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of a correcting capacity type.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색재현율이 뛰어나 주목받아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TV,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냉장고의 표시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In recent years,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electroluminescent displays, and plasma display panels have attracted attention because of their high response speed, low power consumption, and excellent color recall . Such display devices have been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notebook computers, mobile phones, display parts of refrigerato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s. Generally, these display devices constitute an interface with a user by using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digitizer.

그러나,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제안되었다. However, the use of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ha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the user to learn how to use the device and occupies a space, thereby inconveniencing the user.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n input device that is convenient and simple and can reduce malfunctions. In accordance with such a demand, a touch screen panel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user directly touches the screen with a hand or a pen to input information.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The touch screen panel is simple, has little malfunction, can be input without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and can be operated quickly and easily through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이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을 위해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되며, 이 노이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전극에 유기되어 터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a touch screen panel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noise is generated due to a voltage level change of output data supplied from a source driver and a gate driver for driving a thin film transistor, Thereby deteriorating the touch performance.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켜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increasing the mutual capacitance to improve the touch perform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 구동시 표시장치의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전극들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줄이고, 터치 전극들의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touch electrodes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the voltage level change of the output data supplied from the source driver and the gate driver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driven, Gt; a < / RTI >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전극의 개구부에 의한 시인성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visibility due to the opening of the touch electr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제 2 개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formed in the electrode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es and a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e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n the routing wiring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on the insulating layer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arranged in parallel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ings,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ines and the second electrode lines are kept in non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s first electrod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electrode row,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rows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integrally formed, Each of the patterns has a first opening, and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includes a second opening.

상기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측면은 각각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each formed to have a bent portion.

또한, 제 1 전극패턴의 굴곡부와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굴곡부는 서로 마주보며,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bent portion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또한, 굴곡부는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또는 물결형을 갖거나, 또는 이들이 결함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ent portion may be triangular, rectangular, trapezoidal, polygonal or wavy, or have a shape in which they are defective.

또한,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개구부에는 상기 제 1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더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개구부에는 제 2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더미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o as not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 second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o as not to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Is formed.

또한,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1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제 2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60% of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60% of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

또한, 상기 제 1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개구부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개구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ummy pattern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70% of the first opening area,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70% of the second opening area .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 상기 제 1 연결패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들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며, ITO, IZO, GZO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include one of ITO, IZO, and GZ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의 측면과 제 2 전극패턴들 측면의 길이를 연장시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can be extended to increase the mutual capacitance of the touch screen panel when touched Theref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ouch performance of the touch screen panel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opening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data supplied from the source driver and the gate driver at the time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noise and the resistance value generated i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에 의해 제 1 연결패턴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s visually recognized by the open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2a는 제 1 예의 단면도, 도 2b는 제 2 예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a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b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4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c는 제 1 및 제 2 전극패들(131, 136)턴의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물결파 형상인 경우의 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부의 개구율에 따른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라 측정된 노이즈 전압과 저항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더미패턴 점유율에 따라 나타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1 is a plan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different embodiments taken along line I-I 'and line II-II' of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1.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xample,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xample,
3A to 3D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FIG 3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FIG. 3B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id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re tetragonal, FIG. 3C is an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131 and 131, FIG. 3D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is a wavy wave shape, FIG. 3D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turn is a trapezoid,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opening ratio of an opening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noise voltage and resistance measured according to the aperture ratio of the electrode pattern of FIG. 4,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ummy pattern is formed in an opening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FIG. 7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nois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dummy pattern occupancy shown in FIG. 6;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우선,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평면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다른 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rst,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and 2B. FIG. 1 is a plan view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and II-II' of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and line II-II' of a touch screen panel of another example shown.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극 형성부(A), 라우팅 배선 형성부(B) 및 패드 형성부(C)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2A, and 2B,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forming portion A, a routing wiring forming portion B, and a pad forming portion C.

전극 형성부(A)는 제 1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상기 제 1 전극열들(130)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을 포함한다.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130 arranged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n X 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130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rows 135 arranged in a Y-axis direction).

제 1 전극열들(130)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11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패턴들(131)의 각각은 개구부(131H)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전극패턴(131)의 개구부(131H) 내에는 제 1 더미패턴(131D)이 제 1 전극패턴(131)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된다. 제 1 전극패턴(131)의 측면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 물결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ines 1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formed independently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connecting adjacent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 Each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has an opening 131H. The first dummy patterns 131D are formed in the openings 131H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while keeping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 rhombic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wavy shape.

제 2 전극열들(135)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136)과, 이웃하는 제 2 전극패턴들(136)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패턴(137)을 포함한다. 제 2 전극패턴들(136)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는 달리 제 2 연결패턴(137)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전극패턴들(136)의 각각은 개구부(136H)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전극패턴(136)의 개구부(136H) 내에는 제 2 더미패턴(136D)이 제 2 전극패턴(136)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된다. 제 2 전극패턴(136)의 외형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 물결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rows 135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137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Unlike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37.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has an opening 136H. The second dummy pattern 136D is formed in the opening 136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6 while keep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6 so that the second dummy pattern 136D does not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6. [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13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 diamond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wavy shape.

전극 형성부(A)의 제 1 전극열(130)과 제 2 전극열(135)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과, 제 1 및 제 2 연결패턴들(110, 137)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더미 패턴(131D, 136D) 또한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row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row 135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10 and 110, And 137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ar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gallium-doped zinc oxide (GZO).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131D and 136D may also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or GZO.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제 1 연결패턴들(110)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 다른 층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을 서로 접속시키는 반면, 제 2 연결패턴들(137)은 제 2 전극패턴들(136)과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 1 연결패턴들(110)은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연결패턴들(137)은 제 2 전극패턴들(136)과 다른 층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 2 전극패턴들(136)을 서로 접속시키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are form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nd the neighboring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re formed on the While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37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3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Patterns 136 may be formed on the other layer to connect the neighboring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to each other.

라우팅 배선 형성부(B)는 전극 형성부(A)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112)과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의 각각은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하부층(112a, 114a)과, 상기 하부층(112a, 114a) 상에 형성되며,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상부층(112b, 114b)의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라우팅 배선 형성부(B)는 또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을 보호하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절연층(12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routing wiring forming portion B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112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130, And a plurality of second routing interconnects 114 each connected to columns 135.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includes lower layers 112a and 114a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and GZO and a lower layer 112a and 114a formed on the lower layers 112a and 114a. And upper layers 112b and 114b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Nd, Mo, MoTi, Cu, and Cr. The routing wiring formation portion B may also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sulation layer 120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to protect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가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의 각각은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are formed as a double layer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interconnects 112 and 114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 AlNd, Mo, MoTi, Cu, or Cr.

패드 형성부(C)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112)을 통해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패드들(116)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을 통해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패드들(118)로 이루어 진다.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의 각각은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층(116a, 118a)과, 상기 제 1 층(116a, 118a) 상에 형성되며, Al, AlNd, Mo, MoTi, Cu, Cr과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제 2 층(116b, 118b)과, 제 2 층(116b, 118b) 상에 형성되며 ITO, IZO, G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층(116c, 118c)의 3중층으로 형성된다. The pad forming portion C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ds 116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130 via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interconnections 112, And a plurality of second pads 118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135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lines 11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ds 116 and 118 is formed on the first layer 116a or 118a and the first layer 116a or 118a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or GZO A second layer 116b or 118b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 AlNd, Mo, MoTi, Cu or Cr and a second layer 116b or 118b formed on the second layer 116b or 118b and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or GZO And a third layer 116c, 118c made of a material.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이 3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은 최상위층인 3층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2층 구조(116a, 116b; 118a, 118b)로만 형성하거나, 금속물질의 단일층 구조(116b, 118b)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 1 및 제 2 패드들(116, 118)이 3층 구조로 형성될 경우, 최상위 층이 경도가 높은 IT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 형성 후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후속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pads 116 and 118 have been described as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ads 116, 118 may be formed only as a two-layer structure 116a, 116b, 118a, 118b without forming a three-layer structure as the uppermost layer, ) May be formed. 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pads 116 and 118 are formed in a three-layer structure, since the uppermost lay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having high hardn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that may occur in the case of the abov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기판(100) 상에 제 1 연결패턴들(110)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과, 제 1 및 제 2 패드(116, 118)가 형성되고, 이들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절연층(120)이 형성된다. 절연층(1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패턴들(110) 각각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콘택홀들(120a, 120b)과, 제 1 라우팅 배선들(112)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4)의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3 콘택홀(120c)과, 제 1 패드(116)의 제 2 층(116b)과 제 2 패드(118)의 제 2 층(118b)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4 콘택홀(120d)을 포함한다. Meanwhile, in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the first and second pads 110 and 114,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insulating layers 120 and 116 are formed. The insulating layer 12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20a and 120b exposing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as shown in FIG. 2A,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20a and 120b, A third contact hole 120c exposing a portion of each of the second routing interconnects 114 and the second layer 116b of the first pad 116 and the second layer 116b of the second pad 118, And a fourth contact hole 120d exposing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ontact holes 118b.

도 2a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패턴들(110)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이 형성된 기판(100)의 전면 상에 제 1 내지 제 4 콘택홀(120a, 120b, 120c, 120d)을 갖는 절연층(120)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절연층(1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형성부(A)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열(130, 135)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전극열(130)을 구성하는 제 1 전극패턴(131a)과 제 2 전극열(135)을 구성하는 제 2 연결패턴(137)의 교차부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층(120)의 재료로는 질화실리콘(SiNx)이 이용된다. 2A, first through fourth contact holes 120a, 120b, 120c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a substrate 100 on which first connection patterns 110 and first and second routing interconnections 112, 114 are formed, 120c and 120d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row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rows 130 and 135 do not contact each other in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as shown in FIG. 2B But may be partially formed only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131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37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row 135. [ As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120, silicon nitride (SiNx) is used.

또한, 제 1 내지 제 4 콘택홀들(120a, 120b, 120c, 120d)이 형성된 절연층(120) 상에는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131)로 구성되며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130)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136)로 구성되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135)이 형성된다. On the insulating layer 120 having the first to fourth contact holes 120a, 120b, 120c and 120d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r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E.g., a y-axis direction) th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and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rows 135 are formed.

제 1 전극열(130)을 구성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 센싱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서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들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콘택홀들(120a, 120b)을 통해 노출된 절연층(120) 하부의 제 1 연결패턴(110)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131)들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1 연결패턴(110)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Since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row 130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y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touch sensing circuit. In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30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20a and 12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connection pattern (110) under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20). However, the neighboring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 exposed through the openings as shown in FIG. 2B.

한편, 전극 형성부(A)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은 제 3 콘택홀(120c)을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달리, 전극 형성부(A)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각각은 개구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120c. Respectively. Alternative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locat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12 and 114 through openings, respectively .

또한, 패드 형성부(C)의 제 1 및 제 2 전극패드들(116, 118)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콘택홀들(120d)을 통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112, 114)에 각각 접속된다.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116 and 118 of the pad forming portion C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uting wirings 120a and 120b through the fourth contact holes 120d as shown in Figs. 112 and 114,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최상위층에 IT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 제 1 전극패턴들(131), 제 2 전극패턴들(136) 및 제 2 연결패턴들(137)이 형성되고, ITO는 경도가 높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100)의 다른 면에 표시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후공정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양호한 품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37 using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ITO are form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touch screen panel Since ITO has a high hardness, scratches do not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 for forming a display device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100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of good quality can be obtained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and FIG. 4. FIG.

도 3a 내지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a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b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4각형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c는 제 1 및 제 2 전극패들(131, 136)턴의 측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의 예를, 도 3d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이 물결파 형상인 경우의 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가지 형상의 예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의 측면형상은 상술한 형상외에도 다각형, 포물형, 또는 이들 형상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는 측면의 길이가 직선인 경우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A to 3D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FIG 3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FIG. 3B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id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re tetragonal, FIG. 3C is an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131 and 131, FIG. 3D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is a wavy wave shape,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ur examples of shapes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id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may be polygonal, parabolic, or a combination of these shap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hapes. In other words, any shape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side length is longer than a straight lin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hape that can realiz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ssentially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제 1 전극패턴들(131)과 제 2 전극패턴들(136)의 측면형상이 3각형, 4각형, 사다리꼴, 물결형상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면이 직선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훨씬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131)의 측면과 과 제 2 전극패턴들(136) 측면의 길이가 길어지면 터치 스크린 패널 구동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도 증가되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3A to 3D, since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are triangular, tetragonal, trapezoidal, wavy, or the like, Which is much longer than in the case of a straight line. If the length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facing each other are increased, the magnitude of mutual capacitance increases when the touch screen panel is driv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한편, 제 1 전극패턴들(131)의 각각은 제 1 개구부(131H)를 포함하고, 제 2 전극패턴들(136)의 각각은 제 2 개구부(136H)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개구부(131H) 내에는 제 1 더미패턴(131D)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제 2 개구부(136H) 내에는 제 2 더미패턴(136D)이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개구부들(131H, 136H)을 형성할 경우, 전극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한 노이즈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Each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131 includes a first opening 131H and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136 includes a second opening 136H. The first dummy patterns 131D are independently formed in the first openings 131H and the second dummy patterns 136D are formed independently in the second openings 136H. When the openings 131H and 136H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of the electrode is reduced, the output data supplied from the source driver and the gate driver The amount of noise due to the change in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signal is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의한 노이즈 저감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noise reduction effect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부의 개구율에 따른 전극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에 발생하는 노이즈 전압과 저항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는 편의상 제 1 및 제 2 전극패턴(131, 136)을 형성하는 전극패턴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에 따라 S1, S2, S3으로 표시하였고, 개구부는 H로 표시하였다. 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opening ratio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cross- 2 is a graph showing the noise voltage and resistance generated in the two-electrode pattern, respectively. In FIG. 4,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hapes of the electrode pattern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are represented by S1, S2, and S3, respectively, and the openings are denoted by H, respectively.

우선, 노이즈 전압과 저항측정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 20mm, 세로 20mm의 크기를 갖는 3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을 준비한다. 3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은 개구부(H)의 면적을 각 전극패턴(S1, S2, S3)의 전체 면적의 0%, 25%, 50%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0%, 25%, 50%의 개구율을 갖는다. First, three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S3) having a size of 20 mm width and 20 mm length as shown in FIG. 4 are prepared for noise voltage and resistance measurement. The three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and S3 are formed by setting the area of the opening H to 0%, 25%, and 50% of the total area of the electrode patterns S1, S2, and S3. , 25%, and 50%, respectively.

다음으로, 이와 같이 제작된 샘플전극들을 각각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으로 구성한 후, 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표시장치에 적용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을 3.3V로 구동시킨 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3 샘플 전극패턴(S1, S2, S3)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전압값과 저항값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전압값과 저항값을 도 5a 및 도 5b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5a에서 노이즈 전압값은 터치 스크린의 액티브 영역을 9등분한 상태에서 가운데 영역을 먼저 측정하고, 4개의 모서리 영역을 나중에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것이다. Next, the sample electrodes thus fabricated are formed into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of a touch screen panel, respectively, and then the touch screen panel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fter the touch screen panel is driven at 3.3 V, the noise voltage value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and S3 are measured using an oscilloscope . The noise voltage values and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us measured are shown graphically in Figs. 5A and 5B. In FIG. 5A, the noise voltage value is obtained by first measuring the center area in the state where the active area of the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nine parts, and measuring the four corner areas later to obtain an average value.

도 5a는 표시장치가 블랙계조일 경우와 화이트 계조일 경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율에 따른 노이즈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블랙계조일 경우와 화이트 계조일 경우 모두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개구율이 증가함에 따라 노이즈 전압은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다. FIG. 5A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noise voltage depending on the aperture ratio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when the display device is a black gradation and when the gradation is white. In both cases of black gradation and white grad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voltage gradually decreases as the aperture ratio of the two-electrode pattern increases.

도 5b는 개구율에 따른 제 1 전극패턴과 제 2 전극패턴의 저항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개구율이 약 75% 이상인 경우 전극패턴들의 저항값이 급격히 상승함을 보여주고 있다. FIG. 5B is a graph showing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the aperture ratio, and shows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de patterns sharply increases when the aperture ratio is about 75% or more.

도 5a 및 도 5b로부터 개구율이 증가할 수록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노이즈는 감소하지만 저항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율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개구율에 따른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와 저항을 고려한다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의 개구율은 약 40%~약 6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A and 5B, it can be seen that as the aperture ratio increases, the nois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decreases but the resistance increas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aperture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Considering the noise and res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aperture ratio, the aperture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is about 40% to about 60%. ≪ / RTI >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이 개구부(131H, 136H)를 구비하는 경우, 표시장치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131, 136)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include the openings 131H and 136H, noise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131 and 136 due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sistance value can be obtained.

그러나,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이 개구부(131H, 136H)를 구비하는 경우, 개구부(131H, 136H)로 인해 절연층(120) 하부에 형성된 제 1 연결패턴(110)이 눈에 보이게 되는 시인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 1 연결패턴(110)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include the openings 131H and 136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20 due to the openings 131H and 136H has visibility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 is visible.

도 6은 제 1 연결패턴의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예로 제작한 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더미패턴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개구율이 50%인 샘플 전극패턴들(S1, S2, S3, S4, S5)의 개구부(H)에 개구부(H) 면적의 0%, 11%, 22%, 44%, 64% 인더미패턴들(D)을 형성한 5개의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더미패턴이 형성된 경우 전극패턴에 발생하는 노이즈 값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ummy pattern is formed in an opening portion of an electrode pattern manufactured in an experimental example in order to solve the visibility problem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The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5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S3, S4 and S5 in which dummy patterns D of 0%, 11%, 22%, 44%, and 64% of the openings H are formed in the openings H, S2, S3, S4, and S5, and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noise value generated in the electrode pattern when the dummy pattern of FIG. 6 is formed.

노이즈 측정은 도 5a와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제 1 샘플 전극패턴(S1)으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을 형성한 후 터치 스크린 패널을 3.3V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패널의 액티브 영역을 9등분하고, 그 상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프로브로 가운데 영역의 전극패턴을 접촉하여 노이즈의 전압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액티브 영역의 4개 모서리 영역의 노이즈값을 각각 측정한 후, 앞서 구한 가운데 영역의 노이즈값과 합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면 제 1 샘플 전극패턴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제 1 노이즈값이 구해진다. 제 2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제 2 내지 제 5 노이즈값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다. Noise measurements were ma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ure 5a. That is, afte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with the first sample electrode pattern S1, the touch screen panel is driven at 3.3V. Then, the active area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divided into nine equal parts,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noise is measured by contacting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middle area with the probe of the oscilloscope. In this way, the noise values of the four edge regions of the active region are respectively measured, and the noise values of the center regions are summed. When the noise value is calculate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first noise value is obtained. The second to fifth nois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formed by the second to fifth sample electrode patterns S2, S3, S4, and S5 a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S1~S5는 제 1 내지 제 5 샘플 전극패턴(S1, S2, S3, S4, S5)으로 형성한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노이즈 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값은 더미패턴(D)이 없는 경우 가장 작은 값으로 측정되었으나, 더미패턴(D)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더미 패턴(D)의 크기가 22% 이상에서 그 크기가 증가할 수록 노이즈값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더미패턴이 없을 경우 하부의 제 1 연결패턴(110)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인성 문제와 노이즈 문제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미패턴의 면적을 개구부 면적의 40%~70%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nois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formed by the first through fifth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S3, S4, and S5 shown in FIG. In FIG. 7, S1 to S5 represent the nois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formed by the first to fifth sample electrode patterns S1, S2, S3, S4, and S5, respectively. 7, the noise value is measured as the smallest value in the absence of the dummy pattern D, but when the dummy pattern D is formed, the size of the dummy pattern D is 22% or more As the size increased, the noise value also decreased. However, if there is no dummy patter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10 is visibl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both the visibility problem and the noise problem,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rea of the dummy pattern to be 40% to 70% of the area of the ope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제 1 전극패턴의 측면과 제 2 전극패턴들 측면의 길이를 연장시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시 상호 정전용량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can be extended to increase the magnitude of mutual capacitance during touch of the touch screen panel Theref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ouch performance of the touch screen panel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구동시 소스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데이터의 전압레벨 변화로 인해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에 발생되는 노이즈와 저항값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openings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data supplied from the source driver and the gate driver when driving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and the resistance value generated in the circu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은 상기 표시장치의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ubstrate of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ubstrate of the display devic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기판 110 : 제 1 연결패턴
112 : 제 1 라우팅 배선 114 : 제 2 라우팅 배선
116 : 제 1 패드 118 : 제 2 패드
120 : 절연층 120a, 120b, 120c, 120d : 콘택홀
130 : 제 1 전극열 131 : 제 1 전극패턴
131D, 136D : 더미패턴 131H, 136H : 개구부
135 : 제 2 전극열 136 : 제 2 전극패턴
137 : 제 2 연결패턴 A : 전극 형성부
B : 라우팅 배선 형성부 C : 패드 형성부
100: substrate 110: first connection pattern
112: first routing wiring 114: second routing wiring
116: first pad 118: second pad
120: insulating layer 120a, 120b, 120c, 120d: contact hole
130: first electrode row 131: first electrode pattern
131D, 136D: dummy pattern 131H, 136H: opening
135: second electrode row 136: second electrode pattern
137: second connection pattern A: electrode forming portion
B: routing wiring forming portion C: pad forming portion

Claims (8)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전극 형성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라우팅 배선 형성부에서 상기 제 1 연결패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 1 연결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서로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연결패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열의 서로 인접한 제 1 전극패턴들을 접속시키며,
상기 제 2 전극열의 각각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하나의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들의 각각은 하나의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제 1 개구부에는 상기 제 1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더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제 2 개구부에는 상기 제 2 전극패턴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더미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는 상기 제 1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개구부는 상기 제 2 전극패턴 면적의 40%~6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Boar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formed in the electrode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es and a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e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n the routing wiring formation portion on the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to expose a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parallel in a first direction on the insulating layer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routing wirings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rranged in parallel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row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in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routing wirings,
Wherein the first electrode rows and the second electrode columns are kept in a non-contact state with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s first electrode pattern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first electrode row,
Wherein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rows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integrally formed,
Wherein each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has one first opening, each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includes one second opening,
A first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so as not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a second dummy pattern is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so as not to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Is formed,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60% of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60% of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Touch screen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의 측면은 각각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to have bent portions,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패턴의 굴곡부와 상기 제 2 전극패턴의 굴곡부는 서로 마주보며,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또는 물결형을 갖거나, 또는 이들이 결함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rved portion has a triangular, square, trapezoidal, polygonal, or wavy shape, or has a shape that is defecti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패턴은 상기 제 1 개구부 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더미패턴은 상기 제 2 개구부면적의 40%~7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ummy pattern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40% to 70% of the area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dummy pattern has a range of 40% to 70% of the area of the second opening. Touch screen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 상기 제 1 연결패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패턴들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며, ITO, IZO, GZO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s,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include one of ITO, IZO, and GZO.
KR1020110052120A 2011-05-31 2011-05-31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KR101875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20A KR101875020B1 (en) 2011-05-31 2011-05-31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120A KR101875020B1 (en) 2011-05-31 2011-05-31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474A KR20120133474A (en) 2012-12-11
KR101875020B1 true KR101875020B1 (en) 2018-07-06

Family

ID=4751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120A KR101875020B1 (en) 2011-05-31 2011-05-31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0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18B1 (en) * 2013-08-06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CN104238816A (en) * 2014-09-04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13216B1 (en) 2015-04-15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40269B1 (en) 2015-07-06 2017-06-08 주식회사 지2터치 Touch panel having high resolution
CN105511650A (en) * 2016-01-27 2016-04-20 深圳市亚米拉电子科技有限公司 Single-layer mutual-capacitance touch panel
CN105786256A (en) * 2016-03-21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ouch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180090936A (en)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101932650B1 (en) 2017-05-15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102411704B1 (en) 2017-09-29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412094B1 (en) * 2017-09-29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413395B1 (en) * 2017-12-01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546769B1 (en) * 2018-06-08 2023-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KR102395265B1 (en) * 2018-08-29 2022-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101979891B1 (en) * 2018-08-29 2019-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102530493B1 (en) * 2018-09-14 2023-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21062B1 (en) * 2019-05-13 2023-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touch sensor
KR102453868B1 (en) * 2021-02-05 2022-10-14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sensor and touch input device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259A1 (en) * 2007-05-11 2008-11-13 Sense Pad Tech Co., Ltd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090037802A (en) * 2007-10-12 2009-04-16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Touch panel,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machine
KR20090092695A (en)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Display panel
JP2010033478A (en) * 2008-07-31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KR20100095886A (en) * 2009-02-23 2010-09-01 (주)이엔에이치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JP2011513846A (en) * 2008-02-28 2011-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Touch screen sens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259A1 (en) * 2007-05-11 2008-11-13 Sense Pad Tech Co., Ltd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090037802A (en) * 2007-10-12 2009-04-16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Touch panel,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machine
KR20090092695A (en)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Display panel
JP2011513846A (en) * 2008-02-28 2011-04-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Touch screen sensor
JP2010033478A (en) * 2008-07-31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KR20100095886A (en) * 2009-02-23 2010-09-01 (주)이엔에이치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474A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020B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US2023037614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333918A1 (en)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KR101691619B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48251B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195348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KR10179097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26845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1323004B1 (en)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KR101322998B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TWI780362B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539330B1 (en) Display Panel For Display Device
KR101818258B1 (en) Touch screen panel for display device
US11294519B2 (en) Touch panel
CN109491544B (en) Touch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60088533A (en) Touch sensor
US20210271347A1 (en) Touch display devices
US9921701B2 (en) Touchscreen panel
KR20200108148A (en) Display device
KR101853025B1 (en) Touch screen panel
TWI401489B (en) Capacitive touch board structure and capacitive touch panel structure
US20160103509A1 (en) Touch display device
US9401712B2 (en) Touch panel substrate with first grid electrodes and second grid electrodes
KR20130024328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KR101800894B1 (en) Touch scree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