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318B1 - 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 Google Patents

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318B1
KR101873318B1 KR1020160125735A KR20160125735A KR101873318B1 KR 101873318 B1 KR101873318 B1 KR 101873318B1 KR 1020160125735 A KR1020160125735 A KR 1020160125735A KR 20160125735 A KR20160125735 A KR 20160125735A KR 101873318 B1 KR101873318 B1 KR 10187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biological sample
cell
pitch
targe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8726A (en
Inventor
전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토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토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토젠
Priority to PCT/KR2016/0110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7966A1/en
Publication of KR2017003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52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 G02B21/006Optical details of the image generation focusing arrangements; selection of the plane to be imag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3Fluoresc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포 이미징 방법으로서, 표적세포(target cell)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의 일부 영역을 포커싱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렌즈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대물렌즈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포커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셀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물렌즈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셀 영역 내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을 하는 에지 디텍션 단계와,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는 최적 초점거리 선정 단계와, 상기 선정된 최적 초점거리에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시 또는 순차로 촬상을 하는 촬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imaging a cell, comprising: selecting a region of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a target cell as a focusing reg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n a first direction to a first pitch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focusing region sequentially decreases; Selecting a cell region in the focusing reg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n a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objective lens is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and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Moving a target cell in the cell region through a captured optical image; An edge detection step of performing edge detection o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to determine an optimum focal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at a point where a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A focal length selecting step and an imaging step of performing imaging in a temporal or sequential manne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iological sample at the selected optimum focal distance.

Description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0001] CE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0002]

본 발명은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석이 필요한 표적세포를 광 파장별로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표적세포를 카운팅할 수 있는 고식별성의 자동화된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imag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ly-identifiable automated cell imaging device capable of counting target cells by photographing and analyzing target cells for each wavelength of light, .

형광 현미경은 생물, 화학, 의학 등의 분야에서 세포 영상 관찰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형광 현미경을 통해 광학 이미지를 얻은 후에 특정한 세포(표적세포)의 개수나 존재비율 등의 통계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품질의 광학 이미지를 얻는 것이 필수이다.Fluorescence microscopy is the most widely used device for observing cell images in biological, chemical, and medical fields. After obtaining an optical image through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user can obtain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the specific cells (target cells) and the presence ratio.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obtain a high-quality optical image.

세포 이미징은 세포를 이용한 검사 또는 검진에도 응용된다. 유전자 해석, 암진단 등 바이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세포를 이용한 다양한 검사 또는 검진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표적세포를 포함한 생물학적 샘플에 대해 형광 현미경을 통한 촬상 및 촬상된 이미지의 분석이 요구된다. 그러한 표적세포의 한 예로 혈중 암세포를 들 수 있다. 혈중 암세포(CTCs: Circulating Tumor Cells)는 1차적인 종양조직, 즉 원발암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혈액 속을 돌아다니는 소수의 종양세포로 전이암의 핵심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혈중 암세포는 혈구 성분 108∼109 개당 약 1개 비율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혈중 암세포의 개수나 비율을 정확히 판정하는 것은 암 검진이나 항암치료의 검증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Cell imaging is also applied to cell-based screening or screening. Gene analysis, cancer diagnosis, etc., various methods of examining or examining cells using cell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maging through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analysis of the imaged images are required for biological samples containing target cells. An example of such a target cell is blood cancer cells.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are a primary tumor tissue, a small number of tumor cells that move away from a primary carcinoma and circulate in the blood. It is known that blood cancer cells are present at a rate of about 1 per 10 8 to 10 9 blood cells.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umber or the ratio of blood cancer cells in cancer screening and verification of chemotherapy.

표적세포의 개수를 판단하고 이들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각 세포의 크기와 형상을 특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세포의 경계를 명확히 식별해야 한다. 따라서 세포의 경계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세포 이미징을 할 수 있는 신뢰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치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target cells and determine their type, the size and shape of each cell must be specified, and the cell boundaries must be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n apparatus and a method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for cell imaging so as to clearly identify cell boundaries.

또한, 다수개의 생물학적 샘플을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된 방식의 세포 이미징 장치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특히 셀 카운팅(세포 계수) 기능이 포함된 디지털 영상 분석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utomated cell imaging devices and methods that can process large numbers of biological samples at high rates. These devices and methods are of even greater importance,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digital image analysis involving cell counting (cell counting) functions.

미국공개특허 제2012-0148142호 (공개일 2012.06.14)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2-0148142 (Published on June 14, 20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석이 필요한 표적세포를 광 파장별로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표적세포를 카운팅할 수 있는 고식별성의 자동화된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cel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unting target cells by photographing the target cells according to their wavelength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포 이미징 방법으로서, 표적세포(target cell)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의 일부 영역을 포커싱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렌즈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대물렌즈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포커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셀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물렌즈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셀 영역 내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을 하는 에지 디텍션 단계와,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는 최적 초점거리 선정 단계와, 상기 선정된 최적 초점거리에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시 또는 순차로 촬상을 하는 촬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maging a cell, the method comprising: selecting a region of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a target cell as a focusing reg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n a first direction to a first pitch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focusing area is sequentially decreased; Selecting a cell region in the focusing region through a picked-up optical image;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n a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objective lens is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Moving th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to a second pitch in a first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an edge detection step of performing edge detection with respect to a target cell in the cell region through an edg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a biological sample at a point where a contrast difference between a target cell and a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An optimal focal length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n optimal focal length as a best focal length, and an imaging step of performing imaging in a temporal or sequential manne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iological sample at the selected optimal focal distance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second position may be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itch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적 초점거리 선정 단계에서,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intensity)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timum focal length selecting step, a section having the largest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region is detected, and a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s The optimum focal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상 단계에서, 2개 이상의 파장영역에서 각각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광학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aging step, an optical image for each of the biological samples can be obtained in two or more wavelength region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세포 이미징 방법으로서, 대물렌즈를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1차 광학 이미지를 얻고, 상기 제1차 광학 이미지를 통해 셀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셀 영역에서 대물렌즈를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2차 광학 이미지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차 광학 이미지에서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통해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maging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a target cell, the method comprising: moving an objective lens to a first pitch, And moving the objective lens at a second pitch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in the selected cell area and moving the objective lens at a second pitch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in the selected cell area, Obtaining an optical image and selecting an optimal focal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through edge detection for a target cell in the second optical image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um focal length,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at the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is maximized through the edge detection is set as an optimal focal distance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focal length, a section having a largest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region is detected, and a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s The optimum focal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적세포는 혈중 암세포(CTC)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ell may be a blood cancer cell (CTC).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을 위치시킨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입사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서 여기된 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촬상부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플레이트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물렌즈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셀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셀 영역 내에서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물렌즈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a plate on which a biological sample containing a target cell is place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incident light on the plate side, an objective lens for condensing light excited by the biological sample, And a drive unit for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plate in the z-axis direction. The apparatus includes an optical system for analyzing the optical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lects the cell region while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plate at the first pitch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at the first posit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plate in a second direction to position the objective lens at a second position, Or moving the plate to a second pitch in a first direction, and selecting an optimal focal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통해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an optimal focal length through edge detection on the target ce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elect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as an optimal focal dis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interval in which a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is largest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region, and uses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two pixels, The opt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samples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이 필요한 표적세포를 광 파장별로 촬영하고 이를 분석하여 표적세포를 카운팅할 수 있는 고식별성의 자동화된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포 이미징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세포의 경계를 명확히 구별하여 표적세포의 개수와 종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수개의 생물학적 샘플을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distinguishable automated cell ima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apable of counting target cells by photographing and analyzing target cells that require analysis by light wavelength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el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ies of cell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number and type of target cell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biological samples can be processed at high spe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세포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학 이미지 샘플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생물학적 샘플 내에서 셀 영역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은 하나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의 실제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은 초점거리에 따른 표적세포 광학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photograph of an optical image sampl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 cell and an objective lens.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ell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cell region in a biological sample.
FIGS. 5 and 6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n actual process of edge detection for one target cell.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optical image of a target cell according to a focal distanc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 세포에 대한 광학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에서 흑백 반전한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image for a cell uses a monochrome inverted image in an actual image.

도 1은 세포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학 이미지 샘플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 1 is a photograph of an optical image sample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cell and an objective lens,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ell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세포 이미징 시스템은 예컨대 슬라이드 글라스와 같은 플랫폼 상에 염색된 세포를 놓고 여러 파장별로 세포를 관찰하고 촬영하는 시스템이다. 세포 이미징 시스템은 자동 셀 카운팅(cell counting) 모듈, 형광 강도(intensity) 분석 모듈, 형질 주입(transfection) 효율 분석 모듈, 3D 디컨볼루션(deconvolution) 모듈, 세포학(cytology) 기반 셀 분류/인식(cell classification/cogni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 기능으로서, 측정(Measurement) 기능, 리포트(Report) 자동 생성 기능, DB 관리 기능을 유저 인터페이스로 포함할 수 있다.The cell imaging system is a system for observing and photographing cells at various wavelengths by placing stained cells on a platform such as a slide glass. The cell imaging system includes an automated cell counting module, a fluorescence intensity analysis module, a transfection efficiency analysis module, a 3D deconvolution module, a cytology-based cell sorting / classification / cognition module. Also, as a user-friendly function, a measurement function, an automatic report generation function, and a DB management function can be included as a user interface.

이러한 세포 이미징 시스템은 세포, 배양액, 데브리스(debris) 등을 구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세포를 판별하고 계수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분석 장비가 포함된다. 이러한 세포 이미징 시스템에서 세포의 경계를 정확히 판정하기 위한 고품질의 광학 이미지 추출 장치, 즉 세포 이미징 장치가 필요하다.These cell imaging systems include digital image analysis equipment to distinguish cells, culture fluids, debris, and to identify and count cells that the user desires. There is a need for a high quality optical image extraction device, i. E., A cell imaging device, for accurately determining cell boundaries in such cell imaging systems.

도 1의 (a) 내지 (f)는 표적이 되는 세포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한 광학 이미지 샘플 사진으로서, 적절한 초점거리가 주어지는 경우에만 세포의 식별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1 (d)의 광학 이미지를 통해서만 세포의 경계를 적절히 확정하여 세포의 크기나 형상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세포의 종류를 판별하고 계수할 수 있다. 나머지 광학 이미지에서는 세포의 식별이나 경계 확정이 어렵다.
Figs. 1 (a) to 1 (f) are optical image sample photograph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objective len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cells takes place only when an appropriate focal length is given. For example, the boundaries of the cells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only through the optical image of FIG. 1 (d) to determine the size and shape of the cells, and the type of the cells can be determined and counted. In the remaining optical image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or delimit cell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이미징 장치(10)는 플레이트(1), 광원(2), 대물렌즈(3), 촬상부(4), 구동부(5) 및 제어부(6)를 포함한다.2, a cell imag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 a light source 2, an objective lens 3, an imaging unit 4, a driving unit 5, and a control unit 6 do.

플레이트(1)에는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S)이 위치한다. 표적세포는 특정 시료에 의해 형광염색된 세포, 또는 특정 혈구세포, 또는 혈중 암세포(CTC) 등과 같은 특정 세포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또한 생(live) 세포이든 죽은 세포이든 관계없다. 플레이트(1)는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일 수 있으며, 슬라이드 글라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그가 포함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에는 하나의 생물학적 샘플(S)이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플레이트에 복수개의 샘플이 배치되거나, 다수개의 독립된 플레이트가 병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1)는 챔버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plate (1) is placed with a biological sample (S) containing target cells. The target cell may be a fluorescently stained cell by a specific sample, or a specific cell such as a specific hemocyte cell or a blood cancer cell (CTC),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its type. It does not matter whether it is a live cell or a dead cell. The plate 1 may be a slide glass, and a jig for fixing the slide glass may be included.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biological sample S is placed on the plate 1, a plurality of samples are arranged on one plate, or a plurality of independent plates are juxtaposed. The plate 1 may also be located in the chamber.

광원(2)은 플레이트(1) 측으로 입사광을 조사한다. 광원(2)은 LED와 같은 조명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따라 발광시간이 소정범위 내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광원(2)은 투과 광원(transmission light source)이거나 형광 광원(fluorescence light source)일 수 있다. 또한 광원(2)은 2개 이상의 모드를 가지도록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예컨대 암시야 모드와 명시야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2 irradiates incident light to the plate 1 side. The light source 2 may be an LED-like illumination, and the light emission time may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 to a control operation of the user's selection or control unit. The light source 2 may also be a transmission light source or a fluorescence light source. Also, the light source 2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two or more modes. In this case, for example, a dark field mode and a bright field mode may be provided.

대물렌즈(3)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여기된 광을 집광한다. 대물렌즈(3)를 통해 유입된 광은 광학 요소(optical element)를 거쳐 촬상부(4)로 향한다. 광학요소에는 형광염료로 염색된 세포 또는 세포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objective lens 3 condenses the excited light in the biological sample. The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3 is directed to the imaging section 4 via an optical element. The optical element may include a filter for detecting cells stained with a fluorescent dye or an intracellular material.

촬상부(4)는 대물렌즈(3)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여 이미지화한다. 촬상부(4)는 예컨대 CCD 카메라일 수 있다.The imaging unit 4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3 and imaged it. The image pickup section 4 may be, for example, a CCD camera.

구동부(5)는 대물렌즈(3) 또는 플레이트(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z축 방향은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가 대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중력방향을 의미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대물렌즈(3) 또는 플레이트(1)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 사이의 법선방향 거리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도면에서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 사이의 거리는 d로 표시되어 있으며, 구동부(5)의 동작에 따라 d가 변화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 moves the objective lens 3 or the plate 1 in the z-axis direction. Here, the z-axis direction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generally refers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e distance in the normal direction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moving the objective lens 3 or the plate 1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figu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is represented by d, and 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5. [

제어부(6)는 촬상부(4)에서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분석하며, 또한 구동부(5)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6)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section 6 analyzes the optical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section 4 and also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drive section 5. [ The control unit 6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 memory, and the like.

제어부(6)에서의 처리 및 신호 생성에 의해, 먼저 대물렌즈(3)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대물렌즈(3) 또는 플레이트(1)를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셀 영역(cell area)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셀 영역 내에서 대물렌즈(3) 또는 플레이트(1)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물렌즈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대물렌즈(3) 또는 플레이트(1)를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한다.By the processing and signal generation in the control section 6, the objective lens 3 is first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Next, the cell area is selected while moving the objective lens 3 or the plate 1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first pitch. Next, the objective lens 3 or the plate 1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ell region to position the objective lens at the second position. Next, the objective lens 3 or the plate 1 is moved to the second pitch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ptimum focal length is selected.

여기서, 제1 위치는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 사이의 거리가 최적 초점거리보다 상당히 큰 위치에 해당한다. 제1 방향은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역방향이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대물렌즈(3)가 플레이트(1)의 하측에 위치하고, 대물렌즈(3)가 구동가능하고 플레이트(1)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고 할 경우, 제1 방향은 z축 상측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은 z축 하측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first posi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optimum focal distance. The firs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ar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objective lens 3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1 and the objective lens 3 is movable and the position of the plate 1 is fixed, as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direction means the lower direction of the z axis.

이와 달리, 제1 위치가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 사이의 거리가 최적 초점거리보다 상당히 작은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방향은 대물렌즈(3)와 플레이트(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역방향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osition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is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optimum focal distance, the first direction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plate 1,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한편, 제어부(6)는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을 통해 최적 초점거리(optimal focusing distance)를 선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점거리는 렌즈 또는 광학계에서 상수로 주어지나, 본 명세서에서는 대물렌즈와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 구체적으로 대물렌즈의 중심면과 플레이트 상의 생물학적 샘플 또는 표적세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6 selects the optimal focusing distance through edge detection on the target cell. Generally, the focal length is given as a constant in a lens or optical system, but it is assumed herein to mea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plate, 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lane of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or target cell on the plate.

제어부(6)는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contrast)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대물렌즈(3)와 생물학적 샘플(S)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는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line profile)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pixel)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이러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대물렌즈(3)와 생물학적 샘플(S)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 sel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3 and the biological sample S as the optimum focal dis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6 detects an interval in which a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is largest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a cell region, and uses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two pixels, The optimum focal distance between the biological sample 3 and the biological sample S can be selected.

이상에서 설명한 제어부(6)에서의 광학 이미지의 분석과 구동부(5)의 제어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의 세포 이미징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analysis of the optical image in the control unit 6 and the control process of the driving unit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cell imaging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생물학적 샘플 내에서 셀 영역을 나타낸 사진, 도 5 및 도 6은 하나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의 실제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초점거리에 따른 표적세포 광학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cell region in a biological sample, and FIGS. 5 and 6 are actual processes of edge detection for one target cell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optical image of a target cell according to a focal distance.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에서는, 먼저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의 일부 영역을 포커싱 영역으로 선정한다(S10 단계). 여기서 표적세포는 혈중 암세포(CTC)일 수 있다.In the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artial area of the biological sample including the target cell is selected as the focusing area (step S10). Here, the target cell may be a blood cancer cell (CTC).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에 놓인 생물학적 샘플(S)의 일부 영역이 포커싱 영역(F)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표적세포가 위치하는 영역의 일부를 포커싱 영역으로 선정하고, 이 포커싱 영역에서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생물학적 샘플의 전체 영역에 대한 선명한 광학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 part of the biological sample S placed on the plate 1 becomes a focusing area F. Fi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 part of the region where the target cell is located in the biological sample as the focusing region and selecting the optimum focal distance in this focusing region, finally, a clear optical image of the entire region of the biological sample can be obtained .

다음으로, 포커싱 영역에서 렌즈 포커싱(즉, 최적 초점거리 선정)이 이루어지도록 대물렌즈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S20 단계).Next, the objective lens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lens focusing (i.e., selection of an optimum focal length) is performed in the focusing area (step S20).

다음으로, 대물렌즈와 포커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대물렌즈 또는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킨다(S30 단계). 생물학적 샘플을 이동시키는 것은 플레이트 또는 표적세포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Next,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s moved to the first pitch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focusing area sequentially decreases (S30). Moving a biological sample is synonymous with moving the plate or target cell in the z-direction.

다음으로,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포커싱 영역에서 셀 영역을 선정한다(S40 단계). 도 4를 참고하면, 셀 영역은 포커싱 영역 내에서 최적 초점거리 선정을 위한 프로세싱의 대상이 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세포가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Next, a cell area is selected in the focusing area through the picked-up optical image (step S40). Referring to FIG. 4, the cell region refers to a region in which one or more cells to be processed are present for the selection of an optimum focal length in the focusing region.

다음으로, 대물렌즈 또는 생물학적 샘플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물렌즈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S50 단계). 여기서, 제2 위치에서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는, 앞서 S20 단계의 제1 위치에서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Next,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objective lens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step S50).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second position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step S20 previously.

다음으로, 대물렌즈 또는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킨다(S60 단계). 여기서, 제2 피치는 제1 피치보다 작을 수 있다.
Next,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s moved to the second pitch in the first direction (step S60). Here, the second pitch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위치, 제1 방향, 제2 방향의 의미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예컨대, 제1 위치는 대물렌즈와 플레이트 또는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가 최적 초점거리보다 상당히 큰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역방향일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eanings of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position may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plate or biological sample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optimal focal distance. The firs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플레이트 또는 생물학적 샘플의 z축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대물렌즈만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대물렌즈가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의 수치는 실험 또는 예시를 위한 것임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t is assumed that the z-axis position of the plate or biological sample is fixed, only the objective lens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objective lens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gures below are for experiments or illustrations only.

먼저, S20 단계에서 대물렌즈는 -1000㎛ 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제1 위치는 -1000 ㎛가 된다.First, in step S20, the objective lens moves to a position of -1000 mu m. That is, the first position is -1000 mu m.

다음으로, S30 단계에서 대물렌즈는 +10㎛ 간격으로 이동한다. 즉, 제1 방향은 z축 상측 방향이 되고, 제1 피치는 10㎛가 된다. 만약, z축 이동단위가 스텝이고, 스텝당 0.5㎛ 이동이 이루어진다고 하면, S30 단계에서는 1회 이동시 20스텝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Next, in step S30, the objective lens moves at intervals of +10 占 퐉. That is, the first direction is the upward direction of the z axis, and the first pitch is 10 占 퐉. If it is assumed that the z-axis moving unit is a step and a movement of 0.5 [mu] m is performed per step, a movement of 20 steps occurs at the time of one movement in step S30.

이와 같이 대물렌즈가 이동하면서 셀 영역의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소정 횟수만큼 대물렌즈를 이동한 후에 셀 영역의 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S40단계). 여기서 셀 영역의 선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광학 이미지 내에서 최적 초점거리 선정을 위한 프로세싱의 대상이 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세포가 선정되었다는 것임과 동시에, 최적 초점거리에 근접하도록 대물렌즈가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manner, the measurement of the cell area is performed while the objective lens is moving. After the objective lens is mo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ell area is selected (step S40). Here, the selection of the cell region means that one or more cells to be process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focal length in the optical image have been selected, and that the objective lens has moved closer to the optimum focal distance do.

셀 영역의 선정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대물렌즈의 위치를 현 위치에서 -100㎛ 이동한다. 즉, S50 단계에서 z축 하측 방향으로 100㎛ 만큼 이동한 위치가 제2 위치가 된다.When the cell region is selected, the position of the objective lens is shifted by -100 m from the curren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moved by 100 占 퐉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z axis in the step S50 becomes the second position.

다음으로, S60 단계에서 대물렌즈는 +2㎛ 간격으로 이동한다. 즉, 제2 피치는 2㎛가 되며, 1회 이동시 4 스텝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위 S20 내지 S60 단계에서의 움직임은 결국 1차적으로 대물렌즈의 이동간격을 크게 해서(제1 피치) 후보가 되는 초점거리를 일단 선정하고, 이후 범위를 좁혀 2차적으로 대물렌즈의 이동간격을 작게 해서(제2 피치), 최적 초점거리를 탐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적 초점거리 도달에 이르기 위한 시간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Next, in step S60, the objective lens moves at + 2 占 퐉 intervals. That is, the second pitch becomes 2 탆, and the movement of 4 steps occurs when moving once. The movement in steps S20 to S60 is perform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objective lens is firstly increased (first pitch) so that the focal distance serving as the candidate is firstly selected, and then the range is narrowed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objective lens is reduced (Second pitch), and searching for the optimum focal length. This can reduce the time consumption to reach the optimum focal length.

한편, 이상에서는 대물렌즈가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플레이트(또는 생물학적 샘플)가 이동하거나, 대물렌즈와 플레이트가 모두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실제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objective lens moves. Alternatively, the plate (or the biological sample) may move, or the objective lens and the plate may move. In this case, the actual meaning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chang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셀 영역 내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한다(S70 단계). 에지 디텍션은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특정 대상물의 경계를 확정하는 것으로, 세포 이미지에 대한 에지 디텍션은 탐지 대상이 되는 세포와 그 배경을 구별할 수 있도록 피처 콘트라스트(feature contrast)의 차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콘트라스트 차이를 증대시키기 위해 세포에 형광염료 염색을 하거나 마커에 의한 라벨링을 하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 3, edge detection is performed on the target cells in the cell region through the captured optical image (step S70). Edge detection determines the boundaries of specific objects in an image, and edge detection of a cell image detects differences in feature contrast so as to distinguish backgrounds from cells to be dete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rast difference, the cells are stained with fluorescent dye or labeled with a marker.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셀 영역 내에서 세포를 중심으로 A-A'선 상에서 픽셀 값을 측정하게 된다(도 5의 (a) 참조). 도 5의 (b)는 A-A'라인 프로파일을 따라 픽셀 값(intensity)의 분포를 나타낸다. 라인 프로파일을 따라 분포된 픽셀 값의 그래디언트(gradient) 정보가 도 5의 (c)에 나타나 있다. 그래디언트는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에지 강도(edge strength)로 나타낸 것으로, A-A'선 상에서 세포의 에지에 해당하는 E1 및 E2 지점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 즉 에지 강도의 절대값이 가장 크게 된다. 즉, 에지 강도의 절대값이 가장 큰 지점을 세포 경계로 획정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a pixel value is measured on a line A-A 'around a cell in a cell region (see FIG. 5 (a)). Figure 5 (b) shows the distribution of pixel values along the line profile A-A '. The gradient information of the pixel values distributed along the line profile is shown in FIG. 5 (c). The gradient represents the size difference between adjacent two pixels on the line profile in terms of edge strength. The gradient is a difference in siz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at the points E1 and E2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cell on the line A-A ' The absolute value of the intensity becomes the largest. That is, the point w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edge intensity is largest can be defined as the cell boundary.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한다(S80 단계).Referring again to FIG. 3, in step S80,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s selected as the optimum focal dis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여기서,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이러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게 된다.Here, an interval in which a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is largest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a cell region is detected, and an opt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s selected using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two pixels.

도 6에는, 상이한 초점거리에서 촬상한 광학 이미지(a, b, c) 및 그에 따른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의 에지 강도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 이미지가 B 및 C 이미지에 비해 선명한 에지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A 이미지에 대응하는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의 에지 강도가, B 및 C 이미지에 대응하는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의 에지 강도와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갖고 있음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에지 강도)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이러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값을 갖고 있는 광학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광학 이미지를 촬상했을 때의 초점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할 수 있게 된다.In Fig. 6, the optical images (a, b, c) taken at different focal lengths and accordingly the edge intensities on the line profile are shown.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A image shows a sharper edge than the B and C images because the edge intensity on the lin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A image is less than the edge on the lin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B and C images It can be confirmed by having a larger value as compared with the strength. That is, when an optical image having the largest difference in magnitude (edge strength)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the line profile is detected and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ixels is the largest, the optical image is picked up The optimum focal length can be selected.

도 7은 제2 피치 간격으로 대물렌즈를 이동시키며 촬영한 셀 영역의 광학 이미지(총 63개의 광학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도면에서는,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의 에지 강도 측정을 통해 48번 광학 이미지가 가장 선명한 에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48번 광학 이미지에 대응하는 초점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게 된다.
Fig. 7 shows an optical image (total of 63 optical images) of the captured cell reg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at the second pitch interval.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48th optical image has the sharpest edge through the edge strength measurement on the line profile, and thus the foc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48th optical image is selected as the optimum focal length.

마지막으로, 선정된 최적 초점거리에서 생물학적 샘플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시 또는 순차로 촬상을 하게 된다(S90 단계). 2개 이상의 파장영역에서 각각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광학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청색 파장영역에서 광학 이미지를 얻은 후, 이어서 녹색 파장영역 및 적색 파장영역에서의 광학 이미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Finally, the imaging is performed temporally or sequential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iological sample at the selected optimum focal distance (S90). Optical images for biological samples can be obtained in two or more wavelength regions, respectively. For example, after obtaining an optical image in the blue wavelength region, it is then possible to obtain an optical image in the green wavelength region and the red wavelength reg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세포 이미징 방법의 구성단계는 앞선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설명한 구성단계와 유사하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steps of the cell imag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steps individually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표적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세포 이미징 방법에서는, 먼저 대물렌즈를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1차 광학 이미지를 얻고, 이러한 제1차 광학 이미지를 통해 셀 영역을 선정한다(S100 단계).In the cell imaging method for a biological sample containing a targe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objective lens is moved to the first pitch, a first optical image for the target cell is obtained for each pitch, A cell area is selected through step S100.

다음으로, S100 단계에서 선정된 셀 영역에서 대물렌즈를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2차 광학 이미지를 얻는다(S200 단계).Next, in step S100, the objective lens is moved to a second pitch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in the selected cell area, and a second optical image is obtained for each target cell in step S200.

마지막으로, S200 단계에서 얻은 제2차 광학 이미지에서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통해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한다(S300 단계). 여기서,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이러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Finally, the optimal focal length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s selected through edge detection on the target cell in the second optical image obtained in step S200 (step S300).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can be selected as the optimum focal dis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In addition, an interval in which a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is largest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a cell region is detected, and an opt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can be selected using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ixels .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분석이 필요한 표적세포를 광 파장별로 촬영하고 이를 통해 표적세포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포의 경계를 명확히 구별하여 표적세포의 개수와 종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생물학적 샘플을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arget cells that need to be analyzed can be photographed by the respective wavelengths, and the target cells can be counted. In particular, the cell boundarie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umber and type of target cells, and a plurality of biological samples can be processed at high spe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세포 이미징 장치
1 플레이트
2 광원
3 대물렌즈
4 촬상부
5 구동부
6 제어부
10 Cell Imaging Device
1 plate
2 light source
3 objective lens
4 image pickup unit
5 drive unit
6 control unit

Claims (13)

세포 이미징 방법으로서,
표적세포(target cell)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의 일부 영역을 포커싱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렌즈 포커싱이 이루어지도록 대물렌즈가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포커싱 영역 사이의 거리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촬영하고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포커싱 영역에서 셀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물렌즈가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촬영하고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셀 영역 내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을 하는 에지 디텍션 단계와,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는 최적 초점거리 선정 단계와,
상기 선정된 최적 초점거리에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시 또는 순차로 촬상을 하는 촬상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As a cell imaging method,
Selecting a partial region of a biological sample including a target cell as a focusing region,
Causing the objective lens to be in a first position such that lens focusing is performed in the focusing reg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to a first pitch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focusing region sequentially decreases;
Capturing the biological sample after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to a first pitch in a first direction and selecting a cell region in the focusing area through the captured optical image,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in a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objective lens is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to a second pitch in a first direction,
An edge detection system for imaging the biological sample after the step of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biological sample to the second pitch in the first direction and edge detection of the target cell in the cell area through the captured optical image, Step,
Selecting an optimal focal length as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at a point where a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is maximized through the edge detection;
An imaging step of performing imaging in a temporal or sequential manne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iological sample at the selected optimum focal distance
Gt; of claim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second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n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itch is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초점거리 선정 단계에서,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intensity)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in the optimum focal length selection step, an interval in which an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area is greatest and using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two pixels, Wherein an optimal focal distance between the samples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단계에서, 2개 이상의 파장영역에서 각각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광학 이미지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imaging step, an optical image for the biological sample is obtained in two or more wavelength regions, respectively.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세포 이미징 방법으로서,
대물렌즈를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1차 광학 이미지를 얻고, 상기 제1차 광학 이미지를 통해 셀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셀 영역에서 대물렌즈를 상기 제1 피치보다 작은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며 각 피치당 표적세포에 대한 제2차 광학 이미지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2차 광학 이미지에서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통해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거나, 또는,
상기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A method of cell imaging for a biological sample comprising a target cell,
Moving an objective lens to a first pitch, obtaining a first optical image for a target cell for each pitch, and selecting a cell region through the first optical image,
Moving an objective lens in the selected cell area to a second pitch smaller than the first pitch and obtaining a second optical image for a target cell for each pitch,
Selecting an optimal focal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through edge detection on a target cell in the secondary optical image
Lt; / RTI >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is selected as the optimum focal distance at the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becomes maximum through the edge detection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focal distance,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focal length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an interval in which a magnitud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the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region is largest and using the magnitud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s, Wherein the optimal focal distance is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세포는 혈중 암세포(CT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target cell is blood cancer cell (CTC).
표적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을 위치시킨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입사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생물학적 샘플에서 여기된 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촬상부와,
상기 대물렌즈 또는 상기 플레이트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물렌즈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셀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셀 영역 내에서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물렌즈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키면서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물렌즈 또는 플레이트를 제1 방향으로 제2 피치로 이동시킨 이후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촬영하고, 촬상된 광학 이미지를 통해 상기 셀 영역 내의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을 하고, 상기 표적세포에 대한 에지 디텍션을 통해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지 디텍션을 통해 표적세포와 배경 간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거리를 최적 초점거리로 선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영역 내의 소정의 라인 프로파일 상에서 인접한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두 픽셀 사이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생물학적 샘플 사이의 최적 초점거리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장치.
A plate on which the biological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cell is place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incident light onto the plate side,
An objective lens for condensing the excited light in the biological sample,
An imaging unit that detects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plate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optical image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drive unit,
The objective lens or plate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to select a cell region while the objective lens or plate is moved to a first position after positioning the objective lens at a first position, And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the plate to a second pitch in a first direction to select an optimum focal length,
The control unit captures the biological sample after moving the objective lens or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pitch, performs edge detection on the target cell in the cell region through the captured optical image , An optimal focal length is selected through edge detection on the target cell,
Also, the controller may selec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as an optimal focal distance at a point where the contrast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cell and the background is maximized through the edge detec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val in which a size difference between two adjacent pixels on a predetermined line profile in the cell area is largest and selects an optimum focal length between the objective lens and the biological sample using a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ixels The cell imaging devic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5735A 2015-09-30 2016-09-29 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KR101873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1004 WO2017057966A1 (en) 2015-09-30 2016-09-30 Cell imag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7924 2015-09-30
KR1020150137924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726A KR20170038726A (en) 2017-04-07
KR101873318B1 true KR101873318B1 (en) 2018-07-03

Family

ID=5858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35A KR101873318B1 (en) 2015-09-30 2016-09-29 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31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98B1 (en) 2003-07-19 2006-08-08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Device for counting micro particles
CN101750272A (en) 2008-12-18 2010-06-23 鞍山钢铁集团公司 Blood cell image recognition counting method
US20140273068A1 (en) 2013-03-15 2014-09-18 Iris International, Inc. Autofocus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 analysis in blood samples
EP2856153B1 (en) 2012-05-24 2018-01-17 Rarecells Process for making a diagnosis of invasive canc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98B1 (en) 2003-07-19 2006-08-08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Device for counting micro particles
CN101750272A (en) 2008-12-18 2010-06-23 鞍山钢铁集团公司 Blood cell image recognition counting method
EP2856153B1 (en) 2012-05-24 2018-01-17 Rarecells Process for making a diagnosis of invasive cancer
US20140273068A1 (en) 2013-03-15 2014-09-18 Iris International, Inc. Autofocus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 analysis in blood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726A (en)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743A1 (en) Digital microscopy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9001200B2 (en) Cell characterization using multiple focus planes
JP6783778B2 (en) Methods, systems, and equipment for automatically focusing the microscope on a substrate
EP297544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46163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focus position and vision inspection system
US8237785B2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use in a microscope in which fluorescence emitted from a cell is captured so as to acquire a cell image, and automatic focusing method therefor
JP5259207B2 (en) Cell image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and software thereof
CN107219207B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CCD biochip fluorescence scanner
JP2004538509A (en) Image focusing in fluorescence imaging
JP6605716B2 (en) Automatic staining detection in pathological bright field images
JP2010268723A (en) Cell-screening method, controlling soft wear, cell-screening apparatus, and image-analyzing apparatus usable in the method, and cell-screening system
CN110824165B (en) Lung cancer tumor marker de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micro-fluidic chip and mobile phone
KR101836830B1 (en) Optical method for identifying cell
EP3884327B1 (en) Real-time focusing in a slide-scanning system
CN115278087B (en) Sample image photographing method and sampl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O2021148465A1 (en) Method for outputting a focused image through a microscope
JP2010216920A (en) Cell-image analyzing apparatus
EP1947441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objects contained in a sample
JP4085338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873318B1 (en) Celll imaging device and mehtod therefor
KR102619093B1 (en) Blood diagnostic apparatus
KR101853658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high resolution in cell image stitching
WO2017057966A1 (en) Cell imag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14778419A (en) High-magnification optical magnification imaging flow cytometer
JP2009128267A (en) Image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