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468B1 -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468B1
KR101871468B1 KR1020170098017A KR20170098017A KR101871468B1 KR 101871468 B1 KR101871468 B1 KR 101871468B1 KR 1020170098017 A KR1020170098017 A KR 1020170098017A KR 20170098017 A KR20170098017 A KR 20170098017A KR 101871468 B1 KR101871468 B1 KR 10187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information
history
agricultural
process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한
Original Assignee
조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한 filed Critical 조진한
Priority to KR102017009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축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종소비까지 전 과정의 이력을 블록체인(공공거래장부) 기술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즉각적으로 통합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BLOCK-CHAIN BASED TOTAL SYSTEM FOR MANAGING HISTORY OF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PRODUCTS}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축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종소비까지 전 과정의 이력을 블록체인(공공거래장부) 기술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즉각적으로 통합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수축산물은 농산물과 수산물 및 축산물을 포괄한 개념으로서, 전답(田畓)에서 경작되거나 가축을 사육함으로서 얻어지거나 바다 또는 강으로부터 획득되는 동식물과 이의 부산물을 통칭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농수축산물은 공산품과는 달리 경작 또는 사육되는 환경, 파종 일시, 기후 조건, 획득 시기, 가공 조건 등 주변 환경에 의해 그 품질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같은 물품이라도 품질이나 영양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농수축산물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문화 양식을 뜻하는 웰빙(Well-Being)이란 단어가 세간의 이목을 끌게 되면서 바른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농산물의 경우에는 화학비료, 유기합성 농약, 생장조정제, 제초제, 가축사료 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유기농 채소와 과일, 유기농 가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육류의 섭취보다 건강에 더 좋다고 알려진 수산물의 경우에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안전한 먹거리를 위하여 국가적 차원의 강력한 관리 및 기준이 제시되어있지만,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 대다수(72.3%)가 먹거리 위험이 심각하다고 응답하여 전쟁과 안보 위험(52.1%)이나 테러 위협(43.5%)보다도 더 큰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었다.
또한, 2008년 8월 '식품 이력추적관리제도'의 자율화 시행 이후 2013년 12월 1일부터 영·유아식 건강기능식품 등을 대상으로 해당 제조·가공 판매업소에 대한 의무화 적용 중이며 오는 2017년 12월까지 의무 등록대상이 확대 적용되었으며, 그 동안 제도의 도입·운영에도 불구하고 생산단계의 정보와 같이 소비자가 알고 싶어 하는 정보에 대한 조사 부족으로 국민의 높아진 식품안전에 대한 기대에는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농수축산물의 생산, 유통 과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농수축산물의 생산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음에 따라 소비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농수축산물이 어떠한 환경 및 과정을 통해 생산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농수축산물의 생산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생산 현장을 방문하고 그 과정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일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신토불이(身土不異)란 말처럼 국산 농수축산물이 품질이나 건강에 더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농수축산물의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서 국산과 외산의 구분이 곤란해지고 품질과 가격이 낮은 외산 농수축산물이 국산으로 둔갑하여 유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농수축산물을 제대로 된 과정을 통해 육성, 획득하여 출하하는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생산된 물품임을 입증할 길이 없어 생산 의욕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에도 오프라인 상에서 영농 조합이나 법인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의 단체 중심으로 농수축산물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이러한 단체들은 단지 농수축산물을 단체의 신용을 빌어 보증하는 것일 뿐이고 농수축산물의 실제 생산 이력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농수축산물을 구입하는 현장에서 농수축산물의 품질을 확인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농축수산식품과 관련하여 식품표시 제도와 원산지 표시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가짜 또는 일부 위변조된 바코드가 사용되는 등 많은 속임수 및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구제역이나 방사능 오염, 유전자 조작 등의 문제와 결부되어 소비자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 발생시 해당 상품의 생산부터 가공, 포장, 운송, 입고, 소포장, 판매 및 급식에 이르기까지 모든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원인 확인, 상품 생산지 및 문제 발생지를 추적해 낼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는 해당 상품 이력을 텍스트화하여 상품마다 부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상품이 대규모 또는 원거리로 유통될 경우에는 이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2004-0110912호(명칭:농산물 추적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농산물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은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상품 이력 정보를 단순한 텍스트 정도로 밖에 한정된 상태에서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생산물별로 따로 관리된 이력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체들이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바코드, RFID, Beacon, NFC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회 및 입력이 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이력추적시스템의 복잡하고 어려운 입력방식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에 대한 통합이력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통합이력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를 강화시키고, 소비자 잉여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단계별로 이력추적정보를 관리하므로, 해당 농수축산물의 안정성 문제 발생을 미리 방지가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용이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생산업체에 의해 생산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산업체 단말기(100);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이 복수의 가공업체를 통해 가공되는 가공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가공업체 단말기(200);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에서 가공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을 복수의 유통업체를 통하여 유통되는 유통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유통업체 단말기(300); 및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 가공업체 단말기 및 유통업체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각각의 농수축산물별로 통합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400);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바코드, RFID, Beacon, NF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 가공업체 단말기 및 유통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 및 상기 통합이력정보를 블록체인(500) 상에 분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산이력정보는 생산자 인적사항, 생산지, 생산품목, 출하일, 출하수량(중량), 출하로트, 유통기한 및 생산이력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가 상기 생산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전처리/가공/제조/조리업자 인적사항, 가공일자, 가공지, 가공수량, 유통기한 및 가공이력번호를 포함한 가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유통업체가 상기 가공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자, 운송일자, 제품명, 제품수량, 제품크기, 중량 및 유통이력번호를 포함한 유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추출하는 추출부(410);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데이터를 산출하는 산출부(420);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이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430); 및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이력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저장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농수축산물의 이력이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주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요청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신된 주문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450); 상기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와 대기자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 우선순위에 관련된 점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부(460); 및 상기 점수에 기반하여 대기자 우선순위에 맞추어 재설정하는 순서변경부(4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생산물별로 따로 관리된 이력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체들이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바코드, RFID, Beacon, NFC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회 및 입력이 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이력추적시스템의 복잡하고 어려운 입력방식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에 대한 통합이력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통합이력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를 강화시키고, 소비자 잉여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단계별로 이력추적정보를 관리하므로, 해당 농수축산물의 안정성 문제 발생을 미리 방지가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service)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은 생산업체 단말기(100), 가공업체 단말기(200), 유통업체 단말기(300), 관리서버(400), 블록체인(500) 및 소비자 단말기(6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100)는 복수의 생산업체들이 각각 사용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피씨 등의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는 물론, 데스크탑 컴퓨터 등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공업체 단말기(200), 유통업체 단말기(300) 및 소비자 단말기(600)는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400)는 복수의 생산업체에 의해 생산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생산업체 단말기(100);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이 복수의 가공업체를 통해 가공되는 가공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가공업체 단말기(200);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에서 가공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을 복수의 유통업체를 통하여 유통되는 유통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유통업체 단말기(300); 및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 가공업체 단말기 및 유통업체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각각의 농수축산물별로 통합이력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바코드, RFID, Beacon, NF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 가공업체 단말기 및 유통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 및 상기 통합이력정보를 블록체인(500) 상에 분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500)은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block)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된다. 또한,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불리우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 및 상기 통합이력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각 단계의 정보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생산이력정보는 생산자 인적사항, 생산지, 생산품목, 출하일, 출하수량(중량), 출하로트, 유통기한 및 생산이력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생산업체는 생산된 농수축산물에 대하여 식별코드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RFID 등 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가 상기 생산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전처리/가공/제조/조리업자 인적사항, 가공일자, 가공지, 가공수량, 유통기한 및 가공이력번호를 포함한 가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는 상기 생산된 농수축산물의 식별코드를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태그하여 생산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한 가공이력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유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유통업체가 상기 가공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자, 운송일자, 제품명, 제품수량, 제품크기, 중량 및 유통이력번호를 포함한 유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유통업체는 가공된 농수축산물의 식별코드를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태그하여 가공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추가 또는 보완한 유통이력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부(410), 산출부(420), 삭제부(430), 저장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부(410)는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추출된 통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생산이력정보, 가공이력정보 및 유통이력정보별로 세분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420)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유사도데이터는 동일한 생산업체에서 생산된 농수축산물에 대하여 복수의 가공업체들이 추가 또는 보완하여 가공업체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가공이력정보들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유사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삭제부(430)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이력정보를 삭제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유사범위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상기 산출부에 의해 분석된 유사도데이터를 고려하여 동일한 통합이력정보가 과반수 이상일 경우를 말하여, 이와같은 유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통합이력정보들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40)는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이력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과정을 설정된 시간마다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조 또는 누락된 데이터를 포함한 통합이력정보들을 필터링하여 투명하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된 통합이력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구매한 농수축산물에 부착되며 식별코드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RFID 등을 소비자 단말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태그하게 되면, 상기 관리서버가 해당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매칭된 통합이력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생산업체, 가공업체, 또는 유통업체가 생성한 각각의 이력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력정보들이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모두 매칭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매칭하고,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농수축산물의 이력이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각각의 이력정보들과 가장 많은 항목이 매칭하는 통합이력정보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생산업체, 가공업체 및 유통업체 중 매칭되지 않는 이력정보를 입력한 업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별된 업체가 입력한 이력정보에 대하여 상기 가장 많은 항목이 매칭하는 통합이력정보의 유사도데이터를 고려하여 이력정보의 위조, 오기재, 누락 등의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메시지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주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요청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신된 주문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450); 상기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와 대기자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 우선순위에 관련된 점수를 부여하는 가중치 설정부(460); 및 상기 점수에 기반하여 대기자 우선순위에 맞추어 재설정하는 순서변경부(4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복수의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농수축산물의 통합이력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농수축산물을 소비자 단말기를 통해 주문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복수의 주문요청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문요청신호에는 소비자의 이름, 전화번호, 배송주소를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계 분석부(450)는 상기 주문요청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누적되면 상기 회원정보에 포함된 배송주소를 기반으로 소비자별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산출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주문한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유의미한 값으로 산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는 해당 소비자가 주문한 농수축산물이 언제쯤 배송완료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 농수축산물을 주문한다고 가정하자. A지역의 유통업체는 모두 배송중인 상태이고, A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떨어진 B지역의 유통업체는 배송이 가능한 경우, 소비자는 A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A지역의 유통업체에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어플리케이션에서 A지역의 유통업체를 이용중인 소비자의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가 전부 1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다면, 소비자는 B지역의 유통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통계 분석부는 소비자별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산출하여 이를 어플리케이션상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한 후 유통업체를 이용하고자 할 때, 소비자는 먼저 이용중인 다른 소비자 또는 대기자들의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이 시작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대기자들의 수와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배송이 시작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비자는 배송이 시작되는 시간을 어플리케이션으로 파악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유통업체에 대기를 신청(대기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그 대기자 숫자를 보고 유통업체의 배송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대기를 걸어놓은 소비자에게 차례가 돌아오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유통업체에서 배송을 시작하였다는 알림을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자는 모두 상기 통계 분석부에 의해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가 수집된 소비자들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특정 유통업체에 대기를 걸어놓고 배송이 시작될 즈음 상기 가중치 설정부(460)와 순서 변경부(470)는 효율적이 배송을 위해 배송순서를 지정해줄 수 있다. 만약, 1번째부터 4번째 대기자까지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 매우 긴 시간(예컨대, 3시간)이라고 하고, 5번째 대기자는 매우 짧은 시간(예컨대, 15분)이라고 하자. 이때 5번째 대기자에게 먼저 배송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중치 설정부에서 대기자의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와 대기 순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식을 설정하고 대기 우선순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순서 변경부는 상기 가중치 설정부에서 설정된 수식과 합산된 점수를 기반으로 대기자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상에서 대기를 시작한 시점이 빠를수록 점수가 높고, 평균 배송소요시간이 짧을수록 점수가 높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기 우선순위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정한 결과에 딸, 상기 순서 변경부가 5번째 대기자를 1번째 순서로 바꾸게 되면 5번째 대기자는 1번째 대기자보다 먼저 배송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중치 설정부는 순서 변경부가 순서 변경을 수행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순서 변경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되어 손해를 본 대기자에게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생산물별로 따로 관리된 이력정보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통합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체들이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바코드, RFID, Beacon, NFC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회 및 입력이 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이력추적시스템의 복잡하고 어려운 입력방식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에 대한 통합이력정보를 소비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뢰도가 높은 통합이력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를 강화시키고, 소비자 잉여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단계까지 단계별로 이력추적정보를 관리하므로, 해당 농수축산물의 안정성 문제 발생을 미리 방지가 가능하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생산업체 단말기 200 ... 가공업체 단말기
300 ... 유통업체 단말기 400 ... 관리서버
410 ... 추출부 420 ... 산출부
430 ... 삭제부 440 ... 저장부
450 ... 통계 분석부 460 ... 가중치 설정부
470 ... 순서변경부 500 ... 블록체인
600 ... 소비자 단말기

Claims (8)

  1. 복수의 생산업체에 의해 생산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생산이력정보는, 생산자 인적사항, 생산지, 생산품목, 출하일, 출하수량(중량), 출하로트, 유통기한 및 생산이력번호를 포함하는, 생산업체 단말기;
    상기 생산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이 복수의 가공업체를 통해 가공되는 가공이력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가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가 상기 생산된 농수축산물의 식별코드를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태그하여 획득하는 상기 생산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전처리/가공/제조/조리업자 인적사항, 가공일자, 가공지, 가공수량, 유통기한 및 가공이력번호를 포함한 가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가공업체 단말기;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에서 가공된 각각의 농수축산물을 복수의 유통업체를 통하여 유통되는 유통이력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유통이력정보는, 상기 복수의 유통업체가 상기 가공된 농수축산물의 식별코드를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태그하여 획득하는 상기 가공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자, 운송일자, 제품명, 제품수량, 제품크기, 중량 및 유통이력번호를 포함한 유통이력을 추가 또는 보완하여 생성하는, 유통업체 단말기; 및
    바코드, RFID, Beacon, NFC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각의 이력정보들을 상기 생산업체 단말기, 가공업체 단말기 및 유통업체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결합하여 각각의 농수축산물별로 통합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이력정보들 및 상기 통합이력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대한 제1 이력조회 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농수축산물에 대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통합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생산이력정보, 가공이력정보 및 유통이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통합이력정보들을 분석하여 유사도데이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사도데이터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유사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통합이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부; 및
    상기 삭제부에 의해 삭제된 통합이력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상에 재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주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주문요청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누적되면 상기 수신된 주문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450);
    상기 평균 배송소요시간 데이터와 대기자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 우선순위에 관련된 점수를 부여하되, 대기를 시작한 시점이 빠르고, 평균 배송소요시간이 짧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순서변경부(470)에서 순서 변경을 수행한 횟수를 카운트하고, 순서 변경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된 대기자에게 기 설정된 점수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 설정부(460); 및
    상기 점수에 기반하여 대기자 우선순위에 맞추어 대기자 순서를 재설정하는, 상기 순서변경부(4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제1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농수축산물에 대한 제2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이력조회 요청 신호는 각각의 농수축산물에 부착된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이력조회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에 의해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와 매칭하되, 상기 제2 이력조회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생산이력정보, 가공이력정보 및 유통이력정보가 상기 재저장된 통합이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모두 매칭되는 경우,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를 상기 제1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매칭되는 통합이력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농수축산물의 이력이 위조된 것이라고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이력조회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에 포함된 이력정보들과 가장 많은 항목이 매칭하는 통합이력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통합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생산업체, 상기 복수의 가공업체 및 상기 복수의 유통업체 중 매칭되지 않는 이력정보를 입력한 업체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업체가 입력한 이력정보에 대하여 상기 선정된 통합이력정보의 유사도데이터를 고려하여 이력정보의 위조, 오기재 및 누락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메시지를 상기 제1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98017A 2017-08-02 2017-08-02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10187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7A KR101871468B1 (ko) 2017-08-02 2017-08-02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17A KR101871468B1 (ko) 2017-08-02 2017-08-02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468B1 true KR101871468B1 (ko) 2018-06-26

Family

ID=6278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17A KR101871468B1 (ko) 2017-08-02 2017-08-02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68B1 (ko)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3474A (zh) * 2018-07-23 2018-12-21 上海点融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在区块链网络中验证和运行智能合约的方法和装置
CN109493045A (zh) * 2018-11-12 2019-03-19 河海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农产品追溯信息存储方法
CN109918402A (zh) * 2019-01-31 2019-06-2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教育证明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
KR102013527B1 (ko) * 2018-08-28 2019-08-22 최은철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재물품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9054A (ko) * 2018-08-13 2020-02-21 이노뎁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KR20200021900A (ko) * 2018-08-21 2020-03-02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CN111027990A (zh) * 2019-12-17 2020-04-17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材料标记区块链的产品防伪方法及系统
KR102116325B1 (ko) * 2019-06-07 2020-05-28 허지미 블록체인 기반 정품 및 거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143A (ko) * 2018-12-13 2020-06-26 윤영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자산 거래 및 이력 추적 시스템
CN111431856A (zh) * 2020-02-26 2020-07-17 北斗(天津)科学技术应用研究院(有限合伙) 一种智能农业去中心化信息存储节点通信网络系统和方法
WO2020158965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구림 Qr 코드 부착형 의류/신발/가방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4961A (ko)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관리 시스템
KR20200100373A (ko)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20200114665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씽스앤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KR20200125116A (ko) * 2019-04-26 2020-11-0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김 이력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력관리 시스템
KR2020013900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제닉스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2132A (ko) * 2019-06-11 2020-12-22 주식회사 디엔비소프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축산물 유통추적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3845A (ko)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세미콘네트웍스 블록체인 기반의 택배 가상 화폐 운영 시스템 및 가상 화폐의 채굴 방법
KR20210041096A (ko) * 2018-11-29 2021-04-14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멜버른 피티와이 엘티디 오프라인 기구들을 위한 지원을 구비한 블록체인-기반 소모품 관리
KR102248840B1 (ko)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102248832B1 (ko)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방법
KR20210064363A (ko) * 2018-10-29 2021-06-02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공급 체인 이벤트 보고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210069934A (ko) 2019-12-04 2021-06-14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292361B1 (ko) * 2020-12-29 2021-08-23 허태욱 약용작물의 신뢰성 있는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21524084A (ja) * 2018-07-05 2021-09-09 ▲騰▼▲訊▼科技(深▲セン▼)有限公司 データ記憶方法、データ検証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27419A (ko) * 2020-08-27 2022-03-08 최화인 분산형 아이디 및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한 물건 유통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220071405A (ko) 2020-11-24 2022-05-31 김학철 스마트 팜의 빅 데이터를 이용한 농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5667A (ko) * 2020-11-30 2022-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지다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
KR20220126499A (ko) 2021-03-09 2022-09-16 라이브픽쳐스(주) 물품의 유통이력 관리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20141642A (ko) 2021-04-13 2022-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KR20230029017A (ko) * 2021-08-23 2023-03-03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의 유통 책임에 기반한 가격 결정 방법 및 가격 결정 시스템
KR20230055217A (ko) 2021-10-18 2023-04-25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128238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1차상품 이력관리 시스템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KR20230102859A (ko) 2021-12-30 2023-07-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특별관리임산물 품질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1241A (ko) * 2012-09-27 2014-04-0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태그를 이용한 상품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1241A (ko) * 2012-09-27 2014-04-0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태그를 이용한 상품 이력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상태 외 4인. 식품의 이력 인증 서비스를 위한 EPCIS 기반 블록체인 시스템 설계 제안. 2017년도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통신학회. 2017년 6월, pp.853-854 (2017.06.)* *

Cited B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730B2 (en) 2018-07-05 202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ata storage method, apparatus and device, data verifi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JP2021524084A (ja) * 2018-07-05 2021-09-09 ▲騰▼▲訊▼科技(深▲セン▼)有限公司 データ記憶方法、データ検証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063474A (zh) * 2018-07-23 2018-12-21 上海点融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在区块链网络中验证和运行智能合约的方法和装置
KR20200019054A (ko) * 2018-08-13 2020-02-21 이노뎁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KR102083676B1 (ko) * 2018-08-13 2020-03-02 이노뎁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KR20200021900A (ko) * 2018-08-21 2020-03-02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360809B1 (ko) * 2018-08-21 2022-02-10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한 농축산물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2013527B1 (ko) * 2018-08-28 2019-08-22 최은철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재물품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5882B1 (ko) * 2018-10-29 2022-01-25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공급 체인 이벤트 보고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210064363A (ko) * 2018-10-29 2021-06-02 제브라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공급 체인 이벤트 보고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9493045B (zh) * 2018-11-12 2020-03-31 河海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农产品追溯信息存储方法
CN109493045A (zh) * 2018-11-12 2019-03-19 河海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农产品追溯信息存储方法
KR102657156B1 (ko) 2018-11-29 2024-04-12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멜버른 피티와이 엘티디 오프라인 기구들을 위한 지원을 구비한 블록체인-기반 소모품 관리
EP3844696A4 (en) * 2018-11-29 2022-05-11 Leica Biosystems Melbourne Pty Ltd BLOCKCHAIN-BASED CONSUMABLES MANAGEMENT WITH SUPPORT FOR OFFLINE INSTRUMENTS
CN112789639A (zh) * 2018-11-29 2021-05-11 徕卡生物系统墨尔本私人有限公司 具有对离线仪器的支持的基于区块链的消耗品管理
KR20210041096A (ko) * 2018-11-29 2021-04-14 라이카 바이오시스템즈 멜버른 피티와이 엘티디 오프라인 기구들을 위한 지원을 구비한 블록체인-기반 소모품 관리
KR102197110B1 (ko) * 2018-12-13 2020-12-30 윤영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자산 거래 및 이력 추적 시스템
KR20200075143A (ko) * 2018-12-13 2020-06-26 윤영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자산 거래 및 이력 추적 시스템
WO2020158965A1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구림 Qr 코드 부착형 의류/신발/가방을 이용한 제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4961A (ko)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관리 시스템
CN109918402A (zh) * 2019-01-31 2019-06-2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教育证明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
KR102269446B1 (ko) * 2019-02-18 2021-06-25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20200100373A (ko) 2019-02-18 2020-08-26 박선민 IoT 기반의 농수축산물 실시간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KR20200114665A (ko)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씽스앤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KR102290177B1 (ko) * 2019-03-29 2021-08-19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농식품 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시스템
KR102327891B1 (ko) * 2019-04-26 2021-11-1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김 이력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력관리 시스템
KR20200125116A (ko) * 2019-04-26 2020-11-0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김 이력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력관리 시스템
KR102286855B1 (ko) * 2019-06-03 2021-08-06 주식회사 제닉스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900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제닉스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유통정보 플랫폼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6325B1 (ko) * 2019-06-07 2020-05-28 허지미 블록체인 기반 정품 및 거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132A (ko) * 2019-06-11 2020-12-22 주식회사 디엔비소프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축산물 유통추적시스템 및 방법
KR102227731B1 (ko) * 2019-06-11 2021-03-16 주식회사 디엔비소프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축산물 유통추적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3845A (ko)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세미콘네트웍스 블록체인 기반의 택배 가상 화폐 운영 시스템 및 가상 화폐의 채굴 방법
KR20210069934A (ko) 2019-12-04 2021-06-14 에디션연구소 주식회사 식품이력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1027990A (zh) * 2019-12-17 2020-04-17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材料标记区块链的产品防伪方法及系统
KR102248840B1 (ko)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KR102248832B1 (ko) 2019-12-23 2021-05-06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블록체인기반의 식품이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방법
CN111431856A (zh) * 2020-02-26 2020-07-17 北斗(天津)科学技术应用研究院(有限合伙) 一种智能农业去中心化信息存储节点通信网络系统和方法
KR20220027419A (ko) * 2020-08-27 2022-03-08 최화인 분산형 아이디 및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한 물건 유통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2416747B1 (ko) 2020-08-27 2022-07-05 최화인 분산형 아이디 및 분산 네트워크를 활용한 물건 유통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220071405A (ko) 2020-11-24 2022-05-31 김학철 스마트 팜의 빅 데이터를 이용한 농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5667A (ko) * 2020-11-30 2022-06-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지다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
KR102613665B1 (ko) * 2020-11-30 2023-12-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지다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
KR102292361B1 (ko) * 2020-12-29 2021-08-23 허태욱 약용작물의 신뢰성 있는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499A (ko) 2021-03-09 2022-09-16 라이브픽쳐스(주) 물품의 유통이력 관리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20141642A (ko) 2021-04-13 2022-10-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KR20240045191A (ko) 2021-04-13 2024-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방법, 및 블록체인 기반 농산품 생산 및 유통 관리 시스템
KR102612337B1 (ko) * 2021-08-23 2023-12-11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의 유통 책임에 기반한 가격 결정 방법 및 가격 결정 시스템
KR20230029017A (ko) * 2021-08-23 2023-03-03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의 유통 책임에 기반한 가격 결정 방법 및 가격 결정 시스템
KR20230055217A (ko) 2021-10-18 2023-04-25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Nft토큰을 이용한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2859A (ko) 2021-12-30 2023-07-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특별관리임산물 품질관리 시스템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WO2023128238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1차상품 이력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46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US11681979B2 (en)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mobile devices
Regattieri et al. Traceability of food products: General framework and experimental evidence
Bosona et al. Food traceability as an integral part of logistics management in food and agricultural supply chain
CN105184617A (zh) 一种中国农产品生产销售方法
Scholten et al. Defining and analyzing traceability systems in food supply chains
AU201624533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upply chain traceability
Luvisi Electronic identification technology for agriculture, plant, and food. A review
CN103455867A (zh) 基于物联网技术的肉牛冷鲜肉食品安全可追溯方法及系统
Kraisintu et al. The role of traceability in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Liu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mobile farming information system for food traceability in health management
Tamm et al. Seafood traceability and consumer choice
Tiwari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agri-food supply chain
MODULE Module 11: ICT APPLICATIONS FOR AGRICULTURAL RISK MANAGEMENT
KR20130082894A (ko) 전통음식 레시피를 이용한 레시피 오픈 마켓과 연동되는 농수산물 공동 구매 솔루션
Anderson et al. Adding value to agricultural products
Almadani et al. Introducing the world’s first global producer price indices for beef cattle and sheep
Vlachos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impact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ies on supply chain management
Zhang et al. The role of traceability in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KR20160120576A (ko) 생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6171805A (ja) トレーサビリティ機能を有した生鮮品のediシステム
Narula et al. Linking local suppliers to global food markets: a critical analysis of food safety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JP4917251B2 (ja) 共通商品コードを利用した生鮮商品流通システム
Balkrishna et al. Global food traceabilit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N111275452A (zh) 家禽生产追溯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