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421B1 -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 Google Patents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421B1
KR101871421B1 KR1020160147926A KR20160147926A KR101871421B1 KR 101871421 B1 KR101871421 B1 KR 101871421B1 KR 1020160147926 A KR1020160147926 A KR 1020160147926A KR 20160147926 A KR20160147926 A KR 20160147926A KR 101871421 B1 KR101871421 B1 KR 10187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wire
retractor
angle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1071A (en
Inventor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6014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21B1/en
Publication of KR2018005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중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한 견인구의 견인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견인기 몸체와,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수술 부위를 견인하는 것으로서, 견인기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구 및 견인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견인구 조작부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pull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pull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a pulling position and direction of a pulling mouth located inside a patient's body during surgery.
To this end,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tractor body, a retractor for retracting the surgical site inserted into the body, a pulling po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tractor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and direction, And a pulling mouth operat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adjust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mouth.

Description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0001]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0002]

본 발명은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중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한 견인구의 견인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pull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pull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a pulling position and direction of a pulling mouth located inside a patient's body during surgery.

일반적으로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수술이 용이하게 하기위해 인체 내부에 위치하는 조직이나 골격 등을 수술이 용이한 위치로 견인하여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Generally, in order to facilitate surgery, a tissue or skeleton located inside the human body is pulled to a position where it is easy for surgery to perform surgery.

이때, 조직이나 골격 등 수술부위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으로 견인기(retractor)를 사용하여 견인하고자 하는 부위를 견인하게 된다.At this time, a retractor is used as a means for lifting the surgical site such as a tissue or a skeleton, and the site to be towed is pulled.

이러한 견인기는 수술 부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얇고 넓적한 주걱이나 판, 블레이드 형태로 이루어져 인체에 삽입이 용이하고 수술부위를 견인하기위한 면적은 최대화하여 사용하고 있다.Such a retractor is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and purpose, and is mainly made of a thin and flat spatula, a plate, and a blade so that insertion into the human body is easy and the area for pulling the surgical site is maximized.

하지만 환자에 따라 견인하고자 하는 부위와 절개부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견인기의 방향을 전환하기가 어려워 수술부위 견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환자의 상태 악화 등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However, if the incision is inconsistent with the area to be traine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etractor,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traction the surgical site and the possibility of emergence such as deteriorating condition of the patient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1(한국등록특허 10-1218123 수술용 견인기구)에서는 손잡이부와 고정 결합되는 제1 견인 바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견인 바와 접촉하는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견인 바로 이루어지고, 제1 견인 바와 제2 견인 바를 연결하는 결합부는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견인 바와 제2 견인 바 사이의 압박력을 조절하여 고정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218123 surgical pulling apparatus) has a first pull bar fixedly coupled to the handle, a second pull bar formed in a bent form, And the coupl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ulling bar and the second pulling ba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between the first pulling bar and the second pulling bar by the turning operation so that the fixing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하지만 선행문헌1은 수술부위 삽입 전에만 각도 조절을 통해 수술부위를 견인할 수 있을 뿐 수술부위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견인기(삽입되어 있는 제2 견인 바)의 각도는 조절할 수 없어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좁은 수술부위나 비만환자들의 수술에서 다른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술부위를 견인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1, the angle of the retractor (the second pull bar inserted) can not be adjust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It is difficult to pull the surgical site without damaging other tissues in the operation of narrow surgery sites or obesity patients.

이럴 경우 추가적인 절개를 통해 수술 부위를 견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절개 부위가 더 넓어지거니 수술 시간이 지연되어 환자가 위급한 상황에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In this case, additional incision may lea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surgical site must be pulled, which causes the incision area of the patient to become wider, resulting in delayed operation time and the patient becom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선행문헌1(한국등록특허 10-1218123 수술용 견인기구)Prior Ar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21812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견인구가 수술부위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견인구의 방향 및 각도를 수술부위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ficial retractor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a pulling sphere from outside a surgical site while the pulling sphere is inserted inside a surgical site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및 방향전환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견인기 몸체;와,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수술 부위를 견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견인기 몸체의 한쪽 끝부분에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구; 및 상기 견인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견인구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rgical retractor capable of changing an angle and a direction, comprising: a retractor body; a retractor for retracting a surgical site inserted into a human body, the retractor body including: A pulling mouth connected to the body; And a pulling mouth operating pa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ulling body to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mouth.

여기서, 상기 견인구는 상기 견인기 몸체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힌지핀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ulling port is connected to a hinge pin inserted into the pulling body in a width direction thereof, and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hole are adjusted by the hinge pin.

이때, 상기 견인구 조작부는 상기 견인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핀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핀을 회전시키는 작동 와이어; 및 상기 작동 와이어의 다른 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를 당겨 주거나 놓아주는 와이어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pull tab manipulation uni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ractor body, and one end of the actuating wire is connected to the hinge pin to rotate the hinge pin. And a wire operatin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wire to pull or release the operating wire.

그리고 상기 와이어 작동부는 상기 견인기 몸체의 폭 방향 한쪽 측면에 놓이는 다이얼 형태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견인기 몸체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작동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와이어는 양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핀과 작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ir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dial-shaped head portion dispos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tractor body, and an operating shaf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retractor body so as to penetrate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hinge pin and the operation shaf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작동 와이어는 2개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힌지핀과 작동축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과 작동축의 양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 와이어가 끼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wires are fix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pin and the operation shaft, and the wire fix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pin and the operation shaft, .

한편, 상기 견인구 조작부는 상기 견인구가 각도 및 방향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견인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견인구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ll tab manip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ull tab fixing unit that fixes the pull tab so that the pull tab is not rotated when the pull tab is completely adjusted in angle and direction.

여기서, 상기 견인구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키와 상기 헤드부가 위치하는 상기 견인기 몸체의 측면에 상기 고정키와 대응되는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키가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거나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상기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ulling-hole fix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keys protruding radial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keys corresponding to the fixed keys on the side surface of the pull- And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mouth can be adjusted or fixed while the fixed key is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

이러한 견인구 조작부는 상기 견인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작동축의 하부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작동부가 항상 아래쪽을 향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축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원 스프링의 하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ulling-back manipul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restoring spring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retractor body so as to surroun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actuating shaft so that the wire actuating part always faces downward, and at the end of the actuating shaft,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여기서, 상기 견인기 몸체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수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other end of the retractor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gripped by the operator's hand.

한편,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견인기 몸체 내부에 내장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견인기 몸체의 바깥쪽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견인기 몸체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와이어가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operating wir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tractor body or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tractor body. If the operating wir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tractor body, And a cap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견인구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움직임을 상기 힌지핀 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인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양쪽 끝에 구비되고 한쪽 끝부분은 견인구의 와이어 고정홀에 끼워지고 다른 쪽 끝부분은 견인구 조작부의 와이어 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ng wire includes a wire portion tha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of the pulling-hole manipulation portion to the hinge pin side, a wire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ire portion, one end portion is fitted in a wire fixing hole of a pulling- And a fixing member that is fitted in the wire fixing hole of the pull tab operating portion and supports the wire portion.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로, 상기 견인구는 다수의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분할된 견인구들은 개별적으로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tool has a plurality of divided structures, and the divided pulling tools are individually adjustable in angle and direction.

여기서, 상기 견인구 조작부는 상기 분할된 견인구들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다수개로 구비되되, 각 견인구 조작부는 각도 및 방향 조절하고자 하는 견인구의 바로 뒤쪽에 위치한 견인구에 설치되어 바로 앞쪽에 위치한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pull tab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ividual pull tabs for adjusting the divided pull tabs, and each pull tab manipula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pull tab located immediately behind the pull tab for adjusting the angle and direction, The angle and the direction are adju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urgical pulling machine having the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견인구가 수술부위 내부로 삽입되어있는 상태에서 수술자의 의도에 따라 견인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수술자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좁은 수술부위나 비만환자들의 수술에서 다른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술부위를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angle of the traction sphere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in the state where the traction sphere is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If the surgical operation of the narrow surgery site or obesity patients, The surgeon can pull the surgical site.

둘째, 수술부위 내부의 견인구를 조절함에 있어서 견인구 조작부를 손으로 잡고 돌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견인구의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수술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pulling mouth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operating part of the pulling mouth by the hand while turning the pulling mouth inside the surgical site, so that the operation is easy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셋째, 수술부위에 견인구를 삽입할 때에는 직선을 이루며 삽입하고, 견인하고자 하는 수술부위에 도달했을 때 견인구 끝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견인구가 수술부위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when inserting a pulling ball into a surgical site, it can be inserted into a straight line and the angle of the tip of the pulling ball can be adjusted when reaching the surgical site to be pulled. There is an effect that damage can be prevented.

넷째,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수술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mouth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respond more actively to various ope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에 작동와이어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 구조를 더 포함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를 수술 부위로 진입시키기 위해 일직선상으로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가 견인하고자 하는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견인구의 끝부분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전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를 수술 부위로 진입시키기 위해 일직선상으로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가 견인하고자 하는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structure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an operating wire in an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pul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ular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off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in a straight line to enter a surgical site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pulling mouth are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angular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hes the surgical site to be pulled
6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ular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off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in a straight line to enter a surgical site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gle and direction of a multi-stage pulling mouth is adjusted in a state where an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pul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hes a surgical site to be pulled

본 발명은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 내부에 삽입된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인체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어서 협소한 부위의 수술이나 비만환자의 수술 시 수술 부위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견인기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or for a surgical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or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angle and direction of a pulling ball inserted into a human body from outside the human body, .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견인기 몸체(100), 견인구(200), 견인구 조작부(300) 및 작동 와이어(310)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retractor body 100, a pulling mouth 200, a pulling mouth operating part 300, and an operating wire 310.

상기 견인기 몸체(100)는 한쪽 끝부분에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수술 부위를 견인하는 견인구(200)가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수술자가 손으롤 파지하는 손잡이(400)가 구비된다. 손잡이(400)와 인접한 위치의 견인기 몸체(100) 일측에는 견인구 조작부(300)가 결합된다.At one end of the retractor body 100, a pulling tool 200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to pull the surgical site, and at the other end, a handle 400 is provided for the operator to grasp the hand. A pulling mouth operating part 3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tractor body 10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andle 400.

이때, 상기 견인기 몸체(100) 내부 양측 중앙에는 견인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아주 작은 구멍이 길게 이루어져 작동 와이어(310)가 동작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작동홈(11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hole having a very small diameter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ractor body 100 at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retractor body 100 to form a wire operation groove 110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wire 310 is operated do.

또한,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한쪽 끝부분에는 견인구(200)에 구비된 힌지핀(211)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되는 견인구 결합홀(120)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retractor body 100, a pulling hole coupling hole 120 through which a hinge pin 211 provided in the pulling hole 200 is rotatably fitted is formed.

상기 견인구(200)가 결합된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400)와 근접한 위치에 견인구 조작부(300)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조작부 결합홀(130)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At the other end to which the pulling mouth 200 is coupled, a manipulation portion coupling hole 130 in which the pulling mouth manipulating portion 300 is insert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40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때, 조작부 결합홀(130)의 하부에는 조작부 결합홀(1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조작부 결합홀(130)과 단턱 지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가 항시 아래쪽으로 밀착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330)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17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coupling hole 130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peration portion coupling hole 130 and is formed in a step with the operation portion coupling hole 130, so that the pull port manipulation portion 300 is elastically A spring mounting portion 170 on which a restoring spring 330 to be provided is provided is formed.

상기 조작부 결합홀(130)의 상부에는 다수의 턱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를 조작한 후 상기 복원 스프링(330)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착됨에 따라 견인구 조작부(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는 고정홈(140)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jaw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coupling hole 130 so that the pulling mouth manipulation portion 300 is rotated by rotation of the pulling mouth manipulation portion 300, A fixing groove 14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ixing member 140 is formed.

이때, 상기 고정홈(140)은 각 모서리가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어서 견인구 조작부(300)의 헤드부(321) 아래쪽에 전체적으로 단턱 지게 배열 형성된 고정키(321a)가 복원 스프링(330)의 탄성에 의해 부드럽게 끼워지며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grooves 140 are inclined so that the fixing key 321a, which is integrally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head part 321 of the pulling-out operating part 300, is soft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restoring spring 330 And is fixed.

상기 견인구(20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에서 견인구 결합홀(1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되는 힌지핀(211)과, 상기 힌지핀(2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작동 와이어(310)의 한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고정홀(211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lling tool 200 includes a hinge pin 211 that is rotatably fitted in and coupled to the pulling hole coupling hole 120 in the retractor body 100 and a hinge pin 2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11, And a wire fixing hole 211a to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wire fixing hole 310 is fixedly installed.

상기 힌지핀(211)은 견인구(200)에는 고정 구비된 상태로 견인구 결합홀(120)과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견인구(200)는 힌지핀(211)을 중심으로 하여 견인기 몸체(100)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inge pin 211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pull hole 200 while being fixed to the pull hole 200. Accordingly, the pulling tool 200 is coupled to the retractor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bout the hinge pin 211.

힌지핀(211)의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홀(211a)에는 2개 한 쌍의 작동 와이어(310)가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핀(211)의 양측에서 작동 와이어(310)로 당겨주는 힘에 의해 견인구(200)가 회동 된다.Two pairs of operating wires 310 are coupled to the wire fixing holes 2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11. [ Therefore, the pulling tool 200 is rotated by the force that pulls the operating wire 310 from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1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인구(200)가 직선 형태를 이루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구간 곡률을 이루며 형성되거나 일정 부위가 절곡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tool 200 is shown as a straight l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ulling tool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urved shape or a curved shape.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는 수술 중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견인구(200)가 고정된 각도로 계속 유지될 수 있게 해준다. The pull tab manipulation unit 300 allows the pull tab 200 to be maintained at a fixed angle even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during operation.

이러한 견인구 조작부(300)는 힌지핀(211)과 견인구 조작부(300) 측에 연결되어 힌지핀(211)을 회전시키는 작동 와이어(310)와, 상기 작동 와이어(310)를 작동시키는 와이어 작동부(320)와, 상기 와이어 작동부(320)가 항상 아래쪽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330) 및 상기 복원 스프링(330)의 하부에서 복원 스프링(330)의 탄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lling mouth operating unit 300 includes an operating wire 310 connected to the hinge pin 211 and the pulling mouth operating unit 300 so as to rotate the hinge pin 211, A restoring spring 330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wire actuating part 320 so that the wire actuating part 320 can always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re actuating part 320 and a resilient spring 330 that supports the elasticity of the restoring spring 330 And a support member (340).

상기 작동 와이어(310)는 적어도 2개 1 쌍으로 구비되고, 강성 재질로 이루어져 견인구(200)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부(311)와, 상기 와이어부(311)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한쪽 끝부분은 견인구(200)의 와이어 고정홀(211a)에 끼워지며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견인구 조작부(300)에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홀(322a)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고정부재(312)로 이루어진다.The operating wire 310 includes at least two pairs of wires, a wire portion 311 made of a rigid material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pulling tool 200 and maintaining an angle, One end of the wire portion 311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wire fixing hole 211a of the pulling hole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wire And a fixing member 312 to be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322a.

이로 인해 견인구 조작부(300)를 회전시키면 견인구(200)가 작동 와이어(310)에 의해 회동되면서 수술 부위 내부에 삽입되어있는 견인구(200)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 및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pull tab manipulation unit 300 is rotated, the pull tab 200 is rotated by the actuating wire 310, so tha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 tab 200 inserted in the surgical site can be adjusted and fixedly supported do.

상기 와이어 작동부(320)는 상부에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원형 다이얼 형태의 헤드부(321)가 구비된다. 헤드부(321)의 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키(321a)가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wire operation part 32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dial-type head part 321 which can be operated by h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321, a plurality of fixed keys 321a protruding outwardly are formed radial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헤드부(321)의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길게 일체 연장되어 상기 견인기 몸체(100)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작동축(322)이 구비된다. 작동축(322)에는 작동 와이어(310)가 끼워지며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홀(322a)이 형성된다.An operation shaft 322 extending downwardly and extending downward is fitted to the retractor body 100 at the center of the head part 321. The operation shaft 322 is formed with a wire fixing hole 322a into which the actuating wire 310 is fitted.

상기 작동축(322)의 하부 외측으로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스프링 설치부(170)에 끼워지며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를 항시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330)이 더 구비된다.A restoring spring 330 which is fitted to the spring mounting portion 170 of the retractor body 100 and exerts an elastic force to pull the pulling mouth operating portion 300 downward is provided at a lower outer side of the operating shaft 322 .

상기 작동축(322)의 복원 스프링(330)이 구비된 아래쪽 끝부분에는 상기 복원 스프링(330)의 탄성력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0)가 구비된다.A supporting member 340 for suppo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330 is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actuating shaft 322 provided with the restoring spring 330.

이로 인해 견인구 조작부(300)는 항시 아래쪽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견인구 조작부(300)의 헤드부(321)를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한 후 손을 놓게 되면 견인구 조작부(300)가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헤드부(321) 저면의 고정키(321a)와 견인기 몸체(100)의 고정홈(140)이 키 및 키홈 구조로 끼워지며 고정된다. 이로 인해 견인구(200)는 각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As a result, the pulling-trunnion operating unit 300 has an elastic force to be pulled downward at all times, and the head portion 321 of the pulling-trunnion operating unit 300 is rotated upward to adjust the angle. The fixed key 321a at the bottom of the head part 321 and the fixing groove 140 of the retractor body 100 are fitted and fixed in the key and keyway structure. Accordingly, the pulling opening 20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even when a large force is externally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angle adjustment is completed.

상기 견인기 몸체(100)에서 견인구(200)가 결합되는 다른 쪽 끝부분에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다. 손잡이(40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술 중 견인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 hand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retractor body 100 to which the pulling tool 200 is coupled. The handle 400 has a curved shape that is easy to grasp with the hand, so that the handle 400 can be used while stably holding the retractor during surgery.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에 작동와이어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캡 구조를 더 포함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structure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an operating wire is provided in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에는 와이어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캡 구조가 포함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p structure for facilitating wire replacement.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작동홈(110)의 외측에는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캡 결합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캡 결합홈(150)은 상기 와이어 작동홈(110)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와이어가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와이어 작동홈(110)을 보호하는 캡(160)이 끼워지며 결합된다.To this end, a cap coupling groove 15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operation groove 110 so as to be recessed inwar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wire operation groove 110. The cap coupling groove 150 is formed in the wire operation groove 110, A cap 160 for protecting the wire operation groove 110 is fitted and engaged to prevent the wire from entering or malfunctioning.

상기 캡 결합홈(150)은 캡(160)이 끼워지며 결합되되 길이방향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볼트 결합홀(151)에 캡(160)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볼트홀(161)이 일치되게 끼워지면서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The cap coupling groove 150 is formed with a bolt hole 151 spac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cap 160 in a bolt coupling hole 151 having a cap 160 fitted therein and spaced a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161 are fitted together by the bolts.

상기 볼트는 접시볼트 형태로 되어 캡(160) 외측으로 볼트가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lt is in the form of a plate bolt to prevent bolts from protruding outside the cap 160.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tra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를 수술 부위로 진입시키기 위해 일직선상으로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gular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to enter a surgical site.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수술 부위에 진입될 때 견인구(200)와 견인기 몸체(100)와 손잡이(400)가 일직선상을 이루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술 부위로 진입된다.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surgical retractor adjustable in angle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tool 200, the retractor body 100, and the handle 400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And enters the surgical site in a fixed state.

이때, 견인구(200)는 와이어 작동부(3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키(321a)와 견인기 몸체(100)의 견인구 조작부(300)가 결합되는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40)이 서로 끼워지며 작동 와이어(310)를 고정 지지하여, 한 쌍의 작동 와이어(310)가 양쪽에서 견인구(200)의 힌지핀(211)을 회전되지 않도록 당긴 상태로 지지하여, 수술부위로 진입되는 동안 움직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일직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진입된다. At this time, the pulling opening 200 is formed by inserting the fixed key 321a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wire operation part 320 and the fixing groove 140 formed at the upper part where the pulling mouth operating part 300 of the pulling body 100 is coupled And the operation wire 310 is fixedly supported so that the pair of operation wires 310 support the hinge pin 211 of the pulling mouth 200 in such a state that the hinge pin 211 of the pulling mouth 200 is not rotated from both sides, But enters a state in which a straight line is formed as a whole.

이로 인해 협소한 수술 부위나 비만인 환자의 수술부위까지 다른 장기나 연부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견인구(200)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enter the pulling mouth 200 without damaging other organs or soft tissues to the surgical site of a narrow surgical field or an obese patient.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가 견인하고자 하는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견인구의 끝부분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ngle and direction of an end portion of a pulling mouth is adjusted in a state where an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pull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hes a surgical site to be pulled.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술을 위한 절개부에서 수술이 필요한 위치까지 견인구(200)를 이동시킨 후 수술부위를 견인하기 위해 견인구(200)의 각도나 방향을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5B,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ngle or direction of the pulling mouth 200 to move the pulling mouth 200 from the incision for surgery to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is required.

이때, 와이어 작동부(320)의 헤드부(321)를 들어 올려 회전시키면 와이어 작동부(320) 측에 결합된 작동 와이어(310)가 회전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견인구(200)의 힌지핀(211a)이 작동 와이어(31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른 쪽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310)를 당겨주게 된다.When the head part 321 of the wire operation part 320 is lifted and rotated, the operation wire 310 coupled to the wire operation part 320 is pulled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pin 211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wire 310 is pulled to pull the operating wire 310 provided on the other side.

와이어 작동부(320)의 조작에 의해 견인구(200)가 원하는 각도에 도달했을 때 와이어 작동부(320)를 놓게 되면 복원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 작동부(320)의 고정키(321a)가 견인기 몸체(100)의 고정홈(140)에 끼워지면서 견인구(20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다. When the wire operation part 320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operation part 320 when the pulling opening 200 reaches a desired angle, the elasticity of the restoration spring 330 causes the fixed key of the wire operation part 320 321a ar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s 140 of the retractor body 100, the angle adjustment of the pulling tool 200 is completed.

이로 인해 견인구(200)가 수술부위 측으로 꺾어진 상태에서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ull the surgical site in a state where the pull tab 200 is bent toward the surgical sit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견인구(200)가 다단으로 분할되어 개별적으로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puller adjustable in angle and direc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pulling tool 200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to individually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견인구의 각도와 방향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견인구(200)의 분할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견인구(200)가 2단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 ball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but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Therefore, only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pulling tool 200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anation will be given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pull tab 200 is divided into two stag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구(200)는 크게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로 구성되어 진입이 어려운 수술부위 내부에서 양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수술부위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pulling mouth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lling mouth 210 and a second pulling mouth 220, So that the surgical site can be train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의 견인구(200)는 한쪽 끝이 견인기 몸체(100)측에 결합되어 수술부위로의 진입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 견인구(210)와, 상기 제1 견인구(210)의 다른 쪽 끝부분에 결합되어 수술부위 측으로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견인구(220)로 나누어지게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ulling tool 200 of the direction-adjustable surgical pul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lling unit 200,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pulling body 100, And a second pulling mouth 22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ulling mouth 210 to adjust the direction and angle to the surgical site.

상기 제1 견인구(210)는 한쪽 끝부분에는 견인기 몸체(100)의 견인구 결합홀(1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되고, 양측에는 작동 와이어(310)가 끼워지며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홀(211a)이 형성된 힌지핀(211)이 구비되고, 제1 견인구(210)의 내부 양측에는 작동 와이어(310)가 동작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와이어 작동홈(110)이 형성된다.The first pulling tool 210 is rotatably fitted in the pulling hole coupling hole 120 of the retractor body 100 at one end thereof and has a wire fixing hole A wire operation groove 110 for providing a spac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wire 3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first pulling mouth 210.

또한, 견인기 몸체(100)와 결합된 다른 쪽 끝부분에는 상기 제2 견인구(220)가 결합되는 제2 견인구 결합홀(212)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econd pulling mouth coupling hole 212 to which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is couple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retractor body 100.

상기 제1 견인구(210)의 힌지핀(211)은 상기 제1 견인구(210)에는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견인구 결합홀(120)과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hinge pin 211 of the first pulling mouth 210 is fixed to the first pulling mouth 210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ulling mouth coupling hole 120 of the pulling body 100 Respectively.

상기 힌지핀(211)의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홀(211a)에는 2개 한 쌍의 작동 와이어(310)가 결합되어 양측에서 작동 와이어(310)로 당겨주는 힘에 의해 제2 견인구(220)가 회동 된다.A pair of operating wires 310 are coupled to the wire fixing holes 211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11 so that the second pulling tool 220 is pulled by the force pulling the operating wires 310 from both sides. .

이때, 제1 견인구(210)는 작동 와이어(310)가 양측에서 동시에 당겨주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술 중 과도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된 각도로 계속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pulling tool 210 is fixed in a form in which the operating wire 310 is simultaneously pulled from both sides,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at a fixed angle even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during the operation.

상기 제1 견인구(210)에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구 조작부(300)가 더 구비된다.The first pulling tool 2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ulling mouth manipulation part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견인구(22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 견인구(210)에 구비된 제2 견인구 결합홀(212)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결합된다. One end of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is rotatably fitted and coupled to a second pulling mouth coupling hole 212 provided in the first pulling mouth 210.

이때, 상기 제2 견인구(220)에는 고정 구비되고, 상기 제2 견인구 결합홀(212)에는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핀(221)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hinge pin 221 fixed to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and rotatably fitted in the second pulling mouth coupling hole 212 is provided.

상기 힌지핀(221)의 양측에는 작동 와이어(310)가 끼워지며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홀(221a)이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21, a wire fixing hole 221a is formed in which the operating wire 310 is fitted and coupled.

이로 인해 상기 제1 견인구(210)에서 견인기 몸체(100)와 결합된 다른 쪽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는 제2 견인구(220)의 각도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second pulling tool 220, which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pulling tool 210 coupled to the retractor body 100, can be freely adjusted.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tra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를 수술 부위로 진입시키기 위해 일직선상으로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gular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pull-off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igned in a straight line to enter a surgical site.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는 수술 부위에 진입될 때 제1 견인구(210), 제2 견인구(220), 견인기 몸체(100), 손잡이(400)가 일직선상을 이루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술 부위로 진입된다. Referring to FIG. 7A, an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ulling mouth 210, a second pulling mouth 220, a retractor body 100 ), And the handle 400 is fixed in a straight line to enter the surgical site.

이때, 제1 견인구(210)와 견인기 몸체(100)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된 와이어 작동부(320)의 헤드부(321) 하부에 형성된 고정키(321a)와 고정홈(140)이 서로 끼워지며 작동 와이어(310)를 고정 지지하여, 한 쌍의 작동 와이어(310)가 양쪽에서 제1 견인구(210)의 힌지핀(211) 및 제2 견인구(220)의 힌지핀(221)을 회전되지 않도록 당긴 상태로 지지하여, 수술부위로 진입되는 동안 움직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일직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진입된다. At this time, the fixed key 321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21 of the wire operation portion 320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first pulling mouth 210 and the retractor body 100 and the fixing groove 140 are sandwiched And the operating wire 310 is fixedly supported so that the pair of operating wires 310 are connected to both the hinge pin 211 of the first pulling mouth 210 and the hinge pin 221 of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So that it does not move while entering the surgical site, and enters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a straight line as a whole.

이로 인해 협소한 수술 부위나 비만인 환자의 수술부위까지 다른 장기나 연부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을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first pulling tool 210 and the second pulling tool 22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of a narrow surgical site or an obese patient without damaging other organs or soft tissues.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가 견인하고자 하는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에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angle and direction of a multi-stage pulling mouth is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an angle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pul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hes a surgical site to be pulled.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술을 위한 절개부에서 수술이 필요한 위치까지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를 이동시킨 후 수술부위를 견인하기 위해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7B, after moving the first pulling tool 210 and the second pulling tool 220 from the incision for surgery to a position where surgery is required, the first pulling tool 210 and the second pulling tool 220 are adjusted.

이때, 와이어 작동부(320)의 헤드부(321)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려 회전시키면 견인구 조작부(300) 측에 결합된 작동 와이어(310)가 회전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견인구(210)의 힌지핀(211)과 제2 견인구(220)의 힌지핀(221)이 작동 와이어(31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른 쪽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310)를 당겨주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ead portion 321 of the wire operation portion 320 is held and rotated by the hand, the operating wire 310 coupled to the pulling mouth manipulation portion 300 is pulled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hinge pin 211 of the first pulling tool 210 and the hinge pin 221 of the second pulling tool 220 are rotated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wire 310 to pull the operating wire 310 provided on the other side.

와이어 작동부(320) 조작에 의해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가 원하는 각도에 도달했을 때 와이어 작동부(320)의 헤드부(321)를 놓게 되면 복원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키(321a)가 고정홈(140)에 끼워지면서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의 조절이 완료된다. When the head portion 321 of the wire operation portion 320 is released when the first pulling mouth 210 and the second pulling mouth reach a desired angle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operation portion 320, The adjustment of the first pulling tool 210 and the second pulling tool 220 is completed by fixing the fixed key 321a to the fixing groove 140. [

이로 인해 제1 견인구(210)와 제2 견인구(220)가 수술부위 측으로 꺾어진 상태에서 수술부위를 지지하여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pulling mouth 210 and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can be easily pulled by supporting the surgical sit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ulling mouth 220 is bent toward the surgical site.

100 : 견인기 몸체 110 : 와이어 작동홈
120 : 견인구 결합홀 130 : 조작부 결합홀
140 : 고정홈 150 : 캡 결합홈
151 : 볼트 결합홀 160 : 캡
161 : 볼트홀 170 : 스프링 설치부
200 : 견인구 210 : 제1 견인구
211 : 힌지핀 211a : 와이어 고정홀
212 : 제2 견인구 결합홀 220 : 제2 견인구
221 : 힌지핀 221a : 와이어 고정홀
300 : 견인구 조작부 310 : 작동 와이어
311 : 와이어부 312 : 고정부재
320 : 와이어 작동부 321 : 헤드부
321a : 고정키 322 : 작동축
322a : 와이어 고정홀 330 : 복원 스프링
340 : 지지부재 400 : 손잡이
100: Retractor body 110: Wire operating groove
120: pull hole fitting hole 130: operating part fitting hole
140: fixing groove 150: cap coupling groove
151: bolt coupling hole 160: cap
161: bolt hole 170: spring mounting portion
200: pulling port 210: first pulling port
211: Hinge pin 211a: Wire fixing hole
212: second pull hole fitting hole 220: second pull hole
221: Hinge pin 221a: Wire fixing hole
300: pulling base operating section 310: operating wire
311: wire portion 312: fixing member
320: wire operating part 321: head part
321a: fixed key 322: operating axis
322a: wire fixing hole 330: restoring spring
340: support member 400: handle

Claims (13)

견인기 몸체(100);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수술 부위를 견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한쪽 끝부분에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구(200); 및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구(200)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견인구 조작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구(200)는 다수의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분할된 견인구들은 개별적으로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A retractor body (100);
A retractor 200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for retracting the surgical site, the retractor 200 being adjus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tractor body 100 in an angle and direction; And
A pull tab operating part 3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tractor body 100 to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 tab 200; / RTI >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ing tool (200) comprises a plurality of divided structures, the divided pulling tools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in angle and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20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힌지핀(211)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핀(211)을 축으로 각도 및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 tab 200 is connected to a hinge pin 211 inser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ractor body 100 so tha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hinge pin 211 ar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axis. And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핀(211)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핀(211)을 회전시키는 작동 와이어(310); 및
상기 작동 와이어(310)의 다른 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310)를 당겨 주거나 놓아주는 와이어 작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pull tab manipulation unit 300 includes an actuating wire 310 disposed at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ractor body 100 and connected to the hinge pin 211 at one end thereof to rotate the hinge pin 211; And
And a wire operation part (32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310) to pull or release the operation wire (3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작동부(32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폭 방향 한쪽 측면에 놓이는 다이얼 형태의 헤드부(321)와, 상기 헤드부(321)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작동축(3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와이어(310)는 양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핀(211)과 작동축(322)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 operation part 320 includes a dial-shaped head part 321 placed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tractor body 100 and a wire-shaped head part 3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part 321, And an operation shaft (322) inserted into the hinge pin (211) so as to penetrate the hinge pin (211) and the operation shaft (322). The operation wire (310) Surgical Retrac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310)는 2개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힌지핀(211)과 작동축(322)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211)과 작동축(322)의 양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 와이어(310)가 끼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홀(211a)(322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wires 310 are fix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inge pin 211 and the actuating shaft 322 and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pin 211 and the actuating shaft 322, Wherein a wire fixing hole (211a) (322a) into which a pair of operating wires (310) are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respective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는 상기 견인구(200)가 각도 및 방향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견인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견인구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pulling mouth manipulation unit 300 further includes a pulling mouth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ulling mouth 200 so that the pulling mouth 200 is not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mouth 200 is completely adjusted in angle and direction. Direction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키(321a)와 상기 헤드부(321)가 위치하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측면에 상기 고정키(321a)와 대응되는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고정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키(321a)가 상기 고정홈(140)에 끼워지거나 또는 끼움 해제되면서 상기 견인구(200)의 각도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하거나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pulling hole fix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keys 321a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keys 321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ulling body 100 on which the head portion 321 is located. The fixed key 321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xed key 321a so that the fixed key 321a is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fixed groove 140, And the direction is adjustable or fix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 내부에서 상기 작동축(322)의 하부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작동부(320)가 항상 아래쪽을 향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 스프링(3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축(322)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원 스프링(330)의 하면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pulling mouth manipulating part 300 includes a restoring spring 330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retractor body 100 so as to surroun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actuating shaft 322 and gives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wire actuating part 320 always faces downward, , And a support member (340) for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restoration spring (33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operation shaft (32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수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a handle (400) gripped by an operator's hand is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etractor body (1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310)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 내부에 내장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바깥쪽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견인기 몸체(100)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와이어(310)가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캡(1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wire 3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tractor body 100 or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tractor body 10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tractor body 100 Further comprising a cap (160) for preventing the operation wire (310) from being expos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310)는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의 조작에 따른 움직임을 상기 힌지핀(211) 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인 와이어부(311)와, 상기 와이어부(311)의 양쪽 끝에 구비되고 한쪽 끝부분은 견인구(200)의 와이어 고정홀(211a)에 끼워지고 다른 쪽 끝부분은 견인구 조작부(300)의 와이어 고정홀(322a)에 끼워져 상기 와이어부(311)를 지지하는 고정부재(3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operation wire 310 includes a wire portion 311 which is a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of the pulling mouth manipulation portion 300 to the hinge pin 211 side and a wire portion 31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wire portion 311,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hole 322a of the pulling-out operating unit 300 and is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312). ≪ / RTI >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 조작부(300)는 상기 분할된 견인구들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다수개로 구비되되, 각 견인구 조작부(300)는 각도 및 방향 조절하고자 하는 견인구의 바로 뒤쪽에 위치한 견인구에 설치되어 바로 앞쪽에 위치한 견인구의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및 방향 조절 가능한 수술용 견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ull tab operating portions 300 is provided in a pull tab located immediately behind the pull tab to be angularly and directionally adjusted, Wherein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pulling ball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re adjusted.
KR1020160147926A 2016-11-08 2016-11-08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KR101871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26A KR101871421B1 (en) 2016-11-08 2016-11-08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26A KR101871421B1 (en) 2016-11-08 2016-11-08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71A KR20180051071A (en) 2018-05-16
KR101871421B1 true KR101871421B1 (en) 2018-06-26

Family

ID=6245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926A KR101871421B1 (en) 2016-11-08 2016-11-08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291B (en) * 2020-08-12 2021-07-30 南京市第一医院 Drag hook mechanism and abdominal drag hook device for cesarean s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5196A1 (en) * 2003-05-09 2004-11-11 Ruane Bernard Joseph Expandable and pivot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KR101298059B1 (en) * 2013-02-04 2013-08-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Muscle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896A (en) * 1996-04-26 1999-09-07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Heart stabiliz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KR101218123B1 (en) * 2010-11-12 2013-01-03 주식회사 위노바 Retractor for Surg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5196A1 (en) * 2003-05-09 2004-11-11 Ruane Bernard Joseph Expandable and pivot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KR101298059B1 (en) * 2013-02-04 2013-08-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Muscle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071A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649A (en)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JP2504936B2 (en) Medical forceps
DE69737192T2 (en) Fingertip-mounted instrumen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4727666B2 (en) Vertebral staples and insertion tools
US5964698A (en) Sliding hook assembly for use with a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US7141015B2 (en) Expandable and pivotally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JP5039026B2 (en) Forceps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9745086B (en) Minimally invasive surgery tool with tail end steering mechanism
BR102015026750B1 (en) ANCHOR INSERTION TOOL
JP20045048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vertebrae
BR102016016206B1 (en) MEDICAL INSTRUMENT
US20070161866A1 (en) Deep tissue blade for use with retractor systems
KR101871421B1 (en) Angle and direction settable surgical retractor
JP6445711B2 (en) Detachable actuator arm for extension device
US20030225422A1 (en) Device for holding trocar sleeves
KR100956761B1 (en) Flexible surgical instrument
US20210228196A1 (en) Nerve retractor tool
US9974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sheath onto the distal end of a surgical shaft instrument
US9700377B2 (en) Surgical robot for changing position of surgical equipment
JP5221447B2 (en) Exclusion device
CN109172009B (en) Medical instrument for oral examination with better medical experience for patients
JP6474140B2 (en) Retractor fixing device
WO2010085573A1 (en) Burr hole drill alignment guide
CN113017726B (en) Incision distraction device in cavity mirror thyroidectomy
CN218356555U (en) Otology file with adjustable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