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58B1 -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58B1
KR101870758B1 KR1020160132875A KR20160132875A KR101870758B1 KR 101870758 B1 KR101870758 B1 KR 101870758B1 KR 1020160132875 A KR1020160132875 A KR 1020160132875A KR 20160132875 A KR20160132875 A KR 20160132875A KR 101870758 B1 KR101870758 B1 KR 10187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io
channel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932A (ko
Inventor
황정진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로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로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3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으로 유입되는 생체신호의 방위를 식별하며, 간섭을 일으키는 타 생체신호를 식별 및 억제하여 원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1)에 상호 이격 접촉시키는 3개 이상의 복수 전극(11)으로 구성되는 전극 군(10); 생체신호를 발원하는 생체신호원(2)으로부터 각 전극(11)까지의 경로 차이에 의해 채널 간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검출부(20);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생체신호원(2)의 방위에 따라 분포의 차이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방위별로 제공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하여 생체신호를 발원지에 따라 식별하는 식별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BIO-SIGNAL DETECTION APPARATUS FOR BIO-SIGNAL INTERFERENCE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전극으로 유입되는 생체신호의 방위를 식별하며, 간섭을 일으키는 타 생체신호를 식별 및 억제하여 원하는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신호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맥박, 혈압 및 신체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생체신호는 2개 전극을 접촉시킨 후 전극으로 감지되는 전위 신호를 차동 연산처리하여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전극을 통해 유입되는 동상 잡음을 차동 연산에 의해 억제하여 미약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전극을 통해 유입되는 신호는 검출하려는 특정 생체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생체신호도 유입되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섭을 일으키는 다른 생체신호는 2개 전극에서 동상 신호로 감지되지 아니하므로 차동 연산에 의해 억제되지 아니하고 잔류하게 된다.
이런 생체신호 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400316호에 따르면, 무잡음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웨이블렛으로 학습한 상태에서 간섭신호가 포함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으면 웨이블렛 변환 및 웨이블렛 축소를 통해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그렇지만, 등록특허 제10-1400316호에서 채용한 방식은 다양한 파형으로 나타나는 생체신호를 학습시켜야 하므로, 학습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렵고, 학습한 파형의 생체신호만 얻을 수 있는 한계도 있으며, 얻은 생체신호도 왜곡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 한계 및 왜곡 문제는 전극을 통해 감지한 신호에서 원하는 생체신호만 추출하는 방식을 채용하였기에 발생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실제로, 각각의 생체신호는 사람의 건강 상태에 따라 파형 변화가 있고, 사람 또는 환경 요인에 따라서도 파형 변화가 있어서, 파형 학습으로 생체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학습을 충분히 시켜야만 하고, 그렇더라도,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렵다.
KR 10-1400316 B1 2014.05.21.
따라서, 본 발명은 검출을 위해 생체에 접촉시킨 전극을 통해 다양한 생체신호가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생체신호를 식별하고, 간섭신호로 작용하는 생체신호를 억제한 생체신호를 얻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생체(1)에 상호 이격 접촉시키는 3개 이상의 복수 전극(11)으로 구성되는 전극 군(10); 생체신호를 발원하는 생체신호원(2)으로부터 각 전극(11)까지의 경로 차이에 의해 채널 간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검출부(20);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생체신호원(2)의 방위에 따라 분포의 차이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방위별로 제공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하여 생체신호를 발원지에 따라 식별하는 식별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생체신호원(2)의 전기적 모델을 각 방위에 배치할 시에 각 전극에 나타나는 전위 신호에 따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적 모델은 전기 쌍극자 또는 전기 다극자 모델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각 방위에 대해 전기적 모델을 회전시켜가며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 제공하고, 상기 식별부(40)는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부(40)는 각 방위를 스캔하며 매 스캔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생성 요청한 후 제공받아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탐색하고,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상기 식별부(40)와 연계되어 요청받는 방위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생체신호원(2) 또는 생체신호원(2)의 전기적 모델과 상기 전극 군(1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바꿔가며 측정 또는 산정한 다채널 생체신호를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저장하여 두어, 저장된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부(40)는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추정한 이후 추정한 발원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 및 제공받아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 중에 상관도에 따라 발원지를 정밀하게 재차 추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부(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받는 방위를 초기 추정 발원지로 한 후, 초기 추정 발원지를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를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 및 제공받아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 중에 상관도에 따라 발원지를 정밀하게 추정한다.
상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각 채널 생체신호는 소정 시간동안의 평균 에너지, 평균 파워 또는 평균 전압 중의 어느 한 형식의 신호로 하고, 상기 식별부(40)는 상기 검출부(20)에서 획득되는 다채널 생체신호로부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형식에 맞는 신호를 획득한 후 획득한 신호에 따라 식별을 위한 신호처리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부(40)는 다채널 생체신호와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사이의 상관도를 주파수 밴드별로 산정하여, 전극(11)으로 유입된 생체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식별한다.
상기 검출부(20)의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의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정규화한 후 상관도를 산정하여 미리 정한 선별 기준 이상의 상관도가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부(40)에서 식별된 생체신호 중에 간섭신호를 판별하는 간섭 판별부(60); 및 상기 검출부(20)에서 획득한 다채널 생체신호에 대해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간섭 억제부(70); 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간섭 판별부(60)는 미리 지정된 목표 발원지 이외의 신호 발원지에 의한 생체신호를 간섭신호로 판별하고,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간섭신호를 억제하여 목표 발원지의 생체신호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목표 발원지에 대응되는 목표 생체신호의 파워와 판별한 간섭신호 파워의 상대적 비율을 방위별 상관도 및 전극(11)의 배치상태에 근거하여 채널별로 산정한 후, 상기 검출부(20)의 각 채널 생체신호를 (목표 생체 내 신호 파워)/(목표 생체 내 신호 파워+간섭신호 파워)의 비율로 크기 조절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간섭신호가 감지된 신호 구간을 스킵(skip)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생체신호의 전파 경로의 차이에 따라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의 분포에 따라 생체신호의 방위(방향 또는 위치)를 식별하므로, 단일 채널 생체신호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구분되도록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을 통해 유입된 생체신호를 발원지별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발생 위치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쌍극자 또는 전기 다극자 모델을 예로 들 수 있는 전기적 모델을 이용하여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음으로써, 잡음이 없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간섭을 일으키는 생체신호를 억제하므로, 생체신호 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생체신호 사이의 간섭에 대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생체신호원의 예로서,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의 전기적 모델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전기적 모델에 의해 나타나는 전극(11)의 전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발원지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식별부(40)에서 이루어지는 상관 분석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1차적으로 추정한 발원지를 세분화하여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2차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파워에 근거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구성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는 3개 이상의 복수 전극(11)으로 구성되어 각 전극(11)에서 생체(1)에 접촉된 부위의 전위 신호를 감지하게 한 전극 군(10)과, 각 전극(11)이 상호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생체신호를 발원하는 생체신호원(2)으로부터 각 전극(11)까지의 경로 차이에 의해 각 채널(ch-1, ch-2, ch-3, ... , ch-n) 생체신호간에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검출부(20)와,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생체신호원의 방위에 따라 차이 나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방위별로 식별부(40)에 제공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와, 대조 신호 제공부(30)로부터 제공받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검출부(20)에 의해 획득한 다채널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추정하여 생체신호를 발원지에 따라 식별하는 식별부(40)와, 입력 또는 식별결과 출력을 위해 마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등의 신호나 또는 호흡, 신체 움직임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예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는 신체 내 신호원(2)에서 발생한다. 물론, 신체 내 신호원(2)은 그 신호의 종류에 달라지며, 예를 들어 뇌전도의 경우에 뇌이고, 안전도의 경우에 안구이고, 근전도의 경우에 근육이 된다.
상기 전극 군(10)의 복수 전극(11)은 생체(1)에 상호 이격시켜 서로 다른 부위에 접촉되게 할 전극으로서, 생체신호를 발원한 생체신호원(2)으로부터 각 전극(11)까지 생체신호의 전파 경로가 차이게 하며, 이에, 각 전극(11)에서 감지되는 생체 전위는 편차가 있게 된다. 여기서의 편차는 예를 들면 파워 차이 또는 위상 차이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전극(11)은 가능하면 배치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아니할 경우에는, 전극을 통해 유입되는 생체신호를 식별할 시의 배치를 상기 기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적용한 배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배치를 일치시킨다는 의미는 전극 군(10) 내의 배치를 일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검출부(20)는 각 전극(11)까지의 생체신호 전파 경로 차이에 의해 채널 간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검출부(20)는 예를 들어 각 전극(11)에서 감지된 전위 신호를 각 채널 생체신호로 하는 단극법, 복수 전극 중에 2개 전극(11)을 취하여 얻는 각 전극조합별로 각각 전위 신호 간의 차이를 채널 생체신호로 얻는 쌍극법, 쌍극법을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한 전극을 공통 전극으로 하여 전극조합을 선택하는 쌍극법, 및 3개 이상의 전극(11)을 취하여 얻는 각 전극조합별로 채널 생체신호를 얻는 다극법 중에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채널 생체신호의 각 채널 생체신호를 동시에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쌍극법 또는 다극법을 사용하는 경우의 전극조합의 개수는 취할 수 있는 조합(combination)의 총수 이하로 될 것이며, 조합 총수 이하의 범위 내에서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2는 생체신호 사이의 간섭에 대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생체신호원(2)의 예로서, 안전도(EOG, electrooculogram)의 전기적 모델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생체신호원(2)의 전기적 모델에 의해 나타나는 전극(11)의 전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생체신호의 발원지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예를 들어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뇌전도(EEG, 뇌파)를 검출할 시에 근전도(EMG), 안전도(EOG), 심전도(ECG) 등의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도 유입되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간섭 생체신호는 차동 연산하여 억제할 수 있는 동상 잡음 신호가 아니므로, 검출부(20)에서 차동 연산하더라도 억제되지 아니하고 잔류하여 유입되며, 결국, 뇌전도를 얻는 데 간섭을 일으킨다. 마찬가지로, 안전도(EOG)를 검출할 시에도 뇌전도 등의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가 차동 연산에 의해 억제되지 아니하고 유입되어 간섭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생체신호원(2)에 의한 생체신호 사이의 간섭이 있는 경우,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생체신호원(2)의 방위에 따라 달라지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하거나 또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를 구비하여, 유입된 생체신호원의 방위(방향 또는 위치)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간섭에 따른 검출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신호원(2)을 전기적 모델로 모델링하여 전극(11)을 통해 얻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계산에 의해 산정한다.
이때의 전기적 모델은 2개의 전하(양전하와 음전하)로 이루어지는 전기 쌍극자 또는 3개 이상의 전하로 이루어지는 전기 다극자를 예로 들 수 있으며, 편의상 전기 쌍극자로 모델링한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생체신호의 예로서 안전도를 살펴보면, 안전도의 신호원인 안구를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구 운동을 하는 경우에 어느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에 대략 10~30mV의 전위차 신호가 발생하므로, 30mV 전위차로 가정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도의 신호원은 +15mV 전위를 갖는 양극 전하와 -15mV 전위를 갖는 음극 전하를 갖는 전기적 쌍극자 모델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에, 안전도를 직접 검출하지 아니하더라도, 쌍극자 모델로 모델링한 신호원에서 발생하여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 신호는 쌍극자 모델과 전극 간의 상대 위치를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c) 및 도 3(d)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전극(11)을 통해 안전도를 검출하면, 안구의 순간적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신호가 매순간 달라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전극(11)을 통해 다채널 생체신호를 동시 획득하여 분포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상관 관계를 이용하게 되므로, 매 순간 크기의 변동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적 모델을 이용하여 얻을 상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각 채널별 생체신호는 미리 정한 소정 시간동안의 평균 에너지, 평균 파워 또는 평균 전압 중의 어느 한 형식의 신호로 얻는 것이 좋다. 여기서, 쌍극자 모델의 양측 전하를 고정된 일정한 값으로 하면, 에너지, 평균 파워 및 평균 전압은 각각 일정한 값으로 산정될 것이다.
쌍극자 모델을 이용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산정과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쌍극자 모델에 의해 각 전극(11)에 유도되는 전위의 산출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하자면, 먼저, 양전하와의 거리(RP)와 음전하와의 거리(RM)를 계산하여야 한다.
전극(11)과 양전하 사이의 거리(RP) 및 전극(11)과 음전하 사이의 거리(RM)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상에 원점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양 전하와 음전하를 배치한 3차원 공간 상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여 수학적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99340893-pat00001
여기서, R은 원점에서 전극(11)까지의 거리이고, D는 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의 거리이고, θ는 원점과 전극(11)을 잇는 선이 xy 좌표평면과 이루는 각도이고, φ는 원점과 전극(11)을 잇는 선을 xy 좌표평면에 투영한 선이 x축과 이루는 각도이다.
다음으로, 전극(11)에 유도되는 전위는 양전하에 의한 전위와 음전하에 의한 전위의 합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음의 수학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99340893-pat00002
여기서, q는 상호 동일한 크기를 갖는 양전하 및 음전하의 절대치이고, (-)부호는 음전하의 부호를 나타내며, ε은 생체(1)의 유전율이다.
한편, 다양한 생체신호원(2) 중에서는 전기 쌍극자 1개로 모델링하는 것보다 2개보다 많은 복수 전하를 갖는 전기 다극자로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각 전하에 의해 전극에 유도되는 전위를 합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산정되는 각 전극(11)의 전위를 상기 검출부(20)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미리 지정된 서로 다른 방위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방위별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위별 표준 생체신호 생성 제공방식, 식별부(40)와 연계 동작하여 식별부(40)에서 요청하는 방위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 제공하는 실시간 생성 제공방식, 미리 지정된 서로 다른 방위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사전에 준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둔 후 식별부(4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 제공방식, 및 생체신호를 검출하기에 앞서 생체(1)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얻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제공하는 사전 측정 제공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동작하게 구성되거나 아니면 둘 이상의 방식을 병행하여 동작하게 구성된다.
방위별 표준 생체신호 생성 제공방식은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3차원 공간 좌표계에서 서로 다른 방위를 미리 설정하여 둔 상태이거나 또는 식별부(40)에서 요청받는 상황에서, 각 방위에 전기적 모델을 배치하였을 시에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각 전극에서 감지되는 전위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부(20)에서 얻게 될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산정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5는 미리 지정한 복수의 방위(a)를 평면상으로 펼쳐보여준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공간(A)을 방향 또는 위치가 다른 서로 다른 방위(a)로 구획한 후, 방위(a)에 생체신호원의 전기적 모델을 두었을 시에 얻게 될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각 방위(a) 별로 산정하고, 산정한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식별부(40)에 전달한다. 여기서 산정하여 제공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의 평균 에너지, 평균 파워 또는 평균 전압 중의 어느 한 형식으로 한다.
한편,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동일 방위에 배치한 생체신호원의 전기적 모델이라 하더라도 그 전기적 모델의 놓인 방향에 따라 전극(11)의 전위는 차이 나게 된다. 전기 쌍극자로 모델링한 경우의 예를 들면, 양극 전하와 음극 전하가 놓인 선의 방향에 따라 전극(11)의 전위가 달라진다. 즉, 쌍극자 모멘트에 따라 전극(11)의 전위가 달라진다.
도 4에 도시한 3차원 공간 상의 쌍극자 모델 및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쌍극자 모델(즉, 생체신호원)에 의해 전극으로 유도되는 전위 신호는 양극 전하와의 거리 RP와 음극 전하와의 거리 RM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RP=RM 이면 전극 전위는 쌍극자 모델과의 거리차에 무관하게 영전위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yz 평면(x=0인 평면)은 영전위가 된다. 다른 예를 들면, 쌍극자 모델과의 거리차가 동일한 조건에서 양극 전하와 음극 전하가 놓인 선상에 전극이 있는 경우 가장 큰 전위를 나타낸다.
이에, 각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할 시에는 각 방위에서 전기적 모델을 회전시켜가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산정하여서, 각 방위별로 서로 다른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는다.
그런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전기적 모델의 방위별 및 전기적 모델의 회전 방향별로 생성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고, 방위 및 회전 방향의 간격을 좁게 하는 만큼 필요한 계산량이 급증하게 된다.
이에, 식별부(40)에서 요구하는 방위 및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 및 제공하는 실시간 생성 제공방식을 병행하여서, 식별부(40)에서 생체신호원(2)의 방위를 정밀하게 추적하게 하는 것이 좋다.
실시간 생성 제공방식은 식별부(40)에서 방위 및 회전 방향을 지정하면서 요청할 시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서, 방위별 표준 생체신호 생성 제공방식에 비해 계산량을 줄이면서 생체신호원의 방위를 정밀 추정하는 데 유용하다.
데이터베이스 기반 제공방식은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사전에 준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이후, 생체신호를 검출할 시에 식별부(40)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원의 전기적 모델과 전극 군(10)의 상대적 위치를 바꿔가며 산정한 것이거나, 또는 생체신호원(2)과 전극 군(1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바꿔가며 측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물론, 전기적 모델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적 모델의 회전 방향별로도 측정하여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로 구분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생체신호원(2)에 의한 다채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전극 군(10)의 위치를 바꿔가며 측정하여 방위별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극 군(10)을 회전시켜가며 다채널 생체신호를 측정하여서 회전 방향별 다채널 생체신호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데이터베이스화 기반 제공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많은 데이터 저장공간을 필요하게 되므로, 실시간 생성 제공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초기에는 간격을 상대적으로 크게 정한 방위 및 회전 방향별로 산정 또는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추정된 방위를 세분화한 방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 제공하는 것이 좋다.
사전 측정 제공방식은 전극 군(10)을 생체(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먼저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 생체신호를 검출할 시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생체신호 중에서는 근사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생체신호가 있다. 예를 들어, 팔, 다리, 허리, 머리 등에 대한 생체(1) 움직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별도의 안내신호를 출력하여 유도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생체신호의 방위는 근사적으로 특정할 수 있고, 그 순간 획득하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체(1)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생체(1)에 움직임을 유도하는 순간에 검출부(20)를 통해 획득되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후, 생체신호의 검출동작 중에 식별부(40)에 제공하여 생체(1)의 움직임에 따른 생체신호를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는 간섭신호로 지정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할 시의 간섭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회전 방향별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지 아니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식별부(40)와 연계 동작하여 다음과 같이 생체신호를 식별하게 한다.
상기 식별부(40)는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되는 다채널 생체신호 간의 상관도를 산정하는 상관 분석부(41)와, 상관도에 따라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추정하는 방위 추정부(42)를 구비한다.
상기 상관 분석부(41)는 전극 군(10)의 각 전극(11)을 생체(1)에 접촉시켜 검출부(20)로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을 시에, 미리 설정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형식(평균 에너지, 평균 파워 및 평균 전압 중에 어느 한 형식)에 맞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검출부(20)의 다채널 생체신호로부터 획득하고,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하여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받으며, 다음으로, 표준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기 생체신호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선별한다.
여기서 상관도는 상기 검출부(20)의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의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파워 정규화한 후 산정한다. 즉, 동일 생체신호원에 의한 다채널 생체신호라 하더라도 생체신호원이 놓인 방위별 또는 회전 방향별로 파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전극 군(10)과 생체신호원(2) 간의 거리차 및 생체신호원(2)의 발원지에서의 생체신체 파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미리 정한 선별 기준 이상의 상관도가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선별하여서, 잡음에 의한 영향을 줄인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는 회전 방향별로 구분되게 세분화되어 있는 경우,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로 구분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한다.
도 6은 상관 분석의 구체적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공간좌표 상의 분포도로 도시한 그래프로 그려져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출부(20)를 통해 얻는 도 6(a)의 분포도를 갖는 다채널 생체신호에서, 도 6(b)의 분포도를 갖는 어느 한 방위의 어느 한 회전 방향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차감하여, 도 6(c)에 도시한 분포도를 갖는 상관 분석결과를 얻는다. 여기서, 도 6(c)에 도시한 분포도는 차감하고 난 후 잔여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가 작을수록 상관도가 크다.
이러한 상관도를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에 대해 각각 산정한다.
그리고, 잔여 성분의 크기에 따라 상관성이 있고 없음을 정하는 선별 기준을 미리 정하여 둠으로써, 그 선별 기준을 만족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선별한다.
상기 방위 추정부(42)는 선별한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한다. 이에, 생체신호를 발원지에 따라 구분 식별한다.
물론, 실제 생체신호원의 방위(위치 또는 방향)가 선별 기준을 충족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아니하여, 상호 인접한 복수의 표준 신호 발원지를 선별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상관도의 크기에 따라 인접 영역의 한 지점을 발원지로 추정하여도 좋다.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식별부(40)는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방위를 순차적으로 바꾸는 스캔 방식으로 동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40)는 순차적으로 바꾸는 매 스캔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생성 요청한 후 제공받아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탐색한다.
이때,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실시간 생성 제공방식을 채용하게 구성되어서, 요청받는 방위 또는 회전 방향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 제공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식별부(40)는 생체신호의 발원지가 있는 영역을 점차 좁혀가며 탐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1차적으로 추정한 발원지를 세분화하여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2차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2개의 방위를 각각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한 이후, 각 방위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함을 보여준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40)는 미리 지정된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받거나 또는 스캔 방식에 따라 요청한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받아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추정한 이후, 추정한 발원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한다. 물론, 요청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는 해당 방위에서의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식별부(40)는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와의 상관도에 따라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더욱 좁은 영역으로 추정한다.
이때, 상기 식별부(40)는 2차적으로 탐색할 초기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를 스캔 방식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물론, 2차적으로 범위를 좁혀 재 추정한 발원지를 또다시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여 더욱 정확한 발원지를 탐색하는 것도 좋다.
다른 방식으로서, 상기 식별부(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초기 추정 발원지를 선택받게 하고, 초기 추정 발원지를 중심으로 한 소정 범위를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여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방위별 또는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요청 및 제공받아 정밀 추정하게 구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생체신호에 대해서는 그 발원지가 알려져 있으므로, 전극 군(10)을 생체(1)에 접촉시켜 생체신호를 측정할 시에는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대략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 영역 이외는 제외하고 지정 영역에서만 정확한 발원지를 추정하게 함으로써, 발원지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계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물론, 지정 영역은 복수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 중에 어느 방식으로 상기 식별부(40)를 구성하여도 좋지만, 상대적으로 계산량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탐색 범위를 점차 좁혀가며 스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생체신호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 주파수 성분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식별부(40)는 주파수 성분별로 생체신호를 식별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식별부(40)는 검출부(20)를 통해 얻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밴드별로 나누어 주파수 밴드별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한 이후, 다채널 생체신호와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사이의 상관도를 주파수 밴드별로 산정하여서, 전극(11)으로 유입된 생체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식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면, 간섭 판별부(60)와 간섭 억제부(7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간섭신호 억제를 위한 목표 발원지의 지정, 간섭신호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또는 간섭신호원의 방위를 지정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먼저, 검출하려는 생체신호의 발원지인 목표 발원지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또는 방위 중에 간섭신호에 대응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를 검출하기에 앞서서, 팔, 다리, 허리, 머리 등에 대한 생체 움직임을 별도의 안내신호를 출력하여 유도할 시에 얻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또는 그 방위를 간섭신호에 대응시키는 것이다.
상기 간섭 판별부(60)는 상기 식별부(40)에 의해 식별된 생체신호 중에 간섭신호를 판별한다.
간섭신호 판별 방식은 검출한 생체신호의 발원지인 목표 발원지가 미리 지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선택받는 경우 상기 신호 식별부(40)에서 식별된 생체신호 중에 목표 발원지 이외의 신호 발원지에서 발원된 생체신호를 간섭신호로 판별하는 제1 방식, 주파수 밴드별로 신호처리하게 지정되어 있는 경우 간섭신호 판별을 주파수 밴드별로 나눠 수행하는 제2 방식, 및 특정 주파수 대역이 지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선택받는 경우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간섭신호를 판별하는 제3 방식, 중에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억제부(60)는 상기 검출부(20)에서 획득되는 다채널 생체신호에서 간섭신호를 억제한 다채널 생체신호를 얻는다.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방식은 간섭신호로 판별된 신호가 유입된 신호 구간을 '0'의 값으로 조절하여 신호가 없는 구간으로 하거나 삭제하여 그 구간을 건너뛰는 스킵(skip) 방식, 및 검출하려는 목표 생체신호를 키우고 간섭신호는 낮추는 신호 보정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밴드별 신호처리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주파수 밴드별로 당해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스킵 방식이나 아니면 신호 보정 방식을 수행하여서 간섭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억제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지정 또는 선택받는 경우는 해당 주파주 대역에 대해서만 스킵 방식이나 아니면 신호 보정 방식을 수행하여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 억제한다.
상기한 신호 보정 방식은 검출부(20)의 각 채널 생체신호에 대해서, 목표 발원지에 의해 검출되는 목표 생체신호 파워 및 간섭신호원에 의해 검출되는 간섭신호 파워를 산정한 후, 상기 검출부(20)의 다채널 생체신호를 (목표 생체신호 파워)/(목표 생체신호 파워+간섭신호 파워)의 비율로 크기 조절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며 상기한 신호 보정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탐색 방위(A) 중에서 서로 다른 2개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a1, a2)로 1차 추정한 후, 각 발원지(a1, a2)를 세분화하여 정확한 생체신호원(2-1, 2-2)의 발원지를 얻은 상황을 보여준다.
도 10은 채널별 생체신호의 간섭억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식별된 어느 하나의 생체신호원을 목표 생체신호원(2-1)로 하고 다른 하나의 생체신호원을 간섭신호원(2-2)로 지정하였을 시에 쌍극법(2개 전극 신호의 전위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채널 신호를 얻는 방식)으로 얻는 2개 채널 생체신호(ch1, ch2)에 대해 파워 조절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도 10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P1, P1', P2, P2'는 목표 생체신호원(2-1) 및 간섭신호원(2-2)이 각 채널에 대응되는 전극에 영향을 주어 각 채널 생체신호(ch1, ch2)로 검출되는 파워를 의미한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한 상황에서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각 채널(ch1, ch2) 생체신호에 대해 각각 목표 생체신호원(2-1)에 의해 유입된 목표 생체신호 파워 P1, P1'와 간섭신호원(2-2)에 의해 유입된 간섭신호 파워 P2,P2'를 산정한다.
여기서 얻을 각 채널의 목표 생체신호 파워 및 간섭신호 파워는 채널 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전극이 채널별로 상이하여 그 파워도 채널별로 차이 나지만, 하기에서 설명하는 각 채널별 파워 조절비의 산출식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채널에서 차지하는 파워 비율을 얻으면 되며, 이러한 파워 비율의 추정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와 다채널 생체신호를 파워 정규화한 후 상관분석하여 상관도를 얻으므로, 이때 얻은 상관도와 각 생체신호원(2-1, 2-2)의 방위와 복수 전극(11)의 배치 상태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목표 생체신호 파워 및 간섭신호 파워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파워 정규화하여 방위별로 얻는 상관도는 전극 군(10)을 통해 검출되는 방위별 생체신호의 파워에 대응되므로, 검출되는 생체신호에서 방위별 신호가 차지하는 파워 비율은 전체 상관도의 합에서 차지하는 방위별 상관도의 비율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위별 상관도로 얻는 방위별 파워 비율은 생체신호원(2-1, 2-2)과 각 전극(11)의 상대적 위치(예를 들어 거리)에 따라 각 전극(11)에 맞는 파워 비율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에서 각 채널 생체신호 간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다채널 생체신호에서 방위별 생체신호가 차지하는 파워를 각 방위의 상관도에 따라 정한 후 정규화 이전의 값으로 조절하고, 이후, 생체신호원의 위치에 맞게 발원지에서 발원하는 생체신호의 크기로 조절한다. 전기적 모델로 설명하자면 양극 전하와 음극 전하의 크기를 산정한다. 물론, 목표 생체신호와 간섭신호 각각에 대해 산정한다.
그리고, 목표 생체신호의 생체신호원과 간섭신호의 생체신호원 각각에 대하여, 각 전극 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각 전극에 나타나는 전위 신호를 산정함으로써, 채널별로 목표 생체신호의 파워와 간섭신호의 파워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각 채널의 목표 생체신호 파워 및 간섭신호 파워를 각각 상대적 비율로 얻음으로써, 다음과 같이 파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채널별로 파워 조절비 P1/(P1+P2), P1'/(P1'+P2')를 산정하고, 채널별로 산정한 파워 조절비를 해당 채널의 생체신호에 곱셉 신호처리하여 파워 조절된 생체신호를 얻는다.
여기서, 각 채널별로 파워 조절하는 것은 복수 전극(11) 간의 위치 차이에 따라 복수 전극(11)으로 얻는 채널별 생체신호에서 목표 생체신호의 파워 P1와 간섭신호의 파워 P2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그 비율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각 채널의 생체신호에서 간섭신호가 차지하는 파워의 비율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각 채널별로 산정한 파워 조절비를 이용하여 각 채널에 맞게 간섭신호를 억제함으로써, 간섭신호가 있는 신호 구간에서도 채널별 목표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얻는 다채널 생체신호는 다채널 생체신호의 검출이 필요한 뇌파 검출에 이용하거나, 아니면 각 채널의 생체신호 중에 신호 크기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생체 2 : 생체신호원
10 : 전극 군 11 : 전극
20 : 검출부
30 : 대조 신호 제공부
40 : 식별부 41 : 상관 분석부 42 : 방위 추정부
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60 : 간섭 판별부
70 : 간섭 억제부

Claims (15)

  1. 생체(1)에 상호 이격 접촉시키는 3개 이상의 복수 전극(11)으로 구성되는 전극 군(10);
    생체신호를 발원하는 생체신호원(2)으로부터 각 전극(11)까지의 경로 차이에 의해 채널 간 편차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검출부(20);
    전극 군(10)을 기준으로 한 생체신호원(2)의 방위에 따라 분포의 차이가 있는 다채널 생체신호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방위별로 제공하는 대조 신호 제공부(30);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서 제공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하여 생체신호를 발원지에 따라 식별하는 식별부(40);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생체신호원(2)의 전기적 모델을 각 방위에 배치할 시에 각 전극에 나타나는 전위 신호에 따라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 공급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모델은 전기 쌍극자 또는 전기 다극자 모델로 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각 방위에 대해 전기적 모델을 회전시켜가며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생성 제공하고,
    상기 식별부(40)는 방위별 및 회전 방향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중에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40)는 각 방위를 스캔하며 매 스캔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생성 요청한 후 제공받아 상관도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탐색하고,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상기 식별부(40)와 연계되어 요청받는 방위의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실시간 생성 제공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는 생체신호원(2) 또는 생체신호원(2)의 전기적 모델과 상기 전극 군(1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바꿔가며 측정 또는 산정한 다채널 생체신호를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로 하여 저장하여 두어, 저장된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40)는 생체신호의 발원지를 추정한 이후 추정한 발원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 및 제공받아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 중에 상관도에 따라 발원지를 정밀하게 재차 추정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받는 방위를 초기 추정 발원지로 한 후, 초기 추정 발원지를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를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한 각 영역의 방위에 대응되는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에 요청 및 제공받아 추정 발원지 내의 각 방위 중에 상관도에 따라 발원지를 정밀하게 추정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각 채널 생체신호는 소정 시간동안의 평균 에너지, 평균 파워 또는 평균 전압 중의 어느 한 형식의 신호로 하고,
    상기 식별부(40)는 상기 검출부(20)에서 획득되는 다채널 생체신호로부터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형식에 맞는 신호를 획득한 후 획득한 신호에 따라 식별을 위한 신호처리를 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40)는 다채널 생체신호와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 사이의 상관도를 주파수 밴드별로 산정하여, 전극(11)으로 유입된 생체신호를 주파수 밴드별로 식별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0)의 다채널 생체신호와 상기 대조 신호 제공부(30)의 방위별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를 정규화한 후 상관도를 산정하여 미리 정한 선별 기준 이상의 상관도가 있는 표준 다채널 생체신호의 방위를 생체신호의 발원지로 추정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40)에서 식별된 생체신호 중에 간섭신호를 판별하는 간섭 판별부(60); 및
    상기 검출부(20)에서 획득한 다채널 생체신호에 대해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간섭 억제부(70);
    를 더욱 포함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판별부(60)는 미리 지정된 목표 발원지 이외의 신호 발원지에 의한 생체신호를 간섭신호로 판별하고,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간섭신호를 억제하여 목표 발원지의 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목표 발원지에 대응되는 목표 생체신호의 파워와 판별한 간섭신호 파워의 상대적 비율을 방위별 상관도 및 전극(11)의 배치상태에 근거하여 채널별로 산정한 후, 상기 검출부(20)의 각 채널 생체신호를 (목표 생체 내 신호 파워)/(목표 생체 내 신호 파워+간섭신호 파워)의 비율로 크기 조절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부(70)는 간섭신호가 감지된 신호 구간을 스킵(skip)하여 간섭신호를 억제하는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KR1020160132875A 2016-10-13 2016-10-13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KR10187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875A KR101870758B1 (ko) 2016-10-13 2016-10-13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875A KR101870758B1 (ko) 2016-10-13 2016-10-13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32A KR20180040932A (ko) 2018-04-23
KR101870758B1 true KR101870758B1 (ko) 2018-06-26

Family

ID=6208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875A KR101870758B1 (ko) 2016-10-13 2016-10-13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293A (ja) 2000-08-15 2004-03-11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電気的信号のコンタミネーション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523112A (ja) 2003-03-22 2006-10-12 キネテイツク・リミテツド 電気的筋肉活動の監視
JP2008517636A (ja) 2004-08-30 2008-05-29 サザン イリノイ ユニバーシティ カーボンデイル 生体電位波形データ結合解析及び分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16B1 (ko) 2012-11-13 2014-05-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잡음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293A (ja) 2000-08-15 2004-03-11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電気的信号のコンタミネーション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523112A (ja) 2003-03-22 2006-10-12 キネテイツク・リミテツド 電気的筋肉活動の監視
JP2008517636A (ja) 2004-08-30 2008-05-29 サザン イリノイ ユニバーシティ カーボンデイル 生体電位波形データ結合解析及び分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932A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155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Nerve Direction to a Surgical Instrument
US7848797B2 (en) Motor unit number estimation (MUNE) for the assessment of neuromuscular function
Xu et al. An adaptive algorith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nset and offset of muscle contraction by EMG signal processing
AU2012247057B2 (en) Accurate time annotation of intracardiac ecg signals
EP3785609A1 (en) Error estimation of local activation times (lat) measured by multiple electrode catheter
EP1594401B1 (en) 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to a nerve
US20190060006A1 (en) Heart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Robot Control and System
Chen et al. The foveal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rimate superior colliculus
EP3808272A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 location of focal source in atrial fibrillation (af)
KR101838704B1 (ko) 레이더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326693B2 (en) Placement of electrodes in proximity to the heart
Rantanen et al. Capacitive measurement of facial activity intensity
Khosla et al. Spatial mislocalization of EEG electrodes–effects on accuracy of dipole estimation
Ackermann et al. Choice of saccade endpoint under risk
US5694942A (en) Analysis of heart waveforms
KR101870758B1 (ko) 생체신호 간 간섭 식별 생체신호 검출장치
Cantwell et al. A software platform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lectroanatomic and imaging data including conduction velocity mapping
Starc Could determination of equivalent dipoles from 12 lead ECG help in detection of misplaced electrodes
JPWO2012056546A1 (ja) 覚醒度判定装置、覚醒度判定方法及び覚醒度判定プログラム
WO2021062396A1 (en) Functional ultrasound imaging for spinal cord stimulation electrode guidance and stimulation parameter optimization
CN111588373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和电子设备
García-Puente et al. Time-Frequency Methods for Studying Non-stationary Auditory Responses
Noponen et al. Optimal anisotropic lead scaling of multichannel ECG to reduce magnitude signal variability
AU2014250609A1 (en) Accurate time annotation of intracardiac ecg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