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215B1 -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 Google Patents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15B1
KR101870215B1 KR1020170004179A KR20170004179A KR101870215B1 KR 101870215 B1 KR101870215 B1 KR 101870215B1 KR 1020170004179 A KR1020170004179 A KR 1020170004179A KR 20170004179 A KR20170004179 A KR 20170004179A KR 101870215 B1 KR101870215 B1 KR 10187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age
camera
vehic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창엽
한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Priority to KR102017000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83Mirror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mage uploading method for a vehicle, capable of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uploading an image of a vehicle photographed outdoors. The image uploading method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photographing a vehicle with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cluding a support body arranged outdoors or in a heavy vehicle, a camera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and a camera unit provided in the camera support unit and photographing a vehicle; a first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an imag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model of a user terminal among images of objects including the vehicle set to at least one type of siz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tep of performing three-dimensionally modelling the im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an event when the event is inputted by a user.

Description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촬영된 차량의 사진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로드 할 수 있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mage taking and uploa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mage taking and uploading method capable of easily and efficiently uploading a photograph of a vehicle taken outdoors.

자동차는 인터넷, 통신 기술 등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의 이동 거리가 늘어나며 하루가 다르게 발달했고,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수많은 자동차 메이커가 생겨났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eople's travel distance has increased and the day has developed differentl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a lot of car makers have been created.

이로 인해 자동차 메이커들은 더욱 그들만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법중의 하나가 광고 사진이다.This makes it much more important for automakers to express their own identity, and one of these methods is advertising photography.

자동차 브랜드 고유의 매력을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차량의 사진이 사용된다. 차량의 사진은 차량의 속도감, 디자인, 성능 등을 가장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hotographs of the vehicles are used to appeal to the consumers of the charm of the car brand. This is because the pictures of the vehicle can express the speed, the design,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most visually.

이전에 전술한 차량의 사진 촬영은 자동차 전문 촬영 및 대형 제품, 모델 촬영을 위한 돔 구조의 맞춤 설계와 특수 장비로 차별화된 스튜디오에서 촬영된다.Previously, the above-mentioned vehicle photography is taken in a studio differentiated by professional design and special equipment of a dome structure for large-scale product, model shooting of a car.

전술한 스튜디오에서 차량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스튜디오 하우스와 촬영 장비 등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인해 촬영 비용이 고가로 필요하고 제한된 영역 내에서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In order to shoot a vehicle in the above-mentioned studi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mera because it can be taken only within a limited area because the cost of the studio house and the shooting equipment is expensive and expensive.

또한 전술한 스튜디오 이외의 공간에서 촬영된 사진을 업로드 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도 요구된다.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new system for uploading photographs taken in a spac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studio.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6782호(이범준) 2005. 02. 15.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6782 (Lee, BJ) 2005. 02. 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야외에서 촬영된 차량의 사진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로드 할 수 있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mage uploading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and efficiently uploading a photograph of a vehicle photographed outdoo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야외나 대형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마련되어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구비된 차량용 촬영장치로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사이즈로 설정된 차량을 포함하는 객체의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의 기종에 대응되는 객체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support body disposed inside an outdoor or large-sized vehicle, a camer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vehicle, step; A first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an imag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model of a user terminal among images of objects including a vehicle set to at least one type of siz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 second step of three-dimensionally modeling the im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vent when an event is input by the user.

상기 제1 단계는, 카메라 부재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제1 기준 사이즈로 설정하여 모델링 서버에 등록하는 제1 과정; 상기 모델링 서버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종류와 해상도를 선택하는 제2 과정; 상기 설정된 제1 기준 사이즈 중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의 종류와 해상도에 따라 사용자가 3차원 모델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제2 기준 사이즈를 설정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제2 기준 사이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제3 과정에서 제2 기준 사이즈로 설정된 이미지 중 첫번째로 설정된 이미지를 먼저 선택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4 과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과정에서 제2 기준 사이즈로 설정된 이미지 중 첫번째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an object using photographing means including a camera member and se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first reference size of at least one type and registering the photographed image with a modeling server; A second step of the user accessing the modeling server to select a type and a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of setting a second reference size of an image to be three-dimensionally model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 among the set first reference sizes; And a fourth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t second reference size, and in the fourth step, an image set first in an image set to a second reference size is first selected and arranged If the event is not input by the user,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remaining images other than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set to the second reference size in the third step.

상기 지지 본체는 분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동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support body may be disassembled, the camera suppor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camer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to be movable.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천정 프레임에 마련되는 지지 포스트; 일측부가 상기 지지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는 상기 천정 프레임에 접히거나 펼쳐지게 결합 되고, 상기 천정 부재는 상기 천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됨과 아울러 접히거나 펼쳐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camera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st provided on the ceiling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having one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And a support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re folded or unfolded to the ceiling frame, the ceiling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It can be arranged to unfold.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천정 프레임에 마련되는 지지 포스트; 일측부가 상기 지지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지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st provided on the ceiling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having one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And a support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카메라 지지대; 및 상기 카메라 지지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support frame that is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unit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t least one camera member provided on the camera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야외나 대형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가 분해 가능하고, 카메라 지지부는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부는 카메라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동형으로 이용할 수 있어 승용차를 포함하는 차량을 야외에서 편리하게 이동하여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로드 및 모델링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ody disposed inside the outdoor or large-sized vehicle can be disassembled, the camera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camera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portion and can be used as a portable type The vehicle including the passenger car can be conveniently moved outdoors and taken, and the photographed image can be uploaded and modele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을 구현하는 3차원 객체 모델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델링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차량용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카메라 지지부가 하강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카메라 지지부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서 카메라부가 하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지지 본체가 차량의 프레임으로 대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system implementing a method for uploading images fo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odeling server of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 vehicle adop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amera support portion being lowered in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camera supporting portion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camera unit is lowered in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body shown in Fig. 4 is replaced with a frame of the vehicl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을 구현하는 3차원 객체 모델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델링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차량용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system embodying a method for uploading a vehic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odeling server of FIG. 1, Dimensional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image pickup apparatus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카메라 지지부가 하강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 카메라 지지부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서 카메라부가 하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지지 본체가 차량의 프레임으로 대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amera supporting portion being lowered in FIG. 6, FIG.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camera unit is lowered in FIG. 6,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body shown in FIG. 4 is replaced with a frame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을 구현하는 3차원 객체 모델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델링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3D object modeling system implementing a method for uploading a vehic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odeling server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은, 3차원 데이터의 처리시 사용자 단말(110)의 기종에 따라 효율적으로 3차원 객체를 모델링하는 시스템이고, 카메라 부재(32), 사용자 단말(110) 및 모델링 서버(110)를 포함한다.1, a vehicle image pickup uploa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efficiently model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 model of a user terminal 110 in processing three-dimensional data, A user terminal 110, and a modeling server 110.

상기 카메라 부재(32)는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컬러 카메라 또는 깊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ember 32 is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an object desired by a user, and may include a color camera or a depth camera.

상기 사용자 단말(110)은 카메라 부재(32)에 의하여 촬영된 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모델링 서버(110)에 접속하여 상기 획득된 객체 이미지의 사이즈를 적어도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입은 객체 이미지의 사이즈가 작은 이미지인 것, 중간 이미지인 것, 큰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S(small), M(medium), B(big) 타입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타 입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객체 또는 객체 주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상술한 동작을 구현하는 데이터 전송 및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 구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 장치뿐만 아니라, 고사양의 스마트 폰, I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무선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acquire an objec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ember 32 and connect to the modeling server 110 to set the size of the obtained object image to at least one type.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type may be an image of a small size of an object image, an intermediate image, a S (small), M (medium), B (big) type to represent a large image hav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acquired image is not limited to the type, but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the object or the object. Such a user terminal 20 is a device capable of driving data transmission and a 3D modeling program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is applicable not only to a computer device such as a PC or a notebook computer, but also to a smart phone, IPa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handheld personal computer (HPC), a web pad,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phone, a palm PC, an e-book terminal, and a hand held terminal (HHT).

상기 모델링 서버(1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객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중 사용자 단말(10)의 기종 또는 해상도에 따라 적절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그 이벤트에 따라 개체에 대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한다. 이때, 상기 모델링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사이즈로 설정된 객체의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설정한 크기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개체에 대한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한다.The modeling server 110 acquires an image of an object from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10, selects and arranges an appropriate image according to the type or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mong the acquired images, The image of the object is three-dimensionally modeled according to the event. At this time, the modeling server 110 selects and arranges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ize set by the user among the images of objects set to at least one type size from the user, and when an event is input by the user, The image of the object is three-dimensionally modeled according to the type.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모델링 서버(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이미지 획득부(220), 기종 판단부(230), 정보 설정부(240), 이벤트 판단부(250), 3D 객체 모델링부(260), 메모리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2, the modeling server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mage acquisition unit 220, a model determination unit 230, an information setting unit 240, an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A 3D object modeling unit 260, a memory unit 270,

상기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1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모델링 서버(110) 접속을 위한 기본적인 사용자 정보와 함께 단말 정보, 객체의 이미지 정보,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 또는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 CDMA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10)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ME(Mobile Explorer))을 이용하여 본 3차원 객체 이미지 모델링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신부(210)는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5G, LTE, LTEA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basic user information for connection to the modeling server 110, Size information of an imag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user terminal 110 based on a protocol stack (for example, TCP / IP protocol or CDMA protocol)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for the 3D object image modeling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defined in the communication program (for exampl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 Mobile Explorer)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a Wi-Fi, a Bluetooth, an Ultra Wideband (UWB), a ZigBe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FD (Wi-Fi Direct),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5G, LTE, LTEA and equivalent methods can be applied.

상기 이미지 획득부(2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3차원 객체 모델링을 원하는 객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 일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220 may acquire an image of an object desired to perform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from the user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imag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three-dimensional image.

상기 기종 판단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110)의 종류와 사용자 단말(110)이 지원하는 해상도를 판단한다. 즉, 상기 기종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110)의 종류와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의 기종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정보 설정부(240)로 전송한다.The model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resolution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110. That is, the model determining unit 230 determines the model of the user terminal 110 based on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resol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information setting unit 240.

상기 정보 설정부(240)는 기종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의 종류와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대상 객체 이미지를 선택한다. 즉, 상기 정보 설정부(240)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사이즈(즉, 제1 기준 사이즈)로 설정되어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객체의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종류와 해상도에 맞는 제2 기준 사이즈의 객체 이미지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정보 설정부(240)는 제2 기준 사이즈의 객체 이미지중 첫번째에 위치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준 사이즈는 작은 이미지(S), 중간 이미지(M), 큰 이미지(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기준 사이즈는 제1 기준 사이즈 중 작은 이미지(S), 중간 이미지(M)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 기준 사이즈와 제2 기준 사이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information setting unit 240 selects a target object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del determination unit 230. That is, the information setting unit 240 may set at least one type of size (i.e., a first reference size) by the user terminal 110 to display the image of the object stored in the memory unit 270, And selects an object image of a second reference size that matches the resolution and resolution of the imag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etting unit 240 may select and place an image located in the first of the object images of the second reference size. Meanwhile, the first reference size may include a small image S, an intermediate image M, and a large image B, and the second reference size may include a small image S, M),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s of the first reference size and the second reference size.

상기 이벤트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0034] 조작되는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한다.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the type of event that is op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즉, 상기 이벤트 판단부(250)는 사용자가 터치, 마우스 입력, 스크롤 입력 등을 통하여 객체 이미지를 확대 및 축소, 회전 또는 이동하는 동작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3D 객체 모델링부(260)로 전송한다.That i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enlarges, reduces, rotates, or moves the object image through touch, mouse input, scroll input, or the like,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3D object modeling unit 260 do.

상기 3D 객체 모델링부(260)는 이벤트 판단부(25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객체의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한다. 즉, 상기 3D 객체 모델링부(260)는 이벤트가 확대 또는 축소인 경우에, 확대 또는 축소로 인하여 필요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가 제2 기준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에, 제2 기준 사이즈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한다. 이때, 상기 계산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가 제2 기준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 제1 기준 사이즈 중 가장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객체 모델링부(260)는 이벤트가 회전인 경우에, 상기 배치된 객체의 이미지를 회전시키고, 이벤트가 이동인 경우에, 상기 배치된 객체의 이미지의 위치만 변경하여 이동시킨 다음 해당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다.The 3D object modeling unit 260 three-dimensionally models the im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50. That is, when the event is enlarged or reduced, the 3D object modeling unit 260 calculate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required object due to enlargement or reduction, and the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calculated object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size In a small case, an image of the second reference size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image is three-dimensionally modeled. 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calculated object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size, the image of the largest size among the first reference sizes can be selected. When the event is a rotation, the 3D object modeling unit 260 rotates the image of the disposed object, and when the event is the movement, the 3D object modeling unit 260 changes only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disposed object, The image can be modeled in three dimensions.

상기 메모리부(270)는 모델링 서버(110) 접속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단말(10) 정보, 객체의 이미지 정보,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이외에도,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270 is an apparatus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10, user terminal 10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size information of an image, etc. for connection to the modeling server 110,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tc., in addition to a web storage for performing a storage function on the Internet,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상기 제어부(280)는 본 3차원 객체 이미지 모델링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해당 구동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모델링 서버(1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제2 기준 사이즈의 이미지를 메모리부(270)로부터 모두 불러와서 배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includes a driving program for model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odeling server 110 by executing the driving program. In particular, when the event is not input by the user terminal 10, the control unit 280 can fetch the image of the second reference size set by the user from the memory unit 270 and arrange i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3D object model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은 크게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사이즈로 설정된 객체의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10)의 기종에 대응되는 객체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1 단계(S10)와,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객체의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하는 제2 단계(S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3D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3D modeling method corresponding to a model of the user terminal 10 among images of objects set to at least one type siz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S10) for selecting and arranging an image of an object to be displayed, and a second step (S20) for modeling an im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type of event when an event is input by the us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단계(S10)는 촬영 수단(즉, 카메라 부재(32))을 이용하여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제1 기준 사이즈로 설정하여 모델링 서버(20)에 등록하는 제1 과정(S11)과, 모델링 서버(20)에 사용자가 접속(S12)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종류와 해상도를 선택하는 제2 과정(S13)과, 제1 과정(S11)에서 설정된 제1 기준 사이즈 중 제2 과정(S13)에서 선택된 사용자 단말(10)의 종류와 해상도에 따라 사용자가 3차원 모델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제2 기준 사이즈를 설정하는 제3 과정(S14)과, 제3 과정(S14)에서 설정된 제2 기준 사이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4 과정(S15)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S10, the image of the o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photographing means (i.e., the camera member 32),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set to the first reference size of at least one type A second step S13 of selecting a type and a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10 by a user connected to the modeling server 20 at step S12 and a step S11 of registering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t the modeling server 20, A second reference siz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second reference size of an image to be three-dimensionally model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selected in the second step of the first reference size, And a fourth step S15 for selecting and arranging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ference size set in the third step S14 and the third step S14.

이때, 상기 제1 과정(S11)은 카메라 부재(32)부터 촬영된 객체의 이미지를 사용자가 3가지 타입(예를 들면, 작은 이미지(S), 중간 이미지(M), 큰 이미지(B))으로 모델링 서버(20)에 등록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S11, the user selects three types of images (for example, a small image S, an intermediate image M, and a large image B) from the camera member 32, To the modeling server 20

또한, 상기 제3 과정(S14)은 제1 과정에서 설정한 3가지 타입의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 중 사용자 단말(10)의 종류와 해상도에 맞는 2가지 타입의 객체의 이미지 사이즈(예를 들면, 작은 이미지(S), 중간 이미지(M))를 선택 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S14, the image sizes of the two types of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mong the image sizes of the three types of objects set in the first process (for example, A small image S, and an intermediate image M).

또한, 상기 제4 과정(S15)은 제3 과정(S14)에서 설정한 이미지의 제2 기준 [0044] 사이즈 중 첫번째 이미지를 먼저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S15, the first image among the second reference sizes of the images set in the third step S14 may be first selected and arranged.

상기 제2 단계(S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S21)에, 해당 이벤트가 확대 또는 축소(S22)이면, 확대 또는 축소로 인하여 필요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계산하는 제1-1 과정(S221)과, 제1-1 과정에서 계산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가 제2 기준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에, 제2 기준 사이즈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2-1 과정(S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1 과정(S222)은 제1 과정에서 계산된 객체의 이미지의 사이즈가 제2 기준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 제1 기준 사이즈 중 가장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1 과정(S2222)은 계산된 객체 사이즈가 작은 이미지(S)보다 작은 경우 작은 이미지(S)의 사이즈로 계산을 수정하여 선택하고, 작은 이미지(S)보다 크고 중간 이미지(M)보다 작으면 중간 이미지(M)의 사이즈로 계산을 수정하여 선택하며, 중간 이미지(M)보다 크면 사용자가 설정한 큰 이미지(B)의 사이즈로 계산을 수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S20)는 계산된 사이즈의 객체의 이미지와 현재 객체 이미지가 다른 경우 이미지를 원래 상태의 객체 이미지로 교체(S224)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S20, if an event is input by the user in step S21, if the event is enlarged or reduced (S22), the first step S1 (S222) of selecting an image of a second reference size whe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object calculated in the 1-1 process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size have. 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object calculated in the first step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size, the second-step S222 may select the image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the first reference sizes. 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object size is smaller than the small image S, the second-1 process S2222 is performed by modifying and selecting the small image S as the size of the small image S, If it is smaller than the image M, the calculation is modified and selected as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image M. If it is larger than the intermediate image M, the calculation can be modified and selected as the size of the large image B set by the user. In the second step S20, if the image of the object of the calculated size and the current object image are different, the image may be replaced with the object image of the original state (S224).

즉, 상기 이벤트가 확대 또는 축소인 경우에 이벤트 실행으로 인하여 필요한 객체의 이미지 크기를 계산한 다음, 확대 또는 축소로 인하여 필요한 객체 이미지가 아직 불러들이지 않은 경우에만 불러들이고 이미 불러들인 이미지보다 작은 경우에는 초기에 불러들여 놓은 객체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event is enlarged or reduced, the image size of the required object is calculated due to the execution of the event. If the required object image is not yet loaded due to enlargement or reduction, the image size is smaller than the already loaded image You can use the object image that was loaded earlier

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확대인 경우에 제2 단계(S20)를 통하여 3차원 모델링된 객체의 이미지는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vent is enlarged, an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step S20.

또한, 상기 제2 단계(S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이벤트가 회전(S23)이면, 제4 과정(S15)에서 선택하여 배치된 객체의 이미지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이벤트가 회전인 경우에 아무리 회전하여도 새로 일어나는 트래픽이 없으므로, 초기에 불러들인 초기 사이즈의 객체 이미지를 사용한 다음, 사용자의 조작이 해제되면 회전 이벤트가 종료된다. 이러한 회전 이벤트는 객체 이미지가 회전 중에는 자세히 볼 필요가 없으므로 굳이 고 해상도 이미지를 사용할 필요없이 초기에 로딩된 작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사용(S231)하고, 회전이 끝날 때 현재 객체 이미지의 사이즈를 파악(S232)하고 고해상도 이미지가 필요하면 그 때 불러오면 된다.In the second step S20, when an event is input by the user, if the event is the rotation S23, the image of the object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fourth step S15 is rotated. In other words, since there is no new traffic even if the event is rotated, the object image of the initially initial size is used. Then, when the user's operation is canceled, the rotation event is ended. Since the rotation event does not need to be viewed in detail during the rotation of the object imag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high resolution image, but the initially loaded small resolution image is used (S231) and the size of the current object image is grasped at the end of rotation ) And if you need a high-resolution image, you can call it at that time.

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회전인 경우에 제2 단계(S20)를 통하여 3차원 모델링된 객체의 이미지는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vent is the rotation, the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step S20.

또한, 상기 제2 단계(S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이벤트가 이동(S24)이면, 제4 과정(S15)에서 선택하여 배치된 객체의 이미지의 위치만 변경하여 이동(S241)시킨다. 이러한 이동 이벤트는 이벤트에 따라 계산된 위치로 객체의 이미지를 이동시킨 다음, 사용자의 조작이 해제되면 이동 이벤트가 종료된다.In the second step S20, when the event is input by the user, if the corresponding event is moved (S24), only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object selected and disposed in the fourth step S15 is changed, S241). This movement event moves the image of the object to the calcula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event, and when the user's operation is canceled, the movement event ends.

이에 따라, 상기 이벤트가 이동인 경우에 제2 단계(S20)를 통하여 3차원 모델링된 객체의 이미지는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vent is the movement, an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step S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서버(110) 또는 관리 서버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110) 또는 모델링 서버(11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객체 모델링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예컨대, 가입자 식별 모듈)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또는 모델링 서버(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3D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by a computer program. The code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is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a modeling server 110 or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3D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and install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modeling server 110. [ Alternatively,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e.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tor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the 3D object mode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or the modeling server 110).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촬영장치(1)는, 야외나 대형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10)와, 지지 본체(10)에 마련되는 카메라 지지부(20)와, 카메라 지지부(20)에 마련되어 차량(V)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0)와, 카메라 지지부(2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부재(40)와, 카메라 지지부(20)에 마련되는 반사 부재(50)를 구비한다.The vehicle photograp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main body 10 disposed inside an outdoor or a large vehicle, a camera support portion 20 provided on the support main body 10, And at least one illumination member 40 provided on the camera support 20 and a reflection member 50 provided on the camera support 20. The camera unit 30 is provided with a camera support portion 20,

지지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어 야외에서 이동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본체(10a)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차량의 프레임으로 대체되어 대형 차량의 내부로 차량(V)을 진입시킨 후 대형 차량의 측면이나 후방벽을 개방시켜 촬영을 할 수도 있다.The support body 1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used as a portable type in the open air. 40, the support main body 10a may be replaced with a frame of a large-sized vehicle so as to allow the vehicle V to enter the inside of the large-sized vehicle, and then open the side or rear wall of the large- have.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의 바닥부에 지지 되는 복수의 지지 다리(11)와, 복수의 지지 다리(11)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천정 프레임(12)과, 천정 프레임(12)을 덮는 천정 부재(13)를 포함한다.5, the support main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1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outdoors, a ceiling frame 11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1, (12), and a ceiling member (13) covering the ceiling frame (12).

지지 본체(10)의 복수의 지지 다리(11)는, 천정 프레임(12)에 나사산이나 볼트로 연결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고, 천정 프레임(12)에 힌지 결합 되어 접히거나 펼쳐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1 of the support main body 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12 by screws or bolts or may be hinged to the ceiling frame 12 to be folded or unfolded have.

지지 본체(10)의 천정 프레임(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간부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eiling frame 12 of the support main body 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as shown in Fig. 5, and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천정 프레임(12)은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가벼운 금속 재질이나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eiling frame 12 may be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or a hard plastic material for convenience of movement.

지지 본체(10)의 천정 부재(13)는, 천정 프레임(12)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나 핀을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다.The ceiling member 13 of the support main body 1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12 using bolts or fins.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천정 부재(13)는 다각형 형상의 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면이 경첩으로 결합 되어 접히거나 펼쳐지게 마련될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iling member 1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dome, and each surface may be combined with a hinge to be folded or unfolded.

카메라 지지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프레임(12)에 연결되어 카메라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5, the camera supporting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ceiling frame 12 to support the camera portion 30.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프레임(12)에 마련되는 지지 포스트(21)와, 상측부가 지지 포스트(21)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22)와, 복수의 지지 부재(22)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지지링(23)을 포함한다.4 and 5, the camera support portion 20 includes a support post 21 provided on the ceiling frame 12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 on the upp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21. [ A member 22, and a support ring 23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카메라 지지부(20)의 지지 포스트(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본체(10)의 높이 방향으로 상승 되거나 하강(승강) 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포스트(21)의 승강은 공지된 기술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포스트(21)를 두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부를 유압 실린더나 공압 실린더로 연결하여 승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post 21 of the camera support portion 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aised or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post 21 can be carried out by well-known technical means. For example, the support post 21 may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and the divided lower section may be connected to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to raise and lower it.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포스트(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포스트(21)의 좌우 회전은 공지된 기술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포스트(21)의 상단부에 베벨 기어를 마련하고, 천정 프레임(12)에 전기 모터를 마련하여 전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지지 포스트(21)를 회전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st 2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upport post 21 can be implemented by well-known technical means. For example, a bevel gear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21, and an electric motor may be provided at the ceiling frame 12 to rotate the support post 21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나아가 본 실시 예는 지지 포스트(21)와 천정 프레임(12)에 결합 되는 영역에 베어링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지지링(23)을 잡고 수동으로 카메라 지지부(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bearings may be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support posts 21 and the ceiling frame 12 are coupl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support ring 23 and manually rotate the camera support 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카메라 지지부(20)의 복수의 지지 부재(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는 지지 포스트(21)에 연결되고 하측부는 지지링(23)에 연결되어 지지링(23)과 카메라 지지부(20)를 지지할 수 있다.6,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21 and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ing 23, and the support ring 23 and the camera The supporting portion 20 can be supported.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부재(22)의 상단부는 지지 포스트(21)에 끼워진 후 힌지 결합되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may be hinged to be detachable after being fitted to the support posts 21. [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부재(22)의 하단부는 지지링(23)에 끼워진 후 힌지 결합 되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may be hingedly coupled to the support ring 23 so as to be detachable.

카메라 지지부(20)의 지지링(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부재(22)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카메라 지지대(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ring 23 of the camera support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to support the camera support 31 as shown in Fig.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지지부(20)에는 촬영되는 차량(V)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 세팅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 세팅 센서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V)의 중앙부에 녹색 불빛을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녹색 불빛을 이용하여 차량(V)의 센터를 맞출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support part 20 may be provided with a center setting sensor for holding the center of the vehicle V to be photographed.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setting sensor includes a laser sensor and can illuminate green light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V. The user can align the center of the vehicle (V) with this green light.

카메라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20)에 결합 되어 차량(V)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4, the camera unit 30 is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unit 20 and serves to photograph the vehicle V.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23)에 결합 되는 카메라 지지대(31)와, 카메라 지지대(31)에 결합 되는 복수의 카메라 부재(32)를 포함한다.5, the camera unit 30 includes a camera support 31 coupled to the support ring 23 and a plurality of camera members 32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31 .

카메라부(30)의 카메라 지지대(31)는, 지지링(23)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되거나 걸림 되는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The camera support 31 of the camera unit 3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ring 23 in a bolt-on or hooked manner.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지지대(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지지대(31)의 승강은 공지된 기술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지지대(31)를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구획 부분에 LM 가이드를 연결하여 카메라 지지대(31)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승강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support 3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V, as shown in Fi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mera support 31 may be performed by a known technique. For example, the camera support 3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LM guide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artment to raise and lower a portion of the camera support 31 except for the upper end.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지지대(31)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승강시킬 수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support 31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user may be raised or lowered us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divided portions.

카메라부(30)의 복수의 카메라 부재(32)에는 원격으로 조절되는 컨트롤러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V)을 촬영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amera members 32 of the camera unit 30 are provided with a controller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so that the user can photograph the vehicle V remotel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조명 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부재(22) 중 선택된 지지 부재(22)에 마련되어 차량(V)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member 40 may be provided on the selected support member 22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to irradiate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V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조명 부재(40)는 복수의 지지 부재(22)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도 있고 걸림 결합 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llumination member 40 may be detachably bol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and may be engaged.

반사 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23)에 결합 되거나 복수의 지지 부재(22)에 결합 되어 조명 부재(40)나 별도로 배치되는 조명 수단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5, the reflect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ring 23 or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22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mber 40 or the separately disposed lighting means, .

본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50)는 지지링(23)이나 복수의 지지 부재(22)에 걸림 결합 될 수도 있고 볼트 결합 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flecting member 50 may be engaged with the support ring 23 or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2, or may be bolted.

한편 본 실시 예는 도 40에 도시된 지지 본체(10a) 즉 대형 차량의 내측 바닥부에 원형 회전판을 마련하여 차량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10a shown in Fig. 40, that is,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large-sized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r rotary plate to rotate the vehicl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야외나 대형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가 분해 가능하고, 카메라 지지부는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부는 카메라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동형으로 이용할 수 있어 승용차를 포함하는 차량을 야외에서 편리하게 이동하여 촬영할 수 있고, 촬영 비용을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body disposed inside the outdoor or large-sized vehicle can be disassembled, the camera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camera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portion, So that the vehicle including the passenger car can be conveniently moved outdoors and photographed, and the shooting cost can be lowered, which is cost competiti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차량용 촬영장치
10,10a : 지지 본체
20 : 카메라 지지부
30 : 카메라부
100 : 사용자 단말
110 : 모델링 서버
210 : 통신부
220 : 이미지 획득부
230 : 기종 판단부
240 : 정보 설정부
V : 차량
1: Vehicle shooting device
10, 10a:
20: camera support
30:
100: user terminal
110: Modeling server
210:
220: Image acquisition unit
230:
240: Information setting section
V: vehicle

Claims (6)

야외나 대형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에 마련되는 카메라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마련되어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구비된 차량용 촬영장치로 차량을 촬영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사이즈로 설정된 차량을 포함하는 객체의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의 기종에 대응되는 객체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객체의 이미지를 3차원 모델링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의 천정 프레임에 마련되는 지지 포스트, 일측부가 상기 지지 포스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의 타측부에 연결되는 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카메라 지지대 및 상기 카메라 지지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는 복수의 지지 다리,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천정 프레임 및 상기 천정 프레임을 덮는 천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다리는 상기 천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지지 포스트는 상기 지지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됨과 아울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지지대는 상기 차량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
Photographing a vehicle with a vehicl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d on a support body disposed in an outdoor or large-sized vehicle, a camer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and a camera portion provided on the camera support portion to photograph a vehicle;
A first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an image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model of a user terminal among images of objects including a vehicle set to at least one type of siz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nd a second step of three-dimensionally modeling the im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vent when an event is inputted by the user,
The camera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st provided on a ceiling frame of the support body,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having one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 and a support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Wherein 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support and a camera member, the camera support being vertically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Wherein the support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 ceiling fram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nd a ceiling member covering the ceiling frame,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Wherein the support post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and is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rein the camera support frame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카메라 부재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제1 기준 사이즈로 설정하여 모델링 서버에 등록하는 제1 과정;
상기 모델링 서버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종류와 해상도를 선택하는 제2 과정;
상기 설정된 제1 기준 사이즈 중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의 종류와 해상도에 따라 사용자가 3차원 모델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제2 기준 사이즈를 설정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제2 기준 사이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은 상기 제3 과정에서 제2 기준 사이즈로 설정된 이미지 중 첫번째로 설정된 이미지를 먼저 선택하여 배치하며,
상기 제4 과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벤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과정에서 제2 기준 사이즈로 설정된 이미지 중 첫번째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A first step of photographing an object using photographing means including a camera member, se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s a first reference size of at least one type, and registering the photographed image with a modeling server;
A second step of the user accessing the modeling server to select a type and a resolution of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of setting a second reference size of an image to be three-dimensionally model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and resolution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 among the set first reference sizes; And
And a fourth step of selecting and arranging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t second reference size,
In the fourth step, the first set image among the images set in the second reference size is first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fourth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f the event is not inputted by the user, selecting and arranging remaining images other than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set to the second reference size in the third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분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동형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촬영 업로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ody is detachable, the camera suppor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camera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mera support portion so that the camera support portion can be used as a portable ty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04179A 2017-01-11 2017-01-11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KR101870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179A KR101870215B1 (en) 2017-01-11 2017-01-11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179A KR101870215B1 (en) 2017-01-11 2017-01-11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215B1 true KR101870215B1 (en) 2018-06-22

Family

ID=6276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179A KR101870215B1 (en) 2017-01-11 2017-01-11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05B1 (en) * 2018-11-01 2019-09-16 윤매성 Used car unattended Quote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36U (en) * 1993-06-17 1995-01-24 株式会社シン技術コンサル Camera hanging type photographing device
KR200376782Y1 (en) 2004-12-03 2005-03-11 이범준 Moving studio
JP2005338977A (en) * 2004-05-25 2005-12-08 Aichi Gakui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562658B1 (en) * 2015-03-05 2015-10-29 한창엽 3d object mode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36U (en) * 1993-06-17 1995-01-24 株式会社シン技術コンサル Camera hanging type photographing device
JP2005338977A (en) * 2004-05-25 2005-12-08 Aichi Gakui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system
KR200376782Y1 (en) 2004-12-03 2005-03-11 이범준 Moving studio
KR101562658B1 (en) * 2015-03-05 2015-10-29 한창엽 3d object mode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05B1 (en) * 2018-11-01 2019-09-16 윤매성 Used car unattended Quote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26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vehicle imaging
US20160156829A1 (en) Image capturing system and captured-image data publishing system
US20180160019A1 (en) Vehicle photographic chamber
CN108885459A (en) Air navigation aid, navigation system, mobile control system and mobile robot
KR101562658B1 (en) 3d object mode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using the same
CN104902176A (en) Method for prompting adjustment of shooting angle and terminal
US20140152806A1 (en) Automated studio
US11748968B2 (en) Target tracking method and system, readable storage medium, and mobile platform
CN10814151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hotographic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2143179A1 (en) Virtual character model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575159B1 (en) Method of operat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
CN103940035B (en)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KR20140053764A (en) Robot clea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870215B1 (en) Photograph upload method for vehicle
US20190011806A1 (en) Mobile photography studio
CN103731599A (en) Photographing method and camera
US20180204153A1 (en)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US10079966B2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capturing images for use in determining reflectance properties of physical objects
WO2020172141A1 (en) Camera mount for vehicle photographic chambers
KR102268558B1 (en) Automatic Photographing System for Online Sales of Vehicl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21521495A (en) Product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ebar et al. A low-cost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for photogrammetry
KR20180082983A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vehicle
Alemany Design of high quality, efficient simulation environments for USARSim
US20210227181A1 (en) A System for Capturing Media of a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