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23B1 -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 Google Patents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23B1
KR101868223B1 KR1020160100643A KR20160100643A KR101868223B1 KR 101868223 B1 KR101868223 B1 KR 101868223B1 KR 1020160100643 A KR1020160100643 A KR 1020160100643A KR 20160100643 A KR20160100643 A KR 20160100643A KR 101868223 B1 KR101868223 B1 KR 10186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yepiece plate
virtual reality
distan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6819A (en
Inventor
민상규
Original Assignee
민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상규 filed Critical 민상규
Priority to KR102016010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223B1/en
Publication of KR201800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20Collapsible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with means for image conversion or intensification
    • G02B23/125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with means for image conversion or intensification head-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메인 몸체와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메인 몸체와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first eyelash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piece plate, the first eyepiece plat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A first screen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for moving the first eyepiece plat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a second eyepiec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for maintaining a close contact stat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screen for moving the second eyepiece plate between the separated states, The included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 in spaced, first and second features may implement a virtual reality by means of a virtual reality display.

Description

쌍안경 형태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본 발명은 가상현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in which modules capable of experiencing a virtual reality are provided integrally.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이란 말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융합현실(mixed reality)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Virtual Reality is the interface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that artificially creates a particular environment or situation, making it seem as if the person using it is interacting with the actu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 The term virtual reality is defined as artificial reality, cyberspace, virtual worlds, virtual environment, synthetic environment, artificial environment, augmented reality, reality, and mixed reality.

가상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 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 The purpose of using virtual reality is to show and manipulate people as if they are entering the environment without ever experiencing the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for people to experience on a daily basis. Its applications include education, remote operation, remote satellite surface exploration, Data analysis, and scientific visualization.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상현실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일 예로, 삼성이 오큘러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기어VR, LG의 'G3 VR', 구글의 카드보드가 대표적이며,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가상현실을 체험해볼 수 있고, 기존의 VR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 2015/0253574 A1 (2015. 9. 10 공개)에는 가상현실 헤드셋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는 바,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 시스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를 수용하는 도킹 유닛으로부터 특정 거리에 렌즈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렌즈 플레이트, 및 케이스 및 렌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디바이스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상현실 헤드셋 시스템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에 렌즈 플레이트를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으며, 양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며, 이용의 편의성이 현격히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가 없기 때문에 가상현실 방식에 따라 좌우 영상을 각각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어렵고, 2개의 렌즈가 렌즈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디스플레이와 렌즈 간의 거리 조절에 의한 다양한 방식의 가상현실 구현 또는 입체 표시에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 문헌 : US 2015/0253574 A1 (2015. 9. 10 공개)]
Recently, as the smartphone has become widespread, virtual reality is attracting attention again. For example, Gear VR, LG's G3 VR, and Google's cardboard, which are manufactured jointly with Oculus by Samsung, are examples. These products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in conjunction with a smart phone, The price is cheaper.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15/0253574 A1 (published on Sep. 10, 2015) discloses a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which includes a mobile device case for fixing a mobile device, A lens plate that can be configured to position the lens at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docking unit, and a device module inter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lens plate.
Th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lens plat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mobile device case and there is no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remarkably deteriorated .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two displays, it is difficult to separately display the left and right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system. Since the two lenses are fixedly mounted on the lens plate, various types of virtual reality Or stereoscopic display.
[Prior art document: US 2015/0253574 A1 (published on September 10, 2015)]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며, VR 기능을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that is portable and can readily implement a VR function at a desired time and place.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에 증강현실(AR) 기능도 추가할 수 있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capable of adding an AR function to a virtual realit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메인 몸체와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메인 몸체와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piece plate and having a first eyepiece plate A first screen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for moving the first eyepiece plat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ing the first eyepiece plate betwee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the spacing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the spacing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re in a separated state, a virtual reality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음성 통신 모듈을 부가하여 휴대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음성 통신 모듈 없이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와 연결될 수도 있고,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능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서 일반 휴대폰이나 단말기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ellular phone function by adding a voice communication module, but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via another wired or wireless network without a voice communication module, or may include only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function. The foldable virtual reality equipment is portable and can be used as a general mobile phone or a terminal, and can realize a virtual reality function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본 발명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메인 몸체로부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여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시력 또는 필요에 맞게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의 이격상태 및 이동거리 등을 조절할 수가 있다.The foldable virtual realit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screens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and can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t a variable length from the main body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which are slidably moved and fixed backwar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to implement a light blocking screen function for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and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s according to the right and left visual acuity or necessity by using the adjusting member.

또한, 메인 몸체는 그 자체만으로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가 후방을 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메인 몸체가 역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평소에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다가, 가상현실 기능을 위해서 메인 몸체가 역전되어 후방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가 있다. 참고로,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영역을 구획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Also, the main body itself may be fixed with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facing rearward, and the main body may be mounted reversibly. Normally, it is used for general purpose, but for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the main body can be reversed and turned backward. For reference,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ut in some cases, they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by dividing an area in one display.

메인 몸체의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이격 상태의 접안 플레이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는 좌우 영상을 각각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지만, 가상현실 방식에 따라서 각각 상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에 편광렌즈를 장착하는 편광안경방식 또는 접안 플레이트에서 좌우 접안 렌즈를 시간 차를 두고 개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가상현실 구현이나 입체 표시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및 렌즈 조합이 구현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display using the main body virtual reality display and the spaced eyed plat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can display the left and right images separately, but they can also display the top and bottom images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 method.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in which the polarizing lenses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or the shutter glasses system in which the right and left eyepieces are opened and closed with a time difference from the eyepiece plate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variety of display and lens combinations for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s and stereoscopic displays can be implemented.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는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메인 몸체에 밀착된 밀착 상태를 유지하며, 가상현실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메인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는 메인 몸체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가변 가능한 거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안 플레이트를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can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main body while not using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and can maintain a spacing apart from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using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do.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re not fix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ut may form a variable distanc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a close contact state Can be moved.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각각 복수의 스크린 통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해진 거리를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스크린 통의 상호 마찰 및 고정력을 이용하여 메인 몸체의 디스플레이와 접안 플레이트들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광을 차단할 수가 있다. 다르게는,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메인 몸체 및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 상태 및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의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control member may each be embodied as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and can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by using mutual friction and fixing force of the screen barrel, the spacing between the display of the main body and the eyepiece plates can be maintained and external light can be blocked. Alternatively,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yelash plat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yelash plate to move the eyelash plate betwee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the spacing state, A light blocking scree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스크린 통으로 구현하는 경우, 스크린 통이 단일벽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견고한 지지구조 및 경량화를 위해 이중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이중벽 구조를 위해서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최소한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가 있다. When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are realized as a screen barrel, the screen barrel may be formed into a single wall structure, but may be provided with a double wall structure for a solid supporting structure and light weight. That is, for the double wall structure, the screen cylinder may include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a minimum spac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또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나 전자파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 통에는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통풍구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에서는 내벽에 제1 통풍구를 형성하고 외벽에는 제2 통풍구를 형성하되,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heat an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virtual reality display,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screen case. However, since light can be direct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a first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screen cylinder of the double wall structure, and a second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outer wall.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from overlapping each other That is, shifted, so that light can not be direct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메인 몸체와 접안 플레이트 사이를 완전 차단하는 것 외에도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only effectively block external light for immersion, it is possible to partially open the line which does not undermine the original function, in addition to completely blocking the main body and the eyepiece plate.

또한,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 안경의 걸이부, 헬멧 마운트 또는 탄성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Further, in order to more realistically realize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virtual reality equipment in the user's face. The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earring form of a conventional mask, a hook portion of a spectacle, a helmet mount or an elastic band.

본 발명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접안 플레이트의 밀착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 및 메인 몸체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후면 커버는 접안 플레이트를 보호하는 용도 외에도 가상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eyepiece plat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yepiec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yepiece plate.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eyepiece plate, the rear cover may further include an odor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specific odor in cooper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ality, or a wind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win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증강현실 장비는,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메인 몸체와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그리고 메인 몸체와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가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able augmented reality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display, a second display and at least one camera module, a second body hav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piece plate and having a first eyepiece plate A first screen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for moving the first eyepiece plate between the first eyepiece plate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ing the first eyepiece plate between the first eyepiece plate and the first eyepiece plate, The second eyepiece plate is moved betwee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the spacing stat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Key may implement a second screen, and includes a distance adjusting memb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 in spaced, the augmented reality featur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식 영상시청 장비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메인 몸체와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메인 몸체와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메인 몸체에 대해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ing image view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a first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piece plate, the first eyepiece plat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a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i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screen for moving the second eyepiece plate between the retaining distances, Ashes.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가상현실 모듈을 휴대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휴대 장치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늘어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as a portable device by combining the virtual reality module with a portable structure so that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can be realized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The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are increas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로 메인 몸체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같은 구조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고급스런 슬라이드 이동 및 견고함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length of the eyepiece plate from the main body by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and to realize a light blocking screen function for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with the same structure, And a high-grade slide movement and firmness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특징은, 스크린 통을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긋난 통풍구 형성 및 경량화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Such a feature can be obtained by forming the screen cylinder into a double wall,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doubling, and further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deflected air vents and the lightweigh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이격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of FIG. 1 from the rear.
3 is a side view in which the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of FIG. 1 is in a spaced apart sta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the folding type virtual reality equip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후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가 이격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of FIG. 1, Side view in the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100)는 메인 몸체(110), 제1 접안 플레이트(120), 제2 접안 플레이트(121),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그리고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 first eyepiece plate 120, a second eyepiece plate 121, a first screen, A member 130, and a second screen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131.

메인 몸체(110)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12)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12, 114) 또는 기타 버튼 조작 등을 통해서 기본적인 작동,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112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114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112 and 114, You can do basic operations, run applications, and so on.

그리고, 메인 몸체(110)의 전면에는 카메라 모듈(116)이 장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116)은 외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AR)이나 혼합현실(MR)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카메라 모듈(116)은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방향도 정면이 아닌 측면이나 상면, 저면, 후면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고, 180도 또는 360도 촬영을 위해 어안렌즈 형식으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The camera module 116 can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camera module 116 may be used for capturing an external image and may be used for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an augmented reality AR and a mixed reality (MR). One or more camera modules 116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16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side, top, bottom, and back sides, not the front,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isheye lens Can be provided.

메인 몸체(110)에서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12, 114)는 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는 각각 접안 렌즈(122)를 포함하여 가상현실 디스플레이(112, 114)에 표시된 영상을 확대하여 볼 수가 있다. 접안 렌즈(122)는 미세한 회전 조작을 통해서 초점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초점을 조절하거나 좌우 폭과 같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미세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접안 렌즈(122) 주변으로 얼굴 형상에 대응하는 쿠션이나 빛의 차단을 추가로 차단할 수 있는 광차단 구조 등이 추가될 수가 있다.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112 and 114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120 and 121 include eyepiece lenses 122,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112 and 114 can be enlarged and viewed. The eyepiece 122 can adjust the focus through a fine rotation operation and adjust the focus independently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It is also possible to fine-tune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a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shape or a light shielding structure capable of further shielding light from being blocked around the eyepiece lens 122 may be added.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는 메인 몸체(110)의 후면에 장착되며, 그 자체로 상호 포개어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통(140)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이 외에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140 can do. The screen cylinder 1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a rectangle, and a polygon.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에서 스크린 통(140)은 금속 안테나와 같이 어느 정도 마찰을 갖고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통(140)은 4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the screen cylinder 140 slides with a certain degree of friction like a metal antenna, so that it can be stopped at an arbitrary position, . In addition, since the four sides of the screen cylinder 140 can be cut off from the outside, the external light can be effectively block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를 구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중벽을 형성하는 스크린 통(140)은 내벽(142) 및 외벽(144)을 포함하며, 내벽(142)과 외벽(144)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일벽 구조에 비해 동일 두께에 비해 현저히 경량화된 무게를 유지하며, 견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cylinder 140 constituting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may be formed in a double wall structure. The screen cylinder 140 forming the double wall includes an inner wall 142 and an outer wall 144 and can maintain a distance that is spaced from the inner wall 142 and the outer wall 144 in all or a part of the area. Since the screen cylinder 140 forms a double wall structure, the screen cylinder 140 maintains a weight that is significantly lighter than the single wall structure and can form a solid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 통(140)에는 밀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탄성 돌기(147)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스크린 통(140)이 연장된 이격 상태에서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creen cylinder 14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147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creen cylinder 140 to fix the contact state or the separated state. The elastic projections 147 support the ends of the other screen cylinders 140 so that the screen cylinders 140 can be fix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under a certain force.

또한, 스크린 통(140)이 상호 겹쳐진 밀착 상태에서는 탄성 돌기(147)는 다른 스크린 통(140)에 형성된 돌기 수용홈(149)에 걸림으로써, 역시 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스크린 통(140)이 상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The elastic projections 147 are engaged with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149 formed in the other screen cylinders 140 so that the screen cylinders 140 are moved mutually It can be fixed.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돌기(147)가 스크린 통(140)의 내벽(14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지만, 반대로 외벽 또는 내/외벽 모두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신축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 돌기(147)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 외에도, 판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elastic protrusions 147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142 of the screen cylinder 1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r the inner / outer wall, They may be desig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and shrinking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spring, the elastic projection 147 may be resiliently supported by its own elasticity, such as a leaf spr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중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6 is a partial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screen and a distance control member of the folding type virtual reality equip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의 스크린 통(140)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경량화를 구현하는 것 외에도 다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에 통풍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통풍구(146) 및 제2 통풍구(148)를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creen cylinder 140 of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may be formed in a double wall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In the case of such a double wall, other effects besides merely implementing a light weigh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130, the first ventilation hole 146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48 may b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to prevent light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이중벽 구조의 스크린 통(140)에서는 내벽(142)에 제1 통풍구(146)를 형성하고 외벽(144)에는 제2 통풍구(148)를 형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풍구(146)와 제2 통풍구(148)가 상호 겹치지 않게, 즉 어긋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Specifically, in the screen case 140 having the double wall structure, the first ventilation hole 146 is formed in the inner wall 142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148 is formed in the outer wall 144. As shown in the figure, 146 and the second vent hole 148 do not overlap each other, that is, they are shifted from each other, so that ligh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통(140)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내용으로 설명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또는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에도 혹은 제1 또는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에만 통풍구가 형성될 수가 있다.The first or second eyepiece plate 120 or 121 or the first or second eyepiece plate 120 or 121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in the screen cylinder 14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ventilation hole only.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는 메인 몸체(110)와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들(120, 121)이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130 and 131 are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120 and 121,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rance of external light while the eyepiece plates 120 and 121 are spaced apart.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통(140)의 사이즈가 후방으로 점차 늘어나며, 전후 방향으로 늘었다가 줄어들 수 있지만, 반대로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도록 할 수도 있고, 스크린 통의 사이즈가 늘어나다가 줄어들게 하던지 그 반대로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screen cylinder 140 gradually increases rearward and increases or decrea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the size of the screen cylinder may be gradually decreased or the size of the screen cylind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t is possible.

또한, 스크린 통(1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메인 몸체(110)와 접안 플레이트(120)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external light on four sides for immersion, the screen cylinder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eyepiece plate 120 in such a manner as not to seriously interfere with the immersion, It may be partially block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7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는 메인 몸체(110),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 그리고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130, 131)를 포함하며, 추가로 후면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he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110, first and second eyepieces 120 and 121, and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130, 131, and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150.

후면 커버(150)는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동안 메인 몸체(110)에서 아래로 늘어져 사용될 수 있다. The rear cover 150 may be used to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120 and 121 and may be used to hang down the main body 110 while the user wears it.

후면 커버(150)를 메인 몸체(110)에 형성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를 보호하는 것 외에 가상현실의 컨텐츠와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 발생부(170)를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다.When the rear cover 150 is formed on the main body 110,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s 120 and 121, an odor generating unit or wind A wind generating part 170 for generating the wind generating part 170 can be additionally formed.

또한, 가상현실 기능을 더욱 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 이격 상태의 가상현실 장비를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60)는 일반 마스크의 귀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접안 플레이트(120)의 양측에 준비되었다가, 사용자의 편의를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고정 부재(160)는 안경 걸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탄성 밴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more realistically realize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160 that can fix the virtual reality equipment in a separated state to the user's face. The fix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arring of a general mask and is usually prepared on both sides of the eyepiece plate 120 and may be pulled backward to the user's ears and hooked to the user's ear. Of course, the fixing member 16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pectacle hanger,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astic band fixed to the user's hea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다.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접안 플레이트(120)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1)가 상호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120, 121)는 하나의 평판에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호 각도나 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가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eyepiece plate 120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121 may be connect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s 120 and 121 are provided on one flat plate, they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adjusting mutual angles and distanc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10는 도 9의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olding virtual reality apparatus of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200)는 메인 몸체(210),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220, 221), 그리고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 231)를 포함한다. 9 and 10, the foldable virtual realit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210, first and second eyepieces 220 and 221, and first and second screens 220, (230, 231).

메인 몸체(210)는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2)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214)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220, 221)는 접안 렌즈(222)를 각각 포함한다.The main body 210 includes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212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214 and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220 and 221 each include an eyepiece 222.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230, 231)는 원뿔대 형상의 광차단 스크린(240) 및 광차단 스크린(240)의 형상 및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스프링 형상의 거리 조절부(235)를 포함한다. 거리 조절부(235)는 스프링 형상의 금속 지지대로 형성되어 광차단 스크린(240)을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지지하며, 접안 플레이트들(220, 221)을 이격 상태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s 230 and 231 include a truncated light blocking screen 240 and a spring shaped distance adjusting unit 235 for adjusting the shape and spacing distance of the light blocking screen 240 . The distance adjusting unit 235 may be formed of a spring-shaped metal support to support the light blocking screen 240 internally or externally, and to move the eyepiece plates 220 and 221 in a spaced state.

광차단 스크린(240)은 메인 몸체(210) 및 접안 플레이트들(220, 221) 사이에 개재되며, 접안 플레이트(220, 221)가 이격 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차단 스크린(240)은 신축성이 뛰어나 암막 직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미세한 주름을 갖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The light blocking screen 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eyelet plates 220 and 221 so that external light can be blocked while the eyelet plates 220 and 221 are spaced apart.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hielding screen 240 is excellent in stretchability and can be provided as a dark-colored fabric. Alternatively, the light shielding screen 240 may be provided in a bellows shape having fine wrinkles, or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또한, 광차단 스크린(240)은 몰입도를 위해 외부 광을 4면에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개방되더라도 몰입도를 심각하게 방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메인 몸체(210)와 접안 플레이트(220) 사이를 부분적으로 개방하거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ght blocking screen 240 may also be configured to block external light on four sides for immersion bu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eyepiece 220 in a manner that does not significantly interfere with immersion, May be partially opened or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200: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110, 210:메인 몸체
120,220 : 제1 접안 플레이트 121,221 : 제2 접안 플레이트
130, 231 :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131, 231 :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140 : 스크린 통 150 : 후면 커버
160 : 고정 부재 170 : 바람 발생부
100, 200: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110, 210: main body
120, 220: first eyepiece plate 121, 221: second eyepiece plate
130, 231: a first screen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131, 231: a second screen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140: screen tube 150: rear cover
160: fixing member 170: wind generating unit

Claims (13)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상기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가 상기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first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first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lash and movable between a close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ed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And
A second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able between a close contact state in which the second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ing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which are stacked and fixed to each other while being rearward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re capable of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fun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whe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re in the spaced apart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barrel is formed in a double wall structure includ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spaced from the inner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통은 상기 내벽에 형성된 제1 통풍구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제2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풍구 및 상기 제2 통풍구는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reen tube includes a first vent hole formed in the inner wall and a second vent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wherein the first vent hole and the second vent hole are mutually shifted to block light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Foldable virtual reality equipment.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제1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상기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밀착 상태 및 상기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거리 조절부 및 상기 메인 몸체와 상기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상기 이격 상태에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광차단 스크린은 뿔대 형상의 암막 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 조절부는 뿔대 형상의 상기 광차단 스크린을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지지하는 스프링 형상의 금속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nd a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first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reality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
A first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lash and movable between a close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ed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And
A second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able between a close contact state in which the second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ing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The screen and the distance-
A distance adjuster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yepiece plate for moving the eyepiece plate between the close contact state and the spaced state and a distance adjusting unit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yepiece plate, And a light blocking screen for blocking the entrance of light,
Wherein the light shielding screen comprises a truncated arcuate fabric and the distance adjuster is a spring-shaped met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truncated light shielding screen inside or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상기 밀착 상태에서 상기 접안 플레이트의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ar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eyepiece plate in the close contact state of the eyepiece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 냄새 발생부 또는 바람 발생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odor generating unit or a wind generating unit is mounted on the rear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상현실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상현실 장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module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reality displays.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안 플레이트가 상기 이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증강현실 장비.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display, a second display, and at least one camera module;
A first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 first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lash and movable between a close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ed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And
A second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able between a close contact state in which the second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ing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ember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which are stacked and fixed to each other while being rearward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eyepiec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ugmented reality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메인 몸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접안 플레이트;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접안 플레이트;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1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 및
상기 메인 몸체 및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메인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가 밀착된 밀착 상태 및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이격 상태 간에 상기 제2 접안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 및 거리 조절 부재는 상호 포개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복수의 스크린 통을 포함하는 접이식 영상시청 장비.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A first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 second eyepiece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A first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eyelash and movable between a close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ed state in which the first eyepiece plate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tance adjusting member; And
A second scree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eyepiece plate and movable between a close contact state in which the second eyepiec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main body and a spacing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And a distance adjustment memb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nd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cylinders which are stacked and fixed to each other while being rearward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0643A 2016-08-08 2016-08-08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KR101868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43A KR101868223B1 (en) 2016-08-08 2016-08-08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43A KR101868223B1 (en) 2016-08-08 2016-08-08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24A Division KR20180017062A (en) 2018-01-09 2018-01-09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19A KR20180016819A (en) 2018-02-20
KR101868223B1 true KR101868223B1 (en) 2018-06-15

Family

ID=6139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643A KR101868223B1 (en) 2016-08-08 2016-08-08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27A (en) * 2018-03-15 2019-09-25 민상규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3619A (en) * 2006-07-18 2009-12-10 イェリコフ・ウルリッヒ System for displaying the virtual environment
KR20140078237A (en) * 2012-12-17 2014-06-25 (주)이재경스튜디오 Head mounted display
KR20150027651A (en) * 2013-09-04 2015-03-12 (주)판도라나인 Head mounted device for installing smartphone
KR101579130B1 (en) * 2014-07-31 2015-12-21 이현호 Portable head-mounted display control
US20160062125A1 (en) * 2014-09-01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20160024168A (en)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KR20170123066A (en) * 2016-04-28 2017-11-07 민상규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672A (en) * 2009-12-30 2011-07-07 전자부품연구원 Virtual reality capsule system
KR20130072315A (en)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Obstuclor of zabara type
KR101616966B1 (en) * 2015-01-09 2016-04-29 주식회사 한국이엔티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having self generating structure
KR101639744B1 (en) * 2015-07-03 2016-07-15 (주)디엔알엔지니어링 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43619A (en) * 2006-07-18 2009-12-10 イェリコフ・ウルリッヒ System for displaying the virtual environment
KR20140078237A (en) * 2012-12-17 2014-06-25 (주)이재경스튜디오 Head mounted display
KR20150027651A (en) * 2013-09-04 2015-03-12 (주)판도라나인 Head mounted device for installing smartphone
KR101579130B1 (en) * 2014-07-31 2015-12-21 이현호 Portable head-mounted display control
KR20160024168A (en) * 2014-08-25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20160062125A1 (en) * 2014-09-01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20160026557A (en)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170123066A (en) * 2016-04-28 2017-11-07 민상규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19A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153B1 (en)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CN107003523B (en) Immersion based on micro-display wears view device
JP2022114466A (en) virtual reality cell phone
US9405126B1 (en)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KR20150027651A (en) Head mounted device for installing smartphone
US20100289725A1 (en) Apparatus for holding an image display device for viewing multi-dimensional images
KR101851851B1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101868223B1 (en)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CN205404973U (en) Cell -phone bore hole 3D sees shadow box with control form image synthesis lens and control eye -shade worn -out fur
KR20180017062A (en)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KR20170128165A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101997318B1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20170128067A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101706015B1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20180004069A (en)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KR20170128066A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JP4399789B2 (en) 3D image viewing glasses
US201601319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atial depth effect of image information present in a 2d image area
CN117295994A (en) Headset device with modular lens assembly
KR20170016645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2016170207A (en) Moving image browsing device
KR20170056260A (en)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JP2011203411A (en) Stereoscopic image-vie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