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860B1 -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860B1
KR101867860B1 KR1020170020988A KR20170020988A KR101867860B1 KR 101867860 B1 KR101867860 B1 KR 101867860B1 KR 1020170020988 A KR1020170020988 A KR 1020170020988A KR 20170020988 A KR20170020988 A KR 20170020988A KR 101867860 B1 KR101867860 B1 KR 10186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washing
cook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나정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8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provides a simple configuration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entire processes of inputting, washing, and cooking the rice while cooking the amount of rice appropriate for a single consumer in each container in a quantitative manner, thereby providing meals for multiple consumers in a place such as a restaurant and enhancing user convenience.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rice storage unit, a rice washing unit, and a cooking unit. The rice washing unit includes: an inlet unit connected to the rice storage unit;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rice input through the inlet unit;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rice washed by the washing unit; and an outlet for supply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Description

자동 취사장치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0001]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of feeding, washing and cooking rice by a simpl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tering apparatu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such as a restaurant, should provide a meal.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쌀로 만든 밥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모든 가정 또는 식당에는 전기밥솥 또는 압력밥솥 등의 밥을 짓기 위한 취사도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Since ancient times, Korea has made rice made from rice. Therefore, all households or restaurants in Korea are equipped with cooking utensils for cooking rice such as an electric rice cooker or a pressure cooker.

취사도구를 통한 밥짓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쌀통에 보관되어 있는 쌀을 인원수에 맞추어 세척하는 공정과, 세척된 쌀을 취사도구에 넣고 열을 가하여 밥을 하는 공정 및 취사 완료된 밥을 취사도구에서 퍼내어 그릇에 담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모든 공정을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밥을 짓는 과정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The rice cooking process through the cooking tool generally includes a process of washing the rice stored in the rice cask to the number of people, a process of putting the washed rice into the cooking device and heating the rice, and a process of cooking the cooked rice from the cooking device However, conventionally, all of these steps must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user, which causes a disadvantage that the process of cooking rice becomes troublesome.

또한 일반적으로 한 번에 몇 인분의 밥을 짓는 경우에는 필요한 쌀의 양을 경험칙에 의하여 결정하게 되므로, 그 양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Also, in general, when the rice is cooked several times at a time, the amount of rice required is determined by the rule of empirical rule.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밥을 짓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도구가 다수 출원되어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522호에는 전자동조리기 및 이를 사용한 취사방법이 게재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ve been proposed a number of automatic cooking tools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cooking proces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32522 discloses a fully automatic cooker, Method is published.

그 중, 전자동조리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이 저장되는 쌀저장고(21)와, 상기 쌀저장고에 저장된 쌀의 세척과 취사에 사용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1)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받은 물을 사용하여 상기 쌀저장고에서 공급받은 쌀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서 쌀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서 세척된 쌀이 임시로 저장되는 중간저장고(51)와, 상기 중간저장고에 저장된 쌀을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받은 물과 함께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쌀과 물이 담겨지는 다수 개의 오븐(71)과, 상기 오븐에 담겨진 쌀과 물을 가열하여 밥을 취사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7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밥의 취사를 1인분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a fully automatic cooker is provided with a rice storage 21 for storing rice, a water tank 31 for storing water used for washing and cooking rice stored in the rice storage, A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rice supplied from the rice storage by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nk; a drain means for draining the water from which the rice has been washed by the washing means to the outside;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rice stor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 plurality of ovens (71) containing rice and water transferred by the transfer means; And a plurality of heating means 73 for heating the rice and water contained in the oven to cook the rice, so that the rice can be cooked for one person.

즉,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 개의 오븐(71)에 1인분에 해당하는 쌀과 물을 각각 투입하여 동시에 취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하나의 이송관(63)에 다수 개의 오븐(7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동시에 취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rice and water corresponding to one person are supplied to a plurality of ovens 71,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cooked at the same time. However, one conveying pipe 6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vens 71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ok a large amount of rice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어수단에 의해 각 오븐에 투입되는 쌀과 물의 양을 제어하는 것으로 게재되어 있으나, 하나의 이송관(63)을 통과하는 쌀과 물을 이송관(63)에 각각 연결 설치된 다수 개의 오븐(71)에 정량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오븐에 쌀과 물을 모두 투입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취사가 진행되므로, 각 오븐에서 취사된 밥의 익힘 정도가 모두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The rice and water passing through one conveyance pipe 63 are connected to the conveyance pipe 63, respectively, and the rice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conveyance pipe 63, It is not easy to quantitatively put in a plurality of ovens 71. In addition, since cooking is performed all at once in a state where both rice and water are put into each oven, the degree of cooking of cooked rice in each oven is different There is also a problem.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2522호(2006. 04.. 17.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32522 (published on April 17, 2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구조적으로 밥 1인분의 양에 해당되는 쌀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rice, which is structurally equivalent to one serving of rice, Thereby providing a coo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쌀 저장부의 하부에 다리부재와 바퀴부재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member and a wheel member at the lower part of the rice storage part to facilitate the joining and separation of the rice storage part,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plenish rice and to clean the rice storage part and to easily move the rice storage part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n automatic cooking device for allowing the cooking device to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취사부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oking in the cooking section to be performed individually and continuously, so that a large amount of rice can be quickly cooked while being cooked quantitatively for one person at a time, and a planned cooking is possible. Therefore, unnecessary waste of r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oo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food to be cooke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쌀 저장부, 쌀 세척부 및 취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취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부는, 쌀 저장부에 연결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취사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ice washing unit, and a cooking unit, wherein the rice washing unit comprises a charging port connected to the rice storage unit,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upply of the rice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port,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rice washed in the cleaning unit, and an outlet for supply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cooking unit, .

이때, 상기 쌀 저장부는 내측에 쌀이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세척부에는 상기 다리부재 및 바퀴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ice storage portion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rice is housed inside, a plurality of leg member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wheel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leg member and the wheel member.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motor, a first cam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a second cam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m member, A first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ice to the washing unit, and a second moving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shaft for moving th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first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the first blocking member.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제1캠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세척부로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ving plate and the first blocking member to accommodate the ric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section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first cam member.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제1제어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쌀을 세척시키는 세척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ice introduc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a firs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to supply water used for washing ric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for discharging water used for washing the rice.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한 취사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s a third motor, a second cam member connected to the third motor, and a second cam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am member, A second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ice to the cooking unit through the outlet and a second moving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shaft,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movement of the second blocking member.

또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제2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so that the rice washed in the washing unit can be accommodated for one serving.

그리고, 상기 취사부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1인분씩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과, 상기 그릇의 내측으로 1인분의 쌀을 투입시키는 쌀 공급부 및 상기 쌀 공급부에 의해 쌀이 투입된 그릇에 물을 투입시키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utensil includes a turntable, a plurality of heating mean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rntable, a bowl plac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means so as to cook rice for one person,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wl into which the rice is introduced by the rice supply unit.

이때, 상기 쌀 공급부는, 취사부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 그릇의 상부에 위치되는 곳에 쌀이 투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치되고, 쌀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정량그릇과, 상기 정량그릇에 연결 설치되어 정량그릇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ce supply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fixed to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uni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rice is dropped at a position located on an upper end of the rice cooking unit, And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quantitative container to allow the quantitative container to reciprocate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wherein the quantitative container includes: .

또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그릇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의 상부에 그릇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그릇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upper part of the cooking part is provided with a bowl feeding part for receiving the bowl therein and dropping the bowl one by one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means rotating by the turntable.

그리고,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뚜껑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그릇의 상부에 뚜껑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뚜껑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d supply unit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unit, and the lid is hou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rotated by the turn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밥 1인분에 해당되는 양의 쌀을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취사하더라도 균질한 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취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rice equivalent to one serving of rice can be structurally and accurately supplied without using any separate control means, so that homogenous rice can be obtained even if cooked for one person, So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쌀 저장부의 하부에 다리부재와 바퀴부재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member and a wheel member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ice storage unit to enable the rice storage unit to be coupled and separated, thereby simplifying the supplementing of rice and the cleaning of the rice storage unit, And further has an effect of being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사부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oking in the cooking section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and continuously, so that a large amount of rice can be quickly cooked while being cooked quantitatively for one serving, and planned cooking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 of the battery.

도 1은 종래의 전자동조리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저장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세척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취사부의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ully automatic cook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the rice stor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the rice wash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5 (a) and 5 (b)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6 (a) and 6 (b)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econd control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oo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저장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쌀 세척부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b)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2제어부의 작동관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취사부의 모습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the rice stor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 and 5 (b)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Figs. 6 (a) and 6 FIG.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o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IG.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쌀 저장부(100), 쌀 세척부(200) 및 취사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whole process of feeding, washing and cooking rice by a simple constitution, and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ook one person's rice in an individual container, The rice cooker 200 and the cooker 300 as shown in FIG. 2. The automatic cooker 10 includes a rice storage unit 100, a rice washing unit 200, and a cooking unit 30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쌀 저장부(100)는 밥을 짓기 위한 쌀을 저장하기 위한 곳으로, 자동 취사장치(10)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쌀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쌀 세척부(2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ice storage unit 100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rice for cooking rice, and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200). ≪ / RTI >

이때, 상기 쌀 저장부(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10), 몸체부(120), 다리부재(130) 및 바퀴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몸체부(12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부(122)와 배출부(124)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쌀을 투입시키거나 내측에 수용된 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3, the rice storage unit 100 includes a lid 110, a body 120, a leg 130, and a wheel 140. The body 100, 120 are formed with an opening 122 and a discharge portion 124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ri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r the rice housed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몸체부(120)의 상단에는 덮개부(1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덮개부(110)는 몸체부(120)의 개구부(1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덮개부(110)의 상부에는 제1손잡이(112)가 구비되고, 몸체부(120)의 개구부(122)에는 단턱부(122a)가 형성되어 덮개부(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d 11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20. The lid 11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22 of the body 120, The first handle 11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10 and the step 122a is formed on the opening 122 of the body 120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cover 110.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외측에는 두 개 이상의 제2손잡이(12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손잡이(126)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몸체부(12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쌀 저장부(100)를 자동 취사장치(10)에 결합시키거나 자동 취사장치(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second knobs 12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knob 12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part 120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lift the body part 120 And can be used when the rice storage section 100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or is detached from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10)는 주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식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식당 또는 구내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부(120) 내측으로의 쌀 보충 또는 몸체부(120)의 세척이 빈번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쌀 저장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restaurant or an on-site restaurant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eat at the same time, and the automatic replenishing of rice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20, The rice storage section 100 can be easily cleaned and removed, and the rice storage section 100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재(130)의 하부에는 바퀴부재(140)가 결합되는데, 상기 다리부재(130)는 후술할 쌀 세척부(200)의 지지부(210)에 형성된 수용홈(2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쌀 저장부(100)가 쌀 세척부(2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바퀴부재(140)는 다리부재(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쌀 세척부(200)가 분리된 경우 쌀 세척부(200)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are provided under the body 120 and a wheel member 14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g member 130. The leg members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2 formed in the supporting part 210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upports the rice storage part 100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And the wheel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member 13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rice washing unit 200 when the rice washing unit 200 is detached.

이때, 상기 다리부재(130)는 몸체부(120)의 하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2 ~ 4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20도 간격으로 세 개의 다리부재(13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g members 130 may be installed at 2 to 4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20.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ree leg members 130.

한편, 상기 쌀 저장부(100)의 내측에는 밥을 짓기 위한 쌀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쌀 이외에도 보리, 현미, 콩 등 다양한 곡식이 혼합되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he rice for storing rice is stored inside the rice storage part 100,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grains such as barley, brown rice, and soybean may be mixed and stored in addition to rice.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부(124)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쌀 저장부(100)로부터 쌀 세척부(200)로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oo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124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20 to selectively move the rice supplied from the rice storage part 100 to the rice washing part 200 .

다음, 상기 쌀 세척부(200)는 쌀 저장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쌀을 세척하여 취사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쌀 세척부(200)의 외측에는 쌀 저장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다.The rice washing unit 2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ice storage unit 100 to wash rice supplied from the rice storage unit 100 and supply the washed rice to the cooking unit 300. First, A support part 210 for supporting the rice storage part 10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rt 20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쌀 저장부(100)는 쌀 세척부(200)의 상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므로 쌀 저장부(100)의 외측에는 쌀 세척부(200)에 구비된 다리부재(130) 및 바퀴부재(14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지지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0)에는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212)의 내측으로 쌀 저장부(100)의 다리부재(130)와 바퀴부재(14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ice storage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so as to be removable, the rice washing part 20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ice storage part 100 The support member 210 is formed with a number of support portions 2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eg members 130 and the wheel member 140. The support member 210 has a receiving groove 212 formed therein, The leg member 130 and the wheel member 140 of the rice storage unit 100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쌀 세척부(2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220), 제1제어부(230), 세척부(240), 제2제어부(250) 및 배출구(2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상기 투입구(220)는 쌀 세척부(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쌀 저장부(100)의 몸체부(120) 하단에 형성된 배출부(124)와 연결되는 것으로, 쌀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쌀 세척부(2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4, the rice washing unit 200 further includes an inlet 220, a first controller 230, a cleaner 240, a second controller 250, and an outlet 260 The inlet 22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and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art 12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20 of the rice storage part 100. The rice storage part 100 to the inner side of the rice washing unit 200.

이때, 상기 투입구(220)의 내측에는 투입구(220)를 통해 쌀 세척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쌀이 이동하는 투입통로(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투입통로(222)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일정한 기울기 즉,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n inlet passage 222 through which the ric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rice washing section 200 moves is formed through the inlet port 220 inside the inlet port 220. The inlet passage 22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slope, i.e., a downward slope.

즉, 상기 투입통로(222)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220)를 쌀 세척부(20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하고 투입구(220)에 연결 설치되는 투입통로(222)를 쌀 세척부(200)의 중심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쌀 저장부(100)로부터 쌀 세척부(200)로의 쌀 투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4, the inlet 220 is provided so as to be eccentrically arranged from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to the other side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In other words, the inlet passage 22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And the inlet passage 222 connected to the inlet 220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rice washing section 200 so that the rice introduction from the rice storage section 100 to the rice washing section 200 is smooth And so on.

다음, 상기 제1제어부(230)는 투입구(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구(220) 및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되는 쌀이 세척부(24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first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supply of rice to the washing unit 240 through the inlet 220 and the inlet 222 at the lower part of the inlet 220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부(230)는 제1모터(231), 제1캠부재(232), 제1구동축(233), 제1차단부재(234) 및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모터(231)는 제1캠부재(232)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캠부재(232)는 제1모터(231)와 제1구동축(23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모터(2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1구동축(233)을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unit 230 includes a first motor 231, a first cam member 232, a first drive shaft 233, a first blocking member 234, and a first moving plate 235, The first motor 231 is connected to the first cam member 232 and serves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cam member 232. The first cam member 232 is connected to the first cam member 232, 23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motor 231 and the first drive shaft 233 and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motor 231 and rotates to reciprocate the first drive shaft 233.

이때, 상기와 같은 모터와 캠 구조에 의해 구동축을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은 여러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for reciprocating the drive shaft by the motor and the cam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상기 제1구동축(233)은 제1캠부재(232)와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제1구동축(233)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232)의 회전에 의한 제1구동축(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투입통로(222)와 세척부(240) 사이에 연결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세척부(240)로의 쌀의 투입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first drive shaft 233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am member 232 and the first moving plate 235 and reciprocates left and right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first cam member 232, The first moving plate 23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23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late 235 by the first cam member 232, And controls whether or not the rice is put into the cleaning unit 240 by selectively opening the passage connected between the feeding passage 222 and the cleaning unit 240 by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drive shaft 233. [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234)는 제1구동축(233)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통로(222)를 통해 공급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shaft 233 to selectively block the movement of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eeding passage 222.

즉, 상기 제1제어부(230)는 투입구(220)를 통해 쌀 세척부(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투입통로(222)를 통해 이동하여 세척부(240)로 투입되는 쌀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부(240)의 입구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이동플레이트(235)에 의해 세척부(240)로 유입되는 쌀의 이동을 차단하고, 제1모터(231)에 의해 구동되는 제1캠부재(232)의 회전시 발생되는 제1구동축(233)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부(240)로 유입되는 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first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flow of rice introduced into the ric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inlet port 220 and moving through the feeding path 222 to the washing unit 240 The first moving plate 235 is provided adjacent to the inlet of the washing unit 240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rice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240 and the first motor 231 The position of the first moving plate 235 can be adjust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shaft 233 generated when the first cam member 232 is driven to rotat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ric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unit 24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차단부재(234)와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쌀이 이동하는 통로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투입통로(222)를 통해 유입되는 쌀이 세척부(24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and the first moving plate 235 ar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ice moves, so that th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feeding passage 222 is washed And blocks the movement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portion 240.

또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와 제1차단부재(234)의 사이에는 제1수용공간(23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수용공간(236)에는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된, 즉 세척부(240)로 투입되기 직전의 쌀이 수용된다.A first accommodating space 23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ving plate 235 and 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6 is formed with a through- That is, the rice immediately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cleaning part 240 is accommodated.

한편,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세척부(240)의 입구 사이에는 쌀이 이동하는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35)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방향 통로(237)를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제1캠부재(232)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축(233)이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수직방향 통로(238)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제1수용공간(236)으로 투입되는 쌀들이 개방된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5 (a) and 5 (b), a horizontal passage 237 and a vertical passage 237, through which the rice moves, are provided between the end of the charging passage 222 and the inlet of the cleaning portion 240 The first moving plate 235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passage 237 to block the horizontal passage 237 and the first cam member 232 The first drive shaft 233 moves the first moving plate 235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passage 238 so that the horizontal passage 237 and the vertical passage 23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ric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236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40 through the opened vertical passage 238.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즉 제1이동플레이트(235)의 후단부와 제1차단부재(234)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큰 경우에는 수직방향 통로(238)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1이동플레이트(235)를 이동시키면, 제1차단부재(234)에 의해 투입통로(222)의 단부가 차단되어 쌀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만이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assage 237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6,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first moving plate 235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When the first moving plate 235 is moved to open the vertical passage 238, the end of the feeding passage 222 is blocked by 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Only the rice contain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6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40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238.

즉,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제1캠부재(232)가 1회전하는 동안 세척부(240)로 투입되는 양을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로 한정하는 경우, 제1수용공간(236)의 부피에 의해 세척부(240) 내측으로 투입되는 쌀의 양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rice that has been structurally loaded into the cleaning unit 240 during one rotation of the first cam member 232 is limited to the rice contain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36, The amount of rice to be injected into the washing unit 240 can be determined by the volume of the space 236.

본 발명에서는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수직방향 통로(238)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차단부재(234)에 의해 투입통로(222)의 단부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 사이를 차단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투입통로(222)를 통해 투입되는 쌀이 연속적으로 세척부(24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도 5의 (a),(b) 참조), 필요에 따라서는 투입통로(222)의 단부와 수직방향 통로(238)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 통로(237)의 길이가 제1수용공간(236)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구동축(233)의 구동에 의해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수평방향 통로(237)와 수직방향 통로(238)를 개방시키는 경우 제1차단부재(234)가 투입통로(222)의 단부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제1수용공간(23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쌀만이 수직방향 통로(238)를 통해 세척부(240)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assage 237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closing passage 222 and the vertical passage 238 i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36, 234 prevents the first moving plate 235 from blocking the horizontal path 237 and the vertical path 238 even when the end of the closing path 222 is not blocked, 5 (a) and 5 (b)), the rice may be supplied continuously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unit 240 The first moving plate 235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shaft 233 so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assage 237 form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8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38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36. [ When the passage 237 and the vertical passage 238 are opened, the first blocking member 234 is closed by the closing passage 2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ice that has been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block to the end portion by the first receiving space (236)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part 240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238. The

다음, 상기 세척부(240)는 제1제어부(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제어부(230)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는 쌀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부(242), 제1급수관(244), 세척수단(248) 및 배수관(2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shing unit 24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control unit 230 and serves to wash the rice supplied 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230. The washing unit 240 includes a receiving unit 242, (244), a cleaning means (248), and a drain pipe (246).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용부(242)는 제1제어부(230)를 통해 공급되는 쌀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수용부(242) 내측에 일정량 이상의 쌀을 모은 상태에서 세척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portion 242 may be cleaned by colle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rice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242 into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troller 230,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

다음, 상기 제1급수관(244)은 수용부(242)에 연결 설치되어 쌀이 세척에 필요한 물을 수용부(242) 내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급수관(244)에는 제1밸브(244a)가 구비되어 수용부(242) 내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42 and supplies water required for washing rice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242.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A valve 244a is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2. [

다음, 상기 세척수단(248)은 수용부(242)의 내측에 설치되어 쌀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모터(248a), 회전봉(248b) 및 세척날개(248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shing means 248 i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42 to wash the rice. The washing means 248 includes a second motor 248a, a rotating rod 248b, and a washing blade 248c.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 세척부(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제2모터(248a)를 구동시키면, 제2모터(248a)에 연결 설치된 회전봉(248b)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봉(248b)의 단부에 연결 설치된 다수의 세척날개(248c)들이 회전하면서 수용부(242) 내측에 수용된 쌀을 제1급수관(244)을 통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4, when the second motor 248a fixed to the inside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is driven, the rotation rod 248b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248a rotates, The plurality of washing vanes 248c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248b are rotated to wash the ric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42 by us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

다음, 상기 배수관(246)은 수용부(24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246)에는 제2밸브(246a)가 구비되어 배수관(246)을 통한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rain pipe 246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42 to discharge the water used for washing rice to the outside. The drain pipe 246 is provided with a second valve 246a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246.

또한, 상기 배수관(246)의 입구부, 즉 수용부(242)와 배수관(246) 사이의 연결부에는 거름망(246b)이 설치되어 수용부(242) 내부의 쌀이 배수관(24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drainage pipe 246b is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let 242 of the drainage pipe 246 and the drainage pipe 246 so that the rice inside the storage 242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pipe 246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수용부(242)의 하단부 즉, 세척된 쌀이 배출되는 통로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세척이 완료되지 않은 쌀이 제2제어부(25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door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42, that is,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hed rice is discharged, to prevent the rice, which has not been clean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econd controller 250 .

즉, 제1제어부(230)를 통해 수용부(242)의 내측에 일정 량의 쌀이 수용되면, 제1제어부(230)의 제1모터(231)를 작동하여 제1이동플레이트(235)가 다시 수평방향 통로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쌀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제1밸브(244a)를 개방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해 쌀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수용부(242)의 내측으로 투입시킨다.That is, when a certain amount of ric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42 through the first controller 230, the first motor 231 of the first controller 230 is operated to move the first moving plate 235 The supply of the rice is stopped by turning off the horizontal passage again and the water for washing the rice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42 by opening the first valve 244a .

이때, 배수관(246)에 구비된 제2밸브(246a)는 닫힘 상태에 있도록 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246a provided in the water discharge pipe 246 is kept in the closed state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does not escape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246.

상기 수용부(242)의 내측에 쌀을 세척시킬 만큼의 충분한 유입되면, 제1밸브(244a)를 차단하여 제1급수관(244)을 통한 물의 유입을 중단시키고, 제2모터(248a)를 구동하여 세척날개(248c)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242)에 수용된 쌀을 세척하게 된다.The first valve 244a is shut off to stop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and the second motor 248a is driven So that the washing blade 248c is rotated to wash the rice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242. [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관(246)에 구비된 제2밸브(246a)를 개방하여 세척에 사용된 물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배수관(246)의 입구부에 구비된 거름망(246b)에 의해 쌀이 배수관(246)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When the washing of the rice is completed, the second valve 246a provided in the drain pipe 246 is opened to allow the water used for washing to escape through the drain pipe 246. At this time, Thereby preventing the rice from escaping through the drain pipe 246 by the provided sieve 246b.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세척부(240)에서의 쌀의 세척공정이 진행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과정들을 수차례 반복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washing process of the rice in the washing unit 240 proceeds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bove processe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s needed.

다음, 상기 제2제어부(250)는 세척부(240)의 하부, 즉 세척부(240)와 배출구(2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3모터(미도시), 제2캠부재(252), 제2구동축(253), 제2이동플레이트(255) 및 제2차단부재(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upply of the cleaned rice from the cleaning unit 240 to 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unit 240, that is, between the cleaning unit 240 and the discharge port 260 (Not shown), a second cam member 252, a second driving shaft 253, a second moving plate 255,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254.

이때, 상기 제3모터, 제2캠부재(252), 제2구동축(253), 제2이동플레이트(255) 및 제2차단부재(254)의 구성은 전술한 제1제어부(230)의 구성들과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한 것으로, 제3모터는 제2캠부재(252)에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25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캠부재(252)는 제3모터와 제2구동축(253)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3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제2구동축(253)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motor, the second cam member 252,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the second moving plate 255,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254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trol unit 230 The third mo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m member 252 and serves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econd cam member 252, and the second cam member 252 252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motor and the second drive shaft 253 and rotates by driving the third motor to reciprocate the second drive shaft 25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55)는 제2구동축(253)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차단부재(254)는 제2구동축(253)의 외측에 결합되어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second moving plate 25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washed rice in the washing unit 240. The second blocking plate 254,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rice washed in the washing unit 240.

그리고,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55)와 제2차단부재(254)의 사이에는 제2수용공간(25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공간(256)의 내측에는 세척부(240)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만 수용된다.A second accommodating space 256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255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254.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56 is provided with a cleaning part 240, Only one serving of rice is accepted.

즉, 도 6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와 쌀을 취사부(300)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60)의 사이에는 수평방향 통로(257)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방향 통로(257), 즉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와 배출구(260) 사이의 길이는 제2수용공간(256)의 폭, 즉 제2이동플레이트(255)와 제2차단부재(254)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되어 제3모터의 구동에 의한 제2캠부재(252)의 회전시 제2구동축(253)의 이동에 의해 제2이동플레이트(255)가 배출구(260)의 상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제2구동축(253)의 외측에 결합된 제2차단부재(254) 또한 배출구(2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세척부(240)로부터 쌀이 배출되는 통로를 밀폐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캠부재(252)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되는 쌀의 양은 제2수용공간(256)에 수용된 쌀로 제한되는 것이다.6 (a) and 6 (b), betwee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ice is discharged from the cleaning section 240 and the discharge port 260 for discharging the rice to the cooking section 300, And the length betwee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ice is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passage 257, that is, the cleaning portion 240, and the discharge port 26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56,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255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254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255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254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m member 252 by the driving of the third motor. The second blocking member 254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is also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260 so that the rice is removed from the washing unit 240 The amount of ric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0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m member 252 is reduc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5 6).

그에 따라, 제2수용공간(256)의 부피를 1인분의 쌀을 수용할 수 있는 부피로 한정함으로써 제2캠부재(25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구(260)를 통해 배출되는 쌀의 양을 구조적으로 1인분으로 정량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limiting the volum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56 to a volume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serving of rice, the amount of ric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60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second cam member 252 It can be structurally quantified as one person.

상기 제2캠부재(252)의 1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2구동축(253)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제2수용공간(256)에 새로운 쌀 1인분이 수용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제2캠부재(252)가 1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2제어부(250)를 통해 1인분 씩의 세척된 쌀이 배출구(260)로 배출된다.When the second rotation of the second cam member 252 is completed, the second driving shaft 25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one minute of fresh ric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56, The washed ric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60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250 every time the second cam member 252 makes one rotation.

다음, 상기 배출구(260)는 제2제어부(2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제어부(250)를 통해 공급되는 쌀을 취사부(300) 내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discharge port 26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o discharge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unit 300.

한편, 상기 취사부(300)는 쌀 세척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쌀 세척부(200)를 통해 세척되어 1인분씩 공급되는 쌀을 개별적으로 그릇(332)에 수용하여 취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310), 가열수단(320), 쌀 공급부(350) 및 제2급수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cooking unit 3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ice washing unit 200 and serves to individually receive the rice, which is washed through the rice washing unit 200 and supplied for one person, into the bowl 332, And includes a turntable 310, a heating means 320, a rice feeder 350,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턴테이블(310)은 취사부(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속적인 회전 구동에 의해 연속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turntable 31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unit 300, and serves to enable continuous cooking by continuous rotational driving.

또한, 상기 가열수단(320)은 턴테이블(310)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짓기 위한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의 가열수단(320)이 턴테이블(310) 상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취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heating means 320 is provided on the turntable 310 to supply heat for cooking rice and a plurality of heating means 320 are disposed on the turntable 310 So that they can be individually cooked.

즉, 종래의 자동 취사장치들은 세척된 쌀을 한꺼번에 커다란 밥솥 등에 넣고 동시에 가열하거나, 작은 용기에 1인분씩의 쌀을 담더라도 이들을 한꺼번에 가열하여 동시에 밥을 짓기 때문에 밥의 양을 인원수에 맞추어 정확하게 하기 어렵거나, 많은 양의 밥을 짓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턴테이블(310)과 그 상부에 안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320)으로 인해 연속적이고도 개별적인 밥 짓기가 가능하게 되므로, 인원수에 맞는 양의 밥을 정확히 하면서도 밥을 짓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es, since the washed rice is put into a large rice cooker at the same time and heated simultaneously, or even if the rice is contained in a small container, the rice is cooked at the same time to heat the cooked rice at the same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rntable 310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means 320 placed on the turntable 310 are continuously and individually cooked, the disadvantages such as the difficulty or the time consuming to make a large amount of r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cook rice accurately while keeping the amount of rice suitable for the number of people.

다음, 상기 쌀 공급부(350)는 각각의 가열수단(320) 상부에 안치되는 그릇(332), 즉 1인용 밥 그릇(332)의 내측으로 1인분 씩의 쌀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352), 정량그릇(354) 및 구동장치(3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rice supply unit 350 serves to supply one serving rice to the inside of the bowl 332, that is, the rice bowl 332 for one person, placed on each of the heating means 320, A plate 352, a metering bowl 354, and a drive device 356.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52)는 취사부(300)의 내측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정량그릇(35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정량그릇(354)은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플레이트(352)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구(260)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352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unit 300 to support the quantitative vessel 354, and the quantitative vessel 354 is connected to the rice washing unit 200 The rice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60 by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52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260 of the rice.

이때, 상기 정량그릇(354)은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52)의 일측 단부, 즉 턴테이블(310) 상에서 회전하는 그릇(332)의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관통홀(352a)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quantitative vessel 354 is open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late 352,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bowl 332 rotating on the turntable 310 A through hole 352a is formed.

다음, 상기 구동장치(356)는 정량그릇(354)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정량그릇(354)이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 하부와 지지플레이트(352)의 관통홀(352a)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피스톤 형태의 장치나 전술한 제1제어부(230)나 제2제어부(250)와 같은 모터와 캠구조를 이동한 장치(미도시)를 구동장치(356)로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driving unit 356 is connected to the quantitative bowl 354 so that the quantitative bowl 354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port 260 of the rice washing unit 200 and the through hole 352a of the support plate 352. [ (Not shown) that moves a motor and a cam structure, such as a conventional piston type device or the first control unit 230 or the second control unit 250, (356).

즉, 상기 쌀 세척부(200)의 배출구(260)로부터 세척된 쌀 1인분이 지지플레이트(352) 상에 안치된 정량그릇(354)의 내측으로 배출되면 구동장치(356)를 작동시켜 정량그릇(354)을 지지플레이트(352)의 관통홀(352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when one portion of the rice washed from the discharge port 260 of the rice washing unit 200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quantitative vessel 354 placed on the support plate 352, the driving device 356 is operated, (354)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352a) of the support plate (352).

이때, 하부가 개방된 정량그릇(354)의 형상에 의해 정량그릇(354) 내부에 수용된 쌀이 관통홀(352a)을 통해 턴테이블(310) 상의 그릇(332)으로 투하되고, 쌀의 투하가 완료되면, 다시 구동장치(356)의 구동에 의해 정량그릇(354)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턴테이블(310) 상에서 회전하는 각각의 그릇(332)에 1인분 씩의 세척된 쌀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ice contained in the quantitative bowl 354 is dropped into the bowl 332 on the turntable 310 through the through-hole 352a by the shape of the lower-opened quantitative bowl 354, The quantitative vessel 354 is returned to its home position by driving the driving device 356 again and the above procedure is repeated so that each dish 332 rotated on the turntable 310 is cleaned It will be possible to supply rice.

다음, 상기 제2급수관(360)은 취사부(300)에 연결 설치되어 쌀 공급부(350)에 의해 1인분의 쌀이 공급된 그릇(332)의 내측으로 1인분의 밥을 짓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급수관(360)에는 제3밸브(362)가 구비되어 제2급수관(360)을 통한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is connected to the cooking unit 300, and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cook rice for one perso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wl 332 to which one person's rice is supplied by the rice supply unit 350 And a third valve 362 is provid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한편, 상기 취사부(300)에는 그릇 공급부(330)와 뚜껑 공급부(3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그릇 공급부(330)는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밥을 1인분씩 짓기 위한 그릇(332)이 수용되는 것으로, 턴테이블(310)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320)의 상부에 그릇 공급부(330)의 내측에 수용된 그릇(332)을 한 개씩 투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oking utensil 300 may further include a bowl feeding part 330 and a lid feeding part 340. The bowl feeding part 330 has a hollow tube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oking part 300, A bowl 332 accommodated in the bowl feeding part 330 i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means 320 rotated by the turntable 310 so that the bowl 332, .

이때, 상기 그릇(332)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자기재는 물론 종이재도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bowl 332 may be a metal or a magnetic material, or a paper material.

그리고, 상기 뚜껑 공급부(340)는 마찬가지로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그릇(332)을 덮기 위한 뚜껑(342)들이 수용되는 것으로, 턴테이블(310)의 상부로 투하된 그릇(332)의 상부에 뚜껑(342)을 1개씩 투하하여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d feeder 340 has a hollow tube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oking cavity 300 and a lid 342 for covering the bowl 332 is housed inside the lid feeder 340, So that the lid 342 can be dropped one by on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ssel 332 that has been dropped into the vessel 332.

이때, 전체적인 밥을 짓는 공정 및 턴테이블(310)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그릇 공급부(330)가 가장 전방에 위치되고, 그릇 공급부(330)의 후방에서 쌀 공급부(350)에 의한 쌀의 투하가 이루어지며, 쌀의 투하 후 제2급수관(360)에 의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모든 과정 후에 뚜껑 공급부(340)로부터 뚜껑(342)이 투하되어 그릇(332)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e whole rice making process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turntable 310, the bowl feeding part 330 is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and the rice feeding part 350 discharges the rice at the rear side of the bowl feeding part 330 The water is supplied by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after the rice is drained and the lid 342 is dropped from the lid feeder 340 and then jo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wl 332 Do.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쌀 세척부(200) 중 일부가 취사부(30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그릇 공급부(330) 또는 뚜껑 공급부(340)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취사부(300) 상에 쌀 세척부(200)가 보다 견고히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2, a part of the rice washing part 200 may be wrapped around the bowl feeding part 330 or the lid feeding part 340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part 300,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be more firmly fixed and supported.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취사부(300)의 전면에는 투명창이나 투명 도어를 설치하여 취사부(300) 내부에서의 밥 짓는 공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parent window or a transparent doo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cooking process inside the cooking unit 300.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 취사장치(10)에 의한 취사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모터(231,248a,미도시)의 회전속도나, 제1급수관(244), 배수관(246) 및 제2급수관(360)에 각각 구비된 제1 내지 제3밸브(244a,246a,362)의 개폐, 턴테이블(310)의 회전속도, 쌀 공급부(350), 그릇 공급부(330) 및 뚜껑 공급부(34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밥을 짓기 위한 전 과정이 순차적으로 시간 지연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cooking process by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ncludes first to third motors 231 and 248a (not show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to third valves 244a, 246a and 362 provid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44, the water discharge pipe 246 and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60, the rotation speed of the turntable 310 The rice supply unit 350, the bowl supply unit 330, and the lid supply unit 340, so that the entire process for building rice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without delay.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각각의 가열수단(320)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턴테이블(310)의 회전주기와 1인분의 밥을 짓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generated by each of the heating means 320 individually through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rotation period of the turntable 310 coincides with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one person's ric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장치(10)에 의하면,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밥 1인분에 해당되는 양의 쌀을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취사하더라도 균질한 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취사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쌀 저장부(100)의 하부에 다리부재(130)와 바퀴부재(140)를 구비하여 쌀 저장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보충 및 쌀 저장부(100)의 세척이 보다 간편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쌀 저장부(100)의 이동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취사부(300)에서의 취사가 개별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분씩 정량적으로 취사를 하면서도 많은 양의 밥을 신속하게 취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획적인 취사가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쌀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ly structurally and accurately the amount of rice equivalent to one serving of rice without using any separate control mean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10 and to provide the rice storage unit 100 with the leg member 130 and the wheel member 140 at the bottom of the rice storage unit 100,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upplementing of the rice and the washing of the rice storage part 100 and the movement of the rice storage part 100 can be facilitated and the cooking part 300 So that a large amount of rice can be quickly cooked while being cooked quantitatively one by one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have a variety of benefits, such as help to reduce the waste of John Ric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without materially departing from the novel teachings and advantages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쌀의 투입, 세척 및 취사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별 용기에 1인분의 밥을 정량적으로 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 다수의 인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of feeding, washing and cooking rice by a simpl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tering apparatu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such as a restaurant, should provide a meal.

10 : (자동) 취사장치 100 : 쌀 저장부
110 : 덮개부 112 : 제1손잡이
120 : 몸체부 122 : 개구부
122a : 단턱부 124 : 배출부
126 : 제2손잡이 130 : 다리부재
140 : 바퀴부재 200 : 쌀 세척부
210 : 지지부 212 : 수용홈
220 : 투입구 222 : 투입통로
230 : 제1제어부 231 : 제1모터
232 : 제1캠부재 233 : 제1구동축
234 : 제1차단부재 235 : 제1이동플레이트
236 : 제1수용공간 237, 257 : 수평방향 통로
238 : 수직방향 통로 240 : 세척부
242 ; 수용부 244 : 제1급수관
244a : 제1밸브 246 : 배수관
246a : 제2밸브 246b : 거름망
248 : 세척수단 248a : 제2모터
248b : 회전봉 248c : 세척날개
250 : 제2제어부 252 : 제2캠부재
253 : 제2구동축 254 : 제2차단부재
255 : 제2이동플레이트 256 : 제2수용공간
260 : 배출구 300 : 취사부
310 : 턴테이블 320 : 가열수단
330 : 그릇 공급부 332 : 그릇
340 : 뚜껑 공급부 342 : 뚜껑
350 : 쌀 공급부 352 : 지지플레이트
352a : 관통홀 354 : 정량그릇
356 : 구동장치 360 : 제2급수관
362 : 제3밸브
10: (Automatic) cooking device 100: Rice storage
110: lid part 112: first handle
120: body portion 122: opening
122a: step portion 124:
126: second handle 130: leg member
140: wheel member 200: rice washing unit
210: support part 212: receiving groove
220: input port 222: input port
230: first control unit 231: first motor
232: first cam member 233: first drive shaft
234: first blocking member 235: first moving plate
236: first accommodation space 237, 257: horizontal passage
238: vertical passage 240:
242; Receiving portion 244: first supply pipe
244a: first valve 246: drain pipe
246a: second valve 246b:
248: Cleaning means 248a: Second motor
248b: rotation rod 248c: cleaning blade
250: second control unit 252: second cam member
253: second driving shaft 254: second blocking member
255: second moving plate 256: second accommodating space
260: Outlet port 300:
310: turntable 320: heating means
330: bowl feeder 332: bowl
340: lid supply part 342: lid
350: rice feeder 352: support plate
352a: Through hole 354: Quantitative bowl
356: Driving device 360: Second supply pipe
362: third valve

Claims (11)

쌀 저장부, 쌀 세척부 및 취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취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부는,
쌀 저장부에 연결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를 통해 공급된 쌀을 취사부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취사부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상부에 안치되어 밥을 1인분씩 취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릇과, 상기 그릇의 내측으로 1인분의 쌀을 투입시키는 쌀 공급부 및 상기 쌀 공급부에 의해 쌀이 투입된 그릇에 물을 투입시키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공급부는,
취사부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 단부 그릇의 상부에 위치되는 곳에 쌀이 투하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치되고, 쌀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1인분의 쌀을 수용하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정량그릇과,
상기 정량그릇에 연결 설치되어 정량그릇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1.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rice storage section, a rice washing section, and a cooking section,
The rice washing section,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 washing unit for wash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a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rice washed in the washing unit, And a discharge port for supplying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cooking unit,
Wherein the cooking unit comprises:
A turntable, a plurality of heating mean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urntable, a bowl plac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means to cook rice for one person, and rice for feeding one person's rice into the bowl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wl into which the rice is introduced by the rice supply section,
The rice supply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uni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rice is dropped at a position located on an upper end of the one end plate,
A quantitative bowl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and opens upwards and downwards to receive one rice of rice discharged from the rice washing unit,
And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metering vessel to reciprocate the metering vessel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저장부는 내측에 쌀이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 세척부에는 상기 다리부재 및 바퀴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ce storage portion includes a body portion for receiving rice therein, a plurality of leg member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wheel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g member,
Wherein the rice wash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leg member and the wheel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1캠부재와, 상기 제1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1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세척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1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drive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m member and driven to reciprocate left and right by rotation of the first cam member; A first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ing shaft to control the supply of rice to the washing unit and a first block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shaft to block movement of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n automatic cook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제1캠부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세척부로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ving plate and the first blocking member to accommodate ric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section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first cam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제1제어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쌀을 세척시키는 세척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to supply water to be used for washing rice, a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rice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discharging water used for washing r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제3모터와, 상기 제3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제2캠부재와, 상기 제2캠부재에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제2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제2구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한 취사부로의 쌀 공급을 제어하는 제2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구동축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쌀의 이동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 second drive shaf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am member and driven to reciprocate left and right by rotation of the second cam member; A second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shaf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ice to the cooking un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second moving plat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shaft for blocking movement of the ric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n automatic cooking device comprising a memb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와 제2차단부재의 사이에는 세척부에서 세척된 쌀이 1인분 만큼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econd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oving plate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so that rice cooked by the washing unit can be accommodated for one serv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그릇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수단의 상부에 그릇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그릇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part of the cooking unit is provided with a bowl feeding part for receiving the bowl inside and for feeding the bowl one by one to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means rotating by the turntab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부의 상부에는 내측에 뚜껑을 수용하여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는 그릇의 상부에 뚜껑을 하나씩 투하시키는 뚜껑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lid feeder for feeding a lid one by one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wl, the lid being hou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portion and rotated by a turntable.
KR1020170020988A 2017-02-16 2017-02-16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KR101867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en) 2017-02-16 2017-02-16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en) 2017-02-16 2017-02-16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860B1 true KR101867860B1 (en) 2018-06-18

Family

ID=6276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88A KR101867860B1 (en) 2017-02-16 2017-02-16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8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49B1 (en) 2020-01-20 2021-04-30 박주희 Automatic Cooking and Discharging Facilities
WO2024060565A1 (en) * 2022-09-23 2024-03-28 爱仕达股份有限公司 Batch-type rice steaming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64A (en) * 1995-02-21 1996-09-03 Kubota Corp Rice cooking apparatus
KR200182657Y1 (en) * 1999-12-16 2000-05-15 김종규 Device of automatic manufacturing spun sugar
KR20060032522A (en)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cooker and cooking process that using the same
JP3823545B2 (en) * 1998-06-25 2006-09-20 井関農機株式会社 Automatic rice cooker
KR100633466B1 (en)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Automatic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164A (en) * 1995-02-21 1996-09-03 Kubota Corp Rice cooking apparatus
JP3823545B2 (en) * 1998-06-25 2006-09-20 井関農機株式会社 Automatic rice cooker
KR200182657Y1 (en) * 1999-12-16 2000-05-15 김종규 Device of automatic manufacturing spun sugar
KR20060032522A (en)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cooker and cooking process that using the same
KR100633466B1 (en)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Automatic rice 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49B1 (en) 2020-01-20 2021-04-30 박주희 Automatic Cooking and Discharging Facilities
WO2024060565A1 (en) * 2022-09-23 2024-03-28 爱仕达股份有限公司 Batch-type rice steam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45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rotatable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CN204600163U (en) Domestic full-automatic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oked robot
US9320388B2 (en) Liqui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CN207821643U (en) A kind of home automation Chinese meal machine
MX2014001591A (en) Foo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JP2010505583A (en) Unattended automatic rice cooker
US9895721B2 (en) Rotisserie oven with shooter tube cleaning system
KR101867860B1 (en)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KR100994458B1 (en) Automatic rice cooker
GB2521999A (en) An automatic cooking device
US8616121B1 (en) Cooktop drain
CN114745990B (en) Full-automatic electric cooker device
KR100559075B1 (en) Automatic rice cooking machine
KR102048872B1 (en) A Device for Manless Automaticcook
CN109588468A (en) Automatic washing shrimp boils shrimp equipment
KR200278016Y1 (en) The cooking device for fried food
CN210961456U (en) Multifunctional steam stove
KR20020069320A (en) kitchen implements and possess all the same auto wash to rice
US7172335B1 (en) Automatic mashed potato system
JP2021004693A (en) Cooker
CN212186196U (en) Full-automatic electric rice cooker
CN218565508U (en) Automatic sauce adding electromagnetic stove
EP1734848B1 (en) Machine for preparing ready-to-eat meals based on pasta starting from precooked and deep-freezed pasta
TWI674083B (en) Food cooker with detachable stirrer
JP2009072379A (en) Device for cooking frozen noo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