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021B1 -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021B1
KR101867021B1 KR1020170097545A KR20170097545A KR101867021B1 KR 101867021 B1 KR101867021 B1 KR 101867021B1 KR 1020170097545 A KR1020170097545 A KR 1020170097545A KR 20170097545 A KR20170097545 A KR 20170097545A KR 101867021 B1 KR101867021 B1 KR 10186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emergency
information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권
Original Assignee
아란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란타(주) filed Critical 아란타(주)
Priority to KR102017009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0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ife emergency rescue system. The life emergency rescue system comprises: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program can be download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which is equipped with a GPS reception device, a slope sensor, a microphone, and a camera; a downloadable program which includes a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provided to be downloadable to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by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user perform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and performing the GPS reception device,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activated in the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a control server which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to enable the control unit to confirm 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GPS reception device,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urgent site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sound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danger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which is provided with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the urgent site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n urgent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for determining a site danger level by outputting the urgent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unit, and a situation processing means provided to perform an urgent situation treating step suitable for the site danger level.

Description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emergency rescue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cue emergency rescue system capable of promptly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and a rescue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emergency rescue system.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단말기는 요즘 가정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모바일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모바일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due to explosive increase in subscriber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recognized as necessities that can be seen around the home nowadays, so that mobile terminal manufacturers have better performance and launch multi-functional mobile terminals In line with this,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offer higher level communication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이처럼,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모바일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에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단말기에서 자동 발신되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 등의 사법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기능을 갖는 모바일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As a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user through tracking a source of a mobile terminal in recent communication services has been developed,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user,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ving a rescue request function for requesting a judicial authority such as a police station are being released.

그러나 모바일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위급상황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위치만으로는 사용자의 위치만 파악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위험상황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s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ource tracking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it is impossible to grasp only the position of the user only at the posi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s mobile terminal in the emergency, and to grasp the degree of the dangerous situation at the user's current position.

또한, 모바일단말기를 통한 구조요청 과정에서 경찰관, 119 대원이 현장으로 출동했을 경우 위급상황의 정도가 모바일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대처 가능한 정도이거나, 위급상황이 해제된 경우 출동한 경찰관, 119 대원은 불필요하게 현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다른 위급상황의 대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lice officer and 119 members are dispatched to the scene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rescu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degree of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dealt with by the mobile terminal users themselves, or the police officer dispatche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cance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other emergency situations.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은 위급상황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의 위험수준 정도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rescue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ropriately cope with the danger level of the mobile terminal us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신속하게 긴급구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긴급구조신호가 생성된 후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즉각 확인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험수위에 맞는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wireless terminal user having a wireless terminal can quickly generate an emergency rescue signal, and immediately after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generated, And an emergency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the emergency emergency rescue system and the emergency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emergency emergency rescue system.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GPS 수신장치, 기울기센서, 마이크, 카메라가 구비된 무선 단말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에 의해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구조신호활성화부,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에서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GPS 수신장치,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무선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GPS 수신장치,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의 생성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하는 위급현장정보 출력부, 상기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황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위험상황처리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fe emergency rescue system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downloading a program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including a GPS receiver, a tilt sensor, a microphone, and a camera; A structure signal activator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downloaded to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by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user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A downloadable program including a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for executing a GPS receiver, a microphone, and a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activated in the signal activator; The control uni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so as to confirm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GPS receiver, a microphone, and a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gen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control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emergency site information including emergency information, information on voice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video information o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unit and determining the on-site danger level, and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step for the on-site danger level, And a status processing terminal provided with a status processing means provided for execu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상기 긴급신호입력동작의 실행을 위한 버튼타입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는 상기 아이콘을 누르는 긴급신호입력동작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및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기울기동작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button type icon for executing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on a touch screen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may include an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And activate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when the number of tilting operations in which the tilt is generated by the tilt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급현장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위급현장정보 저장부; 상기 관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호출정보출력부; 및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상기 호출정보출력부로 수신되면 상기 위험상황처리단말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is configured to output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ovided from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eceiver, and the receiver receives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in real time Emergency site information storage; A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and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 And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wireless terminal so as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when the emergency informa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급현장정보 출력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위치정보표시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처리수단은, 상기 음성출력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음성출력선택부; 상기 영상표시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영상표시선택부;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인명구조기관호출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field information output uni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n a map form;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And a vide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as an image, wherein the situation processing unit comprises: a voice output selecting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oice output unit; A video display selection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unit; A life-saving agency caller calling for a life-saving institution; And a voice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급상황처리단말은, 상황종료버튼; 상기 상황종료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호출정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저장하는 호출정보 저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 및 음성통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출력부 및 음성통화부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음성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상기 음성통화부를 통한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ergency situation terminal comprises: a status termination button; A cal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utput from the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and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when the status end button is selected; And a voice dat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to store voic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and voice contents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are execute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은 a)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에 따라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고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GPS 수신장치, 기울기센서, 마이크,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GPS 수신장치,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관제서버에서 확인하는 단계;The emergency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according to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user, and controlling a GPS receiving device, a tilt sensor, a microphone, Checking whether a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GPS receiver,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to be generated is generated in the control server in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program configured to be installed;

b)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관제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및b)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Receiving by the server; And

c) 위험상황처리단말이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한 후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 a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to receive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ting the received emergency site information to determine an on-site danger level, and executing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on-site danger level .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에 포함된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위험수위 정도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거나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단계; 및 긴급구조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상황종료신호를 생성하여 긴급구조과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c) includes: updat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nd storing the updated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control server,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which are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Confirm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and calling or calling a rescue ag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on-site danger level; And generating a status termination signal for terminating the emergency configuration process to end the emergency configuration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신속하게 긴급구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긴급구조신호가 생성된 후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즉각 확인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험수위에 맞는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system and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method using the same,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wireless terminal can quickly generat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after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gen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tuation of the site can be immediately checked in real time, and quick measure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urrent danger level of the wireless terminal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되는 구조신호활성화부를 통해 제공되는 아이콘이 무선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되는 위험상황처리단말에서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되는 c)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fe-and-death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icons provided through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illustrated in FIG. 1 are displayed on a screen of a wireless terminal.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risk-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step c)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life-time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fe-and-death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0),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200), 관제서버(300),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life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00, a downloadable program 200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a control server 300, 400).

무선 단말기(100)는 인터넷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GPS 수신장치(110), 기울기센서(120), 마이크(130), 카메라(140)가 구비되는 단말기이다. 무선 단말기(100)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a terminal capable of downloading a program through the Internet and equipped with a GPS receiving device 110, a tilt sensor 120, a microphone 130, and a camera 140. The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any one of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for example.

프로그램(200)은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200)은 구조신호활성화부(210) 및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200 may be downloa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via the Internet network and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The program 200 may include a structure signal activation unit 210 and a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구조신호활성화부(210)는 무선 단말기(100) 사용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조신호활성화부(210)는 무선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화면(101)에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의 실행을 위한 버튼타입의 아이콘(211)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화면(101)에 버튼타입의 아이콘(211)이 제공된 상태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아이콘(211)은 무선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화면(10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무선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화면(101)이 잠긴 상태 및 터치 스크린 화면(101)이 무선 단말기(100)의 조작이 가능하게 열린 상태에서 항상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210 enables a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request an emergency structure.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210 is configured to display a button type icon 211 for executing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screen 101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 A state in which the button type icon 211 i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101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illustrated in FIG. The icon 211 may be provided to enable movement of the position within the touch screen screen 101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touch screen screen 101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locked, 101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lways exposed in an open state in which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possible.

또한, 구조신호활성화부(210)는 무선 단말기(100)에 제공된 상기 아이콘(211)을 사용자가 누르는 긴급신호입력동작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및 무선 단말기(100)의 기울기센서(120)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기울기동작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면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긴급신호입력동작이 5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상기 기울기센서(120)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횟수가 5회 이상 지속되는 경우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icon 211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tilt sensor 12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ilts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f the number of tilting operations occurrin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if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is continued for 5 seconds or mor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can be activated. If the tilt sensor 120 has sustained the gradient for more than 5 time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activated .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는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210)와 연결되고, 구조신호활성화부(210)에서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되면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무선 단말기(100)의 GPS 수신장치(110), 마이크(130), 카메라(140)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210.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activated in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210,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PS receiving apparatus 11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 A microphone 130, and a camera 140, as shown in Fig.

관제서버(300)는 무선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무선 단말기(100)에 제공된 프로그램(200)을 통해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의 실행 여부의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관제서버(300)는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가 무선 단말기(100)의 GPS 수신장치(110), 마이크(130), 카메라(140)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의 생성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제서버(300)는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에서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무선 단말기(100)에서 활성화된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confirm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is running through the program 200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 That is, the control server 300 controls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can check whether the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GPS receiving device 110, the microphone 130, and the camera 140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generat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220,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udi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vide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ctiv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100 can be received.

또한, 관제서버(300)는 무선 단말기(100)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의 후술하는 수신부(41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provid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receiving unit 410 described later of the risk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have.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은 관제서버(300)와 통신 가능하고,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여 위험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은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10), 수신부(410)에서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하는 위급현장정보 출력부(420),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황처리수단(430)을 구비할 수 있다.The danger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is communicable with the control server 300 and is provided for handling a dangerous situation in response to an emergency rescue signal.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includes a receiving unit 410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o receive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an emergency site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410, An output unit 420, and a situation processing unit 430, which is provided to execute an emergency process step corresponding to the on-site danger level.

수신부(410)는 위급현장정보 저장부(411), 호출정보출력부(412), 단말기연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410 may include an emergency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411, a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412, and a terminal connection unit 413.

위급현장정보 저장부(411)에는 수신부(410)가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관제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위급현장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411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300 by the receiving unit 410 to update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300 in real time.

호출정보출력부(412)는 관제서버(300)와 통신하여 무선 단말기(100)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412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o receive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to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ception of the time information.

단말기연결부(413)는 긴급구조신호가 호출정보출력부(412)로 수신되면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을 무선 단말기(100)와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단말기연결부(413)는 시스템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상황처리단말(400)에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13 can connect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to the wireless terminal 100 so as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when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by the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412. [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1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 selection of the system administrator.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in a button manner in the danger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위급현장정보 출력부(420)는 위치정보표시부(421), 음성출력부(422), 영상표시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표시부(421)는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무선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422)는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423)는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이러한 위급현장정보 출력부(4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해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The emergency scene information output unit 42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421, an audio output unit 422, and a video display unit 423. [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421 can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410 in a map form. The voice output unit 422 can output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410 by sound. The video display unit 423 can display the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410 as an image. The system administrator can determine the on-site danger level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420. [

상황처리수단(430)은 음성출력부(422)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음성출력선택부(431), 영상표시부(423)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영상표시선택부(432),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인명구조기관호출부(433), 및 무선 단말기(100)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처리수단(430)은 시스템 관리자가 상기 위급현장정보 출력부(420)를 통해 확인하여 판단한 현장위험수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The situation processing means 430 includes an audio output selection unit 431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unit 422, a video display selection unit 432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unit 423, A lifesaving organization calling section 433 for calling an organization and a voice communication section 434 for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100. [ The situation processing means 43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n-site hazard level determined by the system administrator through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420. [

도 3은 도 1에서 설명되는 위험상황처리단말에서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은 대형 스크린(470)을 포함할 수 있고, 대형 스크린(470)에는 수신부(410)의 호출정보출력부(412)를 통해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위치정보표시부(421),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42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형 스크린(470)의 한 화면에서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The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400 may include a large screen 470, and the large screen 470 may include a receiver An area for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utput through the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412 of the wireless terminal 410,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421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a map form, And a video display unit 423 for displaying information as video. Therefore, emergency scen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on one screen of the large screen 470 as illustrated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은 상황종료버튼(440), 호출정보 저장부(450) 및 음성데이터 저장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fe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tuation end button 440, a pag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50, and a voice data storage unit 460.

상황종료버튼(440)은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을 통해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가 완료되면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어 상황종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atus termination button 440 can be selected by the system administrator to generate a status termination signal when the emergency status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on-site danger level is completed through the danger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

호출정보 저장부(450)는 상황종료버튼(440)이 선택되어 상황종료신호가 생성되면, 호출정보출력부(412)에서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status termination button 440 is selected and a status termin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pag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50 stores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utput from the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412 and time information of the time at which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Can be listed and stored.

음성데이터 저장부(460)는 음성출력부(422) 및 음성통화부(434)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출력부(422) 및 음성통화부(434)가 실행되는 경우 음성출력부(422)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음성통화부(434)를 통한 통화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The voice data storage unit 460 is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unit 422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434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unit 422 when the voice output unit 422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434 are executed. The voice and voice communication unit 434 can be stored.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을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설명되는 c) 단계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emergency saving of persons using a life safe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low of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step c)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은, a)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에 따라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고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GPS 수신장치, 기울기센서, 마이크,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GPS 수신장치,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관제서버에서 확인하는 단계(S100); b)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관제서버가 수신하는 단계(S200); 및 c) 위험상황처리단말이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한 후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according to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user and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S100) a control server confirms whether a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GPS receiver,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to be executed is generated in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program configured to control a camera, a microphone, and a camera is installed; b)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server receives (S200); And c) a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to receive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ting the received emergency site information to determine an on-site danger level, and executing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on-site danger level S300).

상기 a) 단계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신호입력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진행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 상에 제공된 버튼 타입의 아이콘을 5초 이상 누르는 동작 또는 무선 단말기를 5회 이상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진행된다. 이러한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이 이루어지면 프로그램(200)의 구조신호활성화부(210)가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고, 프로그램(200)의 무선 단말기 제어부(220)에서는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무선 단말기(100)의 GPS 수신장치(110), 마이크(130), 카메라(140)를 실행시킨다. 이때,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관제서버(300)에서 확인된다.The step a) is performed when the wireless terminal user performs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terminal user presses the button type icon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5 seconds or more, or shakes the wireless terminal 5 times or more. When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of the user is performed, the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210 of the program 200 activate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220 of the program 200, 100, the GPS receiver 110, the microphone 130, and the camera 14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confirmed by the control server 300.

상기 c) 단계는 위험상황처리단말(400)에서 수행되는 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S310);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320);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에 포함된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30);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위험수위 정도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거나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단계(S340); 및 긴급구조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상황종료신호를 생성하여 긴급구조과정을 종료시키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is a process performed in the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400. Referring to FIG. 4, step c) includes updating (S310)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nd storing the information. A step S320 of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control server and outpu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S330); A step S340 of check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and calling or calling a rescue ag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on-site danger level; And generating a status termination signal for terminating the emergency rescue procedure to terminate the emergency rescue procedure (S350).

상기 S310 단계에서,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의 수신부(410)의 위급현장정보 저장부(411)에 위급현장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In step S310,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411 of the reception unit 410 of the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400 in real time.

상기 S320 단계에서,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의 호출정보출력부(412)를 통해 무선 단말기(100)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의 대형 스크린(470)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In step S320, an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received through the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412 of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For example, on one side of the large screen 470 of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400.

상기 S330 단계에서, 시스템 관리자는 단말기연결부(413)를 실행시켜서 위험상황처리단말(400)이 무선 단말기(100)와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는, 긴급구조지원을 허가하는 과정이다. 단말기연결부(413)가 실행된 후 위치정보표시부(421), 음성출력부(422), 영상표시부(423)를 통해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가 표시 및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음성출력부(422)가 실행되면 음성데이터 저장부(460)는 음성출력부(422)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저장한다.In step S330, the system administrator can execute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13 to connect the risk-event processing terminal 400 so as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100. [ This is the process of granting emergency assistance. After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13 is execute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audi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re transmit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421, the audio output unit 422, and the video display unit 423 Can be displayed and output. At this time, when the voice output unit 422 is executed, the voice data storage unit 460 stores the sound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422. [

상기 S340 단계에서, 시스템 관리자는 위치정보표시부(421), 음성출력부(422), 영상표시부(423)를 통해 표시 및 출력되는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하고, 현장위험수위가 통화 가능한 정도의 수위이면 음성통화부(434)를 실행시켜서 시스템 관리자는 긴급구조신호를 생성한 무선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하고, 현장위험수위가 통화 불가한 고 위험 수위이면 시스템 관리자는 즉시 인명구조기관호출부(433)를 실행시켜서 인명 구조 기관, 예를 들면, 경찰서, 소방서, 119 구조대 등을 호출할 수 있다.In step S340, the system administrator determines the on-site danger level by checking the on-scene information displayed and output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421, the audio output unit 422, and the image display unit 423, The system manager attempts to make a call with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hat has generate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f the on-site danger level is high, May immediately call the rescue agency call 433 to call the rescue agency, for example, the police station, the fire station, the 119 rescue team, and so on.

또한 S340 단계에서 음성통화부(434)가 실행되는 경우 음성통화부(434)를 통한 통화내용은 음성데이터 저장부(460)에 저장된다.When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434 is executed in step S340, the contents of the voice communication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434 are stored in the voice data storage unit 460. [

상기 S350 단계에서, 시스템 관리자는 상황종료버튼(440)을 실행시켜서 상황종료신호를 생성하여 긴급구조과정을 종료시키며, 상황종료버튼(440)이 실행되어 상황종료신호가 생성되면 호출정보 저장부(450)는 호출정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저장한다. In step S350, the system administrator executes the status termination button 440 to generate a status termination signal to terminate the emergency configuration process. When the status termination button 440 is executed and a status termination signal is generated, 450 list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utput from the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명 긴급 구조 방법을 이용하면,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신속하게 긴급구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긴급구조신호가 생성된 후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즉각 확인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험수위에 맞는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Using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system and the life emergency structure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of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wireless terminal can quickly generate an emergency rescue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mpt ac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danger level of the wireless terminal user by immediately checking the situation of the site where the wireless terminal user is located in real tim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7)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GPS 수신장치, 기울기센서, 마이크, 카메라가 구비된 무선 단말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에 의해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구조신호활성화부와,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를 통해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GPS 수신장치, 마이크 및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무선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상기 무선 단말기 제어부와 통신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GPS 수신장치, 마이크 및 카메라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사용자가 휴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및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리자가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는 위급현장정보 출력부와, 상기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황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위험상황처리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A wireless terminal carried by a user and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a tilt sensor, a microphone, and a camera;
A structure signal activator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the structure signal activator activat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by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user execut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a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activating the emergency rescue signal through the rescue signal activating unit, A downloadable program including a GPS receiving device, a microphone and a wireless terminal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camera;
Wherein when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GPS receiver,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wireless terminal controll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 control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emergency site information including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terminal and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emergency rescue signal; And
An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so that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site danger level; And a risk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having a situation processing means provided for executing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step.
Personnel emergency rescu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상기 긴급신호입력동작의 실행을 위한 버튼타입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조신호활성화부는 상기 아이콘을 누르는 긴급신호입력동작이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및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기울기가 발생하는 기울기동작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button type icon for executing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on a touch screen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structure signal activating unit activates the emergency rescue signal when the urgent signal input operation for pressing the icon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of the slant operation in which the gradient is generated in the inclination senso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
Personnel emergency rescu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급현장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위급현장정보 저장부;
상기 관제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호출정보출력부; 및
상기 긴급구조신호가 상기 호출정보출력부로 수신되면 상기 위험상황처리단말을 상기 무선 단말기와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server is configured to output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provided from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receiver,
The receiver may further comprise:
An emergency site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is updated in real time;
A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and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 And
And a terminal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hazardous situ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wireless terminal so as to enable direct communication when the emergency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call information output unit.
Personnel emergency rescu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현장정보 출력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하는 위치정보표시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처리수단은,
상기 음성출력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음성출력선택부;
상기 영상표시부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영상표시선택부;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인명구조기관호출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음성통화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 unit comprises:
A loc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n a map form;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And
And a vide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The situation processing means,
An audio output selection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unit;
A video display selection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unit;
A life-saving agency caller calling for a life-saving institution; And
And a voice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Personnel emergency rescu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처리단말은,
상황종료버튼;
상기 상황종료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호출정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리스트화 하여 저장하는 호출정보 저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 및 음성통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출력부 및 음성통화부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음성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 및 상기 음성통화부를 통한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isk-
State end button;
A cal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output from the paging information output unit and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when the status end button is selected; And
And a voice dat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and storing voic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and voice communication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voice output unit and the voice communication unit are executed As a result,
Personnel emergency rescue system.
a)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긴급신호입력동작에 따라 긴급구조신호를 활성화시키고 긴급구조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GPS 수신장치, 기울기센서,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GPS 수신장치, 마이크, 카메라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관제서버에서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위급현장정보와 상기 긴급구조신호를 관제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및
c) 위험상황처리단말이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출력하여 현장위험수위를 판단한 후 현장위험수위에 맞는 위급상황처리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방법.
a)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program configured to activate an emergency rescue signal according to an emergency signal input ope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user and to execute a GPS receiving apparatus, a tilt sensor, a microphone, and a camera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activated, Confirming with the control server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GPS receiver, the microphone, and the camera is generated;
b)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signal has been generated, the emergency field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audi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video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Receiving the emergency rescue signal by the control server; And
c) a risk event processing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to receive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outputting the received emergency site information to determine an on-site danger level, and executing an emergency situation process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on-site danger level Lt; RTI ID = 0.0 >
How to Rescue Personnel Emergenc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구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구조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긴급구조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위급현장정보에 포함된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음성정보, 무선 단말기 주변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급현장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위험수위 정도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거나 인명 구조 기관을 호출하는 단계; 및
긴급구조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상황종료신호를 생성하여 긴급구조과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 긴급 구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c)
Updat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nd storing the updated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from the control server,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emergency rescue signal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received;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voic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around the wireless terminal, which are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Confirming the emergency site information and calling or calling a rescue ag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on-site danger level; And
And terminating the emergency structure process by generating a status termination signal for terminating the emergency configuration process.
How to Rescue Personnel Emergency.
KR1020170097545A 2017-08-01 2017-08-01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KR101867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45A KR101867021B1 (en) 2017-08-01 2017-08-01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45A KR101867021B1 (en) 2017-08-01 2017-08-01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97A Division KR101767474B1 (en) 2017-02-10 2017-02-10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021B1 true KR101867021B1 (en) 2018-06-12

Family

ID=626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45A KR101867021B1 (en) 2017-08-01 2017-08-01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02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862A (en) * 2011-09-16 201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50006494A (en) * 2013-07-08 2015-01-19 권형석 Emergencies (lost generation) close to the scene of an unspecified number of members to ask for help
KR20160104332A (en)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for emergency using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862A (en) * 2011-09-16 201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50006494A (en) * 2013-07-08 2015-01-19 권형석 Emergencies (lost generation) close to the scene of an unspecified number of members to ask for help
KR20160104332A (en) * 2015-02-26 2016-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for emergency using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474B1 (e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EP3041280B1 (en) Method, apparatuses and computer system for binding intelligent devices
EP30709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device
KR10073542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utputting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of the user and method thereof
US20100251325A1 (en) System nd method for dialing 911 from a tv remote
US200802933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mergency alert messages
KR1020224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Emergency Relief Request and Loss Prevent
KR20110083027A (en) Method and system of self-calling and emergency report using time setting of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7914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callee information and location before call establishment
JP2002269653A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1867021B1 (e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emergency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111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ime
KR2005004816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ivacy protection ability and cal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715600B1 (e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orming emergency situation
JP2008294688A (en) Cellular phone
JP2005011363A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107731A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JP5487642B2 (en) Security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security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289255B1 (en) Smartphone for school emergency notification
JP2005341302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method of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JP2006140574A (en) Mobile phone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function adding and revising method
KR101650898B1 (en) Smartphones and the control method mobile personal black box system using the function
CN116760867B (en) Digital car key crea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system
KR1017694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dangerous situation
KR10188633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