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042B1 -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 Google Patents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042B1
KR101866042B1 KR1020160094339A KR20160094339A KR101866042B1 KR 101866042 B1 KR101866042 B1 KR 101866042B1 KR 1020160094339 A KR1020160094339 A KR 1020160094339A KR 20160094339 A KR20160094339 A KR 20160094339A KR 101866042 B1 KR101866042 B1 KR 10186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transparent display
driv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1663A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송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우 filed Critical 송영우
Priority to KR102016009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042B1/en
Publication of KR2018001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을 갖는 차량의 전방유리창을 통해 차량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를 화면출력하여 넓은 시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된 이미지를 좌우반전된 상태로 화면출력하여 전진주행시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보이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하며 후진주행할 수 있어 전진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displaying a rear image on a rear side of a vehicle through a front window of a vehicle having a large area, And to provide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which can be examined in detai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display a photographed image in a horizontally inverted state and display the image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orward travel, And to provide a driving assistance system.

Description

후진주행 보조시스템{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0002]

본 발명은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후방주차를 포함한 후진주행시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for providing a rear image of an object located behind a vehicle to a driver,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전방을 향한 자세로 후방을 볼 수 있도록 백미러 및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나 면적인 작아 넓은 시야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후방주차와 같이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과의 접촉이 우려되는 후진주행시에는 고개를 돌려 후방을 직접 살펴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rearview mirror and a side mirror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rear side in a forward-facing posture, but since it can not provide a small and wide field of view,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turning his head and looking directly at the rear.

이에 최근에는 차량의 후미에 후방카메라를 장착하여 후방이미지을 촬영하고 이를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화면출력하여 후진주행시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보조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In recent years, an auxiliary system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rear camera is mounted on the rear of a vehicle, and a rear image is photographed and displayed on a navigation screen mounted inside the vehicle so as to observe an obstacle or a vehicle around the vehicle.

이러한 종래의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을 넓은 시야로 촬영할 수 있어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나, 통상 내비게이션의 경우 4인치 내지 8인치의 화면크기를 가지며 대시보드와 같이 운전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는 상체를 앞으로 숙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rearward driving assistance system can photograph the rear of the vehicle in a wide field of view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surrounding obstacles or the vehicle as a whole. However, in general, the navigation system has a screen size of 4 to 8 inches,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driving because it is necessary to lean forward the upper body to observe surrounding obstacle or vehicle in detail.

또한, 상기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방을 지향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운전자의 전방에 배치된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되어, 전진주행시와 달리 화면에 보이는 것과 반대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해야 하기 때문에 전진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경우 화면에 보이는 후방이미지에만 의지해서 후진주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camera is orient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a navigation screen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er, the steering wheel must be steer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on the screen, In the case of a beginner who is familiar with driv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ive backward by relying only on the rea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1735호(2015.05.13),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51735 (May 05, 2015), parking assis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을 갖는 차량의 전방유리창을 통해 차량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를 화면출력하여 넓은 시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displaying a rear image on a rear side of a vehicle through a front window of a vehicle having a large area, And to provide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which can be examin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된 이미지를 좌우반전된 상태로 화면출력하여 전진주행시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보이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하며 후진주행할 수 있어 전진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hich can display a photographed image in a horizontally inverted state and display the image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orward travel, And to provide a driving assistance system.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10)에 장착되어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I2)를 촬영하는 후방카메라(110); 상기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유리창(11)의 내측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투명상태가 되어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전방이미지(I1)를 그대로 투사하거나 상기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는 투명디스플레이(120); 및 상기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camera 110 mounted on a vehicle 10 for photographing a rear image I2 for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The front window 11 of the vehicle 1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ront window 11 an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window 11 and becomes transpare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transparent display 120 for projecting the rear image I1 as it is or the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And a control unit (130) for drivingly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120) so that the rear image (I2)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backward travel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sens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거나 입력부(140)에 마련된 후방이미지 출력키(141)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ckward driving drive of the vehicle 10 is sensed or an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rear image output key 141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The backward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backward driving assis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비상이미지 출력키(142)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안전삼각대 형상의 비상이미지(I3)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emergency image output key 142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safe triangle-shaped emergency image I3) is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비상이미지 출력키(142)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차량(10) 내부의 대쉬보드(Dashboard)에 마련된 비상키(13)가 동작되면 상기 비상이미지(I3)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n emergency key 13 provided i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10 to which an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emergency image output key 142 And when it is operated, drives and controls the emergency image (I3) so that the emergency image (I3) is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 내에서 상기 비상이미지(I3) 이외의 주변영역에는 흑색 계열 또는 상기 비상이미지(I3)의 색상과 보색(Complementary Color)인 색상 계열의 바탕이미지(I4)가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color of the black image or the color of the emergency image I3 and the colors of the complementary image I3 in the surrounding area other than the above- And the background image (I4) of the color series which is the color series (col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량(10)의 둘레에 장착되어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각 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주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는 중에 설정거리 이내에 주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후방이미지(I2)의 화면출력을 정지하고 전방이미지(I1)가 투사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detection sensor 150 installed around a vehicle 10 to detect a surrounding obstac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peripheral obstacle exists within a set distance while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nd the driving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screen output is stopped and the front image (I1) is proj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설정거리 이내에 주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의 일측에 해당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a surrounding obstacle exists withi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a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on one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s a numerical value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후방이미지(I2)를 영상분석하여 후방영역에 존재하는 주차라인(L)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라인(L)의 형상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대를 조작해야 하는 방향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전대의 조작방향(I5), 운전대이미지(I6) 및 차량이동방향 지시이미지(I7)가 투명디스플레이(120) 상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rear image I2 to recognize the parking line L existing in the rear area, and recognizes the shape of the recognized parking line L The driver's image I6 and the vehicle movement direction indication image I7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gether so that the operation direction I5,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부가기능 실행키(143)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10)의 전진주행시 또는 정차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에 내비게이션 화면, 블랙박스 화면, TV 화면 또는 동영상재생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143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A black box screen, a TV screen, or a moving picture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area 120 of the back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량(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운전자감지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배율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확대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현재 머리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면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축소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river sensing unit 160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0 to sense a driver's head position,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ncludes a controller 13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so that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is increased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rearward from the predetermined basic position, an image with a magnification relatively larger than the basic magnification is output to th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driving force is controlled so that an image of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s outpu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방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측방으로 촬영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면 우측방으로 상기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현재 머리 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면 좌측방으로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amera 110 adjusts the photographing angle to the left and right chamber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djusted to the right side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by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from the predetermined basic position, The backward driving assistance system is controlled such tha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djusted to the left side room.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량(10)의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차량(10)의 후방측 측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측방이미지(I8)를 촬영하는 측방카메라(170); 및 상기 차량(10)의 운전석유리창(14) 및 조수석유리창(15)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10)의 전방측 측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측방이미지를 그대로 투사하거나 상기 측방카메라(170)에서 촬영된 측방이미지(I8)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하는 측방디스플레이(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40)에 마련된 측방이미지 출력키(144)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측방디스플레이(180)에 측방이미지(I8)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side camera (170)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0) and photographs a side image (I8) about an object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0); And a side image of an object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1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iver's seat window 14 and the passenger seat window 15 of the vehicle 10 And a side display 180 for projecting the side image I8 captured by the side camera 170 or selectively outputting a side image I8 photographed by the side camera 170. The control unit 130 further includes a side image output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key 144, the lateral image I8 is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lateral display 180.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반전이미지 출력키(145)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방이미지(I2)의 좌우측이 반전(Reverse)된 상태의 반전이미지(I9)가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ckward travel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detected or an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inverted image output key 145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And controls the inverted image I9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image I2 are reversed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반전이미지(I9)를 화면출력하는 경우, 상기 전방유리창(11)의 테두리를 따라 띠나 고리 형상으로 표시되는 반전표시 이미지(I10)가 상기 반전이미지(I9)와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verted image I9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inverted image I9 in a band or ring shape along the rim of the front window 11 And the drive control is performed such that the inverted display image (I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inverted image (I9).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반전이미지(I9)를 영상분석하여 후방영역에 존재하는 주차라인(L)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라인(L)의 형상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대를 조작해야 하는 방향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전대의 조작방향(I5), 운전대이미지(I6) 및 차량이동방향 지시이미지(I7)가 투명디스플레이(120) 상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analyzes the inverted image I9 to recognize the parking line L existing in the rear area, and recognizes the shape of the recognized parking line L The driver's image I6 and the vehicle movement direction indication image I7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gether so that the operation direction I5,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is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대면적을 갖는 투명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함으로써, 넓은 시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므로 운전에 집중할 수 있으며 접촉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is outputted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12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ront window 11 of the vehicle 10 and having a large area, Since the captured images can be reviewed in detail,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on driving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contact accidents.

둘째, 상기 후방이미지(I2)를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화면출력함에 있어서, 좌우반전된 상태로 화면출력하여 전진주행시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보이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하며 후진주행할 수 있어 전진 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Second, when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he rear image I2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left-right reversed state to steer the steering wheel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shown on the screen,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who is familiar with the operation.

셋째, 운전자의 머리위치를 감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방이미지(I2)가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면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동작됨으로써, 운전자가 실제 전진 주행하는 것과 같은 실제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기 위해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된다.Third, when the driver's head position is sensed and moved forward, the rear image I2 is enlarged and displayed. When the driver rearwardly moves, the reduced image is displayed.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a separate switch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driv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카메라, 감지센서 및 측방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전방유리창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방이미지가 투사되거나 후방이미지가 화면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를 통해 비상이미지가 화면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는 차량이 후방에 배치된 주차라인으로 후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에 주차라인, 운대의 조작방향, 운전대이미지 및 차량이동방향 지시이미지가 화면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후방이미지의 화면출력 비율이 조절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후방카메라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방디스플레이에 측방이미지가 화면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디스플레이에 반전이미지가 화면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back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ar camera, a sensing sensor, and a side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 vehicle,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ont window of a vehicl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image is projected or a rear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backwardly moved to a parking line arranged at the rear side,
FIG. 7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king line, an operation direction of a tripod, a steering wheel image, and a vehicle movement direction indication image are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in which a screen output ratio of a rear image is adjust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a driver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in which a photographing angle of a rear camera is adjusted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a driv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de image is displayed on the side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verted image is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100)은, 대면적을 갖는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을 통해 차량(10)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이나 차량 등의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여 넓은 시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하여 후진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카메라(110), 투명디스플레이(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back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100 for rearward travel images of objects such as an obstacle or a vehicle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through the front window 11 of the vehicle 10 having a large area, 1 and 2, the rear camera 110,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nd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a control unit 130.

먼저, 상기 후방카메라(110)는 화면출력을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차량(10)에 장착되어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I2)를 활영한다.First, the rear camera 110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d acquiring an image for outputting a screen. The rear camera 110 is mounted on the vehicle 10 and displays a rear image I2 for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

여기서, 상기 후방카메라(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후미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의 루프, 펜더, 트렁크나 범퍼 등과 같이 후방을 지향하여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rear camera 110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s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the rear camera 110 may be mount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a roof, a fender, a trunk or a bumper of the vehicle 10 .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유리창(11)의 내측에 장착되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명상태가 되어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전방이미지(I1)를 그대로 투사하거나 상기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120 is a vide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to a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rear image I2. As shown in FIGS. 2 to 4, And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windshield 11 and has a transparent st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a front image of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I1 as it is or the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on the screen.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전방유리창(11)의 내부면 측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유리창(11)과 투명디스플레이(120) 사이에는 구동전원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투명해지거나 투명해지도록 동작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121)가 장착되어 후방이미지(I2)가 보다 선명하게 화면표시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3, the transparent display 12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indow glass 11 and may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window glass 11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121 operated to selectively become opaque or transparent according to a driving power input may be installed to operate the rear image I2 so that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more clearly.

상기 제어부(130)는 투명디스플레이(120)를 구동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상기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is a microcontroller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120. When the backward driving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s sensed, the control unit 130 drives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 selectively output the rear image I2. .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10)에 장착되는 ECU(12)와 신호연결되어 후진기어 입력을 감지한 ECU(12)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후진주행 구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도시되지 않은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차량(10)의 후진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별도로 구비되어 이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다라 후진주행 구동을 판단할 수도 있다.1,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ECU 12, which is connected to the ECU 12 mounted on the vehicle 10 and senses a backward gear input, And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10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backward in response to a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거나 입력부(140)에 마련된 후방이미지 출력키(141)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backward image I2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when the backward driving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sensed or an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rear image output key 141 provided on the input unit 14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전진주행이나 정지시에는 도 5의 (a)와 같이 투명디스플레이(120)가 투명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여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이미지(I1)가 전방유리창(11) 및 투명디스플레이(120)를 투사하여 운전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후진주행시에는 도 5의 (b)와 같이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화면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이미지(I2)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5 (a),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 keep the transparent state so that the front image I1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is moved forward The glass window 11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re projected so that the driver can visually observe the rear image I2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rear image I2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can be seen by the driver.

이와 같이,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대면적을 갖는 투명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함으로써, 넓은 시야로 촬영된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므로 운전에 집중할 수 있으며 접촉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ront window 11 of the vehicle 10 and having a large area,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on driving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ontact accident in advanc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100)은 차량(10)의 고장이나 사고시와 같이 안전삼각대를 도로 상에 비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전삼각대를 대신하여 전방유리창(11)를 통해 비상이미지(I3)를 화면출력함으로써 주변 운전자들에게 비상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back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a safety tripod is required to be provided on the road, such as when the vehicle 10 is broken or when an accident occurs,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warned to surrounding drivers by displaying the emergency image I3 on the screen 11 through the window 11. [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40)에 마련된 비상이미지 출력키(142)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안전삼각대 형상의 비상이미지(I3)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6,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emergency image output key 142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safety triangle-shaped emergency image I3 ) Is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ECU(12)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상기 차량(10) 내부의 대쉬보드(Dashboard)에 마련된 비상키(13)가 동작되면 상기 비상이미지(I3)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도 있다.When the emergency key 13 provid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10 is operated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ECU 12,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riving unit 130 such that the emergency image I3 is displayed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투명디스플레이(120) 내에서 상기 비상이미지(I3) 이외의 주변영역에는 흑색 계열 또는 상기 비상이미지(I3)의 색상과 보색(Complementary Color)인 색상 계열의 바탕이미지(I4)가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화면출력되는 비상이미지(I3)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black color system or a color system color image (complementary color) of the emergency image I3 in the surrounding area other than the emergency image I3 i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4)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visually enhanc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emergent image I3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improved

..

더불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의 내측면에는 구동전원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투명해지거나 투명해지도록 동작되는 PDLC(122)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비상이미지(I3) 출력시 상기 PDLC(122)가 불투명해지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비상이미지(I3)가 보다 선명하게 화면표시되도록 동작시킨다.3 (b), the inner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s mounted with a PDLC 122 that is selectively opaque or transparent to the input of driving power, and the controller 130 Operates to cause the PDLC 122 to become opaque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emergency image (I3) so that the emergent image (I3) is displayed on the outside in a clearer manner.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둘레에는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15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sensing sensor 150 may be provided around the vehicle 10 to detect obstacles around the vehicle 10 and transmit the detected obstacles to the controller 130.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각 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주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는 중에 설정거리 이내에 주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익 후방이미지(I2)의 화면출력을 정지하고 전방이미지(I1)가 투사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a distance from the surrounding obstacle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input from each sensing sensor 150 and outputs the rear distance image I2 to the transparent display 120. [ It is possible to stop driving the screen output of the rear view image I2 and to drive the front image I1 so that the front image I1 is projected.

따라서, 후방주차하며 차량(1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이 주변 장애물이나 차량과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방이미지(I1)가 투사되도록 전환함으로써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ront corner of the vehicle 10 is parked behind and the front image I1 is projected so as to automatically check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obstacle or the vehicle, the contact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설정거리 이내에 주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의 일측에 해당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수치로 표시함으로써 장애물과 차량(10)간의 이격상태를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obstacle exists within the 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vehicle 10 on the one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s a numerical value, So that it can be perceived intuitively.

또한, 도 7a와 같이 차량(10)의 후방에 주차라인(L)이 위치한 경우, 도 7b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후방이미지(I2)를 영상분석하여 후방영역에 존재하는 주차라인(L)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라인(L)의 형상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대를 조작해야 하는 방향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전대의 조작방향(I5), 운전대이미지(I6) 및 차량이동방향 지시이미지(I7)가 투명디스플레이(120) 상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7A, when the parking line L is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the controller 130 performs image analysis of the rear image I2 as shown in FIG. 7B, L and recogniz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must operate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ognized parking line L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direction I5 of the determined steering wheel, the steering wheel image I6, (I7)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gether.

더불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부가기능 실행키(143)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10)의 전진주행시 또는 정차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에 내비게이션 화면, 블랙박스 화면, TV 화면 또는 동영상재생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후진주행 보조 기능 이외에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143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part of the transparent display 120 when the vehicle 10 advances or stop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entertainment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ckward travel assist function by controlling the display so that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screen, a black box screen, a TV screen, or a moving picture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100)은 운전자의 머리 위치에 따라 화면표시되는 후방이미지(I2)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화면방향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ckward driving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 enlarge or reduce the rear image I2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head position of the driver, o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creen direction.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내부에는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운전자감지부(160)가 장착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배율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출력한다.4, a driver sensing unit 160 for sensing a head position of a drive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10,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display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Enlarges or reduces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to be output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size.

여기서, 상기 운전자감지부(160)로는 적외선, 초음파, 근접센서 등과 같이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분석을 통해 영상이미지 상에서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검출하고 매 영상프레임별 검출대상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인지할 수도 있다.Here, the driver sensing unit 160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the driver's head position such as an infrared ray, an ultrasonic sensor, a proximity sensor, etc. In addition, a driver's image may be photographed using a camera, The head position of the driver can be recognized by detecting the head portion of the driver on the image and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target with respect to each image frame.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도 8의 (a)와 같이 기설정된 기본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투명디스플레이(120)를 기본배율로 출력되도록 하고, 도 8의 (b)와 같이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기본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투명디스플레이(120)에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확대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도 8의 (c)와 같이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기본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투명디스플레이(120)에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축소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8 (a), whe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is located at a preset default position, So that the image of the enlarged magnification relative to the basic magnification is outputted to the transparent display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basic position as shown in FIG. 8 (b) If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is located behind the basic position as shown in (c) of FIG. 8,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s driven so as to output an image with a magnification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basic magnification.

이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위치를 감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방이미지(I2)가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면 축소되어 표시되도록 동작됨으로써, 운전자가 실제 전진 주행하는 것과 같은 실제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기 위해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된다.As such, when the driver's head position is sensed and moved forward, the rear image I2 is enlarged and displayed. When the driver rearwardly moves,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so as to be displayed in a reduced size. And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a separate switch to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driver's convenience.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측방으로 촬영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에 따라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를 자동조절하여 현재의 투명디스플레이(120)에서 표시되지 않은 후방이미지(I2)가 표시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9, the rear camera 110 adjusts the photographing angle to the left and right chamber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so that the rear image I2 not displayed in the current transparent display 120 is display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도 9의 (a)와 같이 기설정된 기본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후방카메라(110)의 현재 촬영각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도 9의 (b)와 같이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기본위치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면 우측방으로 상기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여 차량(10)의 후방 우측에 표시되지 않은 사각지역의 후방이미지(I2)가 화면표시되도록 하며, 도 9의 (c)와 같이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기본위치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면 좌측방으로 좌측방으로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여 차량(10)의 후방 좌측에 표시되지 않은 사각지역의 후방이미지(I2)가 화면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if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is determined to be at a predetermined basic position as shown in FIG. 9A,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from the basic position as shown in FIG. 9B,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djusted to the right side, The rear image I2 of the square area not display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driver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basic position as shown in (c) of FIG. 9, And controls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so as to drive the rear image I2 of the square area not display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vehicle 1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100)은 투명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후방이미지(I2)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전진 주행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하며, 이와 함께 차량(10)의 후방측 측방의 이미지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전진 주행 느낌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backward driving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rear image I2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0, giving the driver the feeling of forward running, The forward travel feeling can be further enhanced.

이를 위해, 상기 차량(10)의 후방측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차량(10)의 후방측 측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측방이미지(I8)를 촬영하는 측방카메라(170)가 장착된다.To this end, a side camera 170 is mounted,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0 and photographs a side image I8 for an object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0. [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운전석유리창(14) 및 조수석유리창(15)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10)의 전방측 측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측방이미지를 그대로 투사하거나 상기 측방카메라(170)에서 촬영된 측방이미지(I8)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하는 측방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 unit 13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iver's seat window 14 and the passenger seat window 15 of the vehicle 10, And a side display 180 for projecting a side image of an object located on the left side image or a side image I8 picked up by the side camera 170 selectively.

더불어,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부(140)에 마련된 측방이미지 출력키(144)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사기 측방디스플레이(180)에 측방이미지(I8)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drives and controls the side imag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side image I8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side image output key 144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

한편,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화면출력되는 후방이미지(I2)는 전진주행시와 달리 화면에 보이는 것과 반대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해야 하기 때문에 전진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경우 화면에 보이는 후방이미지(I2)에만 의지해서 후진주행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a), the rear image I2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120 must steer the steering whee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on the screen, For a beginner who is familiar with driving, it can be difficult to go backward by relying only on the rear image (I2) shown on the screen.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진주행 보조시스템(100)은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좌우반전된 상태로 화면표시되도록 하여 전진주행시와 동일한 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하며 후진주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ackward travel assistan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image I2 is inverted from left to right so as to steer the steering wheel in the same direction as forward travel, You can guide them to do.

이를 위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거나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반전이미지 출력키(145)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방이미지(I2)의 좌우측이 반전(Reverse)된 상태의 반전이미지(I9)가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11 (b), when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the backward travel driving of the vehicle 10 or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inverted image output key 145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And control the inverted image I9 in a stat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image I2 are reversed to b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반전이미지(I9)를 화면출력하는 경우, 상기 전방유리창(11)의 테두리를 따라 띠나 고리 형상으로 표시되는 반전표시 이미지(I10)가 상기 반전이미지(I9)와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반전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nverted image I9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n inverted display image I10, which is displayed in a loop or a ring shape along the rim of the front window 1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state in which the inversion function is activated to the driver by performing drive control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inverse image I9.

이와 같이, 상기 후방이미지(I2)를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화면출력함에 있어서, 좌우반전된 상태로 화면출력하여 전진주행시와 마찬가지로 화면에 보이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전대를 조향하며 후진주행할 수 있어 전진 주행에 익숙한 운전초보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he screen is output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inverted to steer the steering wheel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shown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a driving novice who is familiar with driv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차량 11...전방유리창
12...ECU 13...비상키
100...후진주행 보조시스템 110...후방카메라
120...투명디스플레이 130...제어부
140..입력부 141...후방이미지 출력키
142...비상이미지 출력키 143...부가기능 실행키
144...측방이미지 출력키 145...반전이미지 출력키
150...감지센서 160...운전자감지부
170...측방카메라 180...측방디스플레이
10 .... vehicle 11 ... front window
12 ... ECU 13 ... emergency key
100 ... Reverse travel assistance system 110 ... Rear camera
120 ... transparent display 130 ... control unit
140 .. Input unit 141 ... rear image output key
142 ... emergency image output key 143 ... addi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144 ... side image output key 145 ... inverse image output key
150 ... detection sensor 160 ... driver detection unit
170 ... side camera 180 ... side display

Claims (4)

차량(10)에 장착되어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후방이미지(I2)를 촬영하는 후방카메라(110); 상기 차량(10)의 전방유리창(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유리창(11)의 내측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투명상태가 되어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전방이미지(I1)를 그대로 투사하거나 상기 후방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는 투명디스플레이(120); 상기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가 선택적으로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30); 상기 차량(10)의 둘레에 장착되어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 및 상기 차량(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운전자감지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전방유리창(11)의 내부면 측에 밀착되게 장착되며, 상기 전방유리창(11)과 투명디스플레이(120) 사이에는 구동전원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투명해지거나 투명해지도록 동작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121)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카메라(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측방으로 촬영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각 감지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주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후방이미지(I2)를 화면출력하는 중에 설정거리 이내에 주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후방이미지(I2)의 화면출력을 정지하고 전방이미지(I1)가 투사되도록 구동제어하며,
상기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 위치가 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면 우측방으로 상기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현재 머리 위치가 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면 좌측방으로 후방카메라(110)의 촬영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동제어하며,
상기 차량(10)의 후진주행 구동이 감지되거나 입력부(140)에 마련된 반전이미지 출력키(145)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상기 후방이미지(I2)의 좌우측이 반전(Reverse)된 상태의 반전이미지(I9)와 상기 전방유리창(11)의 테두리를 따라 띠나 고리 형상으로 표시되는 반전표시 이미지(I10)가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고,
상기 반전이미지(I9)를 영상분석하여 후방영역에 존재하는 주차라인(L)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라인(L)의 형상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대를 조작해야 하는 방향을 판단하며, 판단된 운전대의 조작방향(I5), 운전대이미지(I6) 및 차량이동방향 지시이미지(I7)가 투명디스플레이(120) 상에 함께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A rear camera (110) mounted on the vehicle (10) and photographing a rear image (I2) for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vehicle (10); The front window 11 of the vehicle 1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ront window 11 an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front window 11 and becomes transpare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transparent display 120 for projecting the rear image I1 as it is or the rear image I2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10; A control unit (130) for drivingly controlling the transparent display (120) so that the rear image (I2)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backward travel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sensed; A sensor (150) mounted around the vehicle (10) to detect a peripheral obstacle; And a driver sensing unit (160) mounted in the vehicle (10) and sensing a head position of the driver,
The transparent display 120 is moun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indshield 11 and is selectively opaque or transparent depending on the driving power input between the front windshield 11 and the transparent display 120 A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121 is mounted,
The rear camera 110 adjusts the photographing angle to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 unit 130,
It is judged that a peripheral obstacle is present within a set distance while the rear image I2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by determining the distance from the peripheral obstacle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signal inputted from each sensing sensor 150 Stops the output of the rear image (I2) and drives the front image (I1) to be projected,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t basic position,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djusted to the right side, When the rear camera 110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set basic position, driving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ar camera 110 is adjusted to the left side room,
When the backward travel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detected or an input signal is inputted from an inverted image output key 145 provided on the input unit 140,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ear image I2 are inverted And a reverse display image I10, which is displayed in a loop or a ring shape along the rim of the front window 11,
The reversed image I9 is subjected to image analysis to recognize the parking line L existing in the rear area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must operate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ognized parking line L, (I5), the steering wheel image (I6), and the vehicle movement direction instruction image (I7)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40)에 마련된 비상이미지 출력키(142)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안전삼각대 형상의 비상이미지(I3)가 화면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130,
Wherein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emergency image output key (142) provided in the input unit (140), driving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an emergency image (I3) having a safety tripod shape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120)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배율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운전자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운전자의 현재 머리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면 상기 투명디스플레이(120)에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확대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현재 머리위치가 기설정된 기본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면 기본배율보다 상대적으로 축소된 배율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arent display 120 enlarges or reduces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30,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of the driver extracted us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driver sensing unit 16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edetermined basic position,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transparent display 120 to be relatively enlarged And controls the zoom lens to output an image having a magnification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a basic magnification when the current head position is located behind the predetermined basic position.
삭제delete
KR1020160094339A 2016-07-25 2016-07-25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KR101866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39A KR101866042B1 (en) 2016-07-25 2016-07-25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39A KR101866042B1 (en) 2016-07-25 2016-07-25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63A KR20180011663A (en) 2018-02-02
KR101866042B1 true KR101866042B1 (en) 2018-06-08

Family

ID=6122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339A KR101866042B1 (en) 2016-07-25 2016-07-25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0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1224A1 (en) 2018-04-16 2019-10-24 Formula Square Holdings Ltd Method to enhance first-person-view experience
CN114167849B (en) * 2020-08-21 2023-12-08 富联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Self-propelled triangular warning frame and travell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0397B1 (en) * 2021-07-08 2024-02-28 이하준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for rear image of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01B1 (en)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ystem for display rear image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60051126A (en) * 2014-10-31 201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of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754B1 (en) * 2011-12-16 2017-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imaging system of the vehicle around image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KR20140128812A (en) * 2013-04-29 2014-11-06 인포뱅크 주식회사 An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parant display for a vehicle and an appratus using it
KR20150051735A (en) 2013-11-05 2015-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rking Guide System and the Method
KR20150122042A (en) * 2014-10-24 2015-10-30 이수동 Traffic safety indicating device for vehicle using transparent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01B1 (en)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ystem for display rear image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160051126A (en) * 2014-10-31 201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of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63A (en)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8395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dead zone related to a front pillar of a vehicle
CN107444263B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8339252B2 (en) Blind spot display device and driving support device
JP3800172B2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JP4100026B2 (en) Start support device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JP2001006097A5 (en)
US20170232898A1 (en) Surrounding image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8061253A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system
WO2006016433A1 (en) Drive assisting device and drive assisting method
US11027652B2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114984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KR101866042B1 (en) Backward driving assistant system
JP2005125828A5 (en)
JP2005125828A (en) Vehicle surrounding visually confirming system provided with vehicle surrounding visually confirming device
KR20150044346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traffic accident of the driving blind spot related to a front pilla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A2928170C (en) Vehicle system for providing indirect view around commercial vehicle
JP2003259356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urrounding of vehicle
JPH09315225A (en) On-vehicle infrared image display device
JP4977482B2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vehicle, and image providing method
JP2010030524A (en) Blind side indicator
EP3658420B1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KR19980061720A (en) Vehicle with road environment awareness
JP2007193639A (en) Driving support device
KR200291685Y1 (en) Four sides monitering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