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74B1 -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74B1
KR101864374B1 KR1020170113971A KR20170113971A KR101864374B1 KR 101864374 B1 KR101864374 B1 KR 101864374B1 KR 1020170113971 A KR1020170113971 A KR 1020170113971A KR 20170113971 A KR20170113971 A KR 20170113971A KR 101864374 B1 KR101864374 B1 KR 10186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bridge
handrail
railing
bridge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7011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ridge insp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bridge hanging ladder having an inner ladder vertically formed along which a worker moves upwardly from an inside of a handrail of a bridge, an inner ladder vertically formed along which a worker moves upwardly from an outside of the handrail of the bridge, and a ladder coupler for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ladders and being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handrail; a vertical passage handrail forming a vertical passage from the outer ladder toward an outward direction of the handrail; a pivotally foldable working handrail pivotally installed to a lower end of the outer ladder and being pivoted between a vertically folding position and a horizontally unfolding posi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handrail; a device transfer unit rolli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handrail from the ladder coupler to move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rail; and a horizontal moving support provided on the outer ladder toward an outer side of the handrail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bridge hanging ladder with the device transfer unit, in which the horizontal moving support rol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rail in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rail. While the apparatus moves along the handrail at inspection of the bridge or at various constructions, the worker can easily carryout operation below the handrail.

Description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교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거나 간선공사 또는 조명 시설의 설치, 점검 및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기 위해 교량의 난간을 따라서 신속하고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which can quickly and freely move along a rail of a bridge in order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bridges, install, To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교량은 바다나 강, 그리고 대형 하천 등에 설치하여 대중교통의 원활함과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In general, bridges are installed in sea, river, and large rivers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onvenience of living.

그러나, 이와 같은 교량은 각종 차량의 이동 및 중량 등으로 인하여 교각 부위에 응력이 발생하여 변형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이유가 된다.However, such a bridge is a cause of a large accident due to the occurrence of stress due to the occurrence of stress in the bridge portion due to the movement and weight of various vehicles.

이러한 이유로 교량을 점검할 필요가 발생하였고, 교량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장치의 설비를 위하여 간선공사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For this reason, it was necessary to check the bridges, and the necessity of the trunk line construction for the facilities of the various electric devices used in the bridges emerged.

특히, 교량 하부면의 검사, 점검, 유지관리 및 보수, 간선공사 등의 제반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경간과 경간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하여 점검 및 공사 작업을 해야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inspection, inspect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maintenance work, etc. are to be carried out, the operator must move between the span and span to carry out inspection and construction work.

종래의 작업대는 교량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거나 현수되는 고정식과 이동되는 이동식으로 구분하고, 고정식인 경우에는 가설부재들을 독립된 구조물 형태로 조립하여야 했으므로 가설부재들이 대량으로 필요하였고, 다음 작업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대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었으며, 이동식의 경우에는 작업대의 전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교량의 외측에 고정한 브래킷 또는 거더의 상하에 별도의 빔 또는 레일 및 현가장치 등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workbenches are classified into fixed type and movable type which ar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and movable type when they are fixed type. In case of the fixed type, since the temporary members are assembled in the form of independent structures, In case of movable type, separate beams or rails and suspensions are attach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bracket or girder fix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to support the total load of the work table. There is a problem to be installed.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173516호(1998년10월30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73516 (registered on Oct. 30, 199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에 의하더라도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교통 흐름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시간지연과 자재이동, 작업자가 이동하는 불편함을 줄이면서 하부에서 작업하기 위해 바지선을 띄워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뿐만 아니라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mobile workst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traffic flow is greatly affected during the work and inconveniences of the citizens are cau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delay, the material mov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working time but also the cost can be excessively consumed.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173516호(1998년10월30일자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73516 (registered October 30, 1998)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점검 및 각종 공사시 교량의 난간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교량 난간의 하부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device capable of allowing a worker to perform work at a lower portion of a bridge railing while checking a bridge and moving along a rail of a bridge during various constructions.

또한, 교량의 각종 작업시 작업자가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an operator dur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brid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는: 교량 난간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향 이동하도록 내측 사다리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교량 난간의 외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하향 이동하도록 외측 사다리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사다리와 상기 외측 사다리의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고 교량 난간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사다리 연결부로 이루어진 교량 걸침 사다리; 상기 외측 사다리로부터 교량 난간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수직 통로 난간부; 상기 외측 사다리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직으로 절첩되는 접이위치와 교량 난간의 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게 수평으로 펼쳐지는 전개위치 사이에서 동작 되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 상기 사다리 연결부의 하부에서 교량 난간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되어 교량 난간의 상부를 따라 구름 이동되는 장치 이송부; 및, 상기 외측 사다리에서 교량 난간의 외측면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치 이송부가 교량 난간에 접촉되는 방향과는 교차 되는 방향으로 교량 난간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 이동되며, 상기 장치 이송부와 함께 상기 교량 걸침 사다리를 지지하는 가로 이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ladder is vertically formed so as to be held by an operator inside the bridge railing and moved upwards; A bridge hanger ladder comprising an outer ladder formed vertically and a ladder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adder and the outer ladder to each other and being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A vertical passageway portion provided to form a vertical passage from the outer ladder to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A folding type folding type working railing unit operated between a folding position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ladder and is folded vertically and an unfolding position which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A device transferring part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adder connection part in a rolling contact with an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 and rolling along an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 And an outer ladder extending from the outer ladder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in a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apparatus transfer section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bridge railing, And a transverse moving support for supporting the bridge ladder.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는 상기 사다리 연결부에서 상기 장치 이송부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장치 이송부의 이동을 구동하는 이송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or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apparatus transporting unit at the ladder connecting unit to drive movement of the apparatus transporting uni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는 상기 이송 구동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상기 장치 이송부의 전진, 후진 및 정지 동작을 무선으로 조종하도록 하는 무선조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dio control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the transport driving unit and wirelessly controlling forward, backward and stop operations of the apparatus transport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점검 및 각종 공사시 교량의 난간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교량 난간의 하부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which allows a worker to easily carry out work at a lower part of a bridge railing while checking a bridge and moving along a rail of a bridge during various constructions.

또한, 교량의 각종 작업시 작업자가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checking device which can easily control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operator dur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bridge.

아울러, 교량의 점검 및 각종 공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공사 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which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bridge inspection and various construction work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나아가, 교량의 점검 및 각종 공사 작업의 수행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which can reliably prevent a safety accident when a bridge is inspected and various construction works ar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구조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구조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구조 중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가 접이위치에서 전개위치로 회동되어 작업자가 교량 난간의 하부에서 작업 가능하게 되는 것을 보여주는 동작 및 사용 상태도,
도 7은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구조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of FIG. 1 is disassemble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of FIG. 1;
Fig. 5 and Fig. 6 are an operation and use state showing that the turning folding type workbench part of Fig. 1 is turned from the folded position to the deployed position so that the worker can work at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railing,
FIG. 7 is a side view of a structure of a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3,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난간(20)에 걸쳐져 지지 되며 교량 난간(20)을 레일처럼 삼아 교량 난간(20)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비된 교량 걸침 사다리(200)와,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외측 사다리(220)로부터 교량 난간(20)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수직 통로 난간부(300)와,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외측 사다리(22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직으로 절첩되는 접이위치와 교량 난간(20)의 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게 수평으로 펼쳐지는 전개위치 사이에서 동작 되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와,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사다리 연결부(230)의 하부에서 교량 난간(20)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되어 교량 난간(20)의 상부를 따라 구름 이동되는 장치 이송부(231)와,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외측 사다리(220)에서 교량 난간(20)의 외측면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장치 이송부(231)가 교량 난간(20)에 접촉되는 방향과는 교차 되는 방향으로 교량 난간(20)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 이동되는 가로 이동 지지부(221)를 포함한다. 1 and 2, the movable bridge che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ver the railings 20 of the bridges and is designed so that the bridge railing 20 is supported on the bridge railing 20 as a rail A vertical passage rail part 300 provided to form a vertical passag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from the outer ladder 220 of the bridge ladder 200, A rotation which is pivot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ladder 220 of the bridge hanger ladder 200 and which is operated between a folding position vertically folded and a deployed position spreading horizontally awa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Folding operation part 500 and a lower part of the ladder connection part 230 of the bridge ladder 200 so as to be rollingly move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ing 20 The device transferring unit 231, The ladder 200 is provided at the outer side of the ladder 220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20 so that the bridge 231 is mov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transferring portion 231 contacts the bridge railing 20 And a transverse movement support 221 which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rail 20.

이에 따라, 교량(10)의 점검 및 각종 공사, 특히 조명 시설의 설치, 점검 및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기 위해 교량(10)에 설치되어 교량 난간(20)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동될 때에 장치 이송부(231)와 가로 이동 지지부(22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또는 정지된 상태가 안정되게 지지 되며, 교량 난간(20)의 하부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교량 난간(20)의 하부에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ridge 10 can be installed on the bridge 10 to perform the inspection of the bridge 10 and various works, particularly, the installat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lighting facility, and can be slid along the bridge railing 20, The slidable movement of the bridge rail 20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work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 20 when the bridge rail 20 is in a state of being slid or moved by the apparatus transfer section 231 and the transverse movement support section 221.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that forms a work space in a lower portion.

교량 걸침 사다리(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의 인도 측과 교량(10) 외측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교량 난간(20)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향 이동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 사다리(210)와, 교량 난간(20)의 외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하향 이동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 사다리(220)와, 내측 사다리(210) 및 외측 사다리(220)의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고 교량 난간(20)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사다리 연결부(230)와, 복수 개의 가로바(217)를 포함한다. The bridging ladder 20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nect the delivery side of the bridge 10 and the outside of the bridge 10 as shown in Figures 1 to 3, An outer ladder 220 formed vertically so that the operator grips the bridge rail 20 by hand and moves downward, and an inner ladder 210 and an outer ladder 2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7. The ladder connection portion 230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7, which extend up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내측 사다리(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교량 난간(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는 교량(10)의 인도측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회동되는 발판부(211)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ner ladder 210 is symmetrically formed so as to be upwardly moved by an operator and is provided inside the bridge railing 20, and a bridge 1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ootrest 211 which is pivoted so as to be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delivery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발판부(211)가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판부(211)를 밟고 내측 사다리(210)로 편리하게 오르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tep on the foot part 211 and easily climb to the inner ladder 210 in a state in which the foot part 211 is unfolded.

발판부(2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변부에 교량 걸침 사다리(200)가 연결 고정되게 설치되고, 발판(213)과 발판 힌지(215)로 이루어진다. 발판 힌지(215)는 발판(213)의 일측변부, 바람직하게는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내측 사다리(210)와 연결되도록 발판부(211)의 후방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ootrest 211 includes a footrest 213 and a footrest hinge 215. The footrest 211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footrest 211 by a bridge hanger 200. As shown in FIG. The footrest hinge 215 is installed at the one side of the footrest 213, preferably behind the footrest 211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ladder 210 of the bridge hanger ladder 200.

이에 따라, 발판 힌지(215)에 의해 내측 사다리(210)에 연결된 발판부(211)는 상하로 회동하면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펼쳐서 작업자가 밟고 교량 걸침 사다리(200)로 이동하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내측 사다리(210)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교량(10)의 인도로 다니는 사람들에게 걸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footrest 211 connected to the inner ladder 210 by the footrest hinge 215 can be folded while being vertically rotated. In other words, when the use is necessary, the worker unfolds and moves to the bridge ladder 200. When the ladder 200 is not used, the operator folds and fixes the ladder 210 on the inner ladder 210,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use it in a narrow place.

외측 사다리(2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교량 난간(2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측 사다리(210)와 마찬가지로 중간 부분에는 다수 개의 가로바(217)가 고정 형성되고, 이 가로바(217)들을 작업자가 밟고 수직 통로 난간부(300)에 의해 형성되고 방호 되는 통로를 통해 수직 통로 난간부(300)의 하단부에 구비된 통로 발판(320)까지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1 to 3, the outer ladder 220 is symmetrically formed to be able to move downward by an operator's hand and is provided outside the bridge railing 20, and includes an inner ladder 210,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7 are fixedly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 217. The horizontal bar 217 is fixed to the vertical barriers 300 through the passage formed by the vertical barriers 300, To the passage foot plate 320 provided at the lower end.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전개위치로 펼쳐지면 작업자는 통로 발판(320)에서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의 작업 발판(420)으로 이동하여 교량 난간(20)의 하부에서 교량의 점검 및 간선 공사 작업 등, 여러 가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게 된다. 3 to 5, when the rotary folding type workpiece rail part 400 is unfolded to the unfolded position, the worker moves the work footrest 420 of the turning folding type worker ' To perform a variety of operations such as bridge inspection and trunk construction work at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railing 20.

가로 이동 지지부(2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사다리(220)에서 교량 난간(20)의 외측면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장치 이송부(231)가 교량 난간(20)에 접촉되는 방향과는 교차 되는 방향으로 교량 난간(20)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 이동되며, 장치 이송부(231)와 함께 교량 걸침 사다리(200)를 지지한다.2 and 3, the transverse moving support portion 221 is provided laterally from the outer ladder 220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20 so that the device transferring portion 231 is supported by the bridge railing 20 So as to support the bridge hanger ladder 200 together with the device transferring part 231. The bridge hanger ladder 200 is supported by the device transferring part 231,

좀더 구체적으로, 가로 이동 지지부(22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수 개의 롤러가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고, 롤러 부위가 교량 난간(2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구름이동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or more rollers are provided so as to be fixed by the brackets, and the roller moving part 221 is provided so that the roller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and rolls desir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가 교량 난간(20)을 레일로 삼아 교량 난간(20)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교량 난간(20)의 외측면과의 마찰에 따른 손상 없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장치 이송부(231)와 가로 이동 지지부(221)의 2점 지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해 정지된 상태가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rail to slide along the bridge railing 20,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100 can be operated without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It can be smoothly and smoothly moved. In particular, the two-point support of the device transferring part 231 and the transverse movement supporting part 221 can stably support the stopped state for sliding movement or work.

사다리 연결부(2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 형상을 이루는 난간 부재가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롤러나 바퀴 휠 등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장치 이송부(231)가 구비된다. 이때, 사다리 연결부(230)의 길이는 교량 난간(20)의 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ladder connecting part 230 is provided with an arcuate railing member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a device transferring part 231 provided on the lower part thereof with a roller or a wheel wheel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ladder connecting portion 230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ridge railing 20.

장치 이송부(2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서 사다리 연결부(230)에 가로방향 즉, 교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연결축(232)과, 연결축(232)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후방 이송축(233)과, 후방 이송축(233)의 양단부에 구비된 후방 휠(234)과, 연결축(232)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전방 이송축(235)과, 전방 이송축(235)의 양단부에 구비된 전방 휠(236)을 포함한다. 2, the apparatus transfer unit 231 includes a connection shaft 232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adder connection portion 2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10, A rear wheel 23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transfer shaft 233 and a rear wheel 234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onnecting shaft 23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front wheel 236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transfer shaft 235.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장치 이송부(231)는 사다리 연결부(23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후방 휠(234) 및 전방 휠(236)이 교량 난간(20)의 상부면과 구름 접촉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pparatus transfer section 231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adder connection section 230 while the rear wheel 234 and the front wheel 236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연결부(230)에는 장치 이송부(231)에 연결되게 이송 구동부(240)가 구비되어 장치 이송부(231)의 이동을 구동한다.2 and 3, the ladder connecting part 230 is provided with a transfer driving part 240 to be connected to the transferring part 231 to drive the movement of the transferring part 231.

이에 따라, 이송 구동부(240)의 작동에 의해 장치 이송부(231)가 교량 난간(2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슬라이딩 이동이 훨씬 수월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bridge che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more straightforward due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apparatus transferring unit 231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riving unit 240 .

이송 구동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32)과 후방 이송축(233)을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후방 이송축(233)에 의한 전진 및 후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는 모터(241)와, 연결축(232)의 일측에 구비되며 모터(241)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모터제어부(243)와, 상부에 구비되어 후방 휠(234) 및 전방 휠(236)을 덮는 커버(245)와, 커버(245)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된 전원공급부재(24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feed driving unit 240 is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connecting shaft 232 and the rear feed shaft 233, so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feed shaft 233 are performed A motor control unit 24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23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241 and a rear wheel 234 and a front wheel 236 A cover 245 covering the cover 245, and a power supply member 247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45.

모터제어부(243)는 후술할 무선조종부(500)의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241)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후방 이송축(233)이 연계되어 동작 되도록 구비된다. The motor control unit 243 receives the signal of the radio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241. At the same time, the rear conveying shaft 233 is operated so as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즉, 모터제어부(243)는 무선조종부(500)의 전진, 후진 및 정지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모터(241)를 동작시키며, 모터(241)에 연동 되는 후방 이송축(233)이 회전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motor control unit 243 receives the forward, backward, and stop signals of the radio control unit 500 and controls the motor 241 by controll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elements. The motor control unit 243 controls the rear conveying shaft 233 As shown in Fig.

전원공급부재(247)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용 전기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공급부재(247)는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용이한 브래킷에 의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ower supply member 247 uses a chargeable electric battery that can be charged.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member 247 is provided by a bracket that is easily detachable and attachable.

수직 통로 난간부(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외측 사다리(220)에 수직의 통로를 형성하며, 작업자가 외측 사다리(220)를 잡고 하향 이동할 때에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방호해주도록 다수개의 방호 보호바(310)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해서 설치된다. The vertical pathway rail part 300 forms a vertical passage to the outer ladder 220 of the bridge hanger ladder 200 as shown in Figures 1 to 3 so that the operator grips the outer ladder 220, A plurality of protective bar 310 are successively installed from top to bottom so as to safely move when moving.

이에 따라, 작업자가 교량의 하부로 이동할 때에 작업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수직 통로 난간부(300)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operator by the vertical passageway section 300 so that the worker does not fall when the worker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다수개의 방호 보호바(310)는 라운드 형상 또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The plurality of protective bars 310 are formed to be curved in a round shape or an arch shape, are fixed by vertical fixing bars, and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통로 난간부(300)의 하부 밑면에는 통로 발판(32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assageway footrest 320 is provided on the lower underside of the vertical passageway section 300.

통로 발판(320)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설 수 있도록 외측 사다리(220) 및 방호 보호바(310)와 연결 고정되어 설치된다. The passageway footrest 32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uter ladder 220 and the protection bar 310 so that the worker can stand safely.

그리고, 외측 사다리(220)의 일측 전방에는 고정고리(330)가 구비되고, 고정고리(330)에는 연결체인(340)이 연결 설치된다. A fixing collar 3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ladder 220 and a connecting chain 340 is connected to the fixing collar 330.

이에 따라, 연결체인(340)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와 연결되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접이위치에서 전개위치로 펼쳐질 때에 교량 걸침 사다리(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ng chain 340 is connected to the rotary folding type worker's handrail part 400 and the rotary folding type worker rail part 400 is unfolded from the folded position to the unfolded position, As shown in FIG.

또한, 외측 사다리(220)에는 작업자가 밟고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로 이동하도록 다수개의 가로바(217)들이 구비되는데, 이때 이 가로바(217)들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후크(350)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217 are provided on the outer ladder 220 so as to allow the operator to move to the stepped and folded folding operation part 400. At this time, .

이에 따라, 고정후크(350)에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의 고정끈(440)이 걸리게 되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접이위치에 있을 때에 외측 사다리(220)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us, the fixing strap 440 of the rotary folding type working arm part 400 is hooked on the fixing hook 350, so that when the rotation folding type working part is in the folding position, it does not fall off the outer side ladder 220 It can be tightly fixed.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의 점검 및 간선 공사, 그 밖의 다른 다양한 종류의 각종 공사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측 사다리(220)의 하단부에 힌지부(4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전개위치로 펼쳐지는 경우, 교량 난간(20)의 하부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folding operation finishing part 400 includes a sp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bridge 10, an operator's trimming work, and various other types of construction work And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ladder 220 by means of a hinge portion 410. At this time, when the folding operation deflector part 400 is deployed to the unfold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railing 20.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는 미작업시에는 외측 사다리(220)와 수직 통로 난간부(300)의 사이로 접혀져서 고정되고, 작업시에는 교각을 향해 펼쳐져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공간이 교량 난간(20)의 하부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rotary folding type working arm part 400 is folded and fixed between the outer ladder 220 and the vertical channel laying part 300 at the time of not working, So that the work space in which the worker performs the work can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좀더 구체적으로,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도록 전개위치에서 하부가 되는 위치에 작업 발판(420)이 구비되고, 작업 발판(420)의 상부에는 ‘ㄷ’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고정바 및 가로바들에 의해서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를 이탈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작업 난간(430)이 구비된다. More specifically, the rotary folding type working arm part 400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pedestal 420 at a lower position from the deployed position so that the worker can work safely,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pedestal 420 has a shape of ' And a plurality of fixed bars and horizontal bars arranged in the form of a lattic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dropping away from the rotary folding type workpiece rail 40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난간(430)에는 고정끈(440)이 고정되고, 고정끈(440)은 전술한 고정후크(350)에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2, a fixing strap 440 is fixed to the work railing 430, and the fixing strap 440 is fixed to the fixing hook 350 described above.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의 힌지부(410)에 의한 회동 각도는 외측 사다리(220)에서 교량 난간(20)의 하부방향으로 90°를 이루도록 회동이 제한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folding operation lever part 400 by the hinge part 410 is restricted to be 90 degree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at the outer ladder 220. [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에는 안전대(450)가 구비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a safety table 450 is provided on the rotary folding type working arm part 400.

안전대(450)는 작업시에 작업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허리 또는 가슴 부위에 이르는 높이에 설치되고, 작업 후에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접이위치로 접혀지도록 안전대(450)를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에서 빼낸 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자유롭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전대(450)에는 고정공 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table 450 is installed at a height reaching the waist or chest region so that the worker is not fallen at the time of work, and after the work, the safety table 450 is folded to the folding position so that the foldin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reely detachable and attachable so as to be separately stor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rail part 40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hole or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safety table 450 so as to be fitt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구동부(240)와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장치 이송부(231)의 전진, 후진 및 정지 동작을 무선으로 조종하도록 하는 무선조종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무선조종부(500)는 외측 사다리(220)에 고정되거나 작업자에 따라 외측 사다리(220)에 걸어놓고 사용하다가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the feed driving unit 240 and wirelessly controls the forward, backward, and stop operations of the apparatus feeding unit 231 And a radio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radio control unit 500. At this time, the radio control unit 500 may be fixed to the outer ladder 220 or may be used by hanging it on the outer ladder 220 according to the operator, and then using the radio control unit 500 while carrying it.

이에 따라,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를 교량 난간(20)을 따라 이동시킬 때에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의 작업 발판(42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무선조종부(500)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가 조종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obile bridge check apparatus 100 is moved along the bridge railing 20, the operator is moved to the radio control unit 500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is on the work foot plate 420 of the folding type work restraint unit 400 So that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controlled.

무선조종부(500)는 근거리 통신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o control unit 500 is installed to be able to communicate using a local communication frequency and various radio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Wi-Fi, ZigBee, and Bluetooth can be applied.

여기서, 이송 구동부(240)는 무선조종부(500)에 의해 무선으로 조종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송 구동부(240)는 유선으로 조종되게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transport driving unit 240 is described as being operated by the radio control unit 500 wirelessly, but the transport driving unit 240 may be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wire.

상기 무선조종부(500)에는 전진버튼, 후진버튼 및 정지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The radio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forward button, a reverse button, and a stop button.

상기 무선조종부(500)를 이용하여 전진과 후진을 하기 위한 동작은, 먼저 전진버튼을 눌러서 전진신호를 이송 구동부(240)에 송신하면 이송 구동부(240)는 전진신호를 수신하여 장치 이송부(231)의 전진 동작을 구동하고, 상기 무선조종부(500)의 후진버튼을 눌러서 후진신호를 이송 구동부(240)에 송신하면 이송 구동부(240)는 후진신호를 수신하여 장치 이송부(231)의 후진 동작을 구동한다.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using the radio control unit 500 are performed by first pushing the forward button to transmit a forward signal to the feed driving unit 240. Then, the feed driving unit 240 receives the forward signal and transmits the forward signal to the device feed unit 231 When the backward signal of the radio control unit 500 is pressed to transmit the backward signal to the transfer driving unit 240, the transfer driving unit 240 receives the backward signal and controls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device transfer unit 231 .

그리고, 상기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를 멈추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조종부(500)의 정지버튼을 눌러서 정지신호를 이송 구동부(240)에 송신하면 이송 구동부(240)는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장치 이송부(231)가 정지되도록 한다. When the user stops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olding type worker's handrail part 400 and presses the stop button of the radio control part 500 to transmit the stopping signal to the feeder driving part 240, And causes the apparatus transfer unit 231 to stop.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and use state of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and use of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same.

우선, 발판부(211)를 펼치고, 작업자가 발판부(211)를 밟고 교량 걸침 사다리(200)의 내측 사다리(210)를 잡고 올라 사다리 연결부(230)를 지나 외측 사다리(220)를 잡고 수직 통로 난간부(300)와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통로 발판(320)까지 아래로 내려온다.First, the footrest portion 211 is unfolded and the operator steps on the foot portion 211 to hold the inner ladder 210 of the bridge ladder 200 and grips the outer ladder 220 through the ladder connection portion 230, And descends down to the passage footplate 320 through a passage formed between the railway part 300 and the railway part 300.

다음에, 작업자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를 펼쳐서 전개위치로 회동시키고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의 작업 발판(420) 측으로 이동하여 작업한다.Next, the worker unfolds and rotates the folding folding-type worker's handrail part 400 to the unfolding position, and moves to the worker's footing 420 side of the folding folding-type worker's folding part 400 to work.

이때,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는 연결체인(340)에 의해 고정되어 외측 사다리(220)에 접혀진 접이위치에서 90°를 초과하여 펼쳐지지 않도록 회동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는 작업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folding type working arm part 400 is fixed by the connecting chain 340 so that the rotation is restricted so that the outer ladder 220 is not unfolded by more than 90 degrees at the folding position folded on the outer ladder 220, So that a working space can be provid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외측 사다리(220)에서 교량 난간(20)의 하부면에 대응된 위치에는 외측 사다리(220)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외측 사다리(220)를 가로지르는 수평방향으로 교량 난간(20)의 하부면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왕복 슬라이딩 되게 구비된 슬라이딩식 보강 지지 프레임(36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7,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in the outer ladder 220 of the portable bridge che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liding type reinforcing supporting frame 360 slidably and reciprocally slidabl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ross the outer ladder 220.

이에 따라, 슬라이딩식 보강 지지 프레임(360)에 의해 장치 이송부(231) 및 가로 이동 지지부(221)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슬라이딩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해 정지된 상태가 3점 지지에 의해서 더욱 안정되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ate of being stopped for the sliding movement or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ridge check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pparatus transferring section 231 and the transverse movement supporting section 221 by the sliding type reinforcement supporting frame 360 is 3 So that it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by the point support.

이때, 슬라이딩식 보강 지지 프레임(360)은 외측 사다리(220)와 수직 통로 난간부(300)의 방호 보호바(310)의 사이에 있다가 필요 시 교량 난간(20)의 하부면으로 슬라이딩 돌출될 수 있도록 상하에는 방호 보호바(310)와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이 구비되고, 교량 난간(20)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단부의 상부에는 교량 난간(20)의 하부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완충부재(36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liding type reinforcing supporting frame 360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ladder 220 and the protection bar 310 of the vertical pathway rail part 300, and is slidably protru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A plurality of rollers that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rotective barrier bar 310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idge railing 20 and the upper end of the bridge guardrail 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361 is provided to prevent abrasion.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의 수직 통로 난간부(300)의 상부에는 무선조종부(500)의 조종에 의해 작동되거나 장치 이송부(231) 또는 힌지부(410)에 구비된 별도의 센서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경광등(37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8,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thway span part 300 of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radio control part 500 or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ransfer part 231 or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unit 410 is provided with a beacon light 370 operated by a separate senso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가 이동 운행시 또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400)가 전개되어 작업자에 의한 작업 수행시 이를 경광등(370)을 통해 외부로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주변을 지나는 차량이나 통행인들로 하여금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or the folded folding type worker's handrail unit 400 is developed and the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the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informs the outside through the warning light 370, You can make vehicles and passersby around you pay attention to safety accidents.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10)의 점검 및 각종 공사시 교량의 난간(20)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교량 난간(20)의 하부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교량(10)의 각종 작업시 작업자가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can easily carry out work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20 while moving along the railing 20 of the bridge during the inspection and various works of the bridge 10,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that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control the back and forth movement.

또한, 교량(10)의 점검 및 각종 공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공사 비용이 대폭 절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교량(10)의 점검 및 각종 공사 작업의 수행시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pection of the bridge (10) and various construction works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 safety accident during the inspection of the bridge (10) The port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100 can be provided.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200 : 교량 걸침 사다리
210 : 내측 사다리 220 : 외측 사다리
221 : 가로 이동 지지부 230 : 사다리 연결부
231 : 장치 이송부 240 : 이송 구동부
300 : 수직 통로 난간부 400 :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
500 : 무선조종부
100: Portable bridge checking device 200: Bridged ladder
210: inner ladder 220: outer ladder
221: transverse moving support part 230: ladder connection part
231: Device transferring unit 240:
300: vertical passage railway part 400: rotation folding operation railway rail part
500: Radio control unit

Claims (3)

교량 난간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향 이동하도록 내측 사다리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교량 난간의 외측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하향 이동하도록 외측 사다리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사다리와 상기 외측 사다리의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고 교량 난간의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사다리 연결부로 이루어진 교량 걸침 사다리;
상기 외측 사다리로부터 교량 난간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수직 통로 난간부;
상기 외측 사다리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직으로 절첩되는 접이위치와 교량 난간의 하부로부터 하향 이격되게 수평으로 펼쳐지는 전개위치 사이에서 동작 되는 회동 절첩식 작업 난간부;
상기 사다리 연결부의 하부에서 교량 난간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게 구비되어 교량 난간의 상부를 따라 구름 이동되는 장치 이송부; 및
상기 외측 사다리에서 교량 난간의 외측면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치 이송부가 교량 난간에 접촉되는 방향과는 교차 되는 방향으로 교량 난간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 이동되며, 상기 장치 이송부와 함께 상기 교량 걸침 사다리를 지지하는 가로 이동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 연결부에서 상기 장치 이송부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장치 이송부의 이동을 구동하는 이송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사다리에서 교량 난간의 하부면에 대응된 위치에는 상기 외측 사다리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 사다리를 가로지르는 수평방향으로 교량 난간의 하부면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왕복 슬라이딩 되게 구비된 슬라이딩식 보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An inner ladder is vertically formed so as to be upwardly moved by an operator inside the bridge railing, an outer ladder is vertically formed so as to move downward by an op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bridge railing, and the inner ladder and the outer ladder A bridge hanger ladder consisting of a ladder connection part connecting to each other and upwardly spac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ing;
A vertical passageway portion provided to form a vertical passage from the outer ladder to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A folding type folding type working railing unit operated between a folding position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outer ladder and is folded vertically and an unfolding position which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railing;
A device transferring part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adder connection part in a rolling contact with an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 and rolling along an upper part of the bridge rail; And
Wherein the apparatus transfer section is provided in the outer ladder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so that the apparatus transfer section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bridge rail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bridge railing, A transverse moveme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ladder;
Lt; / RTI >
Further comprising a feed drive unit connected to the apparatus feed unit at the ladder connection unit to drive movement of the apparatus feed unit,
A slidable reinforcement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outer ladd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 in the outer ladder and slidably reciprocating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bridge rail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cross the outer ladder, And a support frame is provided on the movable brid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13971A 2017-09-06 2017-09-06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KR101864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71A KR101864374B1 (en) 2017-09-06 2017-09-06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71A KR101864374B1 (en) 2017-09-06 2017-09-06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374B1 true KR101864374B1 (en) 2018-06-04

Family

ID=626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971A KR101864374B1 (en) 2017-09-06 2017-09-06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7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206A (en) * 2019-06-24 2019-09-17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A kind of movable hook ladder for Shipbuilding Work
KR102273725B1 (en) * 2020-11-25 2021-07-05 윤풍식 fabricated inspecting suppor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IT202000006673A1 (en) * 2020-03-31 2021-10-01 Tuttosicurezza S R L Presidium for access to walkways and quays of viaducts and road infrastructures in gener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043A (en) * 1991-06-11 1993-04-27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Structure painting robot
KR0173516B1 (en) 1995-12-29 1999-02-18 이용재 Movable scaffolding apparatus
KR200254645Y1 (en) * 2001-08-08 2001-12-0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a sub-ladder for entrance and exit of the bridge-inspection-equipment
KR100358524B1 (en) * 2000-01-28 2002-11-0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moving Ladder system of bridge
JP2004169475A (en) * 2002-11-21 2004-06-17 Nichiei Sekkei Kk Inspection work bench for bridge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043A (en) * 1991-06-11 1993-04-27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Structure painting robot
KR0173516B1 (en) 1995-12-29 1999-02-18 이용재 Movable scaffolding apparatus
KR100358524B1 (en) * 2000-01-28 2002-11-0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moving Ladder system of bridge
KR200254645Y1 (en) * 2001-08-08 2001-12-01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a sub-ladder for entrance and exit of the bridge-inspection-equipment
JP2004169475A (en) * 2002-11-21 2004-06-17 Nichiei Sekkei Kk Inspection work bench for bridge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206A (en) * 2019-06-24 2019-09-17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A kind of movable hook ladder for Shipbuilding Work
IT202000006673A1 (en) * 2020-03-31 2021-10-01 Tuttosicurezza S R L Presidium for access to walkways and quays of viaducts and road infrastructures in general.
KR102273725B1 (en) * 2020-11-25 2021-07-05 윤풍식 fabricated inspecting suppor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74B1 (en) movable bridge inspection apparatus
CN107013045B (en) Loading platform
KR101886436B1 (en) Transport installation with an aerial cable provided with a maintenance vehicle
US7422096B2 (en) Extension for conveyor
US20040211014A1 (en) Regional boarding ramp for commuter aircraft
US11649648B2 (en) Enhanced safety cage apparatus for work areas on top of rolling stock such as rail tank cars
US10280637B2 (en)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KR20180111720A (en) Expandable bucket safety handrail structure mounted on aerial work vehicles
JP2520780B2 (en) Landing platform and elevated protection for construction sites
JP2014145160A (en) Mobile scaffold
KR101981845B1 (en) Overhead conveying device having a securing element
CN100532723C (en) Bridging apparatus
KR101028631B1 (en) Movable bridge inspection equipment
US6966418B2 (en) Extension for roof conveyor
KR100680148B1 (en) Aerial ladder with bendable auxiliary ladder
KR101283567B1 (en) Aerial Ladder truck
US20030221908A1 (en) Foldable safety apparatus for an upper region of a ready-mix concrete truck
KR102262254B1 (en) scaffold System
RU194558U1 (en) Folding electric ramp
KR101683403B1 (en) Cable inspection available rail road emergency exit route
US7849637B2 (en)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US20150184349A1 (en) Mobile bridge and method for erecting a bridge
KR102309816B1 (en) Lifesaving ladder car
CN220451966U (en) Subway tunnel assembly of plugging into
KR102236750B1 (en) Window Workbench For One man Having Compati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