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064B1 - X-ray CT ima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X-ray CT imag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064B1
KR101863064B1 KR1020150148993A KR20150148993A KR101863064B1 KR 101863064 B1 KR101863064 B1 KR 101863064B1 KR 1020150148993 A KR1020150148993 A KR 1020150148993A KR 20150148993 A KR20150148993 A KR 20150148993A KR 101863064 B1 KR101863064 B1 KR 10186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ensor
rotation
generator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8082A (en
Inventor
김영균
오치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텍
Priority to KR102015014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064B1/en
Priority to EP15859487.9A priority patent/EP3219258A4/en
Priority to PCT/KR2015/012172 priority patent/WO2016076643A1/en
Priority to US15/526,679 priority patent/US10617373B2/en
Publication of KR2017004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5Source units specially adapted to modify characteristics of the beam during the data acquisition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소폭의 엑스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촬영 가능한 촬영대상영역의 크기에 비해 촬영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회전 범위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콤팩트한 촬영부 케이스를 가질 수 있는 엑스선 CT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대; 상기 회전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고,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는 상기 엑스선 빔의 방향이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제너레이터부; 및,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면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소폭 엑스선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는 그 회전의 주연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너레이터부는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의 위치에 따라서 콜리메이션된 엑스선 빔을 조사한다.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 relatively large photographing target area by using a small X-ray sens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relatively narrow rotation range a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photographing target photographing area, and consequently to have a compact photographing case Ray CT imaging apparatus is started.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on support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 generato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and having an X-ray generator for irradiating an X-ray beam, the X-ray generator having a X-ray beam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a narrow X-ray sensor which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with the body therebetween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so as to face the X-ray generator And the small X-ray sensor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and the generator unit irradiates the collimated X-ray be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mall X-ray sensor.

Description

엑스선 CT 촬영장치{X-ray CT imaging Apparatus}{X-ray CT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CT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좁은 폭의 센서와 저 선량의 엑스선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촬영대상영역에 대한 3차원 엑스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엑스선 CT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X-ray image of a region to be imaged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with a sensor of a narrow width and an X- .

의료분야에서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일정량의 엑스선을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엑스선을 엑스선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엑스선 영상을 구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엑스선은 그 진행경로 상의 물질에 따라 다른 감쇄율로 감쇄되며 투과되고, 엑스선 센서에 도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이와 같이 엑스선 진행경로에 따른 누적 감쇄량이 반영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내부에 관한 정보를 엑스선 영상으로 제공한다. In the medical field, an X-ray imag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that transmits a predetermined amount of X-rays to a body part to be imaged, detects X-rays transmitted through the X-ray sensor, and forms an X-ray image based on the sensed electrical signals. The X-rays are attenuated and transmitted at different attenuation rates depending on the material on the traveling path, and when they reach the X-ray sensor, they are converted into electrical signals by photoelectric effect. The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s an X-ray image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reflecting the cumulative attenuation amount along the X-ray path.

치과 진료분야에서, CT 영상은 환자의 신체 중 주요 관심 부위인 치열, 턱 관절 또는 머리 부분에 대한 3차원 엑스선 영상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른 단층 영상을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시술 등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엑스선 CT(Computed Tomography) 촬영 장치는 촬영대상의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엑스선 영상들을 재구성하여 촬영대상에 대한 3차원 엑스선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대향 배치되는 엑스선 센서,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를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회전지지대, 그리고 엑스선 센서의 검출결과를 통해 CT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In the field of dentistry, the CT image can accurately and clearly display a tomographic image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as well as a three-dimensional x-ray image of the dentition, jaw joint or head portion of the patient's main body of interest It is used in fields requiring high precision such as implant treatment. An X-ray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apparatus reconstructs x-ray images taken at various angles of a subject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x-ray image of the subject to be imaged. For this purpose, an X-ray CT system includes an X-ray generator, an X-ray sensor disposed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object, an X-ray generator, a rotation support for supporting and rotating the X-ray sensor, and a CT image And an image reconstruction unit for reconstructing the image.

엑스선 CT 영상 촬영을 위해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는 촬영대상을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대향 회전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촬영대상 영역, 즉 촬영대상영역(Field Of View)에 대한 엑스선 투과 데이터를 취득한다. 일반적인 엑스선 CT 촬영 시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는 촬영대상영역의 중심축을 그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촬영대상영역을 투과한 전 면적의 엑스선을 여러 방향에서 수광해야 한다. 따라서 파노라마 엑스선 영상 촬영용 센서 대비 월등히 큰 대면적 센서를 필요로 한다. For X-ray CT imaging,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round the rotation axis passing through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 In general X-ray CT,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rotat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area to be photographed as the rotation axis, and the x-rays of the entire area transmitted through the area to be photographed should be received from various directions. Therefore, it requires a much larger area sensor than the sensor for panoramic X-ray imaging.

일례로, 치과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콘빔 형태의 엑스선을 이용해서 제 1 높이(t1) 및 제 1 폭(w1)의 촬영대상영역에 대해 엑스선 CT 영상을 얻는 경우를 살펴보면, 센서의 제 2 높이(t2)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피검자 사이의 거리 대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 사이의 거리의 비로 정의되는 확대율*제 1 높이(t1) 이상이어야 하고 (t2≥ 확대율* t1), 센서의 제 2 폭(w2)는 확대율*제 1 폭(w1) 이상이어야(w2≥ 확대율*w1) 비로소 촬영대상영역을 투과한 전 면적의 엑스선을 수광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촬영대상영역의 1/2 이상을 커버하는 비대칭의 X선 빔을 이용하여 센서의 제 2 폭을 최대확대율*(w1)/2까지 축소하는 이른바 하프빔(half beam)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엑스선 CT 촬영 장치에서는 하프빔 방식이라도 비교적 대면적의 엑스선 센서가 요구되고, 비교적 많은 양의 엑스선 피폭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when an X-ray CT image is obtained with respect to a region to be imaged having a first height t1 and a first width w1 using cone-beam type X-rays mainly used in a dental field, t2) must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gnification * first height t1 defined by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subject to the distance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t2? magnification * t1) (W2? Enlargement ratio * w1), the X-ray of the whole area transmitted through the area to be photographed can be received. At this time, if necessary, a so-called half-beam method in which the second width of the sensor is reduced to the maximum enlargement ratio * (w1) / 2 by using an asymmetric X-ray beam covering at least 1/2 of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is used It is possibl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X-ray CT imaging apparatus, a relatively large-area X-ray sensor is required even in the half-beam system, an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X-ray exposure is required.

한편,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상기 회전지지대, 엑스선 제너레이터 및 엑스선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 등을 포함하는 CT 촬영 시퀀스를 수행하는데, 그 동작의 범위가 넓고, 확연히 구분되지 않아 공간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dental X-ray CT imaging apparatus performs a CT imaging sequence including a rotation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imaging unit including the rotation support,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re is a difficulty in utilizing the space because it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치과용 엑스선 CT 촬영 장치는 피검자의 치아나 턱관절 등을 주요 피사체로 다루므로,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가 피검자의 머리 둘레를 회전하며 많은 프레임의 엑스선 투과 영상을 획득한다. 특히, 소폭의 엑스선 센서를 이용하여 CT 영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 그 회전량이 많아지고, 신속한 촬영을 위해 그 회전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이는 피검자의 불안감과 반사적인 움직임을 초래하여 이른바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ifact)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Since the dental X-ray CT apparatus treats the subject's teeth or jaw joints as the main subject,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rotate around the head of the subject and acquire X-ray transmission images of many frames. Particularly, when a CT image is obtained by using a small X-ray sensor, the amount of rotation is increased, and the rotational speed is also increased for rapid imaging. This causes anxiety and reflexiv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causes so-called motion artifacts.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촬영부, 즉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센서 및 이들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대를 커버하는 촬영부 케이스가 필요한데, 이를 설치할 경우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촬영부 케이스가 지나치게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필요한 크기의 촬영대상영역을 확보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 범위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is a need for a photographing part, that is, a photographing part case that covers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sensor and a rotation support for supporting them. There is a concern that it will be d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minimize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support while securing a region to be photographed of a required size.

본 발명은 소폭의 엑스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촬영 가능한 촬영대상영역의 크기에 비해 촬영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회전 범위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콤팩트한 촬영부 케이스를 가질 수 있는 엑스선 CT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hotograph a relatively wide photographing target area using a small X-ray sensor, and also occupies a relatively narrow rotational range compared to the size of a photographable photographing target area, resulting in a compact photographing case Ray CT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n X-ray CT image.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대; 상기 회전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된 엑스선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센서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지지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선 센서를 향해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on support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 senso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and having an X-ray sensor arranged to have a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an x-ray genera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so as to face the x-ray sensor with the body to be inspected therebetween, and irradiating the x-ray beam toward the x-ray sensor.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는 상기 엑스선 빔의 방향이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x-ray generator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x-ray beam.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는, 상기 엑스선 빔이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의 수광면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X-ray generator and the narrow X-ray sensor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X-ray beam is irradiated perpendicularly to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narrow X-ray sensor.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는 상기 엑스선 빔의 방향이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위쪽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센서는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X-ray generator is install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X-ray beam has a predetermined slope toward an upper side diagonally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X-ray sensor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an obliquely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Can be installed.

상기 엑스선 센서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 궤적의 접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너레이터부는 상기 엑스선 센서에 대응되는 형태의 엑스선 빔 조사 범위를 형성하고, 상기 엑스선 센서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조사되는 엑스선 빔의 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엑스선 센서의 위치에 맞게 조준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X-ray sensor can mov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locus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At this time, the generator unit forms a collimator that forms an X-ray beam irradiation range corresponding to the X-ray sensor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X-ray beam irradi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X-ray sensor, .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상기 회전지지대, 상기 제너레이터부 및 상기 센서부의 회전 범위를 둘러싸는 촬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case surround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support, the generator, and the sensor unit.

상기 촬영부 케이스는 상기 회전지지대, 상기 제너레이터부 및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촬영부의 회전 범위 외측면과 상기 피검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내측면을 둘러싸서, 엑스선 CT 촬영 시에 상기 촬영부의 움직임이 피검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rein the imaging unit case surround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range of the imaging unit including the rotation support, the generator unit, and the sensor unit and an inner side surface that receives a part or all of the test objec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en by the subject.

상기 내측면은 상기 피검체와 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것일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may be obliquely incli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bje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부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직접 구동 모터(Direct Drive Motor)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maging unit cas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unit using a direct drive motor.

본 발명에 따르면, 소폭의 엑스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촬영 가능한 촬영대상영역의 크기에 비해 촬영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회전 범위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콤팩트한 촬영부 케이스를 가지는 엑스선 CT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hotograph a relatively large photographing target area by using a small X-ray sensor but also to occupy a relatively narrow rotation range as compared with the size of a photographable photographing target area,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having a secondary cas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외관 및 대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 구성을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 구성에 의해서 동일한 크기의 촬영대상영역을 제공함을 전제로 촬영부의 회전 범위가 축소되는 원리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에서 소폭 엑스선 센서로 넓은 촬영대상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을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에서 부분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는 원리를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에서 촬영 가능한 비정형 촬영대상영역의 예를 보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FIG. 1 shows an appearance and a rough configuration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imaging unit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principle in which the rotation ra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reduced on the premise that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having the same size is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de imaging area is provided by a narrow X-ray sensor in an imaging section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principle of photographing a partial region to be photographed in a photographing portion of an X-ray CT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xample of an irregularly-shaped region to be imaged by the X-ray 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panoramic image taken using an X-ray 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성격의 구성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한 도면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way of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a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may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외관 및 대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FIG. 1 shows an appearance and a rough configuration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바닥면에 놓여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28)과 일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8)과 중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승강부(10), 상기 승강부(10)로부터 피검자 좌석 상부 측으로 확장된 촬영부 케이스(40)를 갖는다. 상기 촬영부 케이스(40) 아래에는 피검자의 머리 부분을 고정 지지하고, CT 영상의 촬영대상영역에 따라 피검자 신체 부위의 위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 가이드(11)와 턱받이(22)가 배치되고, 이들은 턱받침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턱받침 지지부(21)는 핸들프레임(20)의 일부분에 설치되는데, 상기 핸들프레임(20)의 다른 일부분에 수직 컬럼부(27)가 마련되고, 상기 수직 컬럼부(27)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8)에 대하여 고정된 핸들프레임 베이스(26)에 삽입된다. 상기 핸들프레임은(20)은 상기 핸들프레임 베이스(26)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frame 28 supported on a floor, a lift unit 10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a part of the base frame 28 being overlapped with the base frame 28, (40)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10) to the upper side of the subject seat. Below the imaging unit case 40, a positioning guide 11 and a bib 22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the head of the examinee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region to be imaged of the CT image are dispos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21). The chin support part 21 is installed at a part of the handle frame 20 and a vertical column part 27 is provided at another part of the handle frame 20 and the vertical column part 27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28 to the handle frame base 26 fixed thereto. The handle frame 20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andle frame base 26, and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otatable from side to side.

먼저, 상기 촬영부 케이스(40)를 보면, 상기 촬영부 케이스(40) 내에 촬영부(13)가 설치된다. 촬영부(13)는 상기 촬영부 케이스(40)의 상부에 지지되는 회전구동부를 비롯하여,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양측에 배치된 센서부 및 제너레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촬영부 케이스(40)는 상기 촬영부(13)의 회전 범위 외측면을 둘러싸는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피검자의 두부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상기 촬영부(13) 회전 범위의 내측면(42)도 둘러싸서 피검자에게 회전하는 상기 촬영부(13)의 구성요소들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촬영부(13)의 동작에 따른 피검자의 불안감 또는 반사적인 움직임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CT 영상에서의 모션 아티팩트를 예방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photographing part case 40 is viewed, the photographing part 13 is installed in the photographing part case 40. The photographing part 13 includes a rotation driving part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hotographing part case 40 and a sensor part and a generator part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supporting part and the rotation supporting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hotographing part case (40) forms an outer appearanc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rotation range of the photographing part (13). In addition, the inner side surface 42 of the rotation ra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3,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bject's head is inserted, is also enclosed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photographing unit 13 rotating to the subject are not visibl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xiety or reflex movement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3, and as a result, motion artifacts in the CT image can be prevented.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케이스(40)의 내측면(42)은 후술하는 엑스선 센서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그 결과 피검자의 두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간격이 멀어지는, 예컨대 수직의 가상선에 대해 일정각도를 갖는 비스듬한 경사면을 나타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42 of the imaging case 40 of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X-ray sensor described later, and as a result, An oblique sloped surface ha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imaginary line can be display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부 케이스(40) 하부 및 상기 핸들프레임(20)의 상부에서 피검자의 안면 외부를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지셔닝 가이드(11)는 상기 엑스선 CT 촬영 장치가 촬영하는 촬영대상영역의 외측면에 위치한 피검자의 안면 부위가 상기 다수의 카메라(41)에 의해 촬영되는 광경로를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포지셔닝 가이드(11)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41)로 피검자의 안면을 촬영할 때 피사체를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엑스선 CT 촬영을 통해 재구성된 3D 영상에 상기 다수의 카메라(41)를 이용하여 취득된 안면의 영상을 결합하여 제공할 때, 상기 포지셔닝 가이드(11)가 엑스선 CT 영상뿐만 아니라 광학적 외부 영상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41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subject's fac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e 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frame 20. [ In this case, the positioning guide 11 may be arranged so as to avoid an optical path taken by the plurality of cameras 41 in the face region of the subject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which is taken by the X-ray CT photographing apparatus . In other words, the positioning guide 11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subject when the face of the examinee i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41. Accordingly, when the images of the face obtained by using the plurality of cameras 41 are combined and provided to the 3D image reconstructed through the X-ray CT imaging, the positioning guide 11 not only displays the X-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uence from the influence.

한편,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Chai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검자가 체어에 앉으면 상기 턱받이(22)에 턱을 대고 바이트 블럭(23)을 입에 문 채로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핸들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핸들프레임(2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10)를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촬영부 케이스(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hair as shown in the figure. The height of the handle frame 20 is adjusted so that the subject can comfortably sit on the bib 22 and the bite block 23 when the examinee sits on the chair, The height of the photographing portion case 4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elevating portion 10 up and down.

상기 핸들프레임(20)과 상기 촬영부 케이스(40)의 높이는 서로 연동하여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의 한 예로서, 상기 핸들프레임 베이스(26) 내부에 상기 수직 컬럼부(27)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핸들프레임(20)의 높이 변화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2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기(261)로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측정기(261)는 제어부(6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60)는 다시 상기 승강부(1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엑츄에이터(61)와 연결된다. 상기 엑츄에이터(61)는 일 예로 구동축(62)과 상기 구동축(62)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하로 움직이는 힘을 전달받는 구동 가이드(621)를 통해 상기 승강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가이드(621)는 상기 승강부(10)에 고정된다. The height of the handle frame 20 and the photographing unit case 4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261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frame base 26 to measure the height variation of the handle frame 20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column 27 . The displacement meter 261 may be a potentiometer. The displacement meter 261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 and the controller 60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61 for moving the elevator unit 10 up and down. The actuator 61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or 10 through a drive shaft 621 and a drive guide 621 that is guided by the drive shaft 62 and receives a force to move up and down. The driving guide 621 is fixed to the elevating portion 10.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 구성을 보인다.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imaging unit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촬영부(13)는 회전구동부(25)와, 상기 회전구동부(25)에 의해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대(30)와, 상기 회전지지대(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와 콜리메이터(322)를 구비하여 소정의 폭으로 콜리메이션된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부(32)와,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대(30)의 타측에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너레이터부(32)와 대향 배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대(30)의 회전 시에 그 주연 방향, 바람직하게는 회전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폭 엑스선 센서를 갖는, 센서부(31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hotographing unit 13 includes a rotation driving unit 25, a rotation support 30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25C by the rotation driving unit 25, A generator 32 for irradiating an X-ray beam collimat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by an X-ray generator 321T and a collimator 322; And a sensor portion 31T which is disposed opposite to the generator portion 32 and has a narrow width X-ray sensor which m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upport 30, preferably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locus, do.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와 상기 콜리메이터(322)는 측면에서 봤을 때 점선으로 표시된 엑스선 빔의 조사 방향이 상기 회전지지대(30)의 회전축(25C)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θB)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31T)는 그 수광면이 상기 회전축(25C)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소폭 엑스선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엑스선 빔의 조사 방향은 회전축(25C)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아래에서 위를 향해 기울어져서 상기 소정의 기울기(θB)가 0°<θB < 90°이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0°<θB < 45°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센서부(31T) 역시 상기 회전축(25C)에 평행한 면, 즉 상기 회전축(25C)를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대해 아래쪽을 향해 상기 θB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기울어져서, 상기 센서부(31T)가 상기 회전지지대(30)가 속한 평면과 이루는 각(θS)이 90°<θS< 180°이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90°<θS < 135°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1T)가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의 촛점(XF)에서부터 시작된 엑스선 빔 조사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x-ray generator 321T and the collimator 322 are arranged such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x-ray beam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B with respect to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25C of the rotation support 30, Respectively. The sensor unit 31T includes a narrow-width X-ray sensor arranged such that its light receiving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25C, so as to face the X-ray generator 321T. Her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X-ray beam is inclin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 respect to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25C so that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B is 0? &Lt;? B <90? 0 DEG < B < 45 DEG can be satisfied. As a result, the sensor portion 31T is also inclined downwardly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θ B with respect to a surfac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25C, that is, a virtual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bout the rotation axis 25C, The angle θ s formed between the sensor unit 31T and the plane on which the rotation support 30 is placed satisfies 90 ° <θ S <180 °, and more preferably 90 ° <θ S <135 °. Can be satisfied. The angle formed by the sensor unit 31T with respect to the X-ray beam irradiation direction starting from the focus XF of the X-ray generator 321T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side view.

상기 엑스선 빔의 조사 방향이 아래서 위로 경사지도록 하고 센서부(31T)가 아래를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촬영부 케이스(40)의 내부 공간이 아래쪽이 더 넓은 원추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피검자의 머리가 진입하기에 더 편리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reason why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X-ray beam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sensor part 31T is inclined downward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1, the inner space of the photographing part case 40 is wider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subject's head to enter.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너레이터부(32)의 하우징은 상기 회전지지대(30)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안에서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가 경사지게 배치된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상기 제너레이터부(32) 자체가 상기 센서부(31T)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of the generator 32 is vertically arranged from the rotation support 30, and the X-ray generator 321T is inclined. However, And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nsor unit 31T.

상기 회전구동부(25)는 상기 촬영부 케이스의 상단부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지지대(30)의 회전축(25C)이 그 구동축(253)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구동부(25)는 직접 구동 모터, 일명 DD모터(Direct Drive Motor)를 포함하고, 상기 DD모터의 구동축(253) 중심이 상기 회전지지대(30)의 회전축(25C)과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축(253) 주변에 전력선 또는 신호선 등의 배선은 케이블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슬립링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립링은 무선 접점을 갖는 무선 슬립링일 수도 있다. The rotation driving part 25 is suppor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photographing part case and the rotation axis 25C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3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253.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unit 25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a so-called DD motor (direct drive motor), and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253 of the DD motor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xis 25C of the rotation support 30 . In this case, a wiring such as a power line or a signal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drive shaft 253 through a slip ring or the like in order to prevent twisting of the cable. The slip ring may be a wireless slip ring having a wireless contact.

도 3은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 구성에 의해서 동일한 크기의 촬영대상영역을 제공함을 전제로 촬영부의 회전 범위가 축소되는 원리를 보인다. FIG. 3 shows a principle in which the rotation ra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reduced on the premise that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having the same size is provid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상기 도 3에서 (a)는 종래와 같이 엑스선 빔의 조사 방향이 회전축(25C)에 수직인 면에 대해 평행하고, 따라서 센서부(31V)가 상기 회전축(25C)에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센서부(31T) 및 엑스선 빔의 조사 방향이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우를 나타낸다. 3 (a) shows a case wher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X-ray beam is parallel to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25C, and thus the sensor unit 31V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25C, b) shows a case wher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sensor part 31T and the X-ray beam is inclin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촬영대상영역의 높이(H)는 (a)와 (b)에서 서로 동일하다. (b)의 경우 엑스선 빔이 비스듬히 조사되고, 센서부(31T)가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엑스선 빔의 촛점(XF)이 (a)에서의 촛점(XV)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25C)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곧 촬영부의 회전 반경이 상기 두 촛점(XF, XV) 사이의 거리 차만큼 좁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엑스선 CT 촬영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좀 더 직접적으로는 전술한 촬영부 케이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Here, the height H of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is the same in (a) and (b). the X-ray beam is obliquely irradiated and the sensor unit 31T is inclined so that the focus XF of the X-ray beam is relatively positioned closer to the rotation axis 25C than the focus XV at (a) . This means that the turning radius of the photographing portion can be narrowed by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cuses XF and XV. As a result, the space occupied by the X-ray CT apparatus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imaging unit case can be more directly reduced.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에서 소폭 엑스선 센서로 넓은 촬영대상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을 보인다. FIG.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de imaging area is provided by a narrow X-ray sensor in an imaging section of an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데, 전술한 회전지지대(30)의 회전축(25C)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촬영부는 제어부(60)의 제어 신호를 받아, 엑스선 CT 촬영 시퀀스 수행한다. 엑스선 CT 촬영 시퀀스 수행 시에는 피검체를 부분적으로 투과하는 엑스선 빔의 조사 경로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가상의 엑스선 빔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엑스선 빔이 촬영대상영역 내의 모든 부분에 대하여 소정 범위 이상의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This figure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part of the X-ray CT photographing apparatus, which schematically shows the above-described view of the rotation support 30 viewed from above the rotation axis 25C. The photographing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 and performs an X-ray CT photographing sequence. Ray beam scanning means for rotating the irradiation path of the x-ray beam partially penetrating the inspected object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he center of the virtual x-ray beam so that the x-ray beam is focused at all angles .

상기 센서부(31)에는 상기 제너레이터부(32) 측을 향해 소폭 엑스선 센서(311)가 구비된다. 이때, CT 영상을 얻고자 하는 촬영대상영역 전체의 높이와 폭을 각각 t1, w1이라 하면, 소폭 엑스선 센서의 높이 t2는 확대율*제 1 높이(t1) 이상(t2≥ 확대율* t1)이고, 소폭 엑스선 센서의 폭 w2는 확대율*제 1 폭(w1)/2 미만(w2<확대율*w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는 상기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한 상기 센서부(31)의 회전 궤적, 예컨대 원형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너레이터부(32)는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를 향해 조준된 엑스선 빔(XC)을 방출한다. The sensor unit 31 is provided with a small X-ray sensor 311 toward the generator unit 32 side. The height t2 of the narrow X-ray sensor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enlargement ratio * first height t1 (t2 = enlargement ratio * t1), and the width The width w2 of the X-ray sensor is characterized by being the enlargement ratio * first width (w1) / 2 (w2 <enlargement ratio * w1 / 2). The small X-ray sensor 311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a rotation locus of the sensor unit 31, for example, a circular locus about the rotation axis 25C.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nsor 311, emits an X-ray beam XC collimated toward the narrow X-ray sensor 311.

본 도면에서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들(F, FA, FB, FC)은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이동 범위에 따라 확장되는 촬영대상영역을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가 실선으로 표시된 초기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지지대(30)가 일정각도 이상, 일례로 360도 회전하면 가장 작은 촬영대상영역(F)에 대한 엑스선 CT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하프빔 방식의 엑스선 CT 촬영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한 추가적인 회전을 수반하는 연속된 엑스선 영상 촬영 중에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일례로 그 폭만큼 접선 방향으로 이동(311A) 한 경우 그 촬영대상영역(FA)은 그 반지름이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폭만큼 확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가 연속 촬영 중에 그 폭의 두 배만큼 이동(311B)하고 세 배만큼 이동(311C)한 경우, 촬영대상영역(FB, FC) 역시 그 이동범위의 증가에 따라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폭은 확장된 실제 촬영대상영역(FA, FB, FC)의 반지름에 최대확대율을 곱한 값보다 작다. In the figure, concentric circles F, FA, FB, and FC with the rotation axis 25C as a center indicate a region to be photographed expanded according to the movement range of the narrow X-ray sensor 311. For example, if the rotation support 30 is rotated 360 degrees,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small X-ray sensor 311 is fixed at the initial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he X- Can be obtained. This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nventional half beam type X-ray CT imaging apparatus. When the small X-ray sensor 311 moves (311A) in the tangential direction by a width of the small X-ray sensor 311 from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during continuous X-ray image taking with the additional rotation about the rotation axis 25C, The radius of the object area FA is extended by the width of the narrow X-ray sensor 311. Likewise, when the small X-ray sensor 311 is moved (311B) twice and three times (311C) by twice its width during continuous shooting, the imaging subject areas FB and FC are also moved . Therefore, the width of the small-width x-ray sensor 311 is small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adius of the extended actual photographing target area FA, FB, FC by the maximum enlargement ratio.

참고로,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이동이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주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살펴보았지만, 바람직하게는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이동은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movement of the small X-ray sensor 311 progresses stepwise according to the rotation period around the rotation axis 25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small X-ray sensor 311 May be ro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about the rotation axis 25C.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장치 구성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 센서부(31)는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를 제한된 범위에서 그 회전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소폭 엑스선 센서 구동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 구동부(312)는 예컨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5)와 그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14) 그리고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일부와 상기 구동축(314)을 연결하는 연결부(313)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구적인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view of the apparatus configuration, the sensor unit 31 includes a narrow X-ray sensor driving unit 312 for moving the narrow X-ray sensor 311 in a limited range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its rotation locus. The small X-ray sensor drive unit 312 includes a motor 315 for generating power and a drive shaft 314 for transmitting the power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 part of the X-ray sensor 311 to the drive shaft 314 313). However, such a mechanical configura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한편, 제너레이터부(32)는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폭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조준된 엑스선 빔(XC)을 조사한다. 이를 위한 구성의 한 예로서 상기 제너레이터부(32)는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의 이동 범위를 커버하는 넓은 폭의 엑스선 빔(XT)을 방출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321)와, 상기 넓은 폭의 엑스선 빔(XT)을 조절하여,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폭을 커버하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위치에 따라 조준된 엑스선 빔(XC)을 방출하는 콜리메이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322)는 엑스선 빔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2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2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예컨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4)와 그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25) 그리고 블레이드(323)의 일부와 상기 구동축(325)을 연결하는 연결부(3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322)는 상기 조준된 엑스선 빔(XC)을 투과시키는 일정한 폭의 슬릿을 가진 하나의 블레이드를 하나의 모터로 구동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블레이드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모터로 구동할 수도 있다. The generator unit 32 irradiates the collimated X-ray beam XC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mall X-ray sensor 311 with a width enough to cover the width of the small X-ray sensor 311. The generator unit 32 includes an X-ray generator 321 for emitting a wide X-ray beam XT covering a moving range of the X-ray sensor, And a collimator 322 which emits a collimated X-ray beam X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arrow X-ray sensor 311 with a narrow width covering the width of the narrow X-ray sensor 311 have. The collimator 322 includes at least one blade 323 capable of partially shielding the x-ray beam, a motor 324 for generating power, for example, to move the at least one blade 323, And a connecting portion 326 connecting the driving shaft 325 and a portion of the blade 323 with the driving shaft 325. [ The collimator 322 may drive one blade having a sli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transmit the collimated X-ray beam XC by a single motor or may be driven by a motor individually provided in two or more blades .

다만, 전술한 제너레이터부(32)의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폭을 커버하는 수준의 좁은 폭의 엑스선 빔을 방출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그러한 엑스선 제너레이터의 조사 방향을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조종함으로써 조준된 엑스선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generator unit 32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X-ray generator for emitting a narrow X-ray beam at a level covering the width of the X-ray sensor 311 and an X-ray generator for radiat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such X-ray generato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X- Thereby emitting the focused x-ray beam.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상기 제너레이터부(32) 및 상기 센서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제너레이터부(32)가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위치 이동과 연동하여 조준된 엑스선 빔(XC)을 방출하도록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예컨대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 구동부(312)와 연결되어 모터(315)를 제어하면서 그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소폭 엑스선 센서(311)의 위치 정보를 피드백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너레이터부(32)로부터 방출되는 엑스선 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엑스선 빔의 방향 제어는 본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콜리메이터(322)를 구동하는 모터(324)에 대한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너레이터부(32)가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 신호를 받는 구체적인 대상은 달라질 수 있다. Meanwhile,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unit 32 and the sensor unit 31 so that the generator unit 32 interlocks with the movement of the X-ray sensor 311 An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m to emit the collimated X-ray beam XC.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315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narrow X-ray sensor driving unit 312, for example, using the control signal or the feedback signal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X-ray sensor 311 The direction of the X-ray beam emitted from the generator unit 32 can be controlled. Directional control of the x-ray beam may be accomplished through control over the motor 324 driving the collimator 322,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rawing. However, when the generator 32 is implemented in a different form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object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60 may be different.

본 도면은 상기 회전축(25C)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표현한 것이므로, 상기 센서부(31)와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321)의 수직 방향의 경사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이들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센서부(31T) 및 엑스선 제너레이터(321T)와 마찬가지로 수직의 회전축(25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점은 이하의 도면들에서도 같다. 2, the inclination of the sensor unit 31 and the X-ray generator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expressed. However, the inclination of the sensor unit 31 and the X-ray generator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shown, ) And the X-ray generator 321T, as shown in Fig. This is also true in the follow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의 촬영부에서 부분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하는 원리를 보인다. FIG. 5 shows a principle of photographing a partial region to be photographed in a photographing portion of an X-ray CT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를 이용하면, 전술한 촬영대상영역의 확장뿐만 아니라 촬영대상영역의 위치를 소폭 센서(311)의 가용한 이동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소폭 센서(311)의 이동을 이용한 확장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not only the enlargement of the imaging target area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imaging target area can be performed within the available moving range of the narrow sensor 311 And can be freely selected and photograph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using the movement of the small width sensor 311 around the selected position.

본 도면은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상기 제너레이터부(32)와 소폭 센서(311)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회전시키며 촬영을 진행할 때, 상기 제너레이터부(32)가 지나는 궤적 상의 몇몇 지점(32D,32E)에서의 전술한 넓은 폭의 엑스선 빔(XT,XTD,XTE)과 좁은 폭의 조준된 엑스선 빔(XC,XCD,XCE), 그리고 이들이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촬영대상영역(FF)을 보인다. 상기 제너레이터부(32)가 전술한 몇몇 지점(32D,32E)에 위치할 때 상기 소폭 센서(311)는 상기 넓은 폭의 엑스선 빔(XT,XTD,XTE)의 조사 범위 내에서 그에 대응되는 위치(311D,311E)로 이동하여 상기 조준된 엑스선 빔(XC,XCD,XCE)을 수광할 수 있다. In this figure, when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ile rotating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generator 32 and the small sensor 311 around the rotation axis 25C, some points 32D and 32E on the locus passing through the generator unit 32 (XT, XTD, XTE) of the wide width described above, a collimated X-ray beam XC, XCD, XCE of a narrow width, and a photographing target area FF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X-ray beam XC, XCD and XCE overlap. When the generator unit 32 is located at some of the points 32D and 32E described above, the small width sensor 311 detect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e range of the X-ray beam XT, XTD and XTE within the irradiation range 311D, and 311E to receive the collimated X-ray beams XC, XCD, XCE.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에서 촬영 가능한 비정형 촬영대상영역의 예를 보인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n irregularly-shaped region to be imaged by the X-ray 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가능한 촬영대상영역(FT)의 형태는 원통형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식적으로 표현 가능한 것이면 자유로운 형태의 비정형 촬영대상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대상영역은 엑스선 CT 촬영 전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지만, 임상적으로 자주 활용되는 다수의 해부학적 부위에 대응되는 촬영대상영역을 미리 저장하여 예시하고, 사용자가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rm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FT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free-form atypical photographing target area if it can be expressively expressed.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before the X-ray CT imaging. However,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linically frequently used anatomical regions is previously stored and illustrated,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m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FIG. 7 shows a panoramic image taken using an X-ray C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너레이터부(32)와 소폭 센서(311)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상기 회전축(25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소폭 센서(311)의 위치를 그 회전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제로는 회전축(25C)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파노라마 엑스선 촬영장치에서 그 회전축을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CT 촬영장치는, 엑스선 CT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치열궁(50)에 해당하는 포커스 레이어에 대한 엑스선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generator unit 32 and the small width sensor 311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25C, and the position of the small width sensor 311 is mov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locus The same effect as that of moving the rotation axis of the conventional panoramic X-ray imaging apparatus can be obtained without actually moving the rotary shaft 25C. Accordingly, the X-ray CT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X-ray CT image and a 3D image, as well as an X-ray panorama image for a focus layer corresponding to the dental arch 50 using such characteristics .

11: 포지셔닝 가이드
13: 촬영부 25: 회전구동부
25C: 회전축 30: 회전지지대
31, 31T: 센서부 32: 제너레이터부
40: 촬영부 케이스 41: 카메라
321, 321T: 엑스선 제너레이터 60: 제어부
311: 소폭 센서 312: 소폭 센서 구동부
322: 콜리메이터 323: 블레이드
11: Positioning Guide
13: photographing part 25: rotation driving part
25C: rotary shaft 30: rotary support
31, 31T: sensor unit 32: generator unit
40: photographing part case 41: camera
321, 321T: X-ray generator 60:
311: Small width sensor 312: Small width sensor driving part
322: collimator 323: blade

Claims (10)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대;
상기 회전지지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된 엑스선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센서와 대향하도록 상기 회전지지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선 센서를 향해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엑스선 센서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엑스선 센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회전지지대와 연결된 상기 센서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상기 엑스선 센서의 수광면에 수직인 상기 엑스선 빔을 조사하여,
동일 높이의 촬영대상영역에 대한 엑스선 CT 촬영 시에 상기 엑스선 센서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경우보다 상기 제너레이터가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A rotary support rotating about a rotation axis;
A senso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and having an X-ray sensor arranged to have a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And
And an X-ray genera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so as to face the X-ray sensor with the body to be inspected therebetween, and irradiating the X-ray beam toward the X-ray sensor,
Wherein the rotary support rotates with the X-ray sens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Wherein the X-ray sensor is installed on the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so as to have a tilt at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X-ray generator irradiates the X-ray beam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and perpendicular to the light-receiving surface of the X-ray sensor,
Wherein the generator is disposed closer to the rotation axis than when the X-ray sensor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t the time of X-ray CT imaging of the imaging target area of the same height,
X-ray CT imag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는 상기 엑스선 빔의 방향이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위쪽를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센서는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
엑스선 CT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x-ray generator is install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the x-ray beam has a predetermined slope toward an obliquely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Wherein the X-ray sensor is install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an obliquely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X-ray CT imag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센서는, 엑스선 CT 촬영시에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의 회전 궤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X-ray sensor moves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otation locus of the sensor part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during X-
X-ray CT imag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제너레이터부는, 상기 엑스선 센서에 대응되는 형태의 엑스선 빔 조사 범위를 형성하고, 상기 엑스선 센서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조사되는 엑스선 빔의 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엑스선 센서의 위치에 맞게 조준하는 콜리메이터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enerator unit including the X-ray generator forms an X-ray beam irradiation range corresponding to the X-ray sensor,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X-ray beam irradi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X-ray sensor, Further comprising an aiming collimator,
X-ray CT imag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대,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부의 회전 범위를 둘러싸는 촬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 photographing portion case surround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support, the X-ray generator, and the sensor portion.
X-ray CT imaging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케이스는 상기 회전지지대,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 및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촬영부의 회전 범위 외측면과 상기 피검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내측면을 둘러싸서, 엑스선 CT 촬영 시에 상기 촬영부의 움직임이 피검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case surround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rotation range of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the rotation support, the X-ray generator, and the sensor unit and an inner side surface that receives a part or all of the subject, In this case,
X-ray CT imaging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기 피검체와 간격이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엑스선 CT 촬영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inner surface is inclined obliquel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body becomes farther downw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케이스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으로, 직접 구동 모터(Direct Drive Motor)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CT 촬영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rotation driving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hotographing unit case and rotates the rotation support frame by using a direct drive motor,
X-ray CT imaging device.
KR1020150148993A 2014-11-12 2015-10-26 X-ray CT imaging Apparatus KR101863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93A KR101863064B1 (en) 2015-10-26 2015-10-26 X-ray CT imaging Apparatus
EP15859487.9A EP3219258A4 (en) 2014-11-12 2015-11-12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imaging unit housing
PCT/KR2015/012172 WO2016076643A1 (en) 2014-11-12 2015-11-12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imaging unit housing
US15/526,679 US10617373B2 (en) 2014-11-12 2015-11-12 Dental X-ray radiographing apparatus having radiographing unit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93A KR101863064B1 (en) 2015-10-26 2015-10-26 X-ray CT imag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82A KR20170048082A (en) 2017-05-08
KR101863064B1 true KR101863064B1 (en) 2018-05-31

Family

ID=6016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93A KR101863064B1 (en) 2014-11-12 2015-10-26 X-ray CT imag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0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3544A (en) * 2019-07-26 2019-11-01 安徽麦科视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nti-coiling mechanism for oral cavity CBC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621A1 (en) 2004-04-28 2005-11-17 Willi Kalender Method for reconstructing projection data sets for dose-reduced sectional spiral scanning in computed tomography
WO2014047518A1 (en) 2012-09-20 2014-03-27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tationary source computed tomography and ct-mri systems
US20140126687A1 (en) * 2012-11-08 2014-05-08 J. Morita Manufacturing Corporation X-ray Photography Apparatus
WO2014080083A1 (en) * 2012-11-23 2014-05-30 Planmed Oy Ct apparatus for imaging cranial anatomies
US20140205074A1 (en) * 2002-03-19 2014-07-24 Medtronic Navig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Large Field-Of-View Objec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5074A1 (en) * 2002-03-19 2014-07-24 Medtronic Navig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Large Field-Of-View Objects
US20050254621A1 (en) 2004-04-28 2005-11-17 Willi Kalender Method for reconstructing projection data sets for dose-reduced sectional spiral scanning in computed tomography
WO2014047518A1 (en) 2012-09-20 2014-03-27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Stationary source computed tomography and ct-mri systems
US20140126687A1 (en) * 2012-11-08 2014-05-08 J. Morita Manufacturing Corporation X-ray Photography Apparatus
WO2014080083A1 (en) * 2012-11-23 2014-05-30 Planmed Oy Ct apparatus for imaging cranial anatom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82A (en)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144B1 (en) X-ray Imaging Apparatus
EP1752099B1 (en) Combined panoramic and computed tomography photographing apparatus
US9036775B2 (en) X-ray photography apparatus
US10492742B2 (en) Medical X-ray photography apparatus for pseudo intraoral radiography with user interface with rectangular frame lines
US9339252B2 (en) X-ray CT imaging device and X-ray CT imaging method
KR1017403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X-Ray Imaging
KR101401927B1 (e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ombining panorama and ct for dental clinic
KR20220035717A (en) X-ray equipment
KR101863062B1 (en) X-ray CT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Process Thereof
JP2015177963A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teaching apparatus
KR101863064B1 (en) X-ray CT imaging Apparatus
US10617373B2 (en) Dental X-ray radiographing apparatus having radiographing unit housing
KR101337239B1 (en) Driving structure of rotation arm of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combining panorama and ct for dental clinic
JP2015177964A (en) X-ray imaging apparatus
KR201500247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uted tomography
KR102026716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20160056986A (en)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Skull Projection
JP5798016B2 (en) X-ray equipment
US20220167933A1 (en) X-ray imaging apparatus
JP5259949B2 (en) X-ray CT system
JP2014161636A (en) X-ray imaging system and x-ray imaging portion teaching method
JP2021171505A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detector storage device
JP2022065380A (en) X-ray ct apparatus, imaging method by x-ray ct apparatus, and program
KR20200000190A (en) Panoramic X-ray Imaging Apparatus Which Provides With 2D Scanned X-ray Image
JP2011177325A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