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045B1 -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 Google Patents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045B1
KR101861045B1 KR1020170147014A KR20170147014A KR101861045B1 KR 101861045 B1 KR101861045 B1 KR 101861045B1 KR 1020170147014 A KR1020170147014 A KR 1020170147014A KR 20170147014 A KR20170147014 A KR 20170147014A KR 101861045 B1 KR101861045 B1 KR 10186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ver
manhole
drones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교
Original Assignee
광주도시관리공사
이성교
이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도시관리공사, 이성교, 이동렬 filed Critical 광주도시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17014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0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0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arrangements to save energ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64C2201/042
    • B64C2201/127
    • B64C2201/141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85Devices for aircraft health monitoring, e.g. monitoring flutter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which flies along a sewage line or a river road by flight path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sewage line information and river road information and photographs a manhole or a river facility to inspect damage to or an opening state of a cover of the manhole and a state of the riv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for inspecting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has a GPS device, photographing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mounted thereon, flies along a set path, and inspects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The drone comprises: a database in which sewage line information,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river road information, and rive facility information are inputted and stored; a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generate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the sewage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generat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 facility information; a drone control unit to fly the drone in accordance with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a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Description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본 발명은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의 상태 또는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로 정보 및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비행경로 정보에 의해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 또는 하천 시설물을 촬영하여, 맨홀 뚜껑의 파손 또는 개폐 상태 그리고 하천 시설물의 상태 등을 점검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that fly along a sewer line or a river road and check manholes or river faciliti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A drone that travels along a road and shoots a manhole or a river facility to check the breakage or opening state of a manhole cover and the state of a river facility.

일반적으로 도시나 농촌 등 다수의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하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로 및 사용된 물을 모아 이송하기 위한 하수관로가 설치되고, 이에 더하여 하수관로의 청소 및 점검 등을 위해 사람이 하수관로로 내려가기 위한 맨홀이 설치된다.Generally, in the basement of the area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reside, such as a city or a rural area, a water pipe for supplying water and a water pipe for collecting used water are installed. In addition, for cleaning and inspection of the sewer pipe, A manhole is provided for descending.

이러한 맨홀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평상시에 항상 맨홀 뚜껑으로 폐쇄되어 있어야 하나 관리상의 부주의, 맨홀 뚜껑의 파손 또는 유실 등의 문제로 맨홀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행자의 추락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Such a manhole should always be closed with a manhole cover for the sake of safety of pedestrians. However, there is a case that the manhole is opened and the pedestrian is accidentally fallen due to the carelessness of maintenance, damage or loss of the manhole cover.

따라서, 맨홀을 관리하여야 하는 지자체 등의 관리주체는 맨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여야 하나, 관리 대상 지역의 곳곳에 분포된 수많은 맨홀을 일일이 지속적으로 점검하기에는 인력이 부족하고 점검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the management bodies such as the municipal governments that need to manage the manholes must continually check the condition of the manhole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manpower to continuously inspect the numerous manholes distributed throughout the area to be manage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sp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맨홀 점검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9467호의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966호의 "맨홀 감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182호의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As an invention relating to a manhole inspection apparatus or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manhole monitoring system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89467 and a manhole surveillance system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9-0095966 "And"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86182 have been proposed and disclosed.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9467호의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맨홀의 감지정보를 수집단말기가 수집한 후 취합 및 정리하여 전송함으로써 주변 지역의 맨홀을 일괄적으로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966호의 "맨홀 감시 시스템"에는 맨홀 내부 및 외부에 다수의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다양한 조건에 대한 맨홀의 상태감시를 무인화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the " manhole monitoring radio system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89467, the collecting terminal collects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manholes sensed by the sensor, collects and arranges the information, collects manholes in the surrounding area In the "Manhole Monitoring System"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95966,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manhole, and a manhole state An invention relating to a system capable of reducing labor costs and preventing various safety accidents by unattended monitoring has been proposed.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182호의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에는 맨홀 뚜껑 내부에 전자 회로를 내장하여 맨홀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주변 환경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맨홀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를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감지 및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86182 discloses a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that detects various stat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manhole by providing an electronic circuit inside the manhole cover, An invention relating to a system capable of quickly detecting and 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accidents occurring in a manhole at the early stage of occurrence is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관리 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수많은 맨홀 뚜껑 전부에 센서 또는 전자 회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센서 또는 전자 회로의 설치, 유지 및 보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문제가 추가로 발생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have a problem that the sensor or the electronic circuit must be installed in all the manhole covers installed in the area to be managed, so that the cost for installing, maintaining, Occurs.

또한, 하천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하천 시설물은 하천 도로의 길이가 길어 사람에 의한 점검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지상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In addition, riv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river roads take a long time to be inspected by people because the length of the river road is long, and there are portions that are difficult to grasp on the ground.

따라서, 초기 비용 발생 이후의 비용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점검 대상 지역에 설치된 모든 맨홀을 점검할 수 있고, 하천 도로 주변의 하천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cost incurred after the initial cost, to periodically check all the manholes installed in the area to be inspected, and to inspect the facilities around river road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9467호(2007. 08. 3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89467 (2007. 08. 3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966호(2009. 09. 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5966 (2009.09.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182호(2010. 07. 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6182 (2010. 07. 30)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The drone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사람이 직접 점검 대상 구역을 일일이 방문하여 맨홀을 점검하는 종래의 점검 방식은 점검 인력이 부족하여 점검 속도가 느리고, 점검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in which the person manually visits the area to be inspected and manholes are inspected, the inspection speed is slow due to insufficiency of the inspection personnel, and the cost for the inspection is continuously incurred,

사람의 방문이 어려운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은 접근성이 낮아 지속적인 점검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으며,The manhole, which is installed at a difficult place for human access,

맨홀 뚜껑에 센서 또는 전자 회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맨홀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식은 센서 또는 전자 회로의 설치, 유지 및 보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The method of inspecting the condition of the manhole in real time by installing a sensor or an electronic circuit in the manhole cover has a problem that the cost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and replacing the sensor or the electronic circuit is continuously spent,

하천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하천 시설물은 하천 도로의 길이가 길어 사람에 의한 점검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지상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ince the rive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river road have a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river road is long and it takes a long time to be inspected by people and there is a part difficult to grasp on the ground, do.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PS 장치, 촬영 장비 및 무선 통신 장비가 장착되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에 있어서, 하수관로 정보 및 맨홀 위치 정보, 하천 도로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을 비행시키는 드론 제어부;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라 상기 촬영 장비를 제어하는 촬영 장비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을 제시한다.A dron that is equipped with a GPS device,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hich manages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by flying along a predetermined route, includes a sewer pipe information and a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 river road information and a river facility information ;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the sewage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hoot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 drones controller for flying the drones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사람이 직접 점검 대상 구역을 일일이 방문하여 맨홀을 점검하는 작업을 촬영 장비가 장착된 드론이 대신 수행하므로 점검 속도가 빠르고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고,The drone equipped with the photographic equipment performs the task of manually checking the manhole by visiting the area to be inspected by the person, so that the inspection speed is fast and the labor cost is saved,

사람의 방문이 어려운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 대상 구역 중 취약 지점을 사전 선별하여 선별된 지점만을 지속적으로 집중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It is possible to easily access the manhole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person's visit is difficult,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focus on only the selected point by pre-screening the weak points in the area to be managed,

GPS 장치, 촬영 장비 및 드론의 구비에 따른 초기 비용 발생 이후의 비용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incurred after the initial cost due to the provision of the GPS device, the photographing equipment and the drone,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드론이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하천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river facilities by allowing the drone to fly along the river road based on the river roa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을 이용하여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을 이용하여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재점검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의 지상 단말기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의 비행 전, 현재 전력 잔량과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check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using a drone for check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for re-checking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using a drone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of a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for warning a user of a dron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current power amount and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before flying.

본 발명은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의 상태 또는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100)에 관한 것으로써,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100) for flying along a sewer line or a river road and checking the condition of a manhole or a river facility,

GPS 장치(101), 촬영 장비(102) 및 무선 통신 장비(103)가 장착되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100)에 있어서, 하수관로 정보 및 맨홀 위치 정보, 하천 도로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10);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20);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100)을 비행시키는 드론 제어부(130);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라 상기 촬영 장비(102)를 제어하는 촬영 장비 제어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A drones (100) for inspect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equipped with a GPS device (101), a photographing device (10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and flying along a set route, comprising sewage route information and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 database 110 in which information and river facility information are inputted and stored;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for generating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the sewage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generating shoot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 drones controller 130 for flying the drones 100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 imaging device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ima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imaging poin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GPS 장치(101), 촬영 장비(102) 및 무선 통신 장비(103)가 장착되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100)에 관한 것이다.1 and 2, a dron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device 101, a photographing device 10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And a drone (100) for check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일반적으로 드론이라 함은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복수 개의 가이드 프레임이 구비되고,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 말단에는 회전익이 각각 구비되는 멀티콥터 형태의 무인 비행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써,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 비행 중 속도를 조절하며 점검 대상물에 접근 후 정지 비행 가능하므로, 고정익으로 구성되는 무인 비행체에 비해 정밀한 점검 작업의 수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Generally, the term "drone" refers to a multi-copte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guide frames extending outward with respect to a main body and having a rotor blade at the end of each guide fram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precise inspection work compared to unmanned aerial vehicles composed of fixed wings because it is possible to stop and fly after approaching the object to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peed during moving flight.

상기 GPS 장치(101)는 위성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100)의 현재 위치에 관한 데이터인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이고, 상기 촬영 장비(102)는 상기 드론(100)에 장착되어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촬영하기 위한 장비로써,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공지의 촬영 장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드론(100)의 비행에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크기 및 무게로 구성되어야 함이 자명하다.The GPS device 101 is a device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and generates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data related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s 100. The photographing device 102 is mounted on the drones 100 Th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known photographing apparatuses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a moving picture, but it should be made of a size and weight which does not cause obstacle to the flight of the drone 100 It is obvious.

또한, 상기 촬영 장비(102)는 짐벌에 장착된 상태로 짐벌이 상기 드론(100)에 장착됨으로써, 드론(100)의 비행에 따른 촬영되는 영상의 흔들림이 보정되고 촬영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GPS 장치(101)에서 생성되는 좌표 정보와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의 영상은 상기 무선 통신 장비(103)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 및 수신한다.In addition, since the gimbal is mounted on the drones 100 in a state where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is mounted on the gimbal, the shaking of the photographed image due to the flying of the dron 100 is corrected and the photographing angle can be adjusted The coordin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device 101 and the images of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ar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103. In addi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signals necessary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GPS 장치(101), 짐벌, 촬영 장비(102) 및 무선 통신 장비(103)는 상기 드론(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탑재 또는 장착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드론(100)에는 드론(100)의 현재 고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고도계가 더 탑재될 수 있다.That is, the GPS device 101, the gimbal, the photographing device 10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are mounted or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drones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an altimeter for precisely measuring the current altitude of the drone 10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drone 100. [0034]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하수관로 정보 및 맨홀 위치 정보, 하천 도로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atabase 110 in which sewage route information,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river road information, and river facility information are inputted and stored. .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하천 도로 정보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관리되는 지리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획득 가능한 하수관로 및 하천 도로에 대한 정보로써, 하수관로 및 하천 도로에 관한 좌표 정보, 길이 정보, 이미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는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획득 가능한 하수관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맨홀 각각의 위치 정보 및 하천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천 시설물 각각의 위치 정보로써, 맨홀 및 하천 시설물에 각각에 관한 좌표 정보, 이미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werage rout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re information on the sewer line and the river road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naged by the government or the local government, and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length information, image, etc. about the sewer line and the river road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manholes formed along a sewage line obtainable thr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a loc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river facilities formed along a river road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images, and the like relating to each of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점검 영상이 저장되어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식별할 때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지상 단말기기(220)로 점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드론(100)이 안전하게 착륙 및 대기 가능한 복수 개의 지점이 기선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check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is stored in the database 110 to be used for identify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that need to be re-inspected, and the ground terminal 220, And a plurality of points where the drones 100 can safely land and wait can be selected and stor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the sewage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for generating shoot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shooting point information.

상기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드론(100)이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며 하수관로를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맨홀 또는/및 하천 도로를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하천 시설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비행경로 정보 및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드론(100)의 성능, 점검의 종류, 목적 등에 부합하게 생성된 비행경로 정보는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드론(100)이 하수관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점검의 종류, 목적 등에 부합하게 생성된 촬영지점 정보는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촬영 장비(102)가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the information on the flight paths and photographs so that the drones 100 can photograph one or more river facilities installed along one or more manholes and / or river roads along the sewer line or the river road, The flight path information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drones 100, the type of inspection, the purpose of the drones 100, and the like are all or part of the sewer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purpose, etc. of the inspection may be all or part of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so that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shall be photographed in whole or in part.

상기 정보 생성부(120)가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정보 생성부(120)는 하수관로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하천 도로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또 다른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flight path information.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one or more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only the sewage line information, To generate another one or mor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o generate another one or more flight path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sewer rout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상기 비행경로 정보는 반드시 상기 드론(100)이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만 비행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전체 구간 중 하나 이상의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다른 구간들을 따라서만 비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구간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비행하며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맨홀 또는/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light path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constructed so that the drones 100 flow only along all or a part of a sewer line or a river road, so that the flight path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fly along other sections except for at least one section of the entire section Or fly freely irrespective of the section, and can optionally be configured to check a plurality of manholes and / or river facilities.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120)가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맨홀 위치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하천 시설물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shooting poi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one or more shoot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ly on the manhole posi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based on only the information and generate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상기 촬영지점 정보는 반드시 상기 드론(100)이 맨홀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맨홀 또는 모든 하천 시설물을 촬영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복수 개의 맨홀 또는 복수 개의 하천 시설물 중 일부만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Since the shooting point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configured to capture all the manholes or all the river facilities included i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manholes or a plurality of river facilities It is self-evident.

이때, 상기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하는 상기 비행경로 정보 및 상기 촬영지점 정보가 하수관로 또는 하천도로의 전부,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전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정보 생성부(120)가 상기 정보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경우이나 비행경로 정보 및 촬영지점 정보가 하수관로 또는 하천도로의 일부,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일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정보 생성부(120)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정보들을 생성하는 경우이다.In this case, when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include all of the sewer line or the river road,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may automatically Or in the case where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are composed of a part of a sewer pipe or a river road, a part of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the information by the user's control.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100)을 비행시키는 드론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rones 130 for flying the drones 100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

상기 드론 제어부(130)는 상기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비행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드론(100)이 사용자의 직접 또는 원격조종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을 위한 비행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drones control unit 13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s 100 on the basis of the flight pa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The drones 100 may be a direct or remote pilot To automatically perform maneuvering and flight checking for river facilities.

이때, 하수관로는 지하에 매설된 것임이 자명하고 하천 도로는 지면에 형성된 것이 자명하므로, 상기 비행경로 정보는 상기 하수관로 정보 또는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드론(100)이 지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비행고도가 보정되어야 함이 자명하다.Since it is obvious that the sewer line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river road is formed on the ground, the flight path information is based on the sewer line information or the river road information, but the drones 100 do not collide with the ground It is clear that the flight altitude must be corrected to avoid this.

따라서, 상기 드론(10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고도를 유지하며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되, 비행경로에 따라 비행고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지상 단말기기(220)에 의하여 비행고도가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ones 10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altitude from the ground and to fly along sewer or river roads, and to change the flight altitude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and by the ground terminal 220 described below Flight altitude may chang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라 상기 촬영 장비(102)를 제어하는 촬영 장비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drill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는 상기 하수관로 정보 또는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수관로 또는 하천 도로를 따라 비행하는 상기 드론(100)에 장착되는 촬영 장비(102)가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써, 공지의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100)의 비행 고도,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 방식을 통해 육안을 통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대상을 촬영한다.The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hotographic equipment 102 mounted on the drone 100 flying along the sewer pipe or the river road based on the sewage pipe information or the river road information to shoot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And can be configured by a known camera or the like and can easily be identified through a zooming in or zoom out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flying height of the drones 100, the size of each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 shoot.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가 상기 촬영 장비(102)를 제어하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는 상기 하수관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수관로를 따라 비행하는 상기 드론(100)이 어느 하나의 맨홀 상공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촬영 장비(102)를 구동시켜 맨홀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hotographic equipment 102 by controlling the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The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based on the sewage pipe information, The user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to photograph the manhole.

이때,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는 상기 드론(100)의 비행 중 상기 촬영 장비(102)의 구동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촬영하고자 하는 복수 개의 맨홀 각각의 간격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드론(100)이 어느 하나의 맨홀 상공에 도달하기 전 또는 도달한 후 촬영 장비(102)를 구동시켜 맨홀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드론 제어부(130)는 맨홀의 상공에서 드론(100)의 비행속도를 감소시키거나 드론(100)이 정지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140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driving state of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s 100. 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manholes to be photographed is long, The drone control unit 130 can photograph the manhole by driving the photographic equipment 102 before or after the drone 100 reaches the upper part of the manhole in order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he drones 100, The flying speed of the drones 100 may be reduced or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ensured by causing the drones 100 to stop fly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에 의한 점검 대상이 되는 맨홀은 원 또는 사각의 형태로써, 복수 개의 개체 각각이 형태 및 크기 등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나, 점검 대상이 되는 하천 시설물은 복수 개체 각각이 형태 및 크기 등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는 상기 드론(100)이 맨홀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었을 때 맨홀을 일회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 장비(102)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비행경로 정보 및 드론 제어부(130) 및 상기 촬영 장비 제어부(140)는 상기 드론(100)이 하천 시설물의 주변 상공을 비행하도록 하여 상기 촬영 장비(102)가 하천 시설물을 다양한 방향에서 복수 회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hole to be inspected by the drill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circle or a squar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s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hape or size, Since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in shape and size, the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to photograph the manhole once when the drones 100 ar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manhole The dragon control unit 130 and the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140 may cause the dragon 100 to fly over the vicinity of the river facilities so that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can control the river facilities Can be controlled to be photographed a plurality of times in various directions.

즉, 맨홀은 수직 상방에서의 일회 촬영만으로 상태 점검이 가능하나, 하천 시설물은 다양한 방향에서 복수 회 촬영되어 상태가 점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manhole can be checked only by taking a single shot at a vertical upper direc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iver facility is configured to be photographed a plurality of times in various directions to check the condi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점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식별하는 식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which need to be re-inspected based on the inspection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150).

상기 식별부(150)가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식별하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기 맨홀 위치 정보와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 각각에 매칭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이미지가 기저장될 수 있고, 상기 식별부(150)는 데이터 베이스(110)에 기저장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이미지와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된 점검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비교되는 이미지 및 영상이 불일치 하는 경우 이를 재점검이 필요한 대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unit 150 identifies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that need to be re-inspected. In the database 110, images of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matched to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identification unit 150 compares the image of each of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10 with the inspection image taken by the imaging equipment 102, If there is a discrepancy, it can be identified as an object requiring re-inspection.

즉, 비교되는 이미지 및 영상이 불일치 하는 경우라도 상기 식별부(150)에서 반드시 재점검이 필요한 대상으로 식별하는 것은 아니며, 맨홀의 개방 또는 파손, 하천 시설물의 손상 등이 명백한 경우에는 재점검 대상에서 제외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even if the images and the images to be compared do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unit 150 does not necessarily identify the objects that need to be re-inspected. If the openings or breakage of the manholes or damage to the river facilities are apparent, Excluded is preferred.

즉, 재점검이 필요한 대상이라 함은, 보행자, 차량 등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촬영되어 개방 및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맨홀 등을 의미하며, 영상의 불일치에 관한 판단은 맨홀 또는 하천 시설물 자체만으로 판단됨이 바람직하고, 주변부의 상태는 배제됨이 바람직하며, 각 영상에 포함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이 완전히 동일한 상태만을 일치 상태로 판단하는 것 또한 아니다.That is, an object requiring re-inspection means a manhole which is photographed in a state of being obscured by a pedestrian or a vehicle and can not be judged whether or not it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judgment regarding the image mismatch is made only by manhole or river facilities themselv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e of the periphery is excluded and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ies included in each image are not judged to be in a completely identical stat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각각의 맨홀 위치 정보 및 재점검이 필요한 하천 시설물 각각의 하천 시설물 정보로 구성되는 재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재점검 정보 생성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manhole inspection of each manhole to be re-inspected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nd a re-chec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60) for generating re-check information composed of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of each river facility.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점검 영상과 비교되는 대상인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영상에는 맨홀 위치 정보 또는 하천 시설물 정보가 매칭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재점검 정보 생성부(160)는 상기 식별부(150)에서 재점검 대상으로 식별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맨홀 위치 정보 또는 하천 시설물 정보로 구성되는 재점검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드론(100)이 출발 지점으로 복귀하며 재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can be matched to the images of the manholes and the river facilities, which are objects to be compared with the inspection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Check information composed of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or river facility information of each manhole and river facility identified as the object to be re-checked in the identification unit 150, so that the drone 100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and re-check To be used as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 및 상기 재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재점검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재점검 경로 생성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re-check path for generating re-check flight path information based on the sewer line information,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a generation unit (170).

상기 재점검 경로 생성부(170)는 상기 드론(100)이 출발 지점으로 복귀하며 재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비행경로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식별부(150)에 의하여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식별된 맨홀 또는/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위치를 모두 종합하여 상기 드론(100)이 재점검을 수행 가능한 최소 거리의 비행경로를 생성한다.The re-check path generating unit 170 is a component for return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drones 100 and generating an optimal flight path for performing the re-check, And the positions of the manholes and / or the river facilities identified as being the same as the manholes or / and the river facilities identified as the minimum distance that the drone 100 can re-check.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비행경로 정보 및 상기 맨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점검을 수행하고 출발지점으로 복귀하며 상기 재점검 비행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재점검을 수행 가능한 구성이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the inspection based on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he manhole position information,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check.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재점검 정보에 포함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좌표 정보가 누적 기록될 수 있고, 상기 재점검 정보 생성부(160)는 상습적으로 재점검이 실시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에 관한 재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cluded in the re-check information may be accumulated and recorded in the database 110, and the re-chec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60 may include a manhole and a riv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check information on the facility.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무선 통신 장비(103)와 양방향 통신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되고, 영상 등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드론(100)을 제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되는 지상 단말기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103, and ar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and the like, And a terrestrial terminal device (220) having an input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00).

상기 지상 단말기기(220)는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어 외부로 전송되는 점검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맨홀 및 하천 시설물에 관한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제어 방식으로 비행 중인 상기 드론(100)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장비(102), 상기 짐벌 등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드론(100)의 현재 위치 및 고도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round terminal 22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an inspectio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ies,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drones 100 in flight and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the gimbals, and the like, and can control the current location and altitude of the drones 100, And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screen.

이에 더하여, 상기 지상 단말기기(220)는 사용자가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의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수신된 점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기능, 저장된 점검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 기능, 재생 중인 점검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는 확대 기능 등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경고 신호 생성부(190)에서 생성된 경고 신호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경고음, 경고 불빛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에 경고 신호를 메시지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restrial station 220 includes an image storage function for storing a received inspection image so that a user can precisely grasp the status of a manhole and a river facility, an image reproduction function for reproducing a stored inspection image, And an enlarging function for enlarging a part of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190.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190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ligh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rning signal, A warning signal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messag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른 예상 비행거리 및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른 상기 촬영 장비(102)의 예상 구동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드론(100)의 예상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는 연산부(180)와, 상기 드론(100)의 비행 전,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과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현재 전력 잔량이 예상 소비전력량 이하이면 외부로 표시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estimate the expected fly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driving time of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And an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before flight of the drones 100 is compared with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an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190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to be displayed externally when the remaining power level is less than the expected power consumption level.

먼저,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기 드론(100)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비행시 단위 시간당 전력 소비량 정보, 상기 촬영 장비(102)의 단위 시간당 전력 소비량 정보 등이 기입력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산부(180)는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른 상기 드론(100)의 예상 비행거리 및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른 상기 촬영 장비(102)의 예상 구동 시간에 따른 예상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구성이다.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drones 100,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per unit time during flight and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per unit time of the photographing equipment 102 are input to the database 110, The arithmetic unit 180 calculates the estimated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expected flying distance of the drones 100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driving tim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이후, 상기 경고 신호 생성부(190)는 상기 드론(100)의 비행전,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과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현재 전력 잔량이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 이하이면,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The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190 compares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with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before the flying of the drones 100 so that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rning signal.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드론(100)의 비행 중,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과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현재 전력 잔량이 예상 소비전력량 이하이면 드론(100)의 비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 후 드론(100)의 현재 좌표 정보에 반영하여 착륙 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착륙지점 정보 생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with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s 100 And a landing point information generator (200) for generating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current flying distance of the drone (100) to the curre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rone (100) if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

즉, 맨홀은 상당수가 도로에 위치되므로, 상기 드론(100)이 하수관로 상의 일 지점 또는 맨홀 상에 착륙하게 되면 사람 또는 차량 등에 위해를 가하거나 차량 등과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착륙지점 정보 생성부(200)는 평지 등 상기 드론(100)이 착륙 가능한 상태이되, 사람 또는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 제거되는 기선정된 복수 개의 착륙 지점 중 도달 가능한 어느 하나의 착륙 지점을 상기 드론 제어부(130) 및 지상 단말기기(220)에 제공함으로써, 자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드론(100)이 착륙 지점으로 비행 후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since many of the manholes are located on the road, when the drones 100 are landed on a manhole or a point on the sewer line, there is a danger that the manhole, the vehicle,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can detect any one landing point among a plurality of selected landing points wher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person or a vehicle is removed such that the drones 100 are in a landing state such as a flat land, 130 and ground terminal 220 to allow the drones 100 to land and then fly to the landing point by automatic or user selection.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에는 상기 드론(100)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회수되기 전까지 안전성이 보장되는 복수 개의 착륙 지점이 기선정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복수 개의 착륙 지점 중 어느 하나의 착륙 지점이 선택되는 방식은 상기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으로 맨홀 또는/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며 도달 가능한 최대 거리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착륙 지점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지상 단말기기(220)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anding points are secured in the database 110 until the drones 100 are safely landed and secured by the user, The method of selecting one of the landing points is a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one of the landing points located at the maximum reachable distance by checking the manhole or / and the river facilities with the current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Or the selection by the user via the terrestrial terminal device 220. However,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드론(100)이 상기 착륙 지점 정보에 따라 상기 착륙 지점에 도달하면 드론(100)을 착륙 후 구동 정지시키는 착륙 신호 생성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p the drones 100 after landing when the drones 100 reach the landing point according to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And a landing signal generator (210).

상기 착륙 신호 생성부(210)는 상기 드론(100)이 상기 착륙 지점 정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지점에 도달하면 착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드론 제어부(130)가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모두 소모되기 전 드론(100)을 지면에 착륙시키도록 하여 추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The landing signal generator 210 generates a landing signal when the drones 100 reach a certain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so that the drones controller 130 detects the residual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The drones 100 are landed on the ground before power is exhausted to prevent breakage due to fall.

이때, 사용자는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하여 상기 드론(100)이 착륙하고자 하는 지점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장애물이 발견되는 즉시 드론(100)을 제어하여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상 단말기기(220)를 통한 드론(100)의 제어는 상기 드론 제어부(130)에 의한 드론(100)의 제어에 우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ser confirms the state of the point where the drones 100 desire to lan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controlled and landed safely as soon as an unexpected obstacle is det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via the terrestrial terminal device 220 is prioritized over the control of the drones 100 by the drones control unit 13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상 단말기기(220)에는 상기 드론(1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중인 드론(100)을 회수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s 100 can be displayed on the terrestrial terminal device 220, the user can move to the displayed position and retrieve the waiting drones 100.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드론(100)의 상부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드론(100)의 비행중 또는 대기중에 탑재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 등의 무게로 인한 드론(100)의 비행 가능 시간이 단축된다 하여도, 결과적으로는 배터리의 재충전 후 비행이 가능하므로, 배터리가 완충된 상태로 1회의 비행으로는 모든 맨홀 또는/및 하천 시설물의 점검이 불가능한 거리까지 비행하며 회수 없이 점검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such that known solar modules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ones 100, so that the batteries loaded in the drones 100 during flight or in the air are charged And even if the flying time of the drones 100 due to the weight of the solar module or the like is shortened, it is possible to fly after recharging the battery. As a resul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All manholes and / or river facilities can be inspected at a distance that is impossible to inspect and can be checked without recall.

이때, 상기 연산부(180)는 상기 GPS 장치(101)로 생성되거나 상기 드론(100)의 착륙시에 자동으로 저장된 드론(100)의 좌표 정보와 상기 비행경로 정보 그리고 상기 촬영지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점검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제외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한 예상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고,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비교하여 남은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의 점검 수행이 모두 가능한 경우 상기 드론 제어부(130)에 신호를 전송하여 드론 제어부(130)가 드론(100)을 비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ithmetic unit 18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drone 100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rones 100 generated by the GPS device 101 or automatically stored at the time of landing the drones 100, the flight path information, When the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ies are checked and the estimated amount of power consumption for checking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excluding the checked manhole and the river facilities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It is possible to send a signal to the drones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drones control unit 130 can fly the drones 100.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착륙 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드론(100)을 무선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충전 장치의 상단 등에 착륙한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nding points may include a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the drones 100, thereby charging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landed on the top of th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100) 및 상기 지상 단말기기(220)와 무선통신 되는 메인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 서버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10), 상기 정보 생성부(120), 상기 식별부(150), 상기 재점검 정보 생성부(160), 상기 재점검 경로 생성부(170), 상기 연산부(180), 상기 경고 신호 생성부(190), 상기 착륙지점 정보 생성부(200), 상기 착륙 신호 생성부(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드론(100)에 구비되는 것을 대신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ain serve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drones 100 and the terrestrial terminal devices 220,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the identifying unit 150, the re-check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60, the re-checking path generating unit 170, the calculating unit 180, The drones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gnal generator 190,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generator 200, and the landing signal generator 210.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for the purpose of enabl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transf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Furth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드론 101 : GPS 장치
102 : 촬영 장비 103 : 무선 통신 장비
110 : 데이터 베이스 120 : 정보 생성부
130 : 드론 제어부 140 : 촬영 장비 제어부
150 : 식별부 160 : 재점검 정보 생성부
170 : 재점검 경로 생성부 180 : 연산부
190 : 경고 신호 생성부 200 : 착륙지점 정보 생성부
210 : 착륙 신호 생성부 220 : 지상 단말기기
100: Drones 101: GPS device
102: photographing equipment 103: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110: Database 120: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drones control unit 140: photographing equipment control unit
150: Identification unit 160: Re-check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70: re-check path generation unit 180:
190: Warning signal generation unit 200: Landing poi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10: a landing signal generator 220: a ground terminal

Claims (6)

GPS 장치(101), 촬영 장비(102), 무선 통신 장비(103) 및 배터리 충전을 위한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고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점검하는 드론(100)에 있어서,
상기 드론(100)은,
하수관로 정보 및 맨홀 위치 정보, 하천 도로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고, 사람 또는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 제거되어 상기 드론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회수되기 전까지 안전성이 보장되는 복수 개의 착륙 지점이 기선정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10);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수관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 하천 도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 하수관로 정보 및 하천 도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맨홀 위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 하천 시설물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 맨홀 위치 정보 및 하천 시설물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촬영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20);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100)을 비행시키는 드론 제어부(130);
전력을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라 상기 드론(100)이 어느 하나의 맨홀 상공에 도달하기 전 또는 도달한 후 상기 촬영 장비(102)를 제어하는 촬영 장비 제어부(140);
상기 촬영 장비(102)로 촬영되는 점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및 하천 시설물을 식별하되, 맨홀의 개방 또는 파손, 하천 시설물의 손상 등이 명백한 경우에는 식별대상에서 제외하는 식별부(150);
상기 맨홀 위치 정보 및 상기 하천 시설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재점검이 필요한 맨홀 각각의 맨홀 위치 정보 및 재점검이 필요한 하천 시설물 각각의 하천 시설물 정보로 구성되는 재점검 정보를 생성하는 재점검 정보 생성부(160);
상기 하수관로 정보 및 상기 하천 도로 정보 및 상기 재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식별부(150)에 의하여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식별된 맨홀 및 하천 시설물 각각의 위치를 종합하여 상기 드론(100)이 복귀하며 재점검을 수행 가능한 최소 거리의 재점검 비행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재점검 경로 생성부(170);
상기 비행경로 정보에 따른 예상 비행거리 및 상기 촬영지점 정보에 따른 상기 촬영 장비(102)의 예상 구동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드론(100)의 예상 소비 전력량을 계산하는 연산부(180);
비행 중,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과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현재 전력 잔량이 예상 소비전력량 이하이면 드론(100)의 비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 후 드론(100)의 현재 좌표 정보에 반영하여 착륙 지점 정보를 생성하는 착륙지점 정보 생성부(200);
상기 드론(100)이 상기 착륙 지점 정보에 따라 착륙 지점에 도달하면 드론(100)을 착륙 후 구동 정지시키는 착륙 신호 생성부(2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복수 개의 착륙 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드론(100)을 무선 충전 가능한 충전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
A drones (100) equipped with a GPS device (101), a photographing device (102),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and a solar module for charging a battery and flying along a set route and checking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The drones (100)
The sewerage route informati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re inputted and stored, and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person or a vehicle is removed so that the drones can be safely landed, A database 110 in which landing points are selected and stored;
One or more flight path information including a part or all of sewage line information based on the sewage line information and the river road information, at least one flight path information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river road, a part of the sewer line information, Or one or more flight paths including all of the flight paths,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20) for generating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among at least on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including a part or all of the facility information;
A drones controller 130 for flying the drones 100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 photographic equipment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c equipment (102) before or after the drones (100) reach a certain manhole in accordance with the photographed point information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f manholes are opened or broken, damage to river facilities is apparent, etc., identification of manholes and river facilities requiring re-inspection based on inspection images taken by the imaging equipment 102 150);
A re-chec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re-check information composed of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anhole requiring re-inspection based on the manho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iver facility information and river facility information of each river facility requiring re- 160);
Based on the sewerage route information, the river road information, and the re-check information, the location of each of the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identified as needing to be re-inspect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150 is summed up, and the drones 100 return A re-check path generation unit 170 for generating re-check flight path information of a minimum distance that can be re-inspected;
An arithmetic unit 180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drones 100 based on an expected fly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information and a predicted driving tim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2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the distance available to the drone (100) is calculated, and the current coordinates of the drone (100) are compared with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 landing poi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for generating landing point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A landing signal generator 210 for stopping and driving the drones 100 when the drones 100 reach a landing point according to the landing poin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A charging device provided 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anding points to wirelessly charge the drones; And a dron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100)은,
상기 비행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점검을 수행하고 출발지점으로 복귀하며 상기 재점검 비행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재점검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s (100)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an inspection based on the flight path information, return to a start point, and re-check based on the re-check flight path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100)은,
상기 드론(100)의 비행 전, 드론(100)에 탑재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 잔량과 상기 예상 소비 전력량을 비교하여 현재 전력 잔량이 예상 소비 전력량 이하이면 외부로 표시되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부(19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s (100)
When the present power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a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alert signal to be displayed externally by comparing the current power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on the drones 100 with th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amount before flying the drones 100 (190); And a dron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은,
상기 무선 통신 장비(103)와 양방향 통신 가능한 통신부가 구비되고, 영상 등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드론(100)을 제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되는 지상 단말기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하천 시설물 점검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ll for checking manhole and river facilities,
And a terrestrial terminal unit 220 having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and the like and having an input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s 100 and having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103 Features drone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KR1020170147014A 2017-11-07 2017-11-07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KR101861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14A KR101861045B1 (en) 2017-11-07 2017-11-07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14A KR101861045B1 (en) 2017-11-07 2017-11-07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045B1 true KR101861045B1 (en) 2018-06-29

Family

ID=6278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014A KR101861045B1 (en) 2017-11-07 2017-11-07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045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40B1 (en) * 2018-08-30 2019-05-10 박진호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in facility
KR102163514B1 (en) 2019-11-25 2020-10-12 추혜성 Multimedi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dr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95002B1 (en) 2020-08-24 2020-12-28 에이아이안전연구원 주식회사 Drone for facility inspection using hitting power
KR102234398B1 (en) 2019-11-22 2021-04-01 방지철 Multimedi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dr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25968A (en) 2020-08-24 2022-03-04 에스큐엔지니어링(주) System for facility inspection using smart mobility
KR102378258B1 (en) 2020-12-10 2022-03-23 주식회사 뉴텍엠 Manhole Management Trailer
US20230175247A1 (en) * 2020-03-16 2023-06-0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KR20240036372A (en) 2022-09-13 2024-03-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iferation of learning data
KR20240047805A (en) 2022-10-05 2024-04-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ulticopter with dual vertical imaging and its control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67A (en) 2006-02-28 2007-08-31 한국전력공사 A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of manhole
KR20090095966A (en) 2008-03-07 2009-09-10 전호진 System for investigating state of manhole
KR20100086182A (en) 2009-01-22 2010-07-30 (주)지인프라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KR101662071B1 (en) * 2016-03-29 2016-10-0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Drinking Water Facilities Monitering System by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US20170075360A1 (en) * 2015-09-16 2017-03-16 Quallcomm Incorpo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Low-Power Operation
WO2017156040A1 (en) * 2016-03-08 2017-09-14 Unmanned Innovation, Inc. Ground control point assignment and determin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67A (en) 2006-02-28 2007-08-31 한국전력공사 A wireless system for monitoring of manhole
KR20090095966A (en) 2008-03-07 2009-09-10 전호진 System for investigating state of manhole
KR20100086182A (en) 2009-01-22 2010-07-30 (주)지인프라 Manhole cover and manhole management system
US20170075360A1 (en) * 2015-09-16 2017-03-16 Quallcomm Incorporated Unmanned Aerial Vehicle Low-Power Operation
WO2017156040A1 (en) * 2016-03-08 2017-09-14 Unmanned Innovation, Inc. Ground control point assignment and determination system
KR101662071B1 (en) * 2016-03-29 2016-10-0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Drinking Water Facilities Monitering System by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40B1 (en) * 2018-08-30 2019-05-10 박진호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in facility
KR102234398B1 (en) 2019-11-22 2021-04-01 방지철 Multimedi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dr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63514B1 (en) 2019-11-25 2020-10-12 추혜성 Multimedi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with dr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75247A1 (en) * 2020-03-16 2023-06-0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2195002B1 (en) 2020-08-24 2020-12-28 에이아이안전연구원 주식회사 Drone for facility inspection using hitting power
KR20220025968A (en) 2020-08-24 2022-03-04 에스큐엔지니어링(주) System for facility inspection using smart mobility
KR102378258B1 (en) 2020-12-10 2022-03-23 주식회사 뉴텍엠 Manhole Management Trailer
KR20240036372A (en) 2022-09-13 2024-03-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iferation of learning data
KR20240047805A (en) 2022-10-05 2024-04-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ulticopter with dual vertical imaging and its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45B1 (en) Drones for manhole and river facility inspection
US11884418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flight vehicle device
US20220107643A1 (en)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imag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201222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195457B2 (en) Shooting system
JP2006027448A (en) Aerial photographing method and device using unmanned flying body
CN109164827B (en) Data acquisition system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4192784A (en) Monitoring system
JP2018055362A (en) Monitoring system
KR101063922B1 (en) Target position acquisition and survellance system
KR20210102029A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using flight path of drone
KR101469756B1 (en) Flying robot for monitoring gas
KR102556878B1 (en) Concrete facility maintenance system that performs condition evaluation using drones based on autonomous flight in shaded areas
KR20210102031A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using drone
CN104299365B (en) Monitoring landslide, mountain area, the method for mud-rock flow of based on unmanned plane
JP2022082628A (en) Management device, flight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imaging system
JP2020166901A (en) Management device, fligh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imaging system
CN104299365A (en) Method for monitoring mountain landslide and debris flow in mountainous areas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