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92B1 -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92B1
KR101859892B1 KR1020177023929A KR20177023929A KR101859892B1 KR 101859892 B1 KR101859892 B1 KR 101859892B1 KR 1020177023929 A KR1020177023929 A KR 1020177023929A KR 20177023929 A KR20177023929 A KR 20177023929A KR 101859892 B1 KR101859892 B1 KR 101859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age display
image
ink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058A (ko
Inventor
고이찌 시노다
히로따까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B42D2033/20
    • B42D2035/06
    • B42D2035/5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93Special hologra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noscopic, referenceless holography
    • G03H2001/0497Dot matrix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개찬이 곤란한 화상 표시체(22)가 실현될 수 있다. 화상 표시체(22)는, 지지체(226)로부터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한다. 이 화상 표시체(22)는, 지지체(226)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227, 228)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상기 기초층 (227, 228) 상에 전사된 화상 표시층(220a)을 포함한다. 화상 표시층(220a)은,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IMAGE DISPLAYING MEDIUM, LABEL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패스포드 및 ID(identification) 카드 등의 개인 인증 매체의 대부분은, 목시에 의한 개인 인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얼굴 화상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패스포드에서는, 종래, 얼굴 화상을 인쇄한 인화지를 책자(冊子)체에 접착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패스포드에는, 사진 인화의 재접착에 의한 개찬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에는, 얼굴 화상의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이것을 책자체 상에 재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 화상 재현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사 리본을 이용한 감열 전사 기록법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승화성 염료 또는 착색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감열 전사 기록 방식의 프린터는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상황을 고려하면, 패스포드로부터 얼굴 화상을 제거하고, 거기에 다른 얼굴 화상을 기록하는 것은, 반드시 곤란한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0-141863호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얼굴 화상을 기록하고, 그 주면 상에 형광 잉크를 이용해서 얼굴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2-226740호에는, 무색 또는 담색의 형광 염료와 유색의 안료를 함유한 잉크를 이용해서 얼굴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3-170685호 공보에는, 통상적인 얼굴 화상과, 펄 안료를 이용해서 형성한 얼굴 화상을 나열해서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술을 패스포드에 적용하면, 그 개찬이 보다 곤란해진다. 그러나, 형광 재료를 이용해서 기록한 얼굴 화상은, 자외선 램프 등의 특수한 광원을 사용하지 않는 한 관찰할 수는 없다. 또한, 펄 안료를 이용해서 형성한 얼굴 화상은, 육안으로 시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펄 안료는 입경이 크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해서 고 정밀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0-141863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2-226740호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3-1706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개찬이 곤란한 화상 표시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지지체로부터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로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된 제1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 따른 화상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화상 표시체가 전사된 상기 기재를 구비한 개인 인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지지체로부터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기초층과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체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한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개찬이 곤란한 화상 표시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다른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1차 전사 박을 이용해서 제조 가능한 2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다른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1차 전사 박이 포함하고 있는 제1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1차 전사 박이 포함하고 있는 제2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1차 전사 박을 이용해서 제조 가능한 2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에 있어서의 제1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에 있어서의 제2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변형예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변형예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다른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예 3에 있어서 형성한 회절 화상 표시층 및 잉크 화상 표시층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마찬가지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모든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양태>
제1 양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기술과 관련되어 있다.
(1)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로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된 제1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
(2)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더 구비한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
(3)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
(4) 상기 제1 화상은 제1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제2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인 정보는 동일 인물의 정보인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
(5)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의 적어도 한쪽은 생체 정보를 포함한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
(6)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한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
(7)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는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8)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을 사이에 끼워서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본 접착층을 더 구비한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9)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화상 표시체가 전사된 상기 기재를 구비한 개인 인증 매체.
(10)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
(11) 기초층과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체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한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
이하에, 항목 (1) 내지 (11)에 따른 기술의 효과를 개별로 기재한다.
항목 (1)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는 것으로서, 이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기초층 상에 전사된 제1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있다.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제1 화상 표시층을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직접 형성한 경우, 기재의 표면 거칠기 등에 기인하여, 고화질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이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 표시층은,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이 아니고, 기초층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화상 표시층은, 기초층과 함께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된다. 그 때문에, 기재의 표면 거칠기 등이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화상 표시체를 사용하면,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또한, 항목 (1)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개인 정보의 일부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이용해서 표시한다.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가 표시하는 개인 정보의 개찬은 극히 곤란하다. 그리고, 이 화상 표시체는, 열 전사에 의해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에 접착한 화상 표시체는, 기재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면,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때문에, 이 화상 표시체를 이용하면, 개찬이 곤란한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화상은, 제1 화상과 비교해서 시인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화상 표시층을 병용하면, 위조가 곤란한 화상과 시인성이 우수한 화상을 화상 표시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에 표시시켜야 할 화상을 줄일 수 있는 것 외에, 화상 표시체의 위조가 보다 곤란하게 된다.
항목 (3)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은 개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2 화상은 이 개인 정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화상 표시체는, 제1 화상만이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체와 비교해서 위조가 보다 곤란하다.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은 제1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화상은 제2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개인 정보는 동일 인물의 정보이다. 이 경우, 화상 표시체의 위조가 보다 곤란하게 되는 것 외에, 개인 인증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항목 (5)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의 적어도 한쪽은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생체 정보는, 개체에 특유한 것이므로, 개인 인증에 특히 유용하다.
항목 (6)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얼굴 화상은, 생체 정보로서 일반적이며, 목시에 의한 개인 인증에 적합하다.
항목 (7)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이들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다.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이용한 경우, 통상적으로, 이러한 구조가 얻어진다.
항목 (8)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제1 화상 표시층을 사이에 끼워서 기초층과 마주 본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접착층은,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화상 표시체의 전사 시에, 화상 표시체를 기재에 강고하게 밀착시킨다. 또한, 접착층은,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복제를 곤란하게 한다.
항목 (9)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는,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개인 인증 매체는,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개찬이 곤란하다.
항목 (10)에 따른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기초층 상에,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표시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표시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개인 인증 매체는, 개찬이 곤란하다.
항목 (11)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은, 기초층과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기초층 상에,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은, 화상 표시체를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는, 기재의 표면 거칠기 등이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개인 인증 매체에서는, 기재에 접착한 화상 표시체는, 기재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면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개인 인증 매체는, 개찬이 곤란하다.
다음으로, 제1 양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100)는, 패스포드 등의 책자체이다. 도 1에는, 연 상태의 책자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 개인 인증 매체(100)는, 접장(1)과 표지(2)를 포함하고 있다.
접장(1)은, 1매 이상의 종이 조각(11)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는, 종이 조각(11) 상에는, 문자열 및 종이 무늬 등의 인쇄 패턴(12)이 설치되어 있다. 접장(1)은, 1매의 종이 조각(11)을 또는 복수매의 종이 조각(11)의 다발을 대절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종이 조각(11)은, 개인 정보가 기록되는 IC(integrated circuit)칩이나, 이 IC칩과의 비접촉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 등을 내장하고 있어도 된다.
표지(2)는, 대절되어 있다. 표지(2)와 접장(1)은, 책자체를 닫은 상태에서 접장(1)이 표지(2)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도록 서로 겹쳐 있고, 그들의 접힌 금의 위치에서 철하는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표지(2)는,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한다. 이 개인 정보는, 개인의 인증에 이용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개인 정보는, 예를 들면, 생체 정보와 비 생체 개인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생체의 특징 중, 그 개체에 특유한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생체 정보는, 광학적 방법에 의해 식별 가능한 특징이다. 예를 들면, 생체 정보는, 얼굴, 지문, 정맥 및 홍채의 적어도 1개의 화상 또는 패턴이다.
비 생체 개인 정보는, 생체 정보 이외의 개인 정보이다. 예를 들면, 비 생체 개인 정보는, 성명, 생년월일, 연령, 혈액형, 성별, 국적, 주소, 본적지, 전화 번호, 소속 및 신분 중 적어도 1개이다. 비 생체 개인 정보는, 타이핑에 의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서명 등의 수기를 기계 판독함으로써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그들의 쌍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표지(2)는, 화상 I1a, I1b, I2 및 I3을 표시하고 있다.
화상 I1a, I2 및 I3은,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표시되는 화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I1a, I2 및 I3은, 백색광으로 조명하고, 육안으로 관찰한 경우에 시인 가능한 화상이다. 화상 I1a, I2 및 I3의 1개 이상을 생략해도 된다.
화상 I1a, I2 및 I3은, 예를 들면, 염료 및 안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I1a, I2 및 I3의 형성에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 기록법, 잉크제트 기록법, 전자 사진법, 또는 그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화상 I1a, I2 및 I3은, 감열 발색제를 포함한 층을 형성하고, 이 층에 레이저빔으로 묘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이들 방법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 I2 및 I3의 적어도 일부는,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 기록법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인쇄법에 의해 형성해도 되며, 그들의 조합을 이용해서 형성해도 된다.
화상 I1b는,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가 표시하는 화상이다. 화상 I1b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 기록과, 핫 스탬프 또는 열 롤을 이용한 열 전사 기록을 이 순서대로 행함으로써 형성한다.
화상 I1a 및 I1b는, 동일 인물의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화상 I1a가 포함하고 있는 얼굴 화상과, 화상 I1b가 포함하고 있는 얼굴 화상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화상 I1a가 포함하고 있는 얼굴 화상과, 화상 I1b가 포함하고 있는 얼굴 화상은, 치수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화상 I1a 및 I1b 각각은, 얼굴 화상 대신에 다른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얼굴 화상 외에 얼굴 화상 이외의 생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상 I1b는, 생체 정보 대신에 비 생체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생체 정보 외에 비 생체 개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화상 I1b는, 개인 정보 대신에 비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개인 정보 외에 비개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상 I2는, 비 생체 개인 정보와 비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I2는, 예를 들면, 문자, 기호, 부호 및 표장의 1개 이상을 구성하고 있다.
화상 I3은, 종이 무늬이다. 예를 들면, 화상 I3과 화상 11a 및 I1b의 적어도 한쪽을 조합하면, 개인 인증 매체(100)의 개찬을 보다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지(2)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다른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구조는, 표지(2) 중 화상 I1a에 대응한 부분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구조는, 표지(2) 중 화상 I1b에 대응한 부분이다.
표지(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지 본체(21)와 화상 표시체(22)를 포함하고 있다.
표지 본체(21)은, 개인 인증 매체(100)의 기재로서, 전형적으로는 종이 조각이다. 표지 본체(21)는,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표지 본체(21)는, 개인 인증 매체(100)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접장(1)을 사이에 끼우도록 대절되어 있다.
화상 표시체(22)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층이다. 화상 표시체(22)는, 개인 인증 매체(100)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접장(1)과 마주 보는 표지 본체(21)의 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화상 표시체(22)는, 화상 표시층(210 및 220a)과 박리 보호층(227)을 포함하고 있다.
화상 표시층(210)은,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화상 I1a를 표시한다. 화상 표시층(2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I1a에 대응한 패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화상 표시층(210)은, 염료 및 안료의 적어도 한쪽과 임의의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층(210)은,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 기록법, 잉크제트 기록법, 전자 사진법, 또는 그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화상 표시층(210)은, 패터닝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화상 표시층(210)은, 연속막이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표시층(210)은, 예를 들면, 감열 발색제를 포함한 층을 형성하고, 이 층에 레이저빔으로 묘화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화상 표시층(220a)은,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표시층(220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I1b에 대응한 패턴 형상을 갖고 있다. 화상 표시층(220a)의 구조 및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박리 보호층(227)은, 화상 표시층(210 및 220a)과 표지 본체(21)를 피복하고 있다. 박리 보호층(227)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투명하다. 박리 보호층(227)은, 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지(2) 중 화상 I2에 대응한 부분에는, 예를 들면, 표시시키는 화상이 상이한 것 이외는, 화상 I1a에 대응한 부분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표지(2) 중 화상 I1a에 대응한 부분과 화상 I2에 대응한 부분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른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개인 인증 매체(100)의 제조 방법과 화상 표시층(220a)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1차 전사 박을 이용해서 제조 가능한 2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은, 예를 들면 전사 리본이다. 전사 박(201)은, 지지체(221)와, 지지체(221)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전사재층(220)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221)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이다. 지지체(221)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체(221)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221)의 전사재층(220)을 지지하고 있는 주면에는,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체(221)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1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재층(220)은, 박리층(222)과 회절 구조 형성층(223)과 반사층(224)과 접착층(225)을 포함하고 있다.
박리층(222)은, 지지체(22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박리층(222)은, 전사재층(220)의 지지체(221)로부터의 박리를 안정화함과 함께, 화상 표시층(220a)의 표지 본체(21)에의 접착을 촉진하는 역활을 한다. 박리층(222)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투명하다. 박리층(222)은, 생략할 수 있다.
박리층(222)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박리층(22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아크릴 수지, 실리콘계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메틸 스티렌 수지, 플루오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첨가제를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층(222)의 재료로서, 불소계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계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이, 지지체(221)로부터 박리하기 쉬운 것을 사용해도 된다.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박리층(22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회절 구조로서, 홀로그램 및 회절 격자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는,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표면에 회절 구조로서 릴리프 구조가 설치된 투명층이다.
투명층의 재료로서는, 광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광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아크릴 수지, 실리콘계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메틸 스티렌 수지, 플루오렌 수지, PET,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또는 알키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 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의 경화물은 모두 광 투과성이며, 그 굴절률은 일반적으로는 1.5 정도이다.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막을 광 투과성 기재(14)의 한쪽의 주면 상에 형성하고, 이 막에 원하는 릴리프 구조가 설치된 틀을 압착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전의 막을 경화시킨다. 그 후, 이 막으로부터 틀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회절 구조 형성층(223)을 얻는다.
또한,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체적 홀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회절 구조 형성층(223) 외에 지향성 산란 구조를 설치해도 되고, 회절 구조 형성층(223) 대신에 지향성 산란 구조를 설치해도 된다.
반사층(224)은, 회절 구조 형성층(22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224)은 생략할 수 있지만, 반사층(224)을 형성하면, 회절 구조가 표시하는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반사층(224)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 반사층 또는 불투명한 금속 반사층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층(224)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진공 성막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투명 반사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회절 구조 형성층(223)은 굴절률이 상이한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반사층은,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투명 반사층은, 반복 반사 간섭을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어도 된다. 이 투명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 아연 및 이산화티탄 등의 투명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투명 반사층으로서, 두께가 20㎚ 미만인 금속층을 사용해도 된다.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크롬,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타늄, 은, 금 및 구리 등의 단체 금속 또는 그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불투명한 금속 반사층으로서는, 보다 두꺼운 것 이외는 투명 반사층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금속층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225)은, 반사층(224)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225)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225)은, 생략할 수 있다.
개인 인증 매체(100)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인물의 얼굴을 촬영한다. 혹은, 인화로부터 얼굴 화상을 판독한다. 이에 의해, 화상 정보를 전자 정보로서 얻는다. 이 얼굴 화상은, 필요에 따라서 화상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하는 적층체(203)을 준비한다. 이 적층체(203)은,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층으로서, 지지체(226)와, 그 위에 순차 형성된 박리 보호층(227) 및 수지층(228)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226)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는, 기초층을 구성하고 있다. 지지체(226)는, 이 기초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지체(226)로서는, 예를 들면, 지지체(221)에 대해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보호층(227)은, 박리 보호층(227)과 화상 표시층(220a)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재층(220)의 지지체(226)로부터의 박리를 안정화함과 함께, 화상 표시층(220a)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 박리 보호층(227)으로서는, 예를 들면, 박리층(222)에 대해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228)이 박리층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박리 보호층(227)은 생략할 수 있다.
수지층(228)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투명하다. 수지층(228)은, 이전의 기초층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는 역활을 한다. 수지층(228)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면, 이 수지층(228)을, 화상 표시체(22)를 표지 본체(21)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수지층(228)은, 회절 구조로서, 홀로그램 및 회절 격자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의 표면에는, 회절 구조로서 릴리프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이 회절 구조가 표시하는 화상과 화상 표시층(220a)이 표시하는 화상 I1b를 겹치거나 또는 나열할 수 있다.
적층체(203)는, 패터닝된 금속 반사층, 예를 들면 불투명한 금속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패터닝된 금속 반사층을 형성하고, 이 금속 반사층에, 망점, 만선, 다른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을 표시시켜도 된다. 이러한 패턴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체(22) 또는 개인 인증 매체(100)의 진위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적층체(203) 상에, 이전의 얼굴 화상에 대응한 패턴을 갖고 있는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전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하는 지지체(221)로부터, 전사재층(220)의 일부를 화상 표시층(220a)으로 해서, 도 7에 도시하는 수지층(228) 상에 열 전사한다. 이 열 전사는, 서멀 헤드를 이용하여, 전사재층(220) 중 수지층(228) 상에 열 전사되는 부분이, 이전의 얼굴 화상에 대응한 패턴을 갖도록 행한다. 이에 의해, 지지체(226)와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과 화상 표시층(220a)을 포함한 전사 박(202)을 얻는다. 전사 박(202)은, 예를 들면 전사 리본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화상 표시층(220a)은,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형성하므로, 전형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트 형상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이전의 평면 격자는 정방 격자이지만, 이 평면 격자는, 삼각 격자 및 직사각형 격자 등의 다른 격자이어도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서로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그들의 윤곽이 1점에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동일하다.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서로로부터 이격해 있어도 된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해서 보다 작아도 된다. 혹은,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는 것처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해서 보다 커도 된다.
도트 형상부의 직경 또는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면 0.085 내지 0.508㎜(약 300 내지 약 50 dots per inch)의 범위 내로 한다. 화상 표시층(220a)에 얼굴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도트 형상부의 직경 또는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면 0.085 내지 0.169㎜(약 300내지 약 150 dots per inch)의 범위 내로 한다. 이 치수를 크게 하면, 화상 표시층(220a)에 고 정밀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치수를 작게 하면, 화상 표시층(220a)의 패턴 형상의 재현성이 저하한다.
또한, 사용필의 전사 박(201)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재층(220)의 일부(220b)가, 화상 표시층(220a)의 네가티브 패턴으로서 잔류하고 있다. 이 네가티브 패턴은, 화상 표시층(220a)의 대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사 박(201)의 일부를 이용해서 박리 보호층(227) 상에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하는 것 외에, 전사 박(201)의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별도로 준비한 기재 상에, 비 생체 개인 정보나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한 날짜 및 시간 등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패턴을 열 전사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사용필의 전사 박(201)을, 화상 표시층(220a)의 대조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다른 정보의 대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하기 전에,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다른 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반사층을 형성해 두어도 되고,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형성해 두어도 되고, 그들의 쌍방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 반사층은, 연속막이어도 되고,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반사층의 패턴은, 망점, 만선,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이 반사층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불투명이어도 된다. 또한, 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는, 전형적으로는, 회절 구조 형성층(223)이 포함하고 있는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는, 광학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한다.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층(210)을 더 형성한다.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표시층(210)은,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해도 되고,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열 전사법에 의해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승화 전사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용융 전사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그들의 쌍방을 채용해도 된다. 화상 표시층(210)이 표시하는 화상은, 모노크롬 화상이어도 되고, 컬러 화상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화상 표시층(210)은,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색의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적, 녹 및 청의 3색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도시 생략)을 더 형성해도 된다.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을 수지층(228) 상에 형성하는 경우, 이 층의 형성은,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하기 전에 행해도 되고,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한 후에 행해도 된다. 혹은,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은,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형성하는 대신에, 표지 본체(21) 상에 형성해도 된다.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층(210)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전사재층 중 화상 표시체(22)로서 사용하는 부분을, 지지체(226)로부터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한다. 이 열 전사에는, 예를 들면 핫 스탬프를 이용한다. 또한,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 대신에, 열 롤 또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표지 본체(21)에 화상 표시체(22)를 접착한다.
표지 본체(21)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또한, 표지 본체(21) 상에는,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접착 앵커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화상 표시체(22)을 표지 본체(21)에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 전사재층 중 화상 표시체(22)로서 사용하는 부분은, 접착층을 개재하여,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착 리본을 사용해도 된다. 이것을 사용하면, 화상 표시체(22)와 표지 본체(21)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체(22)와 표지 본체(21) 사이에 접착층(23)이 개재한 구조가 얻어진다.
화상 표시체(22)를 표지 본체(21)에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로서, 화상 표시층(220a)의 형성 후에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할 때에는, 접착 리본의 기능을 추가한 잉크 리본을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잉크 리본과는 달리 접착 리본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화상 표시체(22)를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한 후, 필요한 공정을 적절히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개인 인증 매체(100)를 얻는다.
이 방법에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한다. 서멀 헤드를 이용한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 정밀도는, 펄 안료를 인쇄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 정밀도보다도 높다.
또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화상 표시층(220a)을 표지 본체(21) 상에 직접 형성한 경우, 표지 본체(21)의 표면 거칠기 등에 기인하여, 고화질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서는, 화상 표시층(220a)은, 표지 본체(21) 상에 직접 형성하지 않는다. 즉, 이 방법으로는, 우선, 박리 보호층(227) 상에 형성하고, 그 후, 박리 보호층(227)과 함께 표지 본체(21) 상에 전사한다. 그 때문에, 표지 본체(21)의 표면 거칠기 등이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화상 표시층(220a)에,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화상 표시체(22)는, 개인 정보의 일부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이용해서 표시한다.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가 표시하는 개인 정보, 특히 생체 정보의 개찬은 극히 곤란하다.
그리고, 이 방법에서는, 화상 표시체(22)는, 열 전사에 의해 표지 본체(21)에 지지시킨다. 그러한 화상 표시체(22)는, 표지 본체(21)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면,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때문에, 이 개인 인증 매체(100)는, 개찬이 곤란하다.
<제2 양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양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기술과 관련되어 있다.
(1)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로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 잉크층을 포함하고,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된 제1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
(2)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더 구비한 항목 (1)에 따른 화상 표시체.
(3)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
(4) 상기 제1 화상은 제1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제2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인 정보는 동일 인물의 정보인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
(5)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의 적어도 한쪽은 생체 정보를 포함한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
(6)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한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
(7)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는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8) 상기 잉크층은,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의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가 표시하는 패턴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의 윤곽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윤곽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항목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9) 상기 잉크층은 컬러 잉크로 이루어지는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10) 상기 컬러 잉크는 상기 기재의 색에 대하여 보색인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11)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을 사이에 끼워서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본 접착층을 더 구비한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
(12)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화상 표시체가 전사된 상기 기재를 구비한 개인 인증 매체.
(13)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 잉크층을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와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
(14) 기초층과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 잉크층을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와 상기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체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한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
이하에, 항목 (1) 내지 (14)에 따른 기술의 효과를 개별로 기재한다.
항목 (1)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 표시층은,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이 아니고, 기초층 상에 형성되어 있고, 홀로그램층이나 회절 격자층에 잉크층을 조합한 구조를 갖고 있다. 홀로그램층이나 회절 격자층에 잉크층을 조합한 구조를 채용하면, 홀로그램이나 회절 격자로부터 충분한 회절광을 얻을 수 없는 환경에서도, 화상을 충분한 시인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눈, 모발 및 입 등의 부위를 잉크층으로 표현하고, 홀로그램층이나 회절 격자층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 높은 시인성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화상 표시체는, 위조, 개찬 또는 변조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성능과, 그러한 부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관찰 등에 의해 부정품을 용이하게 발견 가능하게 하는 발견 용이 성능을 제공한다.
항목 (2)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위조, 개찬 또는 변조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화상 표시체는, 위조, 개찬 또는 변조된 화상 표시체로부터, 관찰 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화상 표시체가 진정품이라고 한 경우, 위조, 개찬 또는 변조된 화상 표시체를 관찰 등에 의해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즉, 우수한 발견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항목 (3)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은 개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제2 화상은 이 개인 정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화상 표시체는, 제1 화상만이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체와 비교하여, 위조, 개찬 또는 변조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화상 표시체는, 제1 화상만이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 표시체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발견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항목 (4)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은 제1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화상은 제2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개인 정보는 동일 인물의 정보이다. 이 경우, 화상 표시체의 위조가 보다 곤란하게 되는 것 외에, 개인 인증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항목 (5)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의 적어도 한쪽은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생체 정보는, 개체에 특유한 것이므로, 개인 인증에 특히 유용하다.
항목 (6)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있다. 얼굴 화상은, 생체 정보로서 일반적이며, 목시에 의한 개인 인증에 적합하다. 또한, 2개의 화상을 비교해 보는 것에 의한 진위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항목 (7)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이들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복잡한 구조는, 위조, 개찬 또는 변조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예방 효과를 달성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이 구조는, 고 정밀한 화상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항목 (8)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잉크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가 표시하는 패턴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의 윤곽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윤곽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패턴의 외부 프레임」은, 이 패턴으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그 내주상의 모든 위치에서 이전의 패턴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동일한 틀을 의미하고 있다. 이렇게 복잡한 구조는, 위조, 개찬 또는 변조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예방 효과를 달성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홀로그램이나 회절 격자로부터 충분한 회절광을 얻을 수 없는 환경에서도, 시인성이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얼굴의 윤곽, 눈, 모발 및 입 등의 개인 인증에 있어서 중요한 부위의 윤곽을 잉크층으로 표현하고, 다른 부위를 홀로그램층 또는 회절 격자층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시인성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홀로그램 자체의 시인성도, 잉크층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프레임 또는 윤곽을 설치함으로써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보다 우수한 발견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항목 (9)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잉크층은 컬러 잉크로 이루어진다.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는, 모노크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와 비교하여, 보다 미적 가치가 우수한 것 외에, 보다 우수한 발견 용이성과, 위조, 개찬 또는 변조 에 대한 보다 우수한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항목 (10)에 따른 화상 표시체에서는, 컬러 잉크는 기재의 색에 대하여 보색이다. 이 경우, 잉크층은, 다른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시인성으로 화상을 표시한다.
항목 (11)에 따른 화상 표시체는, 제1 화상 표시층을 사이에 끼워서 기초층과 마주 본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접착층은,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화상 표시체의 전사 시에, 화상 표시체를 기재에 강고하게 밀착시킨다. 또한, 접착층은,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복제를 곤란하게 한다.
항목 (12)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는,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상 표시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개인 인증 매체는,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 외에, 개찬이 곤란하다.
항목 (13)에 따른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 잉크층을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기초층 상에,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와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하고,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표시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표시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개인 인증 매체는, 개찬이 곤란하다.
항목 (14)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은, 기초층과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 잉크층을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기초층 상에,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와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하고,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은, 화상 표시체를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는, 기재의 표면 거칠기 등이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개인 인증 매체에서는, 기재에 접착한 화상 표시체는, 기재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면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개인 인증 매체는, 개찬이 곤란하다.
다음으로, 제2 양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양태는, 이하에 설명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 이외는, 제1 양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개인 인증 매체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는, 표지(2) 중 화상 I1b에 대응한 부분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구조를 채용한 것 이외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개인 인증 매체(100)와 마찬가지이다. 즉,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에서는, 화상 표시체(22)는, 화상 표시층(230a)을 더 포함하고 있다.
화상 표시층(230a)은, 잉크로 형성된 잉크 화상 표시층이다. 화상 표시층(230a)은, 표지 본체(21)와 박리 보호층(227)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화상은, 화상 표시층(220a)이 표시하는 화상에 테두리를 두르고 있다. 즉,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패턴은, 화상 표시층(220a)이 표시하는 패턴의 윤곽을 구성하고 있다.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패턴은, 화상 표시층(220a)이 표시하는 패턴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과 화상 표시층(220a 및 230a)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1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차 전사 박이 포함하고 있는 제1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1차 전사 박이 포함하고 있는 제2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1차 전사 박을 이용해서 제조 가능한 2차 전사 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에 있어서의 제1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사용필의 1차 전사 박에 있어서의 제2 전사재층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은, 예를 들면 전사 리본이다. 이 전사 박(201)은, 전사재층(240)이, 제1 전사재층(220)과 제2 전사재층(230)을 포함하고 있는 것 이외는,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전사 박(201)과 마찬가지이다.
제1 전사재층(22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221)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전사재층(220)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전사재층(220)과 마찬가지의 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제2 전사재층(230)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221)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재층(230)은, 지지체(221) 상에서 전사재층(220)과 서로 인접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사재층(220 및 230)은, 지지체(221)의 주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 전사재층(230)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층(222)과 잉크층(233)을 포함하고 있다.
잉크층(233)은, 박리층(22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잉크층(233)은, 예를 들면, 컬러 잉크로 이루어진다. 잉크층(233)은, 예를 들면, 염료 및 안료의 적어도 한쪽과 임의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잉크층(233)은, 예를 들면, 지지체(221)의 주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한,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착색층을 포함하고 있다. 혹은, 잉크층(233)은, 지지체(221)의 주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한, 적, 녹 및 청의 착색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잉크층(233)은, 접착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후자의 경우, 전사재층(230)은, 잉크층(233) 상에 설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접착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사재층(220 및 230)을 동일한 지지체(221) 상에 형성하고 있다. 그 대신에, 전사재층(220 및 230)을 다른 지지체(221) 상에 형성하고, 그 후, 그들 지지체(221)를 서로 연결시켜도 된다.
제2 양태에 따른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우선,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인물의 얼굴을 촬영한다. 혹은, 인화로부터 얼굴 화상을 판독한다. 이에 의해, 화상 정보를 전자 정보로서 얻는다. 이 얼굴 화상은, 필요에 따라서 화상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하는 적층체(203)를 준비한다. 이 적층체(203)은,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층으로서, 지지체(226)와, 그 위에 순차 형성된 박리 보호층(227) 및 수지층(228)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체(226) 상에 형성된 다층 구조는, 기초층을 구성하고 있다. 지지체(226)는, 이 기초층을 박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지체(226)로서는, 예를 들면, 지지체(221)에 대해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보호층(227)은, 박리 보호층(227)과 회절 화상 표시층(220a)과 잉크 화상 표시층(230a)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재층(240)의 지지체(226)로부터의 박리를 안정화함과 함께,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활을 한다. 박리 보호층(227)으로서는, 예를 들면, 박리층(222)에 대해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228)이 박리층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박리 보호층(227)은 생략할 수 있다.
수지층(228)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투명하다. 수지층(228)은, 이전의 기초층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는 역활을 한다. 수지층(228)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면, 이 수지층(228)을, 화상 표시체(22)을 표지 본체(21)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수지층(228)은, 회절 구조로서, 홀로그램 및 회절 격자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의 표면에는, 회절 구조로서 릴리프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이 회절 구조가 표시하는 화상과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화상 I1b를 겹치거나 또는 나열할 수 있다.
적층체(203)는, 패터닝된 금속 반사층, 예를 들면 불투명한 금속 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패터닝된 금속 반사층을 형성하고, 이 금속 반사층에, 망점, 만선, 다른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을 표시시켜도 된다. 이러한 패턴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체(22) 또는 개인 인증 매체(100)의 진위 판정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적층체(203) 상에, 이전의 얼굴 화상에 대응한 패턴을 갖고 있는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전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지지체(221)로부터, 회절 전사재층(220)의 일부를 회절 화상 표시층(220a)으로 하고, 잉크 전사재층(230)의 일부를 잉크 화상 표시층(230a)으로 해서, 도 16에 도시하는 수지층(228) 상에 열 전사한다. 이 열 전사는, 서멀 헤드를 이용하여, 전사재층(220) 중 수지층(228) 상에 열 전사되는 부분이, 이전의 얼굴 화상에 대응한 패턴을 갖도록 행한다.
예를 들면, 이전의 얼굴 화상 중의 일부에 대응한 제1 패턴을,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을 복수 배열함으로써 형성한다. 그리고, 이 얼굴 화상의 남은 부분에 대응한 제2 패턴을,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복수 배열함으로써 형성한다. 제2 패턴은, 전형적으로는, 제1 패턴의 외부 프레임 및/또는 윤곽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전형적으로는,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은,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배열을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이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 또는 윤곽은, 연속하고 있어도 되고, 파선 또는 점선과 같이 불연속이어도 된다.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이 형성하는 패턴의 형상은, 예를 들면, 화상의 미적 가치 및 시인성 및 진위 판정의 용이성 등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다.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색은 임의이다.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색은, 기재(21)의 색에 따라서 결정해도 된다.
기재(21)의 색에 대하여 보색의 관계에 있는 컬러 잉크를 이용하면, 기재(21)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화상의 경계가 명료해질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기재(21)가 백색인 경우에는 흑색의 잉크를 이용하고, 기재(21)가 황색인 경우에는 청색의 잉크를 이용한다. 특히, 흑색부를 잉크 화상 표시층(230a)으로 구성하면, 화상 I1b를 높은 시인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색과 기재(21)의 색은, 색상환에 있어서 90° 정도 다르게 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재(21)가 적색인 경우, 청, 황 또는 녹색의 잉크를 이용한다. 혹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색과 기재(21)의 색은, 색상환에 있어서 120° 정도 다르게 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재(21)가 적색인 경우, 청 또는 녹색의 잉크를 이용한다. 이들의 경우도, 기재(21)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이 표시하는 화상의 경계가 명료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패턴을 전사하는 것에 의해, 지지체(226)와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과 회절 화상 표시층(220a)과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포함한 전사 박(202)을 얻는다. 전사 박(202)은, 예를 들면 전사 리본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은,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형성하므로, 전형적으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트 형상부로 이루어진다. 이들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이전의 평면 격자는 정방 격자이지만, 이 평면 격자는, 삼각 격자 및 직사각형 격자 등의 다른 격자이어도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그들의 윤곽이 1점에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동일하다.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서로로부터 이격해 있어도 된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해서 보다 작아도 된다. 혹은, 인접한 도트 형상부는,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는 것처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각 도트 형상부의 직경은,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와 비교해서 보다 커도 된다.
도트 형상부의 직경 또는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면 0.085 내지 0.508㎜(약 300 내지 약 50 dots per inch)의 범위 내로 한다. 회절 화상 표시층(220a)에 얼굴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도트 형상부의 직경 또는 도트 형상부의 최소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면 0.085 내지 0.169㎜(약 300 내지 약 150 dots per inch)의 범위 내로 한다. 이 치수를 크게 하면, 회절 화상 표시층(220a)에 고 정밀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치수를 작게 하면,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패턴 형상의 재현성이 저하한다.
또한, 화상 표시층(220a 및 230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하고, 그 후, 회절 화상 표시층(220a) 상에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해도 된다. 혹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하고, 그 후, 잉크 화상 표시층(230a)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사용필의 전사 박(201)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절 전사재층(220)의 일부(220b)가,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네가티브 패턴으로서 잔류하고 있다. 이 네가티브 패턴은,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대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필의 전사 박(201)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전사재층(230)의 일부(230b)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네가티브 패턴으로서 잔류하고 있다. 이 네가티브 패턴은,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대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전사 박(201)의 일부를 이용해서 박리 보호층(227)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하는 것 외에, 전사 박(201)의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별도로 준비한 기재 상에, 비 생체 개인 정보나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한 날짜 및 시간 등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패턴을 열 전사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사용필의 전사 박(201)을,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대조에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다른 정보의 대조에도 이용할 수 있다.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하기 전에,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다른 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반사층을 형성해 두어도 되고,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형성해 두어도 되고, 그들의 쌍방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 반사층은, 연속막이어도 되고,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반사층의 패턴은, 망점, 만선, 도형, 또는 그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이 반사층은, 광 투과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불투명이어도 된다. 또한, 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는, 전형적으로는, 회절 구조 형성층(223)이 포함하고 있는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와는, 광학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한다.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화상 표시층(210)을 더 형성한다. 수지층(228) 상에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표시층(210)은, 수지층(228)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해도 되고, 수지층(228)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열 전사법에 의해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는 경우, 승화 전사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용융 전사 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그들의 쌍방을 채용해도 된다. 화상 표시층(210)이 표시하는 화상은, 모노크롬 화상이어도 되고, 컬러 화상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화상 표시층(210)은,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잉크 리본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색의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적, 녹 및 청의 3색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도시 생략)을 더 형성해도 된다.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을 수지층(228) 상에 형성하는 경우, 이 층의 형성은, 수지층(228)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하기 전에 행해도 되고, 수지층(228) 상에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한 후에 행해도 된다. 혹은,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은, 수지층(228) 상에 또는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 사이에 형성하는 대신에, 표지 본체(21) 상에 형성해도 된다.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은, 예를 들면, 화상 표시층(210)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전사재층 중 화상 표시체(22)로서 사용하는 부분을, 지지체(226)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한다. 이 열 전사에는, 예를 들면 핫 스탬프를 이용한다. 또한,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 대신에,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표지 본체(21)에 화상 표시체(22)를 접착한다.
표지 본체(21) 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I3을 표시하는 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또한, 표지 본체(21) 상에는,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접착 앵커층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화상 표시체(22)을 표지 본체(21)에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 전사재층 중 화상 표시체(22)로서 사용하는 부분은, 접착층(23)을 개재하여,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착 리본을 사용해도 된다. 이것을 사용하면, 화상 표시체(22)와 표지 본체(21)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체(22)와 표지 본체(21) 사이에 접착층(23)이 개재한 구조가 얻어진다.
화상 표시체(22)를 표지 본체(21)에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로서,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형성층(230a)의 형성 후에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할 때에는, 접착 리본의 기능을 추가한 잉크 리본을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잉크 리본과는 달리 접착 리본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화상 표시체(22)를 표지 본체(21) 상에 열 전사한 후, 필요한 공정을 적절히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개인 인증 매체(100)를 얻는다.
이 방법에서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형성한다. 서멀 헤드를 이용한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 정밀도는, 펄 안료를 인쇄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 정밀도보다도 높다.
또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표지 본체(21) 상에 직접 형성한 경우, 표지 본체(21)의 표면 거칠기 등에 기인하여, 고화질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서는,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은, 표지 본체(21) 상에 직접 형성하지 않는다. 즉, 이 방법에서는, 우선, 박리 보호층(227) 상에 형성하고, 그 후, 박리 보호층(227)과 함께 표지 본체(21) 상에 전사한다. 그 때문에, 표지 본체(21)의 표면 거칠기 등이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에,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배열의 테두리를 두르도록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이 표시하는 화상의 질에 표지 본체(21)의 표면 거칠기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화상을 충분한 시인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화상 표시체(22)는, 개인 정보의 일부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 및 잉크층을 이용해서 표시한다.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 및 잉크층이 표시하는 개인 정보, 특히 생체 정보의 개찬은 극히 곤란하다.
그리고, 이 방법에서는, 화상 표시체(22)는, 열 전사에 의해 표지 본체(21)에 지지시킨다. 그러한 화상 표시체(22)는, 표지 본체(21)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면, 용이하게 파괴된다.
그 때문에, 이 개인 인증 매체(100)는, 개찬이 곤란하다.
이상, 패스포드로서의 개인 인증 매체(100)를 예시했지만, 개인 인증 매체(100)에 대해서 상술한 기술은, 다른 개인 인증 매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기술은, 사증이나 ID 카드 등의 각종 카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표시체(22)를 접착하는 기재의 재질은, 종이 이외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 표시체(22)를 접착하는 기재는, 플라스틱 기판, 금속 기판, 세라믹스 기판, 또는 글래스 기판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층(220a)에 표시시키는 화상은, 얼굴 화상 외에 다른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얼굴 화상 대신에 다른 생체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층(220a)에 표시시키는 화상은, 생체 정보 외에 비 생체 개인 정보 및 비개인 정보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생체 정보 대신에 비 생체 개인 정보 및 비개인 정보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예를 설명한다.
<예 1>
도 6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우선, 지지체(221)로서, 두께가 12㎛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지지체(221)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박리층(222)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박리층(222)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박리층(222) 및 열가소성 수지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0.6㎛ 및 0.7㎛이었다.
다음으로, 롤 엠보싱 장치를 이용한 열 프레스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에, 홀로그램으로서의 릴리프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회절 구조 형성층(223)을 얻었다.
다음으로, 회절 구조 형성층(223) 상에, 증착법에 의해, 황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224)을 형성하였다. 반사층(224)의 막 두께는 80㎚로 하였다.
또한, 이 반사 층 상에,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인쇄함으로써, 접착층(225)을 형성하였다. 접착층(225)의 막 두께는 0.6㎛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 6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하는 전사 박(202)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화상 표시층(210)은 생략하였다.
우선, 지지체(226)로서, 두께가 2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지지체(226)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박리 보호층(227)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수지층(228)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박리 보호층(227) 및 수지층(228)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1.2㎛ 및 1.0㎛이었다.
다음으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전사재층(220)의 일부인 화상 표시층(220a)을, 지지체(221)로부터 수지층(228) 상에 전사하였다. 이 전사는, 화상 표시층(220a)이 문자 「A」를 표시하도록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서, 화상 표시층(210)을 생략한 것 이외는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전사 박(202)을 완성하였다.
그 후,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적층체를, 지지체(226)로부터, 인쇄에 의해 표면에 접착 앵커층을 형성한 두꺼운 종이 상에 전사하였다. 이에 의해, 개인 인증 매체를 완성하였다.
이 개인 인증 매체를 관찰한 바, 화상 표시층(220a)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였다.
<예 2>
접착 리본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즉, 두께가 4.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접착층 및 백코트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접착층의 재료로서는 에폭시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백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였다. 접착층 및 백코트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1.0㎛ 및 0.8㎛이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접착 리본을 얻었다.
다음으로, 예 1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화상 표시층(210)을 생략한 전사 박(202)을 제조하였다. 또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이 전사 박(202)의 수지층(228) 상에, 승화성 염료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였다. 이 열 전사에는, 승화 전사 방식의 잉크 리본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전사는, 화상 표시층(210)이 문자 「A」를 표시하도록 행하였다.
계속해서,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접착 리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전사 박(202)의 화상 표시층(210 및 220a)을 형성한 면의 전체에, 접착층과 백코트층의 적층체를 전사하였다.
그 후,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적층체를, 지지체(226)로부터, 인쇄에 의해 표면에 접착 앵커층을 형성한 두꺼운 종이 상에 전사하였다. 이에 의해, 개인 인증 매체를 완성하였다.
이 개인 인증 매체를 관찰한 바, 화상 표시층(220a)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였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제조한 화상 표시체(22)는, 예 1에 있어서 제조한 화상 표시체(22)와 비교하여, 층간의 접착 강도가 컸다.
<예 3>
도 13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우선, 지지체(221)로서, 두께가 12㎛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지지체(221)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박리층(222)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박리층(222)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박리층(222) 및 열가소성 수지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0.6㎛ 및 0.7㎛이었다.
다음으로, 롤 엠보싱 장치를 이용한 열 프레스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에, 홀로그램으로서의 릴리프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회절 구조 형성층(223)을 얻었다.
다음으로, 회절 구조 형성층(223) 상에, 증착법에 의해, 황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224)을 형성하였다. 반사층(224)의 막 두께는 80㎚으로 하였다.
또한, 이 반사 층 상에,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인쇄함으로써, 접착층(225)을 형성하였다. 접착층(225)의 막 두께는 0.6㎛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서, 도 13에 도시하는 전사 박(201)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하는 전사 박(202)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화상 표시층(210)은 생략하였다.
우선, 지지체(226)로서, 두께가 2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지지체(226)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박리 보호층(227)과 수지층(228)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박리 보호층(227)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수지층(228)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하였다. 박리 보호층(227) 및 수지층(228)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1.2㎛ 및 1.0㎛이었다.
다음으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전사재층(220)의 일부인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을, 지지체(221)로부터 수지층(228)상에 전사하였다.
도 21은, 예 3에 있어서 형성한 회절 화상 표시층 및 잉크 화상 표시층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 전사는, 회절 화상 표시층(220a)의 배열이 문자 「A」를 표시하고,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의 배열이 문자 「A」의 주위를 장식하도록 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해서, 화상 표시층(210)을 생략한 것 이외는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전사 박(202)을 완성하였다.
그 후,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적층체를, 지지체(226)로부터, 인쇄에 의해 표면에 접착 앵커층을 형성한 두꺼운 종이 상에 전사하였다. 이에 의해, 개인 인증 매체를 완성하였다.
이 개인 인증 매체를 관찰한 바,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였다.
<예 4>
접착 리본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즉, 두께가 4.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여, 접착층 및 백코트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접착층의 재료로서는 에폭시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백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였다. 접착층 및 백코트층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각각 1.0㎛ 및 0.8㎛이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접착 리본을 얻었다.
다음으로, 예 3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화상 표시층(210)을 생략한 전사 박(202)을 제조하였다. 또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이 전사 박(202)의 수지층(228) 상에, 승화성 염료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층(210)을 형성하였다. 이 열 전사에는, 승화 전사 방식의 잉크 리본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전사는, 화상 표시층(210)의 배열이 문자 「A」를 표시하도록 행하였다.
계속해서,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접착 리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전사 박(202)의 화상 표시층(210 및 220a 및 230a)을 형성한 면의 전체에, 접착층과 백코트층의 적층체를 전사하였다.
그 후, 핫 스탬프를 이용한 열 전사를 행함으로써, 지지체(226) 상에 형성한 적층체를, 지지체(226)로부터, 인쇄에 의해 표면에 접착 앵커층을 형성한 두꺼운 종이 상에 전사하였다. 이에 의해, 개인 인증 매체를 완성하였다.
이 개인 인증 매체를 관찰한 바, 회절 화상 표시층(220a) 및 잉크 화상 표시층(230a)은,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표시하였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제조한 화상 표시체(22)는, 예 3에 있어서 제조한 화상 표시체(22)와 비교하여, 층간의 접착 강도가 컸다.
또 다른 이익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그보다 넓은 측면에 있어서, 여기에 기재된 특정한 기재나 대표적인 양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포괄적 개념의 진의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접장
2: 표지
11: 종이 조각
22: 화상 표시체
210: 화상 표시층
227: 박리 보호층

Claims (15)

  1. 지지체로부터 기재(基材)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로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광 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초층과,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서멀 헤드(thermal head)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상기 기초층 상에 전사된 제1 화상 표시층으로서,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표시층과,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패스포트, 사증 또는 ID 카드의 종이로 이루어진 기재이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 표시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잉크층을 더 포함한 화상 표시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표시하는 화상은,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가 표시하는 화상에 테두리를 두르고 있는 화상 표시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컬러 잉크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잉크의 색은, 상기 기재의 색의 보색인 화상 표시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개인 정보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 화상 표시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제1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은 제2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인 정보는 동일 인물의 정보인 화상 표시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의 적어도 한쪽은 생체 정보를 포함한 화상 표시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을 사이에 끼워서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본 접착층을 더 구비한 화상 표시체.
  10.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상 표시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화상 표시체가 전사된 상기 기재를 구비한 개인 인증 매체.
  11. 지지체로부터 기재 상에 전사되어,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상기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패스포트, 사증 또는 ID 카드의 종이로 이루어진 기재이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층은 잉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표시층은 상기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한 화상 표시체의 제조 방법.
  13. 기초층과 제1 화상 표시층과 제2 화상 표시층을 구비하고, 개인 정보를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체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 전사에 의해,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를 포함한 전사재층의 일부를, 지지체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층 상에 전사하여, 상기 기초층 상에, 상기 홀로그램 및/또는 회절 격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기초층과 마주 보고, 광의 흡수를 이용해서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화상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 공정과,
    상기 화상 표시체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개인 인증 매체의 기재 상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상은 동일한 얼굴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패스포트, 사증 또는 ID 카드의 종이로 이루어진 기재이고,
    상기 제1 화상 표시층은 복수의 도트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트 형상부의 각 중심은 가상적인 평면 격자의 격자점 상에 위치하고 있는,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층은 잉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상 표시층은 상기 잉크층의 일부를 포함한 개인 인증 매체의 제조 방법.
  15. 삭제
KR1020177023929A 2009-10-16 2010-08-05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1859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9429 2009-10-16
JPJP-P-2009-239429 2009-10-16
JPJP-P-2009-255973 2009-11-09
JP2009255973 2009-11-09
PCT/JP2010/063326 WO2011045972A1 (ja) 2009-10-16 2010-08-05 画像表示体、ラベル付き物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573A Division KR20120098618A (ko) 2009-10-16 2010-08-05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058A KR20170102058A (ko) 2017-09-06
KR101859892B1 true KR101859892B1 (ko) 2018-05-18

Family

ID=438760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573A KR20120098618A (ko) 2009-10-16 2010-08-05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0177023929A KR101859892B1 (ko) 2009-10-16 2010-08-05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573A KR20120098618A (ko) 2009-10-16 2010-08-05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07036B2 (ko)
EP (1) EP2489525B1 (ko)
JP (1) JP4868090B2 (ko)
KR (2) KR20120098618A (ko)
CN (1) CN102574414B (ko)
CA (1) CA2777383C (ko)
WO (1) WO2011045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77383C (en) 2009-10-16 2017-08-29 Toppan Printing Co., Ltd. Image display, labeled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12137550A1 (ja) * 2011-04-01 2012-10-11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
JP2013092683A (ja) * 2011-10-26 2013-05-16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および情報媒体
CN104246625B (zh) 2012-04-25 2017-11-24 凸版印刷株式会社 全息图转印箔、图像显示体的制作方法、图像显示体及个人认证介质
CN104335097B (zh) 2012-06-01 2018-03-02 凸版印刷株式会社 各向异性反射显示体以及使用了各向异性反射显示体的信息记录体
JP6146632B2 (ja) * 2012-07-06 2017-06-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個人情報表示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146630B2 (ja) * 2012-07-02 2017-06-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個人情報表示体
JP6221209B2 (ja) * 2012-07-04 2017-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個人情報表示体
DE102012211767B4 (de) * 2012-07-05 2014-03-13 Bundesdruckerei Gmbh Sicherheitsdokumentenrohling für eine farbige Laserpersonalisier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dokuments mittels farbiger Laserpersonalisierung eines Sicherheitsdokumentenrohlings und Sicherheitsdokument.
US20140261025A1 (en) * 2013-03-15 2014-09-18 Illinois Tool Works Inc. Card Printing and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TWI509461B (zh) * 2014-03-17 2015-11-21 Hiti Digital Inc 耗材管理方法及其設備
CN104924794A (zh) 2014-03-17 2015-09-23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热升华透明介质列印方法及其制品
DE112016000297T5 (de) * 2015-01-08 2017-11-23 Toppan Printing Co., Ltd. Anzeigekörper und Artikel
WO2017131089A1 (ja) * 2016-01-27 2017-08-03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個人認証媒体
US10487435B2 (en) * 2017-03-23 2019-11-26 Midea Group Co., Ltd. Tub for a laundry washing machine
KR102487148B1 (ko) * 2017-05-25 2023-01-11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라벨, 카드, 및 진위 판정 방법
JP7009794B2 (ja) * 2017-06-26 2022-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2019107921A (ja) * 2017-12-15 2019-07-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加飾部材及び加飾方法
WO2020004633A1 (ja) * 2018-06-29 2020-01-02 凸版印刷株式会社 認証体、認証体の製造方法、認証体の読み取り方法、および認証体の検証方法
JP7207538B2 (ja) * 2019-06-19 2023-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装置
CN113263850B (zh) * 2021-05-13 2022-11-01 刘晨 一种改善水洗褪色现象的乳胶墨水数码打印膜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76A (ja) * 1999-03-25 2000-10-03 Dainippon Printing Co Ltd Id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0685A (ja) * 2001-12-10 2003-06-17 Toshiba Corp 個人認証媒体及び溶融型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2006248137A (ja) * 2005-03-14 2006-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画像表示体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6727Y1 (ko) 1966-06-16 1971-06-11
DE3650027T2 (de) * 1985-05-07 1995-0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Artikel mit transparentem Hologramm.
DE3932505C2 (de) * 1989-09-28 2001-03-15 Gao Ges Automation Org Datenträger mit einem optisch variablen Element
CN1079324A (zh) * 1992-05-27 1993-12-08 魏树根 一种多功能防伪造标签及其制造方法
US5344808A (en) * 1992-09-09 1994-09-06 Toppa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image-recorded article making use of the same
JPH07104113A (ja) * 1993-10-04 1995-04-21 Konic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42863A (ja) * 1997-07-29 1999-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像シート
JP2000141863A (ja) 1998-11-18 2000-05-23 Ruminooba Seiko:Kk 蛍光体印刷物
JP4788043B2 (ja) 2001-01-31 2011-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偽造防止画像形成体、および偽造防止画像形成体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体の偽造の判別方法
DE10127979C1 (de) * 2001-06-08 2002-11-07 Ovd Kinegram Ag Zug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US7694887B2 (en) * 2001-12-24 2010-04-13 L-1 Secure Credentialing, Inc. Optically variable personalized indicia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CN1150484C (zh) * 2002-09-29 2004-05-19 薄振东 全息条码复合标签及制造工艺
US20050010776A1 (en) * 2003-03-31 2005-01-13 Kenen Leo M. Optically variable devices with encrypted embedded data for authentication of identification documents
JP4392271B2 (ja) * 2004-03-08 2009-1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記録物製造方法及び記録物
TW200604765A (en) * 2004-04-06 2006-0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Receptor layer transfer material, transfer sheet, colorant-receiving sheet having relief layer, and image-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5319777A (ja) * 2004-04-06 2005-1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容層転写材及び転写シー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4616727B2 (ja) * 2004-08-17 2011-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感熱記録媒体
GB0425831D0 (en) * 2004-11-24 2004-12-29 Ver Tec Security Systems Ltd Security holograms
KR100736481B1 (ko) 2005-10-26 2007-07-06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워터마크 이미지가 포함된 위·변조방지용 홀로그램박막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88866A (ja) * 2007-02-05 2008-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US8559084B2 (en) * 2007-06-19 2013-10-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Volume hologram transfer foil, volume hologram lamin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GB2464496B (en) * 2008-10-16 2013-10-09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printed security features
US8725589B1 (en) * 2009-07-30 2014-05-13 Jpmorgan Chase Bank, N.A. Methods for personalizing multi-layer transaction cards
CA2777383C (en) 2009-10-16 2017-08-29 Toppan Printing Co., Ltd. Image display, labeled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76A (ja) * 1999-03-25 2000-10-03 Dainippon Printing Co Ltd Id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70685A (ja) * 2001-12-10 2003-06-17 Toshiba Corp 個人認証媒体及び溶融型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2006248137A (ja) * 2005-03-14 2006-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画像表示体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7383C (en) 2017-08-29
WO2011045972A1 (ja) 2011-04-21
EP2489525A4 (en) 2016-07-27
US20120194884A1 (en) 2012-08-02
CN102574414A (zh) 2012-07-11
US20180292584A1 (en) 2018-10-11
EP2489525A1 (en) 2012-08-22
CN102574414B (zh) 2015-08-19
CA2777383A1 (en) 2011-04-21
EP2489525B1 (en) 2021-11-10
JPWO2011045972A1 (ja) 2013-03-04
KR20120098618A (ko) 2012-09-05
KR20170102058A (ko) 2017-09-06
JP4868090B2 (ja) 2012-02-01
US10007036B2 (en) 2018-06-26
US10698140B2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892B1 (ko) 화상 표시체, 라벨 첨부 물품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6380100B2 (ja) ホログラム転写箔、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画像表示体及び個人認証媒体
JP5685876B2 (ja) 画像形成体、個人認証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637371B2 (ja)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3092746A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US11305514B2 (en) Laminate, verific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laminate
JP5724175B2 (ja)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個人認証媒体
JP6213227B2 (ja) 画像表示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915055B2 (ja) 画像形成体および個人認証媒体並びに画像形成体の形成方法および個人認証媒体の形成方法
JP5413236B2 (ja) 画像表示体及び個人認証媒体及びブランク媒体
JP6051504B2 (ja) 画像表示体、個人認証媒体及びブランク媒体
JP5569106B2 (ja) 画像表示媒体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13091203A (ja) 画像形成体、個人認証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71306A (ja) 画像形成体および個人認証媒体
JP6136176B2 (ja) 接着転写リボンを用いた個人認証媒体
JP2012208438A (ja) 転写箔、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CN112912254A (zh) 光学显示体、页对、制品、印刷制品、护照、卡、纸币、标签、标牌及票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