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399B1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 Google Patents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399B1
KR101859399B1 KR1020170020510A KR20170020510A KR101859399B1 KR 101859399 B1 KR101859399 B1 KR 101859399B1 KR 1020170020510 A KR1020170020510 A KR 1020170020510A KR 20170020510 A KR20170020510 A KR 20170020510A KR 101859399 B1 KR101859399 B1 KR 10185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afe area
wearer
informa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천순
신주필
윤범식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2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3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body,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which can measure vital signals of elderly and weak people lack of cognitive ability such as a dementia symptom and when a wearer goes out of a safe area, inform a third party to easily recognize and help the wearer. Th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part of a body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safe area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 GPS device for sensing a position;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relay facilit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deviation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deviates from a safe area. According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hird party is informed to immediately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and help a person wear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goes out of a safe area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wearer, there is an effect of immediately protecting a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elderly people lacking cognitive ability.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0001]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비상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at display emergency information when a wearer moves out of the safe range.

행정자치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 12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3.5%까지 치솟았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지 17년 만에 14%가 기준인 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셈이다. 오는 2050 년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40% 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According to the latest figure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of the end of December 2016,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ver has soared to 13.5 percent. In 17 years since entering the aging society in 2000, 14% of the population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In 2050,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expected to reach 40% of the total population. Rapid aging of this population is occurr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many countries such as Japan, USA, UK, France, Italy and Germany.

특히,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함께 저출산, 핵가족을 넘어 1인 가족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실버 산업 중에서도 노인층의 건강 관리 및 요양을 위한 시설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양 시설의 수나 요양 시설에서 노인층을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장비나 기술, 인력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층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요양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고령화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필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Especially, the demand for facilities for health care and nursing care of elderly people among the silver industry has in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one family has rapidly increased beyond the low birth rate and the nuclear family alo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nursing homes and nursing homes There are a lot of equipment, skills, and manpower available to protect and support older people. Given this situa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nursing care system that can monitor and manage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s, and the need for such nursing care systems will increase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s.

등록특허공보 제 10-1654609 호(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는 대상자의 움직임이나 온도를 감지하거나 주변의 소리나 이산화탄소 등을 스마트 모니터링 장치가 감지하고 해당 대상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를 통해 관리자단말기나 담당자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체계적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요양 시설을 건축할 때부터 관련 장비나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종류의 센서와 통신 기기 등을 함께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존에 건립된 요양시설이나 일반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쉽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54609 (a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s with mobility impairmen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detects a subject's movement or temperature, detects a surrounding sound or carbon dioxide, Discloses a system for judging a state of a corresponding subject and systematically delivering it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or a contact person terminal through a remote monitoring server in real time. Since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requires not only the related equipment or system from the time of building the nursing facility but also needs various kinds of sensors and communication devices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03568 호(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는 착용자의 상반신 피부에 밀착되는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에 의해 생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관리용 서버에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의 착용자가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354625 호(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는 착용자의 체온과 운동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착용자의 위급상황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생체 특징 인식 기반 웨어러블 사용자 인증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인식 기술,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 및 IoT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융합기술로서 다른 산업 분야로의 파급 효과 및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은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노인층)가 요양 시설과 같은 보호시설 내에서 안전하게 거주하며 요양이나 치료를 받는 과정에는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지만, 요양시설 등에서 거주하는 노인층이 주로 겪게 되는 인지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3568 (wearable sensing device and bio-signal data monitoring / emergency state detec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sensing device) transmits a bio-signal and position information by a wearable sensing devi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skin of a wearer, Discloses a method for monitoring bio-signal data in a server and easily detecting a wearer of the wearable sensing device when the user is in an emergency.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354625 (remote pro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discloses a wearable user authentication device based on biometric feature recognition that periodically measures a body temperature and an exercise amount of a wearer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of a wearer to a remote user have. This wearable device can be considered as a fusion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ilver industry for elderly peopl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biometrics technology, wearable computing technology and IoT technology, and has a high impact on other industries and high added value . However, such a conventional wearable device technolog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process of receiving a device or a user who is wearing a device (senior citizen) safely in a care facility such as a nursing facility and receiving treatment or treatment, but the elderly living in a nursing facility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risks that may be caused by cognitive impairment that is mainly experienced.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층이나 인지 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를 포함하여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혈압이나 심박수 등의 생체(vital) 신호를 체크하여 위험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호 시설이나 보호자의 관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스스로 비상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당사자가 아닌 주위에 있는 제3자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 cognitive disabilities or infants whose cognitive abilities have not been developed, it is also important to monitor vital signs such a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risk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pproach to notify the third parties around the parties,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informed and assisted.

등록특허공보 제 10-1654609 호 (2016.08.31)Patent Registration No. 10-1654609 (Aug. 31, 2016)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03568 호 (2015.09.11)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103568 (2015.09.11) 등록특허공보 제 10-1354625 호 (2014.01.16)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354625 (Jan. 16,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를 대상으로 평상시에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비상시에는 주변의 제3자가 바로 비상 상황을 인식하고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vital sign of an elderly person with insufficient cognitive ability, And to provid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at can help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탈 감지부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비상 정보를 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safety zone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emergency information when the departure detec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facility information of a wearer of the electronic apparatus.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착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및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ame, age, sex, and symptoms of the wearer.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GPS 장치가 감지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PS device for sensing a position, the safe area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cts, based on a position sensed by the GPS devic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 is deviated from the safety zone.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The safe area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having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facility in which the wearer resides and the facility.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relay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는 제1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무선 중계 시설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rein the safety zo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coverage of a first wireless relaying facility to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less relaying facility,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무선 중계 시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may be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resides.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parture detec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dio relay facility.

상기 무선 중계 시설은 기지국,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The radio relay facility may be a base station, a repeater, or a gateway.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중계 시설과 LoRa 또는 NB-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radio relay facility through a LoRa or NB-IoT network.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 및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GPS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PS unit for sensing a posi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relay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through the GPS device when it is judged that the first area i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신호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o-sign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bio-signals of the wearer.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심박,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unit may measure at least one of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walking step count, body temperature, electrocardiogram, and blood pressure.

상기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 액정표시장치 또는 전자 잉크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electronic ink device.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이탈 감지부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and the alarm unit may generate an alarm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to leave the safe area.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oring safety area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in the memory;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And display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information has been detached.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s of measuring a bio-signal of the wearer and display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io-signal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가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주변의 제3자가 바로 비상 상황을 인식하고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착용자를 즉각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goes out of the safe area based on the wearer's wearer's position information, the surrounding third person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nd provide help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wearer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a senior citizen who lacks cognitive 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diagrams showing a use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o 7 ar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as long as the phrases do not expressly express the opposite meaning thereto.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 / or component is specified, and that other specific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 / And the like.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further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evant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very formal meanings unless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 형태의 장치로 제공된다. 웨어러블 밴드 형태의 전자 장치는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트랩(104)을 포함한다. 스트랩(104)이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면서 체결되면, 본체부(102)의 배면이 착용자의 손목 일부의 피부에 대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본체부(102)에는 후술할 각종 부품이 탑재되게 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wearable band typ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wrist. The wearable band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dy portion 102 and a strap 104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2 and configured to wrap the wearer's wrist. When the strap 104 is fastened while wrapping around the wearer's wrist,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2 is positioned to face the skin of a part of the wearer's wrist. Various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2.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웨어러블 밴드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손목 이외에 필요에 따라 머리나 발목 등에 착용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치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형태 및 착용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wearable band form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may be worn on a head or an ankle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wris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atch shap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specific form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of wearing the electronic devic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는 관리가 필요한 노약자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착용자는 인지 장애를 가지는 노약자나 인지 능력이 부족한 영유아 및 어린이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착용자는 관리를 위해서 병원, 요양병원 및 요양원 등이 수용된 환자 및 학교,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수용된 영유아 및 어린이가 될 수 있다.The wear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senior citizen or the like who needs to be managed. Specifically,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lderly person having a cognitive disorder, infants and children lacking cognitive 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patient accommodated in hospitals, nursing homes, nursing homes, etc. for management, and infants and children accommodated in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표시부(120), 이탈 감지부(130), 생체 신호 측정부(140), GPS 장치(150), 통신부(160), 알람부(17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110, a display unit 120, a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a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a GPS device 150, a communication unit 160 , An alarm unit 170, and a battery 180. [

메모리(11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0)에는 안전 영역 정보, 비상 정보 및 그 밖에 전자 장치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10)가 저장하는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memory 110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memory 110 may store safety zone information, emergency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evice. The safe area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메모리(11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메인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는 표시부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110)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The memory 110 generally stores data using an auxiliary memory such as a main memory or a flash memory in the form of a storage medium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a ROM (Read Only Memory), and an electric, magnetic, optical or other storage medium And the like. Further, the main memory may include a display unit memory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emory 110 may have various forms as a product having various storage performances.

표시부(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120)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페이퍼(e-paper)와 같이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표시부(120)는 스피커와 같은 변환기(transducer)도 포함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display device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characters or image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electronic paper . In some cases, the display unit 120 may also include a transducer such as a speaker.

특히, 표시부(120)를 전자 페이퍼로 구성할 경우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표시부(120)를 곡면으로 형성하기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 페이퍼는 전자 잉크(e-ink)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전자 잉크는 입자의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해서 만든 잉크로서, 둥근 모양의 소형 캡슐 수백만 개로 구성된다. 소형 캡슐은 투명한 외피 속에 푸른 염료와 소형의 칩이 들어 있으며 두 겹의 전도체 사이에 위치한다. 투명한 전도체 사이에 있는 소형 캡슐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기 신호를 받으면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formed of electronic paper, power consumpt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form the display unit 120 with a curved surface. The electronic paper is realized by an electronic ink (e-ink), which is an ink made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a particle, and is made up of millions of round small capsules. The small capsule contains a blue dye and a small chip in a transparent sheath and is placed between two layers of conductors. A small capsule between the transparent conductors will display the information while receiving positive and negative electrical signals.

이탈 감지부(13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탈 감지부(130)가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탈 감지부(130)가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표시부(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던 비상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The determination by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emerg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

생체 신호 측정부(140)는 착용자의 생체 신호(vital sign)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40)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심박수,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및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40)는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형 센서일 수도 있지만, 필요할 때마다 탈착이 가능한 탈착식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탈 감지부(130)와 생체 신호 측정부(140)는 하나의 기판 또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can measure the vital sign of the wearer.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may measure, for example, the wearer's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the number of walking steps, body temperature, electrocardiography, and blood pressure.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bio-signal according to a bio-signal to be measured. The sensor may be a stationary sensor mounted with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but may also use a removable sensor that is removable whenever necessary. The deviation detecting unit 130 and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substrate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GPS 장치(150)는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 장치로, 위성을 이용하여 GPS 장치(150)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GPS 장치(150)는 현재의 위치를 구체적인 좌표로 감지할 수 있다. GPS 장치(150)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GPS device 150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 and can sense the location of the GPS device 150 using the satellite. The GPS device 150 can sense the current position as a specific coordinate. By using the GPS device 150,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sped relatively accurately.

통신부(160)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통신부(16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생체 신호 측정부(140)가 측정한 데이터를 환자 관리 서버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60 can transmit various data processed b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other device or receive data from another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transmit data measured by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to the patient management server 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통신부(16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Bluetooth)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Bluetooth, NFC ZigBee, Magnetic Static Transmission (MST), Beacon, or WiFi.

또한, 통신부(160)는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로라(LoRa) 또는 NB-IoT(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기술은 대기 전력이 적고 모듈 가격이 저렴하여 스마트 시티와 옥외 등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기존 스마트 기기의 연결 환경과는 다르게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가 없이도 단말기에 칩을 내장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로라(LoRa) 기술은 통신 거리가 넓고(가시거리가 확보된 환경에서 최대 21Km), 전력 소모가 적기 때문에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수 년간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많은 AP(Access Point)와 리피터(Repeater)가 필요 없어서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use LoRa or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NB-IoT), which is a large-scale low-power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large-scale low-power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dvantages such as low standby power and low module price, so that it can be used efficiently in smart city and outdoor. In particular, unlike existing smart devices that require a high-speed, broadband network, a chip can be embedded in a terminal without a separate base station or relay device, enabling small-sized data to be exchanged at low power. In addition, LoRa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battery life of the terminal for several years because of its wide communication distance (maximum 21Km in the visible range)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it has many AP (Access Poi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frastructure cost can be lowered because no repeater is needed.

알람부(170)는 알람을 발생시켜 착용자 또는 착용자 주변의 제3자에게 알람 상황을 인지하게 하는 장치이다. 알람부(17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발광부, 표시부의 백라이트 장치 또는 진동발생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알람부(170)는 소리, 빛 또는 진동 등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larm unit 170 is an apparatus that generates an alarm and makes a wearer or a third person around the wearer perceive an alarm situation. The alarm unit 170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a light emitting unit, a backlight unit of the display unit, a vibration generating unit, or the like. The alarm unit 170 may generate an alarm by sound, light, or vibration.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메모리(110), 표시부(120), 이탈 감지부(130), 생체 신호 측정부(140), GPS 장치(150), 통신부(160) 및 알람부(170) 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80)는 상술한 전자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8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emory 110, the display unit 120,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the bio-signal measurement unit 140, the GPS device 150,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battery 180 capable of operating the alarm unit 170 and the like. The battery 180 supplies power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mponent. The battery 18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G. 3 and FIG. 4 show the use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and 4, it is sensed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viated from the safe region S1, and the result is how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이탈 감지부(130)에서 안전 영역(S1)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안전 영역(S1)이란 착용자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안전 영역(S1)은 기본적으로 물리적인 특정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영역(S1)은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수용된 요양병원 및 그 주변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영역(S1)에 관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안전 영역(S1)에 관한 정보는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적절한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has departed from the safe region S1. Here, the safe area S1 means an area where the wearer can safely operate. The safe area S1 can basically be set as a physical specific space. Specifically, the safe area S1 may be a space in which the us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and a spa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acility. For example, if the wearer is a patient accommodated in a nursing hospital, the safety zone S1 may be a hospital accommodated and its surrounding space. Information about the safe area S1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zone S1 can be changed by the wearer or the caregiver or administrator of the wearer to an appropriate range.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이탈 감지부(130)에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비상 정보를 표시한다.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및 착용자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비상 정보는 수용된 요양 병원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담당 간호사 또는 간병인의 연락처 및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emergency information when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ut of the safe range S1.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facility information residing by the wearer. Specifically, 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ame, location, telephone number, other contact information of the facility where the wearer resides, and the manager of the wearer. For example, if the wearer is a patient accommodated in a nursing home, 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location, phone number, other contact, the contact of the nurse or caregiver in charge, and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caregiver.

또한, 비상 정보는 착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정보는 착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및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증상 및 이에 따라 유의해야할 사항 등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earer. Specifically, 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ame, age, sex, and symptoms of the wearer. More specifically, the symptoms of the wearer and the matter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ay be includ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착용자가 안전 영역(S1)을 벗어나게 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표시부(120)에는 비상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표시된 비상 정보는 착용자에게 상황을 알리기 보다는 주변에 있는 제3자가 이를 쉽게 인식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이고 착용자가 병원을 무단으로 이탈하여 배회할 경우, 착용자를 발견한 제3자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표시부(120)에 표시된 비상 정보를 통해서 착용자가 수용된 요양 병원 등에 인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ear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ut of the safe range S1, the display unit 12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emergency information. The displayed emergency information may function to guide the wearer of the situation so that a third party in the vicinity can easily recognize it and take action. For example, when a wearer is a patient accommodated in a nursing hospital and the wearer wanders away from the hospital by unauthorized departure, a third party who finds the wearer can use the emergenc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handed over to a hospital where the wearer is accommodated.

도 4를 참조하면, 알람부(170)는 이탈 감지부(130)에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상기 안전 영역(S1)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부(170)의 알람에 의해서 착용자의 주변에 있는 제3자가 착용자가 본 발명의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고, 표시부(120)에 비상 정보가 표시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는 알람부(170)가 발광부이고, 표시부(130)에 비상 정보가 표시됨과 함께 발광부가 발광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larm unit 170 may generate an alarm when the wear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eave the safe area S1. A third party in the vicinity of the wear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earer wears the electronic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by the alarm of the alarm unit 170. [ FIG. 4 shows that the alarm unit 170 is a light emitting unit,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탈 감지부(130)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 S2)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5 to 7 illustrate a use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various embodiment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parted from the safe zones S1 and S2 i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150)를 이용하여 안전 영역(S1, S2)의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 GPS 장치(150)는 현재의 위치를 구체적인 좌표로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fe areas S1 and S2 are separated using the GPS device 150 that senses a position. The GPS device 150 can sense the current position as a specific coordinate.

이러한 경우, 안전 영역(S1, S2) 정보는 위치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 S2) 정보는 구체적인 좌표로 표시되는 공간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 S2)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일 수 있는데, 시설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영역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안전 영역(S1, S2) 정보는 수용된 요양 병원 주변의 특정한 공간에 해당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fe area information S1 and S2 may b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Specifically, the safe area information (S1, S2) can be set as a range of a space expressed by specific coordinates.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area information S1 and S2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in which the wearer resides and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acility, and may be set in various types of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facility. It is possible. For example, if the wearer is a patient accommodated in a nursing hospital,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zones S1 and S2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around the accommodated hospital.

이탈 감지부(130)는 GPS 장치(150)가 감지한 위치 좌표와 메모리(110)에 저장된 안전 영역(S1, S2) 정보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may compare the position coordinates sensed by the GPS device 150 with the safety area information S1 and S2 stored in the memory 11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detached.

이탈 감지부(130)가 GPS 장치(150)에 의해 감지된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 영역(S1, S1)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 영역(S1, S2) 이탈 여부의 판단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s S1 and S1 are separated based on the position sensed by the GPS device 150,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relatively accurately grasp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s S1 and S2 are separated is accurate.

또한, GPS 장치(1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 영역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을 위치 좌표의 범위로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안전 영역(S1)과 같이, 안전 영역을 기준점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안전 영역(S2)과 같이 기준점에서 일 방향으로는 좁게 설정하고, 타 방향으로는 넓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GPS device 150 is used, the safety zone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Specifically, the safe area can be specifically set as a range of position coordinates.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the safety area S1 shown in Fig. 5, the safety area can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ertain radius from the reference point. Also, as in the safety zone S2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set narrow in one direction and wider in the other direction at the reference point.

그러나 GPS 장치(150)를 이용할 경우, GPS 장치(150)가 소모하는 전력으로 인해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체적인 소비 전력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GPS 장치(150)를 탑재해야 하므로, 전자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GPS device 150 is used, the power consumed by the GPS device 150 increases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requires the GPS device 150 to be moun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increas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60)를 포함하고, 이탈 감지부(130)는 통신부(160)의 연결 여부를 통해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무선 중계 시설(200a, 200b)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6,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60.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fe area S1 is released through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60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relay facilities 200a and 200b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도 6을 참조하는 방법에 의해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할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GPS 장치(150)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도 있다.6,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does not include the GPS device 150. In this case,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reduced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miniaturized.

이러한 경우, 안전 영역(S1) 정보는 통신부(160)가 연결되는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은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무선 중계 시설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fety zone S1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coverage of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to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Here,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may be a radio relay facility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the wearer resides.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는 설정하고자 하는 안전 영역(S1)과 최대한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신부(160)의 무선 중계 시설 별 연결 조건 및 제1, 제2 무선 중계 시설(200a, 200b)의 출력 파워 등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제1, 제2 무선 중계 시설(200a, 200b) 및 제1, 제2 무선 중계 시설의 제어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설정하려는 안전 영역(S1)에 들어와 있는 경우 통신부(16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과 연결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설정된 안전 영역(S1)에서 벗어나는 경우 통신부(16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과 연결이 해제되고 제2 무선 중계 시설(200b)과 연결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 coverage of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can be set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afety zone S1 to be set.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on conditions of the radio relay facility of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output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radio relay facilities 200a and 200b can be adjusted.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first and second radio relay devices 200a and 200b, and the first and second radio relay devices controls the safety zone S1 to be set b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out of the set safety zone S1, And can be adjust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adio relay facility 200b.

이를 위해서, 전자 장치(10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다면, 통신부(16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과 연결되는 것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의 바깥 부분은 제2 무선 중계 시설(200b)의 커버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The outer portion of the coverage of the first wireless relay facility 200a is preferably the coverage of the second wireless relay facility 200b.

따라서, 이탈 감지부(130)는 통신부(16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과 연결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 안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탈 감지부(130)는 통신부(160)가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과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제2 무선 중계 시설(200b)과 연결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상기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the safe area S1.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or connected to the second radio relay facility 200b, the detachment detecting unit 130 detect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the safe area S1 ) Of the user.

이와 같이 GPS 장치(150)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통신부(160)의 무선 중계 시설 연결 상태에 따라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전력 소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GPS 장치(150)가 위치를 감지하기 어려운 실내 공간 또는 지하 공간에서도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를 설정하고자 하는 안전 영역(S1)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라 제1 무선 중계 시설(200a)의 커버리지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형적인 형태가 아닌 특수한 형태로 안전 영역을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this way, it is advantageous in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latively reduc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GPS unit 150 is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adio relay facility of the communication unit 160 without using the GPS unit 150 separately. In addition, the GPS device 150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a departure from an indoor space or an underground spac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nse a location.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erfectly match the safety zone S1 in which the coverage of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is set. Also, the coverage of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200a may be unintentionally chang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orm a safe area in a specific form other than a regular form.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GPS 장치(150)와 통신부(160)를 모두 포함하고, 이탈 감지부(130)는 GPS 장치(150)와 통신부(160) 모두를 이용하여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both the GPS device 1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cts both the GPS device 1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0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afe area is deviated.

구체적으로, 이탈 감지부(130)는 통신부(160)를 먼저 이용하여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를 1 차로 판단한다. 1 차로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가 확인되기 전까지는 GPS 장치(150)를 끄거나 최소의 전력만을 소비하는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1 차로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가 확인되면, GPS 장치(150)를 활성화시켜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를 2차로 확인한다. 1차 및 2차 안전 영역 이탈 여부가 확인되면, 이탈 감지부(1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Specifically,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firstly determines whether the safe area S1 is deviat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60 first. The GPS device 150 can be turned off or can be kept in a standby state consuming only a minimum amount of power until it is first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 S1 is detach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afety zone S1 is deviated first, the GPS device 150 is activat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 S1 is deviated from the second z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mary and secondary safety zones are separated,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viated from the safety zone S1.

이러한 경우, GPS 장치(150)를 항상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어 전력 소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1차로 안전 영역 이탈 여부가 확인된 이후에는 GPS 장치(15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좌표로 확인하여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므로, 판단의 정확성도 높일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GPS device 150 may not always be activated, and power consumption may be efficiently controlled. Further, after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first safe area is deviated, the GPS device 150 can be used to check the precis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coordinates to determine whether the safe area is deviated or not.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contents as the descrip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r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비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oring safety area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S100), determining whether the safe area is detached (S200), and displaying emergency information (S300 ).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을 위한 전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step S100 of storing the safe area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 step of storing the safe area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information in the memory 11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 The caregiver or administrator of the wearer or wearer may store safety zone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in the memory 11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At this time, a dedicated terminal for storing may be used. Safety zone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can be changed as needed.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메모리(110)에 저장된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GPS 장치(150)가 감지한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통신부(160)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된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및 통신부(160)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된 상태를 기반으로 1차로 판단하고 GPS 장치(150)가 감지한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갈음한다.Step S20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afe area is removed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stored in the memory 110. [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safe area has departed may include a method of determining based on a position sensed by the GPS device 150, a method of determining based on a state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connected to a wireless relay facility, A method of firstly determining based on the state connected to the facility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sensed by the GPS device 150 may be used.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methods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비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비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및 착용자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300 of display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 step of display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Here, the emergenc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ame, location, telephone number, other contact information of the facility where the wearer resides, and the manager of the wearer.

경우에 따라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했다고 판단하기 전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80)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90)가 수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생체 신호 측정부(140)를 포함하고, 생체 신호 측정부(140)는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통신부(160)를 통해 환자 관리 서버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In some cases, step S80 of measuring the biological signal and step S90 of displaying the measurement result may be performed befo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and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140 can measure a bio-signal of the wearer.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io-signal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In addition, the measured biometric signal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patient management server o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2: 본체부
104: 스트랩 110: 메모리
120: 표시부 130: 이탈 감지부
140: 생체신호 측정부 150: GPS 장치
160: 통신부 170: 알람부
180: 배터리 200a, 200b: 무선 중계 시설
100: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2:
104: Strap 110: Memory
120: display unit 130:
140: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unit 150: GPS device
160: communication unit 170: alarm unit
180: Battery 200a, 200b: Wireless relay facility

Claims (20)

신체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이탈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탈 감지부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제3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GPS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며,
상기 GPS 장치는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기 전에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꺼져 있거나 대기 상태에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body,
A memory for storing safety zone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 GPS device for sensing a location;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relay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departure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emergency information so that when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Wherei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primarily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afe area is to depart from the safe area as a result of the primary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departed from the safe zone,
Wherein the GPS device is off or in a standby state so a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afe area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afe area as a result of the primary determ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information residing in a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착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및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mergency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name, age, sex, and symptoms of the wear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 area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in which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resides and having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s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relay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는 제1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무선 중계 시설과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afety zo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coverage of a first radio relay facility to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Wherei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중계 시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radio relay facility is installed in a facility where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resi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감지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2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dio relay facilit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 시설은 기지국,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reless relaying facility is a base station, a repeater, or a gate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중계 시설과 LoRa 또는 NB-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radio relay facility through a LoRa or NB-IoT network.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신호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ving body sign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living body signal of the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심박,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measures at least one of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number of walking steps, body temperature, electrocardiogram, and blood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 액정표시장치 또는 전자 잉크 소자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electronic ink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이탈 감지부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larm section,
Wherein the alarm uni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should leave the safe area.
착용 가능하며, 메모리, 표시부, GPS 장치, 및 통신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GPS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GPS 장치는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할 것으로 판단되기 전에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꺼져 있거나 대기 상태에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emory, a display unit, a GPS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Storing safety zone information and emergency information in the memory;
Determining primarily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f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to depart from the safe area as a result of the primary determin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through the GPS device; And
And display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third device can recognize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electronic device has departed from the safe area,
Wherein the GPS device is turned off or in a standby state so a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afe area is to be departed as a result of the primary determina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mergency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information of a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정보는 상기 착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및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emergenc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ame, age, sex, and symptoms of the wear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Measuring a bio-signal of a weare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nd display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iological signal on the display unit.
KR1020170020510A 2017-02-15 2017-02-15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101859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10A KR101859399B1 (en) 2017-02-15 2017-02-15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510A KR101859399B1 (en) 2017-02-15 2017-02-15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399B1 true KR101859399B1 (en) 2018-05-18

Family

ID=6245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510A KR101859399B1 (en) 2017-02-15 2017-02-15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3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2005A (en) * 2019-03-15 2019-07-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Message informing metho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977921B2 (en) 2018-11-27 2021-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analysis of biosensor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81B1 (en) *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Electrical Equipment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81B1 (en) *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Electrical Equipment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7921B2 (en) 2018-11-27 2021-04-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analysis of biosensor data
CN110072005A (en) * 2019-03-15 2019-07-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Message informing metho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48506B2 (en) A medical monitoring system
EP3047468B1 (en) Assist device and system
US7652569B2 (en)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US9069333B1 (en) Personal alarm watch
KR102551573B1 (en) pandemic wrist band
CN102068261A (en) Safety monitor
GB2505981A (en) Tracking arrangement comprising wearable transmitter and locator units
KR101920537B1 (en) smart band system for detecting emergency patients emergency pati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2019003524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85939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2017011435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asliwal et al. Smart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KR101896978B1 (en) Pat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afety of nursing patient based on location determination
US2021034587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al-time public communication of health information
CN213664016U (en) Medical child bracelet and medical intelligent system
CN216315850U (en) Miniature intelligent chin rest device, head-mounted equipment and detection system thereof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TWI591589B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equipment and escape reminding system
KR101898058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CN214340538U (en) Operating personnel monitoring bracelet
CN212816589U (en) Medical wristband and medical wristband system
US20220398914A1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Tracking and Sharing Vital Signs and Location of User
KR20220069575A (en) Senior care unit and senior care system
CN209951421U (en) Anti-lost wrist strap
TWM505942U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apparatus and escape remi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