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028B1 -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28B1
KR101859028B1 KR1020110140915A KR20110140915A KR101859028B1 KR 101859028 B1 KR101859028 B1 KR 101859028B1 KR 1020110140915 A KR1020110140915 A KR 1020110140915A KR 20110140915 A KR20110140915 A KR 20110140915A KR 101859028 B1 KR101859028 B1 KR 10185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fitting
contact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3134A (en
Inventor
야스유키 오하시
신리 미사와
진이치 마시야마
마사요시 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8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는 쉘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목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서, 감합구(5)가 ロ자 형상의 제 1 쉘(16)과 감합구(5)가 コ자 형상의 제 2 쉘(18)을 구비하고, 제 1 쉘(16)에 필요한 수의 제 2 쉘(18)을 연결되게 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16, 18)의 연결 구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capable of coping with a deman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lines even when the substrate occupied area is small and can simultaneously cope with the sharing of components and the facility cos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such as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The first shell 16 and the fitting hole 5 have a U-shaped second shell 18 so that the required number of the second shells 18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16, And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hells (16, 18)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characterized by forming a shell having a fitting hole (5).

Description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쉘, 이 쉘을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and a shell formed by the connecting structure, and a connector having the shell and a shell having the shell. [0002]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본 발명은 통신 기기나 상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쉘(shell)이나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l or a connector used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a device, or an electronic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금속제의 복수의 컨택과, 이 컨택이 배열ㆍ유지되는 절연물인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를 가리는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쉘에는 접속 대상물(상대 커넥터나 기판이나 광 트랜시버나 모듈이나 카드 등)이 들어가는 감합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택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고정부와, 기판에 납땜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복수 배치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A connector generally has a connector body having at least a plurality of contacts made of metal and a housing as an insulator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and held, and a shell for covering the connector body. The shell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into which a connection object (a mating connector, a board, an optical transceiver, a module, a card, or the like) is inserted. The contact has a contact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object, a fixing portion to be held by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ortion to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There is a demand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such connectors.

복수 배치된 특허 문헌으로서, 특허 문헌 1(US 7,357,673 B2)이나 특허 문헌 2(US 7,445,554 B2)와 특허 문헌 3(US 6,558,191 B2)을 나타낸다.Patent Documents 1 (US 7,357,673 B2), Patent Document 2 (US 7,445,55 B2) and Patent Document 3 (US 6,558,191 B2) disclose a plurality of patent documents arranged in plural.

최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커넥터를 복수 배치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와, 가능한 한 기판 점유 면적도 줄이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강해져 가고 있다.In recent years,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a desire to place a plurality of identical connectors and to reduce the board occupation area as much as possible.

특허 문헌 3과 같이, 1개의 커넥터를 복수 늘어놓은 것만으로는, 쉘의 판 두께 분량만큼 커져서, 기판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없다.As in Patent Document 3, it i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substrate occupied are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hells by only one shell of a single connector.

또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와 같이, 복수의 쉘을 연결시켜서 사용하는 경우, 연결 갯수에 따른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생기고, 설비 비용이 방대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을 시에도,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와 같은 구조에서는, 곧바로 대응할 수가 없었다.In addition, as in Patent Documents 1 and 2, when a plurality of shells are us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nnections, resulting in a large facility cost. In addition, even when there is a demand from the customer to increase the number of lines by one, it was impossible to immediately cope with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or Patent Document 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어서,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는 쉘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ell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a demand for small increase in the substrate occupation area, .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서, 상기 감합구가 ロ자 형상의 제 1 쉘과, 상기 감합구가 コ자 형상의 제 2 쉘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쉘에 필요한 수의 상기 제 2 쉘을 연결되게 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such as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shell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and a necessary number of the second shel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thereby forming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portions. Can be achieved by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 fitting hole.

청구항 2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 2 쉘에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쉘 및 상기 제 2 쉘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계합부와 상기 걸림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structure for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wherein an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hell and a latch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Wherein the engagemen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at least two fitting portions of the shell.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계합부로서 개구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에 걸림 구멍을 설치하고,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structure for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wherein the fi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opening direction,

상기 걸림부로서 돌기 및 단자부를 형성하고,A protrusion and a terminal portion are formed as the engaging portion,

상기 돌출편의 걸림 구멍과 상기 돌기 및 상기 단자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있다.An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protrud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and the terminal por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portions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provided.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의 소정 개소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described in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are fixed by wel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Wherein the shell has at least two fitting portio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청구항 5에 기재된 쉘은,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에 있다.The shell according to claim 5 is in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using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4.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넥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쉘과, 이 쉘 내에 복수의 컨택이 하우징에 유지ㆍ배열된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is the connector having the shell according to claim 5 and a connector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held and arranged in the housing.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만들어진 쉘, 이 셀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form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connector including the shell,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can be obtained.

(1) 청구항 1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서, 상기 감합구가 ロ자 형상인 제 1 쉘과 상기 감합구가 コ자 형상인 제 2 쉘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쉘에 필요한 수의 상기 제 2 쉘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1) In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such as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s set forth in claim 1, the fitting of the first shell having a rosette- And a second shell having a U-shape in its sphere so that a necessary number of the second shel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thereby forming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The space occupied by the substrate is small and the deman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lines can be coped with immediately, while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suppressed.

(2) 청구항 2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 2 쉘에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쉘 및 상기 제 2 쉘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계합부와 상기 걸림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2) The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s set forth in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ngaging sec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hell and a latching sec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hell occupying area of the shell is small and the demand to increase one line can be immediately addressed. On the other hand,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suppressed.

(3) 청구항 3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계합부로서 개구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에 걸림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로서 돌기 및 단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의 걸림 구멍과 상기 돌기 및 상기 단자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며,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3)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structure for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wherein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opening direction is provided as the engaging portion and a locking hole is provided in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projections and the terminal port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jections and the terminal port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jections and the terminal port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area occupied by the substrate is small and the deman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lines can be immediately addressed while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reduced.

(4) 청구항 4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는,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의 소정 개소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며,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고,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4)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described in claim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are fixed by wel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And a shell structure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imple structure, reliable connection, small area occupied by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request immediately, and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suppressed.

(5) 청구항 5에 기재된 쉘은,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로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며, 확실히 연결할 수 있고,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5) The shell according to claim 5 is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us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refore has a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connect the substrate, occupy a small area of the substrate, and cope with a dem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lines, while also sharing the parts and reducing the equipment cost.

(6)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넥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쉘과, 이 쉘 내에 복수의 컨택이 하우징에 유지ㆍ배열된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는 커넥터로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며, 확실히 연결할 수 있고, 기판 점유 면적도 작고, 1줄을 늘리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도 곧바로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부품도 공유화할 수 있고, 설비 비용도 억제할 수가 있다.(6)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wherein the connector has a connector body including a shell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held and arranged in the housing, The occupied area is small and the demand to increase one line can be immediately responded while the parts can be shared and the equipment cost can be suppressed.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이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를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ロ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ロ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C)는 コ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D)는 コ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E)는 최종단의 コ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F)는 최종단의 コ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커넥터 본체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커넥터 본체를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C)는 커넥터 본체를 어느 컨택 부분에서 면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 1 컨택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제 2 컨택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하우징을 감합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하우징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의 (C)는 어느 컨택 삽입 구멍 부분에서 면을 자른 단면도이다.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ed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1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ed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FIG. 1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where the connected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ar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ell and the connecto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or body as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Fig.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where the connected shell and the connecto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boar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sette shell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sette shell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Fig. 3C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haped shell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3 (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haped shell as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Fig. 3 (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U-shaped shell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3 (F)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al-stage U-shaped shell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body as seen from the fitting direction.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main body as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4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main body taken at a contact portion.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tact.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s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insertion hole portion taken along a plane.

본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서, 상기 감합구(5)가 ロ자 형상의 제 1 쉘(16)과 상기 감합구(5)가 コ자 형상의 제 2 쉘(18)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쉘(16)에 필요한 수의 상기 제 2 쉘(18)을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5)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in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such as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5) has a first shell (16) having a rosette shape and the fitting hole (5) has a second shell (18) And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5) is formed by connecting the shells (18).

즉, ロ자 형상의 제 1 쉘(16)에, 공통의 コ자 형상의 제 2 쉘(18)을 필요한 수만큼 연결시킨 것이다.That is, the required number of second shells 18 in a common U-shape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16 in a rhomboidal shape.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이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를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연결된 쉘과 커넥터 본체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ロ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ロ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コ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D)는 コ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E)는 최종단의 コ자 형상의 쉘을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F)는 최종단의 コ자 형상의 쉘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커넥터 본체를 감합구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커넥터 본체를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커넥터 본체를 어느 컨택 부분에서 면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 1 컨택의 사시도이며, (B)는 제 2 컨택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하우징을 감합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하우징을 접속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어느 컨택 삽입 구멍 부분에서 면을 자른 단면도이다.On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ed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1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ed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ed shell and a connecto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ed shell and the connecto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nector shell and the connector body are mounted on the boar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tte shell viewed from a fitting direction,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tte shell viewed from a connecting direction, (E)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haped shell of the final stage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al stage Like shell in a connecting direc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body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body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FIG.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tact,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tact.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viewed from the connecting direction, and FIG.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적어도 2 종류의 컨택(제 1 컨택(14), 제 2 컨택(15))과 하우징(12)을 가지는 커넥터 본체(11)와 2 종류의 쉘(제 1 쉘(16), 제 2 쉘(18))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부위에 대해 설명한다.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body 11 having at least two types of contacts (first contact 14 and second contact 15) and a housing 12 and two types of shells 16, and a second shell 18). Each of the por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2종류의 제 1 쉘(16) 및 제 2 쉘(18)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쉘(16) 및 상기 제 2 쉘(18)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상기 제 1 쉘(16) 및 상기 제 2 쉘(18)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 청동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 1 쉘(16) 및 상기 제 2 쉘(18)은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쉘(16)은 단면이 대략 ロ자 형상의 통 모양을 하고, 상기 제 2 쉘(18)은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하고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쉘(16, 18)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wo kinds of first shell 16 and second shell 18 will be described.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are made of metal and are manufactured by a known press working. As the materials of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elasticity, conductivity, etc. are required, brass, beryllium copper, and phosphor bronze can be enumerated. 3,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tubular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rhombic cross section, (18) has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Hereinafter, the respective shells 16 and 18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쉘(16)은, 상면(20)과 2개의 측면(22, 22)과 저면(24)과 배면(26)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면(24)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11)를 후퇴하기(들어가기) 위하여 개구하고 있다. 상기 제 1 쉘(16)에는, 한쪽 측부에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는 감합구(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감합구(5)는 상면(20), 2개의 측면(22, 22)과 저면(24)으로 피복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감합구(5)의 크기ㆍ형상은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면 좋고, 접속 대상물의 크기ㆍ형상이나 상대물과의 클리어런스나 EMC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first shell 16 has a top surface 20 and two side surfaces 22 and 22 and a bottom surface 24 and a back surface 26.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24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11, To retract (enter). In the first shell 16, a fitting hole 5 into which a connection object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That is, the fitting hole 5 is formed by covering the top surface 20, the two side surfaces 22, 22 and the bottom surface 24,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fitting hole 5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connecting object is inserted, The size and shape of the object to be connected, the clear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EMC, and the like.

상기 제 1 쉘(16)에는, 상면(20)에서, 동시에, 한쪽의 측면(22) 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1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161)는 상기 제 2 쉘(18)의 계합부와 계합함으로써 고정이나 가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긴 방향의 양측으로 2개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돌기(1)의 크기나 형상은 고정이나 가고정할 수 있으면 좋고, 유지력이나 계합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At least one projection 16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0 and at the same time on one side surface 22 side of the first shell 16. The projections 161 are for fixing or temporarily fixing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second shell 18.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of engagement, two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 direc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jections 1 need only be fixed or adjustable, and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retention force, composition, strength and workability.

상기 제 1 쉘(16)에는,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162, 163)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부 중의 상기 제 2 쉘(18) 측의 몇 개는, 상기 제 2 쉘(18)의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계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합구(5) 측의 2개가 계합하는 단자부(162)이며, 다른 단자부(163)는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상기 단자부(162)는 상기 걸림 구멍(182)과 계합할 수 있고, 동시에, 기판(80)에 실장할 수 있으면 좋고, 형상이나 크기는 실장 강도나 유지력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 상기 단자부(163)는 기판(80)에 실장할 수 있으면 좋고, 형상이나 크기는 실장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first shell 1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162 and 163 for mounting on a substrate.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on the second shell 18 side are for engaging with the retaining holes 182 of the projecting pieces 181 of the second shell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terminal portions 162 on the side of the fitting tool 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terminal portion 163 is only for mounting on the board. The terminal portion 162 can be engaged with the retaining hole 182 and can be mounted on the board 80. The shape and size of the terminal portion 162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strength, holding force, workability, and the like. It is sufficient that the terminal portion 163 can be mounted on the substrate 80. The shape and size of the terminal portion 163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strength and workabilit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쉘(18) 측을 제외한 상기 제 1 쉘(16)의 감합구(5) 측의 전체 주변(외주)에는,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접촉편(28), 제 3 접촉편(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면(20)(기판 접속과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접촉편(28)의 사이에 절기 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접촉편(28)과 동일한 높이의 제 2 접촉편(3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저면(26)에는 상기 접촉편(28)의 사이에, 상대물과의 잠김을 위하여 제 4 접촉편(3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편(28)이나 상기 제 2 접촉편(30)이나 상기 제 3 접촉편(32)를 설치한 것은, EMC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쉘(18) 측을 제외한 측면(22)은, 모두 휨 가공에 의해 형성한 제 3 접촉편(32)으로 하였지만, 3개 있는 상기 제 3 접촉편(32)의 중앙을, 절기 가공에 의해 형성한 접촉편으로 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EMC 특성은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접촉편(28), 상기 제 2 접촉편(30), 상기 제 3 접촉편(32)의 형상ㆍ크기는 케이스에 접촉할 수 있으면 좋고, EMC 특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tact pieces 28, which are formed by bending, are formed on the entire periphery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ell 16 on the side of the fitting opening 5, excluding the second shell 18, A third contact piece 32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second contact piece (not show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contact piece 28 formed by seaming is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ieces 28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0 30 are installed. A fourth contact piece 3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6 between the contact pieces 28 so as to be locked with the counterpart. This is because the contact piece 28, the second contact piece 30 and the third contact piece 32 ar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EMC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surface 22 excluding the side of the second shell 18 is the third contact piece 32 formed by the bending process. However, the side surface 22 of the third contact piece 32 The center may be a contact piece formed by seasoning. By doing so, the EMC characteristic is further improved.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contact piece 28, the second contact piece 30 and the third contact piece 32 need only be in contact with the case and are suitab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EMC characteristics, strength, workability, do.

상기 제 2 쉘(18)은, 상면(20)과 측면(22)과 저면(24)과 배면(26)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저면(24)의 일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11)를 후퇴하기(들어가기) 위해 개구하고 있다. 상기 제 2 쉘(18)에는, 한쪽 측부에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는 감합구(5)(완전하게는, 또 다른 하나의 쉘을 계합하였을 때에 형성된다)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감합구(5)는 상면(28), 측면(22)과 저면(24)과 또 다른 하나의 쉘(제 1 쉘(16)이나 제 2 쉘(18))의 측면(22)에서 피복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감합구(5)의 크기ㆍ형상은,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면 좋고, 접속 대상물의 크기ㆍ형상이나 상대물과의 클리어런스나 EMC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second shell 18 has an upper surface 20 and a side surface 22 and a bottom surface 24 and a back surface 26.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24 is adapted to retract the connector body 11 ). The second shell 18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5 (completely formed when another shell is engaged) into which the connection object is inserted, on one side. In other words, the fitting 5 has an upper surface 28, a side surface 22 and a bottom surface 24, and a side surface 22 of another shell (the first shell 16 or the second shell 18)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fitting tool 5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nection object, the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mating object, EMC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상기 제 2 쉘(18)에는, 상면(20) 및 저면(24)에서, 이와 동시에, 개구하고 있는 측면 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계합부인 돌출편(18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181)에는, 걸림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은, 상기 제 1 쉘 혹은 상기 제 2 쉘(18)의 돌기(161, 185) 및 단자부(162, 183)와 계합함으로써 고정이나 가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상면(20) 측은 긴 방향의 양측에 2개 설치하고, 저면(24) 측은 강도를 고려하여 저면(24)의 거의 절반의 크기로, 그 중에 상기 걸림 구멍(182)을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돌출편(181) 및 상기 걸림 구멍(182)의 크기나 형상은, 고정이나 가고정할 수 있으면 좋고, 유지력이나 계합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second shell 18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jecting piece 181 which is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20 and the bottom surface 24 and at the same time on the open side. Further, a hooking hole 182 is provided in the projecting piece 181. The retaining hole 182 of the protruding piece 181 is for fixing or taut by engaging with the protrusions 161 and 185 and the terminal portions 162 and 183 of the first shell or the second shell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of engagement, two sides of the upper surface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24 is approximately half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24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Two hooking holes 182 are provided.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truded piece 181 and the retaining hole 182 are not limited so long as they can be fixed or fixed, and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retention force, composition, strength and workability.

상기 제 2 쉘(18)에는, 상면(20)에서, 이와 동시에, 측면(22) 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18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185)는 상기 제 2 쉘(18)의 계합부와 계합함으로써 고정이나 가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합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긴 방향의 양측으로 2개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돌기(185)의 크기나 형상은, 고정이나 가고정할 수 있으면 좋고, 유지력이나 계합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At least one protrusion 18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0 and on the side surface 22 at the same time in the second shell 18. The protrusions 185 are for fixing or temporarily fixing by engaging with the engagement portions of the second shell 18.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of engagement, two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 direc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projection 185 need only be fixed or adjustable, and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holding force, the composition, the strength, the workability, and the like.

상기 제 2 쉘(18)에는,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183, 184)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부 중에서 상기 제 2 쉘(18) 측의 몇 개는, 제 2 쉘(18)의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계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합구(5) 측의 2개가 계합하는 단자부(183)이며, 다른 단자부(184)는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상기 단자부(183)는 상기 걸림 구멍(182)과 계합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기판(80)에 실장할 수 있으면 좋고, 형상이나 크기는 실장 강도나 유지력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 상기 단자부(184)는, 기판(80)에 실장할 수 있으면 좋고, 형상이나 크기는 실장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second shell 1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183 and 184 for mounting on a substrate.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on the side of the second shell 18 are for engaging with the engagement hole 182 of the projecting piece 181 of the second shell 18. In this embodiment, two terminal portions 183 on the side of the fitting opening 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terminal portion 184 is only for mounting on the substrate. The terminal portion 183 can be engaged with the retaining hole 182 and simultaneously can be mounted on the substrate 80. The shape and size of the terminal portion 183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strength, . It is sufficient that the terminal portion 184 can be mounted on the substrate 80. The shape and size of the terminal portion 184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strength and workabilit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쉘(18)의 상면(20) 및 저면(24)에는,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접촉편(2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면(20)(기판 접속과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접촉편(28)의 사이에 절기 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접촉편(28)과 동일한 높이의 제 2 접촉편(3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저면(26)에는 상기 접촉편(28)의 사이에, 상대물과의 잠금을 위해 제 4 접촉편(3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편(28)이나 상기 제 2 접촉편(30)을 설치한 것은 EMC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접촉편(28), 상기 제 2 접촉편(30)의 형상ㆍ크기는 케이스에 접촉할 수 있으면 좋고, EMC 특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20 and the lower surface 24 of the second shell 18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ieces 28 formed by bending. In this embodiment, a second contact piece (not show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contact piece 28 formed by seaming is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ieces 28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0 30 are installed. A fourth contact piece 34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6 between the contact pieces 28 so as to be locked with the counterpart. The reason why the contact piece 28 and the second contact piece 30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EMC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tact piece 28 and the second contact piece 30 need only be in contact with the case, and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EMC characteristics, strength, workability,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쉘(16)의 반대 측의 최종단 측에 배치하는 상기 제 2 쉘(18)의 측면(22)에는, 다른 상기 제 2 쉘(18)의 접촉편(28)이나 제 2 쉘(30)이나 제 4 쉘(34)에 더하여, 휨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제 3 접촉편(3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접촉편(32)을 설치한 것은, EMC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휨 가공에 의해 형성한 제 3 접촉편(32)으로 하였지만, 3개 있는 상기 제 3 접촉편(32)의 중앙을, 상기 제 3 접촉편(32)과 동일한 높이의 절기 가공에 의해 형성한 접촉편으로 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EMC 특성은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제 3 접촉편(32)의 형상ㆍ크기는 케이스에 접촉할 수 있으면 좋고, EMC 특성이나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한다.The contact pieces 28 of the other second shell 18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22 of the second shell 18 disposed on the final e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hell 16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pieces 32 formed by bending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econd shell 30 and the fourth shell 34. [ The reason why the third contact piece 32 is provided in this way is that EMC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contact piece 32 is formed by bending. However, the center of the third contact piece 32 having three pieces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hird contact piece 32 It may be a contact piece formed by processing. By doing so, the EMC characteristic is further improved. The shape and size of the third contact piece 32 need only be in contact with the case, and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EMC characteristics, strength, workability,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 1 쉘(16)과, 상기 제 2 쉘(18)과의 연결 구조 및 2개의 상기 제 2 쉘(18)끼리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wo second shells 18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쉘(16)과 상기 제 2 쉘(18)과의 연결 구조는, 우선, 상기 제 2 쉘의 상면(20) 측으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상기 제 1 쉘(16)의 상면(20) 측에 설치된 돌기(161)를 계합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 2 쉘의 저면(24) 측으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상기 제 1 쉘(16)의 저면(24) 측에 설치된 1개의 단자부(163)를 계합(전기 단자부(163)를 걸림 구멍(182)에 넣는다)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1 쉘(16)과 상기 제 2 쉘(18)이 고정이나 가고정된다.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is such that the engagement hole 182 of the projecting piece 18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20 side of the second shell, The protrusion 16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rface 20 of the first shell 16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182 of the protrusion 181 projected from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24 of the second shell, One terminal portion 16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4 side of the one shell 16 is engaged (the electric terminal portion 163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182). By doing so,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are fixed or fixed.

2개의 상기 제 2 쉘(18)끼리의 연결 구조는, 우선, 상기 제 2 쉘의 상면(20) 측으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상기 제 2 쉘(18)의 상면(20) 측에 설치된 돌기(185)(상기 돌출편(181)의 반대측)를 계합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쉘의 저면(24) 측으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81)의 걸림 구멍(182)과 상기 제 2 쉘(18)의 저면(24) 측(상기 돌출편(181)의 반대측)에 설치된 1개의 단자부(183)를 계합(상기 단자부(183)를 걸림 구멍(182)에 넣는다)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2 쉘(18)끼리가 고정이나 가고정되게 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wo second shells 18 is such that the engagement hole 182 of the projecting piece 18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20 side of the second shell and the engagement hole 182 of the second shell 18 The projections 185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ing pieces 18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0 sid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ojections 181 proj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24 side of the second shell 182) and one terminal portion 18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24 of the second shell 18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ing piece 181) (the terminal portion 183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hole 182) ). In this way, the second shells 18 are fixed or fixed.

가고정의 경우의, 가고정된 상태의 2개의 쉘의 소정의 개소를,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2개의 쉘이란, 상기 제 1 쉘(16)과 상기 제 2 쉘(18)이나 상기 제 2 쉘(18, 18)끼리인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접하고 있는 개소는, 모든 상기 돌출편(181)의 전체 주변이어도 좋고, 모든 상기 돌출편(181)의 2개의 각부분이어도 좋고, 모든 상기 돌출편(181) 내의 임의의 개소(1개 이상)이어도 좋다. 용접에는, 레이저 용접이나 아크 용접이나 스폿 용접 등이 고려된다. 임의의 개소란, 상기 돌출편(181) 내에서, 고정 강도가 만족될 수 있는 개소라고 하는 의미이며, 수량도 고정 강도가 만족될 수 있다면 1개소이어도 2개소에서도 3개소 이상의 복수이어도 좋다.The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two shells in the temporary fixed state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are fixed by welding. The two shells may be the first shell 16, the second shell 18, or the second shells 18, 1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ion to be welded may be the entire periphery of all the projecting pieces 181, or may be two portions of all the projecting pieces 181, or may be any portion of all the projecting pieces 181 (One or more). Laser welding, arc welding, spot welding, and the like are considered as welding. The arbitrary portion means a portion where the fixing strength can be satisfied in the projecting piece 181. The number of the portions may be one, two, or three or more, as long as the fixed strength can be satisfied.

우선, 상기 제 1 쉘(16)과 상기 제 2 쉘(18)을 연결하면, 2줄이 되고, 다음으로, 상기 제 2 쉘(18)과 상기 제 2 쉘(18)을 연결하면, 3줄이 된다. 상기 제 2 쉘(18)과 상기 제 2 쉘(18)과의 연결을 반복함으로써, 요구되는 복수의 연결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first shell 16 and the second shell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wo lines are formed. Next, when the second shell 18 and the second shell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By repe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shell 18 and the second shell 18, it is possible to make a plurality of connections as required.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2)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하우징(12)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며, 공지 기술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이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의 합성 재료를 열거할 수 있다.Next, the housing 12 will be described.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plastic and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 known technique. The material is suit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dimensional stability, workability, cost, etc. Generally,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Polyamides (66PA, 46PA), liquid crystal polymers (LCP), polycarbonate (PC), and synthetic materials thereof.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제 1 컨택(14) 및 상기 제 2 컨택(15)이 장착되는 삽입 구멍(122)이 필요한 수만큼 설치되어 있고, 압입이나 걸기(랑스)나 용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housing 12 is provided with a required number of insertion holes 122 through which the first contacts 14 and the second contacts 15 are mounted and is fixed by press fitting,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ixed by press fitting.

또한,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는 삽입구(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121)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들어가면 좋고, 그 형상ㆍ크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을 따르도록 적절하게 설계되고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2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 121 into which the connection object is inserted. The insertion port 121 may be suitably designed so that the connection object enters, and its shape and size are appropriately designed to follow the connection object.

마지막으로, 제 1 컨택(14) 및 제 2 컨택(15)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컨택(14) 및 제 2 컨택(15)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만들어지고, 탄력성 등을 고려하면,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 청동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상기 제 1 컨택(14) 및 상기 제 2 컨택(15)은 주로 상대물(기판)과 접촉하는 접촉부(141, 151)와 상기 하우징(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2, 152)와 기판(80)에 접속되는 접속부(143, 15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143, 153)의 형상으로서는, 표면 실장 타입(SMT)이어도, 딥 타입이어도 좋고, 사양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계한다. 상기 접촉부(141, 151)는 상대물과 접촉하기 쉽게 만곡시키고 있다. 즉, 상기 제 1 컨택(14)의 접촉부(141)와 상기 제 2 컨택(15)의 접촉부(151)로, 상대물을 협지하도록 하고 있다.Finally, the first contact 14 and the second contact 15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ontact 14 and the second contact 15 are made of a metal and are formed by a press working of a known technique.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and the like, brass, beryllium copper, and phosphor bronze can be enumerated. The first contact 14 and the second contact 15 are mainly composed of contact portions 141 and 151 which are in contact with a mating member (substrate), fixing portions 142 and 152 fixed to the housing 12, 8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s 143 and 153 may be a surface mount type (SMT), a dip type, or the like, and is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the like. The contact portions 141 and 151 are bent so as to be easily in contact with the counterpart. That is, the counterpart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41 of the first contact 14 and the contact portion 151 of the second contact 15.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통신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쉘이나 커넥터에 활용되고,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l and a connector for use in a communication device, an electric appliance or an electron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5 : 감합구 10 : 커넥터 11 : 커넥터 본체
12 : 하우징 121 : 삽입구 122 : 삽입 구멍
14 : 제 1 컨택 141 : 접촉부 142 : 고정부
143 : 접속부 15 : 제 2 컨택 151 : 접촉부
152 : 고정부 153 : 접속부 16 : 제 1 쉘(ロ자 모양)
161 : 돌기(걸림부) 162 : 단자부(걸림부)
163 : 단자부 18 : 제 2 쉘(コ자 모양)
181 : 돌출편(계합부) 182 : 걸림 구멍 183 : 단자부(걸림부)
184 : 단자부 20 : 상면 22 : 측면
24 : 저면 26 : 배면 28 : 접촉편
30 : 제 2 접촉편 32 : 제 3 접촉편 34 : 제 4 접촉편
36 : 연장 설치부 80 : 기판
5: fitting portion 10: connector 11: connector body
12: housing 121: insertion port 122: insertion hole
14: first contact 141: contact portion 142:
143: connection 15: second contact 151: contact
152: fixing part 153: connecting part 16: first shell (rosette)
161: protrusion (engaging portion) 162: terminal portion (engaging portion)
163: terminal portion 18: second shell (U-shaped)
181: projecting piece (engaging portion) 182: engaging hole 183: terminal portion (engaging portion)
184: terminal portion 20: upper surface 22: side surface
24: bottom surface 26: back surface 28: contact piece
30: second contact piece 32: third contact piece 34: fourth contact piece
36: extension part 80: substrate

Claims (7)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감합구가 ロ자 형상의 제 1 쉘과 상기 감합구가 コ자 형상의 제 2 쉘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쉘에 필요한 수의 상기 제 2 쉘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쉘은, 상기 제 2 쉘과 직접 계합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 2 쉘은, 상기 제 1 쉘 또는 또 다른 상기 제 2 쉘과 직접 계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A coupl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 holes,
Wherein the fitting portion has a first shell having a rosette shape and the fitting portion has a second shell having a U-shape, and a necessary number of the second shel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The branches form a shell,
Wherein the first shell is directly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ell,
Wherein the second shel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or another second shell by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shell or the second she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은, 서로 이간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과, 상기 한 쌍의 대향면을 연결하고, 개구에 대향하는 연결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쉘은, 상기 연결면에 대향하는 상기 개구 측에서, 상기 제 1 쉘에 연결되거나, 상기 또 다른 제2 쉘의 상기 연결면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hell has a pair of opposed faces oppos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opposed faces and a connecting face facing theopening,
Wherein the second shell is connected to the first shell at the opening side facing the connecting surface or to the connecting surface side of the second shell.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ranch she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에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쉘 및 상기 제 2 쉘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계합부와 상기 걸림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hell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to engage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engaging portion. rescu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로서 개구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에 걸림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로서 돌기 및 단자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의 걸림 구멍과 상기 돌기 및 상기 단자부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opening direction is provided as the engaging portion and a retaining hole is provided in the protruding piece,
A protrusion and a terminal portion are formed as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of the projecting pie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의 소정 개소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제 1 쉘과 상기 제 2 쉘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are fixed by wel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shell and the second shell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기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using a connecting structure of a shell having at least two fittings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6에 기재된 쉘과, 이 쉘 내에 복수의 컨택이 하우징에 유지ㆍ배열된 커넥터 본체를 구비하는 커넥터.A connector comprising: the shell according to claim 6; and a connector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re held and arranged in the housing.
KR1020110140915A 2010-12-24 2011-12-23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KR1018590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6870A JP5697434B2 (en) 2010-12-24 2010-12-24 Shell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t least two fitting ports, shell form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hell
JPJP-P-2010-286870 2010-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134A KR20120073134A (en) 2012-07-04
KR101859028B1 true KR101859028B1 (en) 2018-05-17

Family

ID=4635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915A KR101859028B1 (en) 2010-12-24 2011-12-23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7434B2 (en)
KR (1) KR101859028B1 (en)
CN (1) CN10254485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8989B2 (en) * 2014-04-24 2018-05-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Tilt sensor housing case and vehicle lamp system
US10186794B2 (en) 2015-09-25 2019-01-22 Molex, Llc Connector system with adapter
CN111740260B (en) * 2020-06-30 2022-06-28 联想(北京)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5720A1 (en) * 2000-08-22 2002-02-28 Bright Edward J. Stacked transceiver receptacle assembly
US20060003632A1 (en) 2004-06-30 2006-01-05 Long Jerry A Shielded cag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WO2010104847A1 (en) * 2009-03-10 2010-09-16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oling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9154U (en) * 2000-06-03 2001-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774220A4 (en) * 2004-05-14 2017-01-25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Nearest-neighbor rebinning in clinical pet using on-line three-dimensional lor-to-bin mapping
EP1691097B1 (en) * 2005-02-11 2009-04-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ulation for a crosspiece of a universal joint
CN200972956Y (en) * 2006-11-26 2007-11-07 福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Surface fastening small transmission mould case and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5720A1 (en) * 2000-08-22 2002-02-28 Bright Edward J. Stacked transceiver receptacle assembly
US20060003632A1 (en) 2004-06-30 2006-01-05 Long Jerry A Shielded cag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s
WO2010104847A1 (en) * 2009-03-10 2010-09-16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oling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97434B2 (en) 2015-04-08
CN102544854B (en) 2016-01-20
CN102544854A (en) 2012-07-04
JP2012134078A (en) 2012-07-12
KR20120073134A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848B2 (en) Connector
JP525045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577371B2 (en)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JP2017033655A (en) Electric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ion
KR101739067B1 (en)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KR20180077069A (en) Electric connector
US20070155227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20302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59028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US20100304582A1 (en) Inverse coplanar electrical connector
JP566558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134943B2 (en) connector
JP5473758B2 (en) connector
JP623958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266513B2 (en) receptacle connector
JP2010257942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1142046A (en) Connector
US20230076927A1 (en) Cable-end connector, board-en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US8029312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JP556788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394013B2 (en) Shield case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hield case
JP2008004336A (en) Connector
TWI604669B (en) Electrical connector
US9941649B2 (en) Interboard connection connector with battery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