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77B1 -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77B1
KR101858877B1 KR1020167003931A KR20167003931A KR101858877B1 KR 101858877 B1 KR101858877 B1 KR 101858877B1 KR 1020167003931 A KR1020167003931 A KR 1020167003931A KR 20167003931 A KR20167003931 A KR 20167003931A KR 101858877 B1 KR101858877 B1 KR 10185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maging
delete delete
doo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344A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자와
가즈히로 후루타
유우키 마루타니
고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67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37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6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59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6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99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67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3747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M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04N5/225
    • H04N5/23206
    • H04N5/235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Abstract

본 실시형태의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는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된 촬상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창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가 설치된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CAMERA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장고 예를 들어 냉장고에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원격지로부터도 예를 들어 냉장고 내의 식재료 등의 정보를 취득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26748호
상기한 냉장고 등과 같은 저장고에서는 촬상환경은 반드시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고, 카메라 장치에 대해서 해결해야 할 특유의 과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장고의 내부의 촬상에 적합하고 실용에 적합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의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는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촬상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가 설치된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하는 구성으로 했다.
실시형태에 의한 저장고는 상기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를 사용한 실내 촬상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카메라 장치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5는 카메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카메라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체 케이스부의 전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 스위치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보조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냉장고 및 카메라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냉장고의 일부 문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우측 문 및 홀더 케이스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우측 문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야채실 부분의 파단 측면도이다.
도 15는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촬상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홀더 케이스에 배치 상태의 카메라 장치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홀더 케이스에 배치 상태의 카메라 장치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내 조명등의 발광 특성 및 조도 센서의 수광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냉장고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카메라 장치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1 상당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케이스의 일면부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방수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 23 상당도이다.
도 25는 제4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도 17 상당도이다.
도 26은 슬라이드 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17 상당도이다.
도 27은 슬라이드 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12 상당도이다.
도 28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8 상당도이다.
도 29는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1 상당도이다.
도 30은 냉장고의 냉장실 부분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31은 카메라 장치의 배치 상태에서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32는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한 야채실 부분의 파단 측면도이다.
도 33은 야채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한 카메라 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35는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1 상당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2)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로서, 실내 촬상 시스템(100)에서의 가전제품인 냉장고(저장고)(1)의 내부에 배치된다.
우선, 상기 실내 촬상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내 촬상 시스템(100)은, 냉장고(1) 내를 촬상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 장치(2), 상기 냉장고(1)측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3), 조작단말(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액세스 포인트(3)는 외부 네트워크(광역통신망이나 휴대전화망)(5)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원격지의 조작단말(4)이나 서버(6) 등과 냉장고(1)측과의 사이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와 액세스 포인트(3) 사이, 액세스 포인트(3)와 조작단말(4) 사이, 및 카메라 장치(2)와 액세스 포인트(3) 사이는,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상표)에 의한 무선통신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조작단말(4)은 카메라 장치(2)에 실내를 촬상시키기 위한 촬상지시를 입력하는 것이고,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나, 소위 스마트폰(고기능 휴대전화)를 상정하고 있다. 상기 조작단말(4)은 주택(7)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3)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방식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조작단말(4)은 주택(7)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역 통신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3)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조작단말(4)은 주택(7) 내라도 광역통신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3)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주택(7) 내에서는 액세스 포인트(3)를 통하지 않고 냉장고(1)측과 직접적으로 통신 가능하기도 하다.
서버(6)는 주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장고(1)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등) 등을 기억하고 있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장치(2)에 의해 촬상된 촬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냉장고(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않은 에어컨 등 다른 가전제품도 네트워크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전제품을 네트워크화함으로써, 각 가전제품의 소비전력을 사용자에게 눈에 보이는 형태로 제공하는 「가시화」, 여름철의 주간 등의 전력수요가 커지는 시간대에서의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피크시프트, 일반가정의 정격을 초과하는 전력의 순간적인 사용을 피하는 피크컷 등의 전력 컨트롤이나, 가전제품의 고장 진단 등, 사용편리나 쾌적성 또는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 장치(2)를 예를 들어 냉장실 내에 설치함으로써, 냉장고(1)의 실내의 모습(물품의 저장상태 등)을 확인하는 것 등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들 각종의 정보나 촬상 데이터 등을 서버(6)에 기억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외부 네트워크(5) 등을 통하여 조작단말(4) 등에 의해 이들 정보를 참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카메라 장치(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카메라 장치(2)는 도 2~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각으로서 케이스(200)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200)는 한 면이 개구하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본체 케이스부(제1 케이스부)(201)와, 한 면이 개구하는 바닥이 얕은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덮개 케이스부(제2 케이스부)(202)를 갖는다. 상기 본체 케이스부(201) 및 덮개 케이스부(202)는 합성수지제(비금속제)이다. 상기 케이스(200)는 본체 케이스부(201)의 개구부와 덮개 케이스(202)의 개구부를 나사(200a)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직방체를 이룬다. 본체 케이스부(201)의 개구부 단면에는 패킹홈(20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201a)에 방수부재로서의 틀형상의 패킹(203)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패킹(203)에 의해 본체 케이스부(201)와 덮개 케이스부(202)가 수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상기 패킹(203)은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부(201)에서는 개구부와 반대측의 면부(카메라 장치(2)로서는 정면이고, 도 3, 도 4에선 좌측이 되는 면부)가 일면부(촬상방향면부)(201l)에 상당한다. 이 일면부(201l)는 평탄하고, 이 일면부(201l)에는 중앙에 원형의 촬상용 창부(20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촬상용 창부(201b)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의 등거리 부위에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일면부(201l)에는 조도 센서용 창부(20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일면부(201l)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면부(201l)둘레가장자리부와 상기 촬상용 창부(201b) 둘레 가장자리부가 동일한 높이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일면부(201l)에는 이를 덮는 시트형상의 커버 부재(204)가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입에 의해 접착되어 장착되어 있다. 단, 이 커버 부재(204)에는 상기 촬상용 창부(201b)를 덮지 않기 위한 구멍부(204a)가 형성되어 있고, 즉 상기 커버부재(204)는 촬상용 창부(201b)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촬상용 창부(201b)를 외부로 보이게 하는 구멍부(204a)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에는 무공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촬상용 창부(201b)는 덮여 있지 않다. 이 커버부재(204)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이 커버부재(204)에서 접착되는 측의 면에 미리 디자인 인쇄(도시하지 않음)가 실시되어 있다. 이 디자인 인쇄는 상기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 조도센서용 창부(201d)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투명부(204b, 204b, 20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부(201)에서의 상면부(201J)에는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201J)는 시트 형상의 스위치 커버(205)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입으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커버(205)에 의해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커버(205)에서 접착되는 측의 면에 미리 디자인 인쇄(205a, 205b)가 실시되어 있다. 단, 이 디자인 인쇄(205a, 205b) 부분은 상기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에 대응하고 있고, 이 부분에는 양면 테입은 접착되어 있지 않다. 상기 스위치 커버(205)는 상기 디자인 인쇄(205a, 205b) 부분에서, 스위치 조작을 위해 가요 변형 가능해져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부(201)에서의 우측벽부(201M)에는 후술하지만 상기 우측벽부(201M) 내면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리드 스위치(206c)에 대응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얕고 세로로 긴 조작자용 오목부(20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자용 오목부(201f)에는 조작자 배치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커버(201g)가 걸어 맞춤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201g)에는 긴 구멍(201h)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용 오목부(201f)와 슬라이드 커버(201g)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조작자(206a)가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자(206a)에는 자석(20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자(206a)에 돌출 설치된 노브(206d)는 상기 긴 구멍(201h)에 위치한다. 상기 조작자(206a)와 자석(206b)과 후술하는 리드 스위치(206c)로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전원을 온 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에 상당한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조작자(206a)가 하방향으로 조작됨으로써 리드 스위치(206c)가 온한다. 즉,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스위치온하고, 전원이 온한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201g)에서 하부에는 「ON」의 문자가 부설(付設)되고, 또한 상부에는 「OFF」의 문자가 부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덮개 케이스부(202)의 하부에는 전지수용부(207)가 본체 케이스부(20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 수용부(207)에는 전지 출입용 개구부(207a)를 일단부(후단부)에 갖는다. 상기 개구부(207a)로부터 전지(208)가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 전지(208)는 리튬전지이고, 또한 1차 전지이다. 전지수용부(207)의 상기 개구부(207a)는 전지덮개(덮개)(20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된다. 상기 전지덮개(209)는 하부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측 개구부의 하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부가 나사(209a)에 의해 상기 개구부(207a) 가장자리부의 상부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전지(208)는 카메라 장치(2)의 전원이다. 이 때문에, 카메라 장치(2)는 전원 케이블 등이 불필요해지고, 냉장고(1) 내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전지수용부(207)의 개구부(207a)와 상기 전지덮개(209) 사이에는 방수수단으로서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패킹(21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상기 전지(208)의 상방에 위치하는, 촬상수단으로서의 촬상부(211), 기판(212), 통신수단으로서의 통신모듈(213)이 수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촬상부(211)는 외각으로서의 렌즈 홀더(211a)와, 렌즈로서의 외측 렌즈(211b)와, 렌즈 조립(211c)과, 촬상소자(211d)와, 촬상기판(211e)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렌즈(211b)와 렌즈 조립(211c)은 광각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각 렌즈는 대략 120도 정도의 시야각을 갖는다. 비교예로서 일반적인 Web 카메라의 경우, 그 시야각은 대략 55도 정도이다.
렌즈 홀더(211a)는 외형이 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렌즈홀더(211a)에 외측 렌즈(211b)와 렌즈 조립(211c)이 유지되어 있다. 상기 촬상소자(211d)는 CCD나 CMOS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촬상기판(211e)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촬상기판(211e)은 렌즈홀더(211a)의 후단부(도 4에서 말하면 우측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렌즈홀더(211a)는 상기 촬상용 창부(201b)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에는 방수수단으로서의 O링(211f)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촬상부(211)의 가장 바깥면(외측 렌즈(211b)의 가장 바깥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에서의 일면부(201l)의 가장 바깥면(촬상용 창부(201b)의 둘레 가장자리부 외면)보다 오목한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촬상기판(211e)에는 플렉시블 케이블(211g)의 일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단자(211h)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211g)은 촬상기판(211e)과 후술하는 주기판(212A)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기판(212)은 주기판(212A)과 보조기판(212B)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보조기판(212B)에는 상기 촬상부(211)를 피하기 위한 구멍부(212B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기판(212B)은 케이스(200)에서의 상기 일면부(201l)의 이면측에 리브를 통하여 상기 일면부(201l) 내면과 이격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촬상기판(211e) 및 플렉시블 케이블(211g)은 이 보조기판(212B)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보조기판(212B)의 후면 하부에는 전지접속단자(212Bb, 212B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지접속단자(212Bb, 212Bb)에 상기 전지(208)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보조기판(212B)의 전면부에는, 도 4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용 조명수단에 상당하는 촬상 라이트(214, 214)가 실장되어 있고, 또한 조도 센서(215)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촬상 라이트(214, 214)는 상기 보조기판(212B)의 부착상태에서, 상기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와 대향 또는 끼워 넣는다. 또한, 조도 센서(215)는 조도 센서용 창부(201d)와 대향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판(212B)의 후면의 단부에는 리드 스위치(206c)가 실장되어 있고, 이 리드 스위치(206c)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벽부로서의 우측벽부(201M)의 내면 근방에 위치한다. 리드 스위치(206c)와 조작자(206a)가 상기 우측벽부(201M)의 조작자용 오목부(201f)의 벽부에서 이격되는 구성을 방수수단으로 하고 있다.
또한, 주기판(212A) 및 보조기판(212B)에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금속제의 회로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판(212B)의 전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거의 전면에 금속제의 회로패턴인 그라운드용 패턴(212B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212Bc)은 케이스(200) 외부로부터의 노이즈 차폐용 전기적 실드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판(212B)에는 플렉시블 케이블(212Bd)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212Be)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212Bd)은 보조기판(212B)과 주기판(212A)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주기판(212A)은 상기 보조기판(212B)의 후방부에 위치하여 나사 고정에 의해 본체 케이스부(201)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주기판(212A)에는 이 카메라 장치(2)의 주된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카메라측 제어부(220)(후술함)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실장하고 있다. 또한, 이 기판(212A)의 상부에는 스위치로서, 설정 개시나 설정 확정 또는 설정 종료 등을 위한 설정 스위치(216), 각종 모드를 지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217)를 실장하고 있다. 이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는 택트 스위치(푸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조작자(216a, 217a)를 갖는다. 각 스위치(216, 217)는 각 조작자(216a, 217a)가 위로부터 아래로 억압 조작됨으로써 스위치 동작하고, 조작후는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각 조작자(216a, 217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커버(205)의 디자인 인쇄(205a, 205b) 부분이 억압되면, 상기 부분이 가요 변형하여 상기 각 조작자(216a, 217a)가 억압 조작된다. 이 디자인 인쇄(205a, 205b)의 부분은 상기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의 조작부(216b, 217b)로서 기능한다(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의 일부를 구성함).
또한, 이 주기판(212A)에는 가속도 센서(218), 온도센서(219)(도 10 참조)가 실장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218)는 카메라 장치(2)의 설치자세(세로배치, 가로배치, 일면부(201l)를 하방향, 일면부(201l)를 상방향)를 검출한다.
온도센서(219)는 카메라 장치(2)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지한다. 카메라 장치(2)에서는 상기 온도 센서(219)에 의한 검지온도가 냉장실 온도대의 경우에는 냉장실에 카메라 장치(2)가 설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검지온도가 냉동실 온도대의 경우에는 냉동실에 카메라 장치(2)가 설치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냉동실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고장 등의 우려가 염려되므로, 냉장고(1)측에 그 취지를 송신하고 냉장고(1)의 조작패널(22) 등에서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상기 주기판(212A)에는 플렉시블 케이블(212Aa)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212Ab)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212Aa)은 주기판(212A)과 통신모듈(213)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통신모듈(213)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기판(212)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부(201)에 나사 고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통신모듈(213)은 모듈 케이스(213a)의 내부에, 통신제어를 위한 회로를 실장한 모듈 기판(213b) 등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 기판(213b)에는 안테나(213c)가 패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213c)는 케이스(200)에서 상기 일면부(201l)와 반대측의 면부인 타면부(202T)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신 모듈(213)은 촬상부(211)에서 촬상한 고내의 촬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3)를 통하여 조작단말(4)이나 서버(6) 등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6)에 송신하는 것은 촬상 데이터를 서버(6)에 기억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촬상 데이터라는 것은 실내의 화상을 포함하는 데이터이고, 예를 들어 비트맵 형식이나 JPEG 형식 또는 MPEG 형식 등의 주지의 포맷의 데이터(정지화상, 동화상), 그 데이터를 압축이나 암호화 또는 화상처리함으로써 변화된 데이터 등, 냉장고(1) 내의 모습을 조작단말(4)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어떠한 형식의 것이어도 좋다.
상기 카메라 장치(2)에서 촬상부(211)와, 기판(212)과, 통신모듈(213)과, 전지(208)는 케이스(200)에 의해 유닛(일체물)(2A)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208)는 통신모듈(213)을 덮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통신모듈(213)이 갖는 안테나(213c)의 양호한 송수신 방향(화살표 A방향)을 덮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신모듈(213)의 안테나(213c)와 상기 기판(212)의 거리(H1)(도 4 참조)는 무선전파의 파장(λ)의 1/2 이하의 치수, 예를 들어 10㎜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무선전파의 주파수를 2.5㎓ 대로 하면, 파장(λ)이 약 120㎜이고, 상기 파장(λ)의 1/2(60㎜) 이하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장치(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량이 큰 전지(208)가 케이스(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점에서, 케이스(200)의 중심(체적중심)(C)에 대해서 카메라 장치(2)의 무게중심(G)이 다른 위치, 이 경우 하방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에서 상기 전지(208)와 반대측의 외면인 상벽부(201J)의 외면에는 상기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의 일부인 조작부(216b, 217b)(방지수단)가 존재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2)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상기 주기판(212A)이 갖는 상술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CPU(220a), ROM(220b), RAM(220c) 및 시계부(220d), 정보기억수단으로서의 불휘발성 메모리(220e) 등을 갖고, 카메라 장치(2)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촬상부(211)에 의한 촬상 타이밍의 제어, 촬상할 때의 촬상환경을 정돈하는 제어(촬상 라이트(214)의 점등제어), 통신모듈(213)에 의한 촬상 데이터의 송신, 조도 센서(215)에 의한 후술하는 촬상지시의 수신(접수 등)을 위한 제어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한 화상의 보정 등을 실시하는 화상처리도 실시하고 있다.
상기 시계부(220d)는 실시간 타임 클럭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시각·캘린더 기능을 갖고, 실시간 타임의 시간(시각, 월일, 요일)을 계측할 수 있다.
카메라측 제어부(220)에 접속되어 있는 조도 센서(215)는 소위 조도 센서이고, 카메라 장치(2)의 주변의 조도를 검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도 센서(215)는 소정의 파장 대역의 광에너지(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한 실내조명등(130, 132)으로부터 발해지는 광에너지)를 검출한다. 조도센서(215)에서 검출된 광에너지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측 제어부(220)에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촬상지시의 최종적인 신호형태는 소정의 패턴으로 발해진 광에너지(후술한 실내조명등(130, 132)의 소정 패턴의 점멸)에 의해 실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조도센서(215)에 의해 상기 소정 패턴의 점멸을 검출했을 때, 촬상지시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장치(2)는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온된 상태(전원온 상태)에서 사용되고, 평소에는 통상 동작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적은 저전력 모드(슬립 제어 모드)에서 대기하고 있고, 촬상지시를 수신하면,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여 고내를 촬상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 장치(2)가 설치되는 냉장고(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2)의 상부로부터 차례로, 식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인 냉장실(103), 야채실(104), 제빙실(105), 상부 냉동실(106), 및 하부 냉동실(107)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03) 및 야채실(104)과, 제빙실(105) 및 상부 냉동실(106)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냉장실(103)은 힌지(102a, 10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소위 양쪽 개방식(회전식)의 좌측문(103a) 및 우측문(103b)에 의해 개폐된다.
야채실(104), 제빙실(105), 상부 냉동실(106) 및 하부 냉동실(107)은 인출식의 문(104a), 문(105a), 문(106a) 및 문(107a)에 의해 각각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우측문(103b)의 길이(힌지(102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가 좌측문(10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문에는 그 개폐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문 센서(124)(도 1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냉장고(1)의 구성은 일례이고, 각 저장고의 배치순서가 다르거나, 예를 들어 상부 냉동실(106)이 냉장과 냉동을 전환 가능한 전환실인 구성이어도 좋다.
냉장실(103)의 좌측문(103a)에는 상단으로부터 차례로 도어포켓(108a), 도어포켓(109a), 도어포켓(110a)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문(103b)에는 상단부터 차례로 도어포켓(108b), 도어포켓(109b), 도어포켓(110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03)내에는 예를 들어 유리 등의 투명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선반판(11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최하단에는 예를 들어 달걀실이나 칠드실과 같은 특정 목적실(11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03)의 내부에는 조명수단으로서의 실내조명등(130, 132)(도 10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조명등(130)은 천정에 설치되고, 실내 조명등(132)은 도 1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실내조명등(130)은 고내의 상부측, 실내조명등(132)은 고내의 중앙부나 하부 등, 고내의 특정 위치를 비추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03)의 좌측문(103a) 및 우측문(103b)은, 크기는 다르지만, 재료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우측문(103b)을 대표하여 구성을 설명한다. 우측문(103b)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방면이 절연성의 유리 재료로 형성된 유리판(103b1)으로 구성되고, 후방면(내면)이 비금속의 수지제의 내부판(114) 및 세로판(115)(도 11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단열재인 우레탄(103b2)이 충전제로서 충전되어 있다. 즉, 좌측문(103a) 및 우측문(103b)의 전방면측은 전파를 투과시키는 비금속제 재료인 유리판(103b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포켓(108a~110a, 108b~110b)은 이 내부판(11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문(103a)에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문(103b)과의 간극(S)을 메우기 위한 회전식 비금속 재료 예를 들어 합성수지인 세로 칸막이(1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104)의 문(104a) 등도, 우측문(103b)과 동일하게 그 전방면이 유리판으로 덮여 있고, 내부에는 우레탄이 단열재로서 충전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야채실(104)내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야채용기(104b, 104c)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의 야채 용기(104b)는 투명한 재료(합성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야채용기(104c)도 투명한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우측문(103b)에서 상하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간단의 도어포켓(109b)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장치(2)가 홀더 케이스(150)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배치된다). 이 카메라 장치(2)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문(103b)의 개방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2)는 그 촬상부(211)가 고내를 향하도록(일면부(201l)가 고내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2)가 우측문(103b)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온되어 전원온으로 되어 있다(사용상태가 되어 있다).
이 경우, 우측문(103b)의 길이가 좌측문(10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장치(2)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03)의 상하 좌우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이 카메라 장치(2)는 우측문(103a) 중 힌지(102b)측의 단으로부터, 좌측문(103a)의 길이보다 긴 상기 우측문(103a) 개방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문(103b)이 폐쇄된 상태에서, 카메라 장치(2)의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는 촬상부(211)가 문(103a, 103b)으로 이루어진 문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냉장실(103)의 좌우 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퉁이(도 11에 도시한 포인트(P1, P2)), 또는 상하 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퉁이(도 11에 도시한 포인트 P3, P4)를 포함하는 범위이다. 또한, 도 16에는 카메라 장치(2)에서 촬상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는, 촬상범위로서는 도 11에 도시한 포인트(P11~P18)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홀더 케이스(150)는 우측문(103b)에 배치되어 있고, 도 12,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상부 개방형의 상자형상을 이룬다. 상기 홀더 케이스(150)의 고내측의 벽부(150a)의 높이 치수(Hh)는 상기 카메라 장치(2)의 케이스(200)의 높이의 반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2)(유닛(2A))는 도 12의 배치상태에서, 촬상부(211)가 저장고내인 냉장실(103)내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판(212)은 촬상부(211)보다 냉장고(1)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통신수단인 통신모듈(213)은 상기 기판(212)보다 냉장고(1)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우측문(103b)에는 통신모듈(213)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금속부재(보강용 금속부품이나, 금속증착을 사용한 진공단열패널)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 12에서 카메라 장치(2)는 냉장고(1)가 갖는 문(우측문(103b))으로부터 냉장고(1) 내를 촬상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지(208)는 통신 모듈(213)과 상기 우측문(103b) 사이의 부분(E)과는 다른 위치에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도 10에 도시한 고측 제어부(121)를 갖고 있다. 상기 고측 제어부(121)는 CPU(121a), ROM(121b), RAM(121c), 타이머(121d)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냉장고(1)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측 제어부(121)는 예를 들어 조작패널(122)로부터 설정된 운전상태가 되도록, 온도센서(123)에서 검출한 고내의 온도나 문 센서(124)에서 검출한 문의 개폐상태 등에 기초하여, 주지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냉장용 냉각기구(125)나 냉동용 냉각기구(126)의 운전상태를 제어한다.
조작패널(122)에는 패널표시기(127), 패널 LED(128), 패널 부저(129)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 표시기(127)는 설정값 등을 표시한다. 패널 LED(128)은 조작 스위치나 운전상태 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패널 부저(129)은 압전 부저 등으로 구성되고, 조작에 따라서 음성(소리 에너지)을 발함으로써, 조작내용을 알린다. 또한, 조작패널(122)은 통신저해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신부인 통시모듈(213)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면 좋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122)은 통신모듈(213)이 존재하는 문에는 설치하지 않고, 통신모듈(213)이 존재하지 않는 문에 설치하면 좋다.
실내조명등(130, 132)은 LED로 구성되고, 문이 개방되었을 때 점등한다. 이 실내조명등(130, 132)은 신호출력도 겸용하고 있고, 고측 제어부(12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점멸 가능해져 있다. 상기 소정 패턴의 점멸은 대카메라 장치(2)용 촬상지령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소정 패턴의 점멸에 의한 촬상지령은 상기 조도 센서(215)에 의해 수신(수광)된다. 이 경우, 조도센서(215)의 수광특성은 실내조명등(130, 132)의 LED발광특성과 상대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한 파장영역(λα) 사이에서 거의 동일해지는 영역을 채용하고 있다.
송풍기(131)는 통상의 동작에서는 냉장고(1)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통신 어댑터(134)는 액세스 포인트(3)나 실내의 조작단말(4) 등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고(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냉장고(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통신 어댑터(134)는 에어컨 등의 다른 가전제품에도 설치되고, 가전제품을 네트워크화하고 있다. 또한, 통신어댑터(134)는 액세스 포인트(3)를 통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2)와의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통신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통신 어댑터(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시화 등에도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냉장고(1)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시 작동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단말(4)이 원격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상지령을 출력하면, 이 촬상지령은 외부 네트워크(5) 및 액세스 포인트(3)를 통하여 냉장고(1)에 송신된다.
이 촬상지령을 받은 냉장고(1)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단계(R1)에서 촬상지령의 수신 있음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실내 조명등(130 및 132)을 소정의 패턴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촬상지령을 광신호의 형태로 카메라 장치(2)에 송신한다(단계(R2)).
카메라 장치(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2)의 슬라이드 스위치(206)를 온하면, 전원이 온되고, 카메라측 제어부(220)는 도 21의 제어를 실시한다. 우선, 사용자에 의한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단계(S1)). 이 초기 설정에서는 카메라 핀트 설정이나, 자동 촬상 타이밍(예를 들어, 매일의 촬상시각 등)의 설정을 실시한다. 이 후, 슬립 제어로 이행한다(단계(S2), 슬립 제어 수단). 이 슬립 제어 상태에서는 실내 조명등(130 또는 132)으로부터 촬상지령을 수신하는 기능과, 시계부(220d)가 계측하는 시간이 설정 촬상 타이밍이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기능을 작동시키고 있는 이외에는, 기능 정지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전원인 전지(208)의 전지소비량을 억제한다. 이 경우, 통신 모듈(213)의 동작도 정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통신모듈(213)의 동작계속은 전지(208)의 소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실내조명등(130 또는 132)으로부터 촬상지령을 수신하는 기능은, 전지(208)의 소비속도가 늦고, 보다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슬립 제어 상태에서는 실내조명등(130 또는 132)으로부터 촬상지령을 수신하거나(단계(S3)), 시계부(220d)가 계측하고 있는 시간이 설정된 촬상 타이밍이 되거나(단계(SS4)) 하면,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단계(S5)). 그리고 실내를 촬상하고(단계(S6)), 촬상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S7)).
이 경우, 상기 촬상 데이터는 서버(6)에 송신되어 보존되고, 서버(6)로부터 조작단말(4)에 송신된다.
상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장치(2)는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된 촬상부(211)와, 케이스(100)의 일면부(201l)에 설치되어, 촬상부(211)에 의해 저장고의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창부(201b)를 구비하고, 케이스(200)가 설치된 저장고의 내부를 촬상부(211)에 의해 촬상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르면, 촬상부(211)를 케이스(200) 내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서도, 저장고 내부의 촬상에 바람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 장치(2)는 도 4,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1)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211)와, 상기 촬상부(21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냉장고(1) 밖으로 송신하는 통신수단인 통신모듈(213)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213)이 촬상부(211)보다 냉장고(1)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이 촬상부(211)보다 냉장고(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통신모듈(213)에 의한 냉장고(1) 외부로의 통신(촬상화상송신)에 있어서 차폐물을 적게 할 수 있고, 외부로의 통신이 양호해진다. 또한, 카메라 장치(2)는 문 내부의 발포단열재 내에 메워 넣어져도 좋다. 이 경우, 촬상부(211)를 문의 내부판으로부터 고내를 향하게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2)에서는 기판(212)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212)을, 통신모듈(213)보다 냉장고(1) 내측에 배치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에 의한 냉장고(1) 외부로의 통신에 대해서 기판(212)이 차폐물이 되는 일은 없고, 외부로의 통신이 양호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기판(212)의 주기판(212A) 및 보조기판(212B)에는 금속제의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통신모듈(213)에 의한 통신이 저해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2)을, 통신모듈(213)보다 냉장고(1) 내측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금속제의 회로패턴이, 통신모듈(213)에 의한 냉장고(1) 외부로의 통신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회로패턴이 보조기판(212B)의 거의 전면에 그라운드용 패턴(212Bc)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200) 내부에 대한 전기적 실드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단, 이 전기적 실드는 전파에 대하여 강한 차폐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212)을, 통신모듈(213)보다 냉장고(1) 내측에 배치했으므로, 상기 그라운드용 패턴(212Bc)이 통신모듈(213)에 의한 냉장고(1) 외부로의 통신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211)와 통신모듈(213)을 유닛(2A)으로서 구성하고 유닛(2A)에는 전지(208)를 설치하며, 상기 전지(208)를, 통신모듈(213)을 덮지 않는 위치에 설치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닛(2A) 내에 금속제 부재를 갖는 전지(208)를 구비하지만, 상기 전지(208)가 통신모듈(213)의 통신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2A)은 냉장고(1)가 갖는 문(우측문(103b))으로부터 냉장고(1) 내를 촬상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전지(208)가 통신모듈(213)과 상기 우측문(103b) 사이의 부분(E)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에서 냉장고(1) 밖으로의 통신방향에 있는 부분(E)에 대해서, 전지(208)가 다른 위치에 있으므로, 통신모듈(213)에 의한 외부로의 통신을 전지(208)가 저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2A)이 촬상부(211)와 기판(212)과 통신모듈을 케이스(200)에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경우 케이스(200)를 비금속제로 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이 케이스(200)내에 있어도 통신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문(103a) 및 우측문(103b)을 유리 등의 비금속으로 구성했다. 이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2)를 좌측문(103a) 또는 우측문(103b)에 배치하는 경우에, 통신모듈(213)의 통신성능이 문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문(103b)에는 통신모듈(213)과 대향하는 위치에 금속부재(보강용 금속부품이나, 금속증착을 사용한 진공단열패널)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의 외부로의 통신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용 금속부품은 유리제의 문 전방판의 이면에 부착되는 유리의 보강을 목적으로 한 평판형상의 판 부품으로, 통신모듈(213)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통신모듈(213)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문이나, 통신모듈(213)의 주위에 부착해도 좋다.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상기 보강용 금속부품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면, 통신을 저해하지 않고 단열성이 향상된다. 이 진공단열패널은 금속증착된 필름으로 구성된 봉지체의 내부에 유리 울 등의 섬유체가 수용되고, 이 봉지체를 진공으로 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2A)이 우측문(103b)의 개방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닛(2A)이 우측문(103B)의 개방단부측에 위치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문(103b)과 좌측문(103a) 사이의 간극(S)(냉장고(1) 밖)에 가까운 위치가 되고, 통신모듈(213)에 의한 통신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213)의 안테나(213c)와 상기 기판(212)(주기판(212A)과의 거리(H1)(도 4 참조)을, 무선전파의 파장(λ)의 1/2 이하의 치수, 예를 들어 10㎜로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모듈(213)이 외부로부터 무선전파를 받는 경우에, 무선전파가 상기 통신모듈(213)에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213)의 안테나(213c)와 금속을 포함하는 기판(212)(주기판(212A))과의 거리가 무선전파의 파장(λ)(120㎜)의 1/2의 배수의 거리, 즉 60㎜, 120㎜, 180㎜ 등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무선전파의 입사파와 반사파가 상쇄되어, 전파가 도달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점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전파의 파장(λ)의 1/2 이하의 치수, 예를 들어 10㎜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수치에는 해당하지 않아, 무선전파가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H1)를 파장(λ)의 1/4이 되는 30㎜로 설정하면, 전파의 입사파와 반사파의 위상이 정합되어 전파가 배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통신성능이 한층 높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2)의 무게중심(G)에 관한 구성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카메라 장치(2)는 냉장고(1)의 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냉장고(1)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211)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200)의 중심(체적중심)(C))에 대해서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G)을 다르게 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무게중심(G)이 케이스(200)의 중심(C)보다 하방이 되는 자세로 케이스(200)를 배치함으로써, 그 반대의 자세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카메라 장치(2)의 배치가 안정된다. 그 결과, 카메라 장치(2)가 배치된 우측문(103b)이 개폐된 경우에도, 카메라 장치(2)가 어긋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내부에 전지(208)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208)가 케이스(200)에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질량이 큰 전지(208)를 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했으므로,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G)을 케이스(200)의 중심(C)에 대하여 하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케이스(200)의 상기 전지(208)와 반대측의 외면인 상벽부(201J)의 외면에는, 상기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의 일부인 조작부(216b, 217b)(스위치, 방지수단)가 존재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200)가, 상기 전지(208)를 상측으로 하는 자세(무게중심(G)이 중심(中心)(C)보다 상방이 되는 방향)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지(208)와 반대측의 외면인 상면부(201J)에 상기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가 없다고 하면, 사용자에 의해 상면부(201J)를, 굳이 상방향으로 할 필요가 없고, 부주의로 케이스(200)를 상하 반전하여 상기 상면부(201J)를 얹음면(하면)으로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상면부(201J)에 방지수단으로서의 스위치인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216, 217)가 존재하는 상면부(201J)를 얹음면으로 하지 않고, 따라서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重心)(G)을 케이스(200)의 중심(中心)(C)에 대하여 하방으로 하는 배치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부(201J)에 방지수단으로서 볼록부를 설치하거나, 둥근 부분을 설치하여 배치되기 어렵게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00)가 우측문(103b)에 배치된 상부 개방형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홀더 케이스(150)에 부착되고, 상기 홀더 케이스(150)의 고내측의 벽부(150a)의 높이 치수(Hh)를, 케이스(200)의 높이의 반보다 길게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서 카메라 장치(2)가 홀더 케이스(150)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령, 상기 홀더 케이스(150)의 고내측의 벽부(150a)의 높이 치수(Hh)를, 케이스(200)의 높이의 반보다 짧게 구성했다고 하면,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케이스(200)가 홀더 케이스(150)로부터 튀어나오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를 슬라이드 스위치와는 다른 형태의 스위치(푸시 스위치)로 구성했으므로, 이들 각 스위치(216, 217)의 조작자(216a, 217a)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개방 방향(도 13의 화살표 OP방향) 및 폐쇄 방향(동 도면의 화살표 CL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조작자(216a, 217a)가 움직이지 않고, 각 스위치(216, 217)가 부주의로 스위치 동작을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여 우측문(103b)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206)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6)의 조작자(206a)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또한 온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서 부주의로 오프가 되는 일은 없다. 즉, 우선 슬라이드 스위치(206)의 조작자(206a)의 슬라이드 방향이, 우측문(103b)의 개폐 방향과는 다른 상하방향이므로,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서 조작자(206a)는 통상에서는 개방 방향으로도 폐쇄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조작자(206a)의 상방위치가 온 위치이면, 우측문(103b)이 강하게 개폐된 바와 같은 경우, 그 충격에 따라서는, 조작자(206a)가 동력방향(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스위치 오프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206a)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또한 온하는 방향을 하방향으로 했으므로, 우측문(103B)의 개폐시의 충격에 따라서는 조작자(206a)에 하방향의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상기 조작자(206a)는 이미 하?항의 위치에 있어 움직일 수 없고, 온 상태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부주의로 오프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를, 촬상부(211)가 좌우 문(103a, 103b)로 이루어진 문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퉁이(도 11의 포인트 P1, P2), 또는 상하 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통이(같은 도면의 포인트 P3, P4)를 포함하는 범위로 했다. 이 실시형태의 촬상범위이면, 카메라 장치(2)의 배치위치를 문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배치위치로 해도 대략적인 촬상위치를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는, 촬상부(211)가 폐색된 상기 문(좌우의 문(103a, 103b로 이루어진 문)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내에 배치된 선반판(111)의 전부(全部)의 전방단(前端)이 들어가도록 하면 좋다. 특히, 전방단의 좌우단부(도 11의 포인트 P11~P18)가 들어가는 범위로 해도 좋다. 또한, 선반판(111)이 1매인 경우에는 그 전방단의 좌우단부가 들어가는 범위로 해도 좋다.
또한, 같은 도면에서 상하 복수로 배치된 선반판 중 적어도 인접하는 2개의 선반판의 전방단이 들어가도록 하면 좋다. 특히 전방단의 좌우단(포인트 P11~P14, 또는 P13~P16, 또는 P15~P18)가 들어가는 범위로 해도 좋다. 또한, 같은 도면에서 적어도 최상단 및 최하단의 선반판(111)의 전방단의 좌우단(포인트 P11, P12, P17, P18)이 들어가는 범위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부(211)가 광각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촬상부(211)와 고내의 저장물(선반판(111))과 거리가 얻어지지 않는 상황에 있어도, 고내를 광범위하게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211)와, 기판(212)과, 통신수단인 통신모듈(213)이 그 순서로 배치되고, 이들 촬상부(211)와, 기판(212)과, 통신모듈(213)의 하측에 전지(20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G)을 케이스(200)의 중심(C)에 대해서 낮출 수 있다.
도 22~도 36은 제2 실시형태~제9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이나, 제1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장치(2)를, 촬상부(211)와 기판(212)과 통신모듈(213)을 케이스(200)에 수용하여 유닛(2A)(일체물)으로서 구성했지만, 통신모듈(213)은 케이스(200)로부터 분리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 통신모듈(213)을 통신이 용이한 적절한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로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213)과, 통신모듈(213)을 제외한 유닛(2A´)으로 카메라 장치(2)를 구성하고, 통신모듈(213)을 우측문(103b)의 개방단부측의 상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3)가 냉장고(1)의 상부(힌지 부분)에 존재하면, 통신성능이 향상된다.
그 밖에, 통신모듈(213)은 조작패널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통신모듈(213)을, 유리제의 문의 전방판 전방면으로부터 우레탄 내부에 설치된 수납공간부에 구비해도 좋고, 통신모듈(213)을, 유리제의 문의 전방판 전방면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정전용량식의 검출부를 구비하는 기판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촬상부(211)와 대향한 위치에 기판을 설치하면, 전기접속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판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해도 좋다. 즉, 수납공간부는 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개구에 연결되어 있어, 기판을 그 개구로부터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통신모듈(213)을 문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수납공간부의 고내측이면, 금속부품(보강용 금속판이나 진공단열패널)을 부착해도 통신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배치하는 문은 인출식 문이어도 좋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배치하는 문으로서는 좌우 여닫이식의 양쪽 개방식의 문이 아니라, 한쪽 개방식의 1매의 문이어도 좋다. 저장고로서는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냉장 케이스, 컨테이너나 저장용 창고 등이어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본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냉장고(1) 및 카메라 장치(2)의 구성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상기 냉장고(1)가 식품저장고인 점 및 카메라 장치(2)가 방수수단을 구비한 구성인 점에 착안하여, 그 효과나 변형예도 함께 상술한다.
냉장고(1)에서는 냉각기, 응축기, 압축기를 배관으로 접속하여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팬의 송풍에 의해 냉기를 고내에 송풍하는 것이다. 상기 냉동 사이클의 냉매로서 가연성 냉매인 이소부탄 R600 등을 사용하고 있다.
본 제3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2)는 식품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로서, 냉장고(1)의 내부에 배치된다. 카메라 장치(2)의 전지(208)는 30W, 6.0V 사양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카메라 장치의 본체 케이스부(201)에서, 상술한 패킹(203), 패킹(210), O링(211f)은 방수수단겸 방폭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 스위치(206c)와 조작자(206a)가 상기 우측벽부(201M)의 조작자용 오목부(201f)의 벽부에서 이격되는 구성을 방수수단겸 방폭수단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식품저장고인 상기 냉장고(1)에서는 저장하는 식품으로서, 액체(물이나 주스, 국 종류 등)나 액상물(마요네즈나 카레 등)인 것도 많고, 냉장고(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식품을 출입할 때 등에, 잘못하여 액체나 액체물을 냉장고(1)내에 엎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결로가 발생한 식품이나 물이 부착된 식품을 냉장고(1) 내에 수용하는 일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체나 액상물이 카메라 장치에 부착되어 케이스 내부에 침입하면, 촬상동작이 잘 진행되지 않는 것이 염려된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카메라 장치(2)에서는 냉장고(1) 내를 촬상하는 촬상부(211)와, 촬상부(211)를 수용한 케이스(200)와, 케이스(200)의 안팎을 수밀하게 시일하는 방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제1, 제2 실시형태도 동일), 액체나 액상물이 카메라 장치(2)에 부착되었다고 해도 케이스(200) 내부에 침입하지 않고, 촬상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케이스(200)를, 제1 케이스부로서의 본체 케이스부(201)와 제2 케이스부로서의 덮개 케이스부(202)를 접합하여 구성하고, 그 접합부분에 방수수단으로서의 패킹(203)을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200)의 접합부로부터의 액체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케이스(200)에, 전지수용부(207)를 갖고 있다. 이 전지 수용부(207)는 전지 출입용 개구부(207a)를 갖고, 상기 개구부(207a)로부터 전지(208)를 삽입 배치한다. 또한, 전지 수용부(207)의 개구부(207a)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덮개인 전지덮개(209)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207a)와 상기 전지덮개(209) 사이에는 방수수단으로서의 패킹(21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카메라 장치(2)는 임의의 부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전원으로서 전지(208)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통상의 경우에는 슬립 제어를 실시하여 전지 소비량을 억제하는 것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지(208)가 액체에 젖으면, 전지(208) 자체가 단락되거나, 또한 회로에 예기치 않은 전류가 흘러, 단시간 내에 전지잔량이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카메라 장치(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지수용부(207)의 개구부(207a)와 상기 전지덮개(209) 사이에 패킹(210)을 개재시키고 나서, 전지수용부(207) 내에 액체 등이 침입하지 않고, 상기 전지(208)가 액체에 젖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전지덮개(209)를 최종적으로 나사(209a)에 의해 전지수용부(207)의 개구부(207a)에 부착했으므로, 전지덮개(209)를 걸어맞춤으로만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지덮개(209)를 느슨해짐 없이 개구부(207a)에 부착할 수 있고, 그 결과, 패킹(210)에 의한 방수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패킹(203, 210)을 실리콘 고무로 구성했으므로, 방수에 필요한 적절한 유연함을 구비할 수 있고, 방수성능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케이스(200)에는 촬상용 창부(201b)가 설치되고, 이 촬상용 창부(201b)에 촬상부(211)의 외각인 렌즈홀더(211a)를 끼워 맞추고, 렌즈 홀더(211a)와 촬상용 창부(201b) 사이에 방수수단으로서의 O링(211f)을 개재시키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촬상용 창부(201b)로부터 케이스(200) 내부로의 액체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촬상용 창부(201b)가 존재하는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촬상용 창부(201b) 이외에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나, 조도센서용 창부(201d)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일면부(201l)에 방수수단으로서의 커버부재(204)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204)는 촬상용 창부(201b)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촬상용 창부(201b)를 외부로 보이게 하는 구멍부(204a)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에는 무공형상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204)에 의해 상기 촬상용 창부(201b) 이외의 일면부(201l)를 방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나, 조도센서용 창부(201d)도 방수할 수 있고, 이들 촬상 라이트용 창부(201c, 201c)나, 조도센서용 창부(201d)로부터 액체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커버부재(204)를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대해서 접착 고정했으므로, 일면부(201l)에 대한 커버부재(204)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2)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조도센서(215)를 구비하고,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조도센서(215)를 외부로 보이게 하는 조도센서용 창부(201d)를 형성하고, 커버부재(204)를 투명한 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부재(204)에는 디자인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단, 상기 커버부재(204)에서 조도센서용 창부(201d)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디자인 인쇄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카메라 장치(2)에서는 커버부재(204)를 투명으로 하고, 또한 조도센서용 창부(201d)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디자인 인쇄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커버부재(204)에 의해 조도센서용 창부(201d)의 방수를 도모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조도센서용 창부(201d)로의 입광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도센서(215)의 센싱 동작을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2)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4)에서의 상기 디자인 인쇄를, 상기 커버부재(204)에서의 상기 접착되는 측의 면, 즉 내면에 형성했으므로, 카메라 장치(2)의 설치시나 취급시에, 이 디자인 인쇄가 어떤 부재에 접촉되거나 마찰되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카메라 장치(2)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푸시형 스위치인 설정 스위치(216), 모드 스위치(217)를 구비하고, 케이스(200)는 각 스위치의 조작자(216a, 217a)를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를 갖고, 이들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는 방수수단으로서의 스위치 커버(205)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200)가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를 갖는 구성에서 스위치 커버(205)에 의해, 상기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로부터의 액체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2)는 스위치 커버(205)를, 케이스(200)에서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가 존재하는 면부인 상면부(201J)에 접착에 의해 장착하여 스위치용 구멍부(201e, 201e)를 폐쇄하고 나서, 상면부(201J)에 대한 스위치 커버(205)의 장착(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스위치 커버(205)에 디자인 인쇄(205a, 205a)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 디자인 인쇄(205a, 205a)를 상기 스위치 커버(205)가 접착되는 측의 면에 실시했으므로, 카메라 장치(2)의 설치시나 취급시에, 상기 디자인 인쇄(205a, 205a)가 어떤 부재에 접촉되거나 마찰되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케이스(200)에서의 한 벽부로서의 우측벽부(201M)에 리드 스위치(206c)를 설치하고, 자석(206b)을 구비한 조작부재(206a)를, 상기 우측벽부(201M)의 외면에 상기 우측벽부(201M)를 통하여 리드 스위치(206c)와 대향하는 부위와 대향하지 않는 부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리드 스위치(206c)와 조작부재(206a)가 상기 우측벽부(201M)에서 이격되는 구성을 방수수단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200)의 벽부에 의해 조작부재(206a)와 리드 스위치(206c) 사이의 방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내부에, 전기부품을 접속하는 접속단자로서의 전지접속단자(212Bb, 212Bb)나 플렉시블 케이블(211g, 212Bd, 212Aa)를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이들 접속단자를 케이스(2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200)의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도 이들 접속단자가 젖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지(208)도 케이스(2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키시고 있으므로, 이 전지(208)가 상기 결로에 의해 젖는 일은 없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12)(212A, 212B)을 케이스(2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으므로, 케이스(200)의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일이 있어도, 상기 기판(212)이 젖는 경우는 없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촬상부(211)의 가장 바깥면을 촬상용 창부(201b)의 최외측부에 대하여 오목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2)를 그 일면부(201l)가 하방향이 되는 배치형태, 예를 들어 선반판(111) 상면에 일면부(201l)측을 얹는 것과 같은 배치형태로 한 경우에, 촬상부(211)가 선반판(111)에 의해 마찰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다.
또한, 카메라 장치(2)에서는 전지(208)를 리튬전지로 구성했으므로, 식품저장고가 냉장고(1)인 경우에, 냉장온도대에서도 전지 수명이 길고, 냉장고용 카메라 장치(2)에 적합하다.
또한, 전지(208)를 1차 전지로 했으므로, 2차 전지의 경우와 달리 결로되기 어렵고, 고장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즉, 2차전지에서는 충전완료시점에서의 온도상승이 크고, 전지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도 23, 도 24는 본 제3 실시형태의 방수수단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4)는 케이스(200)에서 촬상용 창부(201b)가 존재하는 일면부(201l)를 촬상용 창부(201b)마다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일면부(201l)는 전면이 평탄하면 좋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211)의 렌즈로서의 외측 렌즈(211b)의 전방측(촬상방향측)에는 방수수단으로서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방수시트(23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외측 렌즈(211b)의 손상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방수도 도모할 수 있다.
식품저장고로서는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냉장 케이스, 식품저장용 창고 등이어도 좋다.
또한, 냉동 사이클의 냉매로서 가연성 냉매를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방수수단이 방폭수단의 기능을 겸하므로, 가연성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내부에 카메라 장치를 배치한 상태에서, 냉매가 젖었다고 해도, 전기제품인 카메라 장치 내부에 가연성 냉매가 들어가지 않아, 방폭 기능을 갖는다. 또한, 촬상수단이나 통신수단 등의 전기적 접점부에 인가하는 전압을 상용전원의 100V가 아니라, 100V 미만인 낮은 소정 전압(예를 들어, 6.0V)인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착화를 방지하는 방폭수단으로 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25~도 27은 각각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스위치(206)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5~도 27에서 각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그 방향(또는 「ON」「OFF」의 문자 방향)이 다르지만,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206)를, 그 조작자(206a)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206)의 조작자(206a)의 슬라이드 방향은 본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상하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도 좋다.
즉, 도 25에 도시한 본 제4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그 조작자(206a)가 케이스(200)의 상면부(201J)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조작자(206a)는 우측문(103b)의 개폐방향(화살표 OP방향, CL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온하는 방향을 우측문(103b)의 폐쇄 방향(화살표 CL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서 조작자(206a)가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힘을 받지만, 특히 우측문(103b)이 폐쇄되었을 때의 충격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온하는 방향을 우측문(103b)의 폐쇄방향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조작자(206a)는 이미 폐쇄방향으로 온한 위치에 있고, 상술한 폐쇄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해도, 상기 조작자(206a)가 움직이지 않고, 온 상태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부주의로 오프가 되는 경우는 없다.
도 26에 도시한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그 조작자(206a)가 케이스(200)의 상면부(201J)에서 우측문(103b)의 개폐방향(우측문(103b)은 회전식이므로 회전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Q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자(206a)가 온하는 방향을 상기 우측문(103b)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단을 향하는 방향(화살표 Q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206)를, 그 조작자(206a)가 케이스(200)의 상면부(201J)에서, 우측문(103b)의 개폐방향(우측문(103b)은 회전식이므로 회전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Q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설치하면,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조작자(206a)에 원심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와 같이, 조작자(206a)가 온하는 방향을 상기 우측문(103b)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단을 향하는 방향(화살표 Q방향)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작자(206a)는 이미 원심방향으로 온한 위치에 있고, 상술한 원심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해도, 상기 조작자(206a)가 움직이지는 일이 없고, 온 상태 그대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스위치(206)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부주의로 오프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슬라이드 스위치(206)는 그 조작자(206a)를 케이스(200)의 우측면부(201M)에 설치한 점 이외에는 도 26의 슬라이드 스위치(206)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27의 슬라이드 스위치(206)에서도, 상기한 도 26의 슬라이드 스위치(206)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5 실시형태>
도 28은 제5 실시형태의 카메라 장치(22)를 나타내는 도 18 상당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2)는 촬상부(211)가 케이스(200)의 상하 방향 중심(부호 C1으로 표시)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카메라 장치(2)가 우측문(103b)의 개폐시에 가령 카메라 장치(2)가 움직이는(상부가 경동(傾動)하는) 경우가 있어도, 촬상부(211)의 움직임은 작으므로, 촬상범위의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를 배치하는 문은 인출식 문이어도 좋고, 상기 인출식 문의 개폐시에서도, 동일하게 카메라 장치는 당초 예정한 설치장소로부터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배치하는 문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문 개방식의 1매의 문이어도 좋다. 또한, 도 12의 도어포켓(109b)과 카메라 장치(2)의 전후방향의 간극은, 음료용 페트병이 수납되지 않는 길이 이하(용량 1.5리터의 페트병의 외부직경 치수인 8.9㎝ 이하인 7㎝(바람직하게는 500미리리터의 용량의 페트병의 외부직경 치수 6.8㎝ 이하인 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메라 장치(2)의 앞에 페트병이 수납되면 촬상을 할 수 없으므로, 페트병을 수납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실시형태>
도 29~도 31은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것을 설명하고, 또한 카메라 장치(2)의 자세나 렌즈 등에 착안하여, 그 구체적인 배치예나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효과도 함께 상술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촬상용 창부(201b)는 외측이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져 있고, 렌즈로 광각 렌즈를 사용했다고 해도 후술한 촬상부(211)의 촬상범위가, 상기 촬상용 창부(201b)를 촬상하지 않는 촬상범위가 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6 실시형태에서의 복수의 선반판(111a~111d)은 예를 들어 유리 등의 투명성 재료로 형성된 판 부재에 상당한다. 이들 선반판(111a~111d)은 모두 거의 수평이고, 상호 수평이다.
상기 카메라 장치(2)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최상단의 선반판(111a)의 상면에 위치 결정 부재(180)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선반판(111a)의 상면이 배치면이 되고, 상기 일면부(201l)가 피배치면이 된다. 이 경우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판 부재가 거의 수평상태의 선반판(111a~111d)인 경우이고 가장 위의 선반판(111a)의 상면 중앙에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가 하방향 배치된 상태에서, 고내(이 경우 냉장실(103))의 저면의 좌우단부 또는 전후단부가 들어가는 촬상범위이다. 상기 카메라 장치(2)의 배치 상태에서는 도 3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가장 바깥 렌즈(211b))는 선반판(111a)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본 제6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장치(2)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 내에 설치된 촬상수단으로서의 촬상부(211)를 구비하고,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설치한 촬상용 창부(201b)로부터 촬상부(211)에 의해 냉장실(103) 내부(저장고 내부)를 촬상한다. 그리고, 이 카메라 장치(2)는 케이스(200)를, 그 일면부(201l)가 냉장실(103) 내부를 향하는 자세로, 냉장고(1)가 구비한 저장물 배치용 판부재로서의 선반판(111a)에 배치했다.
상기 선반판(111a~111d)은 저장물 배치용이므로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카메라 장치(2)의 케이스(200)를 배치하는 데에도 최적이다. 특히 최상단의 선반판(111a)에,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외측 렌즈(211b)가 있고 촬상방향을 향하는 면)를 상기 선반판(111a)의 상면에 하방향으로 배치하면, 고내를 넓게 촬상범위에 넣을 수 있고,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반판(111a)을 이용하여, 촬상방향을 적정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반판(111a)이 투명한 부재이므로 선반판(111a) 하방을 지장없이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선반판(111a)이 불투명하면, 촬상부(211)에 대응하는 부분에 촬상용 구멍부를 형성하면 좋다.
상기 촬상부(211)가 렌즈로서 외측 렌즈(211b)와 렌즈 조립(211c)을 구비하고, 촬상용 창부(201b)에 렌즈인 외측 렌즈(211b)를 배치하여, 상기 외측 렌즈(211b)는 상기 선반판(111a)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르면, 외측 렌즈(211b)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211b)를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보다 오목한 위치에 설치했으므로, 외측 렌즈(211b)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렌즈(211b)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일면부(201l)를 평탄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일면부(201l)를 그대로 배치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렌즈(211b)와 렌즈 조립(211c)으로 이루어진 렌즈를 광각 렌즈로 구성하고, 상기 광각 렌즈를 사용하면서도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를, 촬상용 창부(201b)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촬상하지 않는 촬상범위로 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광각 렌즈에 의한 광범위의 촬상범위의 전체를 고내 촬상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를 광각 렌즈로 구성하고,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를, 판부재가 거의 수평 상태의 복수의 선반판(111a~111d)인 경우이고 가장 위의 선반판(111a)의 상면 중앙에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가 하방향 배치된 상태에서, 고내의 저면의 좌우단부 또는 전후단부가 들어가는 촬상범위로 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내를 충분히 넓은 범위로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선반판(111a)은 투명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를 선반판(111a) 상면에 배치해도, 선반판(111a) 하방을 지장없이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조도 센서(21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판 부재가 투명인 경우에, 일면부(201l)를 배치해도, 고내의 광(실내 조명등(130, 132)의 소정 패턴의 점멸)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향하는 측인 일면부(201l)가 실내 조명등(130, 132)로부터의 광(소정 패턴의 점멸)을 받는 측이므로, 이 일면부(201l)에 조도 센서(215)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조명등(130, 132)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기 쉽다.
상기 케이스(200)를 직방체로 했으므로, 어떤 면부도 피배치면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면부(201l)를 상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촬상용 창부(201b)를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의 중앙에 형성했으므로, 예를 들어 도 30 및 도 31에서 카메라 장치(2)를 다시 배치한 바와 같은 경우에, 케이스(200)가 수평방향으로 180° 회전되어 재배치되었다고 해도 전회와 동일한 촬상범위를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고내를 조명하는 촬상용 조명수단으로서의 촬상 라이트(214)를 설치했으므로, 문 폐쇄 상태에서는 어두운 고내를 양호하게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 라이트(214)를 복수 구비하고, 촬상용 창부(201b)의 주위에 설치했으므로, 촬상부(211)가 촬상하고자 하는 시야에 대해서 넓게 광을 받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촬상 라이트(214)를 촬상용 창부(201b)를 끼우는 부위에 위치시켰으므로, 촬상방향 중심의 양측에 광을 닿게 할 수 있어, 촬상 범위가 세로로 긴 경우나, 가로로 긴 경우에 그 전체에 광을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촬상 라이트(214)를 촬상용 창부(201b)에 대해서 균등 거리의 부위에 위치시켰으므로,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 조도 센서(215)를 설치하고, 조도 센서(215)의 수광특성은 저장고가 구비한 조명수단인 실내조명등(130, 132)의 발광특성과 거의 동일하게 했다. 이에 따르면, 조도 센서(215)의 수광감도가 좋아지고, 실내 조명등(130, 132)으로부터의 촬상지령(소정 패턴의 점멸)을 확실하게 수광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는 렌즈(외측 렌즈(211b))보다 케이스(200)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렌즈가 선반판(111a)에 접촉되는 일이 없다.
<제7 실시형태>
도 32 및 도 33은 제7 실시형태에 대해서 야채실 부분을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제7 실시형태에서는 판 부재로서, 선반판 이외에 상하 2단의 저장용기인 상측 야채용기 상하 2개의 야채용기(104b, 104c)가 있다. 이 경우 상측의 야채용기(104b)의 저부 상면에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를 배치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촬상부(211)의 촬상범위는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가 상측의 야채용기(104b)의 저부 중앙에 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측의 야채용기(104c)의 저면의 좌우단부 또는 전후단부가 들어가는 촬상범위로 하고 있다.
본 제7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측의 야채용기(102b)를 이용하여 케이스(200)를 적정 방향(하측의 야채용기(104c) 내를 촬상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촬상범위도 적정 범위가 된다.
또한,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에는 스위치의 조작부를 설치해도 좋고, 이 경우 상기 조작부를 일면부(201l)와 면일치 또는 움푹 들어가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일면부(201l)에 스위치의 조작부가 있어도, 상기 일면부(201l)를 판 부재로 배치할 수 있다(일면부(201l)를 피배치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와 다른 면부에, 조도 센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일면부(201l)를 피배치면으로 한 경우에, 실내 조명등(130, 132)로부터의 소정 패턴의 점멸을 양호하게 수광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제8 실시형태로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2)를,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의 촬상용 창부(201b)로부터 촬상부(211)가 돌출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촬상부(211)의 외측 렌즈가 선반판(111a)(판 부재)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착구(235)를 일면부(201l)측에 배치하면 좋다.
<제9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로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일면부(201l)를 판 부재로서의 도어포켓(109b)의 세로벽 내면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도어포켓(109b)의 세로벽은 고내를 향하고 나서 일면부(201l)도 고내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포켓(109b)을 이용하여 일면부(201l)를 케이스(200)에 적정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적정 구성 요소를 조합하거나, 구성요소의 추가나 생략, 변경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2)에서 「통신모듈(213)이 촬상부(211)보다 냉장고(1) 외측에 배치하는 구성」과, 「케이스(200)의 안팎을 수밀하게 시일하는 방수수단을 구비한 구성」과, 「케이스(200)의 중심(체적중심)(C)에 대해서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G)을 다르게 하는 구성」과, 「케이스(200)를, 그 일면부(201l)가 냉장실(103) 내부를 향하는 자세로, 냉장고(1)에서의 저장물 배치용의 판부재로서의 선반판(111a)에 배치하는 구성」을 모두 실시하는 형태로 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하며, 각 발명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금속제의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회로 패턴은 거의 기판 전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패턴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유닛은 저장고가 갖는 문으로부터 저장고 내를 촬상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전지는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문 사이의 부분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문은 비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를 접합하여 구성되고, 접합부분은 방수수단으로서의 패킹이 개재(介在)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전지를 삽입 배치하는 전지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지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덮개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는 방수수단으로서의 패킹이 개재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덮개는 나사에 의해 상기 전지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에 부착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패킹은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촬상용 창부에는 상기 촬상수단이 갖는 외각을 끼워 맞추고, 상기 외각과 상기 촬상용 창부 사이에 방수수단으로서의 O링을 개재시킨,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촬상용 창부가 존재하는 일면부가 시트 형상의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촬상용 창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촬상용 창부를 커버 부재 외부로 보여지도록 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에는 무공 형상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 대해서 접착 고정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상기 조도 센서를 외부로 보이게 하는 조도 센서용 창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디자인 인쇄가 실시되되, 상기 커버 부재에서 상기 조도 센서용 창부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디자인 인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 대해서 양면 테입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상기 커버 부재에서의 상기 디자인 인쇄는 상기 커버 부재에서의 상기 접착되는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푸시형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의 조작자를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용 구멍부를 갖고, 상기 스위치용 구멍부는 방수수단으로서의 스위치 커버에 의해 폐색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스위치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스위치용 구멍부가 존재하는 면부에 접착되어 상기 스위치용 구멍부를 폐색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스위치 커버에는 디자인 인쇄가 실시되고, 상기 디자인 인쇄는 상기 스위치 커버가 접착되는 측의 면에 존재하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한 벽부의 내면 근방에 리드 스위치를 설치하고, 자석을 구비한 조작부재를, 상기 한 벽부의 외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벽부를 통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와 대향하는 부위와 대향하지 않는 부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리드 스위치와 조작부재가 상기 한 벽부에서 이격되는 구성을 상기 방수수단으로 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촬상수단의 가장 바깥면은 상기 촬상용 창부의 최외측부에 대해서 오목한 위치에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렌즈의 전방측에는 방수수단으로서의 방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에는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지는 리튬전지인, 식품저장고.
상기 케이스에는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지는 1차 전지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추가로 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는 케이스에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방지수단은 스위치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촬상수단은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는 광각 렌즈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하방향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렌즈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보다 오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상기 렌즈보다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렌즈의 촬상방향측에는 투명부재로 이루어진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렌즈는 광각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범위는 상기 촬상용 창부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촬상하지 않는 촬상범위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저장고는 상기 판부재로서 투명재료로 구성된 판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스위치의 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일면부와 면일치 또는 움푹 들어가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조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와 다른 면부에는 조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는 직방체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촬상용 창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복수의 촬상용 조명수단은 상기 촬상용 창부를 끼우는 부위에 위치하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복수의 촬상용 조명수단은 상기 촬상용 창부의 주위이고 상기 촬상용 창부에 대해서 균등거리의 부위에 위치하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조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특성은 상기 저장고가 구비한 조명수단의 발광특성과 거의 동일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냉장고(저장고, 식품저장고)
2: 카메라 장치(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식품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4: 조작단말 6: 서버
200: 케이스 203: 패킹(방수수단)
204: 커버부재(방수수단) 205: 스위치 커버(방수수단)
206: 슬라이드 스위치 208: 전지
211: 촬상부(촬상수단) 211f: O링(방수수단)
212: 기판 213: 통신모듈(통신수단)
214: 촬상 라이트(촬상용 조명수단) 215: 조도센서
216: 설정 스위치(스위치, 방지수단)
217: 모드 스위치(스위치, 방지수단)
220: 카메라측 제어부
130, 132: 실내조명등(조명수단) 134: 통신 어댑터
100: 실내 촬상 시스템

Claims (69)

  1.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촬상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용 창부, 및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상기 저장고 밖으로 송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전원이 온된 후에, 통상 동작 모드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낮은 슬립 제어 상태가 되는 슬립 제어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통신수단의 동작을 정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립 제어 모드에서 촬상지시로서 소정의 패턴으로 발해진 광에너지를 상기 저장고의 내부에서 받았을 때, 상기 슬립 제어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여, 상기 케이스가 설치된 상기 저장고의 내부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하는 구성으로 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촬상수단보다 상기 저장고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기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통신수단보다 저장고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과 상기 기판과 상기 통신수단은 유닛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유닛에는 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전지는 상기 통신수단을 덮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촬상 수단과 상기 기판과 상기 통신수단을 상기 케이스에 수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비금속제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저장고의 문에는 상기 통신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금속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11. 삭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기판의 거리가, 무선전파의 파장의 1/2의 길이의 배수의 치수가 되는 위치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기판의 거리가, 무선전파의 파장의 1/2 이하의 치수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기판의 거리가 무선전파의 파장의 1/4의 치수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는, 식품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로서,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고에 탑재되고,
    상기 케이스의 안팎을 수밀(水密)하게 시일하는 방수수단을 구비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기부품을 접속하는 접속단자 또는 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부품을 접속하는 접속단자 또는 전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거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추가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는, 저장고의 문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심에 대해서 장치 전체의 무게중심이 다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37. 삭제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전지와 반대측의 바깥면에는, 상기 바깥면에서 얹히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39. 삭제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문에 배치된 상부 개방형 상자형상을 이루는 홀더 케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홀더 케이스의 고내측의 벽부는 상기 케이스의 높이의 반보다 길게 구성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41. 제 36 항에 있어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와는 다르거나;
    조작자가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여 상기 문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상기 조작자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하방향이고, 또한 온하는 방향이 하방향이거나;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고 상기 문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하 방향과 다른 방향이거나;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기 문의 개폐방향이고 또한 온하는 방향이 문의 폐쇄 방향이거나;
    상기 문은 회전식이고,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기 문의 회전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 또한 온하는 방향이 상기 문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문의 개폐단을 향하는 방향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범위는 촬상수단이 상기 문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퉁이, 또는 상하방향의 안쪽길이의 모퉁이를 포함하는 범위이거나;
    상기 촬상수단인 촬상범위는 촬상수단이 상기 문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내에 배치된 선반판의 전방단의 좌우단부, 또는 상하 복수로 배치된 선반판의 적어도 인접하는 2개의 선반판의 전방단, 또는 최상단 및 최하단의 선반판의 전방단이 들어가는 범위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촬상수단과, 기판과, 통신수단이 그 순서로 배치되고, 이들 촬상수단과, 기판과, 통신수단의 하측에 전지가 배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는 저장물 배치용의 판부재를 구비한 저장고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상기 일면부가 상기 저장고 내부를 향하는 자세로, 상기 판부재에 배치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용 창부에는 상기 렌즈가 배치되며,
    상기 렌즈는 상기 판부재에 접촉되지 않는 구성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각 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범위는, 상기 판 부재가 거의 수평상태의 복수의 선반판이고 가장 위의 선반판의 상면 중앙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가 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내의 저면의 좌우 단부 또는 전후 단부가 들어가는 촬상범위이거나;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범위는, 상기 판 부재가 상하 2단의 저장용기로서 상측의 저장용기의 저부의 상면 중앙에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가 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측의 저장용기의 저면의 좌우 단부 또는 전후 단부가 들어가는 촬상범위인,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부에는 고내를 조명하는 복수의 촬상용 조명수단이 상기 촬상용 창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제 1 항에 기재된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저장고.
KR1020167003931A 2013-08-28 2014-08-18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KR101858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6759 2013-08-28
JP2013176760A JP6223748B2 (ja) 2013-08-28 2013-08-28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2013176759A JP6315921B2 (ja) 2013-08-28 2013-08-28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JP-P-2013-176757 2013-08-28
JP2013176757A JP6239902B2 (ja) 2013-08-28 2013-08-28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JP-P-2013-176760 2013-08-28
JP2013176758A JP6223747B2 (ja) 2013-08-28 2013-08-28 食品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食品貯蔵庫
JPJP-P-2013-176758 2013-08-28
PCT/JP2014/071563 WO2015029824A1 (ja) 2013-08-28 2014-08-18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344A KR20160034344A (ko) 2016-03-29
KR101858877B1 true KR101858877B1 (ko) 2018-06-28

Family

ID=5258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931A KR101858877B1 (ko) 2013-08-28 2014-08-18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661281B2 (ko)
EP (2) EP3480654A1 (ko)
KR (1) KR101858877B1 (ko)
CN (3) CN110995984A (ko)
TW (1) TWI614469B (ko)
WO (1) WO20150298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06B1 (ko) 2023-08-09 2024-05-03 김준혁 온라인 거래시스템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2519B (zh) 2013-04-23 2020-05-26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DE102013216769B4 (de) * 2013-08-23 2017-07-2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Türabsteller
KR101858877B1 (ko) * 2013-08-28 2018-06-28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DE102015216922A1 (de) * 2015-09-03 2017-03-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tür und Haushaltsgerät mit einer Haushaltsgerätetür
KR102118156B1 (ko) * 2016-07-28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80224150A1 (en) * 2017-02-08 2018-08-09 Walmart Apollo, Llc System for monitoring an open container
US10582790B2 (en) * 2017-02-23 2020-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ottle storage
JP2018174361A (ja) * 2017-03-31 2018-11-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9000424B (zh) * 2017-06-07 2022-05-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获取冰箱内部信息的方法及冰箱
US10684065B2 (en) 2017-06-26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7012263B2 (ja) * 2017-10-06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09683435A (zh) * 2017-10-18 2019-04-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头防雾装置及具有该摄像头防雾装置的冰箱
DE102017221868A1 (de) 2017-12-05 2019-06-0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ensor zum Detektieren einer Türbewegung
KR102535152B1 (ko) * 2018-04-17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419434B1 (en) * 2018-10-03 2022-08-23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door handle camera
US11650628B1 (en) 2018-10-03 2023-05-16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ouch screen
CN111698394A (zh) * 2019-03-13 2020-09-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箱体内的摄像头组件和冰箱
CN111698395A (zh) * 2019-03-13 2020-09-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箱体内的摄像头组件和冰箱
DE102019204534A1 (de) * 2019-04-01 2020-10-0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in einer Tür angeordneter Kamera
US11656025B2 (en) 2019-12-30 2023-05-23 Whirlpool Corporation Resilient housing
DE102020206008A1 (de) 2020-05-13 2021-11-18 BSH Hausgeräte GmbH Aufnehmen von Bildern einer Schublade eines Haushalts-Kühlgeräts
DE102020210278A1 (de) * 2020-08-13 2022-02-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amera und einem damit verbundenen Hinterlegteil, sowie Verfahren
KR20220023599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용 카메라 이슬맺힘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018506B (zh) * 2020-08-31 2021-11-23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应用于可穿戴设备的电源装置及便携设备
US11692769B2 (en) * 2020-11-17 2023-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DE102021200495A1 (de) 2021-01-20 2022-07-2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amera und positionsfixierter Anordnung eines Moduls in einem Gehäuseschacht der Kamera, sowie Verfahr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962A (ja) * 2001-03-29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4183987A (ja) 2002-12-04 2004-07-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JP2007132089A (ja) * 2005-11-10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通信装置
JP2008075925A (ja) 2006-09-20 2008-04-03 Sharp Corp 冷蔵庫
JP4522907B2 (ja) * 2005-04-15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10261620A (ja) 2009-04-30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335A (ja) 1989-10-06 1991-05-27 Konan Camera Kenkyusho:Kk 簡易防水カメラの撮影窓における水滴防止装置
JPH0545042A (ja) 1991-08-09 1993-02-23 Sharp Corp 注意表示付冷凍冷蔵庫
JPH11281766A (ja) 1998-03-26 1999-10-15 Rhythm Watch Co Ltd 時計装置
SE521047C2 (sv) * 1999-02-19 2003-09-23 Rutger Roseen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ge information om innehållet i ett skåp
JP2000305136A (ja) 1999-04-16 2000-11-02 Tokuzo Hirose 車載カメラ装置
US7760905B2 (en) 1999-06-29 2010-07-20 Digimarc Corporation Wireless mobile phone with content processing
US6403954B1 (en) 1999-12-08 2002-06-11 Archimedes Technology Group, Inc. Linear filter
JP2001294308A (ja) * 2000-04-10 2001-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品収納庫
JP2002267336A (ja) 2001-03-09 2002-09-18 Hitachi Ltd 庫内等の収納物を携帯電話等に表示するシステム
JP2002340471A (ja) 2001-05-18 2002-11-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内部表示システム
JP2003207258A (ja) 2002-01-16 2003-07-25 Toshiba Corp 冷蔵庫
KR20030068415A (ko) * 2002-02-14 2003-08-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 전자기기 및 카메라
JP2004179850A (ja) 2002-11-26 2004-06-24 Sony Corp カメラ
AU2004249063B2 (en) * 2003-06-24 2008-12-11 Olympus Corporation Encapsulated endoscope and encapsulated endoscope system
JP4265341B2 (ja) * 2003-08-19 2009-05-20 株式会社ニコン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機能付き蓋部材
JP4453484B2 (ja) 2004-07-13 2010-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086676A (ja) 2005-09-26 2007-04-05 Sony Corp 防水ケース
CA2636104A1 (en) * 2006-01-05 2007-07-19 Suzette M. Fowler Video door viewer
JP2007329823A (ja) 2006-06-09 2007-12-20 Fujifilm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制御方法
WO2009078060A1 (ja) 2007-12-14 2009-06-25 Fujitsu Limited シールドケース、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情報機器
JP2009200752A (ja) * 2008-02-20 2009-09-03 Panason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098161A (ja) 2008-10-17 2010-04-30 Victor Co Of Japan Ltd 開閉蓋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00170289A1 (en) * 2009-01-06 2010-07-08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Imaging of Appliance Interiors
WO2011004569A1 (ja) 2009-07-10 2011-0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201623800U (zh) * 2009-12-25 2010-11-03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及其储藏物监视系统
CN101790082B (zh) * 2010-01-14 2013-01-02 中山大学深圳研究院 一种数字家庭网络中的智能冰箱系统及控制方法
CN101853745B (zh) * 2010-06-18 2012-09-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源开关模块及具有该电源开关模块的电子装置
JP2012027422A (ja) 2010-07-28 2012-02-09 Jvc Kenwood Corp 撮像装置
US8756942B2 (en) * 2010-07-29 2014-06-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201217731A (en) * 2010-10-19 2012-05-01 Cheng-Tzong Lee Intellectual refrigerator combining with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30052616A1 (en) * 2011-03-17 2013-02-28 Sears Brand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vice management with sharing and programming capabilities
KR101774054B1 (ko) 2011-04-15 2017-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251722A (ja) 2011-06-03 2012-12-20 Panasonic Corp 冷蔵庫
JP5862225B2 (ja) 2011-11-22 2016-02-1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JP6498866B2 (ja) * 2013-03-12 2019-04-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
KR102000448B1 (ko) * 2013-03-27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4595B1 (ko) * 2013-04-25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47553A1 (en) * 2013-05-24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s with light sources for reduced shadow, controllers and methods
DE102013211096A1 (de) * 2013-06-14 2014-12-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esystem
KR101858877B1 (ko) * 2013-08-28 2018-06-28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962A (ja) * 2001-03-29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4183987A (ja) 2002-12-04 2004-07-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JP4522907B2 (ja) * 2005-04-15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7132089A (ja) * 2005-11-10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通信装置
JP2008075925A (ja) 2006-09-20 2008-04-03 Sharp Corp 冷蔵庫
JP2010261620A (ja) 2009-04-30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06B1 (ko) 2023-08-09 2024-05-03 김준혁 온라인 거래시스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0773B1 (en) 2019-02-06
CN110995983A (zh) 2020-04-10
US10244210B2 (en) 2019-03-26
CN105474087A (zh) 2016-04-06
TW201508233A (zh) 2015-03-01
KR20160034344A (ko) 2016-03-29
US20170187992A1 (en) 2017-06-29
CN110995984A (zh) 2020-04-10
US20180167589A1 (en) 2018-06-14
EP3040773A4 (en) 2017-03-15
US9661281B2 (en) 2017-05-23
EP3040773A1 (en) 2016-07-06
TWI614469B (zh) 2018-02-11
US20160182868A1 (en) 2016-06-23
US10694154B2 (en) 2020-06-23
WO2015029824A1 (ja) 2015-03-05
US20190174100A1 (en) 2019-06-06
EP3480654A1 (en) 2019-05-08
US9924140B2 (en)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77B1 (ko) 저장고용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저장고
JP6223747B2 (ja) 食品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食品貯蔵庫
US10362275B2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device
JP6494946B2 (ja) 冷蔵庫
JP6239902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7029514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2018063111A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2019095816A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2019195217A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6223748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6504577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6315921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6559755B2 (ja) 貯蔵庫用カメ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JP6722791B2 (ja) 冷蔵庫
JP2020148459A (ja) 冷蔵庫
JP6655697B2 (ja) 撮像装置用ホルダ及び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