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977B1 -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977B1
KR101853977B1 KR1020120049487A KR20120049487A KR101853977B1 KR 101853977 B1 KR101853977 B1 KR 101853977B1 KR 1020120049487 A KR1020120049487 A KR 1020120049487A KR 20120049487 A KR20120049487 A KR 20120049487A KR 101853977 B1 KR101853977 B1 KR 10185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handle
window
alarm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5892A (en
Inventor
우한울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977B1/en
Publication of KR2013012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3/00Safety devices for use in window-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leaner which contacts one side of a window and has a first handle and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cleaner that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and moves along the window together with the first cleaner and has a second handle and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handle, And an alarm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of each handle is in an abnormal position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Description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본 명세서는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자동 청소기는 주택이나 건물의 바닥면을 주행하면서 청소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은 구동 모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바닥면은 편평한 지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자동 청소기가 상기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 Generally, an automatic cleaner is cleaned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of a house or a building. The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automatic cleaner may be generated by a driving motor. Since the floor has a flat surfac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for the automatic cleaner to travel using the drive motor.

다만, 청소면이 편평한 지면이 아니라 경사진 청소면, 즉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주행이 제한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leaning surface is not a flat surface but a sloping cleaning surface, that is, when cleaning the upwardly inclined cleaning surface in the traveling direction, traveling of the automatic cleaner may be restricted.

특히, 청소면이 건물에 구비되는 유리창일 경우, 상기 자동 청소기의 사용은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청소되어야 하는 실정이었다.Particularly, when the cleaned surface is a glass window provided in the building, the use of the automatic cleaner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 window glass has to be manually cleaned by the user.

근래에는 유리창과 같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청소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자동 청소기가 제안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n automatic cleaner such as a window glass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a cleaning surface, which is disposed obliquely o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has been proposed.

유리창 청소가 가능한 자동 청소기는 실내 측에 구비되는 내부 모듈과, 실외 측에 구비되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며,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이 일 예로 자석에 의해서 유리창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 모듈에는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utomatic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window glass includes an inner module provided on the indoor side and an outer module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and the inner module and the outer module are kept attached to the windshield by a magnet, for example. Each module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for easy handling by the user.

그런데, 종래의 자동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는 경우에 아무런 경고나 알림이 발생하지 않아, 반대편에 위치하는 모듈이 추락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utomatic cleaner, when a user grasps one of the inner and outer grips, no warning or notification occurs, and the modul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alls and is damaged .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부착된 청소기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cleaner attached to a window is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carelessness by a user.

일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leaner which contacts one side of a window and has a first handle and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cleaner that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and moves along the window together with the first cleaner and has a second handle and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handle, And an alarm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of each handle is in an abnormal position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다른 측면에 다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건물 내측에서 창문에 접촉하는 내부 모듈; 및 건물 외측에서 상기 창문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모듈과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모듈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알람을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window-type cleaning device on the other side includes an internal module that contacts the window from inside the building; And an external module that contacts the window from outside the building and can move along the window together with the internal module. The internal module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and an alarm And an alarm is generated in the alarm unit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posi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은, 창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와 제2청소기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의 손잡이의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및 감지 결과,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cleaner and a second cleaner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window, the method comprising: ; And generating an alarm at one or more of the cleaners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알람부에서 발생되는 알람에 의해서, 사용자는 손잡이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정상 상태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주의하게 손잡이를 당겨, 어느 한 청소기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alarm generated by the alarm unit allow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knob is in the abnormal stat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knob to be in the normal state, By pulling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ertain cleaner from dropping and being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손잡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청소기가 낙하 방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의 사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handle is provided o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all prevention device.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op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제1청소기(10)와, 제2청소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5)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청소기(20)가 청소 대상물(5)의 타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는 인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indow 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eaner 10 and a second cleaner 20. When the first cleaner 1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5 and the second cleaner 2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5, The vacuum cleaner 20 can be fixed in position by a force.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건물 내측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건물 외측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the first cleaner 10 contacts the cleaning object 5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the second cleaner 20 contacts the cleaning object 5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 will explain.

따라서, 상기 제1청소기(10)를 내부 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2청소기(20)를 외부 모듈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건물 내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first cleaner 10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nal module, and the second cleaner 20 may be referred to as an external module. Of course, conversely, the first cleaner 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second cleaner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uilding.

이 때, 상기 청소 대상물(5)은 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수직을 포함함) 배치될 수 있으며, 지면은 건물 또는 어떠한 장소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청소 대상물(5)은 창문 또는 유리창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bject 5 to be cleaned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including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ground may be understood a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loor of the building or some place. Illustratively, the object to be cleaned 5 may be a window or a window.

상기 제1청소기(10)는, 이동을 위한 복수의 휠(11)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손잡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12)는 상기 제1청소기(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손잡이(12)를 잡고 상기 제1청소기(1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근하거나 청소 대상물(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The first cleaner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11 for movement and a first handle 12 that the user can grasp. The first handle 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vacuum cleaner 10. The user can hold the first handle 12 to mov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toward or away from the object 5 to be cleaned.

상기 제1청소기(10)는, 이동 시 창문 틀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14, 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vacuum cleaner 10 may further include a bumper 14, 15 for absorbing an impact with the window frame when moving.

상기 제2청소기(20)는,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와,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청소 부재(21, 22)의 내측에 상기 각 제 2 청소 부재(23, 24)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와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leaner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leaning members 21 and 22 and a plurality of second cleaning members 23 and 24. The second cleaning members 23 and 24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cleaning members 21 and 22, respectively. That is, the plurality of second cleaning members (23, 2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members (21, 22).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members (21, 2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leaning members (23, 24)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청소기(20)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과 슬라이딩되어 상기 청소 대상물(5)을 닦는다.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members 21 and 2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for example. Therefore, when the second cleaner 20 is moved, the plurality of first cleaning members 21 and 22 are slid with the cleaning object 5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object 5, 5).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일 예로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물 분사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을 닦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물을 상기 제 2 청소 부재(23, 34)로 분사하거나 상기 청소 대상물(5)로 직접 분사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cleaning members 23 and 24 may be formed of a fiber material,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cleaner 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jection device,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leaning members 23 and 24 may clean the object 5 to be cleaned with water . For example, the water injection device may spray water with the second cleaning member (23, 34) or directly spray the cleaning object (5).

물론, 상기 제1청소기(10)에도 청소 대상물(5)을 청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청소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Of course, the first cleaner 10 may also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cleaning members for cleaning the object 5 to be cleaned.

상기 제2청소기(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손잡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25)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손잡이(12)를 잡고 상기 제2청소기(2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근하거나 청소 대상물(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andle 25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econd handle 2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The user can hold the second handle 12 and bring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closer to or away from the object to be cleaned 5.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청소기(10)의 제1손잡이(12)와 상기 제2청소기(20)의 제2손잡이(25)를 잡고,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시키나, 상기 청소 대상물(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grasps the first handle 12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and the second handle 25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so that the cleaners 10, , But can be separated from the object 5 to be clea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손잡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handle is provided o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청소기(10)는, 복수의 휠(11) 각각에 연결되는 제1구동부(111) 및 제2구동부(112)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13)와, 상기 제2청소기(2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114)와, 하나 이상의 제1자석(115)과,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부(116)와, 상기 제1청소기(10)의 설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도 센서(119) 및 상기 각 구동부(111, 112)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111 and a second driving unit 112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heels 11, a battery 113 for power supply, ,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4)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leaner (20), at least one first magnet (115), an impact sensing unit (116) for sensing an impact, An angle sensor 119 for detec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leaner 10 and a first controller 11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drivers 111 and 112.

상기 제1구동부(111)와 제2구동부(112)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구동부(111, 112)의 회전 속도에 조절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는 전후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 first driving unit 11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12 may be independently driven. Therefor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s of the driving units 111 and 112.

상기 충격 감지부(116)는, 일 예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충격 감지부(116)가 네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1청소기(10)의 네 코너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상기 범퍼(14, 15)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범퍼(14, 15)가 창문 틀과 충돌하면, 상기 네 개의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110)는 상기 제1청소기(10)가 창문 틀과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상기 각 구동부(111, 112)를 제어하게 된다. The impact sensing unit 1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impact sensing unit 116 may include four switches. The four switches may be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respectively. The four switches can be pressed by the bumper (14, 15). For example, when the bumper (14, 15) collides with the window frame, at least one of the four switches is pressed so that the first controller (110) So that the driving units 111 and 112 are controlled.

상기 제1청소기(20)는, 상기 제1손잡이(12)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1감지부(117)가 상기 제1손잡이(12)를 미감지한 상태에서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알람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leaner 20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117 for sensing the first handle 12 and a second sensing unit 117 for sensing a state where the first sensing unit 117 senses the first handle 12 And an alarm unit 118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상기 제2청소기(20)는, 상기 제1통신부(114)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11)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2)와, 하나 이상의 제2자석(213)과, 상기 제2손잡이(25)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214)와, 상기 제2감지부(214)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2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에도 알람부(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4, a battery 212 for supplying power, at least one second magnet 213, A second sensing unit 214 for sensing the second handle 25 and a second control unit 21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ing unit 214. [ The second cleaner 2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215.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이 대응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 간에 인력(자력)이 작용하여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경사진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경사진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낙하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magnet 115 and the second magnet 213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 force (magnetic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vacuum cleaner 10 and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20 can be kept attached to the oblique cleaning object 5. That is,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or sliding dow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leaning object 5.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인력은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거리에 따라서 가변되므로, 상기 제1청소기(10) 또는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상기 자석(115, 213)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자력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attracting force of the first magnet 115 and the second magnet 213 va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115 and the second magnet 213, 2 cleaner 20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magnets 115 and 213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 115 and the second magnet 213 hav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가 자석(115, 213)에 의한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청소기(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irst vacuum cleaner 10 and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mov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s 115 and 213, .

한편, 상기 각 청소기(10, 20)는 별도로 구비되는 리모컨(3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30)을 이용하여 각 청소기(10, 20)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리모컨(30)에도 알람부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can communicate with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30.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 or monitor the operation state thereof. Although not shown, the remote controller 30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alarm uni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손잡이(12, 25)는 일 예로 힌지(210)에 의해서 상기 각 청소기(10, 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21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에 형성되거나 상기 각 청소기(10, 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힌지(210)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여, 상기 각 손잡이(12, 25)와,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each handle 12, 2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cleaners 10, 20 by a hinge 210, for example. The hinge 210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grips 12 and 25 or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Alternatively, the hinge 210 may have a separate structure so that the handles 12 and 25 and the cleaners 10 and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 손잡이(12, 25)가 각 청소기(10, 2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도 1 및 도 3참조)(청소 대상물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음) 또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각 청소기(12, 25)의 상면 방향(도 3에서 A방향임)으로 들려지지 않은 상태를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in a state where each of the cleaners 10, 20 is attached to the object 5 to be cleaned, each of the grips 12, 25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each of the cleaners 10, (Not shown in FIG. 3) (the object to be cleaned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re not held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cleaners 12 and 25 Will be described as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knobs 12 and 25 are in a normal state.

반면,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각 청소기(10, 2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놓여지지 않거나 각 청소기(10, 20)의 상면 방향으로 들려진 상태를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re not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spective vacuum cleaners 10 and 20 or are lifted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s 10 and 20, It will be described that it is located in an abnormal state.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청소기(10, 20)의 상면 방향으로 들려진 상태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는 상태에서 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이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의 손잡이(12, 25)는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고, 상기 손잡이(12, 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상기 손잡이(12, 25)가 들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The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re lifted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of the cleaners 10 and 20 is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ther direction . That is, the grips 12 and 2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can not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y more, and the grips 12 and 25 can be rotated in the state where the grips 12 and 25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t means the state of truth.

상기 각 감지부(117, 214)는 일 예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경우, 상기 각 감지부(117, 214)는 상기 각 손잡이(12, 25)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may be, for example, switches. When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re in a normal state,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can sense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That is, the switch can be pressed when the respective knobs 12 and 25 are in the normal stat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부(117, 214)가 상기 손잡이(12, 2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감지부(117, 214)의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예시적으로, 상기 감지부(117, 214)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2, 25)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경우에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상기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된 경우에 비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감지부(117, 214)는 상기 각 손잡이(12, 25)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청소기(10, 20)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의 종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It is noted that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can sense the positions of the knobs 12 and 25 in this embodiment. Illustratively,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knobs 12 and 25 are in a normal state when the knobs 12 and 25 are rota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can be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knobs 12 and 25 are rotated beyond the predetermined range. 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may include magnets provided on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and magnetic sensors provided on the cleaners 10 and 20 to sense the magnets. hav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unit 117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1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각 청소기(10, 2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손잡이(12, 25)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0)는 일 예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고, 일단은 상기 각 청소기(10, 20) 또는 힌지(210)(힌지가 청소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임)에 고정되거나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2, 25)(힌지가 손잡이와 별도의 구성인 경우) 또는 힌지(210)(힌지가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청소 대상물(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각 손잡이(12, 25)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cleaners 10 and 2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23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so that the grips 12 and 25 can be positioned in a normal state . The elastic member 230 may be,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and one end thereof may be fixed or contacted with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or the hinge 210 (when the hin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eaner) The handles 12 and 25 (when the hinge is separate from the handle) or the hinge 210 (when the hing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can be connected. That is, the elastic member 23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so that the respective grips 12 and 25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s 12 and 25 approach the object 5 to be clean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각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거나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230 may be provided only in one of the cleaners 10 and 20, or may be provided in all of the cleaners 10 and 20.

다른 예로서, 상기 청소기(10, 20)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손잡이가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leaners 10, 20 may include a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the handle in its normal position.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 및 상기 청소기(10, 20) 각각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와 상기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와 상기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to each of the handle (12, 25) and the cleaner (10, 20). 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on one of the handle (12, 25) and the vacuum cleaner (10, 20) and a metal provided on the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mechanism may include a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the handle (12, 25) and the cleaner (10, 20), and a groove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handle and the protrus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청소 대상물(5)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창문형 청소 장치를 청소 대상물(5)에 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각 청소기(10, 20)의 손잡이(12, 25)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청소 대상물에 부착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 attaches the window-type cleaning device to the cleaning object 5 to perform the cleaning object 5. As described above, the user attaches the cleaners 10 and 20 to the object to be cleaned while holding the grips 12 and 25 of the cleaners 10 and 20, respectively.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can detect whether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object 5 (S1).

상기 제1청소기(10)는 각도 센서(119)를 구비하므로, 감지된 각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각도 센서(119)에 감지되는 각도가 0인 경우에,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면, 상기 각도 센서(119)에서 감지되는 각도는 0보다 큰 각도일 것이다. Sinc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ncludes the angle sensor 119,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based on the detected angle. For example, when the angle detected by the angle sensor 119 is 0 whil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horizontally positioned, when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attached to the object 5 to be cleaned, The angle sensed by the sensor 119 may be an angle greater than zero.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부에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각도 범위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센서(119)에서 감지된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 reference angle range for determining that the window-type clea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leaning object is stored in a memory unit (not shown), and when the angle detected by the angle sensor 119 is within the reference angle range ,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type clea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되었음이 감지된 후에는, 상기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 중 하나 이상에서 손잡이(12, 25)가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즉, 상기 각 청소기(10, 20)의 제어부(110, 210)는 상기 각 감지부(117, 214)에서 손잡이 미감지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fter it is detected that the window-type clea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rips 12 and 25 are sens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part 117 and the second sensing part 214 (S2). That is, the control units 110 and 210 of each of the cleaners 10 and 20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ouch sensing signals are output from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respectively.

만약,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 중 하나 이상에서 손잡이 미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한다(S3).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117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14 outputs a non-touch sensing signal, the alarm unit 118 generates an alarm at step S3.

예를 들어, 건물 외부에 배치된 제2청소기(20)의 제2감지부(214)에서 제2손잡이(25)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2통신부(211)에서 상기 제1통신부(114)로 손잡이 미감지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제1제어부(1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제2청소기(20)의 알람부(215)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청소기(10, 20)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30)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handle 25 is not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214 of the second cleaner 20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may sen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4, And the first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notification and controls the alarm unit 118 to generate an alarm. Of course, an alarm may also be generated in the alarm unit 215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At this time, if an alarm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cleaners 10 and 20, the remote controller 30 may also generate an alarm.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청소기(10)의 제1감지부(117)에서 제1손잡이(12)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1통신부(114)에서 상기 제2통신부(211)로 손잡이 미감지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제2제어부(2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215)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제1청소기(10)의 알람부(118)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handle 12 is not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117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4 transmits the grip handle sens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alarm unit 215 to generate an alarm. Of course, an alarm may also be generated in the alarm unit 118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그리고,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 만약,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주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주행을 정지한다(S5). 이 때,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각 감지부(117, 214)에서 손잡이(12, 25)가 감지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다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Then, the window-type clean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S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is running,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stops driving (S5). If the grips 12 and 25 a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s 117 and 214 while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is stopped,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can perform the cleaning while driving again.

본 실시 예에서 청소 대상물에 창문형 청소 장치가 부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시기는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로 청소 명령이 입력된 후이거나, 청소 명령이 입력되기 전이거나, 주행 중일 수 있으며, 시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 type clean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leaning object after the cleaning command is inputted by the window type cleaning device, before the cleaning command is input, or when the window type cleaning device is running, Leave.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손잡이(12, 25)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2, 25)를 정상 상태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부주의하게 손잡이(12, 25)를 당겨, 어느 한 청소기(10, 20)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an alarm is generated in the alarm unit 118,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knobs 12 and 25 are in an abnormal state. 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knobs 12 and 25 to be in a normal state And the grips 12 and 25 can be pulled inadvertently to prevent any one of the cleaners 10 and 20 from falling and being dama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청소기가 낙하 방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all prevention device,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상기 제2청소기(2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일 예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결합되거나 창문 틀 또는 그 외의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고정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대상물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이 상기 청소 대상물(5)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op prevention device 40 for preventing the second cleaner 20 from falling. The drop prevention device 40 may be coupled to the cleaning object 5 or may b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or other parts. The drop prevention device 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That is, the fall preventing device 40 can be fixed to a fixed object, and the fixed object is not limited. Hereinafter,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xed object is the object 5 to be cleaned.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고정 대상물과 접촉하는 바디(410)와, 상기 바디(410)가 상기 고정 대상물(410)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420)와, 상기 바디(410)에 연결 또는 고정되며,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는 연결기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op prevention device 40 includes a body 410 to be in contact with a fixed object, a pressing part 420 to firmly contact the body 410 with the fixed object 410, And a connection mechanism 430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er 2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er 20.

상기 접촉부(410)는, 고정 대상물의 일면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412)와, 상기 접촉부(412)와 이격되며, 상기 가압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부(413)와, 상기 접촉부(412)와 상기 지지부(413)를 연결하는 연결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410 includes a contact portion 412 for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fixed, a support portion 413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412 and supports the press portion 420, And a connection part 411 connecting the support part 413 with each other.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지지부(413)를 관통할 수 있고, 그 단부에는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면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2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ushing portion 420 may penetrate the support portion 413 and may have a contact portion 422 at an end thereof for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fixed. The contact portion 42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for example.

상기 가압부(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42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420)의 접촉부(422)와 상기 바디(412)의 접촉부(412)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4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422 of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contact portion 412 of the body 412 becomes Lt; / RTI >

상기 연결기구(430)는 와이어(430)와, 상기 와이어(430)가 감기는 릴(미도시)와, 상기 와이어(430)가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상기 와이어(4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chanism 430 includes a wire 430, a reel (not shown) to which the wire 430 is wound,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ree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430 is wound, ). The second cleaner 20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not shown) for engaging the wire 430.

상기 제2청소기(20)가 상기 연결기구(430)와 멀어지는 경우, 상기 와이어(430)는 풀리게 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상기 연결기구(430)와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와이어(430)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감기게 된다. When the second cleaner 20 moves away from the connection mechanism 430, the wire 430 is released and when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comes close to the connection mechanism 430, Is wound by the elastic member.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청소기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서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2청소기(20)는 상기 와이어(430)의 길이 만큼 낙하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청소기(20)가 지면 또는 바닥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separated from the object to be cleaned 5 by the user without holding the handle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430, so that the second cleaner 20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ground or the floor and being damaged.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낙하 방지 장치가 건물 외측에 위치되는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건물 내측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1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낙하 방지 장치는 복수의 연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op preven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er 20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ut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irst cleaner 10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drop prevention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mechanism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ll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낙하 방지 장치(50)는,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는 부착부(510)와, 상기 부착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작부(520)와, 상기 조작부(520)에 구비되며 와이어(531)를 구비하는 연결기구(530)를 포함할 수 있다. 7, the drop prevention device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510 attached to the object 5 to be cleaned, an operation portion 520 for increasing the attachment force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mechanism 530 provided with a wire 531.

상기 연결기구(530)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며, 도 6에서 설명한 연결기구(4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mechanism 5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cuum cleaner 20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nection mechanism 4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부착부(510)는 상기 청소 대상물(512)에 접촉하는 접촉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ttachment portion 51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512 contacting the cleaning object 512. The contact portion 51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for example.

상기 조작부(520)를 조작하면, 상기 부착부(512)의 바디가 상기 접촉부(512)를 상기 청소 대상물(5)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512)와 상기 청소 대상물(5) 사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상기 부착부(512)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될 수 있다. The body of the attachment portion 512 presses the contact portion 512 against the object to be cleaned 5 and the spac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512 and the object 5 to be cleaned So that the attachment portion 512 can be attached to the object 5 to be cleaned.

상기 부착부(510)는 예시적으로 네비게이션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구비되는 부착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attachment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attachment portion provided in the mount for example,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청소기 20: 제2청소기10: first cleaner 20: second cleaner

Claims (14)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A first cleaner contacting the one side of the window and having a first handle and a first sensing portion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And
And a second cleaner which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and moves along the window together with the first cleaner and has a second handle and a second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handle,
Wherein an alarm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each of the handles is in an abnorm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각각은 알람이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each include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어느 한 청소기에서 손잡이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제2청소기 각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larm is generated in each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when any one of the cleaners detects that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각 손잡이에 의해서 가압되는 스위치인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s a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respectiv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자석과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자기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청소기와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감지센서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ncludes a magnet and a magnetic sensor for sensing magnetism of the magnet,
Wherein the magnet is provided in one of a cleaner and a handle, and the magnetic sensor is provided in another 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가 청소 대상물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손잡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moves in a direction toward the object to be clea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is provided with a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이 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op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to prev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from fal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 또는 제2청소기로 작동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제1청소기 또는 제2청소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에서도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first cleaner or the second cleaner or for monitoring the first cleaner or the second cleaner,
Wherein when an alarm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an alarm is also generated in the remot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가 주행 중에,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이 정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of each of the cleaners is stoppe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each of the grips is in an abnormal position while the cleaners are running.
건물 내측에서 창문에 접촉하는 내부 모듈; 및
건물 외측에서 상기 창문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모듈과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모듈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알람을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An internal module that contacts the window from inside the building; And
An outer module in contact with the window outside the building and movable along the window with the inner module,
Wherein the internal module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Wherein the alarm unit generates an alarm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position.
창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와 제2청소기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의 손잡이의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및
감지 결과,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window-typ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cleaner and a second cleaner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window,
Detec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handle of each of the cleaners; And
And generating an alarm at one or more of the cleaners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 중에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은 정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aveling of each of the cleaners is stopped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in an abnormal state while the cleaners are running.
KR1020120049487A 2012-05-10 2012-05-10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53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en) 2012-05-10 2012-05-10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en) 2012-05-10 2012-05-10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892A KR20130125892A (en) 2013-11-20
KR101853977B1 true KR101853977B1 (en) 2018-06-14

Family

ID=4985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en) 2012-05-10 2012-05-10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9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05B1 (en) * 2020-09-16 2022-01-14 (주)유승 Cleaning unit and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3076B (en) * 2017-04-21 2019-06-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indowpane wipe clean
CN113491474A (en) * 2020-04-08 2021-10-12 科沃斯家用机器人有限公司 Window cleaning robot system,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98A (en) * 2000-05-04 2001-11-16 이정우 Window Double Side Cleaner
KR20050005873A (en) * 2003-07-07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larming device for a high temperature in dish washing machine
KR200397411Y1 (en) * 2005-07-12 2005-10-04 공종의 Gas stove alarm
KR20110114370A (en) * 2010-04-13 2011-10-19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A window cleaning robo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2507328A (en) * 2008-11-03 2012-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obot vacuum cleaner with sensing hand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698A (en) * 2000-05-04 2001-11-16 이정우 Window Double Side Cleaner
KR20050005873A (en) * 2003-07-07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larming device for a high temperature in dish washing machine
KR200397411Y1 (en) * 2005-07-12 2005-10-04 공종의 Gas stove alarm
JP2012507328A (en) * 2008-11-03 2012-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obot vacuum cleaner with sensing handle
KR20110114370A (en) * 2010-04-13 2011-10-19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A window cleaning robo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05B1 (en) * 2020-09-16 2022-01-14 (주)유승 Cleaning unit and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892A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997B2 (en) Remote controlled switch cover
KR101970541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314454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57530B1 (en) A device for detecting lift of automatic travelling robot
US20130214726A1 (en) Control method for cleaning robots
EP257261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glass window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thereof
KR102617659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3180204A (en) Clea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53977B1 (en)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687130B2 (en) Control method for cleaning robots
EP2352408B1 (en) A robot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ensing handle
KR101641244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31701B2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thereof
KR20140017216A (en) System for cleaning using robot
US20160138938A1 (en) Plumb-bob calibration apparatus and glass-wiping robot having the plumb-bob calibration apparatus
JP6348599B2 (en) Equipment for moving furniture parts
KR101503601B1 (en) Robot cleaner
KR101867102B1 (en)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90112984A (en) Mobile robot with sensor for detecting obstacle
US20120292477A1 (en) Apparatus For Moving A Display Apparatus
KR20170101873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139617A1 (en) Self-moving device and locomo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71140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external charging apparatus
CN114305231A (en) Cleaning equipment
EP3400604A1 (en) Remote controlled switch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