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78B1 -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78B1
KR101849078B1 KR1020110064340A KR20110064340A KR101849078B1 KR 101849078 B1 KR101849078 B1 KR 101849078B1 KR 1020110064340 A KR1020110064340 A KR 1020110064340A KR 20110064340 A KR20110064340 A KR 20110064340A KR 101849078 B1 KR101849078 B1 KR 10184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set time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3201A (en
Inventor
이병필
안규섭
이수윤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78B1/en
Publication of KR2013000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and a water supply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 water outle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controlling the water to be replenished during the discharg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a method for supplying the water.

근래 환경오염 특히, 수질 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고, 대신에 수돗물을 별도의 수처리기를 통하여 정수한 후 음료하거나 과일, 야채의 세척에 이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common practice to not use tap water as drinking water as environmental pollution, especially water pollution, becomes a social problem. Instead, tap water is purified through a separate water treatment machine and then used for drinking or washing fruits and vegetables .

이러한 수처리기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통상의 수처리기와, 알칼리 이온수의 제공이 가능한 이온수처리기, 탄산수나 산소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수처리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Such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a device that physically or chemically removes impurities by filtering water.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filtering the supplied raw water, an ionized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lkaline ionized water, a func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the like.

이러한 수처리기는 통상적으로 공급된 원수(또는 수돗물)를 필터부재로 여과시키고 여과된 정수를 추출부 예를 들어, 추출코크를 통하여 추출하게 되며, 다량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정수탱크를 구비하기도 한다. Such a water processor typically filters the raw water (or tap water) supplied thereto with a filter member, extracts the filtered water through an extracting unit, for example, an extracting cock, and has a water tank for storing a large amount of water .

또한, 수처리기는 정수탱크등과 같은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제공장치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rocessor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integer using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reservoir, such as a purified water tank.

다만, 수처리기에 사용되는 수제공장치는 정수를 제공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폭넓게는 다양한 종류의 물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However, the water supply device used in the water processor may be used to provide the purified water, but it may be more widely supplied, stored and provided to the user with various kinds of water.

그런데, 종래의 수제공장치들은 사용자가 출수를 제어하여야만 정량의 물을 추출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user can extrac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only by controlling the outflow of water.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은 사용자에게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apparatus and a wat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rovide a user with a fixed amount of water and a method of providing water using the apparatu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A water outle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controlling the water to be replenished during the discharg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다.The control unit senses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unit during a first set time or a second set time, and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re equal to each other o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다.
The controller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A first water outlet located at a first height disposed at a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second water outlet disposed at a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positioned at a second height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second outflow s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while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flow section, Wherein the first height is lower than the second heigh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다.The control unit senses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unit during a first set time or a second set time, and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same as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th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상기 제어부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다.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the controller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first set time or a second set ti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quantitative extrac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set time or a second set time, and the water level is high in the order of the first water level to the third water leve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method of a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and an outlet unit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A second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a second set time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a third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if the second water level is maintained, where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s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water is not replenished to the storage portion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same as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th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제3 설정시간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다.
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ter replenishing step of replenishing water to the storage section for a third predetermined time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is perform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및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은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water outlet unit disposed at a first height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first elevation is lower than the second elevation and the second elevation is lower than the second elevation when the second elevation is sensed and the third elevation is sensed, A first watering process for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If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part during the first set time or the second set tim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quantitative extraction within the preset time. And a third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first set time or for a second set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whether or not the third set time has passed ,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and the water level is high in the order of the first water level to the third water level, and water is not replenished to the storage part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상기 제2 출수 과정은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한다.The second watering process discharges water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within the first time interval before sensing the second water level, If there is no history of discharge or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water before the first time interval for sensing the second water level, water is discharged for a first set time.

제3 출수 과정은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한다.The third water dispensing process discharges water for a second set time before and after the fourth set time and after the third set time, and discharges water for a first set time after the third set time.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이다.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same as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th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ter replenishing step of replenishing water to the storage section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is performed.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 및 이의 수제공방법에 따르면, 저장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저장된 물의 양에 상관없이 사용자에게 정량의 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and 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solutio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rrespective o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portion or the amount of store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supply method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 출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제1 수위 및 제2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0 and a water outlet unit 120,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level of the water can be sensed.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nlet 1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110.

저장부(1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측정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크게 제1 수위 및 제2 수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수위 및 제2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 may store wate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stored water.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water level and a second water level, and water speed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level.

출수부(120)는 저장부(110)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출수부(120)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배출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출수부(120)는 제1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수위 및 출수부(120)의 높이 사이의 물의 총량이 정량 추출될 물의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12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0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120 may further include a valve so that whether it is discharged or not can be controlled. The water outlet 120 may be located at a height below the first water level, and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total amount of water between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height of the water outlet 1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to be quantitatively extracted.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을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즉, 제1 수위와 제2 수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한 바 수위에 따라서 출수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위에 따른 출수시간의 차이가 극심한 것은 아닌 바 수제공장치(100)는 수위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by adjusting the tim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water outlet 12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That is, the speed of water discharge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level,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by adjusting the watering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device 100 can discharge water during the first set time or the second set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while the difference in the outgoing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s not severe.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b)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제1 수위, 제2 수위 및 제3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b), a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first water outlet 121, and a second water outlet 123 And can sense the first water level, the second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nlet 130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110.

저장부(1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측정 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는 크게 제1 수위, 제2 수위 및 제3 수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2 수위 및 제3 수위에 따라서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 may store wate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stored water.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water level, the second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and the speed of the water exiting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according to the second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is different can do.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는 저장부(110)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수부(121) 및 제2 출수부(123)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배출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제1 출수부(121)는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제2 출수부(123)는 제2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12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123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unit 110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first water outlet 12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123 may further include a valve so that whether or not they are discharged can be controlled. The first water outlet 121 may be located at a first height, the second water outlet 123 may be located at a second height, and the first height may be less than the second height.

추출되는 물을 담는 용기가 높이가 높은 경우 등을 위해서 제2 출수부(123)의 높이를 더 높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water outlet 123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vessel containing the water to be extracted is high.

제1 출수부(121)는 제1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출수부(123)는 제2 수위 이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위 및 제2 출수부(123)의 높이 사이의 물의 총량이 정량 추출될 물의 양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121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outlet 123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water level.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outlet 123 may be more than the amount of water to be quantitatively extracted.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제2 출수부(123)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을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 수위와 제3 수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속도가 상이한 바 수위에 따라서 출수 시간을 조절하여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위에 따른 출수시간의 차이가 극심한 것은 아닌 바 수제공장치(100)는 수위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tim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art 123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0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part 123 Can be discharged. That is, the speed of water discharge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cond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by controlling the watering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particular, the water supply device 100 can discharge water during the first set time or the second set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while the difference in the outgoing tim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s not severe.

정량의 물 배출 기능은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배출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부(120) 또는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정량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 function of a fixed amount can be appli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discharge operation of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Theref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or the second water outlet 123.

나아가, 입수부(130)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입수부(130) 앞단에 배치되는 구성에 따라서 바뀔 수 있는 바, 출수 시에 입수부(130)를 통해서 물을 공급받을 경우 출수되는 물의 속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즉, 입수부(130)를 통해서 입수되는 물의 양이 출수부(120)를 통해서 출수되는 물의 양보다 많은 경우 출수중임에도 불구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서 정량 추출이 어렵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1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water intake part 130. When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130 at the time of heading, Changes can occur. That is, when the amount of water obtained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130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water intake part 120,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0 becomes high, have.

따라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추출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입수부(130)를 통한 물 보충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추출, 수동추출에 의해서 저장된 물의 양이 줄어든 경우에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can stop water replenishment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130 while performing quantitative extraction.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by the quantitative extraction and the manual extraction is reduced, the water supplying apparatus 100 can replenish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110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또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 추출 가능 여부, 테스트 모드 수행 여부 등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동추출 및 정량추출과 관련된 조작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operation states such as whether a quantitative extraction is possible, a test mode being performed, and the like, and can receiv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manual extraction and quantitative extra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수제공장치(100)의 수위 제어는 저수위 센서, 만수위 센서, 물넘침 감지 센서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전원 인가 후, 약 3초 동안 센서 안정화 시간을 가지며, 이때 입력되는 신호는 무시한다. 저수위 센서 및 만수위 센서 감지는 약3초간 동일한 값이 입력될 시 정상적인 값으로 인정하고 출력할 수 있다. 물넘침 센서는 물넘침이 약20초간 지속되거나 물넘침 해제가 약 3초간 지속될 때 정상적인 센싱으로 인정하고 출력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of the water supply device 100 may be composed of a low water level sensor, a full water level sensor, and a water overflow detection sensor. The sensors have a sensor stabilization time of about 3 seconds after the power is applied, and ignore the input signal at this time. The low-level sensor and the high-level sensor can detect and output a normal value when the same value is input for about 3 seconds. The water overflow sensor can recognize and output normal sensing when the water overflow lasts for about 20 seconds or when the water overflow is released for about 3 seconds.

수제공장치(100)의 물보충 제어는 저수위 상태나 중수위 상태가 감지되면 즉시 입수부(130) 밸브를 열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단, 만수위 상태에서 중수위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약15분의 시간 지연 후 입수부(130) 밸브를 열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만수위 상태가 감지되면 입수부(130) 밸브를 닫아서 물보충을 중지할 수 있다. 단, 중수위 상태에서 만수위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약 3초의 시간 지연 후 입수부(130) 밸브를 닫는다.The water replenishment control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can immediately replenish the water by opening the water inlet 130 valve when a low water level or a heavy water level condition is detected. However, if the water level is changed from the full water level to the heavy water level, the water can be replenished by opening the water inlet 130 valve after a time delay of about 15 minutes. The water replenishment can be stopped by closing the water inlet 130 valve when the full water level is detected. However, if the water level is changed from the middle water level to the full water level, the inlet valve 130 is closed after a time delay of about 3 seconds.

또한, 수제공장치(100)가 수처리기에 적용되는 경우 수처리기로 원수를 공급하는 노스(NOS) 밸브는 물넘침 감지 센서에서 물넘침 감지가 출력되면 닫히고, 저수위 센서에서 저수위 감지가 출력되면 열릴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100 is applied to a water processor, a NOS valve that supplies raw water to the water processor is closed when water overflow detection is output from the water overflow sensor, and when the low water level sensor is output from the low water level sensor, .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는 수제공방법을 통해서 저장 수위 및 입수압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저장된 물을 정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water stored in the user regardless of the storage water level and the water inlet pressure through the water supplying method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Water can be provided in a quantitative manner.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을 수 있고, 제2 수위가 제1 수위보다 높은 것을 가정한다.The first set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and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제1 출수 과정에서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물보충을 통해서 수위가 충분히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in the first watering process,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at is, since the water level is sufficiently raised through the water replenishment, the quantitative extraction can be achieved by discharging the water for a short first set time.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전의 추출 행위등으로 저장 수위가 낮으므로,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second set time. Since the storage level is low due to the previous extraction operation or the like, the quantitative extraction can be achieved by discharging the water during the long second setting time.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120)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2 수위가 유지되는 경우에도 수위가 충분히 높은 상황이므로,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watering process,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detected, the water can be drain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maintained, since the water level is sufficiently high,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quantitative extraction by discharging the water for a short first set time.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입수압에 의한 정량 추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water may not be replenished to the storage unit 110 in order to prevent the quantitative extraction failure due to the water pressure.

또한, 정량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배출 시간을 정해야 하지만, 이는 장비 구성의 비용에 비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정량의 정확도의 이점이 크지 않다. 따라서, 수위를 크게 2~3단계로 나누어서 해당 수위별 또는 수위간의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범위 내의 정량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first set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second set tim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t range I can do it. In order to accurately extract a certain amount of wat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scharge time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water level. However, this does not have the advantage of the amount of accuracy that can be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cost of equipment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water level into two or three stages and to set the discharge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r the water level to extract the fixed amount within a certain range.

또한,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저장부(110)에 제3 설정시간 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is performed, a water replenishing process for replenishing water for the third set time period may be further performed.

물보충 과정은 이전에 수행될 출수 과정에 따라서 물 보충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수 과정 또는 제3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보다는 제2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에 수위가 더 낮으므로 더 오랜 시간 물을 보충할 수 있다.The water replenishment process can vary the water replenishment time depending on the previous watering process to be performed. For example, since the water level is low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watering process than after the first watering process or the third watering process, the water can be replenished for a longer time.

제1 수위 및 제2 수위의 예로는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만수위에 준하는 수위가 될 수 있다.
As examples of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level,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the low water level, and the second water level may be the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high water level.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는 수제공방법을 통해서 저장 수위 및 입수압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저장된 물을 정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b), a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supply method including a water supply method including first to third water supply steps, Can be provided in a fixed amount.

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을 수 있고, 상기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순서로 수위가 높은 것을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의 물을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출수할 수 있다. 1 set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and it is assumed that the water level is higher in order of the first water level to the third water level.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ens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123.

제1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물보충을 통해서 수위가 충분히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in the first water intake process and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123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at is, since the water level is sufficiently raised through the water replenishment, the quantitative extraction can be achieved by discharging the water for a short first set time.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수 과정에서는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If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in the second water intake process,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123 during the first preset time or during the second preset time, . That is, when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water within the first time interval before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in the second watering process, water may be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period. If there is no history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before the second water level is detected in the second watering process or if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water before the first time interval for sensing the second water level, Water can be drained over time.

이전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 수보충 등을 종합 고려해서, 저장 수위가 낮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고, 저장 수위가 높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Considering all of the water supply water replenish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in the past, if it is estimated that the storage water level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achieve quantitative extraction by discharging water for a long second set time period, It is possible to achieve quantitative extraction by discharging water for a short first set time.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123)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수위의 감지 후 제4 설정 시간이 도과되지 않으면 물 배출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 출수 과정에서는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전의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 수보충 등을 종합 고려해서, 저장 수위가 낮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긴 제2 설정 시간 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고, 저장 수위가 높아진 상황으로 추정되면 짧은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토록 하여 정량 추출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watering process,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123 during the first set time or the second set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 third set time is passed or not can do. If necessary, the water may not be discharged if the fourth set time after the first water level is not exceeded. That is, in the third watering process, the water is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before the fourth set time and after the third set time, and the water can be discharged during the first set time after the third set time. Considering all of the water supply water replenishment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in the past, if it is estimated that the storage water level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achieve quantitative extraction by discharging water for a long second set time period, It is possible to achieve quantitative extraction by discharging water for a short first set time.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입수압에 의한 정량 추출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부(110)에 물을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water may not be replenished to the storage unit 110 in order to prevent the quantitative extraction failure due to the water pressure.

또한, 정량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배출 시간을 정해야 하지만, 이는 장비 구성의 비용에 비해서 달성할 수 있는 정량의 정확도의 이점이 크지 않다. 따라서, 수위를 크게 2~3단계로 나누어서 해당 수위별 또는 수위간의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 범위 내의 정량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first set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120 during the second set tim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t range I can do it. In order to accurately extract a certain amount of wat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scharge time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water level. However, this does not have the advantage of the amount of accuracy that can be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cost of equipment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water level into two or three stages and to set the discharge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r the water level to extract the fixed amount within a certain range.

또한,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저장부(110)에 제3 설정시간 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is performed, a water replenishing process for replenishing water for the third set time period may be further performed.

물보충 과정은 이전에 수행될 출수 과정에 따라서 물 보충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수 과정 또는 제3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보다는 제2 출수 과정이 종료된 뒤에 수위가 더 낮으므로 더 오랜 시간 물을 보충할 수 있다.The water replenishment process can vary the water replenishment time depending on the previous watering process to be performed. For example, since the water level is low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watering process than after the first watering process or the third watering process, the water can be replenished for a longer time.

제1 수위 내지 제3 수위의 예로는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중수위, 제3 수위는 만수위에 준하는 수위가 될 수 있다.
As examples of the first to third water levels,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a low water level, the second water level may be a middle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may be a water level equivalent to a full water level.

또한, 본 발명의 수제공장치(100)는 정량의 물 배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물 배출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not only a fixed amount of water discharge but also manual water discharge by user's ope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supply method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수위는 저수위, 제2 수위는 중수위, 제3 수위는 만수위이며, 제1 설정시간은 약 53초, 제2 설정시간은 63초 이다. 또한, 제1 시간 간격은 25분이며, 제3 설정 시간은 14분, 제4 설정 시간은 3분이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water level is the low water level, the second water level is the middle water level, and the third water level is the full water level, the first set time is about 53 seconds, and the second set time is 63 seconds. Also, the first time interval is 25 minutes, the third set time is 14 minutes, and the fourth set time is 3 minut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의 수제공방법의 일 예는 사용자가 추출 버튼 입력 시 제2 출수부(123) 밸브를 열어 약1,000cc 정량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추출 버튼 입력 시 표시부를 통해 선택/완료 시 각각 부저음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정량 추출 기능은 저수위 감지가 출력되면, 제4 설정 시간인 3분 뒤부터 활성화 될 수 있다. 정량 추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표시부의 LED를 이용해 추출 가능 상태를 알려준다. 저수위 미검지 상태에서 추출 버튼을 누르면 추출 불가능 알림 부저음(딩딩~~)이 표시부에서 출력될 수 있다. 추출 중에는 표시창 LED가 1초 주기로 점멸하여 추출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단, 추출 종료 3초 전부터는 표시부의 LED가 400ms 주기로 점멸하여 추출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있게 알려 줄 수 있다.One example of 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opens the second water outlet part 123 valve when the user presses the extraction button to discharge water of about 1,000 cc. When the extraction button is input, the buzzer sounds can be notifi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selected / completed. The quantitative extraction function can be activated after 3 minutes from the fourth setting time when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is outputted. When the quantitative extraction function is activated, it indicates the extractable status using the LED on the display. When the extrac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low level detection state, the extractable buzzer sound (ding ~~) can be outputted from the display unit. During the extraction, the display window LED flashes every one second to indicate that it is being extracted. However, from 3 seconds before the end of the extraction, the LED on the display unit flickers at a cycle of 400 ms so that the end point of extraction can be predi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라서 이전 상태, 현재 상태, 조건 1, 2의 만족 여부를 따져서 대응하는 추출 시간으로 출수부(120) 밸브를 열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outlet 120 valve at a corresponding extraction time in accordance with the table shown in FIG. 2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state, the current state, It can open and drain water.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추출을 위한 제1 추출부와 높이가 높은 용기를 위한 제2 추출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oth a conventional first extraction unit for manual extraction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for a high-height contain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높이가 다른 제1 추출부 및 제2 추출부를 이용해 물컵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물병에도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제2 추출부를 통해서는 대용량 물병에 정량인 대용량의 물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요리를 하거나, 가습기 물을 교체하는 등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장시간 수동으로 추출부를 조작하지 않고도 물을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The water suppl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water to any kind of water bottle as well as a water cup using the first extracting unit and the second extracting unit having different heights. Furthermore,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supply a large capacity water, which is a fixed quantity, to the large capacity water bottle through the second extraction unit. Such a function provides convenience in that water can be supplied without operating the extracting unit manually for a long time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such as cooking or replacing the humidifier wat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특정한 색을 가지는 LED를 적절한 점멸 패턴을 주어 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uide the user to each state by giving an appropriate blinking pattern to LEDs having a specific colo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의 상태에 따른 표시부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tat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제공장치(100)는 특정한 색을 가지는 LED를 적절한 점멸 패턴을 주어 각 수제공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고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an operation state and a failure state of each water supply device 100 to a user by giving an appropriate blinking pattern to LEDs having a specific color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6)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은 수제공장치.
A storage for storing water;
A water outle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controlling the water to be replenished during the discharge of the water to the outflow unit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ler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Wherein the second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by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and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설정 시간 또는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수제공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uni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o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Wherein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
3.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삭제delete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기설정된 정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출수부로 물을 배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이 보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높은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고,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낮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
A storage for storing water;
A first water outlet located at a first height disposed at a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second water outlet disposed at a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positioned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second outflow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so as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while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flow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 as not to be performed,
Wherein the controller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a thir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or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xed amount extrac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a first water level low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a second water level And discharges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portion during a first set time or a second set ti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hird set time has pas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설정 시간 또는 제2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또는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은 수제공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r second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o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by sensing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uring the first set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are equal to each other,
삭제delete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부를 구비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제1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제2 수위가 감지가 유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2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높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A water supply method of a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and an outflow unit f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the outside,
A first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set time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 second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a second set time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sensed; And
And a third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ater outlet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maintained,
Wherein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the second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the water is not replenished to the storage unit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portion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portion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제3 설정시간동안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water supply method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water replenishing step of replenish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during a third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is performed.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측면에 배치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출수부 및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출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은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에 있어서,
제2 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제2 수위보다 높은 제3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1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서 물을 배출하는 제1 출수 과정;
제3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된 경우에는 기설정 시간 이내에 정량 추출 유무에 따라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2 출수 과정; 및
상기 제2 수위보다 낮은 제1 수위가 감지되고 제2 수위가 감지되며 제3 설정시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서 제1 설정시간 동안 또는 제2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2 출수부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제3 출수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시간은 제2 설정 시간보다 짧고, 상기 제1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에는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지 않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A first water outlet located at a first height and a second water outlet located at a second height, the first water outlet being disposed at a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stored water to the outside, In a method of providing a number of water supply devices lower than a height,
A first watering step of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for a first set time when a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a thir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If the third water level is sensed and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part during the first set time or the second set tim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quantitative extraction within the preset time. And
A third water level low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a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and a third water level is discharged during the first set time period or a second set time period, Including the heading,
Wherein the first set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and the water is not replenished to the storage unit during the first to third watering proces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 과정은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제1 시간 간격 내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전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없거나, 제2 수위를 감지하기 제1 시간 간격 이전에 정량의 물을 배출한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설정 시간동안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econd water-
When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within the first time interval before the second water level is sensed, water is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f there is no history of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water before sensing the second water level or if there is a history of discharging a fixed amount of water before the first time interval for sensing the second water level, A method for providing a number of providing apparatuses.
제12항에 있어서, 제3 출수 과정은
제4 설정시간 도과후 제3 설정시간 도과전에는 제2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고,
제3 설정시간 이후에는 제1 설정시간동안 물을 배출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ter is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before and after the fourth set time and after the third set time,
And the water is discharged during a first set time after the third set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과 상기 제2 설정 시간 동안 출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이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기설정 범위 내인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The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same as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or th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은
상기 제1 출수 과정 내지 제3 출수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 과정을 더 포함하는 수제공장치의 수제공방법.
16.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5,
Further comprising a water replenishing step of replenishing water in the storage part when one of the first to third outflow processes is performed.
KR1020110064340A 2011-06-30 2011-06-30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849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en) 2011-06-30 2011-06-30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en) 2011-06-30 2011-06-30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01A KR20130003201A (en) 2013-01-09
KR101849078B1 true KR101849078B1 (en) 2018-04-16

Family

ID=478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340A KR101849078B1 (en) 2011-06-30 2011-06-30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002B1 (en) 2014-04-11 2019-02-15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of the same
WO2015156512A1 (en) * 2014-04-11 2015-10-15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9B1 (en) * 2006-03-21 2007-05-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Control system of discharge valve in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9B1 (en) * 2006-03-21 2007-05-3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Control system of discharge valve in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201A (en)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1729B1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KR101678973B1 (en) Beverage dispenser
KR10189757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fluid extract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946397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SK13662001A3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with filter integrity testing system
CN104019596A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49078B1 (en) water providing apparatus and water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177543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ultra-pure water production
CN104019611A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402423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2009089732A (en) Beverage extracting device
US9468332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RU2496053C2 (en) Steam generator with flushing
US10838436B2 (en) Automatic fill control technique
US569722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n a water reservoir in a refrigerator needs refilling
KR102329401B1 (en) Water Purifier Capable of Offering Beverage
CN107021570B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396455B2 (en) Brine container with filter system
WO2017128570A1 (en) Online monitoring system
JP2010082046A (en) Beverage supply device
KR20160149673A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US9560934B2 (en) Docking station for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reservoir
WO2007125555A8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viscosity and density of a fluid
KR910014303A (en) Liquid dispensing system
JP3760937B2 (en) Rice washing ric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