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71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71B1
KR101848871B1 KR1020110077181A KR20110077181A KR101848871B1 KR 101848871 B1 KR101848871 B1 KR 101848871B1 KR 1020110077181 A KR1020110077181 A KR 1020110077181A KR 20110077181 A KR20110077181 A KR 20110077181A KR 101848871 B1 KR101848871 B1 KR 10184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racket
cameras
pcb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293A (ko
Inventor
우람찬
김병준
장진호
김치영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71B1/ko
Priority to US13/310,064 priority patent/US9479758B2/en
Priority to EP11009849.8A priority patent/EP2555526B1/en
Priority to CN201210022314.2A priority patent/CN102914941B/zh
Priority to CN201610542592.9A priority patent/CN106101499B/zh
Publication of KR2013001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93A/ko
Priority to US15/276,284 priority patent/US9635227B2/en
Priority to US15/461,025 priority patent/US9813691B2/en
Priority to US15/719,256 priority patent/US100213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3D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3D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 PCB;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 P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bracket)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적어도 하나의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에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에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에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 어셈블리는,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 PCB;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 P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bracket)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PCB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PCB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PCB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는, 상기 결합홈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카메라 PCB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와, 상기 카메라 PCB의 상기 보강부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결합부를 연결하되, 상기 브라켓의 결합 후에 제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카메라 PCB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플레쉬가 위치한 플래쉬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스테인레스 강(SUS)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메인PCB; 및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3D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3D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메인PCB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3D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 PC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PCB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PCB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카메라 PCB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와, 상기 카메라 PCB의 상기 보강부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되는 카메라결합부를 연결하되, 상기 브라켓의 결합 후에 제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PCB는, 상기 카메라 PCB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플레쉬가 위치한 플래쉬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며, 제1, 2 홀을 구비한 리어 바디; 상기 제1, 2홀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제1, 2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에 연결된 제1,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는 서로 이격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며, 제1, 2 홀을 구비한 리어 바디; 상기 제1, 2홀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그리고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그리고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관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를 감싸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3D 영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유동을 방지하는 브라켓에 다른 PC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 이동 단말기 전면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3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도 7은 도 6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프론트 바디(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에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이어폰잭(171)과, 안테나(124)와, 3D 카메라(121b)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이어폰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단자 뿐 아니라, 이어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4)는 DMB 등의 시청을 위한 방송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바디에서 안테나(124)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3D 카메라(121b)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3D 카메라(121b)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3D 카메라(121b)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221)와 제2 카메라(223)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카메라(221, 223)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은,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은,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3D 카메라(121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3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를 포함하는 바디(104)와, 리어 바디(103) 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0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250)를 차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이 해제되는 풀타입(pull type)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이 해제되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또는 버튼을 누르면 결합이 해제되는 팝업 타입(pop-up type) 방식일 수도 있다.
바디(104)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는 배터리(250)의 결합을 위한 배터리 결합공(251)과 3D 카메라(121b)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은, 제1 카메라(221,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제1 홀(121c)과 제2 카메라(223,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제2 홀(121c)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리어 바디(103)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메인PCB(23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메인PCB(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자 부품 및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3D 카메라(121b)는 메인PCB(230)의 하단측에서 상단측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 위치한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와 배터리 커버(102)에 위치한 제2 카메라 결합공(121d)은, 메인PCB(230)에 위치한 3D 카메라(121b)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4 이동 단말기 전면부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3D 카메라(121b)는 메인PCB(2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PCB(230)에는 제3 카메라 결합공(121e)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3D 카메라(121b)가 제3 카메라 결합공(121e)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카메라 결합공(121e)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카메라 결합공(121e)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된 제1 홀(121e)과 제2 카메라에 대응된 제2 홀(121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3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메인PCB(2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3D 카메라(121b)는, 제1,2 카메라(221, 223)와,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를 고정하는 브라켓(210)과, 제1,2 카메라(221, 223)가 결합된 카메라PCB(도 7의 225)에서 연장된 커넥터(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카메라(221, 2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브라켓(210)은 카메라PCB(도 7의 225)에 결합되며,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정확한 3D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제1,2 카메라(221, 223)는 설계된 위치에서 설계된 방향을 촬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중에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 변경이 최소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브라켓(210)은 스테인레스 강(SUS, Steel Use Stainless)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라켓(210)은 외력에 저항하는 힘이 강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브라켓(210)의 중앙부에는 PCB관통부(217)와, PCB리브(21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브라켓(210)의 PCB관통부(217)는, 브라켓(210)의 관통부(217)라 칭할 수 있다.
PCB관통부(217)는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PCB관통부(217)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제1,2 카메라(221, 223) 사이에도 메인PCB(23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브라켓(210)의 중간 부분에 PCB관통부(217)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해당 부분에는 메인PCB(230)가 위치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PCB관통부(217)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7은 도 6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제1,2 카메라(221, 223)의 촬영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카메라PCB(225)에는, 제1,2 카메라(221, 223)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PCB(225)는, 플렉서블PCB(Flexible PCB)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PCB(225) 자체의 강성으로는 제1,2 카메라(221, 223)의 촬영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곤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카메라(221, 22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제1 위치(S1)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가 변경되면 제2 내지는 3 위치(S2, S3)로 촬영방향이 틀어질 수 있다. 제2 내지는 3 위치(S2, S3)로 촬영방향이 틀어지면, 정상적인 3D 영상을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제1 위치(S1)에서 몇 도(degree)만 틀어져도 정상적인 3D 영상의 촬영이 불가할 수 있다.
브라켓(210)은, 카메라PCB(225)와 제1,2 카메라(221, 223)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PCB(225)와 제1,2 카메라(221, 223)에 결합된 브라켓(210)은,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일정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브라켓(210)이 강성을 보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CB관통부(217)에는 메인PCB(230)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PCB(230)가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의 PCB관통부(217)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즉, 브라켓(210)을 이용하여 제1,2 카메라(221, 223)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PCB리브(215, PCB rib)는 PCB관통부(217)의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PCB리브(215)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PCB관통부(217)에 위치한 메인PCB(230)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6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3D 카메라(121b)에는 브라켓(210)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PCB(230)에는 제1,2 카메라(221, 22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브라켓(210)은, 제1,2 카메라(221, 223)가 메인PCB(2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2 카메라(221, 223)와 메인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10)이 결합되면, 브라켓(210)의 제1,2 결합공(211, 213)에 제1,2 카메라(221, 223)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10)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라켓(210)은, 제1 카메라(221)를 감싸는 부분과 제2 카메라(223)을 감싸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10)의 제1 결합공(211)은, 브라켓(210)의 제3 홀(211)이라 칭할 수 있다. 브라켓(210)의 제2 결합공(213)은, 브라켓(210)의 제4 홀(213)이라 칭할 수 있다.
커넥터(227)는 메인PCB(225)의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커넥터(227)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져 위치함으로 인하여, 메인PCB(도 7의 230)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3D 카메라(121b)에 메인PCB(도 7의 230)가 결합될 때 커넥터(227)로 인하여 메인PCB(도 7의 230)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227)가 카메라PCB(225)의 중앙부를 피하여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브라켓(210)에 마련된 보강부(219)와, 보강부(219)에 대응된 형상의 결합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219)는 브라켓(210)의 하단부가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219)는 카메라 PCB(22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219)는 결합부(229)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보강부(219)는 제1,2 보강부(219a, 21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보강부(219a, 219b)는 상호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보강부(219a, 219b)는 알파벳 L 이 상호 마주하고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제1,2 보강부(219a, 219b)가 브라켓(210)에 마련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외력에 대한 브라켓(210)의 저항력이 보다 커질 수 있다. 제1,2 보강부(219a, 219b)는 브라켓(210)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결합부(229)는 카메라PCB(225)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229)의 위치 및 형상은, 제1,2 보강부(219a, 219b)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L이 상호 마주하고 있는 형태로 카메라PCB(225)가 제거된 영역이 결합부(229)일 수 있다. 결합부(229)는 제1,2 결합부(229a, 2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결합부(229a, 229b)는 제1,2 보강부(219a, 219b)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결합부(229a, 229b)에 제1,2 보강부(219a, 219b)가 결합되면,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3D 카메라(212b)의 전체적인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PCB(225)의 강성을 A, 브라켓(210)의 강성을 B라고 할 때, B가 A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PCB(225)의 일부를 브라켓(210)으로 대신하면, 그만큼 3D 카메라(121b) 전체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2 보강부(219a, 219b)의 알파벳 L 형상으로 인하여, 뒤틀림 등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의 카메라PCB(225)는 조립 완료 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PCB(225)는 연결부(222)에 의하여 제1 카메라결합부(225a)와 제2 카메라결합부(225b)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카메라결합부(225a)는, 제1 카메라 PCB(225a)라 칭할 수 있다. 제2 카메라결합부(225b)는, 제2 카메라 PCB(225b)라 칭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PCB(225a)는, 제2 카메라 PCB(225b)에 이격될 수 있다.
절단부(224)는, 연결부(222)와 제1,2 카메라결합부(225a, 225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절단부(224)는, 연결부(222)와 제1,2 카메라결합부(225a, 225b)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부(222)가 손쉽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절단부(224)는, 제거되어야할 연결부(2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카메라PCB(225)의 일부분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커넥터(227)는 제1,2 카메라결합부(225a, 225b)에 대응되도록 제1,2 커넥터(227a, 22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PCB(225)에는 제1,2 카메라(221, 223)와 브라켓(2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2 카메라(221, 223)와 브라켓(210)을 결합한 후에는, 연결부(222)를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222)가 제거되기 전까지 제1,2 카메라결합부(225a, 225b)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1,2 카메라(221, 223)가 설계된 정위치에 자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좀더 두꺼운 메인PCB(23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에 카메라PCB(225)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메인PCB(230)의 두께에 대한 제약을 덜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층 내지는 양면의 메인PCB(2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메인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3D 카메라(121b)와 메인PCB(230)의 결합은, 3D 카메라(121b)에서 연장된 제1,2 커넥터(227a, 227b)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커넥터(227a, 227b)는 메인PCB(23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27a)는 제1 카메라(2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하는 통로이며, 제2 커넥터(227b)는 제2 카메라(223)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달하는 통로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에 카메라 플래쉬(123)가 장착된 카메라 커넥터(228)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PCB(225)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카메라결합부(225a)와 제2 카메라결합부(225b)는 연결부(2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카메라(221, 223)의 조립이 완료되면, 연결부(222)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카메라결합부(225a)에서 카메라 커넥터(228)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커넥터(228)가 제1,2 카메라결합부(225a, 22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210)에는 카메라 플래쉬(123)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7은 도 16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제1,2 커넥터(227a, 227b)를 통하여 메인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커넥터(227a, 227b)는 메인PCB(23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에는, 카메라 플래쉬(123)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커넥터(227)가 제 1,2 카메라(221, 223)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카메라(221, 223)의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227)는, 3D 카메라(121b)의 하방으로 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카메라(221, 223)에서 하방을 향하고 있는 커넥터(227)를 메인PCB(230)에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227)가 제1,2 카메라(221, 223)의 사이에서 하방을 향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메인PCB(230)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8 카메라의 장착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카메라(121b)는, 메인PCB(23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3D 카메라(121b)의 하방으로 연장된 커넥터(227)가 메인PCB(230)의 상측면에 접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3 내지 도 26은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82a)과 우안(8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8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82a)과 우안(8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입체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입체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복수의 영상 객체(10, 11)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이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입체영상은,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은, 제1 영상 객체(10)와 제2 영상 객체(11)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영상 객체(10, 11)를 상정하였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영상 객체가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영상을 카메라 프리뷰(preview) 형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안시차(stereo disparity)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 및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24는 입체영상에 포함된 영상 객체의 양안시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는, 사용자가 좌안(20a)으로 보는 좌안영상(10a)과 우안(20b)으로 보는 우안영상(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좌안영상(10a)과 상기 우안영상(10b)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에 대응되는 양안시차(d1)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21)가 2D 카메라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소정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2D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변환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생성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영상 객체들(10, 11)의 양안시차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상 객체(10)의 양안시차(d1)와 상기 제2 영상 객체(11)의 양안시차(d2)는 서로 다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가 d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영상 객체(11)가 상기 제1 영상 객체(10)보다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객체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대응되는 양안시차를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용자 측으로 돌출된 듯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제1 영상 객체(10)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도 22와 반대로 표시될 수 있다. 좌안영상(10a)과 우안영상(10b)의 위치가 반대로 표시되면, 좌안(20a)과 우안(20b)은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영상이 보여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영상 객체(10)가 시선이 교차하는 지점인,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 표시된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양(+)의 깊이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후방에 제1 영상 객체(10)가 표시된 듯한 음(-)의 깊이감을 느끼게 되는 도 22의 경우와 상이하다.
제어부(180)는 필요에 따라서, 양 또는 음의 깊이감을 느끼도록 입체영상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며, 제1, 2 홀을 구비한 리어 바디;
    상기 제1, 2홀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제1, 2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에 연결된 제1,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는 서로 이격된,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부의 벽면에 대응된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 리브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2카메라 PCB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 사이에 위치한 카메라 플래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는, 상기 제1 카메라에 대응된 제1 홀과 상기 제2 카메라에 대응된 제2 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를 감싸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메인 PCB의 일 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PCB의 일 면은, 상기 리어 바디를 마주하는, 이동 단말기.
  7.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며, 제1, 2 홀을 구비한 리어 바디;
    상기 제1, 2홀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그리고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어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제1, 2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에서 연장된 제1, 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2 커넥터는, 상기 메인 PCB의 일 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PCB의 일 면은, 상기 리어 바디를 마주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카메라 PCB에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부의 벽면에 대응된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 리브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2 카메라 PC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 사이에 위치한 카메라 플래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는, 상기 제1 카메라에 대응된 제1 홀과 상기 제2 카메라에 대응된 제2 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를 감싸는 이동 단말기.
  14.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2 카메라;
    상기 제1, 2 카메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제3, 4 홀과 상기 제3 홀과 상기 제4 홀 사이에 위치한 관통부를 구비한 브라켓; 그리고
    전자 부품과 전자 회로를 실장하고, 상기 제1, 2 카메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구비한 메인 PCB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의 일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관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유니바디(unibody)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 카메라를 감싸는 이동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제1, 2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에서 연장된 제1, 2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2 카메라 PCB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2 카메라 PCB는, 상기 메인 PCB의 일 면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카메라에 연결된 카메라 PCB; 그리고
    상기 카메라 PCB에 연결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PCB는, 상기 제1 카메라에 대응된 제1 홀과 상기 제2 카메라에 대응된 제2 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플래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부의 벽면에 대응된 브라켓의 일 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PCB 리브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카메라 PCB의 결합부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4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프론트 바디; 그리고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며, 제1, 2 홀을 구비한 리어 바디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77181A 2011-08-03 2011-08-03 이동 단말기 KR10184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81A KR101848871B1 (ko) 2011-08-03 2011-08-03 이동 단말기
US13/310,064 US9479758B2 (en) 2011-08-03 2011-12-02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1009849.8A EP2555526B1 (en) 2011-08-03 2011-12-14 Mobile terminal having a 3D camera assembly
CN201210022314.2A CN102914941B (zh) 2011-08-03 2012-02-01 3d相机组件和具有该3d相机组件的移动终端
CN201610542592.9A CN106101499B (zh) 2011-08-03 2012-02-01 3d相机组件和具有该3d相机组件的移动终端
US15/276,284 US9635227B2 (en) 2011-08-03 2016-09-26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5/461,025 US9813691B2 (en) 2011-08-03 2017-03-16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5/719,256 US10021368B2 (en) 2011-08-03 2017-09-28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81A KR101848871B1 (ko) 2011-08-03 2011-08-0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93A KR20130015293A (ko) 2013-02-14
KR101848871B1 true KR101848871B1 (ko) 2018-04-13

Family

ID=4544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81A KR101848871B1 (ko) 2011-08-03 2011-08-0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9479758B2 (ko)
EP (1) EP2555526B1 (ko)
KR (1) KR101848871B1 (ko)
CN (2) CN1061014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7151B2 (en) 2019-05-13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084B1 (ko) *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03163B2 (en) * 2012-08-09 2014-12-02 Trimble Navigation Limited Using gravity measurements within a photogrammetric adjustment
US10262458B2 (en) 2013-05-31 2019-04-16 Longsand Limited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CN104346777B (zh) * 2013-08-09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添加现实增强信息的方法及装置
KR102065046B1 (ko) * 2013-09-16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965856B2 (en) * 2013-10-22 2018-05-08 Seegrid Corporation Ranging cameras using a common substrate
CN104333704B (zh) * 2014-11-28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场景的预览方法、装置及终端
TWI569640B (zh) 2015-06-23 2017-02-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攝影模組
CN104967707A (zh) * 2015-06-26 2015-10-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
WO2017003412A1 (en) * 2015-06-27 2017-01-05 Intel Corporation Attachment for devices
US10051199B2 (en) * 2015-07-22 2018-08-14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ision immobilization of multiple cameras in a multi-camera system
CN106470336A (zh) * 2015-08-17 2017-03-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相机色温补偿系统及智能终端
USD785601S1 (en) * 2015-12-02 2017-05-02 Echostar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USD785599S1 (en) * 2015-12-02 2017-05-02 Echostar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USD785600S1 (en) * 2015-12-02 2017-05-02 Echostar Technologies L.L.C. Remote control
KR102134529B1 (ko) * 2016-02-18 2020-07-15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및 성형된 감광성 어셈블리, 회로 보드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용 그 제조 방법
US10750071B2 (en) * 2016-03-12 2020-08-18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with lens array arrangement, circuit board assembly, and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35306B1 (ko) * 2016-03-12 2021-12-03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어레이 이미징 모듈, 성형 감광성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70290170A1 (en) * 2016-03-30 2017-10-05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 Camera For Use On A Vehicle
KR102473376B1 (ko) * 2016-04-01 202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42878B2 (en) * 2016-06-21 2020-08-11 Symbol Technologies, Llc Stereo camera device with improved depth resolution
JP6621716B2 (ja) * 2016-08-02 2019-12-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CN106657729A (zh) * 2016-10-27 2017-05-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双摄像头装置
CN106850882B (zh) * 2016-12-20 2020-03-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组件及移动终端
CN106534655B (zh) * 2017-01-11 2019-04-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06791329B (zh) * 2017-01-11 2019-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终端
US11678445B2 (en) 2017-01-25 2023-06-13 Apple Inc. Spatial composites
CN106603772B (zh) * 2017-01-26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图像获取方法
EP3577542A1 (en) 2017-03-29 2019-12-11 Apple Inc. Device having integrated interface system
US10929647B2 (en) * 2017-04-24 2021-02-23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Face identification camera module
US10356076B2 (en) * 2017-05-02 2019-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alable authent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services
US10728435B2 (en) * 2017-06-23 2020-07-28 Shoppertrak Rct Corporation Image capture device with flexible circuit board
CN107247482B (zh) * 2017-06-27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与摄像集成装置
CN107333037A (zh) * 2017-07-04 2017-11-07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模块及组装方法
US10268234B2 (en) 2017-08-07 2019-04-23 Apple Inc. Bracket assembly for a multi-component vision system in an electronic device
US10996713B2 (en) * 2017-08-07 2021-05-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445094B2 (en) 2017-08-07 2022-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vision system assembly held by a self-aligning bracket assembly
KR102371009B1 (ko) 2017-08-22 2022-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331314A (zh) * 2017-08-23 2017-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10425561B2 (en) * 2017-09-08 2019-09-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90082563A1 (en) 2017-09-11 2019-03-14 Apple Inc. Plate for magnetic shielding of an operational componen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682478B (zh) * 2017-09-26 2020-07-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盖板、摄像头组件及终端
TWI732137B (zh) 2017-09-29 2021-07-01 美商蘋果公司 多部件裝置外殼
CN207802016U (zh) * 2017-11-09 2018-08-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摄像头模组和支架
WO2019091379A1 (en) 2017-11-09 2019-05-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mera device, bracket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CN108683752A (zh) * 2018-04-10 2018-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输入输出组件以及终端
EP3609168B1 (en) * 2018-04-10 2023-08-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upport, input/output assembly and terminal
CN110572537A (zh) * 2018-06-05 2019-12-13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影像模组
CN110858869B (zh) * 2018-08-23 2021-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具有该相机模组的电子装置
US10705570B2 (en) 2018-08-30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antenna
US11258163B2 (en) 2018-08-30 2022-02-22 Apple Inc. Housing and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
US10951053B2 (en) 2018-09-10 2021-03-1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391761B (zh) * 2018-12-18 2024-02-20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固定支架及终端设备
US11616896B2 (en) 2019-01-08 2023-03-28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172110B2 (en) * 2019-01-08 2021-11-09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640039B2 (en) * 2019-03-29 2023-05-02 Apple Inc. Welded bracket structure for a multi-camera system
CN113994345A (zh) * 2019-04-17 2022-01-28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CN111917903A (zh) * 2019-05-10 2020-11-1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
CN110798550A (zh) * 2019-06-28 2020-02-14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522983B2 (en) 2019-12-03 2022-12-06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528399B2 (en) * 2020-03-06 2022-12-13 Apple Inc. Housing structur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340537B1 (ko) * 2020-06-30 2021-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카메라 모듈
US11693293B2 (en) * 2020-10-15 2023-07-04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US20220190128A1 (en) * 2020-12-16 2022-06-16 Intel Corporation Contact over active gate structures with tapered gate or trench contact for advance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fabrication
CN113726995B (zh) * 2021-08-12 2022-06-10 荣耀终端有限公司 摄像模组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1177A (ja) 2004-09-21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ステレオカメラ、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用ステ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104B2 (ja) 1998-02-20 2008-01-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AUPQ056099A0 (en) *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KR20040060378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케이스의 카메라모듈지지구조
JP2006270264A (ja)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複眼撮影装置
KR101164606B1 (ko) 2005-05-09 2012-07-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복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E102006030217A1 (de) * 2005-06-30 2007-01-04 Pentax Corp. Anordnung eines flexiblen Schaltungsträgers in einer Abbildungseinrichtung
KR100652751B1 (ko) * 2005-08-0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기판 지지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32635B1 (ko) 2006-06-27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카메라 모듈
US20080298674A1 (en) 2007-05-29 2008-12-04 Image Masters Inc. Stereoscopic Panoramic imaging system
KR101378880B1 (ko) * 2007-07-13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E102007057172B4 (de) * 2007-11-26 2009-07-02 Silicon Micro Sensors Gmbh Stereokamera zur Umgebungserfassung
KR20090060667A (ko) * 2007-12-10 2009-06-15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CN101393922B (zh) * 2008-10-30 2011-06-15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制作方法
TW201210326A (en) * 2010-08-19 2012-03-01 Hon Hai Prec Ind Co Ltd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8717467B2 (en) * 2011-01-25 2014-05-06 Aptina Imaging Corporation Imaging systems with array cameras for depth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1177A (ja) 2004-09-21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ステレオカメラ、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用ステ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7151B2 (en) 2019-05-13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5526B1 (en) 2014-09-03
EP2555526A3 (en) 2013-04-17
CN106101499B (zh) 2019-01-08
US9479758B2 (en) 2016-10-25
US9635227B2 (en) 2017-04-25
CN102914941A (zh) 2013-02-06
US10021368B2 (en) 2018-07-10
EP2555526A2 (en) 2013-02-06
CN106101499A (zh) 2016-11-09
US20130033581A1 (en) 2013-02-07
US9813691B2 (en) 2017-11-07
CN102914941B (zh) 2016-08-10
KR20130015293A (ko) 2013-02-14
US20180020208A1 (en) 2018-01-18
US20170188014A1 (en) 2017-06-29
US20170013178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7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05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691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91240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09603B1 (ko) 이동 단말기
US97061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37928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33977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5074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1091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8990A (ko) 신호입력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619934B1 (ko) 이동 단말기,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표시 시스템
KR101673409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889478B1 (ko) 프론트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2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2440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51789A (ko) 이동 단말기
KR10185082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072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6042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8551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870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