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33B1 -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33B1
KR101845933B1 KR1020170109667A KR20170109667A KR101845933B1 KR 101845933 B1 KR101845933 B1 KR 101845933B1 KR 1020170109667 A KR1020170109667 A KR 1020170109667A KR 20170109667 A KR20170109667 A KR 20170109667A KR 101845933 B1 KR101845933 B1 KR 10184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val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민섭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Priority to KR102017010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G07C9/0003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로부터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송수신부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에 밸브실 또는 맨홀 구조물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없이 작업자가 진입한 후에 각종 안전사고나 인명사고가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문제의식이 없거나 불편하다고 하여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내부로 진입하여 발생하였던 인명사고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각 밸브실 또는 맨홀 내부의 사정에 맞는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또는 맨홀의 뚜겅(출입부)이 개방되게 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VALVE CHEST}
본 발명은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실 내부로의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내부로의 진입을 승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의 공간확보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각종 상하수도관, 가스관, 농공업용수관이나 전기통신케이블 매설관이 지중에 매설되게 되는데, 매설관이 분기되는 위치, 매설관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각종 매설관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임의의 위치에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설치된 밸브와 같은 장비를 보호하도록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이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 공간으로 작업자가 내부로 진입해 들어갈 수 있도록 맨홀이 형성되고 맨홀을 개폐하는 뚜껑이나 밸브실 출입부가 마련되고 있다.
맨홀 뚜껑이나 밸브실 출입부를 열고 작업자가 맨홀 구조물 또는 밸브실 내부로 내려가서 배관설치물을 점검하거나 유지보수 및 밸브 개폐 작업을 하게 되는데, 밸브실이 지중에서 밀폐된 상태에서 장시간 매설되어 있는 상태여서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배관에서 고온의 유체가 흐르거나 할 때 밸브실 내부가 뜨겁거나 고온의 유체가 유출되고 있는 상태에 있을 수도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흐를 때 이러한 유해 가스가 내부로 유출된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밸브실 내부의 상태를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착용장비(안전장비)를 장착하고 밸브실 내부로 진입하여야 하는데, 안전에 대한 문제의식없이 아무런 안전장비를 장착하지 않고 밸브실 내부로 진입하여 안전사고 또는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밸브실 내부에 구비된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안전장비를 그에 맞게 장착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에는 화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 수트나 방열 장갑을 착용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흐르는 배관이 설치된 경우에는 산소 마스크나 고글을 착용하거나 하여 밸브실 내부에 구비된 구조물에 대응하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특정 밸브실에서 어떠한 안전장비를 착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없이 착용할 필요없는 장비까지도 착용하는 것은 유지/보수를 준비하거나 시행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683427 B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특허문헌 2) KR10-2016-0090774 A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 맨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로 작업자가 진입시 해당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에 대응되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여 안전사고 및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밸브실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락킹 및 언락킹 상태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시 송수신부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 제어 시스템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밸브실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서버;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락킹 및 언락킹 상태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승인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시 송수신부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 및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송수신부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에 밸브실 또는 맨홀 구조물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없이 작업자가 진입한 후에 각종 안전사고나 인명사고가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문제의식이 없거나 불편하다고 하여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내부로 진입하여 발생하였던 인명사고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각 밸브실 또는 맨홀 내부의 사정에 맞는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또는 맨홀의 뚜겅(출입부)이 개방되게 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입하려는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 내부에 위치된 시설물의 종류에 대응되게 착용되어야하는 안전장비(착용장비)를 특정하여 해당 밸브실에서는 필요없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필요한 안전장비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인정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시 데이터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키입력부를 통하여 비밀번호(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는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비젼 밸브실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시 데이터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마크나 뚜껑에 양각으로 새겨진 정보)를 촬상하고 이를 이미지 분석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스텝 구동부가 상기 스텝을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의 내부로의 진입이 승인되어 밸브실 출입부(맨홀 뚜껑 등)가 개방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자가 스텝(계단)을 밟고 내부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뚜껑이 강제 개방된 경우 승인정보가 없는 경우 스텝이 구동되지 않아 침입자나 승인되지 않은 자가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승인정보를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승인정보를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종래에 밸브실 또는 맨홀 구조물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없이 작업자가 진입한 후에 각종 안전사고나 인명사고가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문제의식이 없거나 불편하다고 하여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내부로 진입하여 발생하였던 인명사고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각 밸브실 또는 맨홀 내부의 사정에 맞는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또는 맨홀의 뚜겅(출입부)이 개방되게 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입하려는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 내부에 위치된 시설물의 종류에 대응되게 착용되어야하는 안전장비(착용장비)를 특정하여 해당 밸브실에서는 필요없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필요한 안전장비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인정보가 키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시 데이터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키입력부를 통하여 비밀번호(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 및 승인정보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전자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취득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한편,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는,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마련된 이미지로부터 비젼인식방식으로 취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 기능을 보유하거나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사용자 단말기를 구매하거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없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을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승인정보에 따라 상기 밸브실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스텝이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작업자의 내부로의 진입이 승인되어 밸브실 출입부(맨홀 뚜껑 등)가 개방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자가 스텝(계단)을 밟고 내부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뚜껑이 강제 개방된 경우 승인정보가 없는 경우 스텝이 구동되지 않아 침입자나 승인되지 않은 자가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종래에 밸브실 또는 맨홀 내부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 내부 상황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없이 작업자가 진입한 후에 각종 안전사고나 인명사고가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문제의식이 없거나 불편하다고 하여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내부로 진입하여 발생하였던 인명사고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각 밸브실 또는 맨홀 내부의 사정에 맞는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또는 맨홀의 뚜겅(출입부)이 개방되게 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입하려는 맨홀 구조물이나 밸브실 내부에 위치된 시설물의 종류에 대응되게 착용되어야하는 안전장비(착용장비)를 특정하여 해당 밸브실에서는 필요없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필요한 안전장비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시 데이터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키입력부를 통하여 비밀번호(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시 데이터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마크나 뚜껑에 양각으로 새겨진 정보)를 촬상하고 이를 이미지 분석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내부로의 진입이 승인되어 밸브실 출입부(맨홀 뚜껑 등)가 개방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자가 스텝(계단)을 밟고 내부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뚜껑이 강제 개방된 경우 승인정보가 없는 경우 스텝이 구동되지 않아 침입자나 승인되지 않은 자가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에 따라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태깅 기능을 보유하거나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사용자 단말기를 구매하거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없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을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밸브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밸브실에 구비된 스텝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밸브실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텝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맨홀 구조체 또는 밸브실은 그 내부에 밀폐공간이 마련되어 밀폐공간 내에 설치되는 각종 매설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나 매설관이 분기되는 곳에 설치되는 분기장치 등을 보호하거나 이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혼용하지 않고 밸브실로 통칭한다.
또한, 안전장비 또는 착용장비는 밸브실로 진입시에 작업자가 착용하여야 하는 산소마스크, 방진마스크, 고글, 방열 장갑 또는 방열 슈트 등을 나타내는 동일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혼용하지 않고 착용장비로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밸브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밸브실(10)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밸브실 본체(11)가 구비되고, 밸브실 본체(11)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고 맨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뚜껑)(121)이 설치딘다.
밸브실 본체(11)의 내측벽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내려가서 작업할 수 도록 스텝(131)이 설치될 수 있다. 밸브실 본체(11)가 대형인 경우 작업자가 맨홀을 통하여 진입시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서 필수적으로 스텝(13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실 본체(11)의 저부에는 지중에 설치되는 매설관과 연결되는 연결관(15)이 설치되고, 매설관과 연결시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신축관(17)이 구비되고, 연결관(15)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모듈(13)이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100)은, 밸브실 락킹부(120), 송수신부(150), 사용자 단말기(170), 착용장비 태그(180), 서버(19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밸브실 락킹부(120)는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10)에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맨홀을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121)를 전자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전자 도어락 잠금장치와 같은 것으로서 솔레노이드 구동에 의하여 잠금핀이 작동되어 밸브실 본체(11)와 밸브실 출입부(121)를 락킹하거나 언락킹한다.
송수신부(150)는 밸브실 식별정보 및 후술하는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전자태그 방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느 방식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실 식별정보는 밸브실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환경에 따라 밸브실 내부의 환경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른 밸브실과 구분하여 밸브실을 특정할 수 있게 한다.
승인정보는 밸브실 락킹부(120)를 통하여 밸브실 출입부(12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승인하는 정보로서, 후술하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70)나 서버(190)에서 생성하여 송수신부(150)에서 수신하여 확인되면, 밸브실 락킹부(120)가 구동되어 밸브실 출입부(121)가 개방된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취하고, 수취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19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70)는 산소마스크, 고글, 방열 장갑 또는 방열 슈트와 같은 착용장비(180)에 구비된 착용장비 태그(181)(183)(184)(185)로부터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수취하고, 수취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190)로 전송한다.
착용장비 식별정보는 어떠한 착용장비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산소마스크인지 고글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190)는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취하고, 수취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한다.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는 각 밸브실 별로 내부 진입시 착용하여야 하는 착용장비를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미리 저장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실 식별정보로 밸브실 1로 특정되는 경우 서버(190)는 착용장비로서 밸브실 1에 매칭되게 미리 저장된 고글 및 방열 장갑을 착용장비로 특정하고, 밸브실 2로 특정되는 경우 서버(190)는 산소마스크, 방열 장갑 및 방열 슈트를 착용장비로 특정한다.
밸브실 식별정보 밸브실 1 밸브실 2 밸브실 3 밸브실 4
착용 장비 고글, 방열장갑 산소마스크, 방열 장갑, 방열 슈트 산소마스크, 고글, 방열장갑, 방열 슈트 방열 장갑
서버(190)는 상기와 같이 특정된 착용장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70)는 수취된 착용장비 정보와 착용장비 태그(180)로부터 인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되어야 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해당 밸브실(10)에서 착용되어야 하는 착용장비가 모두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송수신부(150)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밸브실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밸브실 출입부(121)가 개방될 수 있게 구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착용이 필요하지 않은 착용장비는 착용하지 않고 특정 밸브실 상황에 맞는 착용장비만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 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170)가 취득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190)로 제공하고 서버(190)단에서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 및 수취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밸브실(10)로 진입시 착용되어야 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 판단하다.
이후, 해당 밸브실(10)에서 착용되어야 하는 착용장비가 모두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7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70)는 수취된 승인정보를 송수신부(150)로 제공하여 제어부(110)가 밸브실 락킹부(120)를 구동제어하여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서와 달리 사용자 단말기(170)측에 밸브실과 매칭되게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고 모든 비교 및 판단을 사용자 단말기(170)측에서 하여 전체 시스템을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70)가 밸브실 출입부(121)측으로부터 밸브실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착용장비 태그(180)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로부터 밸브실이 특정되고 이와 매칭되게 사용자 단말기(170)에 기 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와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모든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송수신부(150)에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밸브실 락킹부(120)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여 밸브실 출입부(121)를 개방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70)로 밸브실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방식에 더하여, 밸브실 출입부(121)에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밸브실 출입부(121)에 통상적인 맨홀 뚜겅과 같이 양각으로 식별정보를 형성하거나 바코드나 QR코드 형식의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기(170)에 구비된 카메라로 이를 촬상하여 밸브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170)에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RFID 방식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단말기를 구매하거나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의 오류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할 때 이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과 비젼 인식 방식을 병행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각각의 방식만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즉, 비젼 인식 방식을 구축한 경우 승인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밸브실 식별정보를 전기신호로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받는 경우에는 승인정보를 전기신호로 송수신부(150)로 송신하는 경우 문제없으나, 사용자 단말기(170)에 근거리 무선통신 등의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를 받은 경우 이를 구분하여 승인정보를 사용자가 키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나 숫자 조합으로 생성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승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텝(131)은 선택적으로 작업자가 밟고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서 밟고 내려갈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스텝 구동부(130)(130')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텝 구동부(13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텝 구동부(130)는 밸브실 본체(11) 내벽에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135), 피니언 기어(135)와 일면이 기어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렉기어(133)와, 렉기어(133)의 타면에 기어연결되어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스텝 기어(131a)가 형성되는 스텝(131)을 포함한다.
초기 스텝(13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 본체(11)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11) 내부에 안착된 상태 즉, 작업자가 밟을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가 송수신부(150) 또는 키입력부(160)에 의하여 승인정보가 확인되면 제어부(110)가 피니언 기어(13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킨다.
피니언 기어(135)의 회전에 의하여 렉기어(133)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렉기어(133)의 타면에 기어연결된 스텝 기어(131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텝 기어(131a)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131)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밸브실 본체(11)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밸브실(10) 내부로 내려갈 수 있게 한다.
이후, 작업이 끝난후 밸브실 출입부(121)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가 피니언 기어(1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고 이와 연결된 렉기어(13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텝 기어(131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131)이 반시계 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밸브실 본체(11)의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맨홀이 밸브실 출입부(121)에 의하여 닫혀지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맨홀측에 수광센서를 설치하고 밸브실 출입부(121)에 발광센서를 설치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폐여부를 검지하는 방법은 센서에 의하여 여러가지가 제시되고 있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텝 구동부(13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텝 구동부(130')는 밸브실 본체(11) 내벽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35'), 액츄에이터(135')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가압패널(133') 및 가압패널(133')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이와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스텝(131')을 포함한다.
초기 스텝(13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 본체(11)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11) 내부에 안착된 상태 즉, 작업자가 밟을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가 송수신부(150) 또는 키입력부(160)에 의하여 승인정보를 확인하면 제어부(110)가 액츄에이터(135')를 구동하여 우측으로 가압패널(133')을 이동시키고 가압패널(133')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131')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결과적으로 밸브실 본체(11) 내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밸브실(10) 내부로 내려갈 수 있게 한다.
이후, 작업이 끝난후 밸브실 출입부(121)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가 액츄에이터(135')를 구동하여 좌측으로 가압패널(133')을 이동시키면 가압패널(133')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131')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밸브실 본체(11)의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스텝(131)(131')이 밸브실 출입부(121)와 같이 연동되면서 구동되도록 하였으나, 밸브실 출입부(121)의 밸브실 락킹부(120)가 고장난 경우 강제로 개방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독립적으로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스텝 구동부(130)(130')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스텝 구동부(130)(130')에 의하여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밸브실 출입부(121)가 개방되면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스텝(131)(131')을 밟으면서 밸브실(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 밸브실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10)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취득한다(S110).
이때 사용자 단말기(170)는 밸브실 출입부(121)으로부터 NFC 방식이나 RF 방식으로 무선으로 밸브실 식별정보를 받거나, 밸브실 출입부(121)에 마킹된 이미지를 촬상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밸브실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10 에서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190)로 전송하고(S115), 서버(190)는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한다(S120).
이후, 단계 S120 에서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로 전송한다(S125).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70)는 작업자 착용장비에 구비된 착용장비 태그(180)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고(S130), 단계 S130에서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서버(190)에서 제공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가 해당 밸브실(10)에서 착용되어야할 착용장비를 착용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35).
이때, 착용장비 태그(180)에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70)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착용장비에 QR코드나 바코드 형태의 비젼인식 식별자가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기(170)의 카메라로 이를 촬영하여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단계 S135에서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모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밸브실(10)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고(S140), 생성된 승인정보를 밸브실(10)의 송수신부(150)로 전송한다(S150).
이어서, 승인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S155) 락킹상태에 있는 밸브실 출입부(121)를 언락킹상태로 구동하여 맨홀을 개방시켜 작업자가 맨홀실(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S160).
한편, 밸브실(10) 내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진입할 수 있는 상태와 밟을 수 없는 상태로 변환 구동되는 스텝(131)(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승인정보가 취득되는 경우 이러한 스텝(131)(131')이 작업자가 밟고 내려갈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스텝 구동부(130)(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165).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이다.
먼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10)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취득한다(S210).
이때 사용자 단말기(170)는 밸브실 출입부(121)으로부터 NFC 방식이나 RF 방식으로 무선으로 밸브실 식별정보를 받거나, 밸브실 출입부(121)에 마킹된 이미지를 촬상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밸브실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10에서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190)로 전송하고(S215), 서버(190)는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한다(S220).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70)는 작업자 착용장비에 구비된 착용장비 태그(180)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고(S225), 단계 S225에서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서버(190)로 전송하여 밸브실로의 진입여부에 대한 승인요청을 한다(S230).
서버(190)는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전송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단계 S220에서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가 해당 밸브실(10)에서 착용되어야할 착용장비를 착용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40).
이때, 착용장비 태그(180)에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70)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착용장비에 QR코드나 바코드 형태의 비젼인식 식별자가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기(170)의 카메라로 이를 촬영하여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서버(190)는 단계 S240에서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모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밸브실(10)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인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로 전송하고(S245), 사용자 단말기(170)는 밸브실(10)의 송수신부(150)로 수신된 승인정보를 전송한다(S250).
이어서, 제어부(110)는 승인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락킹상태에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상태로 구동하여 맨홀을 개방시켜 작업자가 맨홀실(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S225)(S260).
이후, 밸브실(10) 내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진입할 수 있는 상태와 밟을 수 없는 상태로 변환 구동되는 스텝(131)(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승인정보가 취득되는 경우 이러한 스텝(131)(131')이 작업자가 밟고 내려갈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스텝 구동부(130)(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265).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이다.
먼저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10)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취득한다(S310).
이때 사용자 단말기(170)는 밸브실 출입부(121)으로부터 NFC 방식이나 RF 방식으로 무선으로 밸브실 식별정보를 받거나, 밸브실 출입부(121)에 마킹된 이미지를 촬상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밸브실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단계 S310에서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게 기 저장되어 있는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한다(S315).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70)는 작업자 착용장비에 구비된 착용장비 태그(180)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고(S320), 단계 S315에서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와 단계 S320에서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가 해당 밸브실(10)에서 착용되어야할 착용장비를 착용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25).
이때, 착용장비 태그(180)에서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70)로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착용장비에 QR코드나 바코드 형태의 비젼인식 식별자가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기(170)의 카메라로 이를 촬영하여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70)는 단계 S325에서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모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밸브실(10)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인정보를 밸브실(10)의 송수신부(150)로 승인정보를 전송한다(S330).
이어서, 제어부(110)는 승인정보가 취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밸브실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락킹상태에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상태로 구동하여 맨홀을 개방시켜 작업자가 맨홀실(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S335)(S340)(S350).
이후, 밸브실(10) 내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밟고 진입할 수 있는 상태와 밟을 수 없는 상태로 변환 구동되는 스텝(131)(13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승인정보가 취득되는 경우 이러한 스텝(131)(131')이 작업자가 밟고 내려갈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스텝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S360).
이때, 전기신호로서의 승인정보를 밸브실과 사용자 단말기간 전송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승인정보를 생성하고 작업자가 키입력부를 통하여 승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각 밸브실 내부의 사정에 맞는 착용장비를 착용한 경우에만 밸브실 출입부가 개방되게 하여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항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밸브실 11 : 밸브실 본체
13 : 밸브모듈 15 : 연결관
17 : 신축관 100 : 밸브실 제어 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밸브실 락킹부
121 : 밸브실 출입부 130, 130' : 스텝 구동부
131, 131' : 스텝 150 : 송수신부
160 : 키입력부 170 : 사용자 단말기
180 : 착용장비 190 : 서버

Claims (14)

  1.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락킹 및 언락킹 상태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2.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서버;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락킹 및 언락킹 상태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승인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승인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3.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실 출입부를 전기적으로 락킹(Locking) 및 언락킹(Unlocking) 제어하는 밸브실 락킹부;
    상기 밸브실 출입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의 언락킹을 위한 승인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로 진입시 착용하는 착용장비에 설치되어,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용장비 태그;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 및 상기 착용장비 태그로부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착용장비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락킹 및 언락킹 상태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 락킹부를 언락킹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정보가 입력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는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 밸브실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승인정보를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텝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텝 구동 단계는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9.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승인정보를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텝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텝 구동 단계는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10. 내부에 밀폐공간이 구비되는 밸브실에 대한 밸브실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취득하는 밸브실 식별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된 밸브실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작업자 착용장비로부터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작업자 착용장비 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작업자 착용장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밸브실에 진입시 착용되어야하는 착용장비가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로의 진입을 승인하는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밸브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밸브실을 락킹하고 있는 밸브실 출입부를 언락킹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실에는,
    밸브실 본체의 내벽에 안착되는 스텝과,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게 구동하는 스텝 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밸브실의 송수신부에서 상기 승인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진입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밟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텝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텝 구동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텝 구동 단계는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의하여 맨홀이 닫혀지면 상기 밸브실의 본체 내벽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스텝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정보가 키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 및 승인정보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전자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식별정보는, 상기 밸브실 출입부에 마련된 이미지로부터 비젼인식방식으로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밸브실 제어 방법.
  14. 삭제
KR1020170109667A 2017-08-29 2017-08-29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4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67A KR101845933B1 (ko) 2017-08-29 2017-08-29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667A KR101845933B1 (ko) 2017-08-29 2017-08-29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33B1 true KR101845933B1 (ko) 2018-05-18

Family

ID=6245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667A KR101845933B1 (ko) 2017-08-29 2017-08-29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102212420B1 (ko) * 2020-09-11 2021-02-04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73B1 (ko) * 2001-07-05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101736813B1 (ko) * 2015-09-16 2017-05-30 정진구 착모확인을 통한 출입문의 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73B1 (ko) * 2001-07-05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101736813B1 (ko) * 2015-09-16 2017-05-30 정진구 착모확인을 통한 출입문의 보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102204640B1 (ko) * 2018-12-31 2021-01-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102212420B1 (ko) * 2020-09-11 2021-02-04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통신 맨홀의 누전방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9954B2 (en) Biometric control of equipment
CN114206104B (zh) 受控访问闸口
US7880583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KR101845933B1 (ko)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2399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JP2019505058A (ja) 物理空間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284813B (zh) 用于运送人员的机动车辆的操作方法和机动车辆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US20190034679A1 (en) Transportable Passage Control Device for a Work Area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CN107663866A (zh) 一种井盖智能开锁系统及使用方法
KR10209380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US8779891B2 (en) Access control device
CN208089021U (zh) 一种井盖智能电子锁装置
JP451795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70098778A (ko) 방문자 사전예약 시스템
JP4120665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6221255A (ja) 操作権限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230386283A1 (en) Safety Locking Device
KR20220028530A (ko) 사용자 인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CN110058675B (zh) 安全锁定系统
JP2006119860A (ja) プラント設備における操作認証システム
WO20211707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20110065171A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