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61B1 - Tray container structure - Google Patents

Tray contain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361B1
KR101845361B1 KR1020160073852A KR20160073852A KR101845361B1 KR 101845361 B1 KR101845361 B1 KR 101845361B1 KR 1020160073852 A KR1020160073852 A KR 1020160073852A KR 20160073852 A KR20160073852 A KR 20160073852A KR 101845361 B1 KR101845361 B1 KR 10184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extending
lo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0991A (en
Inventor
김치곤
곽희석
윤경배
전형도
장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07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361B1/en
Publication of KR2017014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31Groove or hollow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4Massive b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모서리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록킹 결합을 위해 용기몸체의 테두리 부위에 대해 록킹 결합되도록 뚜껑체의 테두리 내측에 복수의 록킹 돌기를 형성시켜 트레이 용기의 뚜껑체와 용기몸체의 결합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레이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rner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is rounded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inside the rim of the lid body so as to be locked with the rim of the container body for the locking engagement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container structure improved in structure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of a container body and a lid body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트레이 용기 구조체{TRAY CONTAINER STRUCTURE}[0001] TRAY CONTAINER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트레이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물의 수용면적이 넓은 트레이 형태의 용기 몸체와 뚜껑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수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용기몸체에 휨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뚜껑체와의 결합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레이 용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contain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container container having a large receiving space and a lid body,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ntainer is housed. And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with the lid body.

일반적으로, 음식물은 시간이 지나면 상하거나 주변에 악취 등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물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밀폐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foods may over time or produce bad odors in the surrounding area, so they are kept in an airtight container for long storage.

따라서, 현재 음식물의 보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밀폐용기는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패킹으로 공기를 차단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즉, 뚜껑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진 패킹에 의하여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밀폐가 이루어져 용기 내부로의 외부 공기를 차단시켜 사용되어진다.Therefore, the sealed container used for storage of food now is to prevent the food from being deteriorated and to block the air by the packing so that it can be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at is, the sealed container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The air is sealed and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cut off.

상기와 같은 밀폐 용기는 그 사용량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용기의 디자인을 개선하는데 그치지 않고 용기의 밀폐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용기에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방법 등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As the amount of the closed container is continuously increased, not only the design of the container is improved, but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such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eal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container or adding functionality to the container have been proceed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밀폐 용기에 있어서는 뚜껑에 구비된 잠금부가 다수 개로 별도로 구비되어 용기에 체결할 때 일일이 하나씩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혹시 다수 개의 잠금부 중 하나라도 체결되지 않을 때는 용기의 밀폐성을 보장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 plurality of lock portions provided on the lid ar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that one of the lock portions must be fastened one by one when fastened to the container.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 portions is not fasten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guaranteed.

아울러, 상기 밀폐 용기에 있어서는 뚜껑과 접촉되는 용기의 상단부에서만이 패킹이 구비되어 있어, 그 패킹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는 더 이상의 밀폐의 효능이 떨어지게 되어 밀폐 용기로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losed container, the packing is provid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id. If the packing does not function as time passes, the effect of further closing becomes lowered, .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0873호 "원터치방식 밀폐용기"(등록일자 : 2014.02.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걸림턱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에 걸려 체결시 용기의 밀폐 상태가 유지되도록 잠금부가 구비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구비되어 용기를 들고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뚜껑의 잠금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체결홈을 구비하여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상하방향으로 절곡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사방면에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서 한 번의 터치 작동으로 전체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절곡가능하게 하고,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뚜껑에는 상기 뚜껑의 닫힘 상태에서 용기가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패킹이 구비된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0873 entitled " One-Touch Type Closed Container "(Registered Date: Feb. 28, 2014), a container body having an engagement jaw on the outer side, A lid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o hold the container in a hermetic state when the lid is fastened to the jaw and a handle for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moved while being held on the lid, The lid has an engag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jaw, and is coupled to the rim of the lid such that the lid can be folded up and down. The lid is integral with the lid so that the whole portion can be bent upward and downward by one touch operatio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ckings for keeping the container in a closed state in a closed state of the lid, It will bidoen.

한편, 기존 밀폐 용기 구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9176호 "밀폐용기"(등록일자 : 2013.04.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바닥면과 외벽을 구성하여 수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개구 테두리를 따라 대응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밀폐결합되는 뚜껑체가 구비된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외벽 상부면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체의 하부면 외측 둘레로 요입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면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가 후크식으로 밀어 끼움되어 밀폐결합되는 제1밀폐부와; 상기 제1밀폐부의 바깥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제1밀폐부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뚜껑체의 하부면 외측 둘레로 요입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제1밀폐부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가 걸림식으로 끼워 밀폐결합되는 제2밀폐부와; 상기 제1밀폐부와 제2밀폐부가 연결되도록 수평상으로 연장되고, 용기본체 내부의 팽창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압력이 조절되는 증기압조절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9176 entitled " Enclosed Container "(Registered on Apr. 23, 2013),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conventional closed container structure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lid which is hermetically coupl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 first sealing part which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body so as to be hermetically fitted and hermetically engaged with a periphery corresponding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eriphe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bod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second hermetically sealed part hermetically fitted in the hermetically sealed manner; And a vapor pressure regulating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first sealing part and the second sealing part and discharging the expanded water vapor inside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그런데, 기존 밀폐 용기들은 용기 뚜껑과 용기몸체가 별도의 패킹 또는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밀폐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패킹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결합구조를 이용한 밀폐방식일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용기 뚜껑과 용기몸체와의 결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s,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ainer body employ a sealing method using a separate packing or a coupling structure. However, when the packing material is u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ainer body is deteriorated.

또한, 기존 트레이 용기의 경우에는 대략 사각형 구조로 구성되어 음식물 등과 같은 수용물이 용기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용물의 중량에 의해 모서리 부위가 아닌 폭이 상대적으로 긴 변 부위에 용기몸체의 휨 변형이 발생할 경우,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결합이 해소되면서 뚜껑체가 용기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수용물이 용기몸체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ay container,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tainer body i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body such that the container body is warped by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When deformation occurs, the lid bod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while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is dissolved, and the contents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0873호 "원터치방식 밀폐용기"(등록일자 : 2014.02.28)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70873 entitled "One-touch sealed container" (registered on Feb. 2014, 201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9176호 "밀폐용기"(등록일자 : 2013.04.2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59176 entitled "Enclosed Container" (registered on January 23,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모서리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록킹 결합을 위해 용기몸체의 테두리 부위에 대해 록킹 결합되도록 뚜껑체의 테두리 내측에 복수의 록킹 돌기를 형성시켜 트레이 용기의 뚜껑체와 용기몸체의 결합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트레이 용기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body and a lid body having rounded corners,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inside the rim of the lid body so as to be locked so that the lid of the tray container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물이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안착돌부와 상기 안착돌부 사이에 요홈지도록 형성된 유로홈을 구비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의 상부에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용기몸체; 및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중심을 향해 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다른 용기몸체의 하부 모서리부위가 안착되는 복수의 걸림돌부 및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단부와 록킹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뚜껑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부는 상기 단턱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 및 상기 하향 연장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는 상기 뚜껑체의 테두리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외향 돌출부가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 연장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 및 상기 하향 연장부의 변부와 모서리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의 복수의 록킹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부는 일측이 단차부 내측방향의 상면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인접하는 걸림돌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면부보다 낮게 형성된 단차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receive an accommodating object; A lower flan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rim of the lower jaw portion and a lower flan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rim of the lower jaw portion; A container body;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receiving portion, And a top flange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lockingly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flange portion, wherein the lower flange portion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and a second flange portion,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at an end of the upward extending portion;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and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And an outwardly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portion And the upper flange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at an edge portion of the lid body and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so that the outwardly projecting portion of the lower flange portion is coupled to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each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the edge portions and the edge portions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s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stepped portion forme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portion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adjacent engaging trough portions.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뚜껑체의 모서리 부위와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폭이 서로 상이하되, 상기 뚜껑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이 상기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보다 더 큰 것이다.Wherein a width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 corner of the lid body is greater than a width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each side of the lid body, It is bigger.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뚜껑체의 모서리 부위와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단부 길이가 서로 상이하되, 상기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 단부 길이가 상기 뚜껑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단부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다.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side portions of the lid body and the end lengths of the locking protrusions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lid bod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상기 뚜껑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이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 단부의 높이가 뚜껑체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단부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이다.Wherein a width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corner portion of the lid body is larger than a width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side portion of the lid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each side portion of the lid body, The height of the end por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lid body.

상기 록킹돌기는 외측면측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면측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The locking protrus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ide is recessed and the inner side is protruded inward.

상기 뚜껑체는 용기몸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된 수용물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된 것이다.The lid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recognizing the receptacle contained in the receptacle of the container body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뚜껑체의 상부플랜지에 복수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용기몸체와의 결합시 록킹돌기가 용기몸체의 플랜지부에 록킹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뚜껑체를 용기몸체의 상부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록킹 결합에 따른 결합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Since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lid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and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container body is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the lid body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n advantage that a coupling holding force due to locking coupling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록킹돌기의 구조를 뚜껑체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이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거나, 뚜껑체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단부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의 단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뚜껑체와 용기몸체의 결합 취약부위인 모서리 부위의 결합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뚜껑체와 용기몸체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jec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rner of the cover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ver, or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ver When the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inward than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the coupling force of the corner portion, which is a weak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be weak, is reinforced, and the lid body and the container body are easily separated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몸체와 뚜껑체의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각형 구조에 비해 각 변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body and the edge of the lid body are rounded, the width of each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rectangular body structure,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용기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뚜껑체와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뚜껑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용기몸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용기 구조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용기 구조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뚜껑체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용기 구조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y 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2;
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lid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ray 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용기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부에 음식물 등의 수용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05)를 가지며, 바닥면(110)과 외벽(120) 및 외벽(120)의 테두리 단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플랜지부(130)를 구비하며 각각의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용기몸체(100)와,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를 개폐(밀폐)하는 뚜껑체(200)와, 상기 뚜껑체(200)의 테두리 내측면에 내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용기몸체(100)의 하부플랜지부(130) 단부와 록킹 결합되는 복수의 록킹돌기(300)로 구성된다.1 to 6,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05 having an upper opening to receive an object such as food or the like, and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and an outer wall 120, And a lower flange part 130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outer wall 120.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with rounded corners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 A lid 200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opens and closes the container 105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00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be locked with the ends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용기몸체(100)는 수용부(105)의 상부가 개구되고 각각의 모서리 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외벽(120)을 구성하는 각 변 부위가 직선이 아닌 곡선형태로 구성되도록 형성된다.1 and 2, the container body 100 has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05 which is opened and each corner portion is rounded so that the side portions constituting the outer wall 120 are straight lines Non-curved shape.

또한, 용기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0)에 수용물이 안착된 후에 바닥면(110)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안착돌부(112)와, 각각의 안착돌부(112) 사이에 상대적으로 요홈지도록 형성된 유로홈(1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4, the container bod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112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10 after the receptacle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10, And may further include a flow path groove 114 formed so as to be relatively recessed between the respective seat mounting projections 112.

그리고, 용기몸체(100)는 외벽(120)의 상부에 단턱진 단턱부(12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턱부(125)는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다른 용기몸체(100)의 하부가 안착되는 지지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tainer bod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epped step portion 125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120. The step portion 125 performs a function of a supporting jaw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body 1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또, 용기몸체(10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30)가 외벽(120)의 상부인 단턱부(125) 상측 테두리 단부로부터 외측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플랜지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125)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 연장부(131)와, 상기 상향 연장부(13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132)와, 상기 수평 연장부(132)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133) 및 상기 하향 연장부(133)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134)로 이루어진다.The container bod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extends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edge of the step portion 125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120. 4,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includes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tep portion 125, and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31,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13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132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132 protru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133 And an outward protruding portion 13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뚜껑체(200)는 하부가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수용부(105)를 밀폐하기 위한 상면부(210) 및 상면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플랜지부(2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200)의 테두리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221)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의 외향 돌출부(134)가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 연장부(22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222)와, 상기 하향 연장부(222)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223)로 구성된다.The lid body 200 has a low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includes a top surface portion 210 for sealing the receiving portion 105 and a downward portion 210 along the rim of the top surface portion 210. [ And an upper flange portion 220 extending from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3, the upper flange 220 includes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221 exten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lid 200,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2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221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34 and a downward extending portion 222 protru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222 And an outwardly projecting portion 223.

또한, 상기 뚜껑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부(220)의 하향 연장부(222)의 변부와 모서리리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돌기(30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3, the lid 200 has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0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e edges and corners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222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Lt; / RTI >

상기 뚜껑체(200)는 모서리 부위 상측에 돌출되어 상측에 적층되는 용기몸체(100)의 하부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걸림돌부(2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2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단차부(216) 내측방향의 상면부(2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인접하는 걸림돌부(215)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면부(210)보다 낮게 형성된 단차부(216)의 외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lid body 20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215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corner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0 stacked on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1, the engaging projections 215 are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15 extends inward And the other side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step portion 216 formed to be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portion 210 so as to connect between the adjacent stones 215.

상기 걸림돌부(215)는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 상측에 중심을 향해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어 다른 용기몸체(100)의 하부 모서리부위가 안착된 후에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stopper 215 functions as a stopper which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n the upper side of the edge of the lid 200 to prevent the lower edge of the other container body 100 from being moved outward after being seated. .

그리고 뚜껑체(200)는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 내에 수용된 수용물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id body 2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receptacle received in the receptacle 105 of the receptacle body 100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상기 록킹돌기(300)는 상부플랜지부(220)의 외측면측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면측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서, 적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s 300 are formed so th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is recessed and the inner side surface thereof protrudes inward.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oper intervals and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또한, 상기 록킹돌기(300)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상부플랜지부(220)의 내측으로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wardly protruding end protrudes inward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in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7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해당하는 록킹돌기(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과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상호 폭(ℓ1,ℓ2)이 상이한 것을 채택하되, 상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ℓ2)이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ℓ1)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ℓ1<ℓ2).7,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widths l1 and l2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edge portions of the lid 200 and those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idth l2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l1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each side portion.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뚜껑체(200)의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록킹돌기(300)와 용기몸체(100)의 하부플랜지부(130) 부위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even if the corner of the lid 200 is round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300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increased to reinforce the bonding force .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8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해당하는 록킹돌기(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과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을 채택하되, 상기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300)의 단부 길이(t2)가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길이(t1)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다(t1<t2).8,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length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corner portions of the lid 200 and those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ength t2 of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is longer than the length t1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T2).

용기몸체(100)에 하중이 전달될 경우 용기몸체(100)의 모서리부위보다 용기몸체(100)의 각 변 부위에 쉽게 휨 변형이 발생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록킹돌기(300)는 용기몸체(100)의 각 변 부위에 휨 변형이 일부 발생하더라도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용기몸체(100)와 뚜껑체(2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body 100 is easily bent at each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than the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0. Accordingly, The end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cover 200 are projected further inward than the end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corner portions even if some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body 100 So that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2 및 제3실시예의 록킹돌기(300)가 같이 적용된 것으로,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이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300)의 단부 높이(h2)가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 높이(h1)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이다.9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300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together and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of the cover 200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lid 2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lid 20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end portion height h1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lid 200. [

이 경우에는 뚜껑체(200)와 용기몸체(100)의 모서리 부위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몸체(100)의 각 변 부위에 다소 휨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용기몸체(100)와 뚜껑체(2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rnering force of the lid body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and also to prevent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100 from being de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20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 내에 음식물 등의 수용물을 투입하여 바닥면(110)에 안착시키면, 바닥면(110)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돌부(112)가 수용물을 바닥면(1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게 된다.5 and 6, when food such as food or the like is put into the receptacle 105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put on the bottom surface 110,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10. The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11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10,

이로 인해 유로홈(114)은 유체의 흐름 통로가 됨과 아울러, 안착돌부(112)와 함께 바닥면(110)에 안착된 수용물이 바닥면(110)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ow channel 114 becomes a flow path for the fluid and prevents the water adhered to the floor surface 110 from adhering to the floor surface 110 together with the seating protrusion 112 .

이후에,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를 밀폐하도록 뚜껑체(200)를 용기몸체(100)의 상측에 결합시키면, 뚜껑체(200)의 상부플랜지부(220) 하단부가 용기몸체(100)의 하부플랜지부(130)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뚜껑체(200)의 상부플랜지부(220)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록킹돌기(300)의 상측이 하부플랜지부(130)의 하향 연장부(133)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향돌출부(134)가 걸리도록 록킹 결합된다.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so as to close the receiving portion 105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lower end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of the cover 20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00 projecting inward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of the lid 200 is coupled to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And an outward protruding portion 134 protru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133 is locked and engaged.

이때, 용기몸체(100)의 하부플랜지부(130)는 뚜껑체(200)와의 결합과정에서 뚜껑체(200)가 하강되면서 록킹돌기(300)의 내측 단부에 일시 간섭되다가 뚜껑체(200)의 하측 방향 가압력에 의해 통과된 후에, 록킹돌기(300)의 내측 단부 상측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뚜껑체(200)를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과정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temporarily interferes with the inn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while the lid 200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engaging with the lid 200, The lid body 2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by being coupled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after being passed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상기 하부플랜지부(130)가 록킹돌기(300)에 지지되도록 록킹 결합됨에 따라 뚜껑체(200)가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를 밀폐시키게 된다.The lid body 200 closes the receiving portion 105 of the container body 100 as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is locked and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300.

또한, 본 발명은 록킹돌기(300)의 구조를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뚜껑체(200)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이 더 크게 형성하거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혹은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3실시예의 구성이 합쳐진 경우에는 뚜껑체(200)와 용기몸체(100)의 결합 취약부위인 모서리 부위의 결합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뚜껑체(200)와 용기몸체(1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locking protrusion 30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of the lid 20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earlier, End por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of the lid body 200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further inward than the end por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corner portions as in the fourth embodiment, Whe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combine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id body 200 and the corner portion, which is a weak portion where the container body 100 is weak, and to easily separate the lid body 200 and the container body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problem.

이로 인해, 사용자가 수용물이 수용된 트레이 용기를 운반 이송하는 과정에서 용기몸체(100)와 뚜껑체(2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transports and transports the tray container containing the receptacle.

또한, 본 발명은 뚜껑체(200)의 상면부(210) 모서리부위 상측에 걸림돌부(2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트레이 용기를 상,하 적층하는 과정에서 다른 용기몸체(100)의 하부 모서리부위를 지지하여 적층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locking protrusions 215 ar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lid 200, when the plurality of tray containers are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topper to prevent the lamination state from being released by supporting the lower edge portion.

100 : 용기몸체 105 : 수용부
110 : 바닥면 112 : 안착돌부
114 : 유로홈 120 : 외벽
125 : 단턱부 130 : 하부플랜지부
200 : 뚜껑체 210 : 상면부
215 : 걸림돌부 220 : 상부플랜지부
300 : 록킹돌기
100: container body 105: accommodating portion
110: bottom surface 112:
114: channel groove 120: outer wall
125: step portion 130: lower flange portion
200: cover body 210: upper surface portion
215: stumbling portion 220: upper flange portion
300: locking protrusion

Claims (6)

내부에 수용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05)를 가지며, 상기 수용물이 안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안착돌부(112)와 상기 안착돌부(112) 사이에 요홈지도록 형성된 유로홈(114)을 구비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120)과, 상기 외벽(120)의 상부에 다른 용기몸체(10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단턱부(125) 및 상기 단턱부(125)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부(130)로 이루어지는 용기몸체(100); 및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105)를 밀폐하기 위한 상면부(210)와, 상기 상면부(2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중심을 향해 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다른 용기몸체(100)의 하부 모서리부위가 안착되는 복수의 걸림돌부(215) 및 상기 상면부(210)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의 단부와 록킹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부(220)로 이루어지는 뚜껑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는 상기 단턱부(125)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향 연장부(131)와, 상기 상향 연장부(13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132)와, 상기 수평 연장부(132)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133) 및 상기 하향 연장부(133)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134)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220)는 상기 뚜껑체(200)의 테두리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221)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130)의 외향 돌출부(134)의 단부가 내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 연장부(22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 연장부(222)와, 상기 하향 연장부(222)의 단부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되는 외향 돌출부(223) 및 상기 하향 연장부(222)의 변부와 모서리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사다리꼴 단면 형태의 복수의 록킹돌기(300)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부(215)는 일측이 단차부(216) 내측방향의 상면부(2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인접하는 걸림돌부(215)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면부(210)보다 낮게 형성된 단차부(216)의 외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300)는 외측면측이 함몰 형성되고 내측면측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용기 구조체.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112 protruding upward so as to seat the receptacle and a plurality of recesses 112 formed to be seated between the seating recesses 112 so as to receive the receptacles therein, A bottom surface 110 provided with a groove 114 and an outer wall 120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10 and a lower portion of another container body 100 placed on the outer wall 120, And a lower flange portion 130 formed on an upper edge of the step portion 125. The container body 100 includes: And
A top surface portion 21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seal the receiving portion 105,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corner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receive the low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5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rim of the top surface 210, And an upper flange portion (220) which is engag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in a locking manner,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includes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step portion 125 and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131 extending outward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31. [ A downward extension 133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32 and an outward projection 134 protru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downward extension 133. [ &Lt; / RTI &gt;
The upper flange portion 220 includes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221 extending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lid body 200 and an end portion of the outwardly projecting portion 134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0, A downward extension 222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221 and an outward protrusion 223 protru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end of the downward extension 222,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00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the edge portions and the corner portions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222,
The other side of the protrusion 215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step portion 216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trusion 215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210,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portion 216,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30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ide is recessed and the inner side is protruded i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300)는 상기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와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폭(ℓ1,ℓ2)이 서로 상이하되,
상기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ℓ2)이 상기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ℓ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용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re formed such that the edges of the cover 200 and the widths l1 and l2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idth l2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of the lid 200 is greater than the width l1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each side of the lid 200. [ Lt; / RTI &g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돌기(300)는 상기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와 각 변 부위에 형성된 것의 단부 길이(t1,t2)가 서로 상이하되,
상기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300) 단부 길이(t2)가 상기 뚜껑체(2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 길이(t1)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용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rotrusions 300 are formed such that edge portions t1 and t2 of the edge portions of the cover 200 and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ength t2 of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s of the cover 200 is greater than the length t2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over 200 Is longer than an end length (t1)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이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200)의 각 변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300) 단부의 높이(h2)가 뚜껑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록킹돌기(300)의 단부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용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corner of the lid 2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each side of the lid 200, The height h2 of at least any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00 formed at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is greater than the end height h1 of the locking protrusion 300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lid 200, And a lower portion of the tray container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00)는 용기몸체(100)의 수용부(105) 내에 수용된 수용물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용기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d body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recognizing the receptacle contained in the receptacle (105) of the container body (100) from outside.
KR1020160073852A 2016-06-14 2016-06-14 Tray container structure KR101845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52A KR101845361B1 (en) 2016-06-14 2016-06-14 Tray contain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52A KR101845361B1 (en) 2016-06-14 2016-06-14 Tray containe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91A KR20170140991A (en) 2017-12-22
KR101845361B1 true KR101845361B1 (en) 2018-04-04

Family

ID=6093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52A KR101845361B1 (en) 2016-06-14 2016-06-14 Tray contain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3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656A (en) 2022-07-20 2024-01-30 송문선 Food airtight packaging tray PLA case with easy open structure and airtight packaging tray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770A (en) * 2001-02-05 2001-06-26 Denki Kagaku Kogyo Kk Container for sushi
JP2001213420A (en) * 2000-02-07 2001-08-07 Giken Kasei Kk Packaging container
US20040144781A1 (en) * 2001-05-25 2004-07-29 Dees Jerome G. Foo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lid - base seal provided with undercut sealing profile and asymmetric interlockable stacking ridges
JP2005239253A (en) * 2004-02-27 2005-09-08 Nishi Nippon Biru Kanri Kk Merchandise cas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420A (en) * 2000-02-07 2001-08-07 Giken Kasei Kk Packaging container
JP2001171770A (en) * 2001-02-05 2001-06-26 Denki Kagaku Kogyo Kk Container for sushi
US20040144781A1 (en) * 2001-05-25 2004-07-29 Dees Jerome G. Foo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lid - base seal provided with undercut sealing profile and asymmetric interlockable stacking ridges
JP2005239253A (en) * 2004-02-27 2005-09-08 Nishi Nippon Biru Kanri Kk Merchandise cas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656A (en) 2022-07-20 2024-01-30 송문선 Food airtight packaging tray PLA case with easy open structure and airtight packaging tra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91A (en)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648B2 (en) Container system
US20060261065A1 (en) Reversible lid storage container
KR20080019011A (en) Venting container
US20210284398A1 (en) Container with venting or multiple sealing feature
JPH11321904A (en) Sealing structure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and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therefor
EP3403945B1 (en) Airtight container
KR20220035468A (en) container
KR20200000714U (en) Lunch box container
KR101845361B1 (en) Tray container structure
KR101876732B1 (en) Container structure
KR20070120007A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100673992B1 (en) A airtight box two-stage locking device
JP7199083B2 (en) packaging container
KR200477270Y1 (en) Cosmetic compact container
KR101786163B1 (en) Food storage box
KR100673997B1 (en) A airtight box two-stage locking device
KR102241982B1 (en) Airtight Container for Food
JP4364561B2 (en) Container stacking structure
KR100656565B1 (en) An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double cover
JP4195602B2 (en) Sealed partition container
KR20160048635A (en) Airtight container
JP3227234U (en) Airtight container for food
JP7244045B2 (en) packaging container
JP3068535U (en) Container with lid
KR20180001292U (en) Food tray with a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